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054A -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체착용밴드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체착용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054A
KR20210009054A KR1020190085584A KR20190085584A KR20210009054A KR 20210009054 A KR20210009054 A KR 20210009054A KR 1020190085584 A KR1020190085584 A KR 1020190085584A KR 20190085584 A KR20190085584 A KR 20190085584A KR 20210009054 A KR20210009054 A KR 20210009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band
fiber
manufacturing
body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768B1 (ko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이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재 filed Critical 이광재
Priority to KR102019008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7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의 외측으로 구리이온이 중합된 구리중합섬유를 준비하는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Bi, Te, Mo, N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성 물질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구리중합섬유를 직조하여 구리섬유밴드를 제조하는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 상기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구리섬유밴드에 상기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에서 준비된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는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 및 상기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에서 제조된 신체착용밴드를 열압착하는 열압착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체착용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체착용밴드{A manufacturing method of a body wearing band in which far-infrared rays are emitted, and a body wearing band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섬유에 구리이온을 중합한 구리중합섬유를 밴드의 형태로 직조하여 구리섬유밴드를 제조하고, 광물성 물질, 식물성 물질 및 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출도료와 물을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마련하고 이를 구리섬유밴드에 도포함으로써, 구리중합섬유의 구리이온과 원적외선 방출도료가 반응하여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체착용밴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경제적 풍요로움이 더해지면서 삶의 질이 더 향상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경제적인 면과 삶의 질에 있어서는 과거보다 나아지기는 하였지만,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나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건강은 날로 피폐해져 가고 있다는 것도 사실일 것이다.
특히, 사무실의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는 직장인의 경우에는 업무의 성격상 대부분 견비통, 오십견, 요통 등의 질환이 주로 발생하며, 반복된 동작을 많이하는 운전자들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관절 안에 여러 가지 세균이 침입함으로써 일어난 관절의 염증에 의한 관절염 등의 질환이 주로 발생한다.
상기 견비통, 오십견, 요통, 관절염 등의 질환과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기타 각종 질환은 자신의 고충은 물론, 더 나아가 대인관계, 사회생활 및 가정생활에 있어 많은 문제점을 야기 시키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크게 대두 되면서 견비통, 오십견, 요통, 관절염 등의 질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이러한 질환들을 예방하기 위한 약품이나 의료기기 및 각종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약이나 보조제 등이 개발되어 약국 어디에서나 구입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견비통, 오십견, 요통, 관절염 등의 질환에 대한 약품 및 보조제는 다변화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발생·방사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강밴드 제품들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강밴드는 견비통, 오십견, 요통 등의 근육통 부위나 관절염 부위에 간단하게 부착함으로써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작용을 통해 상기한 질환 등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기존의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강밴드는 원적외선의 방사량이 적기 때문에 견비통, 오십견, 요통 등의 근육통이나 관절염의 통증완화 효과가 저하되어 치료효과를 크게 기재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향상된 치료효과를 갖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방법의 필요성이 커지게되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3-0001368호(1994.09.15. 공개),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이 첨가된 의료용 밴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79902호(2003.10.10. 