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832A - 차량용 램프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832A
KR20200143832A KR1020190071392A KR20190071392A KR20200143832A KR 20200143832 A KR20200143832 A KR 20200143832A KR 1020190071392 A KR1020190071392 A KR 1020190071392A KR 20190071392 A KR20190071392 A KR 20190071392A KR 20200143832 A KR20200143832 A KR 20200143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light source
outer lens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3832A/ko
Publication of KR2020014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유닛에 관한 것으로, 아우터렌즈부와, 아우터렌즈부 상에 형성되고, 전반사에 의해 아우터렌즈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행되는 광경로를 형성하는 광유도옵틱부와, 광유도옵틱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광유도옵틱부로 배광하는 제1광원부와, 아우터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아우터렌즈부로 배광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유닛{LAMP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램프에 적용하기 위한 차량용 램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시 차량 주변의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해 다양한 차량용 램프가 적용되고 있다.
예컨대,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조명장치가 있으며, 이외에 보행자나 다른 차량 등이 해당 차량을 용이하게 인식가능하게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의 반사기 등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보다 다양한 위치, 방향에서 램프의 점등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인성을 확보를 위해, 후방에서 조사된 빛의 진행방향을 좌우방향 내지 전후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복잡한 광학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는 아우터렌즈를 통해 출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용 램프 및 차량의 외관을 이루는 아우터렌즈의 디자인 다양화 및 심미성 구현에 제한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959794호(2019.03.13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램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의 다양화 및 심미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은, 아우터렌즈부; 상기 아우터렌즈부 상에 형성되고, 전반사에 의해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행되는 광경로를 형성하는 광유도옵틱부; 상기 광유도옵틱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광유도옵틱부로 배광하는 제1광원부; 및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렌즈부로 배광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유도옵틱부는,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라이트가이드본체부; 및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를 통과하는 빛의 진행방향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반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는,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후면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반사홈부가 형성되는 반사면부; 및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전면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반사면부에서 반사된 빛이 투광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면부는,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후면부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부는,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전면부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빛의 확산을 유도가능한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부는,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반사면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유도옵틱부는, 상기 제2광원부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아우터렌즈부를 투과하는 광경로 상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불투명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가장자리부를 커버하는 누광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광방지부는,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렌즈누광방지부; 및 상기 제1광원부를 전방에서 커버하는 광원누광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광원부와 상기 제2광원부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광원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2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1모드; 상기 제2광원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1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2모드; 및 상기 제1광원부와 상기 제2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광원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2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1모드; 상기 제2광원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1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2모드; 상기 제1광원부와 상기 제2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3모드; 및 상기 제1광원부와 상기 제2광원부를 함께 점등시키는 제4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은, 아우터렌즈부 상에 라이트가이드의 광학 작용을 구현하는 광유도옵틱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아우터렌즈부와 라이트가이드를 별도로 제작, 조립하는 기존의 실시예와 비교해, 부품수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설계 