KR2021001482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823A
KR20210014823A KR1020190092531A KR20190092531A KR20210014823A KR 20210014823 A KR20210014823 A KR 20210014823A KR 1020190092531 A KR1020190092531 A KR 1020190092531A KR 20190092531 A KR20190092531 A KR 20190092531A KR 20210014823 A KR20210014823 A KR 20210014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folding
disposed
support
flat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2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4823A/ko
Priority to US16/888,206 priority patent/US11526196B2/en
Priority to CN202010709775.1A priority patent/CN112309248A/zh
Publication of KR2021001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표시 모듈 하부에 배치되며, 서로 분리되되, 사이에 폴딩축이 위치하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제1 지지 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1 지지 부재의 일 면 및 제2 지지 부재의 일 면을 동일한 기준면에 위치시키는 평탄화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전계 발광(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소자 또는 양자점 발광(quantum dot electroluminescence device; QD-EL)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한편, 이동형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부피 또는 두께를 가지면서도 더 큰 표시 화면을 가진 이동형 전자 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만 보다 대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 표시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을 위해 폴딩 축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된 메탈 플레이트를 표시 모듈 하부에 부착할 수 있다. 두 개의 메탈 플레이트를 표시 모듈에 부착 시 조립 공차 및 폴더블 표시 장치의 사용 등에 따라 두 메탈 플레이트 간의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표시 모듈의 폴딩 축 주변에서 굴곡 변형이 시인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성(磁性)을 띤 평탄화 부재를 이용하여 폴딩 축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된 두 개의 메탈 플레이트의 단차를 감소시킨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하부에 배치되고, 서로 분리되고, 사이에 폴딩축이 위치하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 면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일 면을 동일한 기준면에 위치시키는 평탄화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평탄화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접착 부재에 의해 고정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부재는 자기력을 갖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자성체에 붙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부재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평탄화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평탄화 부재의 평면상 면적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면적의 크기, 두께 및 모듈러스 중 어느 하나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면적의 크기, 두께 및 모듈러스 중 어느 하나에 비례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 측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일 측에 상기 폴딩축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부재는 상기 홈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포함된 홈의 일 면과 상기 평탄화 부재의 일 면은 양면 접착막에 의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양면 접착막은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포함된 홈의 일면과 마주보는 면이 비접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폴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폴딩 부재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제3 지지 부재, 상기 제2 지지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제4 지지 부재,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3 지지 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4 지지 부재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된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폴딩축이 위치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 면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일 면을 동일한 기준면에 위치시키는 평탄화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평탄화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접착 부재에 의해 고정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부재는 자기력을 갖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자성체에 붙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부재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평탄화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평탄화 부재의 평면상 면적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면적의 크기, 두께 및 모듈러스 중 어느 하나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면적의 크기, 두께 및 모듈러스 중 어느 하나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양면 접착막에 의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상면의 일부 영역에 높이 보상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높이 보상 필름은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일 면은 비접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자성(磁性)을 띤 평탄화 부재를 이용하여 폴딩 축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된 두 개의 메탈 플레이트의 단차를 감소시킨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내측 폴딩(inner 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0)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제1 지지 부재(SM1), 제2 지지 부재(SM2) 및 평탄화 부재(PM)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 및 5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힌지부의 몸체부의 일부분 및 어느 하나의 힌지부의 일측에 배치된 서브 연결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고정 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회전 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²-²'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및 평탄화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V-V'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0)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및 평탄화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VII-V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6의 평탄화 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내측 폴딩(inner 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제1 방향(DR1)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100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0)일 수 있으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접이식(폴더블) 표시 장치(1000)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폴딩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0)는 표시 장치(1000)가 폴딩되는 폴딩 영역(FA) 및 평평한 상태의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로 구분될 수 있다.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며, 폴딩 영역(FA)은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1000)에 하나의 폴딩 영역(FA)이 정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1000)에 복수 개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폴딩축(FX)은 표시 장치(1000)에 이축 회전축을 제공하기 위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회전축(RX1) 및 제2 회전축(RX2)을 포함한다. 폴딩 영역(FA)은 제1 및 제2 회전축들(RX1, RX2)과 중첩하며, 표시 장치(1000)는 제1 회전축(RX1) 및 제2 회전축(RX2)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표시 모듈(100) 및 표시 모듈(100)의 하부에 배치된 폴딩 부재(200)를 포함한다. 표시 모듈(100)의 상면은 표시면(DS)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평면일 수 있다. 표시면(DS)을 통해 표시 모듈(100)에서 생성된 이미지들(IM)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소정의 색으로 인쇄되는 표시 장치(1000)의 테두리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0)은 가요성을 가지며, 표시 패널(110) 및 표시 패널(110) 상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 유닛(12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전계 발광(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소자 또는 양자점 발광(quantum dot electroluminescence device; QD-EL)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또는 전기 습윤 표시 패널이거나, 그 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양자점(quantum dot)은 수 나노 크기의 결정 구조를 가진 반도체 물질로서, 수백에서 수천 개 정도의 원자로 구성된다. 양자점은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단위 부피당 표면적이 넓고, 대부분의 원자들이 나노 결정의 표면에 존재하며, 양자 구속(quantum confinement) 효과 등을 나타낸다. 이러한 양자 구속의 효과에 의하여 양자점의 크기 조절만으로 발광 파장을 조절할 수 있고, 우수한 색순도 및 높은 PL(photoluminescence) 발광 효율 등의 특성을 가진다. 양자점 발광(QD-EL) 소자는 양자점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양단에 정공 전달층(hole transport layer; HTL)과 전자 전달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을 포함하는 3층 구조의 소자일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120)은 외부의 입력(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 펜 등)을 감지하여 소정의 입력 신호로 변경하고, 입력 신호를 표시 패널(110)에 제공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120)은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터치 센서부들(미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부들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터치 감지 유닛(120)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고,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폴딩 부재(200)는 표시 모듈(100)을 지지하고, 제1 및 제2 회전축들(RX1, RX2)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폴딩될 수 있다. 폴딩 부재(200)가 폴딩됨으로써 가요성을 갖는 표시 모듈(100)이 폴딩 부재(200)에 의해 폴딩될 수 있다. 폴딩 부재(200)는 표시 장치(1000)가 폴딩될 때, 표시 모듈(100)의 서로 다른 영역의 표시면(DS)들이 마주보도록 표시 장치(1000)를 내측 폴딩(inner folding) 시킬 수 있다.