공개), "원적외선 방사용 밴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유에 구리이온을 중합한 구리중합섬유를 밴드의 형태로 직조하여 구리섬유밴드를 제조하고, 광물성 물질, 식물성 물질 및 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출도료와 물을 혼합하여 도료조성물을 마련하고 이를 구리섬유밴드에 도포함으로써, 구리중합섬유의 구리이온과 도료조성물이 반응하여 원적외선 방사량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비통, 오십견, 요통 등의 근육통이나 관절염 등의 환부에 착용하여,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해당 질환의 완화 및 치료효과를 갖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섬유의 외측으로 구리이온이 중합된 구리중합섬유를 준비하는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Bi, Te, Mo, N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성 물질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구리중합섬유를 직조하여 구리섬유밴드를 제조하는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 상기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구리섬유밴드에 상기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에서 준비된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는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 및 상기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에서 제조된 신체착용밴드를 열압착하는 열압착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의 구리이온은 1가 내지 2가 구리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에서 상기 광물성 물질은 10.0 ~ 40.0 중량%, 상기 식물성 물질은 10.0 ~ 40.0 중량%, 상기 금속성 물질은 0.1 ~ 2.0 중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에서 도료조성물의 도포는 스프레이를 통해 30 ~ 40cm의 거리를 두고 90°의 각도를 유지하여 0.2 ~ 0.4 mm 두께를 가지도록 분사하여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은 섬유에 구리이온을 중합한 구리중합섬유를 밴드의 형태로 직조하여 구리섬유밴드를 제조하고, 광물성 물질, 식물성 물질 및 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출도료와 물을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마련하고 이를 구리섬유밴드에 도포함으로써, 구리중합섬유 외면에 결합된 구리이온과 원적외선 방출도료가 반응하여 원적외선의 방사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는 견비통, 오십견, 요통 등의 근육통이나 관절염 등의 환부에 착용하여,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해당 질환의 완화 및 치료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리중합섬유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리섬유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착용밴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신체착용밴드의 A - A' 확대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10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100)의 제조 방법은,
섬유의 외측으로 구리이온이 중합된 구리중합섬유를 준비하는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10.0 ~ 40.0 중량%와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10.0 ~ 40.0 중량% 및 비스무트(Bi), 텔루륨(Te), 몰리브데넘(Mo), 나이오븀(N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성 물질 0.1 ~ 2.0 중량%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구리중합섬유를 직조하여 구리섬유밴드를 제조하는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
상기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구리섬유밴드에 상기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에서 준비된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는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 및,
상기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에서 제조된 신체착용밴드를 열압착하는 열압착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섬유에 구리이온이 중합된 구리중합섬유를 준비하는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11)의 외측으로 구리이온(12)이 중합되어 구리이온(12)이 섬유(11)를 감싼 형태를 갖도록 한 구리중합섬유(10)를 준비한다.
도 1은 구리중합섬유(1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구리중합섬유(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섬유(11)가 위치하며, 상기 섬유의 외측으로 구리이온(12)이 감싼 형태를 갖는다.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 섬유(11)의 재질로는 인견사, 나일론, 아크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는 황화구리(Cu2S, CuS), 산화구리(Cu2O, CuO) 등 1가 또는 2가 구리양이온을 포함하는 구리화합물을 섬유(11)에 중합하고 구리이온(12)을 환원시켜 산화촉진이 되지 않게 한다. 또한, 수소화물(CuH), 탄화물(Cu2C2), 질화물(Cu3N), 페닐 화합물(CuC6H5) 등의 구리 화합물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의 구리이온(12)은 황화구리를 구성하는 구리이온(12)인 것이 가장 적절하나, 기타 구리 화합물로 제조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 구리이온(12)은 전기도금법, 알칼리용법, 산성용법 등의 방법으로 섬유(11)에 중합될 수 있으며, 이 외에의 다양한 방법으로 섬유(11)에 중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의 구리중합섬유(10)는 외면을 구리이온(12)이 둘러싸고 있으며, 구리는 유일한 표면 접촉물질이기 때문에 세균과 접촉한 후 두 시간 안에 발생된 박테리아의 99.9% 이상을 지속적으로 살균하여 제거한다. 이에 따라, 내성균의 억제를 통한 면역력 증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의 구리중합섬유(10)는 도전성이 극히 우수하여 정전기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생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전자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의 구리중합섬유(10)는 구리이온(12)이 섬유(11)의 외측을 감싸도록 중합된 형태의 모든 섬유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에서는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10.0 ~ 40.0 중량%와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10.0 ~ 40.0 중량% 및 Bi, Te, Mo, N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성 물질 0.1 ~ 2.0 중량%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20)을 제조한다.
