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438A -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438A
KR20200090438A KR1020190007484A KR20190007484A KR20200090438A KR 20200090438 A KR20200090438 A KR 20200090438A KR 1020190007484 A KR1020190007484 A KR 1020190007484A KR 20190007484 A KR20190007484 A KR 20190007484A KR 20200090438 A KR20200090438 A KR 20200090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electronic device
state
area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욱
김지용
박종대
이근식
허훈도
허창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0438A/ko
Priority to CN202080009775.9A priority patent/CN113316757A/zh
Priority to PCT/KR2020/001042 priority patent/WO2020153725A1/en
Priority to US16/747,674 priority patent/US11073866B2/en
Publication of KR20200090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제1 면(surface)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faced away)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housing)과,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side surface)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facing)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pivotably) 연결하는 접이부(folding part)와,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across)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 상에(on)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3 면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 프로세서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되는 외부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OF DISPLAY}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phone), 테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과 같이,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향상된 휴대성(portability)을 제공하고, 보다 넓은 크기의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폴더블(foldable) 타입(type)의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강화된(enhanced) 휴대성(portability)을 제공하고, 보다 넓은 크기의 표시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폴더블(foldable)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에 대한 요구(needs)가 있다.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faced away)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facing)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rotatably) 연결하는 접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3 면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이물질(foreign object)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서로 마주할(face each other)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이물질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제1 면(surface)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faced away)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housing)과,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side surface)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facing)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pivotably) 연결하는 접이부(folding part)와,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across)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 상에(on)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3 면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 프로세서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되는 외부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면 상기 제3 면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3 면에 대응하는 제2 영역 위에 접촉되는 외부 객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제1 면(surface)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faced away)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housing)과,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side surface)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facing)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pivotably) 연결하는 접이부(folding part)와,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across)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 상에(on)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3 면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누름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포스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 프로세서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포스 터치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 강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포스 터치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가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면 상기 제3 면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3 면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누르는 강도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식별된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및 그의 방법은, 자세 검출 센서, 터치 센서, 포스 터치 센서, 또는 그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펼침 상태(outspread state)에서의 전자 장치의 전면(front view) 및 후면(rear view)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펼침 상태(outspread state)에서의 전자 장치의 전면(front view)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자세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터치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의 분포에 따라 외부 객체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2 프로세서의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1 프로세서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외부 객체의 누름의 강도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의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1 프로세서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의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1 프로세서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6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2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2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31), 메모리(2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235), 또는 맵핑 모듈(2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2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해 전자 장치 1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20)(예: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230)는 터치 회로(250) 또는 센서 모듈(1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2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2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2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237)은 이미지 처리 모듈(1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250)는 터치 센서(2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2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2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1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센서 