및 제작 용이성과 생산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광유도옵틱부를 아우터렌즈부의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하면, 차량의 좌측 램프에 적용하더라도 차량의 좌측에서는 물론 차량의 우측에서도 빛의 점등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아우터렌즈부 상에 광유도옵틱부를 요철되게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시인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에서 조사된 빛의 진행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복잡한 광학구조를 가지고, 외관 디자인의 심미성을 구현하는데 제한이 있었던 기존의 아우터렌즈부 및 차량용 램프 유닛과 비교해, 보다 적은 수의 광원과 광학부품으로 출사 범위 및 시인성을 보다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우터렌즈부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하거나, 원하는 3차원 형상으로 보다 자유롭게 적용가능하여 디자인 다양화 및 심미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턴시그널 기능을 구현하고 하는 경우에는 제1광원부와 제2광원부 중 일측을 점등시키고, 주간 주행등의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광원부와 제2광원부 중 타측을 점등시키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점등 모드로 운용가능하여, 기능별 점등 차별화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원부를 점등시킨 상태에서는 제1광원부에서 조사된 빛의 색상과, 광유도옵틱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부 배광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2광원부를 점등시킨 상태에서는 제2광원부에서 조사된 빛의 색상과, 베젤 등에 의해 형성되는 광안내영역에 대응되는 형상 내지 아우터렌즈부와 광유도옵틱부 전체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외부 배광이 주요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이 제1모드로 운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이 제1모드로 운용된 상태에서의 주요 광경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이 제2모드로 운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이 제2모드로 운용된 상태에서의 주요 광경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D-D'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은 아우터렌즈부(10), 광유도옵틱부(20), 제1광원부(30), 제2광원부(40), 누광방지부(50), 하우징부(60), 베젤(bezel)(71),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아우터렌즈부(10)는 차량용 램프 외부로의 배광이 최종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차량용 램프의 외관을 이루는 장치부로, 제1광원부(30)와 제2광원부(40)에서 조사된 빛은 최종적으로 아우터렌즈부(10)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광된다. 아우터렌즈부(10)는, 차량의 전방램프에 적용됨에 있어서는 전방으로 빛을 배광하는 램프의 전면부를 이루게 되고, 차량의 후방램프에 적용됨에 있어서는 후방으로 빛을 배광하는 램프의 후면부를 이루게 된다.
아우터렌즈부(10)는 빛이 투광가능한 투명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차량의 설계 사양, 디자인 등에 따라 다양한 2차원 내지 3차원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아우터렌즈부(10)가 이러한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는 것은, 차량의 좌우방향, 상하방향, 전후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차량용 램프의 외부로 빛의 출사가 이루어지는 방향을 전방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광유도옵틱부(20)는 전반사에 의해 아우터렌즈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행되는 광경로를 형성하는 장치부로, 아우터렌즈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라이트가이드의 구조를 가지고 아우터렌즈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광유도옵틱부(20)는 아우터렌즈부(10)의 일부에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표현으로는 아우터렌즈부(10)의 일부를 요철되게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유도옵틱부(20)는 아우터렌즈부(10)의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까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을 차량의 좌측부에 장착하는 경우, 광유도옵틱부(20)에 의해 차량의 좌측에서는 물론 차량의 우측에서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유도옵틱부(20)는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와 반사홈부(24)를 포함한다.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는 아우터렌즈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광원부(30)서 발산된 빛은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일단부를 통해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내부로 입사되고, 전반사 등의 광학적 작용에 의해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연장방향을 따라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타단부를 향해 진행되는 광 경로를 가진다.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렌즈부(10)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1광원부(30)가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 제1광원부(30)에서 발산된 빛은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우측단부를 통해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내부로 입사되고,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연장방향을 따라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좌측단부를 향해 진행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는 빛이 반사되는 반사면부(22)와, 반사면부(22)에서 반사된 빛이 투과되는 투광부(23)를 포함한다. 투광부(23)는 반사면부(22)의 전방에 마주하여 배치된다. 반사면부(22)와 투광부(23)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반사면부(22)는 아우터렌즈부(10)의 후면부 상에 아우터렌즈부(10)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반사면부(22)는 아우터렌즈부(10)의 후면부 상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투광부(23)는 아우터렌즈부(10)의 전면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반사홈부(24)는 반사면부(22)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를 통과하는 빛의 진행방향을 전방으로 유도한다.