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670A - 진공 조리기용 용기 - Google Patents

진공 조리기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670A
KR20210004670A KR1020190081451A KR20190081451A KR20210004670A KR 20210004670 A KR20210004670 A KR 20210004670A KR 1020190081451 A KR1020190081451 A KR 1020190081451A KR 20190081451 A KR20190081451 A KR 20190081451A KR 20210004670 A KR20210004670 A KR 20210004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container
pressure balance
balan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286B1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9008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286B1/ko
Priority to PCT/KR2019/016682 priority patent/WO2021006434A1/ko
Publication of KR20210004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A47J41/02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made of glass
    • A47J41/026Protective elements therefor, e.g. liner, support or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조리기용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조 및 상기 수용조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조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조의 외부가 연통하도록 측벽을 관통하는 압력 평형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압력 평형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조리기용 용기{Container for vacuum food processor}
본 발명은 진공 조리기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를 대기압 보다 낮은 음압 상태로 형성하고 조리하는 진공 조리기에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에 분쇄, 혼합, 착즙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식품 조리기가 존재한다.
식품 조리기는 일반적으로 가공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용기에 넣은 후에 가공 부재(블레이드, 스크류 등)를 이용해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한다.
최근에는 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내부를 음압 환경이 되도록 진공 배기한 후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하는 조리기들이 등장했다.
진공 조리기에 사용되는 용기는 용기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용기와 커버 사이의 밀폐력이 우수해야 한다. 따라서, 커버에서 용기 내로 삽입되는 부분의 외측면에 실링 부재를 구비하여 커버의 하부가 용기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 하부의 외측면과 용기의 내측면 사이에서 실링 부재가 가압되어 밀폐력이 유지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실링 부재로 인해 사용자가 커버를 용기에 장착하거나, 커버를 용기로부터 분리할 때 상당한 힘이 요구되었다.
또한, 커버를 용기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용기 내부의 음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가 커버 측에 구비된 체크 밸브를 조작하여 음압 상태를 해제한 후, 커버를 분리하여야 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5152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버의 분리가 용이하고, 커버의 분리 동작과 함께 용기 내부의 음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진공 조리기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조리기용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조 및 상기 수용조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조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조의 외부가 연통하도록 측벽을 관통하는 압력 평형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압력 평형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커버의 상면부 및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과,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암의 일측에 형성되는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조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단과 결합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로 상기 수용조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단은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가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밀폐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단의 하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암은 상기 밀폐부를 지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가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암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밀폐부는 상기 압력 평형홀을 개방하고, 상기 밀폐부와 상기 지지단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수용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조리기용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조 및 상기 수용조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 내의 기체가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허용하고 외부의 기체가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커버의 외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압력 평형홀 및 상기 압력 평형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커버의 상면부 및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과,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암의 일측에 형성되는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조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암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단과 결합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로 상기 수용조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단은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단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가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단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단의 하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암은 상기 결합단을 지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가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암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밀폐부는 상기 압력 평형홀을 개방하고, 상기 결합단과 상기 지지단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수용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커버의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커버의 분리 동작과 함께 용기 내부의 음압 상태가 해제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수용조와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수용조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조와 커버의 결합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압력 평형홀이 개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수용조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조와 커버의 결합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압력 평형홀이 개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조리기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수용조와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수용조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조와 커버의 결합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압력 평형홀이 개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110)는 커버(20)와 수용조(30)를 포함한다.
수용조(30)는 수용 공간(32)을 형성하는 바닥과 측벽(33)을 포함한다. 측벽(33)의 상단에는 개구부(31)가 형성되어 개구부(31)를 통해 식재료가 투입되도록 하고, 투입된 식재료는 수용 공간(32) 내에 수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용조(30)는 블레이드와 같은 가공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33)의 상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단(35)이 구비된다. 지지단(35)은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35a)를 포함한다.
한편, 커버(20)는 상면부(21)와 측면부(22)를 포함한다.