모듈(1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1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210) 또는 DDI(230)) 또는 터치 회로(2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251) 또는 센서 모듈(176)은 디스플레이(2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펼침 상태(outspread state)에서의 전자 장치의 전면(front view) 및 후면(rear view)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1 하우징(310), 제2 하우징(320), 접이부(3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50), 및/또는 디스플레이(3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하우징(310)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faced away)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하우징(320)은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은 접이부(3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이부(330)는 제1 하우징(310)의 측면과 제1 하우징(310)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2 하우징(320)의 측면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pivotably 또는 rotatably)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는 접이부(330)를 가로질러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는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는 접이부(330)를 가로질러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는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3 면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접이부(330)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이부(330)는 전자 장치(101)의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자 장치(101)를 굽히거나, 휘거나, 접힐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하우징(310)은 접이부(330)를 통해 제2 하우징(320)과 연결되어 접이부(33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하우징(320)은 접이부(330)를 통해 제1 하우징(310)과 연결되어 접이부(33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은 접이부(330)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상호 마주 보도록 접힐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은 실질적으로 서로 포개지거나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이 접이부(130)에 의해 펼쳐진(folded out) 제1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3 면과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동일한 평면을 이룰(flushed with)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접이부(330)를 펼침으로써,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flushed with) 상기 제1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상태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을 향하는 사용자의 시야(field of view 또는 angle of view) 안에서(withi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의 전체 영역(entire area) 중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제1 영역,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제3 면에 상응하는 제2 영역,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의 전체 영역 중 접이부(330)를 감싸는 제3 영역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상태는, 펼침 상태(outspread state 또는 outspreading state)로 참조되거나, 언폴딩(unfolding) 상태로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이 접이부(330)에 의해 접힌(folded in) 제2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3 면 위에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접이부(330)가 제1 하우징(310)의 전면(예: 상기 제1 면) 및 제2 하우징(320)의 전면(예: 상기 제3 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혀져,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2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상태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을 향하는 사용자의 시야 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가 가려지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상태는, 접힘 상태(folded state 또는 folding state)로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는 제1 하우징(310)과 접이부(330)를 가로질러 제2 하우징(320)의 전면부(예: 상기 제3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는 터치 센서 및 포스 터치 센서(force touch sens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접이부(330)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는 제1 하우징(310)에서 접이부(330)를 가로질러 제2 하우징(320)까지 배치되기 때문에 전자 장치(101)의 접이 동작에 의해 굽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에서, 제1 하우징(310)의 상기 제1 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 및 제2 하우징(320)의 상기 제3 면에 배치되는 제2 영역과 달리, 접이부(330)의 위에 배치되는 제3 영역은 전자 장치(101)의 접이 동작에 따라 굽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3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4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만곡하여 굽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3 영역과 같이 굴곡진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310)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끝 단은 둥근(round) 형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하우징(320)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끝 단은 둥근 형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영역 내에 포함된 굽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내에 포함된 상기 굽은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은,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 각각의 끝 단에 배치되기 때문에, 엣지 디스플레이로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50)는 제2 하우징(320)의 후면(예: 상기 제4 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50)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50)는, 적어도 하나의 망원 카메라(telephoto camera) 및 적어도 하나의 광각 카메라(wide-angle 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350)는, 흑백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흑백 카메라(monochrome camera) 및 컬러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RGB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360)는, 제1 하우징(310)의 후면(예: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펼침 상태(outspread state)에서의 전자 장치의 전면(front view)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폴더블 전자 장치(101)는, 제1 하우징(410), 제2 하우징(420), 접이부(430), 힌지부(44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하우징(410)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faced away)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하우징(420)은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20)은 접이부(4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이부(430)는 제1 하우징(410)의 측면과 제1 하우징(410)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2 하우징(420)의 측면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20)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pivotably 또는 rotatably)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부(440)는 전자 장치(101)의 후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힌지부(440)는 전자 장치(101)의 후면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힌지부(440)의 중심에서 힌지 중심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중심부(443)는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20)이 접이부(430)를 이용하여 접힐 때, 회전 동작의 중심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는 접이부(430)를 