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550A - A 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550A
KR20210004550A KR1020190081147A KR20190081147A KR20210004550A KR 20210004550 A KR20210004550 A KR 20210004550A KR 1020190081147 A KR1020190081147 A KR 1020190081147A KR 20190081147 A KR20190081147 A KR 20190081147A KR 20210004550 A KR20210004550 A KR 20210004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exchanger
total heat
filte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신휘
송용민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550A/en
Publication of KR20210004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5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ntilation device comprises: a total heat exchanger; a filter installed in lower portion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 air supply assembly providing blowing force to allow outdoor air sucked from an outdoor air inlet to pass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to discharge the outdoor air through an outdoor air outlet; an exhaust assembly providing the blowing force to allow indoor air sucked from an indoor air inlet to pass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hrough an indoor air outlet; and a sensor installed in at least one between the air supply assembly and the exhaust assembly. The ventilation device allows a user to easily determin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Description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 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폐쇄된 공간의 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이산화탄소로 변함과 동시에 오염되어 생명체의 호흡을 저해하게 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된 곳은 환기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환기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air in a closed space gradually changes to carbon dioxide over time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polluted, inhibiting the respiration of living things. Therefore, ventilation should be provided for places where many people stay in a confined space, such as an office or a vehicle. In this case, a ventilation device can be used in general.

상기 환기장치는 실내 온도를 유지하면서 외부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고,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may be provided to supply the outside air to the room while maintaining the room temperature and to exhaust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상기 환기장치의 일 측면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와 실내공기를 배기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기장치의 타 측면에는, 흡입된 외부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수 있는 배출구와 실내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In one 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an inlet port for inhaling external air and an outlet port for exhausting indoor air may be formed. In addi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an outlet through which sucked external air can be supplied into the room and an inlet through which indoor air can be sucked may be formed.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온도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환기장치는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전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열교환기는 환기장치의 내부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Air sucked from the outside and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may have a temperature difference. Using this, the ventilation device may include a total heat exchanger that performs heat exchange between air sucked from the outside and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The total heat exchanger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ventilation device.

상기 전열교환기는, 통상적으로 온도 차이가 있는 두 공기(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 및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서로 다른 유로로 유동하게 함으로써 전열교환 원리를 따라 열교환시킬 수 있다.The total heat exchanger may perform heat exchange according to a total heat exchange principle by allowing two air (air sucked from the outside and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to flow through different flow paths.

이러한 전열교환기의 양측에는 필터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유동하는 공기 중에 섞여있는 이물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는 프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Filters may be installed detachably on both sides of the total heat exchanger. The filter may perform a function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flowing air. For example, the filter may include a pre-filter.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KR10-2008-0079054 A (“전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가 있다.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is is KR10-2008-0079054 A (“Total heat exchang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한편, 환기장치의 운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필터에는 이물이 퇴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퇴적된 이물의 양이 많아지면 필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즉, 필터 막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필터 막힘 현상은, 환기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효율을 저하시키므로 환기장치의 환기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Meanwhile, as the operation time of the ventilation device elapses, foreign matter may accumulate in the filter. 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the deposited foreign matter increases,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may decrease. That is, filter clogging may occur. The filter clogging phenomenon decreases the flow efficiency of air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apparatu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apparatus.

따라서, 환기장치의 최적의 환기 효율을 위하여, 사용자는 필터에 이물이 일정 수준만큼 퇴적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필터를 청소 또는 교체해 주어야 한다. Therefore, for optimal ventilation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device, the user must clean or replace the fil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foreign matter has accumulated on the filter by a certain level.

그러나 상기 필터는 환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사용자는 육안으로 필터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필터의 상태 또는 수명을 판단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However, since the filter is installed inside the ventilation device, the user cannot easily check the condition of the filter with the naked ey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r life of the filt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 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필터의 교체 시점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by which a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n a filter is replac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 교체 시점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 filter replacement poi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에 퇴적된 먼지양을 판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센서가 공기 유로 관점에서 최적의 위치에 설치되는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 sensor provid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dust deposited on a filter is installed at an optimum position in terms of an air flow pa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외기흡입구와 실내공기 배출구; 상기 케이스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외기배출구와 실내공기 흡입구;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실내공기와 외기가 내부 열교환하는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외기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외기를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 하부를 통과시켜 상기 외기배출구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급기 조립체;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하부를 통과시켜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배기 조립체; 상기 급기 조립체 및 상기 배기 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필터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forming the exterior; An outdoor air inlet and an indoor air out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An outdoor air outlet and an indoor air inle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 total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nd for internal heat exchange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A filt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one side and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 air supply assembly for providing a blowing force so that the outsid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air inle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outlet by passing through a low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 exhaust assembly for providing a blowing force so that the indoor air sucked from the indoor air inlet is pass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to be discharged to the indoor air outlet; A sensor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air supply assembly and the exhaust assembly; And a control unit determining a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또한, 상기 급기 조립체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상부로부터 배출되는 외기를 상기 외기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급기팬 하우징; 상기 급기팬 하우징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급기팬; 및 상기 급기팬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되어 급기모터를 지지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assembly, the air supply fan housing for guiding the outside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to the outside air outlet; An air supply fan accommodated in the air supply fan housing and rotated; And a guide plat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to support the air supply motor.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may be installed on the guide plate.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급기팬 하우징 보다 높게 연장되는 상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상단부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late may have an upper end extending higher than the air supply fan housing, and the sensor may be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guide plate.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 차이를 감지하는 차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may include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a pressure of 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an atmospheric pressure.

또한, 상기 센서는, 대기압을 측정하는 제 1 포트;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2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포트연장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may include a first port for measuring atmospheric pressure; A second port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a port extension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se.

또한, 상기 외기흡입구로부터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 하부로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연장되는 외기 흡입덕트; 및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하부로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연장되는 실내공기 흡입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utdoor air intake duct extending from the outside air intake to guide air flow to a low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an indoor air intake duct extending from the indoor air intake port to guide air flow to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외기와 상기 실내공기는, 서로 독립적인 유로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may flow through a flow path independ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보다 크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점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연동된 스마트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sensor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and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a display, a speaker, and an interlocked smart device. .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외기흡입구와 실내공기 배출구, 상기 케이스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외기배출구와 실내공기 흡입구, 실내공기와 외기가 열교환하는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에 설치되는 필터 및 대기압을 기준으로 압력 차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초기 시운전시,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 차를 산출하여 초기 값을 결정하는 초기 값 설정단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 차를 산출하는 차압 값 감지단계; 및 상기 초기 값(Pi)과 상기 차압 값(Pt)의 차이로 규정되는 변화 값(?P)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Ps)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door air intake and an indoor air out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an outdoor air outlet and an indoor air intak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A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total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air and outside air, a filter install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pressure difference based on atmospheric pressure, wherein at the time of initial trial operation, the flow pressure of 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An initial value setting step of determining an initial value by calculat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atmospheric pressure; A differential pressure value sensing step of calculat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 flow pressure of 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value (?P) defined as a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value Pi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Pt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Ps.

