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488A - 이동식 계단 - Google Patents

이동식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488A
KR20200134488A KR1020190059999A KR20190059999A KR20200134488A KR 20200134488 A KR20200134488 A KR 20200134488A KR 1020190059999 A KR1020190059999 A KR 1020190059999A KR 20190059999 A KR20190059999 A KR 20190059999A KR 20200134488 A KR20200134488 A KR 20200134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aircase
upper plate
movab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현
임희용
김태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개발
Priority to KR102019005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488A/ko
Publication of KR20200134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 구조의 상층 플레이트와 하층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계단에 있어서, 상기 상층 플레이트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계단 본체; 상기 계단 본체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롤러; 및 상기 상층 플레이트와 상기 하층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벽면에 배치되고, 상기 계단 본체의 상기 일단부와 대향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계단 본체는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상층 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계단{Movable stairs}
본 발명은 계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으로 이루어진 주택의 내부에는 하층과 상층을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이 설치된다. 이러한 실내 계단은 하층과 상층을 연결하는 이동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하층과 상층을 연결하는 실내 계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하여,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계단에서 떨어져 상해를 입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층과 상층을 연결하는 실내 계단을 소정이 경사각이 유지되도록 설치하였다. 그러나, 경사각을 가지는 실내 계단은 계단 아래의 공간을 활용할 수 없어 실내 공간이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계단의 아래의 공간과 계단 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이동식 계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복층 구조의 상층 플레이트와 하층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계단에 있어서, 상기 상층 플레이트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계단 본체; 상기 계단 본체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롤러; 및 상기 상층 플레이트와 상기 하층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벽면에 배치되고, 상기 계단 본체의 상기 일단부와 대향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계단 본체는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상층 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층 플레이트와 상기 제1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상층 플레이트와 상기 제1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1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재는 상기 제1공간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층 플레이트와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하층 플레이트와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2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2공간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계단 본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계단 본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 본체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 본체는 복수개의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단 본체는 상기 계단 본체의 발판부에 고정되는 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계단 본체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계단의 아래의 공간과 계단 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이동식 계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계단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계단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계단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계단의 동작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계단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계단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계단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계단은 복층 구조에 설치되는 계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계단은 복층 구조의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계단은 복층 구조의 상층 플레이트(10)와 하층 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계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계단은 복층 구조의 상층 슬라브와 하층 슬라브를 연결하는 계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계단은 제1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상층 플레이트(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상층 플레이트(10)의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일단은 상층 플레이트(10)와 하층 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타단은 하층 플레이트(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아래에는 제2프레임(2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제2프레임(200)과 대향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계단 본체(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상층 플레이트(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최상단의 상면은 상층 플레이트(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최상단의 상면은 상층 플레이트(1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상층 플레이트(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최상단은 상층 플레이트(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최상단의 상면은 상층 플레이트(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최상단의 상면은 상층 플레이트(10)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하면은 계단 본체(30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하면은 계단 본체(300)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하면은 계단 본체(30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하면은 계단 본체(300)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제1이동부재(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부재(110)은 상층 플레이트(10)와 제1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이동부재(11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이동부재(110)는 수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부재(110)는 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부재(110)는 사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부재(110)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부재(110)는 제1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부재(110)는 제1프레임(100)과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동부재(110)는 조립을 통해 제1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이동부재(110)는 제1공간부(600)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공간부(600)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동식 계단은 제2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상층 플레이트(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제1프레임(1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계단 본체(300)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제1프레임(100)과 대향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의 일단은 상층 플레이트(10)와 하층 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의 타단은 하층 플레이트(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계단 본체(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의 하면은 계단 본체(30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의 상면은 계단 본체(300)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의 하면은 계단 본체(300)와 접촉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의 상면은 계단 본체(30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제2이동부재(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부재(210)은 하층 플레이트(20)와 제2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이동부재(21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이동부재(210)는 수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부재(210)는 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부재(210)는 사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부재(210)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동부재(210)는 제2프레임(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동부재(210)는 제2프레임(200)과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이동부재(210)는 조립을 통해 제2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이동부재(210)는 제2공간부(700)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동식 계단은 계단 본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아래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상부 플레이트(10)와 중첩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적어도 일부와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제1프레임(1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제2프레임(2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의 최상단의 상면은 상층 플레이트(10)와 접촉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복수개의 발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난간(340)을 포함할 수 있다. 