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687A -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687A
KR20200126687A KR1020190050643A KR20190050643A KR20200126687A KR 20200126687 A KR20200126687 A KR 20200126687A KR 1020190050643 A KR1020190050643 A KR 1020190050643A KR 20190050643 A KR20190050643 A KR 20190050643A KR 20200126687 A KR20200126687 A KR 20200126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co
inorganic paint
friendly functional
functional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151B1 (ko
Inventor
이희덕
김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움
Priority to KR102019005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15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made of webs, e.g. of fabrics, or wallpaper, used as coverings or lin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2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 이후,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도포할 실내 콘크리트 표면의 피착면을 정리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 표면에 요철면이 형성된 엠보 벽지를 상기 피착면에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 이후, 도포수단을 상기 엠보 벽지의 표면과 40°~5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고, 1회 도포 시 0.1mm ~ 0.5mm의 두께로 상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e) 피착면에 도포된 상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가 일정한 두께로 평탄하게 도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f) 상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가 도포된 엠보 벽지 표면의 보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Interior decoration for interior air quality improvement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functional inorganic paint Embo wallpaper Finishing method}
본 발명은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벽면의 인테리어 마감시 요철면이 형성된 엠보 벽지의 표면에 도포하여 최종 마감면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고, 엠보 벽지의 기본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환경 유해물질의 흡착 및 흡방습, 항균, 항곰팡이 효과로 인한 세균 저항력을 높이고, 실내 공기환경을 지속적으로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벽체가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인 경우 주택 시공 직후 VOC, 폼알데히드, 톨루엔, 벤젠, 자일렌, 암모니아, 라돈 등의 유해성분이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콘크리트 벽체를 외관상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사용되는 벽지의 부착시 벽지와 콘트리트 벽체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포름알데히드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어서, 아토피, 천식, 두통, 소화불량 및 각종 기관지 질환을 유발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1587호에는, 콘크리트 내지는 시멘트 표면에 마감제로 천연 광물인 양구 방산 백색 고령토에서 추출한 화이트이온미네랄과 백색 고령토 분말을 이용하여 액상세라믹 얇은 바름제를 사용 할 경우 실내 대기중에 함유된 냄새와 유해가스의 흡착율이 우수하며, 분진 발생을 억제해 주고, 다른 물리 화학적 특성이 저해됨이 없이 항균, 탈취작용과 원적외선 방출에 의한 인체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광물 양구 방산 백색 고령토에서 추출한 화이트 이온 미네랄과 백색 고령토 분말을 이용한 새 집 증후군 제거용 얇은 바름제로서의 액상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콘크리트 벽체에서 나오는 유해성분의 흡착 및 분해 성능 등이 건축자재가 갖는 기능성 측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흡하고, 벽지 자체도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 없으며, 콘크리트 벽체의 결로 현상에 의한 습기 문제 및 이로 인한 곰팡이 서식 문제 등을 근본적으로 해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의 경우, 액상 세라믹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벽지와 콘크리트 표면 사이에 부직포의 시공이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직포를 접착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발생하게 되어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1587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실내 벽면의 인테리어 마감시 요철면이 형성된 엠보 벽지의 표면에 도포하여 최종 마감면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고, 엠보 벽지의 기본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 유해물질의 흡착 및 흡방습, 항균, 항곰팡이 효과로 인한 세균 저항력 뿐만 아니라, 황사 및 미세먼지로 환기가 불가능한 실내 공기 정화 및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환경을 지속적으로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엠보 벽지, 또는 콘크리트 벽면에 요철면을 형성하고, 상기 요철면 상에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요철면이 형성된 벽지, 또는 엠보 벽지의 사용 여부와 무관하게 최종 