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139A -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139A
KR20200132139A KR1020190057108A KR20190057108A KR20200132139A KR 20200132139 A KR20200132139 A KR 20200132139A KR 1020190057108 A KR1020190057108 A KR 1020190057108A KR 20190057108 A KR20190057108 A KR 20190057108A KR 20200132139 A KR20200132139 A KR 20200132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tooth
sliding frame
guide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수
김우건
조정오
엄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90057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2139A/ko
Publication of KR2020013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로드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사용위치를 조절함에 있어 가이드 기어와 리버싱 투스 사이의 다단화된 치결합을 통해 병진 이동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는 스테이로드(16)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18),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병진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로드(20), 상기 가이드로드(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레스트를 장착하는 슬라이딩 프레임(22),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에 설치되는 가이드 기어(24), 및 상기 가이드 기어(24)와의 치결합을 통해 헤드레스트의 병진 이동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리버싱 투스(26)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로드(20)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설치되고, 상기 리버싱 투스(26)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Translational displacement device of head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이로드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사용위치를 병진 이동의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의 시트백 부위 상단에 구비되는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후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락감을 제공하고, 충돌 및 추돌 사고시 후두부를 비롯한 경추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헤드레스트 장치에는 시트백의 상부에서 상하방향 높낮이 조절기능과 전후방향으로의 경사각 조절기능 및 전후방향으로의 위치 조절기능 등 다양한 종류의 부가기능이 함께 구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등록특허 제10-1672965호는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제1기어와 제2기어를 구비하고, 제2기어는 제1기어에 대해 이동되거나, 제2기어는 제1기어에 대해 고정되어 치합이 유지되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기어와 제2기어가 치합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이 서로 치합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고하중에 견딜 수 있으며, 일부 치형의 이탈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한 내구성이 뛰어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8-0040951호에 개시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제1링크, 제1링크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 제1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 일측이 제2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제3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를 포함하고, 제2링크에서 제1링크가 연결되는 지점과 제4링크가 연결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는 제3링크에서 제1링크가 연결되는 지점과 제4링크가 연결되는 지점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콤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동일 거리 이동시 헤드레스트의 상하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시트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종래 헤드레스트 장치에서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이동을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구성을 위한 부품이 다수의 수량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 생산성을 저해시킴과 동시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게 된다.
특히, 종래 헤드레스트 장치의 병진 이동을 위한 복잡한 구조는 장치의 전체 중량을 증대시키게 됨에 따라 운반과 조립의 전 과정에서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672965호 공개특허 제2018-004095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테이로드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사용위치를 병진 이동의 방식으로 가변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헤드레스트의 사용위치를 조절함에 있어 가이드 기어와 리버싱 투스 사이의 다단화된 치결합을 통해 병진 이동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쿠션패드의 전후방향 병진 이동을 구현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로서, 상기 스테이로드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병진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로드,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레스트를 장착하는 슬라이딩 프레임,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 기어, 및 상기 가이드 기어와의 치결합을 통해 헤드레스트의 병진 이동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리버싱 투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리버싱 투스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대해 상기 가이드로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힌지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버싱 투스는 상기 힌지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가이드로드의 설치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측벽부, 및 상기 힌지로드의 설치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제2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로드의 수용을 위한 중공형 조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형 조립부와 접촉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기어의 설치를 위해 상호 이격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안착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이드 기어는 상기 리버싱 투스와의 치접촉을 위해 일단부에 다른 치형부 보다 크기가 크게 설정되는 접촉치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힌지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리버싱 투스를 상기 가이드 기어와의 치결합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버싱 투스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1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측벽부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타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는 헤드레스트에 대한 사용위치를 병진 이동의 방식으로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고, 특히 종래 헤드레스트의 위치 조절장치에 비해 구성 부품의 수량 단축과 그에 따른 조립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이로드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수평방향 위치 조절을 구현함에 있어 록킹 및 언록킹의 구현을 위한 구성부품에 대한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전체 부품의 중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헤드레스트의 수평방향 위치를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에 최적화된 다단계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병진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가 적용되는 헤드레스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에서 쿠션패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하여 내부의 코어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어 조립체의 구성요소에 