또한, 상기 변화 값이 상기 기준 값 보다 크다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점으로 판단하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hange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is replaced and a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값(Ps)은, 팬의 회전수가 다른 풍량별로 상기 필터의 허용 가능한 먼지 퇴적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규정되며, 상기 변화 값이 상기 기준 값 보다 크면, 팬의 회전 수가 다른 풍량에서 산출된 변화 값이 해당 풍량의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t reference value (Ps) is defined as a value representing the allowable dust accumulation degree of the filter for different air volumes with different fan rotation speeds, and when the change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an is differ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change value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air volum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다른 풍량에서 산출된 변화 값이 상기 해당 풍량의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보다 크다고 판단한 결과가 적어도 2개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change value calculated from the different air volume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air volume satisfies at least two, the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차압 값 감지 단계 이후, 실외 온도에 따른 초기 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fter the step of detect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the step of correcting an initial value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을 따르면, 공기 유로 관점에서 최적의 위치에 필터 막힘 현상을 판단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필터 교체 시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re accurate and reliable filter replacement time can be provided by installing a sensor capable of determining a filter clogging phenomenon at an optimum position from the viewpoint of an air flow path. That i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을 따르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환기장치의 필터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heck the filter replacement time of the 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에 퇴적된 먼지량을 정확하게 감지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 환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structure while accurately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deposited on the filter.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가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환기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can maintain optimal performan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ventil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정화장치의 흡입부 내측에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공기 정화장치로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을 용이하게 필터링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filter member is provided inside the intake part of the air purifier, so that foreign matter in the air sucked into the air purifier can be easily filtered.

본 발병에 따르면, 공기 내의 먼지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고가의 먼지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필터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제품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outbreak,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replace the filter without using an expensive dust sensor that directly measures dust in the air. In other words, it can improve the economics of the product.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의 상태정보 또는 필터의 교체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status information or filter replacement no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전열모드 작동시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반모드 작동시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실내로 급기되는 유로를 보여주는 실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부 구성에 센서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필터 막힘(차폐) 비율에 따른 풍량별 압력차(ΔP)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
1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heat transfer mod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normal mod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erimental diagram show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and supplied to the room by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ensors are installed in some configurations of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erimental graph showing a pressure difference (ΔP) for each air volume according to a filter clogging (shielding) ratio of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전열모드 작동시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반모드 작동시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heat transfer mod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normal mod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이하에서 환기장치(1)는 환풍장치로 이름할 수도 있다.Hereinafter, the ventilation device 1 may be referred to as a ventilation device.

또한, 이하에서 실외공기 또는 외부공기는, “외기”라 이름한다. In addition, hereinafter, outdoor air or external air is referred to as “outdoor air”.

또한, 도 1을 기준으로, 외기흡입구(51)가 형성되는 방향을 좌측, 전열교환기(60)의 손잡이(69)가 형성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규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 reference to FIG. 1,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air intake port 51 is formed may be defined as the left sid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69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is formed may be defined as the front sid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entil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50 forming an exterior.

상기 케이스(50)는 대략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case 5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상기 케이스(50)는 환기장치(1) 내부의 구성들이 설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0)는 상기 내부의 구성들이 보호되도록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50)는 외부로부터 이물이 제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case 50 may support the components inside the ventilation device 1 to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case 50 may cover the internal components to be protected. Accordingly, the case 50 may primarily block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product from the outside.

상기 케이스(50)의 전면 중앙부에는 점검구(104)가 형성될 수 있다. An inspection hole 104 may be formed in the front central portion of the case 50.

상기 점검구(104)에는 도어(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점검구(10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전열교환기(60)를 교환하거나 점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점검도어를 열고 전열교환기(60)를 인출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A doo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inspection port 104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spection port 104. 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replace or inspect the total heat exchanger 60 to be described later, the inspection door can be opened and the total heat exchanger 60 can be pulled out to perform work.

상기 환기장치(1)는 외기를 흡입하는 외기흡입구(51), 상기 케이스(50)의 내부에서 외기흡입구(51)와 연통되는 외기 흡입덕트(54),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실내공기 배출구(56) 및 외기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1 includes an outdoor air intake 51 for inhaling outdoor air, an outdoor air intake duct 54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air intake 51 from the inside of the case 50, and an indoor air outlet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It may further include a total heat exchanger (60)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side air and indoor air (56).

상기 외기흡입구(51) 및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는 상기 케이스(50)의 일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The outside air inlet 51 and the indoor air outlet 56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case 50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외기흡입구(51)는 상기 케이스(5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기흡입구(51)는 상기 케이스(50)의 좌측 면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는 상기 케이스(50)의 좌측 면의 후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The outside air intake 5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ase 50. For example, the outdoor air intake 51 may be located at a front portion of the left side of the case 50, and the indoor air outlet 56 may be located at a rear portion of the left side of the case 50.

상기 외기 흡입덕트(54)는 상기 외부흡입구(52)로부터 흡입되는 외기를 전열교환기(60)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외기 흡입덕트(54)는 흡입된 외기를 상기 전열교환기(60)로 유동하도록 흡입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side air suction duct 54 may guide the outside air sucked from the external suction port 52 to the total heat exchanger 60. That is, the outside air suction duct 54 may provide a suction passage so that the sucked outside air flows to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상세히, 상기 외기 흡입덕트(54)는 상기 케이스(5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기 흡입덕트(54)는 상기 외기흡입구(52)가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좌측 하부와 연통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In detail, the outside air intake duct 54 may be located in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ase 50. In addition, the outside air intake duct 54 may extend so that the outside air intake port 52 communicates with the lower left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따라서, 상기 외기 흡입덕트(52)는, 전열교환기(60)를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50)의 좌측 내부 공간을, 전열교환기(60)의 좌측 상부와 연통되는 공간 및 전열교환기(60)의 좌측 하부와 연통되는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Therefore, the outside air intake duct 52 is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left upper part of the case 50 based on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nd the left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It can be divided into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art.

상기 외기 흡입덕트(54)는 상기 외기흡입구(52)와 전열교환기(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outside air intake duct 54 may be located between the outside air inlet 52 and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상기 전열교환기(60)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열교환기는 상기 내부공간의 중앙에 위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50. For example, the total heat exchanger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and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전열교환기(6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교환기(60)는 종단면이 마름모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be formed in a square column shape. In addition,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longitudinal section becomes a rhombus.

상기 전열교환기(60)는 직교류형 플레이트 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전열교환기(60)는 특수 가공지의 칸막이 판으로 외기 유로와 실내공기 유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기와 실내공기는 서로 혼합되지 않고 상기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할 수 있다.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have a cross-flow type plate type structure. That is,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separate the outdoor air flow path and the indoor air flow path by using a partition plate of specially processed paper. Therefore, outside air and indoor air may pass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without being mixed with each other.

일례로, 상기 전열교환기(60)는 통상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실내공기와 외기를 서로 다른 유로로 통과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서로 다른 유로는 적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유로가 적층되는 면은 상기 특수 가공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효율의 열교환막에 의하여 잠열을 교환하는 습기와 현열을 교환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실내공기와 상기 외기가 전열교환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교환기(60)에 사용되는 특수가공지는 공기는 통과하지 않고, 열과 수분만 통과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be formed so that indoor air and outdoor air, which normally generate a temperature difference, pass through different passages, and the different passages are stacked.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two flow paths are stacked may be formed of the special processed paper. Accordingly,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can perform total heat exchange by heat exchanging latent heat and sensible heat through a high-efficiency heat exchange membrane. Here, the specially processed paper used for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have a characteristic that air does not pass, but only heat and moisture.

상기 전열교환기(60)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부로 흡입된 외기와 실내공기 사이의 전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한 외기는, 상기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상기 실내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급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겨울철 상기 환기장치(1)를 작동하여도 실내공기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perform total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case 50. Accordingly, the outsid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absorb heat of the indoor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nd be supplied to the room. Accordingly, even when the ventilation device 1 is operated in winter,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may not drop rapidly.

상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60)에서 외기와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는 운전모드를 전열모드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전열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mode in which outdoor air and indoor air heat exchange in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be referred to as a heat transfer mode. The heat transfer mode may be performed by user selection.

