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669A -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갖는 복합 필름 - Google Patents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갖는 복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669A
KR20200100669A KR1020207018500A KR20207018500A KR20200100669A KR 20200100669 A KR20200100669 A KR 20200100669A KR 1020207018500 A KR1020207018500 A KR 1020207018500A KR 20207018500 A KR20207018500 A KR 20207018500A KR 20200100669 A KR20200100669 A KR 20200100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film
resin film
main
polyvinyl acetal
electron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타카 야스다
고이치로 이소우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20010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22Metallic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7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 B32B17/10385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for ohmic resistance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접합 유리 전면의 가열에 더하여, 카메라, 센서 또는 안테나와 같은 전자 부재의 양호한 감도를 확보하면서 전자 부재 주위의 효율적인 가열을 행할 수 있는 접합 유리에 적합한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는 복합 필름을 제공하는 것. 수지 필름과, 상기 필름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는 복합 필름으로서, 상기 복합 필름이, 상기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을 포함하지 않은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적어도 하나 갖는, 복합 필름.

Description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갖는 복합 필름
본 발명은,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갖고,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는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장의 유리 사이에 상기 복합 필름을 갖는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적외선을 사용하는 카메라, 센서 또는 안테나와 같은 전자 부재가 윈드 실드 또는 프론트 글래스에 부착된 자동차가 보급되고 있다. 전자 부재를 부착하는 영역의 융설(融雪) 또는 성에 제거는 이러한 전자 부재의 성능 향상에 있어서 중요하다. 전자 부재 주변의 가열을 행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 부재를 부착하는 영역의 주위(周圍)에 가열선을 제공하는 방법(특허문헌 1), 및 그리드상의 가열선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센서 등을 부착하는 영역을 창유리 재료에 제공하여 전기 가열창을 얻는 방법(특허문헌 2)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0-5345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503424호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방법에서는, 전자 부재 주위의 가열은 의도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윈드 실드의 전면 가열은 행할 수 없고, 특허문헌 2의 방법에서는 그리드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부재 주위의 효율적인 가열이 불충분하였다. 또한, 어느 문헌에서도, 가열선으로서 비교적 굵은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만일 가열 효율을 올리기 위해 와이어의 밀도를 높이려고 하면 단락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배선을 숨기기 위해 블랙 페인트를 별도 시공할 필요가 있는 등, 윈드 실드 등의 설계에 일정한 제약이 두어지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국면에서는, 접합 유리 전면의 가열에 더하여, 카메라, 센서 또는 안테나와 같은 전자 부재의 양호한 감도를 확보하면서 전자 부재 주위의 효율적인 가열을 행할 수 있는 접합 유리에 적합한,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는 복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보다 한정적인 국면에서는, 전자 부재 주위의 가열 효율의 추가적인 향상과 더불어,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지 않고, 블랙 페인트를 시공할 필요성도 없고, 전자 부재의 배치의 자유도(의장성)가 향상된 접합 유리에 적합한,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는 복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적합한 양태를 포함한다.
[1] 수지 필름과, 상기 수지 필름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주 도전 세선(主 導電 細線)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는 복합 필름으로서, 상기 복합 필름이, 상기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적어도 하나 갖는, 복합 필름.
[2] 상기 수지 필름 위에 2개의 주(主) 버스 바가 서로 상대(相對)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 버스 바가 각각, 상기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1]의 복합 필름.
[3] 상기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이 상기 수지 필름 위에서 비직선 상으로 연장되는, [1] 또는 [2]의 복합 필름.
[4] 상기 비직선 상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물결형 상 및/또는 지그재그 상인, [3]의 복합 필름.
[5] 상기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적어도 한 면이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6] 상기 전자 부재 부착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의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7] 상기 전자 부재 부착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의 사이 이외의 영역에 존재하는,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8] 상기 발열성 도전 구조체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주 도전 세선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副) 도전 세선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2개의 주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과, 상기 인접하는 2개의 주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 사이에 존재하는 인접하는 2개의 부(副)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으로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영역 중 둘 이상이 다른 형상을 갖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9] 상기 2개의 주 버스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의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2cm 이내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이, 복합 필름 전체에 포함되는 상기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보다도 좁은, [2]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10]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의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2cm 이내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이, 0.1mm 이상 5mm 이하인, [2]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11] 상기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1/4 이상을 둘러싸도록 주 버스 바의 일부가 만곡되어 있는, [2]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12] 상기 수지 필름 위에, 적어도 1개의 부 버스 바가,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의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1/4 이상을 둘러싸도록 추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 버스 바가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와 상기 주 도 전 세선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2]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13]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가 0.3mm 이하인,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14]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융점 및 유리 전이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가 30℃ 이상 180℃ 이하인,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15] 상기 주 도전 세선과 상기 주 버스 바의 접속 부분의 두께는, 상기 주 도전 세선의 두께와 상기 주 버스 바의 두께의 합보다도 작은, [2]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16] 상기 발열성 도전 구조체가 금속박의 에칭 구조체로 이루어진,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
[17] 적어도 2장의 유리 사이에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복합 필름을 갖는, 접합 유리.
[18] 상기 전자 부재 부착 영역에 카메라, 센서 또는 안테나를 부착한, [17]의 접합 유리.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사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조하면, 넓은 국면에서는, 접합 유리 전면 가열에 더하여, 전자 부재의 양호한 감도를 확보하면서 전자 부재 주위의 효율적인 가열이 달성된다.
또한, 보다 한정적인 국면에서는, 전자 부재 주위의 가열 효율의 추가적인 향상과 더불어, 운전자의 양호한 시계의 확보, 블랙 페인트의 시공 필요성의 배제 및 접합 유리에서의 전자 부재의 배치의 자유도(의장성)의 향상이 달성된다.
[도 1]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 및 주 버스 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 및 주 버스 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 주 버스 바 및 부 버스 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 주 버스 바 및 부 버스 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 주 버스 바 및 부 버스 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 복합 필름이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갖지 않는 발열성 도전 구조체 및 주 버스 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복합 필름 표면에서의 투영 단면적의 일례, 및 주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과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복합 필름 표면에서의 투영 단면적의 일례, 및 2개의 주 버스 바에 접하는 각 영역에서의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합 필름]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수지 필름과, 상기 수지 필름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고, 상기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적어도 하나 갖는다.
<수지 필름>
본 발명에서의 수지 필름은, 수지와, 임의로 가소제 및 다른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다. 수지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7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그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7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은,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100질량% 이하이다.
상기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관통성이 높고, 두부 충격 지수가 작고, 특히 자동차용 창유리로서 적합한 창유리를 얻기 쉬운 관점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아이오노머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며,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 유리 제작시에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병용하는 필름끼리의 접합성이 양호해지고, 또한, 굴절률차가 작아지고, 필름 계면에서의 광학 변형이 억제되기 쉬운 관점에서,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수지는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과 동일한 종류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 수지 필름은, 1종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거나, 또는 점도 평균 중합도, 아세탈화도, 아세틸기량, 수산기량, 에틸렌 함유량, 아세탈화에 사용되는 알데하이드의 분자량 및 체인 길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각각 다른 2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해도 좋다. 수지 필름이 다른 2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용융 성형 용이성의 관점 및 접합 유리 제작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변형 및 접합 유리 사용시의 유리의 어긋남 등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적어도 2종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혼합물이거나, 또는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적어도 2종의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코폴리머의 혼합물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우선, 농도 3 내지 30질량%의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코폴리머의 수용액을 80 내지 100℃의 온도 범위로 유지한 후, 10 내지 60분에 걸쳐 서서히 냉각한다. 온도가 -10 내지 30℃까지 저하되었을 때, 알데하이드(또는 케토 화합물) 및 산 촉매를 첨가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30 내지 300분간 아세탈화 반응을 행한다. 다음으로, 반응액을 30 내지 200분에 걸쳐서 20 내지 80℃의 온도까지 승온하고, 30 내지 300분 유지한다. 그 후, 반응액을 필요에 따라 여과한 후, 알칼리 등의 중화제를 첨가하여 중화하고, 수지를 여과, 수세 및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제조된다.