상기 광물성 물질은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를 혼합한 것을 지칭하며,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가 각각 동일한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광물성 물질은 덩어리 상태의 물질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만든 후 혼합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광물성 물질은 10.0 ~ 40.0 중량% 혼합되는 것이 적절한데, 상기 함량이 10.0 중량% 미만이면 원적외선 방출효과가 미미하며, 40.0 중량% 이상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물질은 느티나무 추출액 및 자작나무 추출액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추출액은 느티나무 및 자작나무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식물성 물질에 포함되는 느티나무 추출액 및 자작나무 추출액은 각각 동일한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이다. 상기 식물성 물질은 10.0 ~ 40.0 중량% 혼합되는 것이 적절한데, 상기 함량이 10.0 중량% 미만이면 원적외선 방출효과가 미미하며, 40.0 중량% 이상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물질은 숙성과정을 거쳐 숙성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성 물질은 비스무트(Bi), 텔루륨(Te), 몰리브데넘(Mo), 나이오븀(N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성 물질을 지칭하며 전체 중량 대비 0.1 ~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원적외선 방출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 이상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금속성 물질은 최대한 입자가 작은 상태로 도료조성물에 혼합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비스무트는 원자번호 83번의 원소로, 원소기호는 Bi이다. 우리말로는 창연(蒼鉛)이라고도 부른다. 주기율표에서는 질소(N), 인(P), 비소(As), 안티모니(Sb)와 함께 15족(5A족, 질소 족)에 속하는 원소이다. 은백색 금속으로, 비교적 무르고 부서지기 쉽다.
상기 텔루륨은 원자번호 52번의 원소로, 원소기호는 Te이다. 주기율표에서 산소(O), 황(S), 셀레늄(Se), 폴로늄(Po)과 함께 16족(VIA족)인 산소족에 속하며, 칼코겐 원소의 하나이고,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성질을 보이는 준금속이다.
상기 몰리브데넘은 원자번호 42번의 원소로, 원소기호는 Mo이다. 주기율표에서는 크로뮴(Cr), 텅스텐(W)과 함께 6족(6B족)에 속하며, 은백색의 광택을 내는 단단한 전이금속이다. 녹는점이 2,617℃로 전체 원소 중에서 6번째로 높다. 화학적으로 크로뮴보다는 텅스텐과 더욱 비슷하다. 화합물에서 가장 높은 산화상태는 +6이며, +6과 +4의 산화상태가 흔하나 산화수가 -2에서 +6 사이에 있는 다른 산화상태의 화합물들도 알려져있다. 실온에서는 산소나 물과 반응하지 않으나, 300℃이상에서는 산소에 의해 산화되기 시작하고, 600℃ 이상에서는 삼산화 몰리브데넘(MoO3)이 된다. 대부분의 산과 알칼리에 잘 녹지 않으나, 뜨거운 진한 황산(H2SO4)과 질산(HNO3)에는 녹는다.
상기 나이오븀은 원자번호 41번의 원소로, 원소기호는 Nb이다. 바나듐(V), 탄탈럼(Ta)과 함께 주기율표에서 5족(5B족)에 속하는 전이금속이다. 순수한 금속은 회색이나, 공기 중에 장시간 노출되면 표면이 산화되어 푸른색을 띤다. 순수한 금속은 무르고 연성(잡아 늘이기 쉬운 성질)이 있으나, 불순물이 들어가면 단단해 진다. 원소 상태에서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초전도체 현상을 보이는 것 중에서는 임계온도가 9.2K로 가장 높으며, 자기장이 투과하는 깊이가 가장 길다. 원자 및 이온의 크기와 화학적 성질들이 탄탈럼과 아주 비슷하다. 고온이 아니면 산소나 다른 반응성이 큰 원소들과도 반응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화학물질에 의해서도 잘 부식되지 않는다. 강산에도 온도와 농도가 높은 경우에만 녹는다. 화합물에서 주된 산화상태는 +5와 +3이다.
상기 광물성 물질, 식물성 물질, 금속성 물질을 혼합하고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면, 본 발명의 도료조성물(20)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에서는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구리중합섬유(10)를 직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섬유밴드(100a)를 제조한다.