상기 전열모드는 일반적으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가 큰 여름 또는 겨울에 주로 이용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heat transfer mode may be mainly used in summer or winter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is large.

이와 달리, 상기 실내공기가 전열열교환기(6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외부로 배기되는 운전모드를 일반모드라 이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반모드는 실내공기가 외기와 열교환이 외부로 배기되므로 봄이나 가을에 주로 이용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indoor air is immediately exhausted to the outsid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be referred to as a general mode. Therefore, the general mode can be mainly used in spring or autumn because indoor air is exhausted from outside air and heat exchange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전열교환기(60)는 양측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마름모 형상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양 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have a rhombus-shaped longitudinal section so that the edges are located in both directions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ccordingly, both sides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be formed as inclined surfaces.

즉,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좌측 하부 및 좌측 상부는 상기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좌측 하부는 좌측을 향할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좌측 상부는 좌측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lower left and upper left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be configured with the inclined surface. For example, the lower left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clined upward toward the left, and the upper left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left.

따라서,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좌측 하부와 좌측 상부는, 상기 외기 흡입덕트(54)에 의해 구획되며, 각각 독립된 외기의 유로와 실내 공기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wer left and upper left portions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re partitioned by the outdoor air intake duct 54, and may provide independent external air flow channels and indoor air flow channels, respectively.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상하 단부 및 좌우 단부, 즉, 전열교환기(60)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는 모서리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left and right ends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that is, the corners loca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 support fram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may be installed.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중을 지지하여 전열교환기(60)가 견고히 지지되게 함과 동시에 전열교환기(60)가 전후 방향으로 착탈시 가이드레일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support frame may support the load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so that the total heat exchanger 60 is firmly supported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a guide rail when the total heat exchanger 60 is attached and detach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상기 전열교환기(60)는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교환기(60)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that are connec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total heat exchanger 60 can slide back and forth by the support frame.

따라서,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전면에는, 전후방 이동을 위한 손잡이(69)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a handle 69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상기 환기장치(1)는 상기 전열교환기(60)에 설치되는 필터(68a,6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entila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filters 68a and 68b install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상기 필터(68a,68b)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하단부와 양 측단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filters 68a and 68b may be supported by a support frame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both side ends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상기 필터(68a,68b)는 프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리필터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filters 68a and 68b may include a pre-filter. As an example, the pre-filter may be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상기 필터(68a,68b)는 상기 전열교환기(60)로 유입되는 공기 속의 이물을 걸러내어 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환기장치(1)의 작동 시간이 경과할수록 상기 필터(68a,68b)에는 상기 이물(또는 먼지)이 퇴적될 수 있다. The filters 68a and 68b may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nd filter them. Accordingly, as the operating time of the ventilation device 1 elapses, the foreign matter (or dust) may accumulate on the filters 68a and 68b.

상기 필터(68a,68b)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filters 68a and 68b may be install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respectively.

상기 필터(68a,68b)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실외필터(68a) 및 상기 전열교환기(60)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는 실내필터(68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s 68a and 68b may include an outdoor filter 68a installed below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nd an indoor filter 68b installed below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외기가 흡입되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좌측 하부에 구비되는 실외필터(68a)는, 외기에 섞여있는 이물을 걸러내어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로 청정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The outdoor filter 68a provided in the lower left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sucked may filter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outside air and supply it to the room. Thus, clean air can be provided indoors.

즉, 상기 실외필터(68a)의 여과 성능은, 사용자가 활동하는 실내 공기 청정과 연관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실외필터(68a)에 이물 등이 설정 기준 이상으로 퇴적되어 여과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실외필터(68a)의 교체 시점을 정확히 제공받을 필요가 있다. That is, the filtering performance of the outdoor filter 68a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related to indoor air purification in which a user is active.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a case in which foreign matter or the like is deposited on the outdoor filter 68a or more and thus filtra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the user needs to accurately receiv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outdoor filter 68a.

한편,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우측 하부에 구비되는 실내필터(68b)는 상기 전열교환기(60)를 이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우측 하부에 구비되는 실내필터(68b)는 실내에서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에 섞여있는 이물을 걸러냄으로써, 상기 전열교환기(60)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전열교환기(60)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door filter 68b provided in the lower right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may serve to protect the total heat exchanger 60 from foreign matter. In addition, the indoor filter 68b provided i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protect the total heat exchanger 60 by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air exhausted from the room to the outside. That is, it can function to extend the lif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따라서, 실외필터(68a)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실내필터(68b)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outdoor filter 68a may be equally applied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indoor filter 68b.

한편, 상기 환기장치(1)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우측 상부에 설치되는 고성능필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ventila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high-performance filter 70 installed at the upper right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상기 고성능필터(70)는 상기 실외필터(68a)를 통과한 외기 속의 분진입자를 재차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외필터(68a)에 의해 외기 중의 크기가 큰 먼지 입자가 1차적으로 여과지고, 상기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하면서 전열이 이룬 후, 상기 고성능필터(70)에 의해 미세한 이물까지 2차적으로 여과될 수 있다.The high-performance filter 70 may perform a function of re-filtering out dust particles in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outdoor filter 68a. In detail, dust particles having a large size in the outside air are first filtered by the outdoor filter 68a, and heat transfer is achie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nd then fine foreign matter is 2 by the high-performance filter 70. Can be filtered secondary.

상기 고성능필터(70)는 전기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gh-performance filter 70 may include an electric precipitator.

또한, 실외필터(68a)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고성능필터(70)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outdoor filter 68a may be equally applied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high performance filter 70.

상기 환기장치(1)는 상기 실내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해 송풍력을 제공하는 배기팬(80), 상기 배기팬(80)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기모터(81) 및 상기 배기팬(80)을 둘러싸며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와 연통되는 배기팬 하우징(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1 surrounds an exhaust fan 80 providing a blowing force to exhaust the indoor air, an exhaust motor 81 providing power to the exhaust fan 80, and the exhaust fan 80. And it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fan housing 58 in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air outlet (56).

상기 배기팬 하우징(58)은 상기 배기팬(8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로 가이드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exhaust fan housing 58 may be extended to guide indoor air forcedly blown by the exhaust fan 80 to the indoor air outlet 56.

상기 배기팬 하우징(58)의 내측에는 배기팬(80)이 위치할 수 있다. An exhaust fan 80 may be located inside the exhaust fan housing 58.

상기 배기팬(80)은 후술할 실내공기 흡입구(88)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로 강제 송풍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The exhaust fan 80 may operate to forcibly blow air suck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88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indoor air outlet 56.

상기 배기팬(80)은 시로코팬(sirroco fan)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fan 80 may include a sirocco fan.

생기 배기팬(80)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기모터(8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기모터(81)는 상기 배기팬 하우징(58)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An exhaust motor 81 providing power may be connected to the live exhaust fan 80. The exhaust motor 81 may be supported by a plate (not shown) coupled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exhaust fan housing 58.

일례로, 상기 배기팬 하우징(58)은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를 규정하는 전면 및 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및 후면에는 상기 배기모터(81)에 결합된 브라켓(미도시)을 고정시키는 플레이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haust fan housing 58 may have front and rear surfaces defining an opening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A plate (not shown) for fixing a bracket (not shown) coupled to the exhaust motor 81 may b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배기팬(80)으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유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중심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는 후술할 가이드 플레이트(98)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필터(68a)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실내필터(68b)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plate may have an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 flow path of indoor air flowing into the exhaust fan 80. In addition, the plate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guide plate 98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outdoor filter 68a can be applied equally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indoor filter 68b.

상기 환기장치(1)는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한 외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외기배출구(82) 및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실내공기 흡입구(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n outdoor air outlet 82 for guiding the outdoor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to be supplied to the room, and an indoor air intake 88 for inhaling indoor air.

