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305A - 금속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305A
KR20200102305A KR1020190020791A KR20190020791A KR20200102305A KR 20200102305 A KR20200102305 A KR 20200102305A KR 1020190020791 A KR1020190020791 A KR 1020190020791A KR 20190020791 A KR20190020791 A KR 20190020791A KR 20200102305 A KR20200102305 A KR 20200102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flow path
groove
stress distribution
distribu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규
고경오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디피 filed Critical (주)에이치디피
Priority to KR102019002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2305A/ko
Publication of KR20200102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3Surface milling of plates, sheet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25/00Reinfor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를 포함하는 금속 판재에 있어서, 상기 유로와 상기 판재의 넓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응력분산용 홈을 포함하는 금속 판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금속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METAL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금속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로를 포함하는 금속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로를 포함하는 금속 판재의 경우, 대부분 가혹한 환경의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열 영향을 받는 환경에서 사용하면서 유로를 냉매용 유로로 사용하는 경우, 금속 판재 부위별 온도 차이 등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가 발생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상기 응력은 상기 유로에서 상기 금속 판재의 표면 방향으로 집중되고 이로 인한 크랙으로 냉매가 새어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11729호 (2018.09.28) 한국등록특허 제10-1328698호 (2013.11.0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냉매의 누수를 억제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유로를 포함하는 금속 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로를 포함하는 금속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와 상기 판재의 넓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응력분산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력분산용 홈은 상기 금속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유로와 인접한 면의 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응력분산용 홈은 상기 유로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응력분산용 홈은 상기 유로의 양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응력분산용 홈의 수직 단면 형상은 역삼각형 형상, 사각형 형상, 반원 형상 및 반타원 형상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역삼각형 형상 및 사각형 형상은 상기 금속 판재 내부에 위치하는 꼭지점이 라운드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응력분산용 홈의 폭은 상기 유로의 폭 대비 0.1 내지 0.2배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판재의 응력분산용 홈이 위치하는 표면에서 상기 응력분산용 홈의 심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유로의 심부까지의 거리 대비 0.5 내지 0.9배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판재의 표면에서 상기 응력분산용 홈과 상기 유로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응력분산용 홈의 폭 대비 1 내지 1.5배 범위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유로가 위치하는 금속 판재 제조방법은 금속 판재에 유로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로용 홈을 밀폐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로와 상기 금속 판재의 넓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응력분산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유로가 위치하는 금속 판재 제조방법은 금속 판재에 유로용 홈 및 응력분산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로용 홈을 밀폐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금속 판재는 내구성이 우수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부분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를 사용한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금속 판재의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금속 판재의 응력 분포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9는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금속 판재의 온도 분포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은 비교예 2의 금속 판재 구조물의 열 변형 분포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금속 판재 구조물의 열 변형 분포를 측정한 결과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 부분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100)는 유로(110)를 포함(점선으로 표시)하고 있고, 유로(110)와 금속 판재(100)의 넓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응력분산용 홈(120)이 위치할 수 있다. 