폴딩 부재(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제3 방향(DR3)은 상부 방향 및 상부 방향의 반대 방향인 하부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은 베이스층(BSL), 베이스층(BSL) 상에 배치된 화소층(PXL) 및 화소층(PXL)을 덮도록 베이스 층(BSL) 상에 배치된 보호층(PTL)을 포함한다.
베이스층(BSL)은 표시 모듈(100)의 배면을 정의하고,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화소층(PXL)은 복수 개의 화소들(미 도시됨)을 포함하고,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구동되어 이미지들(IM)을 생성할 수 있다. 보호층(PTL)은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으며, 터치 감지 유닛(120)은 보호층(PTL) 상에 배치된다. 보호층(PTL)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기 절연막 또는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터치 감지 유닛(120) 상에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는 표시 모듈(100)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가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윈도우는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에 적용 가능한 플라스틱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difluoride, PVDF), 폴리스티렌(polystyren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을 들 수 있다. 윈도우는 상기 열거된 플라스틱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폴딩 장치(1000)의 상부를 보여주는 표시 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은 표시 장치(1000)의 하부를 보여주는 표시 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표시 모듈(100) 및 폴딩 부재(200)를 포함한다. 폴딩 부재(200)는 제1 지지 부재(SM1), 제2 지지 부재(SM2), 제3 지지 부재(SM3), 제4 지지 부재(SM4), 힌지 부재(HGM), 제1 후면 커버(BSC1) 및 제2 후면 커버(BSC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SM1, SM2)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표시 모듈(100)은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SM1, SM2) 상에 배치된다.
평탄화 부재(PM)는 제1 지지 부재(SM1) 하면의 일 측 및 제2 지지 부재(SM2) 하면의 일 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는 자성(磁性)을 띤 재료로 구성되어, 제1 지지 부재(SM1) 하면의 일 측에 고정되고, 제2 지지 부재(SM2) 하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 지지 부재(SM1)의 일측 및 제2 지지 부재(SM2)의 일측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표시 모듈(100)의 폴딩 영역(FA)은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갭(gap) 상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상면에 각각 배치된다.
제3 및 제4 지지 부재들(SM3, SM4)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다. 제3 지지 부재(SM3)는 제1 지지 부재(SM1)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4 지지 부재(SM4)는 제2 지지 부재(SM2)의 하부에 배치된다.
힌지 부재(HGM)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갭(gap)과 오버랩하고, 제3 지지 부재(SM3) 및 제4 지지 부재(SM4) 사이에 배치된다. 힌지 부재(HGM)는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3 지지 부재(SM3)의 일측 및 제4 지지 부재(SM4)의 일측에 연결된다. 힌지 부재(HGM)는 제3 지지 부재(SM3)의 일측 및 제4 지지 부재(SM4)의 일측 각각에 회전축을 제공한다. 회전축들(RX1, RX2)은 제3 지지 부재(SM3)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1 회전축(RX1) 및 제4 지지 부재(SM4)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2 회전축(RX2)을 포함한다.
힌지 부재(HGM)는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고 제3 지지 부재(SM3) 및 제4 지지 부재(SM4)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힌지부들(HGP)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힌지 부재(HGM)가 2개의 힌지부들(HGP)를 포함하고 있으나, 힌지부들(HGP)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힌지 부재(HGM)는 하나의 힌지부(HGP)를 포함하거나, 2개보다 많은 힌지부들(HGP)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들(HGP) 각각은 제3 지지 부재(SM3)의 일측 및 제4 지지 부재(SM4)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3 지지 부재(SM3)의 일측에 제1 회전축(RX1)을 제공하고 제4 지지 부재(SM4)의 일측에 제2 회전축(RX2)을 제공한다. 힌지부들(HGP)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몸체부(BDP) 및 제2 방향(DR2)으로 몸체부(BDP)의 서로 반대되는 측들로 정의되는 몸체부(BDP)의 양측들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서브 연결부들(SCP)을 포함한다.
몸체부들(BDP) 각각은 제1 회전축(RX1)을 제공하는 제1 회전 유닛(RU1) 및 제2 회전축(RX2)을 제공하는 제2 회전 유닛(RU2)을 포함한다. 제1 회전 유닛(RU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제1 회전축(RX1)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제2 회전 유닛(RU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제2 회전축(RX2)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제1 및 제2 회전 유닛들(RU1, RU2)의 단면의 형상은 D자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및 제2 회전 유닛들(RU1, RU2)과 서브 연결부들(SCP)가 동시에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형태이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형의 형상에서 양측에 평행한 절단선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서브 연결부들(SCP)은 제1 및 제2 회전 유닛들(RU1, RU2)에 각각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각 몸체부(BDP)의 양측들 각각에 두 개의 서브 연결부들(SCP)이 배치되고, 두 개의 서브 연결부들(SCP) 중 하나의 서브 연결부(SCP)의 일측이 제1 회전 유닛(RU1)에 연결되고, 두 개의 서브 연결부들(SCP) 중 나머지 하나의 서브 연결부(SCP)의 일측이 제2 회전 유닛(RU2)에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서브 연결부들(SCP)의 일측들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서브 연결부들(SCP)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제3 지지 부재(SM3)의 일측에 인접한 제3 지지 부재(SM3)의 하부 및 제4 지지 부재(SM4)의 일측에 인접한 제4 지지 부재(SM4)의 하부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2 핀 유닛들(PU2)이 서브 연결부들(SCP)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2 연결 홀들(CH2)에 삽입되고, 제2 핀 유닛들(PU2)이 제3 지지 부재(SM3)의 하부 및 제4 지지 부재(SM4)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후면 커버(BSC1)는 제3 지지 부재(SM3)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후면 커버(BSC2)는 제4 지지 부재(SM4)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후면 커버들(BSC1, BSC2)은 힌지부들(HGP)을 덮도록 제3 및 제4 지지 부재들(SM3, SM4)의 하부들에 연결된다.