상기 외기배출구(82) 및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는 상기 케이스(50)의 타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The outside air outlet 82 and the indoor air inlet 88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case 50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외기배출구(82)는 상기 케이스(50)의 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기배출구(82)는 상기 케이스(50)의 우측 면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는 상기 케이스(50)의 우측 면의 후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The outside air outlet 8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case 50. For example, the outdoor air outlet 82 may be located in a front por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case 50, and the indoor air intake port 88 may be located in a rear por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case 50.

즉, 상기 외기흡입구(52)가 설치되는 위치와 반대측에는 외기배출구(82)가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outside air outlet 82 may be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outside air intake port 52 is installed.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는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indoor air inlet 88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a position where the indoor air outlet 56 is installed.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는 상기 케이스(50)의 우측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indoor air inlet 88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ight side of the case 50.

상기 환기장치(1)는 외기가 흡입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급기팬(96), 상기 급기팬(96)을 수용하며 유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급기팬 하우징(86),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에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98) 및 상기 급기팬(96)을 회전시키는 급기모터(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1 includes an air supply fan 96 providing a blowing force so that outside air is sucked, an air supply fan housing 86 that accommodates the air supply fan 96 and guides the flow direction, and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late 98 coupled to the air supply motor 97 for rotating the air supply fan 96.

상기 급기팬(96), 급기모터(97), 가이드 플레이트(98) 및 급기팬 하우징(86)은 “급기 조립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팬(80), 배기모터(81), 플레이트(미도시) 및 배기팬 하우징(58)은 “배기 조립체”라 이름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fan 96, the air supply motor 97, the guide plate 98, and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may be referred to as “air supply assembly”. In addition, the exhaust fan 80, the exhaust motor 81, the plate (not shown), and the exhaust fan housing 58 may be referred to as “exhaust assembly”.

상기 급기 조립체와 배기 조립체는 한 쌍을 이루도록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기 조립체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배기 조립체의 구성에 원용할 수 있다.The air supply assembly and the exhaust assembly may be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to form a pair.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supply assembly may be use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exhaust assembly.

상기 급기모터(97)는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air supply motor 97 may generate rotational power when power is applied.

상기 급기팬(96)은 상기 급기모터(97)의 축 방향으로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air supply fan 96 may be coupl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air supply motor 97 to receive rotational power.

상기 급기팬(96)은 급기모터(97)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기 유동은 상기 급기팬(96)의 중앙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급기팬(96)의 외주면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기팬(96)은 상기 외기흡입구(52)로부터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기배출구(82)로 토출되도록 강제 송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air supply fan 96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motor 97 to generate air flow, and the air flow may generate a suction forc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supply fan 96. In addition, the air sucked into the central portion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ir supply fan 96. Accordingly, the air supply fan 96 may generate forc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outlet 82 by sucking outside air from the outside air intake port 52.

상기 급기팬(96)은 시로코팬(sirroco fan)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fan 96 may include a sirocco fan.

상기 급기팬(96)은 상기 외기배출구(8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air supply fan 96 may be located inside the outside air outlet 82.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은, 상기 급기팬(96)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급기팬(96)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은 전후 방향으로 외기를 흡입하여 우측 방향으로 연통된 외기배출구(82)로 토출되도록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accommodates the air supply fan 96 therein, and may guide a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air supply fan 96. For example,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may guide the flow so that external air is suck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discharged to the external air outlet 82 communicated in the right direction.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의 일 측면에는 상기 외기배출구(82)와 연통되는 장착홀(84, 도 5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may have a donut shape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a mounting hole 84 (refer to FIG. 5)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ir outlet 8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상기 급기모터(97)는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9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The air supply motor 97 may be supported by a guide plate 98 coupled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일례로,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은,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한 외기의 유입 개구를 규정하는 전면 및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및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가 각각 결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may form front and rear surfaces that define an inlet opening of the outsid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The guide plate 98 may b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는 상기 급기팬(96)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중심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의 중심은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의 유입 개구에 대응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guide plate 98 may have an opening in the cent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air supply fan 96.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guide plate 98 may be opened to correspond to the inlet opening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In addition, the guide plate 98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즉,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는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98)의 상단은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의 상단 보다 높도록 연장될 수 있다. That is, the guide plate 98 may b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respectively. In addition, an upper end of the guide plate 98 may extend higher than an upper end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의 상면 보다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6)의 일부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단부”라 이름할 수 있다.A part of the guide plate 96 extending vertically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may be referred to as “the upper end of the guide plate”.

이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의 상단부는,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유입 개구로 외기가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와류로부터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은 “안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the upper end of the guide plate 98 can form a “stable space” with relatively little influence from the eddy current generated when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opening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pply fan housing 86 I can.

여기서, 상기 안정 공간은,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하는 가이드 플레이트(98)의 상단부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Here, the stable space may be defined as a space formed by the upper end of the guide plate 98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respectivel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에는 상기 급기모터(97)에 결합된 브라켓(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는, 상기 급기모터(97)를 상기 브라켓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A bracket (not shown) coupled to the air supply motor 97 may be coupled to the guide plate 98. Accordingly, the guide plate 98 may support the air supply motor 97 by the bracket.

상기 환기장치(1)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60)로 안내하는 실내공기 흡입덕트(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n indoor air intake duct 92 for guiding the air sucked from the indoor air inlet 88 to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상기 실내공기 흡입덕트(92)의 내부에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전열교환기(60)로 유동하도록 개폐하는 댐퍼(94)가 설치될 수 있다. A damper 94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door air intake duct 92 to open and close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88 to selectively flow to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즉, 상기 댐퍼(94)는 후술할 컨트롤박스(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실내공기 흡입덕트(92)를 개폐할 수 있다. That is, the damper 94 can open and close the indoor air intake duct 92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box 200 to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상기 환기장치(1)가 일반모드로 작동시, 즉, 상기 댐퍼(94)가 상기 실내공기 흡입덕트(92)를 차폐하면,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ventilation device 1 is operated in the normal mode, that is, when the damper 94 shields the indoor air intake duct 92,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indoor air intake port 88 is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56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상기 실내공기 흡입덕트(92)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와 연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공기 흡입덕트(92)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우측 하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indoor air intake duct 92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air intake port 88. In addition, the indoor air intake duct 92 may form a flow path for introducing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indoor air intake port 88 to the lower right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그리고 상기 실내공기 흡입덕트(92)는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우측 상부와 우측 하부가 서로 다른 공기 유로를 가지도록 구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intake duct 92 may be divided so that the upper right and the lower right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have different air flow paths.

상기 환기장치(1)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컨트롤박스(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box 200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상기 컨트롤박스(200)는 상기 케이스(5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컨트롤박스(200)는 상기 케이스(50)의 우측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box 20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50. For example, the control box 200 may be installed on the right front side of the case 50.

상기 컨트롤박스(200)의 내부에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컨트롤박스(200)에는 메모리, 다수의 PCB가 설치될 수 있다. A control unit may be formed inside the control box 200. For example, a memory and a plurality of PCBs may be installed in the control box 200.

상기 제어부는 환기장치(1)의 운전 조건을 판단 및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원을 단속하여 환기장치를 온(on)/오프(off)시킬 수 있으며, 상기 급기팬(96)과 배기팬(80)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풍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nd control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ventilation device 1. That is, the ventilation device can be turned on/off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the air volume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air supply fan 96 and the exhaust fan 80.

한편, 상기 제어부는 댐퍼(94)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열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환기장치(1)의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amper 94 to operate the ventilation device 1 in a heat transfer mode or a normal mode.