아세탈화 반응에 사용하는 산 촉매로서는, 유기 산 및 무기 산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세트산, 파라톨루엔 설폰산, 염산, 황산 및 질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의 강도 및 세정시의 제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염산, 황산 및 질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원료인 폴리비닐알코올은, 종래 공지의 수법, 즉, 아세트산비닐 등의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 화합물을 중합하고, 얻어진 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 화합물을 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 종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중합 방법에 따라서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물계 개시제, 레독스계 개시제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비누화 반응은, 종래 공지의 알칼리 촉매 또는 산 촉매를 이용한 가알코올 분해 반응, 가수 분해 반응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원료인 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비닐 에스테르와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비누화하여 얻어진다.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n-부텐, 이소부틸렌 등의 α-올레핀; 아크릴산 및 이의 염;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n-프로필, 아크릴산 i-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i-부틸, 아크릴산 t-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도데실, 아크릴산 옥타데실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타크릴산 및 이의 염;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n-프로필, 메타크릴산 i-프로필,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i-부틸, 메타크릴산 t-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도데실, 메타크릴산 옥타데실 등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아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 프로판설폰산 및 이의 염, 아크릴아미드 프로필디메틸아민 및 이의 염 또는 4급염,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 및 이의 유도체 등의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프로판설폰산 및 이의 염, 메타크릴아미드 프로필디메틸아민 및 이의 염 또는 4급염, N-메틸올 메타크릴아미드 및 이의 유도체 등의 메타크릴아미드 유도체;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n-프로필비닐에테르, i-프로필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i-부틸비닐에테르, t-부틸비닐에테르, 도데실비닐에테르, 스테아릴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염화비닐, 불화비닐 등의 할로겐화 비닐류; 염화 비닐리덴, 불화 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비닐리덴류; 아세트산 알릴, 염화 알릴 등의 알릴 화합물; 말레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의 불포화 디카복실산 및 이들의 염, 이들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무수물;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릴 화합물; 아세트산 이소프로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다른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다른 단량체는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로 했을 때의 내관통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알데하이드(또는 케토 화합물)로서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직쇄상 또는 분기상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응하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아세탈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복수의 알데하이드(또는 케토 화합물)의 혼합물로,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코폴리머를 아세탈화하여 얻어지는 아세탈화물이라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단독이거나, 또는 점도 평균 중합도 또는 가수 분해도 등이 다른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수지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알코올과,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지방족 비분기의 알데하이드와의 반응으로 생기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데하이드의 탄소수가 12를 초과하면 아세탈화의 반응성이 저하되고, 게다가 반응 중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블록이 발생하기 쉬워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가 곤란해진다.
아세탈화 반응에 사용하는 알데하이드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n-부틸알데하이드, 이소부틸알데하이드, 발레르알데하이드, 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 n-헥실알데하이드, 2-에틸부틸알데하이드, n-헵틸알데하이드, n-옥틸알데하이드, 2-에틸헥실알데하이드, n-노닐알데하이드, n-데실알데하이드, 벤즈알데하이드, 신남알데하이드 등의 지방족, 방향족, 지환식 알데하이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6인 지방족 비분기의 알데하이드가 바람직하고, 접합 유리로 했을 때의 내관통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n-부틸알데하이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데하이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관능 알데하이드나 기타 관능기를 갖는 알데하이드 등을 전체 알데하이드의 2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소량 병용해도 좋다. n-부틸알데하이드를 다른 관능기를 갖는 알데하이드와 병용하는 경우, n-부틸알데하이드의 함유량은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9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질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원료가 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3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60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70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750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점도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제작시에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변형 및 단선이 억제되기 쉽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에서 열로 유리가 어긋나는 현상이 방지되기 쉽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5,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3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2,00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점도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양호한 제막성이 얻어지기 쉽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어 JIS K 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폴리비닐알코올의 바람직한 점도 평균 중합도의 수치는, 얻어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바람직한 점도 평균 중합도의 수치와 동일하다. 수지 필름이 다른 2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1종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점도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 및 상기 상한값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중의 아세틸기량(이하, 아세트산비닐 단위의 양을 의미한다)은, 폴리비닐아세탈 주쇄의 에틸렌 유닛을 기준으로 하여, 즉,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 원료인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중의 주쇄의 탄소 2개로 이루어진 단위(예를 들어, 비닐알코올 단위, 아세트산비닐 단위, 에틸렌 단위 등)를 1반복 단위로 하고, 그 1반복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몰% 또는 5 내지 8몰%이다. 원료인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코폴리머의 비누화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아세틸기량은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아세틸기량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극성에 영향을 미치고, 수지 필름의 가소제 상용성 및 기계적 강도가 변화될 수 있다. 수지 필름이, 아세틸기량이 상기 범위 내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면, 접합 유리 제작시에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병용하는 경우에,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과의 양호한 접합성 및 광학 변형 저감 등이 달성되기 쉽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이 다른 2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1종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기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는, 예를 들어 40 내지 86몰%가 바람직하고, 45 내지 84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82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60 내지 82몰%가 더욱 바람직하고, 68 내지 82몰%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세탈화도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 원료인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중의 주쇄의 탄소 2개로 이루어진 단위(예를 들어, 비닐알코올 단위, 아세트산비닐 단위, 에틸렌 단위 등)을 1반복 단위로 하고, 그 1반복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아세탈을 형성하는 상기 단위의 양이다.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아세탈화할 때의 알데하이드의 사용량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아세탈화도는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아세탈화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의 역학적 강도가 충분한 것이 되기 쉽고, 수지 필름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저하되기 어렵다. 수지 필름이 다른 2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1종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이하, 비닐알코올 단위의 양을 의미한다)은, 폴리비닐아세탈 주쇄의 에틸렌 유닛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9 내지 36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4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4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4몰%이다. 수산기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접합 유리 제작시에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병용하는 경우에 수지 필름과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굴절률차가 작아지고, 광학 편차가 적은 접합 유리가 얻어지기 쉽다. 한편으로, 추가로 차음 성능을 함께 부여하기 위해 바람직한 범위는 9 내지 3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7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3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2몰%이다.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아세탈화할 때의 알데하이드의 사용량을 조정함으로써 수산기량은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있다. 수지 필름이 다른 2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1종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통상, 아세탈기 단위, 수산기 단위 및 아세틸기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각 단위량은, 예를 들어, JIS K 6728 「폴리비닐 부티 랄 시험 방법」 또는 핵 자기 공명법(NM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아세탈기 단위 이외의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수산기의 단위량과 아세틸기의 단위량을 측정하고, 이러한 양 단위량을 아세탈기 단위 이외의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아세탈기 단위량에서 차감함으로써, 남은 아세탈기 단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브룩필드형(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0℃, 30rpm에서 측정된 농도 10질량%의 톨루엔/에탄올=1/1(질량비) 용액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0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mPa·s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mPa·s 이상이다. 점도 평균 중합도가 높은 폴리비닐알코올을 원료 또는 원료의 일부로서 사용하여 제조 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 또는 병용함으로써, 상기 점도는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복수의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혼합물의 상기 점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상기 점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제작시에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변형 및 단선이 억제되기 쉽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에 있어서 열로 유리가 어긋나는 현상이 방지되기 쉽다.
상기 점도는, 양호한 제막성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통상은 1,500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1,300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mPa·s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mPa·s 이하이다.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15,000 내지 2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00 내지 16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000 내지 150,000이다. 점도 평균 중합도가 높은 폴리비닐알코올을 원료 또는 원료의 일부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 또는 병용함으로써,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은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적합한 필름 제막성 및 적합한 필름 물성(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성 및 파단 강도)이 얻어지기 쉽다.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분자량 분포, 즉,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는, 바람직하게는 2.7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9 이상이다.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폴리비닐알코올의 혼합물을 아세탈화하거나,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 화합물을 혼합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분자량 분포는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분자량 분포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제막성 및 적합한 필름 물성(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성 및 파단 강도)을 양립시키기 쉽다. 분자량 분포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막 용이성의 관점에서, 분자량 분포는, 통상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수지 필름이 다른 2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1종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예를 들어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분자량 기지의 폴리스티렌을 표준으로 하여 구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은, 양호한 제막성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미가교된 폴리비닐아세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이 가교된 폴리비닐아세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비닐아세탈을 가교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EP 1527107B1 및 WO 2004/063231 A1(카르복실기 함유 폴리비닐아세탈의 열 자기 가교), EP 1606325 A1(폴리알데하이드로 가교된 폴리비닐아세탈), 및 WO 2003/020776 A1(글리옥실산으로 가교된 폴리비닐아세탈)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아세탈화 반응 조건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생성되는 분자간 아세탈 결합량을 제어하거나, 잔존 수산기의 블록화도를 제어하거나 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다.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수지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에 있어서, 에틸렌 부분과 아세트산비닐 부분의 합계에 대한 아세트산비닐 부분의 비율은 50몰% 미만이 바람직하고, 30몰%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20몰%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고, 15몰% 미만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 부분과 아세트산비닐 부분의 합계에 대한 아세트산비닐 부분의 비율이 50몰% 미만이면, 수지 필름에 필요한 역학적 강도와 유연성이 적합하게 발현되기 쉽다.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 및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고,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성 단위의 적어도 일부가 나트륨 이온 등의 금속 이온에 의해 중화된 수지를 들 수 있다. 금속 이온에 의해 중화되기 전의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에 있어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상기 에틸렌-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질량에 기초하여, 2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3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가 갖는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래의 구성 단위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 모노에틸, 무수 말레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가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연 아이오노머,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 아이오노머,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연 아이오노머,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 아이오노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 필름은 가소제를 함유해도 좋다.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의 양은,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질량%이다. 가소제의 양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제막성 및 취급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이 제조되기 쉽고, 이러한 수지 필름을 갖는 복합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제작시에 도전 구조체의 변형 및 단선이 억제되기 쉽고, 그 결과, 양호한 통전성이 얻어지기 쉽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 가소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하기 그룹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 다가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산의 에스테르. 상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디알킬아디페이트(예를 들어, 디헥실아디페이트, 디-2-에틸부틸아디페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헥실사이클로헥실아디페이트, 헵틸아디페이트, 노닐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 헵틸노닐아디페이트); 아디프산과 알코올 또는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디(부톡시에틸)아디페이트, 디(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 디알킬세바케이트(예를 들어, 디부틸세바케이트); 세박산과 지환식 또는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프탈산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비스-2-부톡시에틸프탈레이트); 및 지환식 다가 카복실산과 지방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1,2-사이클로헥산 디카복실산 디이소노닐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 다가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알코올 또는 하나 이상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치환기를 갖는 올리고 에테르 글리콜의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상기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디글리콜, 트리글리콜, 테트라글리콜 등과,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카복실산과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부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비스-n-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n-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n-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벤조에이트를 들 수 있다.
