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159A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159A
KR20200107159A KR1020190025835A KR20190025835A KR20200107159A KR 20200107159 A KR20200107159 A KR 20200107159A KR 1020190025835 A KR1020190025835 A KR 1020190025835A KR 20190025835 A KR20190025835 A KR 20190025835A KR 20200107159 A KR20200107159 A KR 20200107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mergency situation
wearable device
user terminal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436B1 (ko
Inventor
서석현
정진혁
한상현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43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응급 상황 감지 방법은 웨어러블 기기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제1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제1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응급 상황에 대한 사용자 확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요청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이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제2 알림 신호를 미리 설정된 대상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MERGENCY WITH WEARABLE DEVICES}
아래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고 거주 형태의 선진화 현상이 나타나면서, 독거 노인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독사 등의 문제점도 발생되고 있다. 독거 노인이나 장애인들의 사회적 방치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들이 최근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정부나 민간 단체에서 일부 독거 노인들이나 장애인들을 관리하고 있으나, 수 많은 독거 노인과 장애인들을, 매일 방문하여 일신상의 문제를 확인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들을 관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방문 확인 및 전화 확인이라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효과가 미비하다. 이에, 독거 노인들이나 장애인들에 대한 응급 상황을 감지하고, 이를 조치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제1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응급 상황에 대한 사용자 확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제2 알림 신호를 미리 설정된 대상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알림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대상은, 무선 방송 시스템 및 미리 설정된 구호 시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수집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맥박수, 움직임,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들이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은, 상기 사용자의 맥박수가 미리 정해진 최저 맥박수보다 크고 미리 정해진 최대 맥박수보다 작은지 여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정해진 최저 체온보다 높고 미리 정해진 최대 체온보다 낮은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응급 상황 감지 방법.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 상황 감지 방법은, 웨어러블 기기의 자체적인 알고리즘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응급 상황을 모니터링 및 판단할 수 있다. 이 기능을 통해, 독거 노인이 집 혹은 길거리에서 혼자 있을 때, 심장마비 등과 같은 이상징후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119와 같은 구호 시설에 응급 상황에 대해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 상황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을 비롯한 사용자 단말이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창을 화면에 띄워, 오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단계를 추가하여, 오작동에 대한 대처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문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오작동을 확인하는 버튼을 추가하여 오작동에 대해 대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관리하므로, 사용자 단말에서 관리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가 추후 사용자가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진단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 상황을 대처하는 상황에서, 기존에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던 기능들을 생체 신호 수집과 관련한 웨어러블 기기 및 사용자 단말이 분담하여 수행함으로써, 독거 노인이 처한 응급 상황을 대처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감지 시스템의 개요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감지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감지 시스템의 개요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응급 상황 감지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만약,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 경우, 응급 상황 감지 시스템(100)은 응급 상황의 발생에 대한 알림 신호를 웨어러블 기기(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웨어러블 기기(110)에 내장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측정되고 수집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110)와 사용자 단말(120)은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웨어러블 기기(110)로부터 응급 상황의 발생에 대한 알림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응급 상황의 발생이 맞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크린 상에 응급 상황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한 사용자의 사용자 확인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무선 방송 시스템(130) 및 구호 시설(140)에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과 무선 방송 시스템(130) 및/또는 구호 시설(140)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기기(11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계속해서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이 수집하고 관리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거나 추후 병원에 방문하였을 때, 진단 과정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참고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110)는 문의 개폐를 확인하는 장치(미도시)와도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문의 개폐를 확인하는 장치는 사용자 단말(120)과 함께 추가적으로 웨어러블 기기(110)의 오작동을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의 개폐를 확인하는 장치는 오작동 여부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20)만을 통해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보다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문의 개폐를 확인하는 장치로도 웨어러블 기기(110)의 추가적인 오작동 판단 결정 기능을 통해, 응급 상황 감지 장치의 정확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110)의 전원을 키면, 웨어러블 기기(110)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110)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110)를 착용했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1분 마다 주기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11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웨어러블 기기(110)는 블루투스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문의 개폐를 확인하는 장치와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11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웨어러블 기기(110)는 블루투스 기능을 끌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웨어러블 기기(110)의 제1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무선 방송 시스템(130)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제2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제2 알림 신호를 수신한 무선 방송 시스템(130)은, 예를 들어 제2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거주 중인 아파트의 안내 방송 혹은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주변의 안내 방송 시설 등을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와 응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이 구호 시설(140)에 제2 알림 신호를 전송한 이후, 119와 같은 구호처로부터 본격적인 구조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사용자가 응급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며 응급 상황 감지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감지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30)에서, 웨어러블 기기(210)는 