가로질러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20)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는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2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는 접이부(430)를 가로질러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는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3 면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접이부(430)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이부(430)는 전자 장치(101)의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자 장치(101)를 굽히거나, 휘거나, 접힐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하우징(410)은 접이부(430)를 통해 제2 하우징(420)과 연결되어 접이부(43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하우징(410)과 제2 하우징(420)은 접이부(430)에 의해 힌지부(440)의 힌지 중심부(443)를 회전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상호 마주 보도록 접힐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20)은 실질적으로 서로 포개지거나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하우징(410)과 제2 하우징(420)이 접이부(430)에 의해 펼쳐진(folded out) 제1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3 면과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동일한 평면을 이룰(flushed with)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접이부(430)가 펼쳐짐으로써,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2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flushed with) 상기 제1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상태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을 향하는 사용자의 시야(field of view 또는 angle of view) 안에서(withi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의 전체 영역(entire area) 중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제1 영역,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제3 면에 상응하는 제2 영역,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의 전체 영역 중 접이부(430)를 감싸는 제3 영역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상태는, 펼침 상태(outspread state 또는 outspreading state)로 참조되거나, 언폴딩(unfolding) 상태로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하우징(410)과 제2 하우징(420)이 접이부(430)에 의해 접힌(folded in) 제2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4 면 위에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접이부(430)가 제1 하우징(410)의 후면(예: 상기 제2 면) 및 제2 하우징(420)의 후면(예: 상기 제4 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혀져,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20)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2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상태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을 향하는 사용자의 시야 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상기 제1 영역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의 전체 영역 중 접이부(430)를 감싸는 제3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상태는, 접힘 상태(folded state 또는 folding state)로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접이부(430)는 복수의 접이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접이 부재들은 전자 장치(101)가 접힐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웃하는 복수의 접이 부재들 각각은 서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20)과 이웃하는 복수의 접이 부재들은 각각 힌지 결합하여 폴더블 전자 장치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경우 단계적으로 일정한 곡률로 접힐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1)는 접이부(430)에 포함된 복수의 접이 부재들 상호 간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제1 하우징(410) 및 제2 하우징(420) 각각의 후면이 마주하도록 접힐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접이 부재들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본체 및 본체의 양쪽에 배치되는 양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접이 부재들의 본체의 전면은, 접이부(430)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접이 부재들의 본체의 후면은 접이부의 후면에 배치되는 힌지부(44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접이 부재들의 양 끝 단만이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면의 일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접이 부재들의 수는 전자 장치(101)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접이 부재들의 양 끝 단은 상호 접이 기능을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접이 부재들 각각의 양 끝 단은 접히는 방향으로 형성된 틈(gap)을 포함하는 육각형, 또는 한 방향으로 형성된 원형, 또는 가장 중심의 접이 부재를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형성된 원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힌지부(440)는 제1 평면부(441), 제2 평면부(442) 및 힌지 중심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중심부(443)는 제1 평면부(441) 및 제2 평면부(44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평면부(441)의 일 단에 형성된 힌지 암(arm) 및 제2 평면부(442)에 형성된 힌지 암이 서로 결합하여 힌지 중심부(443)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힌지 중심부(443)를 구성하는 제1 평면부(441)의 힌지 암 및 제2 평면부(442)의 힌지 암은 각각 평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별개로 형성되어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중심부(443)가 힌지부(440)의 중심에서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기능적 구성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1 프로세서(501), 터치 센서(502), 포스 터치 센서(503), 자세 검출 센서(504), 제2 프로세서(505), 햅틱 모듈(506), 스피커(507), 제3 프로세서(508),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표시 영역(예: 도 3에 도시된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또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502), 상기 터치 입력의 누름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포스 터치 센서(50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접힘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자세 검출 센서(504), 및 제2 프로세서(505)와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프로세서(505)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프로세서(12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프로세서(50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상에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3 프로세서(508), 도 1에 도시된 햅틱 모듈(179)을 포함하는 햅틱 모듈(506), 및 도 1에 도시된 음향 출력 장치(155)를 포함하는 스피커(507)와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3 프로세서(508)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3 프로세서(508)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3 프로세서(508)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를 제어한다는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참조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310)의 상기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제2 하우징(320)의 상기 제2 면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표시 영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410)의 상기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제2 하우징(420)의 상기 제3 면에 대응하는 제2 영역, 및 접이부(430)를 감싸는 제3 영역을 표시 영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기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도 3의 외관을 가지는 전자 장치(101)를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나, 아래에 기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도 4의 외관을 가지는 전자 