제3 및 제4 지지 부재들(SM3, SM4) 각각에 복수 개의 제3 연결 홀들(CH3)이 정의되고, 제1 및 제2 후면 커버들(BSC1, BSC2) 각각에 복수 개의 제4 연결 홀들(CH4)이 정의된다.
제4 연결 홀들(CH4)은 제3 연결 홀들(CH3)에 1:1 오버랩하도록 배치된다. 복수 개의 핀 유닛들(PU)이 제4 연결 홀들(CH4) 및 제3 연결 홀들(CH3)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후면 커버들(BSC1, BSC2)이 제3 및 제4 지지 부재들(SM3, SM4)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후면 커버(BSC1)는 제1 바닥 커버(BC1) 및 제2 방향(DR2)으로 제1 바닥 커버(BC1)의 서로 반대되는 측들로 정의되는 제1 바닥 커버(BC1)의 양측들에서 상부로 연장된 2개의 제1 측면 커버들(SC1)을 포함한다.
제2 후면 커버(BSC2)는 제1 후면 커버(BSC1)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2 후면 커버(BSC2)는 제1 바닥 커버(BC1)에 대칭하는 구조를 갖는 제2 바닥 커버(BC2) 및 제1 측면 커버들(SC1)에 대칭하는 구조를 갖는 제2 측면 커버들(SC2)을 포함한다.
제4 연결 홀들(CH4)은 제1 및 제2 바닥 커버들(BC1, BC2)에 정의된다. 제1 및 제2 측면 커버들(SC1, SC2)은 제2 방향(DR2)으로 제3 지지 부재(SM3)의 서로 반대되는 측들로 정의되는 제3 지지 부재(SM3)의 양측들 및 제2 방향(DR2)으로 제4 지지 부재(SM4)의 서로 반대되는 측들로 정의되는 제4 지지 부재(SM4)의 양측들을 커버한다. 또한, 제1 및 제2 측면 커버들(SC1, SC2)은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관절 유닛(JP)의 측벽 및 서브 연결부들(SCP)이 보이지 않도록, 관절 유닛(JP)의 측벽 및 서브 연결부들(SCP)을 커버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평탄화 부재(PM)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4 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0)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제1 지지 부재(SM1), 제2 지지 부재(SM2) 및 평탄화 부재(PM)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 방향(FD)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0)는 폴딩 축(FX)을 기준으로 폴딩 방향(FD)을 따라 접힌 상태(folded state)와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간의 상태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는 표시 모듈(100)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고, 표시 모듈(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는 스테인레스 스틸(SUS)과 같은 자성체에 붙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는 외력에 의해 표시 모듈(100)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구부러지는 정도(예를 들어, 구부러지는 각도, 구부러지는 곡률 반경)를 완화(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표시 모듈(100)을 상대적으로 평탄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와 표시 모듈(100) 사이에는 제1 양면 접착막(PSA1)이 배치되고, 제1 양면 접착막(PSA1)을 통해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는 표시 모듈(10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양면 접착막(PSA1)은 투명 접착 필름(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는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되, 좌우측으로 기준 이격 거리(D0) 만큼 이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이격 거리(D0)는 0.1mm 이하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SM1, SM2)은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SM1, SM2) 및 표시 모듈(100) 사이에는 제1 양면 접착막(PSA1)이 배치되고,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SM1, SM2)은 제1 양면 접착막(PSA1)을 통해 표시 모듈(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양면 접착막(PSA1)은 상호 분리된 제1 좌측 양면 접착막(PSA11) 및 제1 우측 양면 접착막(PSA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측 양면 접착막(PSA11)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 두께 방향으로 표시 모듈(100)에 중첩하며, 표시 모듈(100)과 제1 지지 부재(SM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 부재(SM1)는 제1 좌측 양면 접착막(PSA11)을 통해 표시 모듈(100)에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우측 양면 접착막(PSA12)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에서 표시 모듈(100)에 중첩하며, 표시 모듈(100)과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 부재(SM2)는 제1 우측 양면 접착막(PSA12)을 통해 표시 모듈(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좌측 양면 접착막(PSA11) 및 제1 우측 양면 접착막(PSA12)은 동일 평면에 위치하며, 좌우측으로 제1 이격 거리(D1)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이격 거리(D1)는 기준 이격 거리(D0)보다 클 수 있다. 제1 좌측 양면 접착막(PSA11) 및 제1 우측 양면 접착막(PSA12)은 폴딩선(F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의 내측면은 제1 좌측 양면 접착막(PSA11)의 내측면보다 폴딩선(FL)(또는, 폴딩축(AXIS_F))에 인접하고, 제2 지지 부재(SM2)의 내측면은 제1 우측 양면 접착막(PSA12)의 내측면보다 폴딩선(FL)에 인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좌측 양면 접착막(PSA11) 및 제1 우측 양면 접착막(PSA12)에 의해 표시 모듈(100)의 폴딩 영역(FA)과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이 설정 또는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SM1, SM2)이 제1 및 제2 양면 접착막들(251, 252)을 통해 표시 모듈(100)에 결합되는 영역으로,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는 정도가 적고 대체적으로 평탄한 상태를 가지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두께 방향으로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 제1 양면 접착막(PSA1) 및 표시 모듈(100)이 모두 중첩되어 상호 결합(또는, 부착)된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는(또는, 지지되지 않는) 영역으로,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는 정도가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외력에 대하여, 폴딩 영역(FA)의 변형 정도(예를 들어, 구부러지는 각도)는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의 변형 정도의 3배 이상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외력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상태가 전환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단면 접착막(CF)(또는, 높이 보상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면 접착막(CF)은 두께 방향으로 표시 모듈(100)의 폴딩 영역(FA)과 중첩하고, 표시 모듈(100)과 제1 지지 부재(SM1) 및 표시 모듈(100)과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단면 접착막(CF)은 제1 및 제2 양면 접착막들(251, 252)과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단면 접착막(CF)은 제1 양면 접착막(PSA1)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단면 접착막(CF1) 및 제2 단면 접착막(CF2)은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며, 제1 좌측 양면 접착막(PSA11) 및 제1 우측 양면 접착막(PSA12) 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면 접착막(CF1)은 표시 모듈(100)과 제1 지지 부재(SM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단면 접착막(CF2)은 표시 모듈(100)과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면 접착막(CF1) 및 제2 단면 접착막(CF2)은 좌우측으로 제4 이격 거리(D4) 만큼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4 이격 거리(D4)는 기준 이격 거리(D0)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면 접착막(CF1)의 내측면(예를 들어, 폴딩선(FL)에 인접하는 측면)은 제1 지지 부재(SM1)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지지 부재(SM1)의 내측면은 제1 단면 접착막(CF1)의 내측면보다 폴딩선(FL)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단면 접착막(CF1)은 제1 좌측 양면 접착막(PSA11)으로부터 제2 이격 거리(D2)만큼 이격되고, 제2 단면 접착막(CF2)은 제1 우측 양면 접착막(PSA12)으로부터 제3 이격 거리(D3)만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격 거리(D2) 및 제3 이격 거리(D3)는 동일하거나 상호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격 거리(D2) 및 제2 이격 거리(D3) 각각은 1mm 이하이며, 실질적으로 0일 수도 있다.