도 2는 구리섬유밴드(100a)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20)에서는 구리중합섬유(1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형태로 직조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구리섬유밴드(100a)는 도료조성물(20)이 충분히 도포될 수 있도록 올과 올 사이가 이격되어 각 구리중합섬유(10) 사이에 빈 공간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구리섬유밴드(100a)는 2겹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구리섬유밴드(100a)가 2겹으로 제조되면 각 면과 면의 사이의 공간에도 도료조성물(20)이 스며들게 되어 더욱 다양한 원적외선 방출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리섬유밴드(100a)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재단되어 준비되며, 가장 적절하게는 직사각형 형태로 재단되는 것이 적절하나, 본 발명이 구리섬유밴드(100a)의 형태를 딱히 한정하는 것을 아니다.
상기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에서는 상기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구리섬유밴드(100a)에 상기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30)에서 준비된 도료조성물(20)을 도포하여,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체착용밴드(100)를 제조한다.
도 3은 신체착용밴드(10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신체착용밴드(100)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료조성물(20)을 도포하는데 있어서 분사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이는 스프레이를 통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는 30 ~ 40cm의 거리를 두고 90°의 각도를 유지하여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되는 도료조성물(20)은 구리섬유밴드(100a)의 표면에 0.2 ~ 0.4 mm 두께를 가지도록 얇게 도포되는 것이 적절한데 두께가 얇을수록 구리이온(12)의 원적외선이 신체에 흡수되는 양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두께가 0.2mm 미만이면 도료조성물(20)이 도포되는 두께가 너무 얇아 구리이온(12)이 외부로 드러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두께가 0.4mm를 초과하면 구리이온(12)이 방출하는 원적외선의 효과가 신체로 전달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에서의 도료조성물(20)은 70 ~ 80℃의 가열된 상태로 분사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도료조성물(20)이 구리섬유밴드(100a)의 외면에 중합된 구리이온(12)과 반응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완성된 신체착용밴드(100)의 원적외선 방출량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열압착 단계(S50)에서는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에서 제조된 신체착용밴드(100)를 열압착하여 도료조성물(20)이 골고루 코팅되도록 한다.
상기 열압착은 열압착기구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적절하게는 다리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료조성물(20)은 고온 가열되면서 구리섬유밴드(100a)의 외면에 중합된 구리이온(12)과 반응하게 되고 이를 통해 완성된 신체착용밴드(100)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열압착의 온도는 100 ~ 24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적절하며, 코팅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180 ~ 240℃의 온도가 가장 적절할 것이다.
상기 열압착은 열압착기구를 10 ~ 25 yd/min의 속도로 이송하면서 열압착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의 속도는 도료조성물(20)이 타버리거나 늘어붙지 않으면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최적의 속도이다.
상기 열압착기구를 신체착용밴드에 180 ~ 240℃의 온도로 10 ~ 25 yd/min의 속도로 이송함으로써 본 발명의 신체착용밴드는 원적외선 방사율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착용밴드(100)의 원적외선은, 구리이온(12)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 구리이온(12)과 도료조성물(20)이 반응한 반응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 도료조성물(20)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 등 총 3가지 원적외선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원적외선의 방출 차이로부터 신체에 원적외선을 다양하게 투사하는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견비통, 오십견, 요통, 관절염의 질환에 효율적인 증상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원적외선이 닿는 부위는 상기 원적외선의 온열작용을 통해 환부의 고통이 줄어들고,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환부에 혈류가 돌게 되며, 이를 통해 치료 효과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신체착용밴드(100)의 양 끝은 서로 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부재(101)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부착부재(101)는 밸크로, 단추, 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1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금속성 물질로 비스무트를 포함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신체착용밴드의 원적외선 방출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제조과정을 거쳐 실시예 1의 금속성 물질로 비스무트를 포함하는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 : 섬유의 외측으로 구리이온이 중합된 구리중합섬유를 준비하였다.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 :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30.0 중량%,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30.0 중량%, 비스무트 1.0 중량%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 :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구리중합섬유를 직조하여 구리섬유밴드를 제조하였다.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 : 상기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구리섬유밴드에 상기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에서 준비된 도료조성물을 스프레이를 통해 35cm의 거리를 두고 90°의 각도를 유지하며 0.3 mm 두께를 가지도록 분사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열압착 단계(S50) : 상기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에서 제조된 신체착용밴드를 190℃의 열압착기구로 20 yd/min의 속도로 이송하면서 열압착하였다.