유로(110)는 금속 판재(100) 내부에서 일측 말단에서 타측 말단까지 연결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고, 외부 표면에 파이프 형태로 부착되어 일측 말단에서 타측 말단까지 연결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 하나의 금속 판재(100)에 하나의 유로(110)만 위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금속 판재(100)는 복수개의 유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일측 말단에는 유로(110)에 유체(도시하지 않음)를 공급할 수 있는 인렛(inlet) 노즐(1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타측 말단에는 유체가 유로(1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아웃렛(outlet) 노즐(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 노즐(111) 및 아웃렛 노즐(112)은 특정 위치의 노즐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두 개의 노즐 중 하나가 상기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응력분산용 홈(120)은 유로(110)과 금속 판재(100)의 넓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경우, 온도 변화에 따라 부피 팽창 등이 미세하나마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하나의 금속 판재(100)의 부위별 온도가 다를 경우 부피 팽창 정도의 차이로 인하여 내부 응력(stress)이 발생할 수 있다. 응력분산용 홈(120)은 유로의 상부 양측 모서리 부분에서 금속 판재(100)의 표면 방향으로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크랙을 예방하고, 나아가 냉매가 새어 나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응력분산용 홈(120)이 금속 판재(100) 표면에 형성됨으로써 금속 판재(100)의 부분 탄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 영향을 받는 환경에서 금속 판재(100)를 사용할 경우, 금속 판재(100) 부분별 온도 차이로 인한 뒤틀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응력분산용 홈(120)이 금속 판재(100)의 부분 탄력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금속 판재(100)의 외곽부의 뒤틀림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유로(110)는 금속 판재(100)의 두께 방향으로 일측(도 3의 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두께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서 응력분산용 홈(120)은 금속 판재(100)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유로(110)와 인접한 면의 표면에 위치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응력분산용 홈(120)은 유로(11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로(110)와 금속 판재(100)의 넓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응력분산용 홈(120)은 유로(110)의 전체 경로를 따라 유로(110)와 이격하여 위치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유로(110)의 경로 중 특정 부위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응력분산용 홈(120)으로 인한 금속 판재(100)의 넓이 방향 열전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금속 판재(100)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것보다 금속 판재(100)의 넓이 방향으로 열전달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유로(110)의 경로 상에서 상기 부분을 제외하고 응력분산용 홈(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응력분산용 홈(120)은 금속 판재(100)의 넓이 방향으로 유로(110)의 양쪽에 위치할 수 있다. 유로(11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형이 아닌 이상 금속 판재(100)의 표면과 인접하는 꼭지점은 양측에 쌍으로 형성될 것이고 양쪽 모두에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유로(110)의 금속 판재(100) 넓이 방향으로 양쪽에 응력분산용 홈(12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응력분산용 홈(120)의 수직 단면 형상은 사각형 형상, 반원 형상, 반타원 형상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응력분산용 홈(120)의 수직 단면 형상은 금속 판재(100) 내부에 위치하는 꼭지점이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형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뿐만 아니라 정사각형 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도 가능할 수 있다.
응력분산용 홈(120)의 폭은 유로(110)의 폭 대비 0.1 내지 0.3배 범위일 수 있다.
응력분산용 홈(120)의 폭이 유로(110)의 폭 대비 0.1배 미만인 경우에는 의도한 응력분산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응력분산용 홈(120)의 폭이 유로(110)의 폭 대비 0.3배를 초과하면 유로(110)의 응력분산 효과가 미흡할 수 있다.
금속 판재(100)의 응력분산용 홈(120)이 위치하는 표면에서 응력분산용 홈(120)의 심부까지의 거리는 유로(110)의 심부까지의 거리 대비 0.5 내지 0.9배 범위일 수 있다. 여기서, 응력분산용 홈(120)의 심부와 유로(110)의 심부는 금속 판재(100)의 일측 표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가장 깊이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3에서는 유로(110)가 위치하는 부분의 금속 판재(100)의 표면이 응력분산용 홈(120)이 위치하는 부분의 표면 대비 볼록하게 표현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조되는 방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응력분산용 홈(120)의 심부까지의 거리 및 유로(110)의 심부까지의 거리는 금속 판재(100)의 응력분산용 홈(120)이 위치하는 부분의 표면을 기준으로 한다.
금속 판재(100)의 응력분산용 홈(120)이 위치하는 표면에서 응력분산용 홈(120)의 심부까지의 거리는 유로(110)의 심부까지의 거리 대비 0.5배 미만인 경우에는 응력분산 효과가 의도한 만큼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금속 판재(100)의 응력분산용 홈(120)이 위치하는 표면에서 응력분산용 홈(120)의 심부까지의 거리는 유로(110)의 심부까지의 거리 대비 0.9배를 초과하면 금속 판재(100)의 구조 강성이 약화될 수 있다.
금속 판재(100)의 표면에서 응력분산용 홈(120)과 유로(110)와의 이격 거리는 응력분산용 홈(120)의 폭 대비 1 내지 1.5배 범위일 수 있다.
금속 판재(100)의 표면에서 응력분산용 홈(120)과 유로(110)와의 이격 거리가 응력분산용 홈(120)의 폭 대비 1배 미만이면 유로(110) 형성 시 용접을 사용하는 경우 공정이 까다로울 수 있고, 금속 판재(100)의 표면에서 응력분산용 홈(120)과 유로(110)와의 이격 거리가 응력분산용 홈(120)의 폭 대비 1.5배 이상이면 유로(110)의 응력분산 효과가 미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를 사용한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4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100)를 사용한 구조물은 금속 판재(100)에 리브(200)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부착할 수 있다.