마감면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 공정을 단순화하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도포 표면면적 향상을 통해 기본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 이후,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도포할 실내 콘크리트 표면의 피착면을 정리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 표면에 요철면이 형성된 엠보 벽지를 상기 피착면에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 이후, 도포수단을 상기 엠보 벽지의 표면과 40°~5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고, 1회 도포 시 0.1mm ~ 0.5mm의 두께로 상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e) 피착면에 도포된 상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가 일정한 두께로 평탄하게 도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f) 상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가 도포된 엠보 벽지 표면의 보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는, 요철면이 형성된 엠보 벽지의 표면에 도포가 이루어질 때, 색상안료를 더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a1) 규산 소다 15중량% ~ 60중량%와, 규산 칼륨 15중량% ~60중량%와, 규산 리튬 5중량% ~10중량%를 교반하여 액상 결합제를 제조하는 단계; (a2) 활성탄, 실리카겔, 맥반석,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규조토, 제올라이트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되는 다공성 무기물과, 은(Ag), 아연(Zn)이 일정 중량비로 혼합되는 무기 항균제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a3) 상기 다공성 무기물 및 무기 항균제와 글리신(Glycine),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Deithylenetriamin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amine),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요소(Urea)가 혼합되게 구성되며, 파우더 혼합물의 총 중량에 있어서, 상기 글리신(Glycine),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Deithylenetriamin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amine),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및 요소(Urea)를 각각 일정 중량비로 혼합하여 파우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a4) 상기 액상 결합제 및 상기 파우더 혼합물에 D-소르비톨(D-Sorbitol)를 일정 중량비로 혼합하여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질 도료는 총 중량에 있어서, 상기 액상 결합제 30중량% ~70중량%, 상기 파우더 혼합물 25중량% ~ 60중량%, 1중량% ~10중량%의 D-소르비톨(D-Sorbitol)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우더 혼합물은, 다공성 무기물 40.0중량% ~99.0중량%와, 무기 항균제 0.5중량% ~ 10중량%와, 글리신(Glycine) 0.1중량% ~ 5.0중량%와,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Deithylenetriamine) 0.1중량% ~ 5.0중량%와, 하이드록실아민(Hydroxyamine) 0.1중량% ~ 5.0중량%와,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0.1중량% ~ 5.0중량%와, 요소(Urea) 0.1중량% ~ 5.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 벽면의 인테리어 마감시 요철면이 형성된 엠보 벽지의 표면에 도포하여 최종 마감면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고, 엠보 벽지의 기본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환경 유해물질의 흡착 및 흡방습, 항균, 항곰팡이 효과로 인한 세균 저항력 뿐만 아니라, 황사 및 미세먼지로 환기가 불가능한 실내 공기 정화 및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환경을 지속적으로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엠보 벽지, 또는 콘크리트 벽면에 요철면을 형성하고, 상기 요철면 상에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요철면이 형성된 엠보 벽지의 사용 여부와 무관하게 최종 마감면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 공정을 단순화하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도포 표면면적 향상을 통해 기본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의 유해물질 흡착율 시험, 흡방습 시험, 항균 시험, 항곰팡이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벽지, 또는 엠보 벽지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면을 마감하는 마감재로서 활용되는 것으로, 상기 마감재는 전술한 벽지, 또는 문양이나 무늬가 형성된 벽지 뿐만 아니라, 부직포나 요철면이 형성된 건축용 부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는 액상 결합제와, 일정 중량비의 다공성 무기물과, 무기 항균제와, 글리신(Glycine),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Deithylenetriamin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amine),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요소(Urea)가 혼합 구성되는 기능성 혼합물을 포함하는 파우더와, 흡,방습 기능을 제공하는 D-소르비톨(D-Sorbitol)이 혼합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액상 결합제는 규산 소다(Sodium Silicate), 규산 칼륨(Potassium Silicate), 규산 리튬(Lithium Silicate)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무기질 도료의 바인더 역할을 수행하며,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시 소정의 점착성, 및 균질 접합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액상 