한편, 상기 환기장치(1)는 필터(68a,68b)의 먼지 퇴적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ntila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100 capable of detecting the degree of dust accumulation of the filters 68a and 68b.

상기 센서(100)는 공기의 압력, 온도, 먼지량 등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100 may detect air pressure, temperature, and amount of dust.

상기 센서(10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 및/또는 배기팬 하우징(58)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미도시)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sensor 100 may be installed on a plate (not shown) coupled to the guide plate 98 and/or the exhaust fan housing 58.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nsor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컨트롤박스(200)는 상기 센서(100)에 연결되는 포트연장관(121)의 일 단부(121a)가 설치될 수 있다. One end 121a of a port extension pipe 121 connected to the sensor 100 may be installed in the control box 200.

상기 포트연장관(121)은, 상기 센서(100)의 어느 일 포트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연장관(121)은 상기 케이스(50)를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박스(200)에 일 단부(121a)가 위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The port extension pipe 121 may be coupled to any one port of the sensor 100. In addition, the port extension pipe 121 may extend through the case 50 so that one end 121a is positioned on the control box 200.

상기 포트연장관(121)의 일 단부(121a)는 대기압을 감지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로 이해할 수 있다.One end 121a of the port extension pipe 121 may be understood as an air inlet for sensing atmospheric pressur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열모드 또는 일반모드에서 외기와 실내공기의 유동을 간단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flow of outdoor air and indoor air in the heat transfer mode or the general mode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2와 같이 전열모드가 운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댐퍼(94)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공기 흡입덕트(92)를 개방시킬 수 있다.When the heat transfer mode is operated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may open the indoor air suction duct 92 by controlling the damper 94.

그리고 상기 급기팬(96)의 작동에 의해, 외기가 상기 외기흡입구(52)를 통해 케이스(5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된 외기는 상기 외기 흡입덕트(54)의 가이드에 의하여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좌측 하부 면에 설치되는 실외필터(68a)를 통과하도록 유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fan 96, outside air may be sucked into the case 50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52. The sucked outdoor air may flow through the outdoor filter 68a install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by the guide of the outdoor air suction duct 54.

상기 실외필터(68a)를 통과하여 상기 전열교환기(60) 내부로 흡입된 외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기는 전열교환기(60)의 우측 상부 면에 설치된 고성능필터(70)를 통과할 수 있다.The outdoor air passed through the outdoor filter 68a and sucked into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exchange heat with indoor air that is sucked into the indoor air intake port 88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outside air may pass through the high-performance filter 70 install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상기 고성능 필터(70)를 통과한 외기는, 상기 급기팬(96)의 전후 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외기배출구(8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The outdoor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igh-performance filter 70 may be introduced in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ir supply fan 96 and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outdoor air outlet 82.

한편, 실내공기는 상기 배기팬(80)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Meanwhile, indoor air may be exhausted to the outside by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80.

상기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를 통해 케이스(5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덕트(92)의 가이드에 따라 상기 전열교환기(60)의 우측 하부 면에 설치된 실내필터(68b)를 통과할 수 있다.The indoor air may be sucked into the case 50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88. The sucked indoor air may pass through the indoor filter 68b install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indoor air suction duct 92.

상기 실내필터(68b)를 통과하여 전열교환기(60)의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기와 열교환한 다음, 전열교환기(60)의 좌측 상부 면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공기는 상기 배기팬(80)의 전후 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Indoor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door filter 68b and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heat exchange with outside air as described above, and then exit through the upper left surfac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In addition, the indoor air may be introduc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exhaust fan 80 and may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56.

도 3과 같이 일반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실내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6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bypass)되어 바로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When operated in the normal mode as shown in FIG. 3, the indoor air may be bypass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nd be immediately exhausted to the outside.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댐퍼(94)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공기 흡입덕트(92)를 차폐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88)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전열교환기(6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56)를 통해 바로 외부로 토출된다.That i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amper 94 to shield the indoor air intake duct 92. Then,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88 is direc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56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한편, 외기는 상술한 전열모드와 동일한 유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열교환기(60) 내부로 흡입된 외기는, 실내공기가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열교환없이 전열교환기(60)의 우측 상부 면을 통해 배출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utside air may flow along the same flow path as in the above-described heat transfer mode. However, the outside air sucked into the total heat exchanger 60 will be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right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60 without heat exchange because indoor air does not pass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실내로 급기되는 유로를 보여주는 실험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일부 구성에 센서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4 is an experimental diagram show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and supplied to the room by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ensor installed in some configurations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view showin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senso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급기팬(96)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차로 외기가 상기 외기흡입구(52)로 흡입되어 실외필터(68a)를 거쳐 외기배출구(82)로 통과하는 외기의 유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outdoor filter 68a to the outside air outlet 82 by being sucked into the outside air inlet 52 by a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upply fan 96 You can check.

상기 외기의 유동 경로는 이하에서 “외기 유로”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외기 유로는 유선(stream line)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may b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utside air flow path". The outside air flow path is visually expressed through a stream lin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팬(96)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의 전면과 후면 부근에는, 큰 음압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 개구로 외기가 유입되면서 와류가 발생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large negative pressure is formed nea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by the rotation of the air supply fan 96, and a vortex may be generated as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let opening.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의 상단부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은 “안정 공간(A,B)”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plate 98 forms a "stable space (A,B)" with relatively little influence.

상기 안정 공간(A,B)은,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하는 가이드 플레이트(98)의 상단부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e stable spaces A and B may be defined as interspaces formed by upper ends of the guide plate 98 tha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즉, 상기 안정 공간(A,B)은 급기팬 하우징(86)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 플레이트(98)와 급기팬 하우징(86)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 플레이트(미도시) 및 상기 급기팬 하우징(98)의 상부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That is, the stable spaces A and B include a first guide plate 98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and a second guide plate (not shown)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It can be understood as a space formed by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98.

상기 센서(100)는 상기 필터(68a,68b)에 퇴적된 먼지양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안정 공간(A,B)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ensor 100 may be installed in the stable spaces A and B to determine the degree of the amount of dust deposited on the filters 68a and 68b.

일례로, 상기 센서(10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 및/또는 상기 플레이트(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100 may be installed on the guide plate 98 and/or the plate (not show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100)는 실내 공기 청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실외필터(68a)의 먼지 퇴적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100 is provid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dust accumulation of the outdoor filter 68a closely related to indoor air cleaning.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10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8)의 배면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플레이트(98)의 배면은 상기 안정 공간을 향하는 면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100)는 상기 제 1 가이드 플레이트(98)의 배면 또는 상기 제 2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nsor 10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98. Here,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plate 98 may be defined as a surface facing the stable space. For example, the sensor 10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guide plate 98 or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late.

상기 센서(100)는 상기 실외필터(68a)의 먼지 퇴적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센서(100)는 상기 고성능필터(70)에 대한 먼지 퇴적 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ensor 10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dust accumulation of the outdoor filter 68a. Of course, in this case, the sensor 100 may also determine the degree of dust accumulation on the high-performance filter 70.

상기 센서(100)는 상기 실외필터(68a)를 통과하여 상기 급기팬 하우징(86)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로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실외필터(68a)의 먼지 퇴적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ensor 100 may detect the pressure of the air flow passage passing through the outdoor filter 68a and flowing into the air supply fan housing 86 to determine the degree of dust accumulation in the outdoor filter 68a.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100)는 차압센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센서(100)는 차압센서(100)로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sensor 100 may include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00. Hereinafter, the sensor 1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case where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00 is provided.

