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764A - 압출형 3d 프린터 적용을 위한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제조 공정 - Google Patents

압출형 3d 프린터 적용을 위한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제조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764A
KR20200130764A KR1020190049785A KR20190049785A KR20200130764A KR 20200130764 A KR20200130764 A KR 20200130764A KR 1020190049785 A KR1020190049785 A KR 1020190049785A KR 20190049785 A KR20190049785 A KR 20190049785A KR 20200130764 A KR20200130764 A KR 20200130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core
acrylate
ceramic
present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822B1 (ko
Inventor
정연길
이재현
김은희
이혜주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82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1Rapid manufacturing of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ng, agglomerating or laminat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2Organic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형 3D 프린터에 적용하기 위해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공정 개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요구 조건에 변화 가능한 세라믹 코어를 제작하기 위해 새로운 재료 및 공정을 개발하는 것으로 세라믹 코어의 물성과 형상을 다변화할 수 있는 압출형 3D 프린터를 위한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제조공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출형 3D 프린터 적용을 위한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제조 공정 {Materials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Ceramic Core for Extrusion 3D Printer Application}
본 발명은 압출형 3D 프린터에 적용하기 위해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공정 개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세라믹 코어를 제작하는 규격화된 3D 프린터 대신 압출형 3D 프린터에 적용하여 요구 조건에 변화 가능한 세라믹 코어를 제작하기 위해 새로운 재료 및 공정을 개발하는 것으로 세라믹 코어의 물성과 형상을 다변화할 수 있는 압출형 3D 프린터를 위한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주조에 의한 중공형 기계부품(주물품)의 제작에 있어서는 외형을 형성하는 세라믹 주형과 함께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세라믹 중자가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세라믹 중자는 기계부품의 정밀성과 목적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 부분이다. 임펠러, 블레이드, 베인 등 다양한 기계부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정밀 주조용 중자는 일련의 사출성형 공정으로 제작하나, 이러한 성형 방법은 생산성이 낮고, 제조단가도 높은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3D 프린팅 기술의 발달로 인해, 별도의 금형 제작 단계 없이 정밀하고 복잡한 부품을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3D 프린팅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고품질의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조성물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전에 사용된 혹은 개발된 물질을 사용하는 3D 프린팅 기술은 사용되는 분말의 종류 및 크기, 바인더의 종류가 프린터에 따라 규격화되어 있어서 세라믹 코어의 특성 및 형상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3D 프린팅 기술로 제조된 세라믹 코어는 소성강도가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소성강도 발현을 위해서는 장시간의 열처리 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본원의 이전 발명에서는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세라믹 코어에 무기 바인더를 적용시켜 장시간의 열처리 공정의 도입 없이 소성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이 또한 기존에 개발된 3D 프린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각각의 3D 프린터에 적합한 출발분말 및 바인더를 사용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출발분말과 바인더가 제한적이지 않으면서 압출형 3D 프린터로 제작 가능한 세라믹 코어를 제조할 수 있는 코어 재료 및 공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전에 세라믹 코어 제작을 위해 개발된 범용적인 3D 프린터는 사용되는 분말의 종류 및 크기, 바인더의 종류가 프린터에 따라 규격화되어 있어서 요구 조건에 적합한 물성 및 형상을 구현하는데 제한적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3D 프린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인더로 사용되던 고분자 수지 대신 광중합 전구체를 적용하여 기기에 의존적이지 않은 세라믹 코어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중합 전구체인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성형체를 형성하는 3D 프린터용 세라믹 코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세라믹 코어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 세라믹 출발 분말과 광중합 전구체를 혼합하는 단계;
(S-2) 혼합물로부터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
(S-3) 제작된 성형체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S-4) 건조된 성형체를 UV에 조사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광중합 전구체는 아크릴레이트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중합 전구체는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및 스피란 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S-1) 단계는 용매에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S-1) 단계는 광 개시제와 같이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광 개시제는 케톤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S-1) 단계에서 광 개시제는 0.1 내지 2.0 mol%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S-3) 단계는 70 내지 120 ℃에30 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S-4) 단계는 1분 내지 1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세라믹 코어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세라믹 코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3D 프린터로 세라믹 코어 제작시 사용하던 높은 점성의 고분자 수지 대신 액상의 광중합 전구체를 사용하여 출발 분말과의 혼화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 수지의 긴 사슬간의 꼬임에 의한 강도가 아닌 분자간의 