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685U - 곡물 적재함 - Google Patents

곡물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685U
KR20210000685U KR2020190003801U KR20190003801U KR20210000685U KR 20210000685 U KR20210000685 U KR 20210000685U KR 2020190003801 U KR2020190003801 U KR 2020190003801U KR 20190003801 U KR20190003801 U KR 20190003801U KR 20210000685 U KR20210000685 U KR 202100006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body
grain
side walls
grain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주
Original Assignee
정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주 filed Critical 정홍주
Priority to KR2020190003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685U/ko
Publication of KR20210000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을 보관 및 운송하기 위한 곡물 적재함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하는 중공의 삽입홈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상기 본체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높이를 가지며 관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앵글프레임과, 상기 앵글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저면으로 직교되게 설치한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곡물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곡물 적재함은, 작업자 없이도 곡물의 저장 및 운반이 용이하여 인건비가 절약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곡물 적재함{The loading tank of grain}
본 고안은 곡물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곡물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곡물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으로부터 수확한 곡물을 담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데는 직물로 이루어진 포대가 사용된다.
그러나 포대는 자체적으로 뼈대가 없어 형상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곡물을 담기 위해서는 양쪽에서 운반 끈을 잡고 상부 입구를 벌려주어야 하므로 적어도 두 사람 정도의 인원이 필요하며, 곡물을 투입 시에는 곡물로부터 비산되는 먼지에 의해 작업자의 호흡이 곤란하게 되어 이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대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2-0097079호에는, 직육면체의 외피로 고리부재가 부착되고, 내부에 곡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부 입구가 형성되는 농산물 포장 운반용 통풍 포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한 농산물 포장 운방용 통풍 포대는, 곡물을 저장한 포대를 트럭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고리 부재에 걸어 크레인으로 운반해야 하는데, 이때 와이어를 결속하기 위한 작업인원이 필요하게 되는 바 이는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곡물을 저장한 다량의 포대를 보관 시에는 넓은 저장 공간이 필요하므로 공간 부지 확보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지게차를 이용하여 작업자 없이도 곡물의 운반이 용이하고, 곡물을 보관 시에는 적층이 가능하여 저장 공간의 확보가 용이한 곡물 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곡물을 보관 및 운송하기 위한 곡물 적재함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하는 중공의 삽입홈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상기 본체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높이를 가지며 관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앵글프레임과, 상기 앵글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저면으로 직교되게 설치한 보강프레임을 포함하 곡물 적재함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앵글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본체의 양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보강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직교하여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양 측벽과 직각으로 연결되며 대향하는 양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를 보강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앵글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앵글프레임을 상기 본체에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단에 대응하는 측벽의 내측면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대응하는 측벽의 내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보강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측벽의 상부 테두리가 관 형상을 갖도록 절곡되는 보강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중앙부위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V자 형상의 복수의 절곡부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각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는 내부 바닥에 습기나 빗물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하부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적재함은, 작업자 없이도 지게차에 의해 곡물의 적재 및 운반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인건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곡물을 보관 시에는 적층이 가능하여 공간 확보에 따른 비용이 감소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곡물 적재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 적재함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곡물 적재함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곡물 적재함이 곡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1에 도시된 곡물 적재함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6의 다른 예에 따른 곡물 적재함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적재함의 단면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적재함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상방은 곡물 적재함의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곡물 적재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 적재함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곡물 적재함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곡물 적재함이 곡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1에 도시된 곡물 적재함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6의 다른 예에 따른 곡물 적재함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적재함(100)은, 본체(110)와 앵글프레임(120)과 보강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공간(10)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적재된 곡물을 보관 및 이동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10)는 벽체를 이루는 측벽(111-1)(111-3)과, 측벽(111-1)(111-3)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1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110)는 장방향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왜냐하면, 후술할 지게차의 포크(20)를 이용하여 운반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재되는 곡물의 하중을 분산할 수 있어 정육면체의 형상보다 많은 양의 곡물을 적재할 수 있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곡물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측벽(111-1)(111-3)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대향하는 양 측벽(111-1)이 장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양 측벽(111-1)에 직각으로 연결되며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111-3)이 단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바닥(111-5)은 측벽(111-1)(111-3)의 하단과 연결되며 곡물이 쌓일 수 있도록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체(11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한다.
