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837A -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837A
KR20200129837A KR1020190054827A KR20190054827A KR20200129837A KR 20200129837 A KR20200129837 A KR 20200129837A KR 1020190054827 A KR1020190054827 A KR 1020190054827A KR 20190054827 A KR20190054827 A KR 20190054827A KR 20200129837 A KR20200129837 A KR 20200129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mplant system
dental implant
circumferential surfac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9005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837A/ko
Priority to PCT/KR2019/005784 priority patent/WO2020230918A1/ko
Publication of KR2020012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1Abutment monobloc with rest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단에 연결부가 구비된 고정체; 및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외측 둘레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면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 지지되되, 상기 삽입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DENTAL IMPLANT SYSTEM}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연치의 결손 부위를 수복하기 위한 시술 방법 중 하나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도 7은 종래 알려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은 고정체(fixture, 11), 지대주(abutment, 12), 연결나사(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체(11)는 결손 부위의 치조골에 식립될 수 있다. 고정체(11)의 외주면에는 식립 및 고정을 위한 외부나사산(11a)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는 지대주(12)의 체결을 위한 내부나사산(11c)이 구비될 수 있다.
지대주(12)는 고정체(11)에 체결되어 하단 일부가 고정체(11) 내부의 공간(11b)에 배치될 수 있다. 지대주(12)의 상단 일부는 고정체(11) 외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지대주(12)의 중앙에는 고정체(11)와의 체결을 위한 구멍(12a)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나사(13)는 지대주(12)와 고정체(11)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이 이뤄지면, 연결나사(13)의 머리를 포함한 상부는 지대주(12)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부는 고정체(11)의 공간(11b)에 있는 내부나사산(11c)과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공치아는 시멘트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지대주(12) 상단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고정체, 지대주 등이 완전히 고정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저작 운동 등으로 인해 지대주에 다양한 하중이 가해질 때, 이러한 하중이 그대로 고정체로 전달되게 된다. 이는 고정체의 고정력 저하로 이어지거나, 심할 경우 고정체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세 동요도를 가지고 교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수단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크라운을 결합시킬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단에 연결부가 구비된 고정체; 및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외측 둘레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면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 지지되되, 상기 삽입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조골에 식립된 고정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캡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체의 외측 둘레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내측 둘레면; 및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홈부로 삽입 체결되도록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둘레면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3경사각을 가지고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면이, 수직 방향에 대해 제4경사각을 가지고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캡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고정체에 캡 또는 크라운이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되, 캡 또는 크라운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외력이 삽입면 또는 지지부의 경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이탈방지부에 의해 캡 또는 크라운이 미세 동요도를 가질 수 있어 자연치와 보다 유사한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삽입면 및 지지부의 경사, 이탈방지부 등을 통해 캡 또는 크라운이 적절히 지지될 수 있어 접착제의 사용을 생략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7은 종래 알려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단일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다만, 각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선택은 시술자의 판단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반드시 그 사용 대상이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고정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110)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체(110)의 하부 영역은 치조골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체(110)의 상부 영역은 잇몸 외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고정체(110)의 상단에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체결될 수 있다.
고정체(110)의 상단 일부 영역에는 연결부(110a)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110a)는 대체로 고정체(110)의 상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10a)는 일부가 잇몸 외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고정체(110)의 하부 영역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체(110)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110a)는 상측 일부에 삽입영역(112)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영역(112)에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체결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삽입영역(112)은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체결되는 연결부(110a) 상단의 일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연결부(110a)는 삽입영역(112) 하측에 소정 범위 노출영역(111)을 구비할 수 있다. 노출영역(111)은 치조골 상측으로 노출되는 고정체(110)의 상단 일측과, 캡(120) 또는 크라운(160) 하단 간의 노출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노출영역(111)은 대체로 잇몸이 접촉되는 부위로 의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노출영역(111)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외면이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영역(112)은 외측 둘레면을 형성하는 삽입면(112a)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면(112a)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영역(112)은 하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삽입면(112a)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 정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삽입면(112a)이 수직 방향과 이루는 경사각을 제1경사각(a1)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삽입영역(112) 중앙에는 상단이 개방된 홈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3)는 삽입영역 (112) 상단으로부터 삽입영역(112)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3)에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의 돌출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홈부(113)는 상부영역(113a) 및 하부영역(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영역(113a)은 돌출부(122)에 구비된 지지부(122a)와 대응된다. 상부영역(113a)의 둘레면(113c)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영역(113a)의 둘레면(113c)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2경사각(a2)을 이루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영역(113a)에는 돌출부(122)에 구비된 지지부(122a)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의 둘레면(113c)은 지지부(122a)의 지지면(122c)과 접촉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캡(120)과 관련하여 부연하기로 한다.
