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378A -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 Google Patents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378A
KR20200117378A KR1020190039397A KR20190039397A KR20200117378A KR 20200117378 A KR20200117378 A KR 20200117378A KR 1020190039397 A KR1020190039397 A KR 1020190039397A KR 20190039397 A KR20190039397 A KR 20190039397A KR 20200117378 A KR20200117378 A KR 20200117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ox
door
plate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222B1 (ko
Inventor
정창원
장왕림
Original Assignee
정창원
주식회사 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원, 주식회사 투원 filed Critical 정창원
Priority to KR102019003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22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8Bottoms or tuyéres of conver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93Skull removal; Cleaning of the converter mou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4Sintering pots or sintering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결광의 배합원료가 장입되는 소결대차의 하부에 놓인 윈드박스에 설치되어 조업 상황에 맞추어 풍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결대차로부터 낙하하는 소결광이 댐퍼의 상부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damper of wind box for manufacturing sintered ore}
본 발명은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결광의 배합원료가 장입되는 소결대차의 하부에 놓인 윈드박스에 설치되어 조업 상황에 맞추어 풍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결대차로부터 낙하하는 소결광이 댐퍼의 상부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제선을 위한 고로는 소결광으로 가공된 철광석과 코크스, 석회석을 공급받아 철광석의 산화철을 환원시켜 용융된 철을 배출시켜 주는 용광로이다. 고로로 투입되는 철광석 원료는 철 함량이 일정하지 않고, 환원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균일한 품질과 충분한 기공 확보를 위하여 철광석 분말을 일정한 입도를 가지는 형태로 가공하여 소결 처리한 소결광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고로에서는 원료용으로 소결광을 70~80% 사용하고 있다.
소결광 제조에 사용되는 철광석 배합원료는 약 10mm이하의 분철광석과, 부원료로서 보통 철광석보다 입도가 작은 석회석, 생석회 등의 CaO 함유원료 및 SiO2 를 주성분으로 하는 규석, 그리고 코크스나 무연탄 등의 고체연료가 포함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합 원료들은 소결광의 품질 및 조성을 고려하여 배합비가 결정된 후에 배합비에 따라 원료 저장빈(1)에서 일정량씩 절출되고, 이들을 믹서에서 혼합 및 적당량의 수분을 가하여 소결에 적합한 입도로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배합 원료는 서지호퍼 행 벨트 컨베이어와 왕복 컨베이에 의해 서지 호퍼(2) 내로 입조되고 서지호퍼(2)의 하부 출측에 설치된 드럼 피더를 통해 소결대차(3)에 공급된다.
서지호퍼(2)의 후방에 설치된 상부광저장호퍼(9)는 혼합기로부터 배합광의 일부를 공급받아 그 배합광을 서지호퍼(2)보다 먼저 소결대차(3)로 공급함으로써 소결시에 상부광을 형성한다. 서지 호퍼(2) 및 상부광 저장호퍼(4)로부터 소결대차(3)로 공급된 배합광은 소결대차(3)를 따라 이동하면서 점화로(5)에서 상층부가 점화되는데, 윈드박스(6)와 덕트(7)로 연결된 배풍기(8)의 하방 흡입에 의해 점화된 열기가 하층부로 내려오면서 배합광 전체를 소결시킨다. 이때, 배합광은 소결대차(3)를 따라 이동하므로 하방 흡입에 의해 소결됨과 동시에 상부로부터 찬공기와 접촉하여 냉각된다. 이 같은 소결과 냉각과정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소결광이 생성된다.
생성된 소결광은 1차 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후, 핫 스크린에 의해 그 직경에 따라 분급된다. 즉, 직경 5㎜이하의 반광은 반광 저장호퍼(4)로 반송되어 혼합기로 재공급되고, 직경 5㎜ 이상의 소결광은 쿨러(9)로 이송되어 냉각된 후 절출 피더에 의해 일정량의 비율로 2차 파쇄기로 이송된다. 2차 파쇄기에서는 직경 50㎜ 이상의 소결광을 파쇄하여 고로에 장입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만들어 주며, 파쇄된 소결광은 제1 스크린(10)에 의해 직경 15㎜ 이상, 제2 스크린(11)에 의해 직경 10㎜ 이상, 제3 스크린(12)에 의해 직경 5㎜ 이상으로 각각 분급되고 최종적으로 소결광 저장호퍼(13)에 저장된다. 소결광 저장호퍼에 저장된 소결광은 고로조업에 투입된다.