실시예 2. 금속성 물질로 텔루륨을 포함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되,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의 도료조성물을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30.0 중량%,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30.0 중량%, 텔루륨 1.0 중량%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나머지 과정을 진행하여 실시예 2의 금속성 물질로 텔루륨을 포함하는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금속성 물질로 몰리브데넘을 포함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되,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의 도료조성물을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30.0 중량%,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30.0 중량%, 몰리브데넘 1.0 중량%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나머지 과정을 진행하여 실시예 3의 금속성 물질로 몰리브데넘을 포함하는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금속성 물질로 나이오븀을 포함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되,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의 도료조성물을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30.0 중량%,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30.0 중량%, 나이오븀 1.0 중량%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나머지 과정을 진행하여 실시예 4의 금속성 물질로 나이오븀을 포함하는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금속성 물질이 배제된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되,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의 도료조성물을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30.0 중량%,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30.0 중량%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나머지 과정을 진행하여 비교예 1의 금속성 물질이 배제된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광물성 물질이 배제된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되,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의 도료조성물을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30.0 중량%, 비스무트 1.0 중량%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나머지 과정을 진행하여 비교예 2의 금속성 물질이 배제된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식물성 물질이 배제된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되,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의 도료조성물을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30.0 중량%, 비스무트 1.0 중량%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나머지 과정을 진행하여 비교예 3의 식물성 물질이 배제된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도료조성물 전체가 배제된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을 거쳐 비교예 4의 도료조성물 전체가 배제된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 : 섬유의 외측으로 구리이온이 중합된 구리중합섬유를 준비하였다.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20) :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구리중합섬유를 직조하여 구리섬유밴드를 제조하였다.
열압착 단계(S30) : 상기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20)에서 제조된 구리섬유밴드를 열압착하였다.
비교예 5. 나일론 밴드에 도료조성물을 도포한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구리섬유가 아닌 일반 나일론섬유에 도료조성물이 도포된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하기의 제조과정을 이루어졌다.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10) :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30.0 중량%,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30.0 중량%, 비스무트 1.0 중량%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20) : 나일론섬유로 제조된 일반 밴드에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도료조성물을 스프레이를 통해 35cm의 거리를 두고 90°의 각도를 유지하며 0.3 mm 두께를 가지도록 분사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열압착 단계(S30) : 상기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20)에서 제조된 신체착용밴드를 190℃의 열압착기구로 20 yd/min의 속도로 이송하면서 열압착하였다.
비교예 6. 열압착 단계를 생략한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되,
열압착 단계(S50)를 생략하여, 비교예 5의 열압착 단계를 생략한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원적외선 방사율 비교 실험
실시예 1 내지 4의 신체착용밴드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신체착용밴드의 원적외선 방출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밴드를 순차적으로 측정대에 거치하고, 원적외선의 방사율을 측정하여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원적외선의 방출량은 KICM-FIR-1005 방법으로 분석한 것으로, 40 ℃에서 FT-IR Spectrometer를 이용한 흑체(BLACK BODY) 대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원적외선 방사율(5 ~ 20㎛)
실시예 1 0.892
실시예 2 0.884
실시예 3 0.862
실시예 4 0.878
비교예 1 0.428
비교예 2 0.442
비교예 3 0.440
비교예 4 0.348
비교예 5 0.359
비교예 6 0.726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신체착용밴드는 0.862 ~ 0.892의 높은 방사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1의 금속성 물질이 배제된 신체착용밴드는 0.428, 비교예 2의 광물성 물질이 배제된 신체착용밴드는 0.442, 비교예3의 식물성 물질이 배제된 신체착용밴드는 0.440의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의 도료조성물 전체가 배제된 신체착용밴드, 즉, 구리섬유밴드는 0.348의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무런 도료조성물이 접해지지 않은 구리섬유밴드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극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구리섬유밴드와 도료조성물의 결합을 통해 예측할 수 없었던 효과가 나타났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의 도료조성물 전체가 배제된 신체착용밴드가 갖는 원적외선 방사율은 0.348이고, 비교예 5의 나일론 밴드에 도료조성물을 도포한 신체착용밴드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0.359으로 나타나, 이 둘의 합산량이 실시예 1 내지 4의 원적에선 방사율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구리이온과 도료조성물의 결합을 통해 예측할 수 없었던 효과가 나타났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5의 열압착 단계를 생략한 신체착용밴드는 모든 도료조성물이 포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 내지 4의 도료조성물보다 방사율이 다소 낮은 0.726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마지막 단계인 열압착 단계(S50)로부터 도료조성물과 구리이온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예측할 수 없었던 효과가 발생하여 원적외선 방사율이 증대됨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는 열압착기구를 신체착용밴드에 180 ~ 240℃의 온도로 10 ~ 25 yd/min의 속도로 이송함으로써 발생한 효과일 것이다.