·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알코올의 인산 에스테르. 상기 인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스(2-에틸헥실)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디페닐-2-에틸헥실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 시트르산, 석신산 및/또는 푸마르산의 에스테르.
또한, 다가 알코올과 다가 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또는 올리고에스테르, 이들의 말단 에스테르화물 또는 에테르화물, 락톤 또는 하이드록시 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또는 올리고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말단 에스테르화물 또는 에테르화물 등을 가소제로서 사용해도 좋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가소제를 포함하고, 접합 유리 제작시에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병용하는 경우,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과의 사이에서 가소제가 이행하는 데 따른 문제(예를 들어, 경시적인 물성 변화 등의 문제)를 억제하기 쉬운 관점에서,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가소제, 또는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물성(예를 들어 내열성, 내광성, 투명성 및 가소화 효율)을 해치지 않는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점에서,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부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비스헵타노에이트가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이하 「3GO」라고 칭한다)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은 또한,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접착 조정제, 증백제 또는 형광 증백제, 안정제, 색소, 가공 조제, 유기 또는 무기 나노 입자, 소성 규산, 부식 방지제, 표면 활성제 또는 물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는,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수지 필름이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에서의 부식 방지제의 함유량은,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질량%이다. 부식 방지제의 예로서는, 치환 또는 미치환의 벤조트리아졸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융점 및 유리 전이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는 30℃ 이상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인 한편, 3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7℃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융점 및 유리 전이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접합 유리 제작 온도에서 수지 필름이 연화되기 쉽기 때문에, 곡률이 높은 유리 등에 양호하게 추종하기 쉽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이 비정성이며 융점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가장 높은 온도」란 가장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의미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이 유리 전이 온도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가장 높은 온도」란 융점을 의미한다. 유리 전이 온도 및 융점은, 예를 들어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된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15mm 이하이다.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접합 유리 제작시에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병용하는 경우에,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으로부터 수지 필름으로의 가소제 이행량이 적어지고,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량의 저하가 억제되기 때문에, 수지 필름을 사용한 탈것용 유리를 탑재한 탈것의 충돌시에서의 두부 충격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m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mm 이상이다.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수지 필름의 수축 또는 변형에 기인하여 발열성 도전 구조체에 변형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두께 측정기 또는 레이저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수지, 경우에 따라 소정량의 가소제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를 배합하고, 이들을 균일하게 혼련한 후, 압출법, 캘린더법, 프레스법, 캐스팅법, 인플레이션법 등 공지의 제막 방법으로 시트(필름)를 제작하여, 이것을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압출기를 사용하여 시트(필름)를 제조하는 방법이 적합하게 채용된다. 압출시의 수지 온도는 수지의 타입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고, 예를 들어 1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30℃이다. 수지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수지가 분해를 일으켜, 휘발성 물질의 함유량이 많아진다. 한편으로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도 휘발성 물질의 함유량은 많아진다. 휘발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압출기의 벤트구를 감압함으로써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박 위에 수지 필름을 용융 압출해도 좋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상기 수지 필름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는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는 발열을 목적으로 한, 즉, 발열용 도전 구조체이다.
주 도전 세선은, 전기 저항, 발열 성능 및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 수지 필름 위에서 직선상 또는 비직선 상으로 연장되어도 좋지만, 단선이 억제되기 쉬운 관점에서, 수지 필름 위에서 비직선 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물결형 상 및/또는 지그재그 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 도전 세선이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접합 유리의 제작시 등에 주 도전 세선의 단선이 억제되기 쉽다. 또한, 주 도전 세선끼리, 예를 들어 인접하는 주 도전 세선끼리는 부분적으로 접해 있거나 교차하고 있거나 해도 좋다. 주 도전 세선이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후술하는 부 도전 세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부 도전 세선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이점의 확보, 구체적으로는 주 도전 세선의 일부가 단선된 경우의 전기적 우회 경로의 확보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복합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한 접합 유리의 전기적 신뢰성은 보다 높아진다. 하나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에 있어서, 주 도전 세선의 형상은 단일해도 좋고, 복수의 형태가 혼재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적어도 하나 갖는다. 전자 부재 부착 영역에는 주 도전 세선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 부품의 감도가 주 도전 세선에 의해 방해받지 않아, 양호한 감도가 실현된다. 전자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 및 안테나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형상으로서는, 부착하는 전자 부재의 형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좋고, 예를 들어 대략 원형, 대략 타원형 및 대략 사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치수는, 부착하는 전자 부재의 치수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이러한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서는, 접합 유리 전면의 가열에 더하여, 전자 부재의 양호한 감도의 확보 및 전자 부재 주위의 효율적인 가열이 달성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수지 필름 위에는, 2개의 주 버스 바가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 버스 바는 각각,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 바로서는, 상기 기술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버스 바가 사용되고, 예를 들어 금속박 테이프, 도전성 점착제 부착 금속박 테이프 및 도전성 페이스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버스 바는,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형성할 때 동시에, 예를 들어 금속박을 에칭하여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형성 할 때에 금속박의 일부를 버스 바로서 남겨도 좋고, 인쇄법으로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형성할 때에 버스 바도 인쇄하여 형성해도 좋다. 버스 바에는 각각 급전선이 접속되고, 각 급전선이 전원에 접속되어 전류가 발열성 도전 구조체에 공급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전자 부재 부착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한다. 이 양태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 및 주 버스 바의 구성의 일례를 도 1에 도시한다.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이 존재하는 위치는,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이면 좋고, 전자 부재의 원하는 배치 위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전자 부재 부착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 이외의 영역에 존재한다. 이 양태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 및 주 버스 바의 구성의 일례를 도 2에 도시한다.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이 존재하는 위치는,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 이외의 영역이면 좋고, 전자 부재의 원하는 배치 위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일 양태에 있어서, 발열성 도전 구조체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주 도전 세선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 도전 세선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2개의 주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과, 상기 인접하는 2개의 주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 사이에 존재하는 인접하는 2개의 부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으로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영역 중 둘 이상은, 다른 형상을 갖는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가 상기 부 도전 세선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주 도전 세선의 일부가 단선된 경우의 전기적 우회 경로 확보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복합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한 접합 유리의 전기적 신뢰성은 보다 높아진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주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과, 상기 인접하는 2개의 주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 사이에 존재하는 인접하는 2개의 부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으로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영역 중 둘 이상이 다른 형상을 가짐으로써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배선 패턴은 거시적으로 불규칙해지기 때문에, 즉, 예를 들어 그리드상 또는 메쉬상과 같이 규칙적인 배선 패턴은 되지 않기 때문에, 광학 변형 등이 경감되어 양호한 전방 시인성이 얻어지기 쉽다.
주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이나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복합 필름 표면에서의 투영 단면적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이 도면에서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도 7에,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복합 필름 표면에서의 투영 단면적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복합 필름 표면에서의 투영 단면적에 있어서,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40)의 합계는, 주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20)의 합계의 바람직하게는 1배 미만이다. 이는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주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보다도 낮은 것을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40)의 합계는, 주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20)의 합계의 0.7배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5배 미만이다. 상기 상한값 미만이면, 헤이즈가 저감되기 쉽고, 전방 시인성이 향상되기 쉽다. 또한,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40)의 합계는 주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20)의 합계의 바람직하게는 0.1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배 이상이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단선이 유효하게 억제되기 쉽고, 발열성이 향상되기 쉽다.