하부영역(113b)은 돌출부(122)에 구비된 회전방지부(122b)와 대응된다. 하부영역(113b)은 종방향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지부(122b) 또는 캡(1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회전방지부(122b)의 지지면(122c)을 접촉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
캡(120)은 고정체(110) 또는 연결부(110a) 상단에 체결될 수 있다.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연결부(110a)에 마련된 삽입면(112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삽입면(112a)에 밀착되거나,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에도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과 삽입면(112a) 사이는 밀폐된 공간으로 의도되며, 후술할 실링부(140) 등을 통해 이물질의 유입이 제한될 수 있다.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삽입면(112a)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10a)의 삽입면(112a)이 수직 방향에 대해 제1경사각(a1)을 이루는 것에 대응하여,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3경사각(a3)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경사각(a3)은 제1경사각(a1)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각도로 이뤄질 수 있다.
캡(120)의 내측 상면에는 돌출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캡(120)의 내측 상면에서 하측을 향해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전술한 홈부(113)로 체결이 의도된다. 즉, 돌출부(122)는 홈부(113)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홈부(113) 내측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지지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2a)은 홈부(133)로 삽입 체결되어, 캡(120)에 가해지는 외력(예컨대, 측방향 외력)에 대해 캡(12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22a)는 외측 둘레면에 지지면(122c)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면(122c)은 전술한 홈부(113)의 삽입면(112a)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지지면(122c)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122a)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지면(122c)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4경사각(a4)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면(122c)의 제4경사각(a4)은 전술한 홈부(113) 상부영역(113a)의 제2경사각(a2)에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각도로 이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면(122c)은 상부영역(113a)의 둘레면(113c)과 소정 각도 경사진 접촉면을 이루며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4경사각(a4)은 제3경사각(a3)과 상이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경사각(a2) 또는 제4경사각(a4)은 제1경사각(a1) 또는 제3경사각(a3)과 상이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경사각(a2) 또는 제4경사각(a4)은 제1경사각(a1) 또는 제3경사각(a3)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각의 차이는 보다 다양한 방향의 하중이나 외력에 대해 지지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돌출부(122)는 회전방지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방지부(122b)는 지지부(122a)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회전방지부(122b)와 지지부(122a)의 상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회전방지부(122b)는 종방향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한 캡(120)의 회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회전방지부(122b)는 홈부(113)의 하부영역(113b)에 접촉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방지부(122b)는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홈부(113)의 하부영역(113b)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회전방지부(122b)는 사각, 육각, 팔각 기둥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종방향 중심축(C)을 중심으로 고정체(110)에 대해 회전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지부(122a) 및 회전방지부(122b)는 캡(120)에 일체화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지지부(122a) 또는 회전방지부(122b)는 별개의 독립된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22a) 및 회전방지부(122b)를 포함하는 돌출부(122)를 하나의 조립부재 형태로 구현하여 캡(120)에 조립시키는 방식, 지지부(122a)는 캡(120)에 일체로 형성하고 회전방지부(122b)만을 조립부재 형태로 구현하여 지지부(122a)에 조립시키는 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캡(120)의 외측 둘레면에는 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21)은 캡(120)과 크라운(16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캡(12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대략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캡(120)의 외측 둘레면에 상하로 촘촘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결합홈(121)의 형태, 배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홈(121)은 캡(120)과 크라운(160) 간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와 같이 캡(120) 및 크라운(160)이 일체화되는 경우 등에는, 적절히 생략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캡(120)은 크라운(160)에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술한 캡(120)의 구성(돌출부(122) 등)은 대응되는 위치의 크라운(160)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도시된 바에서, 캡(120)과 크라운(160) 간의 경계를 생략한 것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완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50)는 고정체(110)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150)는 링(ring)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체(110) 상단의 외측 둘레에 장착될 수 있다.