이와 같이 소결광의 제조시 윈드박스(6)에는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15)가 설치된다. 댐퍼(15)는 윈드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개폐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윈드박스(6)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소결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윈드박스와 덕트로 연결된 배풍기의 하방 흡입에 의해 점화된 열기가 하층부로 내려오면서 배합광 전체를 소성시키는 구조이므로 공기와 함께 소결광의 일부가 낙하하여 윈드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댐퍼의 상부에 소결광이 적취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소결광이 댐퍼에 고착되어 댐퍼의 작동에 장애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0432호: 소결기 온도 제어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조업 상황에 맞추어 풍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결대차로부터 낙하하는 소결광이 댐퍼의 상부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는 소결대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윈드박스에 결합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윈드박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유입호퍼와; 상기 유입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후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개폐유닛을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왕복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왕복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이동이 가능한 제 1도어부와, 상기 제 1도어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왕복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이동이 가능한 제 2도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도어부 및 상기 제 2도어부는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입구를 막거나 동시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입구를 개방시킨다.
상기 제 1도어부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제 2도어부와 마주하는 일면에 제 1개구가 형성된 제 1이동함과, 일측이 상기 제 1개구를 통해 상기 제 1이동함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제 1이동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도어부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제 1도어부와 마주하는 일면에 제 2개구가 형성된 제 2이동함과, 일측이 상기 제 2개구를 통해 상기 제 2이동함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제 2이동판을 구비한다.
상기 제 1도어부는 상기 제 1이동판이 일정 거리 이동한 후에 상기 제 1이동함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이동판을 제 1이동함에 걸리도록 하는 제 1간섭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도어부는 상기 제 2이동판이 일정 거리 이동한 후에 상기 제 2이동함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이동판을 제 2이동함에 걸리도록 하는 제 2간섭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 1간섭수단은 상기 제 1이동판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이동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이동판이 상기 제 2도어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후 상기 제 1이동함에 걸려 상기 제 1이동판과 함께 상기 제 1이동함을 이동시키는 제 1내부걸림턱과, 상기 제 1이동판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이동함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이동판이 상기 제 2도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후 상기 제 1이동함에 걸려 상기 제 1이동판과 함께 상기 제 1이동함을 이동시키는 제 1외부걸림턱을 구비한다.
상기 제 2간섭수단은 상기 제 2이동판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이동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이동판이 상기 제 1도어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후 상기 제 2이동함에 걸려 상기 제 2이동판과 함께 상기 제 2이동함을 이동시키는 제 2내부걸림턱과, 상기 제 2이동판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이동함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이동판이 상기 제 1도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후 상기 제 2이동함에 걸려 상기 제 2이동판과 함께 상기 제 2이동함을 이동시키는 제 2외부걸림턱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소결대차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이 상기 제 1 및 제 2도어부의 상부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도어부의 이동시 상기 제 1 및 제 2도어부의 상부에 적취된 낙하물을 긁어내는 고착방지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제 1나사산부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나사산부의 나사산 형성방향과 반대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나사산부와, 상기 제 1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도어부와 결합되는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2도어부와 결합되는 제 2연결부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는 제 1지지봉과, 일측이 상기 제 2연결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타면을 관통하는 제 2지지봉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업 상황에 맞추어 풍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결대차로부터 낙하하는 소결광이 댐퍼의 상부에 고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결광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댐퍼가 윈드챔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적용된 댐퍼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적용된 댐퍼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적용된 댐퍼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 적용된 댐퍼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3에 적용된 댐퍼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결대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윈드박스에 결합되어 풍량을 조절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20)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를 형성하는 유입호퍼(30)와, 유입호퍼(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후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유입구(31)를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개폐유닛을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왕복이동수단을 구비한다.
하우징(21)은 윈드박스(6)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와 달리 윈드박스(6)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2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 통형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21)의 상부와 하부에는 플랜지(23)(25)가 각각 형성된다. 상부 플랜지(23)는 윈드박스(6)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결합되고, 하부 플랜지(25)는 덕트(7)에 형성된 플랜지와 결합된다.