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내부로 입사된 빛은 반사면부(22)에서 투광부(23)측으로 전반사되고, 투광부(23)에서 다시 반사면부(22)측으로 전반사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하며,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행된다. 반사홈부(24)에 도달된 빛은 산란 및 반사되며, 투광부(23)를 향하는 전방으로 진행되고, 투광부(23)를 투과하여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외부로 출사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제1광원부(30)에서 입사된 빛은 전체적으로 반사홈부(24)의 배치 영역에 해당되는 면광의 형태를 이루어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외부로 출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광부(23)는 아우터렌즈부(10)의 전면부 상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빛의 확산을 유도가능한 곡면을 이루어 형성된다. 투광부(23)의 곡면 형상에 따라 빛의 투광 방향이 연속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23)를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게 형성하면, 전방으로의 직선 경로를 가지는 빛의 진행방향을 상호 교차되거나 배향되는 상하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투광부(23)의 작용에 의해 광유도옵틱부(20)를 통과하는 빛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호 혼합된 상태로 그 출사가 최종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광유도옵틱부(20)의 전반에 걸쳐 균일한 광도로 빛의 출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유도옵틱부(2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형태를 가지는 2개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광유도옵틱부(20)의 연장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인성,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다른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개소에 형성되거나, 또는 3개 이상이 설정방향으로 설정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제1광원부(30)는 광유도옵틱부(20)의 연장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고, 광유도옵틱부(20)로 배광한다. 제1광원부(30)에서 조사된 빛은 광유도옵틱부(20)의 연장방향 일단부로 입사되고, 광유도옵틱부(20)의 연장방향 타단부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전반사에 의해 아우터렌즈부(10)측으로, 즉 전방으로 그 진행방향이 전환된다.
제1광원부(30)는 광유도옵틱부(20)와 이웃하여 배치되고, 제1광원부(30)에서 광유도옵틱부(20)로 조사된 빛은 광유도옵틱부(20)를 통과하면서 균일하게 산란 및 확산된 후 면광으로 변환되어 출사된다. 제1광원부(30)로는 LED(light-emitting diode) 칩 등의 광원을 적용할 수 있다. LED는 점 광원으로서, 소형이며 복수의 소자를 배열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 자유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횡단면도이다.
제2광원부(40)는 아우터렌즈부(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아우터렌즈부(10)로 배광한다. 제2광원부(40)로는 도 3,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칩이나 전구(bulb) 등의 광원을 적용할 수 있다. 제2광원부(40)에서 조사된 빛은 아우터렌즈부(10)와 광유도옵틱부(20)를 두께방향으로 통과하여 전방으로 출사된다.
누광방지부(50)는 아우터렌즈부(10)의 가장자리부를 통한 빛의 손실, 즉 누광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빛의 투과가 불가능한 불투명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아우터렌즈부(10)의 가장자리부를 커버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누광은 램프의 기능을 구현하기에 유효하지 않게 빛의 배광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광방지부(50)는 렌즈누광방지부(51)와 광원누광방지부(52)를 포함한다.
렌즈누광방지부(51)는 아우터렌즈부(1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아우터렌즈부(10)의 가장자리부를 통한 광손실을 방지한다. 광원누광방지부(52)는 제1광원부(30)에서 조사된 빛이 광유도옵틱부(20)로 입사되지 않고, 아우터렌즈부(10)를 통해 차량의 전방으로 직접 배광됨에 따른 광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부로, 제1광원부(30)를 전방에서 커버하게 배치된다.
광원누광방지부(52)에 의해, 제1광원부(30)는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고, 광유도옵틱부(20)로 빛을 조사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렌즈누광방지부(51)와 광원누광방지부(52)를 유격 없이 연속되게 형성함으로써, 제1광원부(30)에서 조사된 빛의 누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누광방지부(50)는 아우터렌즈부(10)를 구성하는 사출물에 불투명한 색상의 도포제를 인쇄, 도포하는 다색 사출 공법에 의해,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는 아우터렌즈부(10)의 가장자리부 전체에 걸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누광방지부(50)는 아우터렌즈부(10)의 가장자리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불투명 소재의 부품을 아우터렌즈부(10)에 결합,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하우징부(60)는 아우터렌즈부(10)와의 사이에 제1광원부(30)와 제2광원부(40)를 수용가능한 옵틱공간부(61)를 형성한다. 베젤(71)은 제2광원부(40)에서 발산된 빛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장치부로, 아우터렌즈부(10)와 하우징부(60)의 사이에 결합되거나, 옵틱공간부(61) 상에 배치된다. 제2광원부(40)는 베젤(7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광원부(40)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LED 칩을 포함하는 경우, 도 3, 도 6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71)은 각각의 LED 칩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2광원부(40)가 하나의 전구를 포함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71)은 하나의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2광원부(40)의 수용공간부나, 제2광원부(40)에서 조사된 빛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통로를 이루는 공간부를 '광안내영역'이라 한다.