난간(340)는 계단 본체(300)의 발판부(330)에 고정될 수 있다. 난간(340)은 계단 본체(300)의 발판부(33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난간(340)은 계단 본체(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난간(340)는 계단 본체(300)와 별도로 제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난간(340)은 필요에 따라 계단 본체(3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난간(34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난간(340)의 하부는 계단 본체(300)의 발판부(330)에 결합되고, 난간(340)의 상부는 상층 플레이트(10)의 위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층에서 난간(340)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계단 본체(300)를 상층 플레이트(1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난간(340)은 사용자가 이동시에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계단 본체(300)의 일단부(310)에는 롤러(400)가 배치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의 일단부(310)에는 롤러(4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러(400)가 레일(500) 상에서 회전 구동 할 수 있다. 즉, 계단 본체(300)에 결합된 롤러(400)가 레일(500) 상에서 회전 구동함에 따라 계단 본체(30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0)의 아래에 배치되는 계단 본체(300)가 상부 플레이트(10)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의 일단부(310)는 레일(500)과 대향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제1프레임(100)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계단 본체(300)는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제2프레임(200)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계단 본체(300)는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계단 본체(300)는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부 플레이트(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계단 본체(300)를 통해 하층에서 상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계단 본체(300)를 통해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계단 본체(300)의 타단부에는 이동수단(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동수단은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은 계단 본체(30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하층 플레이트(20)와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은 힘으로도 계단 본체(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수단은 계단 본체(300)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계단 본체(300)를 통해 이동하는 경우, 계단 본체(300)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동수단은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식 계단은 롤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400)는 계단 본체(300)의 일단부(310)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400)는 계단 본체(300)의 일단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롤러(400)는 계단 본체(300)의 일단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러(400)는 레일(50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롤러(400)는 레일(500) 상에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롤러(400)는 레일(50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계단 본체(300)는 롤러(400)의 이동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즉, 계단 본체(300)와 롤러(400)는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롤러(400)는 계단 본체(300)의 일단부(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400)는 레일(500)상에서 직선 구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계단 본체(300)는 상부 플레이트(10)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동식 계단은 레일(50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500)은 복층 구조의 상층 플레이트(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500)은 계단 본체(300)의 일단부(310)와 대향할 수 있다. 레일(500)은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벽면(30)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500)은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벽면(30)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500)은 계단 본체(300)의 수평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방향이랑 계단 본체(30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레일(500)은 계단 본체(300)가 상부 플레이트(10)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벽면(3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동식 계단은 제1공간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간부(600)는 상층 플레이트(10)와 제1프레임(1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간부(600)는 상층 플레이트(10)의 하면과 제1프레임(100)의 상면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공간부(600)는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1공간부(600)는 계단 본체(300)가 상층 플레이트(10)의 아래로 삽입되었을 때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간부(600)는 계단 본체(300)가 상층 플레이트(10)의 외측으로 인출되었을 때에도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1공간부(600)는 제1이동부재(110)에 의해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동식 계단은 제2공간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공간부(700)는 하층 플레이트(20)와 제2프레임(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간부(700)는 하층 플레이트(20)의 상면과 제2프레임(200)의 하면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공간부(700)는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2공간부(700)는 계단 본체(300)가 상층 플레이트(10)의 아래로 삽입되었을 때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간부(700)는 계단 본체(300)가 상층 플레이트(10)의 외측으로 인출되었을 때에도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2공간부(700)는 제2이동부재(210)에 의해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동식 계단은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계단 본체를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는 사용자가 계단 본체(300)를 올라가거나 내려올 때 흔들리지 않도록 계단 본체(300)를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는 레일(500)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스토퍼는 계단 본체(300)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스토퍼는 계단 본체(300)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계단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계단의 동작도이다.
도 7은 계단 본체(300)가 상층 플레이트(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계단 본체(300)가 상층 플레이트(10)이 외부로 인출된 경우, 하층에서 상층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계단 본체(300)가 상층 플레이트(10)이 외부로 인출된 경우, 상층에서 하층로 이동 가능하다. 이때, 난간(340)은 사용자가 이동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층에 있던 사용자가 하층으로 내려올 때, 난간(340)을 밀어 계단 본체(300)를 상층 플레이트(1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도 8은 계단 본체(300)가 상층 플레이트(10)의 아래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계단 본체(300)를 밀면, 계단 본체(300)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층 플레이트(10)의 아래로 삽입될 수 있다. 즉, 계단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층 플레이트(10)의 외부로 계단 본체(300)가 인출되었던 공간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주택이나 방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계단은, 계단 본체(300)가 슬라이드 이동됨에 의해 주택이나 방의 공간 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계단 본체(300)의 위의 공간인 제1공간부(600)와, 계단 본체(300)이 아래의 공간인 제2공간부(700)를 통해 상층 플레이트(10)와 하층 플레이트(20) 사이의 공간을 수납공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상층 플레이트 20: 하층 플레이트
30: 벽면 100: 제1프레임
110: 제1이동부재 200: 제2프레임
210: 제2이동부재 300: 계단 본체
310: 계단 본체의 일단부 320: 계단 본체의 타단부
330: 발판부 340: 난간
400: 롤러 500: 레일
600: 제1공간부 700: 제2공간부

