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054A -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054A
KR20200140054A KR1020190066768A KR20190066768A KR20200140054A KR 20200140054 A KR20200140054 A KR 20200140054A KR 1020190066768 A KR1020190066768 A KR 1020190066768A KR 20190066768 A KR20190066768 A KR 20190066768A KR 20200140054 A KR20200140054 A KR 20200140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rking lot
information
demand
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456B1 (ko
Inventor
구자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45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5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the POI's being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FEE}
본 발명은 주차 요금을 안내하는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화석 연료, 전기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운송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차량은 정해진 목적지까지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함으로써, 탑승객이나 탑재된 물류를 목적지까지 빠르고 정확하게 운송할 수 있다.
운송을 마친 차량은 이후의 운송을 수행하기 전까지 정지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은 주차의 용도로서 정해지지 않은 도로 상에 임시로 정차하거나, 주차를 위해 마련된 주차장 내에 위치함으로써 안전하기 주차를 완료할 수 있다.
이 때, 주차장은 위치, 규모, 시설 등에 따라 각각의 요금을 정하고 있으며, 운전자는 자신의 조건에 맞는 주차장을 선택하여 미리 정해진 요금을 지불하고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이처럼, 주차장의 요금은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어, 효율적인 수요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허공보, 제 10-1694001호 (2017.01.02.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따라 예측된 주차장의 수요를 이용하여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고, 결정된 요금에 대한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할인율을 기준 요금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정 정보로부터 회원 등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회원 등급에 따라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상기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요금 안내 요청으로부터 예상 주차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주차 시간 동안의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주차장 내 주차 구획 각각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은, 시간에 따른 주차장 내 주차 구획의 점유율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은, 주차장의 주차 정보 및 사용자의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라미터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정보는, 주차장 정보, 입차 정보, 주차 모니터링 정보, 및 출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사전 정보 수집 기간 동안 수집된 사전 주차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에 대한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정된 요금에 따라 상기 타겟 주차장의 주차 예약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타겟 주차장을 예약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주차장에 대한 예약 확정 안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되면, 상기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예측부;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장의 수요를 미리 예측해봄으로써, 예측된 수요에 적합한 요금을 결정할 수 있어, 주차 요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내 주차장 수요가 반영된 주차 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주차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주차 요금 안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할인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된 이용 시간대 별 주차 요금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주차 요금 안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주행 요금 안내 장치는 사용자가 주차하고자 하는 타겟 지역 내에 존재하는 타겟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안내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운전자는 최종 목적지까지의 주행을 완료하더라도, 최종 목적지에 주차장과 같은 별도의 주차 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는 최종 목적지 주변의 주차장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운전자는 탐색된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한 후, 최종 목적지까지 도보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차량이 주행을 완료하는 위치는 최종 목적지 주변의 주차장이 될 수 있다.
이 때, 목적지 주변에 복수의 주차장이 존재하는 경우, 운전자는 주차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보 거리, 주차장 내 혼잡 정도 등 다양한 주차 환경을 고려하여 차량을 주차할 주차장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는 주차장 이용에 따른 주차 요금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차량을 주차할 주차장을 선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개별 주차장은 단일 주차 요금 체계를 유지하거나, 주차장 내 구역별, 시간대별로 차등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그러나, 차등 요금을 부과하는 경우라도, 미리 정해진 차등 요금 기준하에서 요금제가 운영될 뿐이므로, 실제 주차장의 수요가 반영된 주차 요금을 관리할 수 없다.