즉, 측벽(111-1)(111-3)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곡물이 경사면을 타고 바닥(111-5)으로 쌓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곡물이 비어있는 본체(110)를 적층 시 본체(110)의 내부로 또 다른 본체(110)가 적층될 수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적층되는 본체(110)들은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측벽(111-1)(111-3)은 상부에 보강 테두리부(115)가 형성되고, 중앙부위에는 복수의 절곡부(117)가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한다.
먼저, 보강 테부리부(115)는 관 형상을 갖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보강 테두리부(115)가 사각의 단면을 갖도록 절곡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하게 절곡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테두리부(115)는 측벽(111-1)(111-3)의 상부 테두리를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한다.
또한, 보강 테두리부(115)의 하부에 와이어 걸이(미도시)를 걸어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운반할 수 있도록 걸이구의 역할을 한다.
절곡부(117)는 측벽(111-1)(111-3)의 중앙부위에서 내부공간(10)으로 돌출 형성한다.
여기서 절곡부(117)는 "V"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절곡부(117)가 2개로 이격되게 배열 형성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보강력을 향상시킨다면 다수개로 절곡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117)는 본체(110)에 곡물을 적재 시 하중에 의해 측벽(111-1)(111-3)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절곡부(117)는 본체(110)의 바닥(111-5)에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체(110)의 측벽(111-1)(111-3) 뿐만 아니라 바닥(111-5)에도 보강력을 향상시켜 곡물의 하중으로부터 바닥(111-5)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앵글프레임(120)은 장방향의 양 측벽(111-1)을 관통하여 본체(110)와 일체화 되도록 결합한다.
상술하면, 앵글프레임(120)은 한쌍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본체(110)의 바닥(111-5)으로부터 높이를 가지되 수평선상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각 양단이 대향하는 장방향의 양 측벽(111-1)을 관통하여 결합한다.
앵글프레임(120)은 관 형상으로 내측에 지게차의 포크(20)가 삽입되는 삽입홈(121)을 형성한다.
여기서 앵글프레임(120)은 본체(110)에 설치시 곡물에 대한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h2의 높이가 앵글프레임(120)의 중심으로부터 하부 h1의 높이보다 높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지게차의 포크(20)를 이용하여 본체(110)를 운반 시 곡물에 대한 무게중심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앵글프레임(120)은 양단이 양 측벽(111-1)에 각각 고정되므로 곡물의 하중으로부터 본체(1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앵글프레임(120)은 또 다른 본체(110)가 놓여 적층될 수 있도록 받침대의 역할을 한다.
이때, 본체(110)는 와이어 걸이에 의해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본체(110)를 적층할 수 있으나, 도 7의 다른 예와 같이 구조를 개선하여 지게차의 포크(20)에 의해 적층도 가능하다.
즉, 본체(110) 내부의 곡물이 비어있는 상태에서 다수개로 적층될 때, 앵글프레임(120)이 다른 본체(110)의 상부에보다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하여 지게차의 포크(20)로 바로 적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게차의 포크(20)로 본체(110)의 적층이 가능하여 트럭으로 운반시나, 창고에 보관 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공간확보에 따른 비용이 감소되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게다가 회전포크식 지게차(미도시)에 의해 본체(110)를 회전시켜 적재된 곡물을 원하는 곳에 즉시 배출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보강프레임(130)은 앵글프레임(120)의 일측에서 본체(110)의 내부공간(10) 저면으로 직교되게 설치하여 앵글프레임(120)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보강프레임(130)은 한쌍의 앵글프레임(120)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한다.
여기서 보강프레임(130)은 일단이 앵글프레임(120)의 중심부 하면을 고정하고 타단이 후술하는 하부프레임(133)의 상면을 고정한다.
이러한 보강프레임(130)은 상부프레임(131)과, 하부프레임(133)과 제1지지프레임(135)과 제2지지프레임(137)을 더 포함한다.