제1 단면 접착막(CF1)은 하면에 접착 특성을 가지고, 상면에 비접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단면 접착막(CF2)은 하면에 접착 특성을 가지고, 상면에 비접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면 접착막(CF1)은 제1 지지 부재(SM1) 상면에 부착되고, 제2 단면 접착막(CF2)은 제2 지지 부재(SM2)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면 접착막(CF)은 상면 및 하면 모두 접착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단면 접착막(CF)의 하면이 접착 특성을 가지고, 상면은 비접착 특성을 가지는 경우, 중립면(NP)의 수평 위치는 제1 좌측 양면 접착막(PSA11) 및 제1 우측 양면 접착막(PSA12)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고, 중립면(NP)의 수평 폭은 제1 좌측 양면 접착막(PSA11) 및 제1 우측 양면 접착막(PSA12)간의 제1 이격 거리(D1)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단면 접착막(CF)의 상면 및 하면 모두 접착 특성을 가지는 경우, 중립면(NP)의 수평 위치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SM1, SM2)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고, 중립면(NP)의 수평 폭은 제1 및 제2 지지 부재들(SM1, SM2)간의 기준 이격 거리(D0)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단면 접착막(CF)은 표시 모듈(100)의 연성 특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연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는 단면 접착막(CF)을 통해 표시 모듈(100)를 지지 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제조 공정에서 및/또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사용됨에 따라, 표시 모듈(100)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을 표시 모듈(100)에 부착하는 라미네이션 공정 중, 폴딩 영역(FA)에서 라미네이션 롤러에 의해 표시 모듈(100) 및 표시 모듈(100)이 눌러져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모듈(100)의 하부에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이 배치됨으로써,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이 대체적으로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폴딩 영역(FA)에서 표시 모듈(100)과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 단면 접착막(CF)이 배치됨으로써,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제조 공정, 사용 등에 의한 표시 모듈(100)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는 폴딩 축에(FX) 인접한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평탄화 부재(PM)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PM)들은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H1)가 얇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 부재(PM)의 두께(H1)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H2)보다 작을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PM)들은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1 지지 부재(SM1) 하면의 일 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2 방향(DR2)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의 일 측은 제1 지지 부재(SM1) 하면의 일 측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 부재(PM)는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1 지지 부재(SM1)의 하면 일측에 접착 부재(PSA3)에 의해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PSA3)는 단면 접착막일 수 있다. 단면 접착막은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착 특성을 갖는 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면 접착막은 상면에 접착 특성을 가지고, 하면에는 비접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접착 부재(PSA3)의 상면은 평탄화 부재(PM) 하면의 일부, 평탄화 부재(PM)의 측면의 일부 및 제1 지지 부재(SM1)의 하면의 일부에 부착되고, 접착 부재(PSA3)의 하면은 비접착 특성을 갖는 베이스 필름일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들(PM) 각각은 독립된 접착 부재(PSA3)에 의해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PSA3)는 감압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사용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는 천연 고무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계 접착제, ABA 블록 공중합체형 열가소성 고무(여기서, A는 열가소성 폴리스티렌 말단 블록이고 B는 폴리이소프렌 고무, 폴리부타디엔 고무, 폴리에틸렌 고무 또는 폴리부틸렌 고무의 중간 블록임), 부틸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초산비닐/아크릴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접착제, 그리고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에틸에테르, 폴리비닐이소부틸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계 폴리머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평탄화 부재(PM)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 부재(PM_1)는 복수의 단위체로 형성되는 대신 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평탄화 부재(PM_1)는 평탄화 부재(PM_1)와 제1 지지 부재(SM1)의 제3 방향(DR3)으로의 중첩 영역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접착 부재(PSA3_1)에 의해 고정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평탄화 부재(PM)는 제1 지지 부재(SM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의 타 측은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2 지지 부재(SM2) 하면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 부재(PM)는 자성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이 경우, 자성체는 항상 자기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SM2)는 스테인레스 스틸(SUS)과 같은 자성체에 붙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가 언폴딩 시 평탄화 부재(PM)의 타 측과 제2 지지 부재(SM2)의 사이에는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의 두께(H1), 개수, 및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와 중첩되는 면적의 크기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의 면적에 비례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의 면적이 커질수록, 평탄화 부재(PM)의 두께(H1)는 두꺼워지고, 개수, 및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와 중첩되는 면적의 크기도 증가할 수 있다.