측면부(22)는 상면부(2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22)의 일부는 수용조(30)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조(30)의 측벽(33)과 접하여 개구부(31)를 폐쇄한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21)의 중앙부에는 체크 밸브 설치홈(23)이 형성된다. 체크 밸브(24)는 체크 밸브 설치홈(23)의 바닥면(23a)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크 밸브(24)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삽입축(24a)이 바닥면(23a)에 형성된 배기홀(미부호)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삽입축(24a)은 배기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삽입축(24a)의 길이는 바닥면(23a)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고, 삽입축(24a)의 하단에는 배기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24b)가 구비되어, 체크 밸브(24)가 승강하며 배기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체크 밸브 설치홈(23)을 중심으로 커버(20)의 상면부(21)에 밀착되는 별도의 흡입 포트(미도시)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면, 체크 밸브(24)가 상승하여 배기홀이 개방되고, 배기홀을 통해 수용 공간(32) 내의 기체가 용기(110)의 외부로 배기된다.
이후, 흡입 포트가 제거되거나 음압 제공이 중단되면, 체크 밸브(24)는 커버(20)의 외측과 수용 공간(32)의 압력 차에 의해 하강하여 배기홀을 폐쇄하여 외부 공기가 배기홀을 통해 수용 공간(3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는 측면부(2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압력 평형홀(22a)과 압력 평형홀(22a)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25)를 포함한다.
개폐부(25)는 커버(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암(25e), 밀폐부(25a), 결합단(25b) 및 손잡이부(25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부(25)가 측면부(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을 일례로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개폐부(25)는 커버(20)의 상면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밀폐부(25a)는 암(25e)의 일측에 형성되어, 암(25e)의 회동에 따라 압력 평형홀(22a)을 폐쇄하거나(도 3 참고), 개방한다(도 4 참고).
압력 평형홀(22a)에 대한 밀폐력 향상을 위해 밀폐부(25a)의 단부에는 실링 부재(25f)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 평형홀(22a)의 일측에는 실링 부재(25f)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실링 부재 수용홈(22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25a)는 암(25e)의 회동축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단(25b)은 암(25e)의 타측에 형성된다. 결합단(25b)은 수용조(30)의 지지단(35)과 결합하여 커버(20)가 개구부(31)를 폐쇄한 상태로 수용조(30)에 고정되도록 한다(도 3 참고). 결합단(25b)은 상면이 지지단(35)의 하면에 접하도록 지지단(35)과 결합할 수 있다.
결합단(25b)의 상면에는 돌기 수용홈(25d)이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단(25b)의 상면이 지지단(35)의 하면에 접한 상태에서 돌기 수용홈(25d)은 지지단(35)의 돌기(35a)를 수용하여, 결합단(25b)과 지지단(35)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지지단(35)에 돌기(35a)가 형성되고 결합단(25b)에 돌기 수용홈(25d)이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지지단(35)에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고 결합단(25b)에 돌기가 형성되더라도 동일한 작용이 가능하다.
손잡이부(25c)는 결합단(25b)을 지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손잡이부(25c)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벽(33)과 손잡이부(25c) 사이로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22)는 수용조(3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과 수용조(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 간에 단차를 형성하고, 측벽(33)의 상단에 안착되는 단차 부분에는 밀폐력 향상을 위한 실링 부재(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가 수용조(30)의 개구부(31)를 밀폐한 상태로 결합단(25b)이 지지단(35)과 결합하여 커버(20)가 수용조(30)에 고정되면, 밀폐부(25a)가 압력 평형홀(22a)을 폐쇄한 상태가 유지된다.
압력 평형홀(22a)이 폐쇄된 상태이므로, 수용 공간(32)의 내부가 커버(20)의 배기홀을 통해 진공 배기되는 중에 압력 평형홀(22a)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없고, 수용 공간(32)의 내부가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분위기인 음압 상태에서 체크 밸브(24)가 배기홀을 폐쇄하면 압력 평형홀(22a)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없으므로 수용 공간(32) 내부가 음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20)를 수용조(30)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해 손잡이부(25c)를 외측 상방으로 당겨 암(25e)을 회전시키고 결합단(25b)과 지지단(35)의 결합을 해제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밀폐부(25a)가 압력 평형홀(22a)을 개방하게 된다.