유입호퍼(30)는 하우징(2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유입호퍼(30)는 윈드박스(6)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를 형성한다. 유입호퍼(31)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구조를 갖는다.
유입호퍼(31)의 하부에는 후술할 고착방지수단의 하나인 돌출턱(60)이 형성된다. 돌출턱(60)은 유입호퍼(30)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개폐유닛은 유입호퍼(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후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유입구(3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개폐유닛은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수평상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유입구(31)를 개폐시킨다. 이는 종래의 댐퍼가 공기의 통로를 막고 있는 판을 회전시켜 통로를 개방하는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도시된 개폐유닛은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유입구(31)를 개폐시킨다. 도시된 바와 달리 개폐유닛은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하면서 유입구(31)를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개폐유닛은 제 1도어부(40)와 제 2도어부(50)로 이루어진다.
제 1도어부(40)와 제 2도어부(50)는 왕복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전후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제 1도어부(40) 및 제 2도어부(50)는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입구(31)를 막거나 동시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입구(31)를 개방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도어부(40)는 제 1개구(43)가 형성된 제 1이동함(41)과, 일측이 제 1개구(43)를 통해 제 1이동함(41)의 내부로 삽입되며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제 1이동판(45)을 구비한다.
제 1이동함(41)은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통 구조를 갖는다. 제 1이동함(41)의 일면에 제 1개구(43)가 형성된다. 제 1개구(43)는 제 2이동함(51)과 마주하는 제 1이동함(41)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 1이동함(41)의 상부에는 제 1스토퍼(44)가 형성된다. 제 1스토퍼(44)는 제 1이동함(41)의 타면 상부에 형성된다. 제 1스토퍼(44)는 제 1이동함(41)이 제 2도어부(50) 방향으로 이동시 돌출턱(60)에 걸려 제 1이동함(41)의 이동범위를 제한시킨다.
제 1이동함(41)은 가이드봉(70)에 의해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가이드봉(70)은 하우징(7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봉(70)은 전후 일정간격 이격되어 2개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봉(70)에는 제 1슬라이더(71)가 설치된다. 제 1슬라이더(71)는 가이드봉(7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환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봉(70)은 제 1슬라이더(71)를 통과한다. 그리고 제 1슬라이더(71)와 제 1이동함(41)은 제 1연결바(73)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봉(70)에 의해 지지되는 제 1이동함(41)은 가이드봉(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 1이동판(45)은 사각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 1이동판(45)은 일측이 제 1개구(43)를 통해 제 1이동함(4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제 1이동판(45)은 왕복이동수단과 연결된다.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제 1이동판(45)은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제 1이동판(45)은 좌측 방향, 즉 제 2도어부(5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이동판(45)은 우측 방향, 즉 제 2도어부(5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이동판(45)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제 1이동판(45)에는 제 1롤러(49)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1롤러(49)는 제 1이동함(4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1이동판(45)의 일측에 설치된다.
한편, 제 1도어부(40)는 제 1이동판(45)이 일정 거리 이동한 후에 제 1이동함(41)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간섭수단을 더 구비한다.
제 1간섭수단에 의해 제 1이동판(45)은 일정 거리 이동한 후에 제 1이동함(41)에 걸린다. 그리고 제 1이동판(45)이 제 1이동함(41)에 걸린 후부터는 제 1이동함(41)과 제 1이동판(45)이 함께 이동한다.
제 1간섭수단으로 제 1이동함(4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1내부걸림턱(48)과, 제 1이동함(41)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 1외부걸림턱(47)이 구비된다.
제 1내부걸림턱(48)은 제 1이동판(45)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제 1이동함(41)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 1내부걸림턱(48)은 제 1이동판(45)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 1이동판(45)이 제 2도어부(50)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면 제 1내부걸림턱(48)이 제 1이동함(41)에 걸린다. 따라서 이때부터는 제 1이동판(45)과 제 1이동함(41)이 제 2도어부(50)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제 1외부걸림턱(47)은 제 1이동판(45)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제 1이동함(41)의 외부에 위치한다. 제 1외부걸림턱(47)은 제 1이동판(450의 타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 1이동판(45)이 제 2도어부(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면 제 1외부걸림턱(47)이 제 1이동함(41)에 걸린다. 따라서 이때부터는 제 1이동판(45)과 제 1이동함(41)이 함께 제 2도어부(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2도어부(50)는 제 2개구(53)가 형성된 제 2이동함(51)과, 일측이 제 2개구(53)를 통해 제 2이동함(51)의 내부로 삽입되며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제 2이동판(55)을 구비한다.