옵틱공간부(61) 상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제2광원부(40)의 후방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광원부(40)에서 발산된 빛을 아우터렌즈부(10)와 광유도옵틱부(20)측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reflector)(7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72)는 광유도옵틱부(20)의 후방에 배치됨에 따라, 제1광원부(30)에서 발산된 후 광유도옵틱부(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사면부(22) 또는 반사홈부(24)를 투광하게 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또한, 제2광원부(40)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플렉터(72) 외에, 광유도옵틱부(20)의 반사면부(22) 또는 반사홈부(24)와 접하는 리플렉터(7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광원부(30)에서 조사된 빛은 반사면부(22)나 반사홈부(24)에 형성된 리플렉터(72)에 의해 보다 고효율로 측방향으로의 진행 및 전방으로의 출사될 수 있다. 이때, 제2광원부(40)에서 조사된 빛은 반사면부(22)의 돌출된 측부나, 아우터렌즈부(10)를 경유하여 광유도옵틱부(20)로 진입된 일부가 광유도옵틱부(20)를 통해 최종 출사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이 제1모드로 운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이 제1모드로 운용된 상태에서의 주요 광경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0은 도 9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이 제2모드로 운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이 제2모드로 운용된 상태에서의 주요 광경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D-D'선 단면도이다.
제어부(80)는 제1광원부(30)와 제2광원부(40)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한다. 제어부(80)는 제1광원부(30)를 점등시키고, 제2광원부(40)를 소등시키는 제1모드와, 제2광원부(40)를 점등시키고, 제1광원부(30)를 소등시키는 제2모드와, 제1광원부(30)와 제2광원부(40)를 소등시키는 제3모드와, 제1광원부(30)와 제2광원부(40)를 함께 점등시키는 제4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운용한다.
예를 들어, 턴시그널(turn signal)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모드로 운용하고, 주간 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모드로 운용하고, 그 외 다른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나 완전 소등을 원하는 경우에는 제3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외 필요 시, 비상 시 등에는 시인성이 가장 강한 제4모드를 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80)가 제1모드로 운영 중인 상태에서, 즉 제1광원부(30)를 점등시키고, 제2광원부(40)를 소등시킨 상태에서, 제1광원부(30)에서 조사된 빛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유도옵틱부(20)에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 최종적으로 출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광원부(30)에서 발산된 빛은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유도옵틱부(20)의 일단부를 통해 광유도옵틱부(20)의 내부로 입사되고, 전반사 등의 광학적 작용에 의해 광유도옵틱부(20)의 연장방향을 따라 광유도옵틱부(20)의 타단부를 향해 진행되는 제1광경로와, 반사홈부(24)의 반사작용에 의해 전방으로 진행되는 제2광경로를 거친다. 빛이 제2광경로로 진행됨에 있어서는 투광부(23)의 광혼합 및 광확산 작용에 의해 광유도옵틱부(20)의 전반에 걸쳐 균일한 광도로 빛의 출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어부(80)가 제2모드로 운영 중인 상태에서, 즉 제2광원부(40)를 점등시키고, 제1광원부(30)를 소등시킨 상태에서, 제2광원부(40)에서 조사된 빛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71)의 광안내영역과, 광유도옵틱부(20)에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 최종적으로 출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유도옵틱부(20)는 제2광원부(40)에서 발산된 빛이 아우터렌즈부(10)를 투과하는 광경로 상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된다. 이는 전방에서 볼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유도옵틱부(20)의 일부 또는 전체가 광안내영역과 중첩되는 것을 의미한다.