또한, 운전자 역시 고정된 요금 체계하에서 주차장 선택의 폭이 좁아, 주차장 선택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는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따라 예측된 주차장의 수요를 이용하여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고, 결정된 요금에 대한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통신부(110), 예측부(120), 결정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 T 로부터 주차 관련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 T 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주차 요금에 대한 주차 요금 정보를 요청하는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대응되는 주차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기 T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주차 예약 요청을 수신하여, 타겟 주차장에 대한 예약 확정 안내를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주차장 내 마련된 게이트웨이 G 로부터 해당 주차장에 대한 주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정보란 특정 주차장의 주차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하고, 주차장 정보, 입차 정보, 주차 모니터링 정보, 및 출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는 주차장 명, 위치, 영업시간, 주차 구획의 수(층별, 가용 구획의 수), 상면 구성도(장애인 주차, 여성우선 주차, EV 차량 주차, 공유 차량 주차 등), 주차 옵션(차종, 할인 범위), 주차 요금(고정 요금, 동적 요금, 제휴 옵션, 프로모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차 정보는 입차 시간, 입차 위치(게이트 정보), 입차 사진/비디오, 회원 정보, 예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에에 따른 주차 모니터링 정보는 주차 시간, 주차 위치(상면 정보, 층), 주차 사진/ 비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에에 따른 출차 정보는 출차 시간, 출차 위치(게이트 정보), 출차 사진/비디오, 회원 정보, 정산 정보 등을 포함하고, 정산 정보는 차량 번호, 주차 정보, 정산 금액, 정산 여부, 정산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 T 및 주차장 내 게이트웨이 G 와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CDMA, GSM, W-CDMA, TD-SCDMA, WiBro, LTE, 5G 등과 같은 셀룰러 이동 통신 방법, 또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사용자 단말기 T 및 게이트웨이 G 와 통신할 수 있다. 다만, 통신부(210)가 사용자 단말기 T 및 게이트웨이 G 와 통신하는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측부(120)는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요 예측 모델이란 시간에 따른 특정 주차장 내 주차 구획의 점유율을 예측하는 모델로서, 미리 정해진 사전 정보 수집 기간 동안 수집된 사전 주차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은 통신부(110)에 의해 수집된 주차장의 주차 정보 및 사용자의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라미터로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차장 예측 수요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계정 정보는 ID, 상세 정보, 차량 번호, 차량 정보, 결제 설정 정보, 예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세 정보는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회원 가입일 등을 포함하고, 차량 정보는 등록 차량 수, 차량 번호, 차량 브랜드, 차량명, 차량 연식 등을 포함하고, 결제 설정 정보는 기본 결제 유형(쿠폰, 카드, 포인트), 포인트, 할인 설정(장애인, 경차, 다가족 등), 보유 쿠폰(정기권, 일일권, 반일권, 횟수), 앱결제 설정(카드 번호, 카드사, 유효기간) 등을 포함하고, 예약 정보는 예약 여부, 예약 정보(일시, 대상 주차장), 예약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요 예측 모델은 타겟 주차장 전체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거나, 각각의 층, 각각의 내부 구역, 각각의 주차 구획 별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주차 요금 안내 요청 내 예상 주차 시간이 포함된 경우, 예측부(120)는 예상 주차 시간을 수요 예측 모델에 입력하여, 예상 주차 시간 동안의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결정부(130)는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할 수 있다.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기 위해, 결정부(130)는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할인율을 기준 요금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예측된 복수의 수요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할인율이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130)는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기 위해, 계정 정보로부터 회원 등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정부(130)는 확인된 회원 등급에 따라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이용 요금을 높게 지불하는 높은 등급의 사용자에 대해서는 높은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 내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T로 제공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각 구성 중 적어도 하나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다양한 프로세서(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각 구성 중 적어도 두 개가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 T 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주차 요금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타겟 지역 내의 주차장에 대한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 T 에 입력하고, 사용자 단말기 T 는 입력된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을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 의 통신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이 수신되면,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 G 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0). 구체적으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주차 요금 안내 요청 내 포함된 타겟 지역을 확인하고, 타겟 지역 내 타겟 주차장에 마련된 게이트웨이 G 로 주차 정보 요청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통신부(110)는 타겟 주차장 내 마련된 게이트웨이 G 로부터 타겟 주차장에 대한 주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S120).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요 예측 모델이란 시간에 따른 특정 주차장 내 주차 구획의 점유율을 예측하는 모델로서, 미리 정해진 사전 정보 수집 기간 동안 수집된 사전 주차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예측부(120)는 통신부(110)에 의해 수집된 타겟 주차장의 주차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T 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라미터를 수요 예측 모델이 입력하고, 수요 예측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주차장 예측 수요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수요 예측 모델은 타겟 주차장 전체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거나, 각각의 층, 각각의 내부 구역, 또는 각각의 주차 구획 별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주차 요금 안내 요청 내 예상 주차 시간이 포함된 경우, 예측부(120)는 예상 주차 시간을 수요 예측 모델에 입력하여, 예상 주차 시간 동안의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한 후,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할 수 있다(S130). 구체적으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결정부(130)는 먼저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결정부(130)는 계정 정보로부터 회원 등급을 확인한 후, 확인된 회원 등급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할 수 있다.