또한, 도 8에, 본 발명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복합 필름 표면에서의 투영 단면적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복합 필름 표면에서의 투영 단면적의, 2개의 주 버스 바에 끼인 영역을 각 주 도전 세선의 길이를 10등분하는 위치에서 나누었을 때의 10개의 영역에 있어서, 2개의 주 버스 바에 접하는 각 영역(7)에서의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의 합계가, 다른 8개의 각 영역(6)에서의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의 합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부 도전 세선의 개수가 버스 바 부근에 많은 것을 나타내며, 이와 같이 부 도전 세선이 배치됨으로써, 단선이 생기기 쉬운 버스 바 부근의 단선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주 버스 바에 접하는 각 영역(7)에서의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의 합계는, 다른 8개의 각 영역(6)에서의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의 합계의 1.5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이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두께는, 전기 저항 및 제조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이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두께는, 두께 측정기 또는 레이저 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는, 충분한 발열량 및 양호한 전방 시인성의 양쪽이 확보되기 쉬운 관점에서, 선폭 1 내지 30㎛의 복수의 주 도전 세선 및 경우에 따라 부 도전 세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폭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4㎛,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이다. 선폭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복합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한 접합 유리를 사용했을 때에, 접합 유리 전면의 가열에 더하여, 전자 부재 주위의 효율적인 가열이 달성되는 한편, 운전자의 시야는 방해받지 않고, 블랙 페인트를 시공할 필요성도 없고, 전자 부재의 배치의 자유도(의장성)를 높일 수 있다. 선폭은, 레이저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2cm 이내의 영역에 포함되는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은, 복합 필름 전체에 포함되는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보다도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합 필름을 사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면, 접합 유리에 있어서 복합 필름이 존재하는 부분 전면의 가열에 더하여, 전자 부재 주위의 더욱 효율적인 가열이 달성되기 쉽다. 또한, 충분한 발열량 및 양호한 전방 시인성의 양쪽을 확보하기 쉬운 관점에서, 복합 필름 전체에 포함되는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은, 통상은 0.1mm 이상 5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4mm 이하이다.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중심을 지나 주 버스 바에 평행한 직선과, 각 주 도전 세선이 교차하는 교점을 결정하고, 각 교점 간의 거리를 그 교점을 지나는 주 도전 세선 간의 간격으로 하고, 이것들을 산술 평균하여 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있어서,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2cm 이내의 영역에 포함되는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은, 0.1mm 이상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mm 이상 3mm 이하이다. 상기 평균 간격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전자 부재 주위의 더욱 효율적인 가열이 달성되기 쉽다.
일 양태에 있어서,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1/4 이상을 둘러싸도록 주 버스 바의 일부는 만곡되어 있다. 이 양태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 및 주 버스 바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를 도 2에 도시한다. 이와 같이 주 버스 바의 일부가 만곡되어 있음으로써, 주 버스 바 부근에 전자 부재를 부착할 수 있고, 설계 자유도가 높은 접합 유리가 얻어지기 쉽다.
일 양태에 있어서, 수지 필름 위에는, 적어도 1개의 부 버스 바가,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1/4 이상을 둘러싸도록 추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 버스 바는,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와 주 도전 세선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양태의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 주 버스 바 및 부 버스 바의 구성의 일례를 도 3 내지 5에 도시한다. 부 버스 바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부 버스 바가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부 버스 바가 사각형 또는 원형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둘러싸고 있어도 좋다. 또한, 2개의 부 버스 바가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양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도전 세선이 전자 부재 부착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한, 상기 주 도전 세선을 개재하여 부 버스 바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좋다. 부 버스 바가 배치되는 위치는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이면 좋고, 전자 부재의 원하는 배치 위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 버스 바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주 도전 세선의 길이를 단축하여, 단선 빈도를 억제한 접합 유리가 얻어지기 쉽다. 부 버스 바는, 주 버스 바 사이의 저항값이 변하지 않도록 주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단선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그 선폭은 0.05 내지 100mm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5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기 어려운 등의 관점에서는 0.2 내지 30mm가 특히 바람직하다. 부 버스 바의 선폭은 레이저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형성하는 도전성 재료는, 전기 저항 또는 발열량의 확보의 용이성 및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은, 구리 또는 텅스텐이 바람직하고, 경제적 관점에서는, 구리가 보다 바람직하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가 금속박의 에칭 구조체, 즉, 금속박을 에칭하여 제작된 구조체인 경우,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편면 또는 양면은, 또한, 측면은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발열성 도전 구조체 중 적어도 수지 필름과 접하는 면이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양태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과 발열성 도전 구조체 사이에 접착제 층을 갖는 경우에는, 발열성 도전 구조체 중 적어도 접착제 층과 접하는 면이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양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다」란, JIS R 3106에 준하여 측정된 가시광 반사율이 30% 이하가 되도록 처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전방 시인성의 관점에서는, 가시광 반사율이 10% 이하가 되도록 처리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시광 반사율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는 복합 필름을 탈것용 유리에 사용한 경우, 예를 들어 대향차의 헤드라이트에 의한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는 등, 전방 시인성이 우수하다.
저반사율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흑화 처리(암색화 처리), 갈색화 처리 및 도금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공정 통과성의 관점에서, 저반사율 처리는 흑화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흑화 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칼리계 흑화액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산화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가 복수의 면을 갖는 경우, 이의 적어도 한 면이 저반사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면 중에서, 1/10 이상의 면이 저반사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10 이상의 면이 저반사 처리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복합 필름의 제조방법]
복합 필름은, 예를 들어,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수지 필름에 부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수지 필름에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의 편면에,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구성하는 재료를 코팅, 인쇄 또는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재료를 코팅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용융물을 발열성 도전 구조체에 코팅하는 방법(예를 들어, 발열성 도전 구조체 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는 방법, 또는 발열성 도전 구조체 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나이프 도포 등으로 도포하는 방법) 또는 수지 필름에 증착, 스퍼터링 또는 전기 증착으로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부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재료를 인쇄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 플렉소 인쇄, 또는 그라비어 인쇄를 들 수 있다. 상기 인쇄하는 방법에서는,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는 수지 필름을 유리 등에 적층하기 전에 건조하거나 또는 열 또는 광에 의해 경화되는 잉크가 사용된다.
상기 재료를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발열성 도전 구조체와 수지 필름을 겹쳐서 열 압착시키는 방법; 용매, 또는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용액을, 발열성 도전 구조체 및 수지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에 도포하거나 또는 발열성 도전 구조체와 수지 필름 사이에 주입하여, 발열성 도전 구조체와 수지 필름을 적층시키는 방법; 접착제로 발열성 도전 구조체와 수지 필름을 적층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접착제로 발열성 도전 구조체와 수지 필름을 접착제로 적층시키는 경우, 사용하는 접착제로서는, 얻어지는 복합 필름의 투명성이 저해되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저중합도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다. 단,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에 유래하는 헤이즈가 생길 수 없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이, 수지 필름과 발열성 도전 구조체 사이에 접착제 층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복합 필름 및 상기 복합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한 접합 유리의 보다 우수한 투명성이 얻어지기 쉽다.
인쇄법에서 사용되는 잉크는 도전성 입자 및/또는 도전성 섬유를 포함한다. 도전성 입자 또는 도전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입자(예를 들어 금, 은, 구리, 아연, 철, 텅스텐 또는 알루미늄의 입자); 금속으로 피복된 입자 또는 섬유(예를 들어 은 도금된 유리 섬유 또는 유리 소구(小球)); 도전성 카본 블랙, 카본 나노 튜브, 그래파이트 또는 그래핀의 입자 또는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입자는, 도전성 금속 산화물의 입자 등의 반도체의 입자, 예를 들어 인듐 도프 산화주석, 인듐 도프 산화아연 또는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의 입자라도 좋다. 상기 잉크는, 도전성의 관점에서, 은 입자, 텅스텐 입자, 구리 입자 및/또는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은 입자, 텅스텐 입자 또는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경제적 관점에서는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부여할 때의 생산 효율이 높아지는 관점 및 흑화 처리를 하기 쉬운 관점에서, 발열성 도전 구조체는, 금속박의 에칭 구조체, 즉, 금속박을 에칭하여 얻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박과 플라스틱 필름을 적층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하기 방법 (I) 내지 (III)에 의해 실시된다.
(I) 수지 필름과 금속박을 겹쳐서 열 압착시키는 방법,
(II) 금속박 위에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용융물을 피복하는 방법, 예를 들어, 금속박 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는 방법, 또는 금속박 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나이프 도포 등으로 도포하는 방법, 또는
(III) 용매, 또는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금속박 및 수지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에 도포하거나 또는 금속박 및 수지 필름 사이에 주입하여, 금속박과 플라스틱 필름을 적층시키는 방법.
접합 유리로 했을 때에 양호한 전방 시인성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편면 또는 양면이 흑화 처리된 금속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박의 흑화 처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알칼리계 흑화액 등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접착제로 금속박과 수지 필름을 적층해도 좋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제로서는, 얻어지는 복합 필름의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제에 유래하는 헤이즈가 생길 수 없는 관점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박과 수지 필름을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I)에서의 금속박과 플라스틱 필름을 열 압착할 때의 열 압착 온도는,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타입에 의존하지만, 통상은 9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9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85℃,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80℃이다. 열 압착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양호한 접합 강도가 얻어지기 쉽다.