결합제는 규산 소다 15중량% ~ 60중량%와, 규산 칼륨 15중량% ~60중량%와, 규산 리튬 5중량% ~10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규산 소다는 고유의 접착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유기 접착제와 달리 공해를 유발시키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성분으로 그 최소 함량이 15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수분이나 물에 접촉되면 친수성으로 변화되어 수분에 의해 풀어짐 현상이 발생되고 강도가 저하되어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분이나 물에 접촉된다 하더라도 일정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 범위에 해당하는 15중량%를 초과하여 혼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규산 소다의 최대 함량이 60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규산 소다의 과함유에 의해 규산 칼륨 및 규산 리튬과의 혼합시 액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고상, 결정질 또는 비정질 분말로 형성되면서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요철면이 형성된 엠보 벽지의 표면이나, 콘크리트 벽면에 도포 시 뭉침 현상이 발생하면서 일정한 두께로의 도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발림성에 대한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액상 결합제가 분말화 및 발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규산 소다의 최대 함량을 60중량% 미만으로 혼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규산 칼륨은 액상 결합제에 높은 점성을 부여하여 무기성 물질들이 서로 엉기게 하면서 액상 결합제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마모, 수분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규산(SiO2)과 산화칼륨(K2O)을 무게 비율 2:0.5 ~ 2:1.5의 무게비로 혼합하여 물에 용해한 액상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며, 액상 결합제의 총 중량에 있어서, 15중량% ~60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규산 칼륨은 액상 결합제의 도포 시 얇은 막을 형성시키면서 순간적으로 수분 증발에 의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규산과 산화칼륨 간의 혼합 비율 중 규산의 혼합양이 산화칼륨의 무게 비율 대비 2배 이하로 혼합되는 경우, 알칼리 성분인 산화칼륨양이 많아지면서 알칼리성 산화칼륨의 특성을 보이게 되며, 이는 물과의 친화력이 커지면서 건조속도를 지연시켜 액상 결합제의 높은 점성을 부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산화칼륨의 혼합량이 규산의 무게 비율 대비 0.5 보다 적은 무게로 혼합되는 경우, 건조가 빠르게 진행될 수는 있으나, 도포가 이루어진 액상 결합제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규산 칼륨은 액상 결합제를 제조하기 위한 최저 혼합비가 15중량% 미만인 경우, 규산 칼륨 성분이 너무 낮기 때문에 결합 강도가 저하되어 액상 결합제로서 사용하기 힘들고, 최대 혼합비가 60중량%를 초과하면 수분에 취약한 규산 칼륨 성분의 함량이 너무 높기 때문에 내수성 개선에 대한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액상 결합제의 총 중량에 있어서, 15중량% ~ 60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액상 결합제에 일정 중량비로 혼합되는 규산 리튬은 규산 칼륨의 바인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하며, 그 첨가되는 양이 5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에는 규산 칼륨의 강도향상 효과가 미비하고, 10중량%를 초과하더라도 규산 칼륨의 강도 향상에 대한 효과가 미비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액상 결합제의 총 중량에 있어서, 5중량% ~10중량%의 범위로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상 결합제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의 총 중량에 있어서, 30중량% 내지 70중량%의 범위로 혼합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액상 결합제가 30중량% 미만으로 파우더와 혼합되는 경우, 도막 강도가 낮아질 수 있고 70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에는 파우더 혼합물에 포함된 다공성 무기물의 기공을 막아 유해물질의 흡착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는 액상 결합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VOC, 폼알데히드, 톨루엔, 벤젠, 자일렌, 암모니아, 라돈 등의 유해물질을 차단, 흡착 및 제거하는 파우더 혼합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며, 상기 파우더 혼합물은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의 총 중량에 있어서, 25중량% ~ 60중량%의 혼합비로 상기 액상 결합제와 혼합된다.
이때, 파우더 혼합물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되는 다공성 무기물과, 무기 항균제와, 글리신(Glycine),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Deithylenetriamin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amine),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요소(Urea)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 구성되는 기능성 혼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다공성 무기물은 활성탄, 실리카겔, 맥반석,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규조토, 제올라이트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 구성되는 것이고, 무기 항균제는 은(Ag), 아연(Zn)이 일정 중량비로 혼합 구성되는 것이다.
다공성 무기물은 그 혼합 비율이 총 중량에 있어서, 활성탄 10중량% ~ 50중량%, 실리카겔 20중량% ~ 30중량%, 맥반석 10중량% ~ 20중량%, 펄라이트 10중량% ~ 20중량%, 버미큘라이트 5중량% ~ 10중량%, 규조토 2.5중량% ~ 5중량%, 제올라이트 2.5중량% ~ 5중량%로 혼합된다.