상기 센서(100)는,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하는 외기 유로와 연통되는 제 1 포트(110) 및 실외에 연통되는 제 2 포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100 may include a first port 110 communicating with an outdoor air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nd a second port 120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상기 제 1 포트(110)는 케이스(50) 내부, 즉, 안정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포트(110)는 상기 안정 공간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port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ase 50, that is, a stable space. Accordingly, the first port 110 may provide the pressure of the stable space.

상기 제 2 포트(120)는 실외와 연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포트(120)에는 상기 컨트롤박스(200)로 연장되는 포트연장관(121a)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포트(120)는 실외와 연통되어 대기압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압력 차를 산출할 수 있다. The second port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outdoors. In detail, a port extension pipe 121a extending to the control box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120. Accordingly, the second port 12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o calculate a relative pressure difference based on atmospheric pressure.

즉, 상기 센서(100)는 대기압과 상기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한 외기 유로의 압력 차를 산출할 수 있다. That is, the sensor 100 may calculate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external ai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상기 대기압을 기준으로 압력 차를 산출하면, 획일적인 기준이 아니라 국가별, 지역별, 고도별 등 환경 차이에 따라 현실적인 기준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is calculated based on the atmospheric press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realistic standard can be us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differences such as country, region, and altitude, rather than a uniform standard.

상세히, 상기 센서(100)는 제 1 포트(110) 측에 설치되는 제 1 온도센서 및 제 2 포트(120) 측에 설치되는 제 2 온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압센서(100)는 상기 제 1 온도센서와 상기 제 2 온도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히터를 구비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nsor 100 may include a first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first port 110 side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second port 120 side. In addition,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00 may include a heat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 포트(110)에서 상기 제 2 포트(120)를 통과(“감지 유로”)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제 1 온도센서 및 상기 제 2 온도센서는 상기 히터의 가열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감지유로의 온도를 각각의 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다. The heater heats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port 120 (“sensing flow path”) from the first port 110,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are heated by the heater. The changing temperature of the sensing flow path can be detected at each position.

즉, 상기 제 1 온도센서는 상기 외기 유로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온도센서는, 상기 실외필터(68a)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in the outside air flow path. In addition,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outdoor filter 68a.

상기 제 1 온도센서는, 상기 실외필터(68a)를 통과한 공기 유동, 즉, 상기 히터를 지나기 이전의 감지유로에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온도센서는, 상기 히터를 지난 이후의 감지유로에서 공기 유동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sensor may sense the air flow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door filter 68a, that is, a temperature in a sensing flow path before passing the heater. In additio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may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 in the sensing passage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er.

정리하면, 상기 실외필터(68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제 2 온도센서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유동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2 온도센서 사이에 위치한 상기 히터로부터 열을 제공받는다.In summary,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door filter 68a flows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is located, and in this process, from the heater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Heat is provided.

만약, 상기 실외필터(68a)에 퇴적된 먼지의 양이 적어 상기 외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 유량이 많거나 공기의 유속이 높다면, 상기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제 2 온도센서 측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온도센서 측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작용할 것이다. If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in the outdoor filter 68a is small and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outdoor air flow path is high or the flow rate of air is high,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is relatively large towar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Can work. And it will act relatively little on the side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반면에, 상기 실외필터(68a)에 퇴적된 먼지의 양이 적어 상기 외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 유량이 적거나 공기의 유속이 낮으면, 상기 제 2 온도센서 측으로 작용하는 히터의 열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상기 제 1 온도센서 측에 작용하는 히터의 열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in the outdoor filter 68a is small and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outdoor air flow path is low or the flow rate of air is low, the heat of the heater acting towar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is relatively reduced. , The heat of the heater acting on the side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may be relatively increased.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2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차이 값을 기초로, 상기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한 외기 유로에서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 차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 차를 “차압 값(Pt)”이라 이름할 수 있다.Using this principl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in the external air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o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Here, the pressure difference may be referred to as “differential pressure value (Pt)”.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상기 감지되는 온도의 차이 값으로부터 매핑된 압력 차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not shown) may store pressure difference information mapped from the sensed temperature difference value.

한편, 상기 실외필터(68a)가 먼지가 퇴적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의 상기 차압 값은, “초기 값(Pi)”으로 이름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dust is not accumulated in the outdoor filter 68a may be referred to as “initial value Pi”.

따라서, 상기 초기 값(Pi)과 상기 실외필터(68a)에 먼지가 퇴적될수록 감지되는 차압 값(Pt)의 차이(ΔP)는, 커지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초기 값(Pi)과 상기 차압 값(Pt)의 차이(ΔP)는 ”변화 값”으로 이름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dust is deposited on the initial value Pi and the outdoor filter 68a, the difference ΔP between the sensed differential pressure value Pt will increase. Here, the difference ΔP between the initial value Pi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Pt may be referred to as “change value”.

그리고 상기 변화 값(ΔP)은 상기 실외필터(68a)의 먼지 퇴적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도 7의 설명에서 후술하겠으나, 상기 변화 값 풍량별로 미리 설정되는 기준 값(Ps) 보다 큰 경우, 상기 실외필터(68a)는 허용 한도를 넘어서는 먼지가 퇴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ange value (ΔP) becomes an index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dust accumulation of the outdoor filter 68a. Although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7, when the change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Ps preset for each air volume, the outdoor filter 68a may determine that dust exceeding the allowable limit has been deposited.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 값(Ps)이 저장될 수 있다. In the memory (not shown), a preset reference value Ps may be stored.

즉, 상기 센서(100)는 양쪽 압력 차이로 형성된 공기 흐름으로부터 압력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와류의 영향이 없는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100)는 상기 안정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감지 성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sensor 100 can sense the pressure from the air flow form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both sides, it needs to be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there is no influence of the eddy current. Therefore, by installing the sensor 100 in the stable space, it is possible to secure reliability of sensing performanc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필터 막힘(차폐) 비율에 따른 풍량별 변화 값(ΔP)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6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hange value (ΔP) for each air volume according to a filter clogging (shielding) ratio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perimental graph showing.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의 제어방법은 전열교환기(60)에 설치된 필터(68a,68b) 및/또는 고성능필터(70)의 교체 시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제안할 수 있다.6, the control method of the ventil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r with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filters 68a and 68b install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nd/or the high performance filter 70 Can suggest to do.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값(Pi)을 설정할 수 있다.(S1)To this end, the control unit may set the initial value Pi. (S1)

상기 초기 값(Pi)은, 환기장치(1)의 최초 운전, 즉, 시운전에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1 단계는 시운전 단계로도 이해할 수 있다.The initial value Pi can be set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1, that is, a trial operation. Therefore, the S1 step can also be understood as a trial run step.

상세히, 상기 제어부는 환기장치(1)의 운전이 시작되고 시운전 시간이 경과한 후 각각의 풍량별로 초기 값(Pi)을 결정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initial value Pi for each air volume after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1 is started and a trial run time elapses.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초기 값(Pi)은, 상기 실외필터(68a)에 먼지가 퇴적되지 않은 경우, 즉, 최대 여과 성능을 발휘하는 경우에서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한 외기 유로의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 차로 이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itial value Pi is the pressure of the outside air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when no dust is deposited on the outdoor filter 68a, that is, when the maximum filtration performance is exhibited. It can be understood as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atmospheric pressure.

일례로, 상기 시운전 시간은 7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ial run time may be set to 7 minutes.

여기서, 각각의 풍량은 약풍, 중간풍, 강풍 및 특강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풍에서 상기 특강풍일수록 상기 급기팬(96)의 회전 수가 증가할 수 있다. Here, each air volume may include a weak wind, a medium wind, a strong wind, and a special strong wi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air supply fan 96 may increase as the weak wind becomes the special strong wind.