압력 평형홀(22a)이 개방되면 수용 공간(32)의 내부와 용기(110) 외부의 압력 차에 의해 외부 공기가 압력 평형홀(22a)을 통해 수용 공간(32)의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110) 내외의 압력차가 해소되고, 사용자는 손잡이부(25c)를 상방으로 당겨 커버(20)를 수용조(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110)는 수용 공간(32)이 음압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커버(20)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체크 밸브(24)를 조작할 필요없이, 커버(20)의 분리하기 위해 손잡이부(25c)를 잡아 당기는 동작만으로 용기(1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해소되므로 커버(20)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110)는 커버(20)와 수용조(30) 사이의 밀폐력 향상을 위해 커버(20)의 측면부(22) 중 수용조(30)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외측면에 실링 부재를 구비하지 않더라고 커버(20)와 수용조(30) 사이의 밀폐가 유지된다. 따라서, 커버의 측면부 중 수용조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실링 부재가 구비되는 용기에 비해,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커버(20)를 수용조(30)에 결합/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수용조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조와 커버의 결합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압력 평형홀이 개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210) 역시 커버(220)와 수용조(2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210)는 압력 평형홀(233a)이 수용조(230)의 측벽(233)에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평형홀(233a)은 지지단(35)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220)는 압력 평형홀(233a)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225)를 포함하며, 개폐부(225)는 암(225e), 밀폐부(225a) 및 손잡이부(25c)를 포함한다.
암(225e)은 커버(220)의 측면부(22)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암(225e)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20)에 대해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커버(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밀폐부(225a)는 암(225e)의 일측에 형성되어, 암(225e)의 회동에 따라 압력 평형홀(233a)을 폐쇄하거나(도 6 참고), 개방한다(도 7 참고).
압력 평형홀(233a)에 대한 밀폐력 향상을 위해 밀폐부(225a)의 단부에는 실링 부재(225f)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 평형홀(233a)의 일측에는 실링 부재(225f)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실링 부재 수용홈(235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부(225a)가 지지단(35)과 결합하여 커버(220)가 개구부(31)를 폐쇄한 상태로 수용조(230)에 고정되도록 한다(도 6 참고). 밀폐부(225a)는 상면이 지지단(35)의 하면에 접하도록 지지단(35)과 결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225a)의 상면에는 돌기 수용홈(225d)이 형성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225a)의 상면이 지지단(35)의 하면에 접한 상태에서 돌기 수용홈(225d)은 지지단(35)의 돌기(35a)를 수용하여, 밀폐부(225a)와 지지단(35)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지지단(35)에 돌기(35a)가 형성되고 밀폐부(225a)에 돌기 수용홈(225d)이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지지단(35)에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고 밀폐부(225a)에 돌기가 형성되더라도 동일한 작용이 가능하다.
손잡이부(25c)는 밀폐부(225a)를 지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손잡이부(25c)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벽(233)과 손잡이부(25c) 사이로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20)가 수용조(230)의 개구부(31)를 밀폐한 상태로 밀폐부(225a)가 지지단(35)과 결합하여 커버(220)가 수용조(230)에 고정되면, 밀폐부(225a)가 압력 평형홀(233a)을 폐쇄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수용 공간(32) 내부의 기체가 커버(220)의 배기홀을 통해 배기된 후, 체크 밸브(24)가 배기홀을 폐쇄하면 수용 공간(32)이 음압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220)를 수용조(230)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해 손잡이부(25c)를 외측 상방으로 당겨 암(225e)을 회전시키고 밀폐부(225a) 지지단(35)의 결합을 해제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밀폐부(225a)가 압력 평형홀(233a)을 개방하게 된다.
압력 평형홀(233a)이 개방되면 수용 공간(32)의 내부와 용기(210) 외부의 압력 차에 의해 외부 공기가 압력 평형홀(233a)을 통해 수용 공간(32)의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210) 내외의 압력차가 해소되고, 사용자는 손잡이부(25c)를 상방으로 당겨 커버(220)를 수용조(2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25c)를 상방으로 당기는 커버(220)의 분리 동작만으로도 용기(2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평형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빠르고 간편하게 커버(220)를 분리할 수 있다.