상기 방법 (II)에서의 압출시의 수지 온도는, 수지 필름 중의 휘발성 물질의 함유량을 저하시키는 관점에서, 150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170 내지 23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휘발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압출기의 벤트구를 감압함으로써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III)에서의 상기 용매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통상 사용되는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로서는, 앞의 <수지 필름>의 단락에 기재된 가소제가 사용된다.
얻어진 금속박 부착 수지 필름으로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원하는 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은,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의 수법을 사용하여 실시되고, 이로써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이 제조된다. 상기 공정은, 예를 들어 뒤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우선, 금속박 부착 수지 필름의 금속박 위에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를 라미네이트한 후, 포토리소그래피의 수법을 사용하여 에칭 저항 패턴을 형성하고, 이어서, 에칭 저항 패턴이 부여된 수지 필름을 구리 에칭액에 침지하여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형상을 형성한 후, 공지의 방법으로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함으로써 실시된다. 이 공정에서, 주 버스 바, 또는 주 버스 바 및 부 버스 바를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전기 저항 또는 발열량의 확보의 용이성 및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금속박은 은, 구리 또는 텅스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제적 관점에서는, 구리 또는 텅스텐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금속박은 동박 또는 텅스텐박이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구성하는 재료를 코팅, 인쇄 또는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을 사용한 경우, 주 도전 세선과 주 버스 바의 접속 부분의 두께는, 상기 주 도전 세선의 두께와 상기 주 버스 바의 두께의 합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의 0.9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의 0.8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의 0.7배 이하이다. 주 도전 세선과 주 버스 바의 접속 부분의 두께가, 주 도전 세선의 두께 및 주 버스 바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주 도전 세선과 주 버스 바의 접속 부분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거나, 또는 주 도전 세선의 두께 및 주 버스 바의 두께와 동일함으로써, 얻어지는 복합 필름을 갖는 접합 유리를 제작할 때에 기포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복합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복합 필름의 두께가 상기 값 이상이면, 복합 필름의 수축 또는 변형에 기인하여 발열성 도전 구조체에 변형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복합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다. 복합 필름의 두께가 상기 값 이하이면, 접합 유리 제작시에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병용하는 경우에,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으로부터 수지 필름으로의 가소제 이행량이 적어지고,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량의 저하가 억제되기 때문에, 수지 필름을 사용한 탈것용 유리를 탑재한 탈것의 충돌시에서의 두부 충격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다. 복합 필름의 두께는 두께 측정기 또는 레이저 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접합 유리]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2장의 유리 사이에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갖는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리로서는, 투명성, 내후성 및 역학적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무기 유리(이하, 단순히 유리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메타크릴 수지 시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폴리스티렌계 수지 시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 폴리사이클로올레핀계 수지 시트 등의 유기 유리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유리, 메타크릴 수지 시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무기 유리이다. 무기 유리로서는, 예를 들어 플로트 유리, 강화 유리, 반 강화 유리, 화학 강화 유리, 그린 유리 또는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에 있어서,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는 유리와 접하고 있어도 좋고, 후술하는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또는 다른 기능성 층과 접하고 있어도 좋다.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가 유리와 직접 접하고 있으면, 버스 바 및/또는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밀봉이 불충분해져서 수분이 침입하여 버스 바 및/또는 발열성 도전 구조체가 부식되거나, 접합 유리 제조시에 공기가 잔존하여 복합 필름과 유리가 벗겨지거나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복합 필름에서의 발열성 도전 구조체는 유리와 직접 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탈것용 프론트 글래스에서,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방 시인성의 관점에서,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면이 운전자측으로 오도록, 복합 필름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 유리 단부로부터 수분이 침입하여 발열성 도전 구조체가 부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발열성 도전 구조체는 접합 유리의 단부보다 1cm 이상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적어도 2장의 유리 사이에, 복합 필름에 더하여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추가로 가져도 좋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한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는, 앞의 <수지 필름> 항에 기재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동일한 것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세탈화도, 아세틸기량, 수산기량, 점도 평균 중합도, 분자량 분포 등의 범위도 마찬가지이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소정 범위 내이면, 역학적 강도가 충분해지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로 했을 때의 내관통성이 우수하다. 또한,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저하되기 어려운 수지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아세틸 기량이 소정 범위 내이면, 수지 필름과 양호한 접합성 및 광학 변형 저감 등이 달성되는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수산기량이 소정 범위 내이면, 내관통성, 접합성 또는 차음성이 우수한 접합 유리가 얻어지기 쉽다. 또한, 점도 평균 중합도가 소정 범위 내이면, 양호한 제막성이 얻어지기 쉽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에서 열에 의해 유리가 어긋나는 현상이 방지되기 쉽다. 분자량 분포가 소정 범위 내이면, 제막성 및 적합한 필름 물성(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성 및 파단 강도)을 양립시키기 쉽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앞의 <수지 필름> 항에 기재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은, 양호한 제막성 및 라미네이트 적성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 및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탈것용 유리에 있어서 충돌시의 두부 충격이 경감되기 쉬운 관점에서, 미가교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이 가교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가교하기 위한 방법은, 앞의 <수지 필름> 항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함유되는 가소제의 양은, 필름 적층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16.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1 내지 3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32.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30.0질량%이다. 가소제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접합 유리의 제작시에 가소 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병용한 경우에, 내충격성이 우수한 접합 유리가 얻어지기 쉽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으로서, 차음 기능을 갖는 가소 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소제의 함유량은, 필름 적층 전의 초기 상태에서, 차음층의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4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3질량%이다.
가소제로서는, 앞의 <수지 필름> 항에 기재된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은, 필요에 따라 앞의 <수지 필름> 항에 기재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접합 유리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4.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3.0mm이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는, 두께 측정기 또는 레이저 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적어도 2장의 유리 사이에, 복합 필름에 더하여, 또는 복합 필름 및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더하여, 다른 기능성 층을 추가로 가져도 좋다. 다른 기능성 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적외선 반사층, 자외선 반사층, 색 보정층, 적외선 흡수층, 자외선 흡수층, 가시광 반사층, 형광·발광층, 차음층, 일렉트로크로믹층, 서모크로믹층, 포토크로믹층, 의장성층, 또는 고탄성률층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기능성 층은, 2종류 이상의 기능을 조합한 복합층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의 구성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다른 기능성 층의 위치는 (2), (3) 및 (7) 내지 (17)에 예를 드는 각각의 위치라도 좋고, 2개소 이상이라도 좋다. 다른 기능성 층은, 접착층을 별도 포함한 복합체라도 좋다.
(1) 유리 A/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유리 B의 3층 구성,
(2) 유리 A/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다른 기능성 층/유리 B의 4층 구성,
(3) 유리 A/다른 기능성 층/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유리 B의 4층 구성,
(4) 유리 A/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유리 B의 4층 구성,
(5) 유리 A/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유리 B의 4층 구성,
(6) 유리 A/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유리 B의 5층 구성,
(7) 유리 A/다른 기능성 층/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가소 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유리 B의 5층 구성,
(8) 유리 A/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다른 기능성 층/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유리 B의 5층 구성,
(9) 유리 A/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다른 기능성 층/유리 B의 5층 구성,
(10) 유리 A/다른 기능성 층/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유리 B의 5층 구성,
(11) 유리 A/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다른 기능성 층/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유리 B의 5층 구성,
(12) 유리 A/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다른 기능성 층/유리 B의 5층 구성,
(13) 유리 A/다른 기능성 층/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유리 B의 6층 구성,
(14) 유리 A/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다른 기능성 층/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유리 B의 6층 구성,
(15) 유리 A/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다른 기능성 층/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유리 B의 6층 구성,
(16) 유리 A/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다른 기능성 층/유리 B의 6층 구성,
(17) 유리 A/복합 필름(수지 필름/발열성 도전 구조체)/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다른 기능성 층/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유리 B의 6층 구성.
[접합 유리의 제조방법]
접합 유리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위에 복합 필름 및 적층하는 경우에는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임의의 순으로 임의의 매수 겹쳐서 배치하고, 또 하나의 유리를 추가로 겹친 것을, 예비 압착 공정으로서 온도를 높임으로써 복합 필름 및 적층하는 경우에는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유리에 전면 또는 국소적으로 융착시키고, 이어서 오토클레이브에서 처리함으로써 접합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합 필름, 및 경우에 따라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및/또는 다른 기능성 층을 미리 접합시킨 후에 2개의 유리 사이에 배치하여 고온에서 서로 융착시킴으로써 접합 유리를 제조해도 좋다.