광유도옵틱부(20)의 일부가 광안내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광안내영역과 광유도옵틱부(20)를 합한 영역에 걸쳐 출사가 이루어지므로, 보다 넓은 출사영역을 구현할 수 있어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유도옵틱부(20)의 전부가 광안내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제4모드로 운영 중인 상태에서 광안내영역의 내부에 광유도옵틱부(20)에 해당되는 영역에 걸쳐 제1광원부(30)와 제2광원부(40)에서 조사된 빛을 합한 만큼의 광도나 색상을 아우터렌즈부(10)와 차이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제2광원부(40)에서 발산된 빛은 도 12,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는 아우터렌즈부(10)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진행되고, 다른 일부는 광유도옵틱부(20)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진행되되, 투광부(23)의 광혼합 및 광확산 작용에 의해 광유도옵틱부(20)의 전반에 걸쳐 균일한 광도로 빛의 출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어부(80)가 제4모드로 운영 중인 상태에서, 즉 제1광원부(30)와 제2광원부(40)를 함께 점등시킨 상태에서, 제1광원부(30)와 제2광원부(40)에서 조사된 빛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71)의 광안내영역과, 광유도옵틱부(20)에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 최종적으로 출사가 이루어지되, 광유도옵틱부(20)에 대응되는 영역의 광도가 제2모드에 비해 보다 상승되거나, 아우터렌즈부(10)에 대응되는 영역과 광유도옵틱부(20)에 대응되는 영역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표현된다.
예를 들어, 아우터렌즈부(10)와 광유도옵틱부(20)가 무색의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고, 제1광원부(30)와 제2광원부(40)가 각각 적색과 노랑색의 빛을 발광하는 경우, 제1모드에서는 적색의 빛을, 제2모드에서는 노랑색의 빛을 출사하게 되고, 제3모드에서는 아우터렌즈부(1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노랑색의 빛을, 광유도옵틱부(2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노랑색과 적색이 혼합된 주황색의 빛을 출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유닛에 의하면, 아우터렌즈부(10) 상에 라이트가이드의 광학 작용을 구현하는 광유도옵틱부(2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아우터렌즈부(10)와 라이트가이드를 별도로 제작, 조립하는 기존의 실시예와 비교해, 부품수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설계 및 제작 용이성과 생산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광유도옵틱부(20)를 아우터렌즈부(10)의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하면, 차량의 좌측 램프에 적용하더라도 차량의 좌측에서는 물론 차량의 우측에서도 빛의 점등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아우터렌즈부(10) 상에 광유도옵틱부(20)를 요철되게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시인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에서 조사된 빛의 진행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복잡한 광학구조를 가지고, 외관 디자인의 심미성을 구현하는데 제한이 있었던 기존의 아우터렌즈 및 차량용 램프 유닛과 비교해, 보다 적은 수의 광원과 광학부품으로 출사 범위 및 시인성을 보다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우터렌즈부(10)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하거나, 원하는 3차원 형상으로 보다 자유롭게 적용가능하여 디자인 다양화 및 심미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턴시그널 기능을 구현하고 하는 경우에는 제1광원부(30)와 제2광원부(40) 중 일측을 점등시키고, 주간 주행등의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광원부(30)와 제2광원부(40) 중 타측을 점등시키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점등 모드로 운용가능하여, 기능별 점등 차별화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원부(30)를 점등시킨 상태에서는 제1광원부(30)에서 조사된 빛의 색상과, 광유도옵틱부(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부 배광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2광원부(40)를 점등시킨 상태에서는 제2광원부(40)에서 조사된 빛의 색상과, 베젤(71) 등에 의해 형성되는 광안내영역에 대응되는 형상 내지 아우터렌즈부(10)와 광유도옵틱부(20) 전체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외부 배광이 주요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아우터렌즈부 20 : 광유도옵틱부
21 : 라이트가이드본체부 22 : 반사면부
23 : 투광부 24 : 반사홈부
30 : 제1광원부 40 : 제2광원부
50 : 누광방지부 51 : 렌즈누광방지부
52 : 광원누광방지부 60 : 하우징부
61 : 옵틱공간부 71 : 베젤
80 : 제어부

Claims (12)

  1. 아우터렌즈부;
    상기 아우터렌즈부 상에 형성되고, 전반사에 의해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진행되는 광경로를 형성하는 광유도옵틱부;