제 2이동함(51)은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통 구조를 갖는다. 제 2이동함(51)의 일면에 제 2개구(53)가 형성된다. 제 2개구(53)는 제 1이동함(41)과 마주하는 제 2이동함(51)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 2이동함(51)의 상부에는 제 2스토퍼(54)가 형성된다. 제 2스토퍼(54)는 제 2이동함(51)의 타면 상부에 형성된다. 제 2스토퍼(54)는 제 2이동함(51)이 제 1도어부(40) 방향으로 이동시 돌출턱(54)에 걸려 제 2이동함(51)의 이동범위를 제한시킨다.
제 2이동함(51)은 가이드봉(70)에 의해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가이드봉(70)에는 제 2슬라이더(75)가 설치된다. 제 2슬라이더(75)는 가이드봉(7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환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봉(70)은 제 2슬라이더(75)를 통과한다. 그리고 제 2슬라이더(75)와 제 2이동함(51)은 제 2연결바(77)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봉(70)에 의해 지지되는 제 2이동함(51)은 가이드봉(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 2이동판(55)은 사각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 2이동판(55)은 일측이 제 2개구(53)를 통해 제 2이동함(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제 2이동판(55)은 왕복이동수단과 연결된다.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제 2이동판(55)은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제 2이동판(55)은 우측 방향, 즉 제 1도어부(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이동판(55)은 좌측 방향, 즉 제 1도어부(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이동판(55)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제 2이동판(55)에는 제 2롤러(59)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2롤러(59)는 제 2이동함(5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2이동판(55)의 일측에 설치된다.
한편, 제 2도어부(50)는 제 2이동판(55)이 일정 거리 이동한 후에 제 2이동함(51)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간섭수단을 더 구비한다.
제 2간섭수단에 의해 제 2이동판(55)은 일정 거리 이동한 후에 제 2이동함(51)에 걸린다. 그리고 제 2이동판(55)이 제 2이동함(51)에 걸린 후부터는 제 2이동함(51)과 제 2이동판(55)이 함께 이동한다.
제 2간섭수단으로 제 2이동함(5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2내부걸림턱(58)과, 제 2이동함(51)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 2외부걸림턱(57)이 구비된다.
제 2내부걸림턱(58)은 제 2이동판(55)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제 2이동함(51)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 2내부걸림턱(58)은 제 2이동판(55)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 2이동판(55)이 제 1도어부(40)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면 제 2내부걸림턱(58)이 제 2이동함(51)에 걸린다. 따라서 이때부터는 제 2이동판(55)과 제 2이동함(51)이 제 1도어부(40)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제 2외부걸림턱(57)은 제 2이동판(55)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제 2이동함(51)의 외부에 위치한다. 제 2외부걸림턱(57)은 제 2이동판(55)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제 2이동함(51)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 2외부걸림턱(57)은 제 2이동판(55)의 타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 2이동판(55)이 제 1도어부(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면 제 2외부걸림턱(57)이 제 2이동함(51)에 걸린다. 따라서 이때부터는 제 2이동판(55)과 제 2이동함(51)이 함께 제 1도어부(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개폐유닛은 소결대차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이 제 1 및 제 2도어부(40)(50)의 상부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및 제 2도어부(40)(50)의 이동시 제 1 및 제 2도어부(40)(50)의 상부에 적취된 낙하물을 긁어내는 고착방지수단을 더 구비한다. 낙하물은 소결광이나 철광석 배합원료일 수 있다.
고착방지수단은 돌출턱(60) 및 제 1스크레이퍼(63)와 제 2스크레이퍼(65)로 이루어진다.