상기 예비 압착 공정으로서는, 과잉의 공기를 제거하거나 인접하는 층끼리의 가벼운 접합을 실시하거나 하는 관점에서, 베큠 백, 베큠 링 또는 진공 라미네이터 등으로 감압 하에 탈기하는 방법, 닙롤을 사용하여 탈기하는 방법 및 고온 하에 압축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EP 1235683 B1에 기재된 베큠 백법 또는 베큠 링법은, 약 2×104Pa 및 130 내지 145℃에서 실시된다. 진공 라미네이터는, 가열 가능하고 또한 진공 가능한 챔버로 이루어지고, 이 챔버에서 약 20분 내지 약 60분의 시간 내에 접합 유리가 형성된다. 통상은 1Pa 내지 3×104Pa의 감압 및 100℃ 내지 200℃, 특히 130℃ 내지 160℃의 온도가 유효하다.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온도 및 압력에 따라서 오토클레이브에서의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좋다. 오토클레이브의 처리는, 예를 들어 약 1×106Pa 내지 약 1.5×106Pa의 압력 및 약 100℃ 내지 약 145℃의 온도에서 20분 내지 2시간 정도 실시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복합 필름은 필요에 따라 오토클레이브 프로세스에 제공된다.
제1 유리 위에 복합 필름 및 적층하는 경우의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임의의 순으로 임의의 매수 포개어 배치하고, 제2 유리를 추가로 겹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복합 필름 및 적층하는 경우의 가소 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상응하는 폭의 롤로부터 공급하고, 목적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배치해도 좋고, 미리 원하는 크기로 절단해 놓은 필름을 배치해도 좋다. 접합 유리가 자동차 프론트 글래스인 경우, 롤로부터 공급된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가열·연신, 절단하여, 부채형으로 가공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특히 프론트 글래스를 제조할 때, 유리의 상부에 이른바 컬러 쉐이드 영역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컬러 쉐이드 영역은 복합 필름 및/또는 적층하는 경우의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상응하게 착색된 폴리머 용융물과 함께 압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복합 필름 및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중 적어도 하나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좋고, 부분적으로 다른 착색부를 가져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는, 선행하는 공정에서 프론트 글래스의 형상에 적합화된 컬러 그라데이션을 제공해도 좋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은, 쐐기형 두께 프로파일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복합 필름의 두께 프로파일이 평행 평면인 경우라도 쐐기형 두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자동차 프론트 글래스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에 사용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이중상을 해소할 수 있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은, 적외선 차폐를 위해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중에 적외선 흡수능 또는 반사능을 갖는 나노 입자를 분산시켜도 좋고, 착색된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사용해도 좋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은, 상기 복수의 기능 중 둘 이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에 전자 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전자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 또는 안테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건물 또는 탈것(예를 들어, 열차, 자동차, 선박 또는 항공기)에서 접합 유리로서 사용되고, 예를 들어 탈것(특히 자동차)을 위한 프론트 글래스, 윈도우 실드, 리어 글래스, 루프 유리 또는 사이드 유리 등으로서 사용되고, 특히 프론트 글래스 또는 윈드 실드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된 접합 유리의 저반사율 처리면(예를 들어 흑화 처리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의 헤이즈는 통상 2.6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2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하이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된 접합 유리의 금속 광택면(저반사율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의 헤이즈는 통상 3.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헤이즈가 상기 범위 내이면, 전자 부재의 양호한 감도 및 양호한 전방 시인성이 얻어지기 쉽다.
상기 헤이즈는, 예를 들어 JIS R 3106에 준하여 측정된다. 수지 필름과 발열성 도전 구조체 사이에 접착제 층을 갖지 않는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사용하거나,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선폭을 좁게 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헤이즈는 상기 상한값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된 접합 유리의 저반사율 처리면측에서는, 운전자 또는 관찰자의 위치에서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배선이 시인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이 시인되지 않음으로써, 특히 탈것용 프론트 글래스 등의 양호한 전방 시인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적합하게 사용된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선폭을 좁게 하고, 열성 도전 구조체의 배선 패턴을 그리드상 또는 메쉬상과 같은 규칙적인 패턴이 아니라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하면,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배선은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시인성은 관능적으로 평가된다.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및 유리와, 이들보다 치수가 작은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사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한 경우, 복합 필름의 단부는 육안으로 판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필름의 단부가 육안으로 판별되지 않음으로써, 특히 탈것용 프론트 글래스 등의 양호한 전방 시인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적합하게 사용된다. 복합 필름의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소정의 수산기량을 갖는,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동종인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굴절률차가 작아지고, 복합 필름의 단부는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복합 필름 단부의 시인성은 관능적으로 평가된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에 있어서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병용하고, 복합 필름에서의 수지 필름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가소제는, 시간 경과에 따라서 복합 필름에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으로 이행하고,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가소제량과 복합 필름에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가소제량과는 같은 정도(평균 가소제량)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균 가소제량은,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8질량%이다. 평균 가소제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예를 들어 충돌시의 승차 인물의 두부에 대한 충격이 완화되는 등, 접합 유리의 원하는 특성이 얻어지기 쉽다. 평균 가소제량은 가소제 이행 후에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평균 가소제량(질량%)=(A×a+B×b)/(a+b)
A(질량%): 복합 필름에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가소제량
a(mm): 복합 필름에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
B(질량%):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가소제량
b(mm):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
제막시의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가소제의 양, 가소 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 복합 필름에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가소제의 양 및 복합 필름에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평균 가소제량은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의 가시광 반사율과,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본 발명에서의 접합 유리에 상당하는 접합 유리의 가시광 반사율과의 차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가 작으면,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전방 시인성이 우수하고, 특히 탈것용 프론트 글래스 등의 양호한 전방 시인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접합 유리의 가시광 반사율은 JIS R 3106에 준하여 측정된다.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저반사율 처리면이 운전자측 또는 관찰자측에 배치되도록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것, 또는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선폭을 좁게함으로써, 상기 차는 작게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이하, 「수지 1」이라고 칭함)을 용융 혼련하거나, 또는 수지 1 및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2(이하, 「수지 2」라고 칭함)를 표 2에 기재된 질량비로 용융 혼련하였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c, d 및 e)는, 소정량의 가소제 3GO를, 수지 1과 함께, 또는 수지 1 및 수지 2와 함께 용융 혼련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용융 혼련물을 스트랜드 상으로 압출하여 펠렛화하였다. 얻어진 펠렛을 단축의 압출기와 T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압출하고, 금속 탄성 롤을 사용하여 표면이 평활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 내지 e(이하, 각각 수지 필름 a 내지 e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를 얻었다.
수지 필름 a 내지 e의 제조에서 사용한 수지(폴리비닐부티랄 수지 A 내지 C)의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수지 필름 a 내지 e 및 비교로서 사용한 각 필름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실시예 1]
<동박이 적층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에, 편면이 흑화 처리된 두께 7㎛의 동박을, 흑화 처리면(이하, 흑화면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과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가 접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겹쳤다. 다음으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와 동박을 겹친 적층체의 상하를 두께 50㎛의 PET 필름으로 끼우고, 120℃로 설정한 열 압착 롤 사이를 통과(압력: 0.2MPa, 속도 0.5m/분)시킨 후, PET 필름을 벗김으로써, 동박이 적층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를 얻었다.
<수지 필름 위에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는 복합 필름의 제조>
얻어진, 동박이 적층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의 동박 위에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를 라미네이트한 후, 포토리소그래피의 수법을 사용하여 에칭 저항 패턴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에칭 저항 패턴이 형성된, 동박이 적층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를, 구리 에칭액에 침지하여 도전 구조체를 형성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였다. 이로써,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의 표면에 배치되고, 동박의 에칭 구조체인 도전 구조체를 갖는 복합 필름을 얻었다. 도전 구조체는, 세로 가로 각 18cm의 정사각형 내부에, 각 구리선의 단부가 상기 정사각형 상변 및 하변에 달하도록 선폭 10㎛의 구리선(주 도전 세선)이 2.0mm 간격으로 물결형 상으로 늘어선 구조가 되도록 형성하고, 이 도전 구조체의 형성과 동시에, 상기 정사각형 상변 및 하변에서 각 구리선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주 버스 바에 상당하는 폭 20mm, 길이 18cm의 구리선을 형성하였다. 또한, 얻어진 복합 필름은, 한쪽의 주 버스 바의 긴 길이 방향의 중점으로부터 상기 주 버스 바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6.5cm 떨어진 위치 및 10.5cm 떨어진 위치에 원주가 오도록, 반경 2cm의 주 도전 세선을 포함하지 않는 대략 원 상의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갖고, 상기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2cm 이내의 영역에 포함되는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은 1.0mm였다. 따라서,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은,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고 있었다. 상기 도전 구조체 및 주 버스 바의 구성의 개략도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접합 유리의 제조>
얻어진 복합 필름을, 도전 구조체가 포함되도록 세로 18cm, 가로 18cm로 잘라내어, 세로 20cm, 가로 20cm, 두께 3mm의 유리 위에 배치하였다. 이때, 상기 필름의 도전 구조체를 갖지 않는 면이 유리와 접하는 방향으로, 또한, 도전 구조체가 유리의 중앙 부근에 오도록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도전 구조체의 양 단부에 있는 각각의 버스 바(20mm폭 구리선)에, 전극(도전성 점착제 부착 동박 테이프)을, 유리로부터 밖으로 각 전극 단부가 비어져 나오도록 붙였다. 또한, 그 위에,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으로서의 세로 20cm, 가로 20cm, 두께 0.76mm의 자동차 프론트 글래스용 중간막(수산기량 29몰% 및 점도 평균 중합도 1,700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및 가소제 3GO를 28질량% 함유함), 및 세로 20cm, 가로 20cm, 두께 3mm의 유리를 겹쳐서 배치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진공 백에 넣고,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감압으로 한 후, 감압한 채로 100℃로 승온하고, 그대로 60분간 가열하였다. 강온 후, 상압으로 되돌려 프리라미네이트 후의 접합 유리를 꺼냈다.