할인율이 결정되면, 결정부(130)는 결정된 할인율을 기준 요금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예측된 복수의 수요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할인율이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할인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 예측 모델은 x축을 시간축으로 하고, y축을 주차 구획 점유율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결정부(130)는 점유율을 0% 내지 V1의 제 1 점유율 구간, V1 내지 V2의 점유율 구간 및 V2 내지 100%까지의 제 3 점유율 구간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간 별로 서로 다른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130)는 제 1 점유율 구간에서는 가장 높은 제 1 할인율을 적용하여 주차장 요금을 낮추고, 제 2 점유율 구간에서는 제 1 할인율보다 낮은 제 2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반면, 결정부(130)는 제 3 점유율 구간에서는 별도의 할인 없이 기준 요금을 부과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T 로 제공할 수 있다(S140).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 T 는 주차 요금 정보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기초로 타겟 지역 내 타겟 주차장 중 차량을 주차할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타겟 주차장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에 대한 예약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 T 로부터 결정된 요금에 따라 타겟 주차장의 주차 예약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 다음,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타겟 주차장을 예약 상태로 변경한 후, 타겟 주차장에 대한 예약 확정 안내를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 T 에 의해 주차 요금 정보가 제공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된 이용 시간대 별 주차 요금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5는 도 3의 수요 예측 모델을 따르며, 도 4는 오후 5시 내지 오후 6시를 예상 주차 시간으로 하는 경우이고, 도 5는 오전 10시 내지 오전 11시를 예상 주차 시간으로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 T 는 입력 오브젝트 I1을 통해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입력 오브젝트 I1을 통해 입력되는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은 타겟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타겟 지역은 타겟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 T 로부터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하여, 타겟 지역 내 타겟 주차장에 대한 주차 요글을 결정하고, 결정된 주차 요금을 포함하는 주차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T 는 제공 받은 타겟 주차장에 대한 주차 요금 정보를 도 4와 같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사용자 단말기 T 에 의해 세 개의 타겟 주차장 각각의 주차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타겟 주차장의 주차 요금 리스트 FM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사용자는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사용자 단말기 T 에 의해 세 개의 타겟 주차장 중 A 주차장에 대한 예약 안내 오브젝트 FA가 함께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사용자는 A 주차장에 주차 예약을 원하는 경우, 예약 안내 오브젝트 FA 내 구매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주차 요금 6,000원 에 따라 타겟 주차장인 A 주차장의 주차 예약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도 3을 참조하면, 오후 5시는 제 3 점유율 구간에 해당하여, 도 4의 사용자 단말기 T 는 A 주차장의 요금으로서 기본 요금인 6,000원을 주차 요금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반면, 오전 10시는 제 1 점유율 구간에 해당하여, 기본 요금에 가장 높은 제 1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 단말기 T 는 A 주차장의 요금으로서 가장 높은 할인율이 적용된 3,000원을 주차 요금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은, 주차장의 수요를 미리 예측해봄으로써, 예측된 수요에 적합한 요금을 결정할 수 있어, 주차 요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내 주차장 수요가 반영된 주차 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주차 편의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는,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는,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은 댁내 또는 산업 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100: 주차 요금 안내 장치
110: 통신부
120: 예측부
130: 결정부
140: 제어부

Claims (13)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할인율을 기준 요금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정 정보로부터 회원 등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회원 등급에 따라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상기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요금 안내 요청으로부터 예상 주차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주차 시간 동안의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주차장 내 주차 구획 각각의 수요를 예측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은,
    시간에 따른 주차장 내 주차 구획의 점유율을 예측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은,
    주차장의 주차 정보 및 사용자의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라미터로 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정보는,