한편, 평탄화 부재(PM)의 두께(H1), 개수, 및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와 중첩되는 면적의 크기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의 두께(H2) 및 모듈러스에 비례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의 두께(H2) 및 모듈러스가 클수록 평탄화 부재(PM)의 두께(H1)는 두꺼워지고, 개수, 및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와 중첩되는 면적의 크기도 증가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는 제3 방향(DR3)으로 표시 모듈(100)의 폴딩 영역(FA)과 중첩하는 영역에서,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의 하면은 평탄화 부재(PM)의 상면과 직접 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의 하면은 동일한 기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는 제3 방향(DR3)으로 단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자성체를 포함하는 평탄화 부재(PM)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는 인력이 존재하므로, 평탄화 부재(PM)와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00)가 언폴딩된 경우, 언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3 지지 부재(SM3) 및 제4 지지 부재(SM4)는 각각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와 제3 방향(DR3)(또는,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고,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지지 부재(SM3) 및 제4 지지 부재(SM4)는 힌지부재(HGP)에 의해 회동되어 상호 간의 결합 각도는 변하지만, 제3 지지 부재(SM3) 및 제4 지지 부재(SM4)의 자체 형태는 변형되지 않는다.
제3 지지 부재(SM3) 및 제4 지지 부재(SM4)는 알루미늄(aluminum)과 같이 자성체에 붙지 않는 금속 물질 또는 폴리메닐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PVA), 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crylonitir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 같은 고분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와 제3 지지 부재(SM3) 사이에는 제2 좌측 양면 접착막(PSA21)이 배치되고, 제2 지지 부재(SM2)와 제4 지지 부재(SM4) 사이에는 제2 우측 양면 접착막(PSA22)이 배치되어, 제2 양면 접착막(PSA2)을 통해 제3 지지 부재(SM3)는 제1 지지 부재(SM1)에 부착되고, 제4 지지 부재(SM4)는 제3 지지 부재(SM3)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지지 부재(SM3) 및 제4 지지 부재(SM4)는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되, 좌우측으로 기준 이격 거리(D5) 만큼 이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이격 거리(D5)는 0.1mm 이하일 수 있다. 제3 및 제4 지지 부재들(SM3, SM4)은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지지 부재(SM3) 및 제4 지지 부재(SM4)의 기준 이격 거리(D5)는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의 기준 이격 거리(D0)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지지 부재(SM3) 및 제4 지지 부재(SM4)의 기준 이격 거리(D5)는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의 기준 이격 거리(D0)보다 클 수 있다.
제2 양면 접착막(PSA2)은 스페이서 테이프일 수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 테이프는 완충 부재(미도시), 상기 완충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 부재와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를 접착하는 제1 접착층(미도시) 및 상기 완충 부재의 타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 부재와 제3 지지 부재(SM3) 및 제4 지지 부재(SM4)를 접착하는 제2 접착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양면 접착막(PSA2)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시 제1 지지 부재(SM1) 하면의 일 측에 고정 결합되는 평탄화 부재(PM)가 회동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4 및 5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힌지부의 몸체부의 일부분 및 어느 하나의 힌지부의 일측에 배치된 서브 연결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고정 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회전 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²-²'선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회전 유닛(RU1) 및 제2 회전 유닛(RU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제1 회전축(RX1) 및 제2 회전축(RX2)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될 수 있다. 몸체부(BDP) 내에는 제1 회전축(RX1)을 제공하는 제1 기어부(GP1), 제2 회전축(RX2)을 제공하는 제2 기어부(GP2), 및 제1 기어부(GP1)와 제2 기어부(GP2) 사이에 배치된 제3 기어부(GP3) 및 제4 기어부(GP4)가 배치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 캠(FC)은 일측은 몸체부(BDP)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상하면에 배치되는 산형부(FC_a)와 좌우면에 배치되는 골형부(FC_b)를 포함한다. 산형부(FC_a) 와 골형부(FC_b)가 형성된 방향은 폴딩 부재(200)가 여닫히는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회전 캠(SC)은 고정 캠(FC)의 산형부(FC_a)와 맞물려 슬라이딩 면 접촉이 가능하도록 골형부(SC_b)를 형성한다. 따라서 골형부(SC_b)의 양방으로 산형부(SC_a)가 형성된다. 회전 캠(SC)의 일측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고정 캠(FC)과 회전 캠(SC)을 밀착시킨다. 탄성 부재는 예를 들어, 압축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사용자가 폴딩 부재(200)를 폴딩하는 동작에서 회전 캠(SC)의 산형부(FC_a)는 점차 고정 캠(FC)의 산형부(FC_a) 최고점을 향해 회전하고 회전 캠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전 캠의 산형부가 고정 캠의 산형부의 최고점을 지나면 탄성 부재의 힘에 의해 회전 캠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되며, 사용자가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않아도 폴딩 부재(200)는 자동으로 폴딩된다.