대한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코어 조립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코어 조립체를 1차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코어 조립체를 2차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코어 조립체에서 마운팅 브래킷을 제거한 내부 구조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코어 조립체에서 슬라이딩 프레임과 가이드 기어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병진운동 장치에 대한 동작상태의 단면구조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헤드레스트는 쿠션패드(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커버부재(12), 및 상기 커버부재(12)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대체로 수평하게 사용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코어 조립체(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어 조립체(14)는 시트의 백 프레임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스테이로드(16)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 조절시 상기 쿠션패드(10)의 전후방향 병진이동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도 4 내지 도 10에 각각 도시된 도면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면, 상기 코어 조립체(14)는 상기 스테이로드(16)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18),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병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이드로드(20), 상기 가이드로드(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레스트를 장착하는 슬라이딩 프레임(22),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에 설치되어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 기어(24), 및 상기 가이드 기어(24)와의 치결합을 통해 헤드레스트의 병진 이동거리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단계로 조절하는 리버싱 투스(reversing tooth; 26)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은 상기 스테이로드(16)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로드(20)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설치되며, 상기 리버싱 투스(26)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6과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하면, 상기 코어 조립체(14)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대해 상기 가이드로드(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힌지로드(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버싱 투스(26)는 상기 힌지로드(2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기어(24)와의 치결합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다만, 상기 리버싱 투스(26)는 상기 가이드 기어(24)와의 치결합이 가능한 회전 지지식 동작 구조를 갖출 수만 있다면, 상기 힌지로드(28)가 아니더라도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대해 직접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은 상기 스테이로드(16)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로드(20)의 설치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서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측벽부(18a), 및 상기 힌지로드(28)의 설치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부위에서 상호 대향하는 위치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측벽부(1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측벽부(18a)와 상기 제2측벽부(18b)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로드(20)와 상기 힌지로드(28)의 개별적인 설치를 위해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측벽부(18a)에는 상기 가이드로드(20)의 설치를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부(18b)에는 상기 힌지로드(28)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로드(20)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측벽부(18a)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 조절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은 상기 가이드로드(20)의 설치부위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병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로드(20)는 복수의 수량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안정적인 지지에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로드(20)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병진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면, 그 설치수량에 제한받지 않을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은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 조절시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병진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로드(20)의 수용에 따른 상대 이동이 가능한 결합을 위해 저면부에 중공형 조립부(22a)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공형 조립부(22a)가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저면부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가이드로드(20)와의 상대 이동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기 중공형 조립부(22a)의 수량과 형성 위치는 각각 상기 가이드로드(20)의 설치 수량과 위치에 부합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은 상기 가이드 기어(24)의 안정적인 고정 설치를 위해 저면부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안착 지지부(22b)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가이드 기어(24)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에 대해 상기 안착 지지부(22b)를 이용한 지지 구조가 아닌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다양한 결합방식을 매개로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가이드 기어(24)는 상기 리버싱 투스(26)와의 치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병진 이동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기어(24)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를 조절하기 위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의 치형부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 기어(24)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 조절시 상기 리버싱 투스(26)의 종단부와의 치접촉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전방측 일단부에 다른 치형부 보다 크기가 크게 설정되는 접촉치형부(24a)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버싱 투스(26)는 상기 힌지로드(28)에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과 일체로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 기어(24)에 형성되는 다단의 치형부와 선택적으로 치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버싱 투스(26)는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 기어(24)의 치형부와의 치결합을 위해 외부를 향해 뾰족하게 돌출되는 돌출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로드(28)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측벽부(18b)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 조절시 상기 리버싱 투스(26)는 상기 힌지로드(28)의 설치부위를 회전지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가이드 기어(24)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을 매개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어 조립체(14)는 상기 가이드로드(20)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에 대해 복원방향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30), 및 상기 힌지로드(28)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기어(24)와의 치결합 방향을 향해 상기 리버싱 투스(26)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30)는 상기 가이드로드(20)의 전장에 걸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과의 접촉을 통해 수축되었다가 외력의 제거시 탄력적으로 