장치(10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는, 터치 센서(502) 및 포스 터치 센서(503)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502) 및 포스 터치 센서(503)와 일체로 구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예: 도 3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60) 또는 도 4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50))는 기판(substrate)(610), 기판(610) 위에 배치되는 TFT(tin film transistor)(620), TFT(620) 위에 배치되는 발광층(630), 발광층(630) 위에 배치되는 봉지층(640), 봉지층(640) 위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502) 및 포스 터치 센서(503), 터치 센서(502) 및 포스 터치 센서(503) 위에 배치되는 광학층(650), 및 광학층(650) 위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윈도우(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610)은 TFT(620) 및 발광층(630)을 포함하는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일 수 있고, 상기 패널은 일련의 제조 공정들을 통해 제1 기판(6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기판(610)은 양쪽 면들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태로서,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polyimide))와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은 TFT(620)와, TFT(620)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픽셀들을 형성하는 발광층(630)을 포함할 수 있다. TFT(620)는 발광층(630) 및 제1 기판(610) 사이에 배치되고, 증착(deposition), 패터닝(patterning), 식각(etching) 등의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제1 기판(610)의 제1 면에 TFT(620)의 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610)의 상기 제1 면에 폴리 실리콘(poly-silicon)과 같은 반도체 물질로 형성된 액티브 층(또는 반도체 층)이 형성되고, 그 액티브 층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전극(gate electrode), 소스 전극(source electrode) 및 드레인 전극(drain electrode)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은 전자를 공급하는 전극이고, 드레인 전극은 전자를 공급받는 전극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은 소스 전극에서 드레인 전극으로 전자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극일 수 있다. 액티브 층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에 일정 이상의 전압이 가해지면 도체와 같이 전자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패스(또는 채널)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층(630)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TFT(620)에 증착(evaporation)을 통해 형성되는 양극(anode), 음극(cathode) 및 유기 물질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은 정공(hole)을 방출하는 전극이고, 음극은 전자(electron)를 방출하는 전극이며, 유기 물질 층은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FT(620)의 액티브 층의 반응으로 인하여, 전류는 소스 전극, 액티브 층 및 드레인 전극으로 흐르고, TFT(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층(630)의 양극 및 음극에 전압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양극에서 방출된 전자와 음극에서 방출된 정공은 유기 물질 층에서 결합되고, 전자와 정공의 결합으로 인한 여기자 에너지(exciton energy)는 유기 물질 층에서 빛의 형태로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OLED를 포함하는 발광층(630)은 '유기 발광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층(630)은 OLED와 다른 구조의 발광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TFT(620)는 LTPS(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기반의 TFT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TFT(620)는 a-Si(amorphous silicon) 기반의 TFT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은, 발광층(630)이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64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630)에 포함된 유기 물질 층, 양극 또는 음극은 산소 또는 수분에 반응해 그 발광 특성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봉지층(640)는 발광층(630)이 노출되지 않게 하는 밀봉재(seal)로서, 발광층(630)으로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봉지층(640)는 TFE(thin film encapsul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알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은, 봉지층(604) 위에 배치되고, 제1 프로세서(501)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터치 센서(502) 및 포스 터치 센서(5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은 터치 센서(502) 및 포스 터치 센서(503) 위에 배치되는 광학층(6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650)은 위상 지연 층(retardation layer, or retarder)과, 위상 지연 층 위에 배치되는 편광 층(polarizing layer, or polarizer)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과 같은 무편광의 빛이 상기 패널로 입사되면, 무편광의 빛은 편광 층을 통과하여 선편광의 빛으로 변하고, 이 선편광의 빛은 위상 지연 층을 통과하여 원편광의 빛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평광의 빛이 90° 편광 층을 통과하면 90° 선편광의 빛으로 변하고, 90° 선편광의 빛이 45° 위상 지연 층을 통과하면 135° 원평광의 빛으로 변환될 수 있다. 135° 원편광의 빛은 선평광 축인 90°와 180° 중간에 있는 값으로, x 축과 y 축, 즉, 90°와 180° 위상을 모두 가지고 진동할 수 있다. 원편광의 빛은 특정 축에 놓여 있지 않고, 균등하게 진폭하면서 축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위상 지연 층은 quarter wave retarder(*?*/4 retarder)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태양광이 상기 패널로 입사되면 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널에 포함된 전극 등에서 반사될 수 있고, 이는 화면 인식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광학층(650)의 편광 층 및 위상 지연 층은 외부에서 들어온 빛이 반사되어 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야외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지연 층에 의해 변화된 135° 원편광의 빛은 TFT(620) 등에 반사되고, 반사된 135° 원편광의 빛은 위상 지연 층을 거쳐 180° 선평광의 빛으로 변하며, 이 180° 선평광의 빛은 90°편광 층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없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편광 층 및 위상 지연 층이 합쳐진 하나의 층이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층은 '원편광 층'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은, 광학층(650) 위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윈도우(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윈도우(660)는, PI(polyimide)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윈도우(660)는, 휘어져야 하는 특성 때문에, 글라스(glass) 윈도우보다 약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은 이 밖에 도시하지 않은 다양한 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널은 TFT(620) 및 제1 기판(610) 사이에 배치되는 산화 규소(silicon oxide), 질화 규소(silicon nitride) 등의 물질로 형성된 버퍼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널은 버퍼 층 및 제1 기판(610) 사이에 배치되는 폴리머 등으로 형성된 보호 층(prot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는, TFT(620)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PMOLED(pass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한 기판(예를 들면, PI(polyimide)로 형성된 기판)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프로세서(508)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발광층(6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TFT(6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 포스 터치 센서(503), 또는 자세 검출 센서(504)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슬립 상태는, 상기 웨이크-업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부팅(booting)을 요구하는 턴-오프(turn-off)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슬립 상태는, 전자 장치(101)의 PMIC(미도시,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ry, 예: 전력 관리 모듈(188))가 제2 프로세서(505)에게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제한한(예: 