상부프레임(131)은 앵글프레임(12) 사이에서 나란하게 배치한다.
여기서 상부프레임(131)은 앵글프레임(120)과 수평선상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양단이 장방향의 양 측벽(111-1)에 설치한다.
이러한 상부프레임(131)은 본체(110)가 곡물의 하중으로 부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상부프레임(131)은 앵글프레임(120)과 더불어 또 다른 본체(110)가 놓여 적층될 수 있도록 받침대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놓여지는 또 다른 본체(110)의 하중이 앵글프레임(120)으로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여 앵글프레임(120)의 변형을 방지한다.
하부프레임(133)은 상부프레임(131)과 직교하여 본체(10)의 바닥면에 배되고 양단이 단방향의 양 측벽(111-3)에 설치한다.
이러한 하부프레임(133)은 바닥(111-5) 및 단방향의 양 측벽(111-3)을 보강지지하여 본체(110)의 하부가 곡물의 하중으로부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지지프레임(135)은 일단이 앵글프레임(120)의 외측면을 고정하고, 타단이 본체(110)의 측벽(111-3)을 고정하여 앵글프레임(120)을 본체(110)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하면, 제1지지프레임(135)은 앵글프레임(120)과 직교하여 일단이 한쌍의 앵글프레임(120) 중 좌측 앵글프레임(120)의 외측면을 고정하고, 타단이 단방향의 일 측벽(111-3)을 고정한다.
이때, 제1지지프레임(135)은 앵글프레임(120)과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제1지지프레임(135)은 좌측 앵글프레임(120)과 대향하여 우측 앵글프레임(120)에도 동일하게 설치한다.
여기서 제1지지프레임(135)은 앵글프레임(120) 및 상부프레임(131)과 더불어 또 다른 본체가 놓여 적층될 수 있도록 받침대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놓여지는 또 다른 본체(110)의 하중이 앵글프레임(120) 및 상부프레임(131)으로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여 앵글프레임(120)과 상부프레임(131)의 변형을 방지한다.
제2지지프레임(137)은 상부프레임(131)의 저면으로 직교되게 설치하여 상부프레임(131)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한다.
제2지지프레임(137)은 상부프레임(131)의 중앙부위 일단이 상부프레임(131)의 하면을 고정하고 타단이 하부프레임(133)의 상면을 고정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10)는 복수의 보강패널(113)을 더 포함한다.
보강패널(113)은 상부프레임(131)의 양단에 대응하는 양 측벽(111-1)의 내측면을 각각 고정하고, 제1지지프레임(135)의 타단에 대응하는 양 측벽(111-3)의 내측면을 각각 고정한다.
이러한 보강패널(113)은 상부프레임(131)과 제1지지프레임(135)이 측벽(111-1)(111-3)에 고정할 때 대응하는 측벽(111-1)(111-3)을 보강하여 하중에 따른 변형을 방지한다.
한편, 본체(110)의 바닥(111-5)은 다수의 통공(119)을 형성한다.
통공(119)은 적재되는 곡물의 습기나 빗물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이 썩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적재함(100)은, 작업자 없이도 곡물의 적재 및 운반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인건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곡물을 보관 시에는 적층이 가능하여 공간 확보에 따른 비용이 감소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8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적재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적재함(100)은 본체(210)의 내부 바닥(211-5)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경사진 바닥(211-5)의 하부는 다수의 통공(219)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체(210)에 적재되는 곡물의 습기나 빗물이 바닥에 고이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통공(219)으로 배출됨에 따라 곡물이 썩는 것을 더욱 방지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적재함(100)(200)은 경질의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력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즉,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내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친환경 페인트로 도색할 수 있다.