복원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탄성부재(32)는 상기 힌지로드(28)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리버싱 투스(26)의 회전에 따라 수축되었다가 외력의 제거시 탄력적인 복원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리버싱 투스(26)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의 제2측벽부(18b)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리버싱 투스(26)는 상기 제2탄성부재(32)의 일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1삽입홈(26a)을 구비하고, 상기 제2측벽부(18b)는 상기 제2탄성부재(32)의 타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삽입홈(18c)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제2탄성부재(32)를 이용한 상기 리버싱 투스(26)에 대한 탄력적인 설치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는 도 10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후방(우측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중공형 조립부(22a)는 상기 제1탄성부재(30)를 수축시키게 되고, 상기 가이드 기어(24)의 접촉치형부(24a)는 상기 리버싱 투스(26)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리버싱 투스(26)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30)와 상기 제2탄성부재(32)는 모두 수축된 상태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를 위한 조작을 멈추게 되면, 도 10의 (c) 또는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버싱 투스(26)는 상기 제2탄성부재(32)의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기어(24)의 치형부와의 치결합을 통해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병진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때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는 상기 가이드 기어(24)의 치형부와 상기 리버싱 투스(26) 사이의 치결합 위치에 의해 다단계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를 위한 조작을 더욱 진행하게 되면, 도 10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기어(24)는 상기 리버싱 투스(26)의 위치를 넘어 후방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리버싱 투스(26)는 상기 제2탄성부재(32)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를 위한 조작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마운팅 브래킷(18)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2)의 위치는 도 10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기어(24)의 접촉치형부(24a)는 상기 리버싱 투스(26)와의 접촉부위를 타고 전방을 향해 넘어가게 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더욱 진행되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쿠션패드 12-커버부재
14-코어 조립체 16-스테이로드
18-마운팅 브래킷 18a-제1측벽부
18b-제2측벽부 18c-제2삽입홈
20-가이드로드 22-슬라이딩 프레임
22a-중공형 조립부 22b-안착 지지부
24-가이드 기어 24a-접촉치형부
26-리버싱 투스 26a-제1삽입홈
28-힌지로드 30-제1탄성부재
32-제2탄성부재

Claims (10)

  1.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쿠션패드의 전후방향 병진 이동을 구현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로드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병진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로드;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레스트를 장착하는 슬라이딩 프레임;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 기어; 및
    상기 가이드 기어와의 치결합을 통해 헤드레스트의 병진 이동거리를 다단계로 조절하는 리버싱 투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리버싱 투스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대해 상기 가이드로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힌지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버싱 투스는 상기 힌지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가이드로드의 설치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측벽부; 및
    상기 힌지로드의 설치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제2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로드의 수용을 위한 중공형 조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형 조립부와 접촉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기어의 설치를 위해 상호 이격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안착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어는 상기 리버싱 투스와의 치접촉을 위해 일단부에 다른 치형부 보다 크기가 크게 설정되는 접촉치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힌지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리버싱 투스를 상기 가이드 기어와의 치결합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버싱 투스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1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부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타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KR1020190057108A 2019-05-15 2019-05-15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KR20200132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108A KR20200132139A (ko) 2019-05-15 2019-05-15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108A KR20200132139A (ko) 2019-05-15 2019-05-15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139A true KR20200132139A (ko) 2020-11-25

Family

ID=7364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108A KR20200132139A (ko) 2019-05-15 2019-05-15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21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4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65B1 (ko) 2016-01-11 2016-11-04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80040951A (ko) 2016-10-13 2018-04-2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65B1 (ko) 2016-01-11 2016-11-04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80040951A (ko) 2016-10-13 2018-04-2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4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2356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
RU2695548C2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гибкий закр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KR20180108955A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RU2662881C1 (ru) Узел подголовника (варианты)
KR101405995B1 (ko) 차량 시트의 레그레스트
KR101085023B1 (ko) 의자 팔걸이의 자세전환장치
KR100636402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01725413B1 (ko)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20130045407A (ko) 의자 팔걸이 조정 장치
JP6215659B2 (ja) 椅子
JP2018177018A (ja) 車両用シート
KR20200132139A (ko) 헤드레스트의 병진 변위장치
US20170152049A1 (en) Forward translating headrest
KR100972233B1 (ko) 프레임 의자
KR102109388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KR101791106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6287948B2 (ja) 椅子
KR20110013665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100131557A (ko) 차량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RU2509004C1 (ru) Спинка сиденья автомобиля
KR101358653B1 (ko) 차량용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KR20100130002A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505988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2007515B1 (ko) 의자
KR101593847B1 (ko) 헤드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