중단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슬립 상태는, 제2 프로세서(505)가 활성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부팅을 요구하지 않으나, PMIC로부터 정상 전력을 획득하는 것을 요구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슬립 상태는, 전자 장치(101)의 PMIC로부터 기준 전력보다 낮은 전력을 획득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슬립 상태는,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 유휴 상태(idle state), 대기 상태(standby state), 또는 저전력 상태(low power sta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예: 도 3의 설명을 통해 정의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되는 외부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제3 프로세서(508)는 AOD(always on display)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AOD 모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을 통해 화면을 표시하는 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에서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AOD 모드는, 제3 프로세서(508)의 내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획득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AOD 모드는, 제3 프로세서(508) 자체의 동작에 따른 화면의 표시라는 측면으로부터 셀프-디스플레이(self-display) 모드로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AOD 모드는, 복수의 서브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AOD 모드는, AOD 셀프 애니메이션 모드(self animation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OD 셀프 애니메이션 모드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에서 있는 동안 제3 프로세서(508)가 제3 프로세서(508) 내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들 각각을 순차적으로 스캔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을 통해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AOD 모드는, AOD 넌-셀프 애니메이션 모드(non-self animation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OD 넌-셀프 애니메이션 모드는, 상기 AOD 모드 동안 이벤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로부터 매 프레임마다 제공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고 제3 프로세서(508)가 상기 AOD 모드를 제공하는 동안, 터치 센서(502)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되는 상기 외부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 강도를 포스 터치 센서(503)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고 제3 프로세서(508)가 상기 AOD 모드를 제공하는 동안,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 강도를 포스 터치 센서(503)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데이터, 포스 터치 센서(503)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데이터, 또는 그들의 조합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제2 프로세서(505)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에게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프로세서(505)에게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준 강도는, 상기 외부 객체의 누름(depression)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파손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전자 장치(101) 내에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준 강도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플렉서블 윈도우(660)의 강도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준 강도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예: 도 3 또는 도 4의 설명을 통해 정의된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의 상태(또는 전자 장치(101)의 자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의 설명을 통해 후술될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 강도를 나타내는 다른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상기 접촉이 유지됨을 식별하는 동안, 포스 터치 센서(503)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다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강도가 상기 기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제2 프로세서(505) 대신 PMIC(미도시)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제1 프로세서(501)로부터의 상기 요청을 수신한 상기 PMIC는, 제2 프로세서(505)에게 정상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요청과 함께 지정된 알림을 제공할 것을 제2 프로세서(505)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활성 상태로 전환된 후 제2 프로세서(505)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후속 동작을 알리기 위해, 제2 프로세서(505)에게 지정된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지정된 알림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리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지정된 알림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손상을 주의할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데이터 및 포스 터치 센서(503)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다른 데이터뿐 아니라 자세 검출 센서(504)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손상이 주의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접힐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자세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상태(710)와 같이,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은, 접이부(33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전자 장치(101)는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 사이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자세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 사이의 각도는 자세 검출 센서(504)을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세 검출 센서(504)는, 접이부(330) 내에 포함되는 각도 측정 센서,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 각각 내에 배치되는 마그네틱 센서,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 각각 내에 배치되는 자이로 센서,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 각각 내에 배치되는 가속도 센서,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 각각 내에 배치되는 근접 센서,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 사이의 각도는 그래프(720)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상태는,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 사이의 각(
Figure pat00001
)이 지정된 범위 밖(예: 그래프(720)에서
Figure pat00002
도부터 180도까지의 범위)에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공간(730)에 삽입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상태는,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 사이의 각(
Figure pat00003
)이 지정된 범위 안(예: 그래프(720)에서 0도부터
Figure pat00004