완충부(150)는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을 향해 배치되는 외측 둘레면(152)과, 캡(120)의 내측 상부면을 향해 배치되는 상측면(151)을 구비할 수 있다.
완충부(150)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의 미세 동요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에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완충부(15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0)는 캡(120)과 고정체(110) 간에 체결되어, 고정체(110)에 대한 캡(120)의 이탈을 구속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0)는 고정체(110) 상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이탈방지부(130)는 전술한 완충부(15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0)는 탄성을 가진 C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탈방지부(130)는 캡(120)의 이탈을 적절히 구속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그 형상이 예시된 C링 등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바람직하게, 이탈방지부(130)는 일부 또는 전부가 티타늄(titanium)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0)가 체결되는 고정체(110)의 대응 위치에는 제1고정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130)가 체결되는 캡(120)의 대응 위치에는 제2고정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2고정홈(114, 123)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이탈방지부(130)의 체결을 위한 고정홈(131)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홈(131)의 횡방향 폭(W1)은 이탈방지부(130)의 횡방향 두께(W2)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탈방지부(130)의 횡방향 두께(W2)는 고정홈(131)의 전체 횡방향 폭(W1)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이탈방지부(130)는 캡(120)의 고정체(110)로의 삽입 체결을 위해, 제1고정홈(114)을 향해 탄성 변형이 의도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130)는 캡(120)이 완전히 삽입 체결된 경우, 탄성에 의해 제2고정홈(123)에 밀착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탈방지부(130)는 대체로 제1고정홈(114)과 제2고정홈(1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캡(120)은 이탈방지부(130)에 의해 고정체(110)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실링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140)는 삽입영역(112)의 하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실링부(140)는 전술한 이탈방지부(130)의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140)는 링(ring)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체(110)의 외측 둘레면과,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 사이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140)는 대체로 삽입면(112a) 하부측에 배치가 의도될 수 있으며, 노출영역(111)으로부터 캡(120)과 고정체(110) 사이의 틈으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실링부(140)는 연결부(110a)의 외측 둘레면를 따라 형성된 홈을 통해 고정체(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실링부(140)는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을 따라 형성된 홈 등을 통해 장착 지지되거나, 고정체(110) 또는 캡(120)과 분리 가능한 별개의 부품 형태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링부(140)는 충분한 밀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에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실링부(14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피시술자의 치조골 등에 고정체(110)가 식립되고, 고정체(110) 상단에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씌워지는 순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이탈방지부(130)에 의해 고정체(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0)는 대체로 캡(120) 또는 크라운(160)에 가해지는 상측(이탈) 방향 외력을 지지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또한, 캡(120) 또는 크라운(160)에 가해지는 횡방향 외력, 또는 보다 다양한 방향이 복합된 외력은, 삽입영역(112) 및 지지부(122a)의 경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삽입영역(112)의 경사와 지지부(122a)의 경사가 서로 반대 방향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의 외력에 대해 지지면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로 인해,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접착제의 사용을 생략하거나, 최소한의 접착제 사용만을 통해, 고정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고정체(110)와의 경계 등에서 접착제의 사용이 생략되고, 이탈방지부(130), 삽입영역(112)의 경사 및, 지지부(122a)의 경사에 의해 고정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의 생략은 시술 편의성, 시술 후 수정 및 보완의 가능성, 접착제로 인한 부작용 등에 있어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은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다만, 각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선택은 시술자의 판단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반드시 그 사용 대상이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은 고정체(210), 캡(220), 이탈방지부(230) 및 실링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에서는, 제1실시예의 완충부(150)가 생략되고 있다.