상기 풍량별 초기 값(Pi)이 설정되면, 상기 환기장치(1)의 시운전은 종료될 수 있다.When the initial value Pi for each air volume is set, the trial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1 may be terminated.

이후, 사용자의 선택 또는 실내의 환경 조건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1)가 작동할 수 있다.(S2)Thereafter, the ventilation device 1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S2).

이때, 상기 환기장치(1)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조건에 따라 상기 일반모드나 상기 전열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ntilation device 1 may be operated in the general mode or the heat transfer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condition.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이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환기장치(1)를 작동시키면서, 전열모드 및 강풍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air set by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For example, while operating the ventilation device 1, the user may set the heat transfer mode and strong wind.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T)이 경과한 후, 상기 차압 값(Pt)을 감지할 수 있다.(S3)The control unit may detect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Pt after a preset time T has elapsed (S3).

일례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T)은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T)이 경과한 후 3분 주기로 상기 차압 값(Pt)을 감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reset time T may be set to 30 minutes.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etect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Pt at a period of 3 minutes after the preset time T elapses.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100)를 통해 전열교환기(60)를 통과한 외기 유로의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 차인 차압 값(Pt)을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may sense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Pt, which is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external air flow passage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60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through the sensor 100, and store it in the memory.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실외온도에 따른 초기 값(Pi) 보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4)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n initial value Pi correction step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S4).

즉, 시운전 단계에서 설정된 초기 값(Pi)은 환기장치(1)의 지역적 이동, 환경적 변화에 따라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That is, the initial value Pi set in the trial operation step may not be suitable according to the regional movement of the ventilation device 1 or environmental changes.

그리고 상기 센서(100)는 대기압을 기준으로 차압 값(Pt)을 산출하기 때문에 상기 실외온도에 따라 초기 값(Pi)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nsor 100 calculates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Pt based on the atmospheric pressu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initial value Pi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상기 초기 값(Pi)이 보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된 초기 값(Pi)으로 재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initial value Pi is corrected, the controller may reset it to the corrected initial value Pi and store it in the memory.

이후, 상기 제어부는 변화 값(ΔP)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Ps)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Thereafter,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value ΔP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Ps (S5).

상세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값(Pi)과 상기 S3 단계에서 감지된 차압 값(Pt)의 차이인 변화 값(ΔP)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화 값(?P)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기준 값(Ps)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change value ΔP that is a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value Pi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Pt sensed in step S3.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value ?P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Ps stored in the memory.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값(Ps)은, 풍량별 실외필터(68a)의 허용 가능한 먼지 퇴적 정도를 나타내는 변화 값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preset reference value Ps may be understood as a change value representing an allowable degree of dust accumulation of the outdoor filter 68a for each air volume.

상세히,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변화 값(?P)은 풍량이 강할수록, 실외필터(68a)의 먼지 퇴적 정도(“차폐 정도”)가 높을수록 커질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7, the change value ?P may increase as the air volume increases and the dust accumulation degree (“shielding degree”) of the outdoor filter 68a increases.

도 7의 그래프에서, 선’N’은 최초 먼지 퇴적이 없는 실외필터(68a)의 변화 값(?P)을 의미한다. 그리고 선’D1’은 상기 실외필터(68a)에 먼지가 퇴적되어 실외필터(68a)를 통과하는 공기를 막는 차폐 정도가 90%일 때 변화 값(?P)을 의미한다. 또한, 선’D2’는 차폐 정도가 75%일 때 변화 값(?P)을 의미하고, 선’D3’ 는 차폐 정도가 50%일 때 변화 값(?P)을 의미한다. In the graph of FIG. 7, line'N' denotes a change value (?P) of the outdoor filter 68a without initial dust accumulation. In addition, the line'D1' denotes a change value (?P) when the degree of shielding for blocking air passing through the outdoor filter 68a is 90% due to the accumulation of dust on the outdoor filter 68a. In addition, line'D2' means a change value (?P) when the shielding degree is 75%, and line'D3' means a change value (?P) when the shielding degree is 50%.

상기 기준 값(Ps)은, 상기 실외필터(68a)의 여과 성능이 허용 가능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The reference value Ps may mean a value in which the filtering performance of the outdoor filter 68a is less than an acceptable level.

즉, 각 풍량에서 먼지 퇴적이 없을 때의 변화 값(?P)을 기준으로, 여과 성능이 약 40% 내지 60%만큼 떨어지는, 차폐 정도 75%에서 변화 값(?P)을 실외필터(68a)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는 기준 값(Ps)으로 설정할 수 있다.That is, based on the change value (?P) when there is no dust accumulation in each air volume, the change value (?P) at 75% of the shielding degree, which falls by about 40% to 60%, is the outdoor filter 68a It can be set as a reference value (Ps) for determining the replacement time of.

각 풍량별로 상기 기준 값(Ps)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reference value Ps for each air volume may be previously stored in a memory.

따라서, S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초기 값(Pi)과 S3단계에서 감지된 차압 값(Pt)의 차이(“변화 값(?P)”)를 산출한 후, 상기 변화 값(?P)이 상기 기준 값(Ps) 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in step S5,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ifference (“change value (?P)”) between the initial value Pi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Pt detected in step S3, and then the change value (?P) becomes the change value (?P).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Ps.

상기 변화 값(?P)이 상기 기준 값(Ps) 보다 작다면, 상기 제어부는 S3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If the change value ?P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Ps, the controller may return to step S3.

만약 상기 변화 값(?P)이 상기 기준 값(Ps) 보다 크다면, 상기 제어부는 보다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터 교체 판단 모드로 돌입할 수 있다.(S6)If the change value ?P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Ps, the controller may enter a filter replacement determination mode to further improve reliability (S6).

상기 필터 교체 판단 모드는,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이 아닌 다른 풍량에서도 변화 값(?P)이 기준 값(PS)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모드로 이해할 수 있다.The filter replacement determination mode may be understood as a mode for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value (?P)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PS) even in an air volume other than the air volume set by the user.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팬(96)의 회전 수를 사용자 설정 풍량이 아닌 다른 풍량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air supply fan 96 to be a different air volume than a user-set air volum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풍량에서 변화 값(?P)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화 값(?P)이 상기 다른 풍량에서의 기준 값(Ps) 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S7)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a change value (?P) from the different air volume and determine whether the calculated change value (?P)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Ps) in the other air volume (S7)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판단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store the determination result in a memory.

한편,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풍량별로 판단된 결과가 2개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8)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wo or more results determined for each air volume are satisfied (S8).

일례로, 사용자 설정 풍량이 특강풍인 경우, 상기 약풍, 중풍, 강풍 중 적어도 어느 두 풍량에서 상기 S7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set air volume is a special strong wind, the step S7 may be performed at at least any two of the weak wind, medium wind, and strong win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각 풍량별로 수행된 S7 단계의 결과, 즉, 변화 값(?P)이 기준 값(Ps) 보다 크다고 판단한 판단 결과가 2개 이상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re are two or more results of step S7 performed for each air volume, that is, two or more results of determining that the change value ?P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Ps.

이에 의하면, 각 풍량별로 실외필터(68a)의 차폐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필터 교체 시점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ince the degree of shielding of the outdoor filter 68a for each air volume can be checked, reliability for a filter replacement time can be improved.