도까지의 범위)에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상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공간(730)에 삽입될 가능성이 없거나 적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는, 도 7의 예시와 같이 각도에 의해 분할되는 것 대신, 거리에 의해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side)와 상기 제1 경계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영역의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보다 긴 상태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은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상태는, 전자 장치(101)의 자세와 관련된다는 측면에서, 제1 자세로 참조될 수 있고, 상기 제2 상태는, 전자 장치(101)의 자세와 관련된다는 측면에서, 제2 자세로 참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가 상기 제1 자세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 포스 터치 센서(503),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전자 장치(101)가 상기 제2 자세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 포스 터치 센서(503), 또는 그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중단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상기 제2 자세에서 있는 동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상에 상기 외부 객체가 접촉될 가능성은 없거나 적기 때문에,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 포스 터치 센서(503), 또는 그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중단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상기 제2 자세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 포스 터치 센서(503), 또는 그들의 조합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반면, 전자 장치(101)가 상기 제2 자세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 포스 터치 센서(503), 또는 그들의 조합은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의 동작 주파수 또는 포스 터치 센서(503)의 동작 주파수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활성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의 동작 주파수 또는 포스 터치 센서(503)의 동작 주파수보다 낮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외부 객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상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분포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입력 수단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상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분포(801)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분포(801)에 기반하여, 상태(803)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상에 상기 입력 수단(예: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상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분포(805)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분포(805)에 기반하여, 상태(807)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상에 상기 입력 수단과 다른 금속성 물체(예: 동전)이 접촉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상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분포(809)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분포(809)에 기반하여, 상태(811)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상에 상기 입력 수단과 다른 비전도성의 무거운 물체가 접촉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프로세서(505)는, 제1 프로세서(501)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프로세서(505)는, 제1 프로세서(501)로부터의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손상을 주의할 것을 알리기 위한 상기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프로세서(505)는, 햅틱 모듈(506)을 이용하여 햅틱으로 구성된 상기 지정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햅틱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손상을 주의할 것을 알리기 위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프로세서(505)는, 스피커(507)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손상을 주의할 것을 알리기 위한 오디오 신호로 구성된 상기 지정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신호는, 음성 신호(voice signal)로 구성되거나, 지정된 음들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비트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위에 외부 객체가 접촉되고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가 손상될 수 있는지 여부를, 터치 센서(502), 포스 터치 센서(503), 자세 검출 센서(504), 또는 그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가 손상될 수 있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상기 지정된 알림의 제공을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제1 면(surface)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faced away)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housing)과,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side surface)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facing)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pivotably) 연결하는 접이부(folding part)와,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across)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 상에(on)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3 면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 프로세서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되는 외부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터치 입력의 누름의 강도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포스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depress) 강도를 나타내는 다른(another) 데이터를 상기 포스 터치 센서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다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상기 접촉이 유지됨을 식별하는 동안, 상기 다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큰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강도가 상기 기준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posture)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자세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와 상기 제1 경계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영역의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보다 김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활성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의 동작 주파수보다 짧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상에서의 분포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입력 수단(input means)과 구별되는 객체임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정된 알림은, 지정된 패턴을 가지는 햅틱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손상(damage)을 주의할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로 구성된(configured with) 상기 지정된 알림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향해 노출되는 PI(polyimide)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제1 면(surface)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faced away)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housing)과,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side surface)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facing)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pivotably) 연결하는 접이부(folding part)와,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across)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 상에(on)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3 면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누름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포스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 프로세서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포스 터치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 강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도 5에 도시된 제1 프로세서(501) 및 제2 프로세서(50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위에 접촉되는 외부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도 3의 설명을 통해 정의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또는 도 4의 설명을 통해 정의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의 동작 주파수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활성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의 동작 주파수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의 동작 주파수를 정상 동작 주파수보다 낮은 동작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것은,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기 때문에,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의 전자 장치(101)의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인지되지 