제2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은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연결부(210a)에 형성된 삽입면(212a)의 제1경사각(a1)이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에 있어 삽입면(212a)의 제1경사각(a1)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1경사각(a1, 도 1c 참조)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경사각(a1)은 복수의 결손치를 수복하는 경우, 각 고정체(210)의 식립 방향이나 각도가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캡(220) 또는 크라운의 체결이 곤란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연결부(210a)의 상단 중앙 부위에는 홈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213)는 상단 일부 영역의 둘레면(213c)이 돌출부(222)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둘레면(213c)은 제2경사각(a2)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둘레면(113c)과 유사하다. 다만, 제2실시예에 있어 제2경사각(a2)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2경사각(a2, 도 1c 참조)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홈부(213)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홈부(113)와 달리 하부영역(113b, 도 1c 참조)이 생략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되는 바, 캡(22)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캡(220)은 연결부(210a) 상단 영역에 체결될 수 있다. 캡(220)은 내측 상면에 돌출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222)는 지지부(222a)만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실시예의 회전방지부(122b, 도 1c 참조)는 생략될 수 있다. 이는 홈부(213)에서 하부영역(113b)이 생략된 것과 대응된다.
캡(220)은 내측 둘레면(224)이 제3경사각(a3)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삽입면(212a)의 제1경사각(a1)과 대응된다. 또한, 돌출부(222) 또는 지지부(222a)는 지지면(222c)이 제4경사각(a4)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홈부(213) 둘레면(213c)의 제2경사각(a2)에 대응된다. 제1, 3경사각(a1, a3)은 제2, 4경사각(a2, a4)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제1, 3경사각(a1, a3)은 제2, 4경사각(a2, a4)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탈방지부(230) 및 실링부(24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은 단일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응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은, 고정체(310), 고정체(310) 상단의 연결부(310a)에 체결되는 캡(3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310) 및 캡(320)은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은 이탈방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330)는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에 있어 제1실시예의 실링부(140), 완충부(150) 및 이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400)은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대응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400)은, 고정체(410), 고정체(410) 상단의 연결부(410a)에 체결되는 캡(420), 캡(420)의 이탈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부(4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410), 캡(420) 및 이탈방지부(430)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대응 구성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있어 제2실시예의 실링부(240) 및 이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500)은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대응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500)은, 고정체(510), 고정체(510) 상단의 연결부(510a)에 체결되는 캡(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대응 구성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500)은 캡(520)의 이탈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능상 제1실시예의 이탈방지부(130)와 대응된다.
다만, 제5실시예의 이탈방지부(530)는 제1실시예와 달리 돌기(531) 및 홈(5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돌기(531)는 연결부(510a)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홈(532)은 이에 대응되도록 캡(52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캡(520)의 내측 둘레면이 홈이 구비되고, 연결부(510a) 의 외측 둘레면에 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돌기(531) 및 홈(532)은 상호 결합되어, 캡(520)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제6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600)은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대응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6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600)은, 고정체(610), 고정체(610) 상단의 연결부(610a)에 체결되는 캡(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대응 구성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6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600)은 캡(620)의 이탈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630)는 볼(631) 및 탄성체(632)를 포함할 수 있다. 볼(631)은 수용홈(634)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연결부(610a)의 외측 둘레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홈(634)은 연결부(610a)의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연결부(610a) 내측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632)는 수용홈(634) 내부에 배치되어, 볼(6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볼(631)은 탄성체(632)에 의해 수용홈(634) 외측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탄성체(632)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볼(6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볼(631)은 탄성체(632)에 의해 볼체결홈(633)에 탄성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620)은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볼체결홈(633)은 캡(62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원형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탄성체(632)는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볼(6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체(632)는 수평 방향에 대해 약 45도의 각도를 이루며, 볼(6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탄성체(632)를 수용하는 수용홈(634) 또한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볼(631) 및 탄성체(632)는 복수 세트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부(610a)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볼(631) 및 이에 대응되는 탄성체(632)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볼(631) 및 탄성체(632)는 연결부(610a)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3 내지 5 세트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볼(631) 및 탄성체(632)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제1실시예) 110: 고정체