센서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21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210)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맥박수, 움직임,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심박수 센서,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및 체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40)에서, 웨어러블 기기(210)는 센서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기기(210)는 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들이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맥박수가 미리 정해진 최저 맥박수보다 크고 미리 정해진 최대 맥박수보다 작은지 여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 및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정해진 최저 체온보다 높고 미리 정해진 최대 체온보다 낮은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맥박수의 경우,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은 예를 들어, 30(최저 맥박수에 대응) 이상 50(최대 맥박수에 대응) 이하가 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맥박수가 32라면, 웨어러블 기기(210)는 사용자의 맥박수가 정상 기준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맥박수가 55라면, 웨어러블 기기(210)는 사용자의 맥박수가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움직임의 경우, 웨어러블 기기(210)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로 1분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1분 동안 단 한 번이라도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다면, 사용자는 정상 기준을 만족시킨다고 할 수 있고, 1분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21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시간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체온의 경우, 사용자의 체온이 35.6도(최저 체온에 대응)와 37.8(최대 체온에 대응)도 사이라면 사용자의 체온은 정상 기준을 만족시킨다고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체온이 35.6도 미만이거나 37.8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온은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온이 36도라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사용자의 체온이 38도라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에서 맥박, 움직임 및 체온, 모두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웨어러블 기기(210)는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의 움직임, 맥박 및 체온 중에서 하나라도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킨다면, 웨어러블 기기(210)는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230)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기능들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210)는 가장 먼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웨어러블 기기(210)는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여기서 사용자의 맥박수가 정상 기준을 만족시킨다면, 웨어러블 기기(210)는 사용자가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으로 돌아갈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자의 맥박수가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웨어러블 기기(210)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체온이 정상 기준을 만족시킨다면 웨어러블 기기(210)는 또 다시 사용자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체온이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에서 어느 것 하나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기기(210)는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240)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단계(250)에서, 웨어러블 기기(210)는 사용자 단말(220)에 사용자의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제1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260)에서, 사용자 단말(220)은, 제1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응급 상황에 대한 사용자 확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20)은 제1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경고 메시지와 응급 상황 및 확인에 대응되는 버튼들이 포함된 사용자 확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응급 상황” 버튼은 실제로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고, “확인” 버튼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270)에서, 사용자 단말(220)은 응급 상황에 대한 사용자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220)이 사용자로부터 “확인”이라는 입력을 수신하였을 경우, 사용자 단말(220)은 웨어러블 기기(210)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오작동을 하여 잘못된 생체 신호를 수집하였고, 실제로는 응급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단말(220)이 사용자로부터 “응급 상황”이라는 입력을 수신하였을 경우, 사용자 단말(220)은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의식이 없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확인 입력을 입력할 수 없는 경우도 역시, 응급 상황으로 판단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사용자 확인 입력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사용자 단말(220)은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260)과 단계(270)을 통해 응급 상황 감지 장치는 웨어러블 기기(210)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응급 상황 감지 장치는 오작동에 대해 대처할 수 있고, 정확한 응급 상황 판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210)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은 문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응급 상황 감지 장치는 추가적으로 웨어러블 기기(210)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응급 상황 감지 장치의 정확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다.
단계(280)에서, 사용자 단말(22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응급 상황”이거나, 사용자의 입력이 아예 없다면, 사용자 단말(220)은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의 입력이 “확인”일 경우, 사용자 단말(220)은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된 경우, 응급 상황 감지 장치는 단계(230)부터의 기능들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단계(280)에서,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계(290)에서, 사용자 단말(220)은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제2 알림 신호를 미리 설정된 대상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알림 신호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대상은 현재 사용자 주변의 무선 방송 시스템 및 119나 병원과 같은 구호 시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20)은 사용자 주변의 무선 방송 시스템과 119에 동시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생체 신호 정보 등을 포함한 제2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방송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아파트 및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 주변의 안내 방송으로 사용자의 위치 및 응급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전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19가 제2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를 구조하러 오는 사이에 사용자에 대한 응급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응급 상황 감지 장치가 구동되는 동안 웨어러블 기기(210)가 수집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사용자 단말(220)에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2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20)에 의해 관리된 생체 신호 정보는 추후 사용자가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참고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상황 감지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응급 상황 감지 방법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수집부터 미리 정해진 구호 시설에의 알림 신호 전송까지,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계(305)에서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센서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315)에서, 웨어러블 기기는 블루투스 기능을 키고 블루투스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310)에서 웨어러블 기기는 블루투스 기능을 끌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여부를 1분마다 확인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웨어러블 기기는 심박수 센서를 통해서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맥박수를 상시로 측정할 수 있다.