리브(200)를 부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금속 판재(100)의 두께를 얇게 유지하면서 구조물의 구조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리브(200)는 금속 판재(100)의 응력분산용 홈(120)이 위치하는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의 제조방법은, 금속 판재에 유로(110)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S110), 유로(110)용 홈을 밀폐하여 유로(110)를 형성하는 단계(S120), 및 유로(110)용 홈과 금속 판재(100)의 넓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응력분산용 홈(120)을 형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110)용 홈 및 응력분산용 홈(120)을 만드는 방법은 밀링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유로(110)용 홈을 밀폐하는 과정은 용접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의 제조방법은, 금속 판재에 유로(110)용 홈 및 유로(110)용 홈과 금속 판재(100)의 넓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응력분산용 홈(120)을 형성하는 단계(S210) 및 유로(110)용 홈을 밀폐하여 유로(110)를 형성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110)용 홈 및 응력분산용 홈(120)을 만드는 방법은 밀링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로(110)용 홈 및 응력분산용 홈(120)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유로(110)용 홈을 밀폐하는 과정은 용접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로 덮는 과정을 용접 방식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용접 과정에서 열 영향을 받아 용접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크랙이 발생하는 제조 공정 상의 불량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유로를 포함하는 기존 금속 판재와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의 부분 수직 단면도이고, 도 8은 유로를 포함하는 기존 금속 판재와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의 응력 분포를 측정한 결과이며, 도 9는 유로를 포함하는 기존 금속 판재와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판재의 온도 분포를 측정한 결과이다.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비교예 1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금속 판재는 모두 동일한 SUS304 재질로 제조하였다. 도면상 하단부에 200℃ 내지 250℃로 열원을 공급하고, 유로에는 상온의 물을 분당 6리터 공급하였으며, COMSOL Multiphysics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응력 분포 및 온도 분포 결과를 얻었다.
실험예 1(응력 분포)
도 8에서 비교예 1의 응력 분포를 살펴보면, 유로에서 금속 판재의 표면 쪽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응력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에 응력 집중으로 인한 크랙이 발생하면 유로 내부에 밀폐되어야 할 유체가 새어나오게 된다.
도 8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응력 분포를 살펴보면, 비교예와 달리 응력분산용 홈의 심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응력분산용 홈의 심부에 응력이 집중되면서 유로에서 금속 판재의 표면 쪽으로 대각선 방향으로는 응력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실험예 2(온도 분포)
도 9에서 비교예 1의 온도 분포를 살펴보면, 유로를 중심으로 유로에 가까운 금속 판재 표면 쪽이 온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금속 판재의 내부에서 온도 변화선(붉은 색에서 노란색으로 바뀌는 부분)이 유로를 감싸면서 곡선을 그리면서 나타난다. 이러한 온도 분포로 인하여 도 8에서와 같은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9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온도 분포를 살펴보면, 기본적으로는 비교예와 동일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지만, 온도 변화선(붉은 색에서 노란색으로 바뀌는 부분)이 유로를 감싸면서 곡선으로 나타나다가 응력분산용 홈과 닿게 된다. 이러한 온도 분포로 인하여 도 8에서와 같은 응력 분산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2 및 실시예 3
비교예 2와 실시예 3의 금속 판재는 모두 동일한 SUS304 재질이고 유로와 두께 방향으로 인접한 면에 SUS304 재질의 리브를 격자 모양으로 부착한 금속 판재 구조물을 도 4와 같이 제조하였다. 상기 금속 판재 구조물의 리브가 없는 면에 6,000 W/m2의 열원을 공급하고, 유로에는 상온의 물을 분당 5리터 공급하였으며, COMSOL Multiphysics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열 변형 분포 결과를 얻었다.