돌출턱(60)은 제 1 및 제 2이동함(41)(51)의 상부에 적취된 낙하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제 1 및 제 2스크레이퍼(63)(65)는 제 1 및 제 2이동판(45)(55)의 상부에 적취된 낙하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돌출턱(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호퍼(30)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 1스크레이퍼(63)는 제 1이동함(41)에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스크레이퍼(63)는 제 1개구(43)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 1스크레이퍼(63)의 하단부는 제 1이동판(45)의 상면과 인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이동판(45)이 제 1개구(43)를 통해 좌우로 이동시 제 1이동판(45)의 상부에 적취된 낙하물은 제 1스크레이퍼(63)에 의해 제거되고, 제거된 낙하물은 하방으로 낙하한다.
제 2스크레이퍼(65)는 제 2이동함(51)의 일측에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2스크레이퍼(65)는 제 2개구(53)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 2스크레이퍼(65)의 하단부는 제 2이동판(55)의 상면과 인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2이동판(55)이 제 2개구(53)를 통해 좌우로 이동시 제 2이동판(55)의 상부에 적취된 낙하물은 제 2스크레이퍼(65)에 의해 제거되고, 제거된 낙하물은 하방으로 낙하한다.
왕복이동수단은 개폐유닛을 왕복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적용된 왕복이동수단은 제 1도어부(40)와 제 2도어부(50)를 동시에 이동시킨다. 제 1도어부(40)와 제 2도어부(5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왕복이동수단은 하우징(21)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회전축(80)과, 회전축(8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제 1나사산부(83)와, 회전축(80)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된 제 2나사산부(85)와, 제 1나사산부(83)에 나사결합되어 제 1도어부(40)와 결합되는 제 1연결부(90)와, 제 2나사산부(85)에 나사결합되어 제 2도어부(50)와 결합되는 제 2연결부(95)와, 회전축(8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00)와, 일측이 제 1연결부(90)에 고정되어 회전축(90)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타측은 하우징(21)의 일면을 관통하는 제 1지지봉(94)과, 일측이 제 2연결부(95)에 고정되어 회전축(80)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타측은 하우징(21)의 타면을 관통하는 제 2지지봉(99)을 구비한다.
회전축(80)은 하우징(21)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회전축(80)의 일측은 하우징(21)의 우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회전축(80)의 타측은 하우징의 좌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회전축의 타측은 하우징(21)의 좌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구동부(100)와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축(80)은 구동부(100)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축(80)에는 제 1나사산부(83)와 제 2나사산부(85)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나사산부(83)와 제 2나사산부(85) 사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이동제한부(81)가 형성된다. 이동제한부(81)는 제 1나사산부(830 및 제 2나사산부(85)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동제한부(81)를 사이에 두고 우측편에 제 1나사산부(83)가 형성되고, 좌측편에 제 2나사산부(85)가 형성된다.
제 1나사산부(83)와 제 2나사산부(85)는 나사산의 형성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즉, 제 1나사산부(83)가 왼나사이면 제 2나사산부(85)는 오른나사로 형성된다.
회전축(80)의 외주면에 낙하하는 소결광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축(80)은 축커버(29)에 의해 덮인다. 축커버(29)는 하우징(21)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길게 형성된다. 축커버(29)는 하부를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갖는다.
제 1연결부(90)는 제 1나사산부(83)에 나사결합되어 제 1이동판(45)에 결합된다. 제 1연결부(90)는 제 1나산산부(83)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 1가이드링(91)과, 제 1가이드링(91)과 제 1이동판(45)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 1연결플레이트(93)로 구비된다.
제 2연결부(95)는 제 2나사산부(85)에 나사결합되어 제 2이동판(55)에 결합된다. 제 2연결부(95)는 제 2나사산부(85)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 2가이드링(96)과, 제 2가이드링(96)과 제 2이동판(55)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 2연결플레이트(98)로 구비된다.
구동부(100)는 모터(101)와, 모터(101)와 연결된 기어부(103)와, 기어부(103)와 연결되어 회전축(80)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구동축(105)과, 구동축(105)과 회전축(80)을 연결하는 조인트부(107)로 이루어진다.