120: 캡 130: 이탈방지부
140: 실링부 150: 완충부
160: 크라운

Claims (10)

  1. 상단에 연결부가 구비된 고정체; 및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외측 둘레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면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 지지되되, 상기 삽입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은,
    크라운과 일체로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지고 치조골에 식립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캡의 하단으로 노출되어 잇못의 접촉이 의도되는 노출영역을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홈부를 향해 연장된 회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되어, 종방향 중심축에 대한 상기 캡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연결부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캡의 상측 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체결을 위해, 상기 삽입면의 외측 둘레면에 제1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제1고정홈과 대응되도록, 내측 둘레면에 제2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캡의 상기 연결부로의 삽입 체결을 위해, 상기 제1고정홈에 수용된 상태; 및
    상기 캡의 상기 연결부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적어도 일측이 상기 제2고정홈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과 상기 연결부 사이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일부 또는 전부에 탄성체를 포함하고, 링(ring)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면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캡의 내측 둘레면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 배치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체결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일부 또는 전부에 탄성체를 포함하고, 링(ring) 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캡의 내측 둘레면을 향해 배치된 외측 둘레면과, 상기 캡의 내측 상부면을 향해 배치된 상측면을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9. 치조골에 식립된 고정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캡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체의 외측 둘레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내측 둘레면; 및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홈부로 삽입 체결되도록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둘레면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3경사각을 가지고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면이, 수직 방향에 대해 제4경사각을 가지고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캡.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4경사각은,
    상기 제3경사각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경사각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캡.
KR1020190054827A 2019-05-10 2019-05-10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20200129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27A KR20200129837A (ko) 2019-05-10 2019-05-10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PCT/KR2019/005784 WO2020230918A1 (ko) 2019-05-10 2019-05-14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27A KR20200129837A (ko) 2019-05-10 2019-05-10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37A true KR20200129837A (ko) 2020-11-18

Family

ID=7328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827A KR20200129837A (ko) 2019-05-10 2019-05-10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29837A (ko)
WO (1) WO20202309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667A1 (ko) * 2020-12-09 2022-06-16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20230161113A (ko)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20230161112A (ko)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18B1 (ko) * 2007-03-26 2008-07-01 김정찬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KR20090110136A (ko) * 2008-04-17 2009-10-21 이도상 힐링 커버를 갖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힐링 어버트먼트
KR102212709B1 (ko) * 2013-05-02 2021-02-0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US9931181B2 (en) * 2014-07-22 2018-04-03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KR101924802B1 (ko) *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667A1 (ko) * 2020-12-09 2022-06-16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20230161113A (ko)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20230161112A (ko)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0918A1 (ko)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72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32372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ES2870992T3 (es) Sistema de restauración dental
KR20200129837A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JP4801318B2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
JP6346903B2 (ja) インプラント内に弾性的に固定される歯科装置固定ユニット、及び/又は、任意選択的な角度位置調整を可能にする、インプラント内に固定される歯科装置固定ユニット
US10470851B2 (en) Self-retaining dental screw
US9522053B2 (en) Dental implant assembly for uniform 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s
KR20080049378A (ko) 충격흡수 임플란트 유닛
KR20190136480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3B1 (ko)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EP1745758B1 (en) Dental implant for magnetic attachment
KR102427069B1 (ko) 임플란트 크라운 체결 구조 및 체결 방법
KR101953301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101856232B1 (ko) 개선된 스크루 헤드
TWI712394B (zh) 假牙之結合組件
KR102151344B1 (ko) 임플란트 구조물
KR102208556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101829912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JP7239683B2 (ja) インプラント構造物
KR102203823B1 (ko) PEEK 소재의 C-ring을 결합한 치과 어태치먼트용 어버트먼트
KR102638571B1 (ko)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1829911B1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CN111683621B (zh) 用于紧固假体的牙科锚固***
JPH07116174A (ja) 骨内インプラント用の部材組み合わせ及び雄ネ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