가교에 의한 강도 발현으로 성형체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3D 프린터별 규격화된 출발 분말 및 바인더가 아닌 자유롭게 조성비 및 바인더의 종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압출형 3D 프린터로 세라믹 제품의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개발된 세라믹 코어용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출발분말의 형상, 크기 및 바인더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코어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세라믹 코어 출발 분말의 형상 및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적용된 광중합 전구체의 분자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적용된 관능기에 따른 개시제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조공정을 제작된 코어 시험편에 대한 강도특성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 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개발된 세라믹 코어용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출발 분말의 형상, 크기 및 바인더의 종류를 나타낸 것으로, 분말을 차례대로 적층시키며 성형체를 제작하는 Binder Jet and Powder Bed (BJPB) 방법과 출발 분말에 코팅되어 있는 유기 바인더를 CO2 레이저로 조사하여 국부적으로 녹여 성형체를 형성하는 접착제로서 역할을 하게 하는 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두 가지 3D 프린터이다. BJPB type에서 사용된 출발 분말은 평균입도 190 ㎛ 다각형상의 실리카와 바인더로 열경화성 퓨란 수지로 코어가 제작된다. 또한, SLS type은 출발 분말로는 70 ㎛ 구형 뮬라이트와 페놀수지가 사용된다. 위 두 가지의 3D 프린터처럼 규격화된 분말과 바인더를 탈피하여 본 발명은 재료를 자유자재료 변화시킬 수 있는 압출형 3D 프린터용 세라믹 코어 제조공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광중합 전구체인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성형체를 형성하는 압출형 3D 프린터용 세라믹 코어 제조방법을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1) 세라믹 출발 분말과 광중합 전구체를 혼합하는 단계;
(S-2) 혼합물로부터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
(S-3) 제작된 성형체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S-4) 건조된 성형체를 UV에 조사하는 단계.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세라믹 출발 분말은 다양한 크기의 실리카, 알루미나, 뮬라이트 및 지르콘 플라워 등 세라믹 분말을 세라믹 코어의 형상 및 특성에 적합하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중합 전구체는 고상과 액상 둘 다 가능하나 출발 분말과의 혼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용매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S-3) 단계가 필요하다.
상기 광중합 전구체로 사용되는 단량체에는 일반적으로 아크릴레이트계가 사용되며, 분자 구조의 비닐기 즉 관능기의 수가 증가할수록 가교밀도가 증대하여 높은 성형강도를 발현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관능기의 수는 대부분 1 내지 4 관능기까지가 적당하며, 4 관능기를 초과하여 적용 시 너무 빠른 중합에 의해 단량체의 이동의 제한되어 오히려 낮은 중합도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전구체는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및 스피란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세라믹 코어의 새로운 제조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비교예 1]
도 3의 9.5 ㎛의 구형의 실리카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선형성 고분자인 폴리 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와 혼합하여 성형체를 제작한 뒤 80 ℃에서 1 시간 정도 건조 과정을 거쳤다.
[실시예 1, 2, 3]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적용된 광중합 전구체의 분자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1관능기의 Isobrnyl acrylate (IBOA)와 3관능기인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이다. 2관능기는 IBOA와 PETA를 몰비로 1:1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과 같이 9.5㎛의 실리카계 출발분말에 관능기 수가 다른 단량체 Isobrnyl acrylate (IBOA),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그리고 개시제 1-hydroxy cyclohexyl phenyl ketone (HCPK)를 혼합하여 압축 시험편을 제작한 후 광중합 반응을 위하여 365 nm 파장대의 자외선을 일정시간 조사하였다. 1 관능기로 실험한 것을 실시예 1로, 1 관능기과 3 관능기를 혼합한 것을 실시예 2로, 3 관능기를 실시예 3으로 지정하였다.
도 5는 적용된 관능기에 따른 개시제의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관능기의 수가 증가할수록 보다 적은 개시제로도 높은 중합도를 보였다. 따라서, 1 관능기는 1.6 mol%, 2 관능기는 0.2 mol%, 3 관능기는 0.1 mol%의 함량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6은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제조된 시험편의 성형강도 결과이다. 관능기 수가 증가함에 따라 중합도 및 가교밀도의 증대로 성형강도는 향상되었다. 특히, 2 관능기와 3 관능기의 경우 고분자 사슬의 꼬임에 의해 강도가 발현되는 PVA로 제조된 시험편보다 높은 성형 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S-1) 세라믹 출발 분말과 광중합 전구체를 혼합하는 단계;
    (S-2) 혼합물로부터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
    (S-3) 제작된 성형체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S-4) 건조된 성형체를 UV에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코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전구체는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및 스피란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세라믹 코어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전구체는 아크릴레이트 다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코어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는 용매에서 혼합되는 것인,
    세라믹 코어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는 광 개시제와 같이 혼합하는 것인,
    세라믹 코어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는 케톤계인,
    세라믹 코어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광 개시제는 0.1 내지 2.0 mol%로 혼합하는 것인,
    세라믹 코어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70 내지 100 ℃에서 30 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
    세라믹 코어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1분 내지 1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세라믹 코어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9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세라믹 코어.