100, 200 : 곡물 적재함 110, 210 : 본체
111-1, 111-3 : 측벽 111-5, 211-5 : 바닥
113 : 보강패널 115 : 보강테두리부
117 : 절곡부 119, 219 : 통공
120 : 앵글프레임 121 : 삽입홈
130 : 보강프레임 131 : 상부프레임
133 : 하부프레임 135 : 제1지지프레임
137 : 제2지지프레임 10 : 내부공간
20 : 지게차 포크

Claims (7)

  1. 곡물을 보관 및 운송하기 위한 곡물 적재함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내부공간(10)을 가지는 본체(110)와;
    지게차의 포크(20)가 삽입하는 중공의 삽입홈(121)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상기 본체(110)의 대향하는 양 측벽(111-1)에 높이를 가지며 관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앵글프레임(120)과;
    상기 앵글프레임(120)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110)의 내부공간(10) 저면으로 직교되게 설치한 보강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함(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130)은,
    상기 앵글프레임(12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본체(110)의 양 측벽(111-1)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를 보강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31)과,
    상기 상부프레임(131)과 직교하여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양 측벽(111-1)과 직각으로 연결되며 대향하는 양 측벽(111-3)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의 하부를 보강지지하는 하부프레임(133)과,
    일단이 상기 앵글프레임(12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110)의 측벽(111-3)에 고정되어 상기 앵글프레임(120)을 상기 본체(110)에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135)과,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131)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프레임(133)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31)을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137)을 더 포함하는 곡물 적재함(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상기 상부프레임(131)의 양단에 대응하는 측벽(111-1)의 내측면과, 상기 지지프레임(135)의 타단에 대응하는 측벽(111-3)의 내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보강패널(113)을 더 포함하는 곡물 적재함(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각 측벽(111-1)(111-3)의 상부 테두리가 관 형상을 갖도록 절곡되는 보강 테두리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각 측벽(111-1)(111-3)의 중앙부위는 상기 내부공간(10)으로 돌출되는 V자 형상의 복수의 절곡부(117)가 일정간격으로 배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함(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각 측벽(111-1)(111-3)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함(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내부 바닥(111-5)에 습기나 빗물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1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함(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0)의 내부 바닥(211-5)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하부에 다수의 통공(2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함(200).
KR2020190003801U 2019-09-17 2019-09-17 곡물 적재함 KR202100006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01U KR20210000685U (ko) 2019-09-17 2019-09-17 곡물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01U KR20210000685U (ko) 2019-09-17 2019-09-17 곡물 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85U true KR20210000685U (ko) 2021-03-25

Family

ID=75232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01U KR20210000685U (ko) 2019-09-17 2019-09-17 곡물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6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181B1 (ko) * 2022-01-14 2022-10-31 (주)지금강이엔지 곡물 수매용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181B1 (ko) * 2022-01-14 2022-10-31 (주)지금강이엔지 곡물 수매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707A (en) Modular shipping container
US5413236A (en) Modular shipping container
USRE39444E1 (en) Collapsible container
US4643314A (en) Container construction
US6019226A (en) Demountable palletized container
US20050220559A1 (en) Container used to ship semi-trailer chassis
US8950612B2 (en) Hybrid shipping container
US20140190964A1 (en) Intermodal Container
JPH02205553A (ja) 液体及び細かく分散したばら積み材料を運搬及び/又は貯蔵する容器
KR20210000685U (ko) 곡물 적재함
US20020139798A1 (en) Shipping pallet
KR20200016022A (ko) 팔레트랙 연결용 체결프레임
KR20180085466A (ko) 팔레트랙용 타이빔
JP2005035650A (ja) 輸送用パレット
KR101493679B1 (ko) 농산물 저장용 컨테이너
KR101366511B1 (ko) 랫치형 절곡기둥을 이용한 농기계 보관용 팔레트
KR200490368Y1 (ko) 화물운반용 안전 파레트
JP6007452B2 (ja) パレット及び組立式コンテナ
JP3149800U (ja) ダンボールパレット
US20030051641A1 (en) Base section for a collapsible container
JP5721091B1 (ja) パレット及び組立式コンテナ
AU758748B2 (en) A collapsible container
KR100789301B1 (ko) 장척물 운반용 파렛트
JP6026136B2 (ja) ワーク運搬ユニット
CN210761778U (zh) 一种小型钢结构件的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