그 밖의 효과들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110)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210: 용기 20, 220: 커버
21: 상면부 22: 측면부
22a, 233a: 압력 평형홀 25, 225: 개폐부
25a, 225a: 밀폐부 25b: 결합단
25c: 손잡이부 25d, 225d: 돌기 수용홈
25e, 225e: 암 24: 체크 밸브
30, 230: 수용조 31: 개구부
32: 수용 공간 33, 233: 측벽
35: 지지단 35a: 돌기

Claims (10)

  1.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조 및
    상기 수용조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조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조의 외부가 연통하도록 측벽을 관통하는 압력 평형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압력 평형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진공 조리기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커버의 상면부 및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과,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암의 일측에 형성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진공 조리기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단과 결합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로 상기 수용조에 고정되도록 하는, 진공 조리기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가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밀폐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단의 하면에 접하는, 진공 조리기용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밀폐부를 지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가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암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밀폐부는 상기 압력 평형홀을 개방하고, 상기 밀폐부와 상기 지지단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수용조로부터 분리되는, 진공 조리기용 용기.
  6.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조 및
    상기 수용조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 내의 기체가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허용하고 외부의 기체가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커버의 외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압력 평형홀 및
    상기 압력 평형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진공 조리기용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커버의 상면부 및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과,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암의 일측에 형성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진공 조리기용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암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단과 결합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로 상기 수용조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단이 형성된, 진공 조리기용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단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가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단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단의 하면에 접하는, 진공 조리기용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결합단을 지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가 상기 압력 평형홀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암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밀폐부는 상기 압력 평형홀을 개방하고, 상기 결합단과 상기 지지단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수용조로부터 분리되는, 진공 조리기용 용기.
KR1020190081451A 2019-07-05 2019-07-05 진공 조리기용 용기 KR102287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51A KR102287286B1 (ko) 2019-07-05 2019-07-05 진공 조리기용 용기
PCT/KR2019/016682 WO2021006434A1 (ko) 2019-07-05 2019-11-29 진공 조리기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51A KR102287286B1 (ko) 2019-07-05 2019-07-05 진공 조리기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670A true KR20210004670A (ko) 2021-01-13
KR102287286B1 KR102287286B1 (ko) 2021-08-09

Family

ID=7411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51A KR102287286B1 (ko) 2019-07-05 2019-07-05 진공 조리기용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7286B1 (ko)
WO (1) WO20210064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239A1 (ko) * 2021-06-30 2023-01-05 비엘티 주식회사 용기의 진공 형성용 밀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091B1 (ko) * 2011-09-08 2013-08-01 정진옥 식품보존용 밀폐용기
KR101348305B1 (ko) * 2012-01-20 2014-01-08 구홍식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101851526B1 (ko) 2017-01-23 2018-06-0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블렌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58501Y (zh) * 2008-01-11 2008-12-03 徐爱卿 密封容器
KR101652409B1 (ko) * 2015-04-03 2016-08-31 (주)포에스텍 이중덮개형 진공 밀폐용기
KR101953326B1 (ko) * 2018-10-22 2019-02-28 서우석 진공용 밀폐 패킹을 이용한 진공용 밀폐 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091B1 (ko) * 2011-09-08 2013-08-01 정진옥 식품보존용 밀폐용기
KR101348305B1 (ko) * 2012-01-20 2014-01-08 구홍식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101851526B1 (ko) 2017-01-23 2018-06-0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블렌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239A1 (ko) * 2021-06-30 2023-01-05 비엘티 주식회사 용기의 진공 형성용 밀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6434A1 (ko) 2021-01-14
KR102287286B1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146B2 (en) Blender
US11589705B2 (en) Foreign substance trap device and cooking device using same
KR101237429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102453176B1 (ko) 조리기
CN106377181A (zh) 搅拌机
WO2008154774A1 (fr) Capuchon de scellement
KR20210004670A (ko) 진공 조리기용 용기
JP6656847B2 (ja) 真空包装機
JP2020179144A (ja) 調理装置
KR101873900B1 (ko) 블렌더
KR20060116628A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용 밀폐용기
KR101372306B1 (ko) 진공 포장용기용 진공밸브장치
KR101504071B1 (ko) 가스배출수단이 형성된 액체용기용 용기마개
JP4997260B2 (ja) 高圧蒸気滅菌器
AU2018100064B4 (en) Blender
KR102076470B1 (ko) 블렌더 용기
KR102257104B1 (ko) 조리기
KR102287285B1 (ko) 조리기 뚜껑
KR101496238B1 (ko)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JP2018075401A (ja) フードミル
US11576529B2 (en) Container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2636748B1 (ko) 조리기
CN112638217A (zh) 具有防振密封的搅拌器***
CN208822543U (zh) 一种料理机
WO2018157537A1 (zh) 真空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