실험예 2. 분사각도 및 거리에 따른 신체착용밴드 평가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되,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에서 스프레이의 분사거리와 분사각도를 각각 달리하여 비교예 7 내지 18의 분사거리 및 분사각도를 달리한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 1과 비교하였으며, 실시예 1 및 비교예 7 내지 18의 상세한 스프레이 분사거리, 분사각도 및 이에 대한 평가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분사거리
(cm)
분사각도
(°)
도료조성물의 평균 두께(mm) 도료조성물의 분포도
실시예 1 35cm 90° 0.31mm 균일
비교예 7 10cm 45° 0.43mm 불균일
비교예 8 10cm 60° 0.44mm 불균일
비교예 9 10cm 90° 0.42mm 균일
비교예 10 30cm 45° 0.39mm 불균일
비교예 11 30cm 60° 0.38mm 불균일
비교예 12 30cm 90° 0.37mm 균일
비교예 13 40cm 45° 0.22mm 불균일
비교예 14 40cm 60° 0.22mm 불균일
비교예 15 40cm 90° 0.23mm 균일
비교예 16 50cm 45° 0.13mm 불균일
비교예 17 50cm 60° 0.14mm 불균일
비교예 18 50cm 90° 0.12mm 균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사거리는 30 내지 40cm일 때 두께가 0.2 ~ 0.4mm 사이로 나타나 원적외선 방출에 적당한 두께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사각도가 90°일 때 도료조성물이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상기 실험예 1 내지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제조과정을 거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량에 차이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높은 원적외선 방사량을 갖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인 열압착을 통해 원적외선 방사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고열에 의한 예측할 수 없는 효과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인 분사거리와 분사각도의 조절을 통하여 신체착용밴드에 도포되는 도료조성물이 원적외선 방출에 이상적인 두께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구리섬유밴드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도료조성물이 도포된 신체착용밴드의 방사율 차이를 통해 구리이온과 도료조성물의 결합을 통해 예측할 수 없었던 효과가 나타났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구리중합섬유의 구리이온과 원적외선 방출도료가 반응하여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체착용밴드를 발명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 : 구리중합섬유 11 : 섬유
12 : 구리이온 20 : 도료조성물
100a : 구리섬유밴드 100 : 신체착용밴드
101 : 부착부재

Claims (5)

  1. 섬유의 외측으로 구리이온이 중합된 구리중합섬유를 준비하는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
    토르마린, 맥반석 및 황토로 구성된 광물성 물질, 느티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수액을 혼합한 식물성 물질, Bi, Te, Mo, N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성 물질 및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구리중합섬유를 직조하여 구리섬유밴드를 제조하는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
    상기 구리섬유밴드 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구리섬유밴드에 상기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에서 준비된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신체착용밴드를 제조하는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 및
    상기 신체착용밴드 제조단계(S40)에서 제조된 신체착용밴드를 열압착하는 열압착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중합섬유 준비단계(S10)의 구리이온은 1가 내지 2가 구리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조성물 준비단계(S20)에서 상기 광물성 물질은 10.0 ~ 40.0 중량%, 상기 식물성 물질은 10.0 ~ 40.0 중량%, 상기 금속성 물질은 0.1 ~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압착 단계(S50)에서는 열압착기구를 신체착용밴드에 180 ~ 240℃의 온도로 10 ~ 25 yd/min의 속도로 이송하면서 열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
KR1020190085584A 2019-07-16 2019-07-16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체착용밴드 KR10222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84A KR102222768B1 (ko) 2019-07-16 2019-07-16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체착용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84A KR102222768B1 (ko) 2019-07-16 2019-07-16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체착용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54A true KR20210009054A (ko) 2021-01-26