단계(325)에서 웨어러블 기기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서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웨어러블 기기는 1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1분의 시간이 지나는 동안 한 순간이라도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단계(325)로 돌아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웨어러블 기기가 1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웨어러블 기기는 단계(335)에서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는 사용자의 맥박수가 30 이상 50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는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이 될 수 있다. 30은 미리 정해진 최저 맥박수를 의미할 수 있고, 50은 미리 정해진 최대 맥박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 기준에 대응하는 최저 맥박수 및 최대 맥박수는 사용자의 나이 및 건강 상태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의 맥박수가 30과 50 사이로 측정된 경우, 사용자의 맥박수는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므로, 웨어러블 기기는 단계(345)에서 10초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한 번이라도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사용자의 맥박수는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이 되었기 때문에, 단계(345)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라도, 웨어러블 기기는 2번의 추가적인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과 맥박수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의 오작동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계(345)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360)에서 초기값이 0인 c의 값에 1이 더해질 수 있다. 그리고 단계(365)에서 c의 값이 2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c의 값이 2가 아닌 경우, 웨어러블 기기는 단계(335)에서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c의 값이 2인 경우, 단계(270)에서 c의 값을 다시 0으로 변경하고 웨어러블 기기는 단계(325)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360), 단계(365) 및 단계(370)을 통해 사용자의 맥박수는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측정이 되지만,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맥박수가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으로 측정되거나, 움직임이 감지될 때까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수면이나 휴식 등으로 인해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에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지만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맥박수가 정상인 것으로 측정되어 잘못된 생체 신호를 수집하게 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만약 10초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다면,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단계(325)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사용자의 맥박수가 30 미만 혹은 50 초과인 것으로 측정되어, 사용자의 맥박수가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웨어러블 기기는 단계(350)에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355)에서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체온이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온의 정상 기준은 35.6도 이상,37.8도 이하가 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체온이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 경우, 웨어러블 기기는 단계(345)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의 맥박수는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지만, 사용자의 체온은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 경우이므로,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 생체 신호의 추가적인 수집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단계(355)에서 사용자의 체온이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맥박, 움직임 및 체온이 모두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도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기기는 단계(375)에서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1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380)에서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제1 알림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1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오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입력을 요청하는 창 또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이 아니고,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잘못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응급 상황이 아니라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웨어러블 기기가 오작동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계(325)에서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실제로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응급 상황이 맞다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응급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입력을 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이 일정 시간 동안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예를 들어, 60초 이상 또는 이하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응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시간과 관련한 카운트다운 화면이 사용자로부터 오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입력을 요청하는 창 또는 화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실제로 응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웨어러블 기기의 제1 알림 신호가 오작동이 아닌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은 단계(385)과 단계(39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385)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2 알림 신호를 무선 방송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알림 신호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응급 상황과 관련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무선 방송 시스템은 제2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시설들의 안내 방송 시설을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응급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전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응급 상황 감지 장치는 사용자가 구호 시설로부터 본격적인 구조를 받기 전에 응급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390)에서 사용자 단말은 미리 정해진 구호 시설에 제2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구호 시설은 119 및 병원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단계(390)과 단계(385)를 동시에 수행하여, 119에서 사용자를 구조하러 오는 동안, 사용자의 응급 상황과 관련한 안내 방송을 들은 사람들을 통해 사용자가 간단한 응급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기기(400)는 프로세서(410), 센서(420), 통신 인터페이스(430) 및 메모리(4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기기(400) 내에서 실행하기 위한 기능 및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고, 웨어러블 기기(4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응급 상황 감지 방법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0)는 센서(42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고, 사용자의 맥박수, 체온 및 움직임 등을 비롯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사용자 단말에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제1 알림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센서(420)는, 웨어러블 기기(4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420)에는 심박수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체온계(또는 온도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센서(420)는 심박수 센서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4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체온계를 통해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420)는 심박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맥박을 상시 측정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하여 1분간 사용자의 움직임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1분간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심박수 센서를 통해 맥박수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맥박수가 