도 13에 단면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제2, 제3, 및 제4 기어부들(GP1, GP2, GP3, GP4)은 제1 및 제2 회전 유닛들(RU1, RU2)과 같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제2, 제3, 및 제4 기어부들(GP1, GP2, GP3, GP4) 각각의 외주면은 기어 형상을 가지며, 제1, 제2, 제3, 및 제4 기어부들(GP1, GP2, GP3, GP4)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부(GP1)는 제1 회전 유닛(RU1)과 동일 선 상에 배치되어 제1 회전 유닛(RU1)에 연결된다. 제1 회전축(RX1)은 실질적으로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제1 회전 유닛(RU1) 및 제1 기어부(GP1)의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어부(GP2)는 제2 회전 유닛(RU2)과 동일 선 상에 배치되어 제2 회전 유닛(RU2)에 연결된다. 제2 회전축(RX2)은 실질적으로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제2 회전 유닛(RU2) 및 제2 기어부(GP2)의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서브 연결부들(SCP) 각각의 일측에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제5 연결홀(CH5)이 정의된다. 제1 및 제2 회전 유닛들(RU1, RU2)이 서브 연결부들(SCP)의 제5 연결 홀들(CH5)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서브 연결부들(SCP)이 제1 및 제2 회전 유닛들(RU1, RU2)에 연결된다. 제1 회전 유닛(RU1) 및 제1 기어부(GP1)는 제1 회전축(RX1)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제2 회전 유닛(RU2) 및 제2 기어부(GP2)는 제2 회전축(RX2)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제1 기어부(GP1)와 제2 기어부(GP2)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기어부(GP3)와 제4 기어부(GP4)는 두 기어부 연결을 통한 2축 회전 제어를 수행하는 아이들 기어일 수 있다. 즉, 제3 기어부(GP3)와 제4 기어부(GP4)는 제1 기어부(GP1)와 제2 기어부(GP2)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제1 기어부(GP1)와 제2 기어부(GP2)의 회전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제1 기어부(GP1)와 제2 기어부(GP2)에 각각 연결된 제3 지지 부재(SM3) 및 제4 지지 부재(SM4)가 대칭되게 폴딩 및 언폴딩될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및 평탄화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V-V'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와 평탄화 부재(PM_2)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PS3_2)가 양면 접착막이라는 점에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지지 부재(SM1)는 폴딩 축에(FX) 인접한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평탄화 부재(PM_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PM)들은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H1)가 얇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PM)들은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1 지지 부재(SM1) 하면의 일 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2 방향(DR2)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_2)의 일 측은 제1 지지 부재(SM1) 하면의 일 측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 부재(PM)는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1 지지 부재(SM1)의 하면 일측에 접착 부재(PSA3_2)에 의해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PSA3)는 양면 접착막일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와 평탄화 부재(PM_2) 사이에 접착 부재(PSA3_2)가 배치될 수 있다. 양면 접착막은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접착 특성을 갖는 막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부재(SM1)와 평탄화 부재(PM_2)가 제3 방향(DR3)으로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PSA3_21)의 상면은 제1 지지 부재(SM1)의 하면의 일부에 부착되고, 접착 부재(PSA3_21)의 하면은 평탄화 부재(PM_2)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와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제2 지지 부재(SM2)와 평탄화 부재(PM_2)가 제3 방향(DR3)으로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PSA3_22)의 상면은 비접착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접착 부재(PSA3_21)의 하면은 평탄화 부재(PM_2)의 상면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부재(SM1)와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제2 지지 부재(SM2)와 평탄화 부재(PM_2)가 제3 방향(DR3)으로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PSA3_22)의 상면은 불소계 코팅이나 UV 광 조사 등을 통해 점착력이 0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들(PM) 각각은 독립된 접착 부재(PSA3_21)에 의해 고정 부착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의 타 측은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2 지지 부재(SM2) 하면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 부재(PM)는 자성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이 경우, 자성체는 항상 자기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SM2)는 스테인레스 스틸(SUS)과 같은 자성체에 붙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가 언폴딩 시 평탄화 부재(PM)의 타 측과 제2 지지 부재(SM2)의 사이에는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의 하면은 평탄화 부재(PM_2)의 상면과 접착 부재(PSA3_2)를 경유하여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 SM2)의 하면은 동일한 기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는 제3 방향(DR3)으로 단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자성체를 포함하는 평탄화 부재(PM)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는 인력이 존재하므로, 평탄화 부재(PM)와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00)가 언폴딩된 경우, 언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지지 부재(SM2)와 평탄화 부재(PM_2)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PSA3_2)로 인해, 표시 장치(1000)의 폴딩 시, 제2 지지 부재(SM2)와 평탄화 부재(PM_2)의 접속 해제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0)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및 평탄화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VII-V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평탄화 부재(PM_3)가 제1 지지 부재(SM1_1) 및 제2 지지 부재(SM_2)에 삽입된 형태라는 점에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지지 부재(SM1_1)는 폴딩 축에(FX) 인접한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평탄화 부재(PM_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_1) 및 제2 지지 부재(SM2_1) 각각은 폴딩 축(FX)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일 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2 방향(DR2)을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들(HM)(또는 그루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홈(HM)은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홀이 아닌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한 면에서 제3 방향(DR3)으로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의 두께(H2)를 초과하지 않는 일정한 깊이로 움푹 파인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부재(SM1_1)와 제2 지지 부재(SM2_1) 사이의 이격 거리(D0)를 생략하는 것으로 고려하는 경우, 홈(HM)의 평면상 형상은 평탄화 부재(PM_3)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홈(HM)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평탄화 부재(PM_3)의두께(H1) 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정 마진 및 사용 마진을 위해 홈(HM)의 평면상 형상은 평탄화 부재(PM_3)의 형상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PM_3)들은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H1)가 얇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PM_3)들은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1 지지 부재(SM1)의 일 측에 형성된 홈(HM)에 삽입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제2 방향(DR2)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PM)들의 일 측은 제1 지지 부재(SM1_1)에 형성된 복수의 홈들(HM)에 각각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 부재(PM)는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1 지지 부재(SM1)에 형성된 홈(HM)에 접착 부재(PSA3_3)에 의해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PSA3_3)는 단면 접착막일 수 있다. 단면 접착막은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착 특성을 갖는 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면 접착막은 상면에 접착 특성을 가지고, 하면에는 비접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접착 부재(PSA3_3)의 상면은 평탄화 부재(PM_3) 하면의 일부, 및 제1 지지 부재(SM1)의 하면의 일부에 부착되고, 접착 부재(PSA3_3)의 하면은 비접착 특성을 갖는 베이스 필름일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들(PM_3) 각각은 독립된 접착 부재(PSA3_3)에 의해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PSA3_3)는 감압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사용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는 천연 고무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계 접착제, ABA 블록 공중합체형 열가소성 고무(여기서, A는 열가소성 폴리스티렌 말단 블록이고 B는 폴리이소프렌 고무, 폴리부타디엔 고무, 폴리에틸렌 고무 또는 폴리부틸렌 고무의 중간 블록임), 부틸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초산비닐/아크릴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접착제, 그리고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에틸에테르, 폴리비닐이소부틸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계 폴리머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_3)의 타 측은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2 지지 부재(SM2_1)에 형성된 홈(HM)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 부재(PM)는 자성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이 경우, 자성체는 항상 자기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SM2)는 스테인레스 스틸(SUS)과 같은 자성체에 붙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가 언폴딩 시 평탄화 부재(PM)의 타 측과 제2 지지 부재(SM2)의 사이에는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_3)의 두께(H1), 개수, 및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와 중첩되는 면적의 크기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의 면적에 비례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의 면적이 커질수록, 평탄화 부재(PM_3)의 두께(H1)는 두꺼워지고, 개수, 및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와 중첩되는 면적의 크기도 증가할 수 있다.