이때, 상기 활성탄은 활성탄의 입자크기는 약 1㎛ ~ 약 100㎛인 것이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활성탄의 입자크기가 5㎛ 이상 60㎛ 미만인 것이 혼합될 수 있다. 이는, 다공성 무기물의 도포 시 요철면이 형성된 엠보 벽지의 표면이나, 콘크리트 벽면에 인위적인 요철면을 더 형성하여 최종 마감면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키며, 표면 면적을 향상시켜 다공성 무기물의 성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실리카겔 및 맥반석 역시 활성탄과 동일한 5㎛ 이상 60㎛ 미만의 입자크기로 구성되어 혼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미 요철면이 형성된 상태의 엠보 벽지 표면이나, 콘크리트 표면에 보다 다양한 요철면을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탄, 실리카겔 및 맥반석의 입자 크기를 다양한 조합하여 혼합함으로써, 별도의 엠보 벽지 시공을 동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실내 벽면에 대한 다양한 엠보성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어 실내 벽면에 대한 외관미의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펄라이트는 다공성 무기물에 함유되는 최소 혼합 중량비가 10중량%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자의 강도가 약해져 보온재로서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고, 20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에는 펄라이트의 밀도가 올라가 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펄라이트가 보온재로서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다공성 무기물의 총 중량에 있어서 10중량% ~ 20중량%의 범위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는 열처리에 의해 팽창이 이루어진 팽창버미큘라이트(expanded vermiculite)일 수 있으며, 상기 펄라이트와 함께 단열재로서의 역할과 함께 충진제 및 흡음제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150메쉬의 입자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한다.
규조토 및 제올라이트는 내부의 미세 기공을 통해 온도 변화나 기타 외부조건의 변화에 따른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하고, 실내에서 배출되는 유해 화학물질,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흡착, 분해하여 저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공성 무기물은 파우더를 제조하기 위한 파우더 혼합물의 총 중량에 있어서, 40.0중량% ~99.0중량%로 혼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다공성 무기물 입자의 함량이 40.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흡방습 및 유해물질의 흡착 성능 효과가 미비하고, 9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갈라짐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무기 항균제는 은(Ag), 아연(Zn)이 일정 중량비로 혼합 구성되는 것으로, 혼합 시 제올라이트 내부에 존재되도록 소듐과 치환반응되어 빛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아 도막 변색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파우더 혼합물에서 무기 항균제가 10.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재료비 상승을 초래할 수 있고 0.5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무기 항균제가 0.5중량% ~ 10.0중량%의 혼합비로 다공성 무기물과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파우더 혼합물은 다공성 무기물 및 무기 항균제와 함께 글리신(Glycine),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Deithylenetriamin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amine),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요소(Urea)가 혼합되게 구성되며, 파우더 혼합물의 총 중량에 있어서, 상기 글리신(Glycine),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Deithylenetriamin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amine),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및 요소(Urea)가 각각 0.1중량% ~ 5.0중량%로 혼합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파우더 혼합물은 다공성 무기물 40.0중량% ~99.0중량%, 무기 항균제 0.5중량% ~ 10.0중량%, 글리신 0.1중량% ~ 5.0중량%,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0.1중량% ~ 5.0중량%, 하이드록실아민 0.1중량% ~ 5.0중량%, 사이클로덱스트린 0.1중량% ~ 5.0중량% 및 요소 0.1중량% ~ 5.0중량%로 혼합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는 실내 유해물질의 흡착성, 습도 조절 등의 기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액상 결합제 및 파우더 혼합물에 D-소르비톨(D-Sorbitol)가 1중량% ~1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다.
즉,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는 액상 결합제 30중량% ~ 70중량%, 파우더 혼합물 25중량% ~ 60중량%, D-소르비톨(D-Sorbitol)가 1중량% ~1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는 제품의 물성을 개선하는 증점제 및 상기 증점제와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되는 소포제를 더 첨가 할 수 있다.