30에서 50사이의 수치를 유지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맥박수가 30에서 50사이의 수치를 유지한다면, 사용자의 맥박은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만,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는 상황이므로,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측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센서(42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10초간 사용자의 움직임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을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사용자의 맥박수가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때까지, 사용자의 움직임과 맥박을 측정하는 기능을 추가로 2번 더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맥박수가 30에서 50사이의 수치를 유지하지 못한다면, 센서(420)는 체온계를 통해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3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43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예, 블루투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440)는 프로세서(410)에 연결되고,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들, 프로세서(410)가 연산할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41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4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컨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컨대, 하나 이상의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쉬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은,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및 통신 인터페이스(5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500)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540) 및 디스플레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예를 들어, 셀룰러 폰,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 랩탑, 노트북, 넷북, 태블릿 또는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등이 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응급 상황 감지 방법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수신한 제1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응급 상황에 대한 사용자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실제로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제2 알림 신호를 미리 설정된 대상(예를 들어, 무선 방송 시스템 및/또는 구호 시설의 통신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10)에 연결되고,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들, 프로세서(510)가 연산할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51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컨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컨대, 하나 이상의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쉬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3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 무선 방송 시스템 및 구호 시설의 통신 서버 등)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3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 및 블루투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54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540)는 웨어러블 기기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필요한, 응급 상황에 대한 사용자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50)는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되는 응급 상황에 대한 사용자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550)는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제1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응급 상황에 대한 사용자 확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제2 알림 신호를 미리 설정된 대상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응급 상황 감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알림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대상은,
    무선 방송 시스템 및 미리 설정된 구호 시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응급 상황 감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수집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응급 상황 감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맥박수, 움직임,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응급 상황 감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들이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정상 기준은,
    상기 사용자의 맥박수가 미리 정해진 최저 맥박수보다 크고 미리 정해진 최대 맥박수보다 작은지 여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정해진 최저 체온보다 높고 미리 정해진 최대 체온보다 낮은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응급 상황 감지 방법.
KR1020190025835A 2019-03-06 2019-03-06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2157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35A KR102157436B1 (ko) 2019-03-06 2019-03-06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35A KR102157436B1 (ko) 2019-03-06 2019-03-06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59A true KR20200107159A (ko) 2020-09-16
KR102157436B1 KR102157436B1 (ko) 2020-09-17

Family

ID=7266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835A KR102157436B1 (ko) 2019-03-06 2019-03-06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866B1 (ko) * 2022-06-07 2023-12-01 주식회사 올라운드닥터스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470A (ko) * 2015-04-14 2016-10-24 주식회사 에스원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470A (ko) * 2015-04-14 2016-10-24 주식회사 에스원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866B1 (ko) * 2022-06-07 2023-12-01 주식회사 올라운드닥터스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436B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9344B2 (en) Systems for automatic assessment of fall risk
US105957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s of dementia and providing dementia patient management service
WO2017061371A1 (ja) 行動検知システム、行動検知装置、行動検知方法、および行動検知プログラム
US201400524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WO2019209986A1 (en) Anxiety detec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9296395B2 (en) Cognitive state supported automotive travel
KR102033696B1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예측 시스템 및 예측 컴퓨터프로그램
Duncan et al. Wireless monitoring and real-time adaptive predictive indicator of deterioration
EP3807890A1 (en) Monitoring a subject
Panicker et al. Tablet PC enabled body sensor system for rural telehealth applications
JP2019155071A (ja) 事象予測システム、センサ信号処理システム、事象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57436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Mohan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oT in Elderly Fall Prevention: A Review
JP7081606B2 (ja) 対象の転倒応答を決定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8145911A1 (en) Monitoring activity of a person
KR20200048938A (ko)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JP7258918B2 (ja) モニタリング対象者のバイタルサインの信頼性の決定
Shanmugam et al. Arduino Based IOT Platform for Remote Monitoring of Heart Attacks and Patients Falls.
JP4901674B2 (ja) 滞在状況監視システム、滞在状況監視サーバ及び滞在状況監視方法
US20210386360A1 (en) Detecting an ictal of a subject
Bhanuteja et al. CAMISA: An AI Solution for COVID-19
KR102441662B1 (ko) 메타버스를 이용한 케어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726679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2042304B2 (en) Determining reliability of vital signs of a monitored subject
US20210196153A1 (en) Monitoring activity of a su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