    주차장 정보, 입차 정보, 주차 모니터링 정보, 및 출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사전 정보 수집 기간 동안 수집된 사전 주차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에 대한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정된 요금에 따라 상기 타겟 주차장의 주차 예약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타겟 주차장을 예약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주차장에 대한 예약 확정 안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1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되면, 상기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예측부;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90066768A 2019-06-05 2019-06-05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35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768A KR102350456B1 (ko) 2019-06-05 2019-06-05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768A KR102350456B1 (ko) 2019-06-05 2019-06-05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054A true KR20200140054A (ko) 2020-12-15
KR102350456B1 KR102350456B1 (ko) 2022-01-14

Family

ID=7378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768A KR102350456B1 (ko) 2019-06-05 2019-06-05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3269A (zh) * 2023-06-13 2023-07-14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基于大数据的片区式无人驾驶车辆停车场收费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6521A (ja) * 2000-03-10 2001-09-21 Toshiba Corp 駐車場の料金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6045806A (ja) * 2014-08-25 2016-04-04 日本信号株式会社 駐車場予約システム
KR101694001B1 (ko) 2015-05-29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상태에서의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20170048146A (ko) * 2015-10-23 2017-05-08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406732B1 (ja) * 2017-12-28 2018-10-17 株式会社マクシー 駐車場貸出し・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6521A (ja) * 2000-03-10 2001-09-21 Toshiba Corp 駐車場の料金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6045806A (ja) * 2014-08-25 2016-04-04 日本信号株式会社 駐車場予約システム
KR101694001B1 (ko) 2015-05-29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상태에서의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20170048146A (ko) * 2015-10-23 2017-05-08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406732B1 (ja) * 2017-12-28 2018-10-17 株式会社マクシー 駐車場貸出し・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3269A (zh) * 2023-06-13 2023-07-14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基于大数据的片区式无人驾驶车辆停车场收费方法及装置
CN116433269B (zh) * 2023-06-13 2023-08-18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基于大数据的片区式无人驾驶车辆停车场收费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456B1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53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ation
US20190347870A1 (en) Methods and systems of managing parking space occupancy
JP6601759B2 (ja) 車両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95079B1 (ja) 相乗り支援システム、携帯端末、プログラム、相乗り支援方法、および賃貸借支援システム
US8912924B2 (en) Authorization of service using vehicle information and/or user information
KR101343102B1 (ko)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40350979A1 (en) Multi-modal journey planning and payment
JP710298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88662B2 (ja) 共用車両管理装置及び共用車両管理方法
JP2019028630A (ja) 施設管理装置、施設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00815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
JP2019070966A (ja) 駐車区画提供方法、駐車区画提供システム、駐車区画提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350456B1 (ko)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70027336A (ko)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택시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973643B (zh) 自动驾驶车辆的管理装置
JP202103386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05889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intaining Moving Object, and Moving Object
US20220058761A1 (en) Method of returning a moving object for a fleet system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KR101924346B1 (ko) 실시간 차량 예약 관리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070109529A (ko) 주차장 온라인 관리 장치와 주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주차장 온라인 운영 시스템
KR102621716B1 (ko) 스마트 톨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9266124A (ja) 車両管理装置、車載電子機器、車両管理サーバ、車両管理方法、車両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200461B1 (ko) 주차 안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주행 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22073556A (ja) 管理装置および管理方法
JP2021135692A (ja) サーバ、配車方法、配車プログラム、及び、配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