하우징(21)의 외측에 조인트부(107)가 수용되는 박스부(109)가 설치된다. 모터(101)는 박스부(109)의 외측에 설치된다. 모터(101)의 회전력은 기어부(103)에 전달되고, 기어부(103)를 통해 구동축(105)으로 전달된다. 기어부(103)는 회전방향을 직각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베벨기어 또는 웜과 웜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어부(103)와 연결된 구동축(105)은 박스부(109)의 내부로 연장된다. 박스부(109)의 내부에서 구동축(105)은 조인트부(107)에 의해 회전축(80)과 연결된다. 조인트부(107)로 통상적인 축 커플링이 이용될 수 있다. 조인트부(107)에는 토크리미터가 설치되어 부하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작용할 경우 구동축의 회전력이 회전축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80)의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연결부(90)(95)가 이동시 제 1 및 제 2연결부(90)(95)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해 제 1지지봉(94)과 제 2지지봉(99)이 설치된다.
제 1지지봉(94)은 일측이 제 1연결부(90)의 하부에 고정되어 회전축(80)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 1지지봉(94)의 타측은 하우징(210의 우측면을 관통한다.
제 2지지봉(99)은 일측이 제 2연결부(95)의 하부에 고정되어 회전축(80)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 2지지봉(99)의 타측은 하우징(21)의 좌측면을 관통한다.
구동부(100)에 의해 회전축(8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도어부(40)와 제 2도어부(4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면서 유입구(31)를 개방하고, 회전축(8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도어부(40)와 제 2도어부(5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가령, 도 4와 같이 개폐유닛에 의해 유입구(31)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축(8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저 제 1이동판(450과 제 2이동판(55)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이때는 제 1이동함(41)과 제 2이동함(51)은 정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외부걸림턱(47)이 제 1이동함(41)에 걸리고 제 2외부걸림턱(57)이 제 2이동함(51)에 걸리게 되면 이때부터는 제 1이동판(45)과 제 1이동함(41)과 함께 이동하고, 제 2이동판(55)이 제 2이동함(51)과 함께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31)는 완전 개방된다.
그리고 유입구(31)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축(8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이동판(45)과 제 2이동판(55)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이때는 제 1이동함(41)과 제 2이동함(51)은 정지되어 있다. 제 1내부걸림턱(48)이 제 1이동함(41)에 걸리고 제 2외부걸림턱(58)이 제 2이동함(51)에 걸리게 되면 이때부터는 제 1이동판(45)과 제 1이동함(41)이 함께 이동하고, 제 2이동판(55)이 제 2이동함(51)과 함께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31)는 완전히 닫힌다.
그리고 제 1 및 2도어부(40)(5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돌출턱(60)에 의해 제 1 및 제 2이동함(41)(51)의 상부에 적취된 낙하물이 제거되고, 제 1 및 제 2스크레이퍼(63)(65)에 의해 제 1 및 제 2이동판(45)(55)의 상부에 적취된 낙하물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업 상황에 맞추어 풍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결대차로부터 낙하하는 소결광이 댐퍼의 상부에 고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42는 제 1이동함(41)의 바닥에 형성되어 제 1이동판(45)의 이동시 제 1연결플레이트(93)의 상부가 진입되는 제 1진입홈이고, 미설명 부호 52는 제 2이동함(51)의 바닥에 형성되어 제 2이동판(55)의 이동시 제 2연결플레이트(98)의 상부가 진입되는 제 2진입홈을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6: 윈드박스 7: 덕트
20: 댐퍼 21: 하우징
30: 유입호퍼 40: 제 1도어부
50: 제 2도어부 80: 회전축
100: 구동부

Claims (7)

  1. 소결대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윈드박스에 결합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윈드박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유입호퍼와;
    상기 유입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후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개폐유닛을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왕복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왕복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이동이 가능한 제 1도어부와, 상기 제 1도어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왕복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왕복이동이 가능한 제 2도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도어부 및 상기 제 2도어부는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입구를 막거나 동시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입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어부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제 2도어부와 마주하는 일면에 제 1개구가 형성된 제 1이동함과, 일측이 상기 제 1개구를 통해 상기 제 1이동함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제 1이동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도어부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제 1도어부와 마주하는 일면에 제 2개구가 형성된 제 2이동함과, 일측이 상기 제 2개구를 통해 상기 제 2이동함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제 2이동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어부는 상기 제 1이동판이 일정 거리 이동한 후에 상기 제 1이동함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이동판을 제 1이동함에 걸리도록 하는 제 1간섭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도어부는 상기 제 2이동판이 일정 거리 이동한 후에 상기 제 2이동함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이동판을 제 