KR102222768B1 KR102222768B1 (ko) 2021-03-17

Family

ID=7431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584A KR102222768B1 (ko) 2019-07-16 2019-07-16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체착용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7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368U (ko) 1991-06-27 1993-01-21 최지애 가야금
KR20030079902A (ko) 2003-09-25 2003-10-10 전창진 원적외선 방사용 밴드
KR20060121398A (ko) * 2005-05-24 2006-11-29 김영극 참 옻 진액이 혼합된 세라믹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및 그 제조방법
KR100822719B1 (ko) * 2007-05-09 2008-04-17 권태문 원적외선 방사 섬유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의복
KR101580121B1 (ko) * 2015-03-27 2015-12-28 이규상 기능성 황화구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섬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368U (ko) 1991-06-27 1993-01-21 최지애 가야금
KR20030079902A (ko) 2003-09-25 2003-10-10 전창진 원적외선 방사용 밴드
KR20060121398A (ko) * 2005-05-24 2006-11-29 김영극 참 옻 진액이 혼합된 세라믹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및 그 제조방법
KR100822719B1 (ko) * 2007-05-09 2008-04-17 권태문 원적외선 방사 섬유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의복
KR101580121B1 (ko) * 2015-03-27 2015-12-28 이규상 기능성 황화구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768B1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77390B (zh) 一种金属陶瓷及其制备方法
CN102260832A (zh) 抗菌不锈钢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KR20000038422A (ko) 다목적 기능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 소재 조성물
KR101709079B1 (ko) 항균성 발열 보온 부직포를 사용한 다층구조의 원단
KR102222768B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신체착용밴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체착용밴드
EP2870269B1 (en) Method for Producing Long-Lasting Antibacterial Metallic Surfaces
CN105821247B (zh) 一种直接用于3D打印的高强度低模量β钛合金原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26838A (ko) 항균 유리 조성물 및 항균 유리의 제조방법
KR101845874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실리콘 팔찌
KR20210144025A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
KR20020097322A (ko) 바이오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CN112155410B (zh) 一种激光熔覆抗菌抗病毒保健锅及其制备方法
CN115135615B (zh) 抗菌玻璃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200407923Y1 (ko) 은 나노가 함유된 마우스 피스
Duncan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upon the hardness and abrasion resistance of EN coatings
TW200831735A (en) Surface-modified yard including several inorganic material components
sadiq Khasro et al. Enhancement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Face Mask with Gold Nanoparticles
JPH0685787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
JP2836020B2 (ja) 抗菌性、脱臭性、防カビ性および防虫性を有すると共に、遠赤外線放射特性を有する複合レーヨンと絹繊維とを混紡または交撚して紡糸する加工糸の製造方法
KR101880511B1 (ko) 희토류 원소 함유 기능성 장신구
KR20030010820A (ko) 바이오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세라믹 볼
KR20090016267A (ko) 항균성 코팅제 조성물 및 항균성 코팅제 조성물을 이용한코팅방법
KR20030011454A (ko) 다기능 바이오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제조된다기능 바이오 세라믹볼
KR20110049354A (ko) 다이어트 복대
KR20230119066A (ko) 온열챔버용 근적외선 투과 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