한편, 평탄화 부재(PM_3)의 두께(H1), 개수, 및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와 중첩되는 면적의 크기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의 두께(H2) 및 모듈러스에 비례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의 두께(H2) 및 모듈러스가 클수록 평탄화 부재(PM_3)의 두께(H1)는 두꺼워지고, 개수, 및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와 중첩되는 면적의 크기도 증가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_3)는 제3 방향(DR3)으로 표시 모듈(100)의 폴딩 영역(FA)과 중첩하는 영역에서, 제1 지지 부재(SM1_1) 및 제2 지지 부재(SM2_1)에 형성된 홈(HM)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에 형성된 홈(HM)의 일 면은 평탄화 부재(PM_3)의 상면과 직접 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에 형성된 홈(HM)의 일 면은 동일한 기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지지 부재(SM1_1) 및 제2 지지 부재(SM2_1) 사이에는 제3 방향(DR3)으로 단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에 형성된 홈(HM)에 복수의 평탄화 부재(PM_3)가 삽입됨으로써, 제1 지지 부재(SM1_1) 및 제2 지지 부재(SM2_1)가 제1 및 제2 방향(DR1, DR2)으로 정렬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를 포함하는 평탄화 부재(PM)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는 인력이 존재하므로, 평탄화 부재(PM)와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00)가 언폴딩된 경우, 언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_3)의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들과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에 형성된 홈(HM)의 내 측면 간에도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므로, 언폴딩 상태를 더 잘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6의 평탄화 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SM1_1) 및 제2 지지 부재(SM2_1)에 형성된 홈(HM)과 평탄화 부재(PM_2)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PS3_4)가 양면 접착막이라는 점에서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지지 부재(SM1_1)는 폴딩 축에(FX) 인접한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평탄화 부재(PM_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_1) 및 제2 지지 부재(SM2_1) 각각은 폴딩 축(FX)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일 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2 방향(DR2)을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들(HM)(또는 그루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부재(SM1_1)와 제2 지지 부재(SM2_1) 사이의 이격 거리(D0)를 생략하는 것으로 고려하는 경우, 홈(HM)의 평면상 형상은 평탄화 부재(PM_3)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홈(HM)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평탄화 부재(PM_3)의두께(H1) 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정 마진 및 사용 마진을 위해 홈(HM)의 평면상 형상은 평탄화 부재(PM_3)의 형상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PM_3)들은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H1)가 얇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PM_3)들은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1 지지 부재(SM1)의 일 측에 형성된 홈(HM)에 삽입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제2 방향(DR2)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_3)의 일 측은 제1 지지 부재(SM1_1)에 형성된 홈(HM)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 부재(PM_3)는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1 지지 부재(SM1)에 형성된 홈(HM)에 접착 부재(PSA3_4)에 의해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PSA3_4)는 양면 접착막일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 및 제2 지지 부재(SM2)에 형성된 홈(HM)의 일면과 평탄화 부재(PM_3) 사이에 접착 부재(PSA3_4)가 배치될 수 있다. 양면 접착막은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접착 특성을 갖는 막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부재(SM1_1)에 형성된 홈(HM)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PSA3_41)의 상면은 제1 지지 부재(SM1_)에 형성된 홈(HM)의 일 면에 부착되고, 접착 부재(PSA3_41)의 하면은 평탄화 부재(PM_3)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_1)와 제2 지지 부재(SM2_1)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제2 지지 부재(SM2_)에 형성된 홈(HM)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PSA3_42)의 상면은 비접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부재(SM1_1)와 제2 지지 부재(SM2_1)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제2 지지 부재(SM2_1)에 형성된 홈(HM)과 평탄화 부재(PM_3)가 제3 방향(DR3)으로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PSA3_42)의 상면은 불소계 코팅이나 UV 광 조사 등을 통해 점착력이 0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복수의 평탄화 부재들(PM_3) 각각은 독립된 접착 부재(PSA3_41)에 의해 고정 부착될 수 있다.