상기 판단 결과가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기장치(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미도시), 스피커(미도시) 또는 상기 환기장치(1)와 연동된 스마트 기기(예를들어, 핸드폰)를 통해 상기 필터 교체 알림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more than two, the control unit is a display (not shown) provided in the ventilation device 1, a speaker (not shown), or a smart device (for example, a mobile phone) interlocked with the ventilation device 1 ) To display the filter replacement notification. (S9)

즉, 상기 판단 결과가 2개 이상이면, 상기 실외필터(68a)의 효율이 허용 가능 효율 이하가 되거나,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외필터의 교체 또는 청소와 같은 관리 행위를 할 수 있다.That is,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wo or mor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fficiency of the outdoor filter 68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llowable efficiency, or that the lifespan is over. And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is to the user, the user can perform a management action such as replacement or cleaning of the outdoor filter.

한편,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알림 정보는, 상기 실외필터(68a)에 퇴적된 이물(먼지)의 양에 관한 정보, 잔여 수명에 관한 정보, 세척 또는 교체시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to the us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dust) accumulated in the outdoor filter 68a,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life, and information on when to wash or replace.

1: 환기장치
80: 배기팬
82: 급기팬 하우징
96: 급기팬
98: 가이드 플레이트
100: 센서
200: 컨트롤박스
1: ventilation
80: exhaust fan
82: air supply fan housing
96: supply fan
98: guide plate
100: sensor
200: control box

Claims (14)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실내공기와 외기가 내부 열교환하는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설치되는 필터;
외기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외기를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 하부를 통과시켜 외기배출구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급기 조립체;
실내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하부를 통과시켜 실내공기 배출구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배기 조립체;
상기 급기 조립체 및 상기 배기 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필터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A case forming the exterior;
A total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nd for internal heat exchange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A filt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one side and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 air supply assembly providing a blowing force so that the outsid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air inle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outlet by passing through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 exhaust assembly configured to provide a blowing force so that the indoor air sucked from the indoor air inlet is discharged to the indoor air outlet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 sensor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air supply assembly and the exhaust assembly; And
Ventil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조립체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상부로부터 배출되는 외기를 상기 외기배출구로 가이드하는 급기팬 하우징;
상기 급기팬 하우징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급기팬; 및
상기 급기팬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되어 급기모터를 지지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supply assembly,
An air supply fan housing for guiding the outside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to the outside air outlet;
An air supply fan accommodated in the air supply fan housing and rotated; And
It includes a guide plat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air supply fan housing to support the air supply motor,
The sensor is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guide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급기팬 하우징 보다 높게 연장되는 상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상단부 배면에 설치되는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plate forms an upper end extending higher than the air supply fan housing,
The sensor is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guid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 차이를 감지하는 차압센서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is a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atmospheric press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대기압을 측정하는 제 1 포트;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2 포트; 및
상기 제 2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포트연장관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A first port for measuring atmospheric pressure;
A second port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Ventilation apparatus including a port extension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s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흡입구로부터 상기 전열교환기의 일측 하부로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연장되는 외기 흡입덕트; 및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하부로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연장되는 실내공기 흡입덕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기와 상기 실내공기는, 서로 독립적인 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 outdoor air intake duct extending from the outside air intake to guide air flow to a low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Further comprising an indoor air intake duct extending to guide air flow from the indoor air inlet to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 ventilation device in which the outside air and the indoor air flow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보다 크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점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연동된 스마트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sensor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and provides notification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a display, a speaker, and an interlocked smart device.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외기흡입구와 실내공기 배출구, 상기 케이스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외기배출구와 실내공기 흡입구, 실내공기와 외기가 열교환하는 전열교환기, 상기 전열교환기에 설치되는 필터 및 대기압을 기준으로 압력 차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초기 시운전시,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 차를 산출하여 초기 값을 결정하는 초기 값 설정단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 차를 산출하는 차압 값 감지단계; 및
상기 초기 값(Pi)과 상기 차압 값(Pt)의 차이로 규정되는 변화 값(?P)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Ps)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화 값이 상기 기준 값 보다 크다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점으로 판단하고 알림을 제공하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An outdoor air intake and indoor air out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an outdoor air outlet and indoor air intak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 total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indoor air and outside air, and a filter and atmospheric pressure install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In the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a pressure difference as a reference,
An initial value setting step of determining an initial value by calculat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flow pressure of 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during initial commissioning;
A differential pressure value sensing step of calculat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 flow pressure of 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And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value (?P) defined as a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value Pi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Pt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Ps,
When the change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is replaced and a notification is provid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값(Ps)은, 팬의 회전수가 다른 풍량별로 상기 필터의 허용 가능한 먼지 퇴적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규정되며,
상기 변화 값이 상기 기준 값 보다 크면, 팬의 회전 수가 다른 풍량에서 산출된 변화 값이 해당 풍량의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preset reference value Ps is defined as a value representing the allowable dust accumulation degree of the filter for different air volumes with different fan rotation speeds,
If the change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method of the ventil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hange value calculated in the different air volume of the fan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of the air volum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풍량에서 산출된 변화 값이 상기 해당 풍량의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보다 크다고 판단한 결과가 적어도 2개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A control method of a ventil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the notification when a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 change value calculated from the different air volume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air volume satisfies at least two.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 값 감지 단계 이후, 실외 온도에 따른 초기 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tep of detect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the method of controlling a ventil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rrecting an initial value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전열교환기 일측 하부에 결합되는 실외필터; 및
상기 전열교환기의 타측 하부에 결합되는 실내필터를 포함하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filter is
An outdoor filter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Control method of a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an indoor filt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필터는, 상기 외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가 통과하며,
상기 실내필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outdoor filter passes through the outdoor air sucked through the outdoor air intake,
The indoor filter is a control method of a ventilation device through which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pass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연동된 스마트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reminder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ntilation device provided through at least one of a display, a speaker, and an interlocked smart device.
KR1020190081147A 2019-07-05 2019-07-05 A 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45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47A KR20210004550A (en) 2019-07-05 2019-07-05 A 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47A KR20210004550A (en) 2019-07-05 2019-07-05 A 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550A true KR20210004550A (en) 2021-01-13

Family

ID=7414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147A KR20210004550A (en) 2019-07-05 2019-07-05 A 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455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394B1 (en) * 2021-03-23 2021-08-20 한성모듈러주식회사 Structure for ventilation and insulation
KR102473104B1 (en) * 2021-05-31 2022-12-02 주식회사 휴마스터 Air condition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394B1 (en) * 2021-03-23 2021-08-20 한성모듈러주식회사 Structure for ventilation and insulation
KR102473104B1 (en) * 2021-05-31 2022-12-02 주식회사 휴마스터 Air conditio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075B1 (en) Ventilating system for management of filter and prevention decline of capacity
ES2356525T3 (en) SECURITY WORK BANK.
KR101513650B1 (en) a Heat exchanger ventilator having a condensation and fire prevention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126258B1 (en) Slim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KR101301046B1 (en) Energy-saving air conditioner
KR102287511B1 (en) Air condition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00707B1 (en) Air purifier for classroom
KR101996058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06019B1 (en) Ventil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7209143B2 (en) heat exchange fan
JP7155251B2 (en) Air treatment device for ventilation air inlet
KR102278546B1 (en) Revised Ventilation System Combining Air Cleaner Using Plate Type Heat Exchang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25661B1 (en) Ventil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4550A (en) A 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597853A1 (en) Auto management system for air filter used in battery pack and auto management method for the same
KR101843386B1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apparatus
JP2014066399A (en) Humidifying air cleaner
CN104685301B (en) Heat exchange ventilating device
JP2019100588A (en) Control method of heat exchange type ventilation fan
TWI828083B (en) air purifier
KR101349812B1 (en) Heat recovery type ventilator
JP2004211914A (en) Dehumidifier
JP2017062091A (en) Air cleaner
KR102265507B1 (en) Air circulation control system with double damper structure to reduce the use of hepa filter and energy
KR20190096638A (en) Ventil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