Claims (10)

  1. 복층 구조의 상층 플레이트와 하층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계단에 있어서,
    상기 상층 플레이트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계단 본체;
    상기 계단 본체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롤러; 및
    상기 상층 플레이트와 상기 하층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벽면에 배치되고, 상기 계단 본체의 상기 일단부와 대향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계단 본체는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상층 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식 계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플레이트와 상기 제1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계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상층 플레이트와 상기 제1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1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재는 상기 제1공간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이동식 계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플레이트와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계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하층 플레이트와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2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2공간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이동식 계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계단 본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식 계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계단 본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식 계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본체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식 계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본체는 복수개의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단 본체는 상기 계단 본체의 발판부에 고정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이동식 계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계단 본체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이동식 계단.
KR1020190059999A 2019-05-22 2019-05-22 이동식 계단 KR20200134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99A KR20200134488A (ko) 2019-05-22 2019-05-22 이동식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99A KR20200134488A (ko) 2019-05-22 2019-05-22 이동식 계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488A true KR20200134488A (ko) 2020-12-02

Family

ID=7379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999A KR20200134488A (ko) 2019-05-22 2019-05-22 이동식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4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75Y1 (ko) * 2021-08-17 2022-08-16 이영환 복층형 오피스텔의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75Y1 (ko) * 2021-08-17 2022-08-16 이영환 복층형 오피스텔의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US9803381B1 (en) Ramp and/or platform assembly
EP3768912B1 (en) A stair assembly, an object and a stair assembly operating method
US9650796B2 (en) Telescopic or retractable bleacher handrail and system
US11753829B2 (en) Telescopic staircase system and uses thereof
KR20200134488A (ko) 이동식 계단
KR101861107B1 (ko)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
KR102454852B1 (ko)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JP5687595B2 (ja) 建物内避難設備
KR20210000628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무대 경사로 구조체
JP4623855B2 (ja) 収容棚兼用階段
AU2021215192B2 (en) Temporary Stairway with Void Cover
CN213330139U (zh) 一种适用于老旧楼加装电梯的出行入户通道
CN211548908U (zh) 一种旧房加装电梯入户的组合式建筑结构
CA2728713A1 (en) Stair-avoiding device
US20180320383A1 (en) Elevation-type stair structure
JP7101435B1 (ja) 建物
CN214246729U (zh) 一种在原有建筑外侧加装电梯的结构
JP2003155185A (ja) 乗客輸送設備
CN213897856U (zh) 一种用于别墅的蝴蝶状楼梯
JP7361629B2 (ja) 階段構造
CN212478319U (zh) 一种二层箱式房的楼梯箱
EP1254858A1 (en) Lifting system for a stairway
US412898A (en) Stairway
GB2196035A (en) Staircases built from kit of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