여기서, 증점제는 무기질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며, 0.1 중량% 내지 5 중량%인 증점제 수용액의 형태로 혼합되어 상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의 점도를 1,000~10,000cps로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의 점도가 1,000cps보다 낮을 경우 엠보 벽지에 도포시 퍼짐성과 흘러내림이 심하여 작업성에 문제를 야기시키고, 점도가 10,000cps 보다 높을 경우 작업의 시공성이 떨어지고, 시공 후 액상 결합제의 갈라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기질 도료에는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요철면(또는 엠보)이(가) 형성된 엠보 벽지의 표면에 도포 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안료를 더 혼합하여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색상 취향에 맞게 엠보 벽지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는 유해물질 흡착율 시험, 흡방습 시험, 항균 시험, 항곰팡이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의 유해물질 중 폼알데하이드의 흡착율은 본 발명의 무기질 도료가 도포되지 않은 상태의 엠보 벽지에 비해 무기질 도료가 일정 두께로 도포된 상태에서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즉, 요철면이 형성된 엠보 벽지만을 시공하는 경우, 그 흡착율이 1일차에 14.5%의 흡착율을 보이고, 7일차일 때 13.80%의 흡착율을 보이는 반면, 본 발명의 무기질 도료를 도포한 경우, 1일차 흡착율이 72.8%의 흡착율을 보이면서 7일차가 되어서도 70.9%의 흡착율을 유지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특히, 흡착된 폼알데하이드의 재방출율의 경우, 통상의 무기질 도료는 0.204%의 비율로 재방출이 발생하는데 반해, 본 발명의 무기질 도료의 경우에는 0.001%의 재방출율만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의 흡방습 시험을 실시한 결과, 흡습량은 110.08g/㎡, 방습량은 106.88g/㎡, 흡습 및 방습차는 3.20g/㎡로 나타남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무기질 도료가 도포되지 않은 상태의 엠보 벽지에 비해 무기질 도료가 일정 두께로 도포된 상태에서 흡습 및 방습 성능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의 항균 및 항곰팡이 시험 역시 무기질 도료가 도포되지 않은 상태의 엠보 벽지에 비해 무기질 도료가 일정 두께로 도포된 상태에서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제조하는 바름제 제조단계(S110)가 수행된다.
무기질 도료 제조단계(S110)는 규산 소다 15중량% ~ 60중량%와, 규산 칼륨 15중량% ~60중량%와, 규산 리튬 5중량% ~10중량%를 교반하여 액상 결합제를 제조하는 액상 결합제 제조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무기질 도료 제조단계(S110)는 액상 결합제와 일정 비율로 혼합되는 파우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파우더 혼합물 제조단계는, 다공성 무기물, 무기 항균제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다공성 무기물은 활성탄 10중량% ~ 50중량%, 실리카겔 20중량% ~ 30중량%, 맥반석 10중량% ~ 20중량%, 펄라이트 10중량% ~ 20중량%, 버미큘라이트 5중량% ~ 10중량%, 규조토 2.5중량% ~ 5중량%, 제올라이트 2.5중량% ~ 5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후, 파우더 혼합물 제조단계는 다공성 무기물 40.0중량% ~99.0중량%, 무기 항균제 0.5중량% ~ 10.0중량%, 글리신 0.1중량% ~ 5.0중량%,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0.1중량% ~ 5.0중량%, 하이드록실아민 0.1중량% ~ 5.0중량%, 사이클로덱스트린 0.1중량% ~ 5.0중량% 및 요소 0.1중량% ~ 5.0중량%로 교반하여 상기 파우더 혼합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무기질 도료 제조단계(S110)는 전술한 액상 결합제와 파우더 혼합물 및 D-소르비톨(D-Sorbitol)을 일정 중량비로 교반에 의해 혼합하여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액상 결합제 30중량% ~ 70중량%, 파우더 혼합물 25중량% ~ 60중량%, D-소르비톨(D-Sorbitol)가 1중량% ~10중량%의 비율로 교반하여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무기질 도료 제조단계(S110)는 상기 액상 결합제 30중량% ~ 70중량%, 파우더 혼합물 25중량% ~ 60중량%, D-소르비톨(D-Sorbitol)가 1중량% ~ 10중량%의 비율로 교반하여 혼합된 혼합물에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중량비로 증점제와 소포제를 각각 더 혼합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S110 단계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도포할 실내 콘크리트 표면의 피착면을 정리하는 피착면 정리단계(S120)를 수행한다.