    상기 광유도옵틱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광유도옵틱부로 배광하는 제1광원부; 및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렌즈부로 배광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옵틱부는,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라이트가이드본체부; 및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를 통과하는 빛의 진행방향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반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는,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후면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반사홈부가 형성되는 반사면부; 및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전면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반사면부에서 반사된 빛이 투광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부는,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후면부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전면부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빛의 확산을 유도가능한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반사면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옵틱부는,
    상기 제2광원부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아우터렌즈부를 투과하는 광경로 상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불투명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가장자리부를 커버하는 누광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광방지부는,
    상기 아우터렌즈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렌즈누광방지부; 및
    상기 제1광원부를 전방에서 커버하는 광원누광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부와 상기 제2광원부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광원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2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1모드;
    상기 제2광원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1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2모드; 및
    상기 제1광원부와 상기 제2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광원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2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1모드;
    상기 제2광원부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1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2모드;
    상기 제1광원부와 상기 제2광원부를 소등시키는 제3모드; 및
    상기 제1광원부와 상기 제2광원부를 함께 점등시키는 제4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유닛.
KR1020190071392A 2019-06-17 2019-06-17 차량용 램프 유닛 KR20200143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392A KR20200143832A (ko) 2019-06-17 2019-06-17 차량용 램프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392A KR20200143832A (ko) 2019-06-17 2019-06-17 차량용 램프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832A true KR20200143832A (ko) 2020-12-28

Family

ID=7408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392A KR20200143832A (ko) 2019-06-17 2019-06-17 차량용 램프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38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41565A1 (en) * 2021-04-22 2022-10-27 Harman Professional Denmark Aps Illumination device with light source emulation effe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41565A1 (en) * 2021-04-22 2022-10-27 Harman Professional Denmark Aps Illumination device with light source emulation effect
US11835219B2 (en) * 2021-04-22 2023-12-05 Harman Professional Denmark Aps Illumination device with light source emulation eff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0103A1 (en) Vehicle lamp unit
JP6325087B2 (ja) 自動車用の照明装置
JP6264789B2 (ja) 車両用灯具
JP7011443B2 (ja) 車両用灯具
KR20170047564A (ko)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EP3988840A1 (en) Vehicle lamp
JP2012064533A (ja) 車両用灯具
JP2013073687A (ja) 車両用灯具
CZ2016176A3 (cs) Světelné zařízení, zejména signální svítilna pro motorová vozidla
CN109945134A (zh) 具有处于不同亮度水平的部段的车灯
JP2022127302A (ja) 車両用灯体装置
CN112443812A (zh) 转向信号灯
JP7440315B2 (ja) 車両用灯具
JP7483523B2 (ja) 車両用灯具
KR20200143832A (ko) 차량용 램프 유닛
JP6221438B2 (ja) 車両用灯具
JP2015008111A (ja) 線状導光体を用いた複合ランプ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灯具
CN106322268B (zh) 车辆、灯具***及其灯具装置
TWM549174U (zh) 汽車尾燈
JP6918653B2 (ja) 車両用灯具
CN110805872A (zh) 车用照明装置
JP6648428B2 (ja) 車両用灯具
JP2010105426A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ランプ
JP7243114B2 (ja) 車両用灯具
JP2010170983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