실험예 3
도 10은 비교예 2의 금속 판재 구조물의 열 변형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실시예 3의 금속 판재 구조물의 열 변형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실시예 3의 금속 판재 구조물은 비교예 2의 금속 판재 구조물 대비 외곽 부분의 열 변형 값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경우, 열 변형으로 인한 금속 판재 구조물의 외곽부와 대응하는 다른 부품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실시예 3의 경우, 응력분산용 홈이 금속 판재 구조물의 부분 탄력성을 향상시켜 중심부의 열 변형이 외곽부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저하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유로가 내부에 위치하는 금속 판재를 통해 열 변형이 적고 유로의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판재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100 : 금속 판재
110 : 유로
120 : 응력분산용 홈
200 : 리브

Claims (11)

  1. 유로를 포함하는 금속 판재에 있어서,
    상기 유로와 상기 금속 판재의 넓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응력분산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분산용 홈은 상기 금속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유로와 인접한 면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분산용 홈은 상기 유로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판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분산용 홈은 상기 유로의 양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판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분산용 홈의 수직 단면 형상은 역삼각형 형상, 사각형 형상, 반원 형상 및 반타원 형상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판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형상은 상기 금속 판재 내부에 위치하는 꼭지점이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판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분산용 홈의 폭은 상기 유로의 폭 대비 0.1 내지 0.2배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판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재의 응력분산용 홈이 위치하는 표면에서 상기 응력분산용 홈의 심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유로의 심부까지의 거리 대비 0.5 내지 0.9배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판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재의 표면에서 상기 응력분산용 홈과 상기 유로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응력분산용 홈의 폭 대비 1 내지 1.5배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판재.
  10. 금속 판재에 유로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로용 홈을 밀폐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로와 상기 금속 판재의 넓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응력분산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유로가 위치하는 금속 판재 제조방법.
  11. 금속 판재에 유로용 홈 및 상기 유로용 홈과 상기 금속 판재의 넓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응력분산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로용 홈을 밀폐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유로가 위치하는 금속 판재 제조방법.
KR1020190020791A 2019-02-21 2019-02-21 금속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2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791A KR20200102305A (ko) 2019-02-21 2019-02-21 금속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791A KR20200102305A (ko) 2019-02-21 2019-02-21 금속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305A true KR20200102305A (ko) 2020-08-31

Family

ID=7223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791A KR20200102305A (ko) 2019-02-21 2019-02-21 금속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230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698B1 (ko) 2012-06-15 2013-11-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용접부 부분가열법에 의한 잔류인장응력의 저감방법
KR20180111729A (ko) 2018-09-28 2018-10-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후열처리를 이용한 이종용접부 잔류응력 저감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698B1 (ko) 2012-06-15 2013-11-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용접부 부분가열법에 의한 잔류인장응력의 저감방법
KR20180111729A (ko) 2018-09-28 2018-10-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후열처리를 이용한 이종용접부 잔류응력 저감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6129B2 (ja) リブ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6552499B2 (ja) 改良された流れを有する熱交換器
KR101118396B1 (ko) 실린더 헤드 가스켓의 다층 금속 평탄 가스켓
JP5750859B2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6660883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のための熱交換プレートおよび前記熱交換プレートが設けられたプレート式熱交換器
WO2019109626A1 (zh) 一种冷却板
CN105091030A (zh) 用于火焰筒的套筒以及火焰筒
JP6303290B2 (ja) 直噴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
WO2020239894A1 (en) A dual media safety heat exchanger
CN105569740A (zh) 一种带有叶片波浪状凹陷尾缘半劈缝冷却结构的涡轮
JP6527548B2 (ja) フランジ接合構造
JP2002107089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20200102305A (ko) 금속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8662475B2 (en) Ball valve gasket structure
CN103930742A (zh) 热交换器和相应的扁平管和板
JP2006183945A (ja) オイルクーラ
KR20160053058A (ko) 플레이트 접합형 열교환기
KR20130076938A (ko) 향상된 기밀구조를 갖는 분리판의 가스켓 구조
EP3489606A1 (en) Heat transfer plate for plate heat exchanger and plate heat exchanger with the same
KR101764113B1 (ko) 열교환기
CN106855327A (zh) 一种换热器
JP5495941B2 (ja) タービン分割環、こ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およびこれを備えた発電プラント
KR101149983B1 (ko) 용접식 판형 열교환기
CN104101237B (zh) 一种板式换热器
CN218955568U (zh) 散热器用组合密封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