피착면 정리단계(S120)는 콘크리트 표면에 남아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퍼티 공정 등을 통해 콘크리트 표면의 평탄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피착면 정리단계(S120)는 퍼티 공정 수행시 콘크리트 표면에 요철면을 형성하는 요철면 형성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요철면을 형성하는 경우, 무기질 도료가 직접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피착면 정리단계(S120)가 완료되면, 표면에 요철면이 형성된 벽지를 상기 피착면에 시공하는 벽지 시공단계(S130)를 수행한다.
이때, 요철면이 형성된 벽지는 통상의 엠보 벽지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요철면(엠보)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S110 단계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상기 엠보 벽지의 표면에 도포하는 무기질 도료 도포단계(S140)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무기질 도료 도포단계(S140)는 무기질 도료를 도포할 해라, 스프레이 분사장치와 같은 도포수단을 요철면이 형성된 벽지의 표면과 40°~5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고, 1회 도포 시 0.1mm ~ 0.5mm의 두께로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무기질 도료의 도포를 1~2회 도포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요철면이 형성된 벽지의 면적에 따라 도포 두께 및 횟수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무기질 도료 도포단계(S140)는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요철면이 형성된 벽지의 표면에 도포가 이루어질 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색상안료를 더 혼합하여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색상 취향에 맞게 엠보 벽지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무기질 도료가 일정한 두께로 평탄하게 도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품질 검사단계(S150)가 수행된다.
품질 검사단계(S150)는 육안에 의한 검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평탄화 검사장치를 통해 무기질 도료의 도포 두계를 측정하는 방식을 통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품질 검사단계(S150)가 완료되면, 무기질 도료가 도포된 엠보 벽지의 보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감 작업단계(S160)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a)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 이후,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도포할 실내 콘크리트 표면의 피착면을 정리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 표면에 엠보 벽지를 상기 피착면에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 이후, 도포수단을 상기 엠보 벽지의 표면과 40°~5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고, 1회 도포 시 0.1mm ~ 0.5mm의 두께로 상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e) 피착면에 도포된 상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가 일정한 두께로 평탄하게 도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f) 상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가 도포된 엠보 벽지 표면의 보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엠보 벽지의 표면에 도포가 이루어질 때, 색상안료를 더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엠보 벽지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a1) 규산 소다 15중량% ~ 60중량%와, 규산 칼륨 15중량% ~60중량%와, 규산 리튬 5중량% ~10중량%를 교반하여 액상 결합제를 제조하는 단계;
    (a2) 활성탄, 실리카겔, 맥반석,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규조토, 제올라이트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되는 다공성 무기물과, 은(Ag), 아연(Zn)이 일정 중량비로 혼합되는 무기 항균제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a3) 상기 다공성 무기물 및 무기 항균제와 글리신(Glycine),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Deithylenetriamin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amine),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요소(Urea)가 혼합되게 구성되며, 파우더 혼합물의 총 중량에 있어서, 상기 글리신(Glycine),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Deithylenetriamin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amine),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및 요소(Urea)를 각각 일정 중량비로 혼합하여 파우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a4) 상기 액상 결합제 및 상기 파우더 혼합물에 D-소르비톨(D-Sorbitol)를 일정 중량비로 혼합하여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엠보 벽지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도료는 총 중량에 있어서, 상기 액상 결합제 30중량% ~70중량%, 상기 파우더 혼합물 25중량% ~ 60중량%, 1중량% ~10중량%의 D-소르비톨(D-Sorbitol)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엠보 벽지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혼합물은, 다공성 무기물 40.0중량% ~99.0중량%와, 무기 항균제 0.5중량% ~ 10중량%와, 글리신(Glycine) 0.1중량% ~ 5.0중량%와,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Deithylenetriamine) 0.1중량% ~ 5.0중량%와, 하이드록실아민(Hydroxyamine) 0.1중량% ~ 5.0중량%와,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0.1중량% ~ 5.0중량%와, 요소(Urea) 0.1중량% ~ 5.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엠보 벽지 시공방법.