그 후, 이것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140℃, 1.2MPa에서 30분간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도전 구조체의 상태 평가>
에칭 후의 도전 구조체 및 오토클레이브 후의 접합 유리의 도전 구조체의 상태를 루페를 사용하여 육안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A: 변형 및 단선은 확인되지 않았다.
B: 부분적으로 변형은 확인되었지만, 단선은 확인되지 않았다.
C: 조금 단선이 확인되었다.
D: 단선이 현저하였다.
<도전 구조체의 시인성의 관능 평가>
상기 접합 유리를, 관찰자의 수평 시선으로부터 10cm 아래쪽에 있는 수평한 대 위에 관찰자로부터 50cm 떨어뜨려서 평평하게 놓고, 대 상면과의 각도가 45°가 되도록 관찰자측으로 접합 유리를 일으켜서 고정하고, 또한 관찰자로부터 접합 유리를 끼운 끄트머리에 백색과 흑색 스크린의 2색을 배치하였다. 각각의 스크린에서 저반사 처리된 도전 구조체로부터 본 시인성을,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A: 주 도전 세선이 양 스크린 모두 확인되지 않는다; 시인성은 양호.
B: 주 도전 세선이 한쪽의 스크린에서 확인된다; 시인성은 약간 떨어지지만 실용상 충분.
C: 주 도전 세선이 양쪽의 스크린에서 확인된다; 시인성은 떨어지지만 실용 가능.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가열 성능의 평가>
-20℃에서 24시간 냉각한 상기 접합 유리의 2개의 전극부에 12V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성에가 제거되어 배경을 시인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가열 성능을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A: 1분 이내; 가열 성능은 매우 양호.
B: 1분보다 길고 3분 이내; 가열 성능은 충분.
C: 3분보다 길다; 가열 성능은 불충분.
<헤이즈의 측정>
사용하는 유리를 세로 5cm, 가로 5cm, 두께 3mm의 유리로 변경하고, 복합 필름으로서, 전자 부재 부착 영역 및 상기 영역의 주위 2cm의 영역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세로 5cm, 가로 5cm의 복합 필름을 잘라내어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수법으로, 평가 샘플을 얻었다.
흑화 처리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의 상기 평가 샘플의 헤이즈를,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JIS R3106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카메라 센서의 감도의 평가>
사용하는 유리를 세로 5cm, 가로 5cm, 두께 3mm의 유리로 변경하고, 복합 필름으로서, 전자 부재 부착 영역 및 상기 영역의 주변 2cm의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으로부터 세로 5cm, 가로 5cm의 복합 필름을 잘라내어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수법으로, 시료 샘플을 얻었다. 또한, 복합 필름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수법으로, 복합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접합 유리를 얻었다.
흑화 처리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의 상기 시료 샘플의 전 광선 투과율, 및 복합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접합 유리의 전체 광선 투과율을,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JIS R3106에 준하여 측정하고, 전체 광선 투과율의 차를 수학식 2에 의해 구하였다. 그리고, 카메라 센서의 감도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수학식 2]
ΔT=T(복합 필름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T(복합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접합 유리)
A: ΔT가 0.5% 이하; 감도는 매우 양호.
B: ΔT가 0.5%보다 크고 1% 이하; 감도는 충분히 양호.
C: ΔT가 1%보다 크다; 감도는 저하.
[실시예 2]
도전 구조체의 선 형상을 물결형 상에서 지그재그형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 대신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 대신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 대신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d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6]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 대신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e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주 도전 세선의 선폭을 10㎛에서 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8]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 대신에, 표 2에 기재된 아크릴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 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9]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와 동박을 적층할 때에 열 압착 롤을 사용하여 적층한 것 대신에, 표 2에 기재된 PET 필름과 동박을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도전 구조체 및 주 버스 바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의 도전 구조체 및 주 버스 바의 구성은,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이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 이외의 영역에 존재하도록 한쪽의 주 버스 바가 U자형으로 만곡하고, 상기 주 버스 바와 다른 쪽의 버스 바 사이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위에서 주 도전 세선이 연장되고,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이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의 구성과 동일하였다. U자 상으로 만곡한 부분의 치수는, U자의 개구부에 상당하는 폭이 4cm, U자의 깊이에 상당하는 길이가 2cm이었다.
[실시예 11]
도전 구조체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변경하고,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1/4 이상을 둘러싸도록 2개의 부 버스 바를 추가로 배치한 것, 즉, 도 1에서의 대략 원 상인 전자 부재 부착 영역 부근의 대략 직사각형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1/4 이상을 둘러싸도록 2개의 부 버스 바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2개의 부 버스 바는, 폭 20mm, 길이 4cm의 구리선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부 버스 바와 2개의 주 버스 바는 평행이며, 한쪽의 주 버스 바와 2개의 부 버스 바 사이는 각각 6.5cm 및 10.5cm 떨어져 있고, 2개의 부 버스 바는, 인접하는 2개의 주 버스 바와 각각 주 도전 세선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2개의 부 버스 바의 단부끼리는 주 도전 세선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었다.
[실시예 12]
도전 구조체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변경하고,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1/4 이상을 둘러싸도록 하나의 정사각형 부 버스 바를 배치한 것, 즉, 도 1에서의 대략 원 상인 전자 부재 부착 영역 부근의 정사각형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나의 정사각형 부 버스 바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부 버스 바는 폭 20mm의 구리선으로 이루어지고, 부 버스 바 내부의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은 세로 4cm, 가로 4cm의 치수를 갖고, 정사각형상의 부 버스 바의 두 변은 2개의 주 버스 바와 평행하고, 상기 부 버스 바의 두 변은 2개의 인접하는 주 버스 바와 각각 주 도전 세선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었다.
[실시예 13]
도전 구조체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변경하고,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1/4 이상을 둘러싸도록 하나의 원형 부 버스 바를 배치한 것, 즉, 도 1에서의 대략 원 상인 전자 부재 부착 영역 부근의 원형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나의 원형 부 버스 바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부 버스 바는 폭 20mm의 구리선으로 이루어지고, 부 버스 바 내부의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은 직경 4cm의 원형이며, 부 버스 바의 원호의 일부는 2개의 인접하는 주 버스 바와 각각 주 도전 세선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었다.
[실시예 14]
도전 구조체의 선 형상을 물결형 상에서 직선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2cm 이내의 영역에 포함되는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을 1.0mm에서 2.0mm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를 세로 18cm, 가로 18cm로 잘라내어, 세로 20cm, 가로 20cm, 두께 3mm의 유리 위에 배치하였다. 선폭 15㎛의 텅스텐 와이어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 위에 표 3에 기재된 대로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버스 바로서의 20mm 폭의 동박을 상기 텅스텐 와이어 단부에 배치하고, 전극(도전성 점착제 부착 동박 테이프)을 유리에서 밖으로 각 전극 단부가 비어져나오도록 붙였다. 또한, 그 위에, 가소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으로서의 세로 20cm, 가로 20cm, 두께 0.76mm의 자동차 프론트 글래스용 중간막(수산기량 29몰% 및 점도 평균 중합도 1,700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및 가소제 3GO를 28질량% 함유함) 및 세로 20cm, 가로 20cm, 두께 3mm의 유리를 겹쳐서 배치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을 2.0mm에서 4.0mm로 변경하고,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2cm 이내의 영역에 포함되는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을 1.0mm에서 4.0mm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복합 필름 대신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a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합 유리를 제조하였다. 이 예에서는 도전 구조체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가열 성능의 평가」, 「헤이즈의 측정」 및 「카메라 센서의 감도의 평가」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얻은 접합 유리 또는 시료 샘플의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평가를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도전 구조체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변경한 것, 즉, 복합 필름이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갖지 않도록 도전 구조체의 구성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필름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였다. 이 예에서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가열 성능의 평가」 및 「카메라 센서의 감도의 평가」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얻은 접합 유리 또는 시료 샘플의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평가를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1 내지 17에서 얻어진 접합 유리는, 접합 유리 전면의 가열에 더하여, 전자 부재의 양호한 감도를 확보하면서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효율적인 가열이 행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자 부재 부착 영역 주위의 도전 세선을 보다 고밀도로 배치함으로써(실시예 1 내지 9, 14 및 16) 전자 부재 주위의 가열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것, 보다 가는 도전 세선을 제공함으로써(실시예 1 내지 15 및 17) 양호한 전방 가시성, 블랙 페인트의 시공 필요성의 배제 및 접합 유리에서의 전자 부재의 배치의 자유도의 향상이 달성되는 것도 확인되었다. 또한, 바람직한 헤이즈를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실시예 1 내지 8 및 10 내지 17) 전자 부재의 매우 양호한 감도가 달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접합 유리에서는, 전자 부재의 양호한 감도 및 전방 시인성은 달성되었지만, 접합 유리 전면의 가열도,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효율적인 가열도 행해지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얻어진 접합 유리에서는, 접합 유리 전면의 가열 및 전자 부재 부근의 효율적인 가열은 달성되었지만, 전자 부재의 양호한 감도는 얻을 수 없었다.