KR1020190049785A 2019-04-29 2019-04-29 압출형 3d 프린터 적용을 위한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제조 공정 KR10235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785A KR102351822B1 (ko) 2019-04-29 2019-04-29 압출형 3d 프린터 적용을 위한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제조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785A KR102351822B1 (ko) 2019-04-29 2019-04-29 압출형 3d 프린터 적용을 위한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제조 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764A true KR20200130764A (ko) 2020-11-20
KR102351822B1 KR102351822B1 (ko) 2022-01-14

Family

ID=7369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785A KR102351822B1 (ko) 2019-04-29 2019-04-29 압출형 3d 프린터 적용을 위한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제조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9887A (zh) * 2021-03-02 2021-06-08 西安交通大学 一种光固化氧化铝陶瓷膏料及其雾化腔一体化成形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940A (ja) * 1994-09-21 1996-04-09 Toshiba Ceramics Co Ltd セラミックスの光学的成形法
JP2008155284A (ja) * 2006-12-06 2008-07-10 General Electric Co <Ge> 金属鋳物を製造するための注入成形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67979A (ja) * 2014-03-07 2015-09-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中子の製造方法、及び中子
KR20180116776A (ko) * 2017-04-17 2018-10-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경화성 세라믹 슬러리 기반 3d 플라팅 기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940A (ja) * 1994-09-21 1996-04-09 Toshiba Ceramics Co Ltd セラミックスの光学的成形法
JP2008155284A (ja) * 2006-12-06 2008-07-10 General Electric Co <Ge> 金属鋳物を製造するための注入成形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67979A (ja) * 2014-03-07 2015-09-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中子の製造方法、及び中子
KR20180116776A (ko) * 2017-04-17 2018-10-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경화성 세라믹 슬러리 기반 3d 플라팅 기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9887A (zh) * 2021-03-02 2021-06-08 西安交通大学 一种光固化氧化铝陶瓷膏料及其雾化腔一体化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822B1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3500B2 (en) Light-curable ceramic slurries with hybrid binders
US20220119569A1 (en) Curable and Solvent Soluble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of
CN107533287B (zh) 聚合物组合物或预聚物组合物或者包含此类组合物的压花漆及其用途
CA3106541A1 (en)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112088148B (zh) 用于增材制造技术的陶瓷浆料
KR102080321B1 (ko) 3d 프린팅 기반 세라믹 중자의 제조 방법
CN115124756B (zh) 一种紫外辅助3d打印聚合物交联氧化硅气凝胶的制备方法
KR102351822B1 (ko) 압출형 3d 프린터 적용을 위한 세라믹 코어의 재료 및 제조 공정
CN108948279A (zh) 一种光-热双固化树脂组合物及预浸布及3d打印方法
CN101541708A (zh) 增塑的混合物和硬化的方法
CN113087852A (zh) 可4d打印氰酸酯形状记忆聚合物材料及其制备方法和氰酸酯形状记忆聚合物器件及其应用
CN105819883A (zh) 用于熔模铸造的多孔陶瓷材料
CN109354647B (zh) 一种玻璃3d打印用丝材和玻璃制品的制备方法
KR102389696B1 (ko) 3d 프린팅용 바인더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161692A (ja)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TWI660830B (zh) 降低光固化材料成型過程的拉拔力之方法
KR102031825B1 (ko) 용액재료의 자발적 상분리와 선택적 젖음을 이용한 미세패턴 제조방법
CN103509162A (zh) 一种环氧改性聚酯丙烯酸酯及其制备方法
JP2006119424A (ja)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60208B1 (ko) 강도 및 통기성이 우수한 사형 주조용 주형의 제조방법
CN111333791A (zh) 一种有机硅环氧树脂及丙烯酸酯混杂光敏树脂的制备方法
CN117471852B (zh) 一种面向半导体制造的喷墨型纳米压印胶及其制备方法
KR102524621B1 (ko) 경화성 단량체를 이용한 고안정성 열가소성 패턴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937384A (zh) 一种紫外光固化增塑涂料
KR20110010168A (ko) 동질의 레진조성물을 이용한 광학시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