KR1020190050643A 2019-04-30 2019-04-30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 KR102241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643A KR102241151B1 (ko) 2019-04-30 2019-04-30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643A KR102241151B1 (ko) 2019-04-30 2019-04-30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687A true KR20200126687A (ko) 2020-11-09
KR102241151B1 KR102241151B1 (ko) 2021-04-16

Family

ID=7342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643A KR102241151B1 (ko) 2019-04-30 2019-04-30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8770C1 (ru) * 2020-11-12 2021-11-01 Вале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Моисеенко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иниловых обоев с бактерицидным покрытием
KR102446596B1 (ko) * 2022-02-08 2022-09-28 다우산업(주) 부착강도와 불연성능 및 마감재 기능을 강화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029B1 (ko) 2023-04-14 2023-06-13 주식회사 폴리그린 Ai기반 페트병 수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8879A1 (ja) * 2006-02-03 2007-08-09 Toagosei Co., Ltd. 消臭剤および消臭加工製品
KR20090109696A (ko) * 2008-04-16 2009-10-21 양인동 엠보싱 부직포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130121587A (ko) 2012-04-27 2013-11-06 원성재 천연 광물 양구 방산 백색 고령토에서 추출한 화이트 이온 미네랄과 백색 고령토 분말을 이용한 새 집 증후군 제거용 얇은 바름제로서의 액상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8879A1 (ja) * 2006-02-03 2007-08-09 Toagosei Co., Ltd. 消臭剤および消臭加工製品
KR20090109696A (ko) * 2008-04-16 2009-10-21 양인동 엠보싱 부직포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130121587A (ko) 2012-04-27 2013-11-06 원성재 천연 광물 양구 방산 백색 고령토에서 추출한 화이트 이온 미네랄과 백색 고령토 분말을 이용한 새 집 증후군 제거용 얇은 바름제로서의 액상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8770C1 (ru) * 2020-11-12 2021-11-01 Вале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Моисеенко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иниловых обоев с бактерицидным покрытием
KR102446596B1 (ko) * 2022-02-08 2022-09-28 다우산업(주) 부착강도와 불연성능 및 마감재 기능을 강화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151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151B1 (ko)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인테리어 엠보 벽지 마감 시공방법
CN100350119C (zh) 内装修用建筑材料、内装修用建材板和内装修用建材薄片
CN105949863A (zh) 一种功能性硅藻泥腻子粉及其制备方法
CN104496358A (zh) 一种室内用防霉抗菌型硅藻泥装饰壁材
CN105753506A (zh) 净化与吸附的复合硅藻泥粉末涂料及其制备和施工方法
KR20140044535A (ko) 친환경 무기 바닥 마감재 조성물.
CN104185659A (zh) 建筑物室内涂饰材料用水溶漆组合物
KR100804402B1 (ko) 천연 무기질 도료 및 그 제조방법
JP2008038365A (ja) 建築物内装壁及びその仕上げ塗り材
KR101810089B1 (ko) 규조토를 이용한 벽마감재 조성물
CN103351130A (zh) 一种抗剥落的外墙腻子粉的制备方法及使用方法
CN103351687A (zh) 一种抗剥落的外墙腻子粉
KR20170013603A (ko) 규산염계 무기질 바인더 및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내부 장식용 친환경 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보드의 제조 방법
JP5061396B2 (ja) 珪藻土系室内塗装材による塗装方法及び当該塗装方法に用いられる珪藻土系室内塗装材
KR100994787B1 (ko) 활성탄소섬유를 함유하는 규조토계 벽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규조토계 벽마감재
CN210459849U (zh) 一种空气净化玻化砖装饰墙面
KR20140044534A (ko) 친환경 무기 바름재 조성물.
KR101391350B1 (ko) 도장방법
JP4604245B2 (ja) 建築物の表装仕上げ構造および表装仕上げ層の形成方法
JP2000001649A (ja) 内装用塗料組成物
JP5259251B2 (ja) 板状通気体及び積層体
JP4597497B2 (ja) 建築物用塗料組成物
KR100475367B1 (ko) 건축물 표면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350552B2 (ja) 化粧シート
CN112430406A (zh) 一种耐水腻子粉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