2이동함에 걸리도록 하는 제 2간섭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간섭수단은 상기 제 1이동판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이동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이동판이 상기 제 2도어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후 상기 제 1이동함에 걸려 상기 제 1이동판과 함께 상기 제 1이동함을 이동시키는 제 1내부걸림턱과, 상기 제 1이동판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이동함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이동판이 상기 제 2도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후 상기 제 1이동함에 걸려 상기 제 1이동판과 함께 상기 제 1이동함을 이동시키는 제 1외부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간섭수단은 상기 제 2이동판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이동함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이동판이 상기 제 1도어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후 상기 제 2이동함에 걸려 상기 제 2이동판과 함께 상기 제 2이동함을 이동시키는 제 2내부걸림턱과, 상기 제 2이동판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이동함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이동판이 상기 제 1도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후 상기 제 2이동함에 걸려 상기 제 2이동판과 함께 상기 제 2이동함을 이동시키는 제 2외부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소결대차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이 상기 제 1 및 제 2도어부의 상부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도어부의 이동시 상기 제 1 및 제 2도어부의 상부에 적취된 낙하물을 긁어내는 고착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제 1나사산부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나사산부의 나사산 형성방향과 반대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나사산부와, 상기 제 1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도어부와 결합되는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2도어부와 결합되는 제 2연결부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일측이 상기 제 1연결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는 제 1지지봉과, 일측이 상기 제 2연결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타면을 관통하는 제 2지지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KR1020190039397A 2019-04-04 2019-04-04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KR102198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397A KR102198222B1 (ko) 2019-04-04 2019-04-04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397A KR102198222B1 (ko) 2019-04-04 2019-04-04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378A true KR20200117378A (ko) 2020-10-14
KR102198222B1 KR102198222B1 (ko) 2021-01-04

Family

ID=7284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397A KR102198222B1 (ko) 2019-04-04 2019-04-04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2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427A (ko) * 1997-12-27 1999-07-15 이구택 소결광 장치 및 소결광 제조 방법
KR20020025504A (ko) * 2000-09-29 2002-04-04 황한규 열교환기의 댐퍼장치
KR20040100432A (ko) 2003-05-23 2004-12-02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 온도 제어 장치
KR20180047213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427A (ko) * 1997-12-27 1999-07-15 이구택 소결광 장치 및 소결광 제조 방법
KR20020025504A (ko) * 2000-09-29 2002-04-04 황한규 열교환기의 댐퍼장치
KR20040100432A (ko) 2003-05-23 2004-12-02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 온도 제어 장치
KR20180047213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222B1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8498A1 (en) Process for producing molten iron and apparatus therefor
EP0969105B1 (en) Method of operating a movable hearth furnace for reducing oxides
CN102471813A (zh) 以含碱炼铁粉尘为原料的还原铁的制造装置和制造方法
KR102198222B1 (ko) 소결광 제조를 위한 윈드박스의 풍량조절용 댐퍼
JP5334240B2 (ja) 製鋼用還元鉄塊成鉱の製造方法
EP2851436B1 (en) Method for charging starting material into blast furnace
JP2005194544A (ja) 半還元塊成鉱の製造方法
JP6273983B2 (ja) 還元鉄を用いた高炉操業方法
JP6185435B2 (ja) 回転炉床炉
WO1994005817A1 (en) Method for producing sintered ore
KR101543590B1 (ko) 빈 슈트의 막힘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157943B1 (ko) 소결광의 제조 방법
KR100985278B1 (ko) 소결기 온도 제어 장치
US3591158A (en) Shaft furnace
KR101749079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방법
KR101304823B1 (ko) 호퍼 장입장치 및 배합원료의 호퍼 장입방법
JP3758386B2 (ja) 焼結パレットへの原料装入方法
KR20020050448A (ko) 소결기의 분할게이트 높이 제어장치
KR20040042543A (ko) 소결표층부 열원첨가를 위한 장입장치
US2380096A (en) Manufacture of lead oxide
CN210700398U (zh) 一种水泥球磨机进料稳流装置
JP2009030853A (ja) ドワイトロイド式焼結機の床敷き鉱装入装置および焼結鉱の製造方法
SU1158226A1 (ru) Молоткова дробилка
SU985093A1 (ru)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шихты на агломерационную машину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KR200191845Y1 (ko) 로타리 킬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