1 주 버스 바
2 주 도전 세선
3 전자 부재 부착 영역
5 부 버스 바
6 다른 8개의 영역
7 2개의 주 버스 바에 접하는 영역
10 주 버스 바의 투영 단면적
20 주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
40 부 도전 세선의 투영 단면적

Claims (18)

  1. 수지 필름과, 상기 수지 필름 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주 도전 세선(主 導電 細線)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열성 도전 구조체를 갖는 복합 필름으로서, 상기 복합 필름이, 상기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적어도 하나 갖는, 복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 위에 2개의 주(主) 버스 바가 서로 상대(相對)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 버스 바가 각각, 상기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복합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 도전 세선이 상기 수지 필름 위에서 비직선 상으로 연장되는, 복합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직선 상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물결형 상 및/또는 지그재그 상인, 복합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도전 구조체의 적어도 한 면이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복합 필름.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재 부착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복합 필름.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재 부착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 이외의 영역에 존재하는, 복합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도전 구조체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주 도전 세선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副) 도전 세선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2개의 주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과, 상기 인접하는 2개의 주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 사이에 존재하는 인접하는 2개의 부 도전 세선으로 이루어진 두 변으로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영역 중 둘 이상이 다른 형상을 갖는, 복합 필름.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周圍) 2cm 이내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이, 복합 필름 전체에 포함되는 상기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보다도 좁은, 복합 필름.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2cm 이내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주 도전 세선의 평균 간격이 0.1mm 이상 5mm 이하인, 복합 필름.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1/4 이상을 둘러싸도록 주 버스 바의 일부가 만곡되어 있는, 복합 필름.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 위에, 적어도 1개의 부 버스 바가,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는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의 주위 1/4 이상을 둘러싸도록 추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 버스 바가 상기 2개의 주 버스 바와 상기 주 도전 세선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복합 필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가 0.3mm 이하인, 복합 필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융점 및 유리 전이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가 30℃ 이상 180℃ 이하인, 복합 필름.
  15. 제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도전 세선과 상기 주 버스 바의 접속 부분의 두께는, 상기 주 도전 세선의 두께와 상기 주 버스 바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복합 필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도전 구조체가 금속박의 에칭 구조체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
  17. 적어도 2장의 유리 사이에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필름을 갖는, 접합 유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재 부착 영역에 카메라, 센서 또는 안테나를 부착한, 접합 유리.
KR1020207018500A 2017-12-28 2018-12-27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갖는 복합 필름 KR20200100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54066 2017-12-28
JP2017254066 2017-12-28
PCT/JP2018/048296 WO2019131928A1 (ja) 2017-12-28 2018-12-27 電子部材取付け領域を有する複合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669A true KR20200100669A (ko) 2020-08-26

Family

ID=6706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500A KR20200100669A (ko) 2017-12-28 2018-12-27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갖는 복합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74987A1 (ko)
EP (1) EP3735105A1 (ko)
JP (1) JPWO2019131928A1 (ko)
KR (1) KR20200100669A (ko)
CN (1) CN111527791A (ko)
WO (1) WO2019131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3366B2 (en) * 2018-11-06 2022-09-27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Heatable device for use with a vehicle-mounted image acquisition unit
GB202000442D0 (en) 2020-01-13 2020-02-26 Pilkington Group Ltd Glazing,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glazing and use of said glazing
WO2023057243A1 (en) * 2021-10-07 2023-04-13 Agc Glass Europe Vehicle laminated glazing
WO2023195359A1 (ja) * 2022-04-08 2023-10-12 株式会社デンソー 測距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4588A (ja) 2007-07-26 2010-11-11 アーデーツエー・オートモテイブ・デイスタンス・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ズ・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車両にある光センサシステム及び/又は識別システム用看視窓
JP2013503424A (ja) 2009-08-27 2013-01-31 ピルキントン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電気加熱窓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1444A1 (de) 1999-10-25 2001-04-26 Huels Troisdorf Verfahren und Folie zur Herstellung von Verbundsicherheitsscheiben
DE10143190A1 (de) 2001-09-04 2003-03-20 Kuraray Specialities Europe Hochmolekulare, vernetzte Polyvinylbutyral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JP3849533B2 (ja) * 2002-01-25 2006-11-2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ウインドシールド用合わせガラス
DE10319198A1 (de) 2002-07-04 2004-01-15 Kuraray Specialities Europe Gmbh Vernetzte Polyvinylacetale
EP1622946A1 (de) 2003-01-09 2006-02-08 Kuraray Specialities Europe GmbH Vernetzte polyvinylacetale
WO2004063232A1 (de) 2003-01-09 2004-07-29 Kuraray Specialities Europe Gmbh Vernetzte polyvinylacetale
JP2009017236A (ja) * 2007-07-04 2009-01-22 Nippon Sheet Glass Co Ltd 熱線パターン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窓ガラス
JP5268690B2 (ja) * 2009-02-10 2013-08-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ンテナ一体型発熱フィルム
JP2010251230A (ja) * 2009-04-20 2010-11-04 Fujifilm Corp 電熱窓ガラス
CN104919892B (zh) * 2012-12-20 2017-05-10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电加热层的玻璃板
WO2015158462A1 (de) * 2014-04-17 2015-10-22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e scheibe mit heizbeschichtung
JP5960789B2 (ja) * 2014-12-22 2016-08-02 橋本精密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6481386B2 (ja) * 2015-01-29 2019-03-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発熱板及び乗り物
JP2017073751A (ja) * 2015-10-09 2017-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カメラ及び車両
JP6913294B2 (ja) * 2015-12-16 2021-08-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発熱板、導電体付きシート、乗り物及び建築物用窓
JP2017114154A (ja) * 2015-12-21 2017-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ヒータ制御装置
JP6747045B2 (ja) * 2016-05-11 2020-08-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導電性発熱体および合わせガラス
WO2018181389A1 (ja) * 2017-03-27 2018-10-04 株式会社クラレ 合わせガラス用の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
JP7196922B2 (ja) * 2018-08-21 2022-12-27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JPWO2023013516A1 (ko) * 2021-08-02 2023-02-09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4588A (ja) 2007-07-26 2010-11-11 アーデーツエー・オートモテイブ・デイスタンス・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ズ・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車両にある光センサシステム及び/又は識別システム用看視窓
JP2013503424A (ja) 2009-08-27 2013-01-31 ピルキントン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電気加熱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5105A1 (en) 2020-11-04
JPWO2019131928A1 (ja) 2020-12-24
US20200374987A1 (en) 2020-11-26
WO2019131928A1 (ja) 2019-07-04
CN111527791A (zh)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7708B1 (ja) 合わせガラス用の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
KR20200100669A (ko) 전자 부재 부착 영역을 갖는 복합 필름
JP6487131B2 (ja) 合わせガラス用の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
WO2019168173A1 (ja) 可塑剤含有シートが重なってなる多層構造体
CN111971329B (zh) 聚乙烯醇缩醛树脂薄膜
JP2018161889A (ja)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層と金属箔に基づく導電性構造体とを有する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および前記フィルムを有する合わせガラス
KR20200104310A (ko) 회로 부착 필름
CN112789312A (zh) 吸收增塑剂而成的聚乙烯醇缩醛树脂薄膜的制造方法
JP2018188356A (ja) 窓ガラス用発熱フィルム、および前記フィルムを有する窓ガラス
JP7148550B2 (ja) 回路付きフィルム
JP7225119B2 (ja) 積層体及び合わせガラス
CN112771101B (zh) 聚乙烯醇缩醛树脂薄膜和包含其的层叠体
KR20210068428A (ko)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및 이의 필름 롤, 및 적층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