평탄화 부재(PM_3)의 타 측은 폴딩 축에(FX) 인접한 제2 지지 부재(SM2) 에 형성된 홈(HM)의 일 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탄화 부재(PM_3)는 자성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이 경우, 자성체는 항상 자기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SM2_1)는 스테인레스 스틸(SUS)과 같은 자성체에 붙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가 언폴딩 시 평탄화 부재(PM_3)의 타 측과 제2 지지 부재(SM2_1)의 사이에는 자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에 형성된 홈(HM)의 일면과 평탄화 부재(PM_3)의 상면이 접착 부재(PSA3_4)를 경유하여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에 형성된 홈(HM)의 일 면은 동일한 기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지지 부재(SM1_1) 및 제2 지지 부재(SM2_1) 사이에는 제3 방향(DR3)으로 단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제1 및 제2 지지 부재(SM1_1, SM2_1)에 형성된 홈(HM)에 복수의 평탄화 부재(PM_3)가 삽입됨으로써, 제1 지지 부재(SM1_1) 및 제2 지지 부재(SM2_1)가 제1 및 제2 방향(DR1, DR2)으로 정렬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를 포함하는 평탄화 부재(PM_3)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지지 부재(SM2_1) 사이에는 인력이 존재하므로, 평탄화 부재(PM_3)와 제2 지지 부재(SM2_1)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00)가 언폴딩된 경우, 언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지지 부재(SM2_1)에 형성된 홈(HM)과 평탄화 부재(PM_3)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PSA3_4)로 인해, 표시 장치(1000)의 폴딩 시, 제2 지지 부재(SM2_1)에 형성된 홈(HM)의 일면과 평탄화 부재(PM_3)의 접속 해제가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폴딩 부재 CF: 높이 보상 필름
SM1, SM2, SM3, SM4: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 부재
HGM: 힌지 부재 HGP: 힌지부
PM: 평탄화 부재 HM: 홈

Claims (20)

  1.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하부에 배치되며, 서로 분리되되, 사이에 폴딩축이 위치하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 면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일 면을 동일한 기준면에 위치시키는 평탄화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접착 부재에 의해 고정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는 자기력을 갖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자성체에 붙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평탄화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두께보다 작은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의 평면상 면적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면적의 크기, 두께 및 모듈러스 중 어느 하나에 비례하는 표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면적의 크기, 두께 및 모듈러스 중 어느 하나에 비례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 측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일 측에 상기 폴딩축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는 상기 홈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포함된 홈의 일 면과 상기 평탄화 부재의 일 면은 양면 접착막에 의해 고정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접착막은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포함된 홈의 일면과 마주보는 면이 비접착 특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
  11.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폴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폴딩 부재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제3 지지 부재;
    상기 제2 지지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제4 지지 부재;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3 지지 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4 지지 부재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된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폴딩축이 위치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 면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일 면을 동일한 기준면에 위치시키는 평탄화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접착 부재에 의해 고정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는 자기력을 갖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자성체에 붙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평탄화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두께보다 작은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의 평면상 면적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면적의 크기, 두께 및 모듈러스 중 어느 하나에 비례하는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면적의 크기, 두께 및 모듈러스 중 어느 하나에 비례하는 표시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 배치되는 표시 장치.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양면 접착막에 의해 고정 배치되는 표시 장치.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상면의 일부 영역에 높이 보상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높이 보상 필름은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일 면은 비접착 특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
KR1020190092531A 2019-07-30 2019-07-30 표시 장치 KR20210014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31A KR20210014823A (ko) 2019-07-30 2019-07-30 표시 장치
US16/888,206 US11526196B2 (en) 2019-07-30 2020-05-29 Display device
CN202010709775.1A CN112309248A (zh) 2019-07-30 2020-07-2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31A KR20210014823A (ko) 2019-07-30 2019-07-30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823A true KR20210014823A (ko) 2021-02-10

Family

ID=7425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531A KR20210014823A (ko) 2019-07-30 2019-07-3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26196B2 (ko)
KR (1) KR20210014823A (ko)
CN (1) CN1123092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329A1 (ko) * 2021-06-11 2022-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3048B (zh) * 2021-12-22 2023-01-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47B1 (ko) * 2014-03-05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8677B1 (ko) 2014-12-08 2021-05-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장치
KR20160073691A (ko) * 2014-12-17 2016-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TWM513555U (zh) * 2015-08-25 2015-12-01 First Dome Corp 可應用在軟性顯示屏幕之聯結裝置
CN105044957B (zh) * 2015-09-10 2018-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102493527B1 (ko) 2016-07-05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542197B1 (ko) * 2016-10-19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56866B1 (ko) * 2017-04-10 2022-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953864B (zh) 2017-05-23 2021-02-19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承载装置及显示器
KR102344763B1 (ko) * 2017-06-19 2021-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하부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60559B1 (ko) * 2017-07-04 2022-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834793B1 (ko) * 2017-07-28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02183B1 (ko) * 2017-09-29 2022-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453413B1 (ja) * 2017-10-04 2019-01-1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KR102645561B1 (ko) * 2017-12-04 2024-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6772B1 (ko) * 2018-01-09 2023-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009907B2 (en) * 2019-01-18 2021-05-18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er interface selection based on keyboard configuration
CN109859634B (zh) * 2019-03-25 2020-09-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329A1 (ko) * 2021-06-11 2022-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67112A (ko) * 2021-06-11 2022-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26196B2 (en) 2022-12-13
US20210034106A1 (en) 2021-02-04
CN112309248A (zh)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0656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620668B2 (en) Display device
TWI711020B (zh) 顯示元件、顯示模組及其製作方法
US8659503B2 (en) Multi-display apparatus having overlapping display panels
US20100201604A1 (en) Multi-foldable mobile display apparatus
US9575241B2 (en) Tiled display
US10043421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334807B1 (ko) 플렉서블 윈도우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1553613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211424B2 (en)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display panel
KR20180114565A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868273B2 (en) Pressure-sensing stages for lamination systems
US9092196B2 (en) Multi-panel display apparatus
WO2019047591A1 (zh) 可折弯盖板、可折弯显示模组及可折弯终端设备
WO2016033703A1 (zh) 显示模组及具有该显示模组的电子装置
US7768591B2 (en) Display panel module having an adhesive member between a casing and the display panel with a breathing structure having a capillary produced in the adhesive member
KR20210014823A (ko) 표시 장치
KR20210097258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1626565B2 (en) Display device
JP6688376B2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この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子装置
US8466884B2 (en) Touch 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US20240260306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12703546A (zh) 柔性显示屏及其制作方法、柔性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