않는 동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위에 상기 외부 객체가 접촉되고 상기 접촉된 외부 객체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위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외부 객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위에 접촉됨을 검출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자가 캐패시턴스(self capacitance)의 변화를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상호 캐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의 변화를 나타내는 상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에게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위에 의도되지 않은(non-intended) 상기 외부 객체가 올려짐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입력 수단과 구별되는 다른 객체임을 식별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에게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505)는, 제1 프로세서(501)로부터 상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907에서, 제2 프로세서(505)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동작 909에서, 제2 프로세서(505)는, 상기 활성 상태로의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프로세서(50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가 손상될 수 있음을 알리기 위해, 햅틱 모듈(506)을 이용하여 햅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프로세서(50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가 손상될 수 있음을 알리기 위해,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507)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음성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경보음 등과 같이,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 가능한 신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제1 프로세서(501)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위에 외부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2 프로세서의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1 프로세서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5에 도시된 제1 프로세서(5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의 동작 1001 및 동작 1003은 도 9의 동작 905와 관련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1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외부 객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를 누르는 강도를 나타내는 다른(another) 데이터를 포스 터치 센서(503)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안, 포스 터치 센서(503)를 통해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 강도를 나타내는 상기 다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누름의 강도가 강하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약한 압력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에게 가해지더라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 뿐 아니라 포스 터치 센서(503)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를 누르는 상기 강도를 나타내는 상기 다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다른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의 변경을 제2 프로세서(505)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다른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입력 수단과 구별되는 다른 객체에 해당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상태가 추가적인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높은 상태라고 결정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제2 프로세서(505)에게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는 것뿐 아니라 포스 터치 센서(503)를 이용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5)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5)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5)가 압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외부 객체의 누름의 강도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의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1 프로세서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5에 도시된 제1 프로세서(5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의 동작 1101 및 동작 1103은 도 10의 동작 1003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1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도 10의 동작 1001에서 획득된 상기 다른 데이터에 의해 지시되는(indicated) 강도가 지정된 강도보다 큰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지정된 강도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영역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중심 영역을 위해 구성된 상기 지정된 강도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엣지 영역을 위해 구성된 상기 지정된 강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중심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엣지 영역보다 외부 압력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강도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영역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내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된 강도와 상기 다른 데이터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강도를 비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다른 데이터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강도가 상기 지정된 강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제1 프로세서(5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외부 객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를 누르는 상기 강도를 계속적으로 식별하고, 상기 강도와 상기 지정된 강도의 비교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다른 데이터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강도가 상기 지정된 강도보다 큰 경우, 제1 프로세서(501)는 동작 1103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03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강도가 상기 지정된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의 변경을 제2 프로세서(505)에게 요청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의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1 프로세서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5에 도시된 제1 프로세서(5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2의 동작 1201 내지 동작 1205는 도 9의 동작 905, 도 10의 동작 1003, 또는 도 11의 동작 1103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01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자세 검출 센서(504)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와 상기 제1 경계와 마주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상기 제2 영역의 제2 경계 사이의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보다 긴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길다는 것은,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공간에 상기 외부 객체가 삽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자세 검출 센서(504)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지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상기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김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동작 1205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205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김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의 변경을 제2 프로세서(505)에게 요청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길 경우, 제1 프로세서(501)가 제2 프로세서(505)에게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대안들(alternatives)이 본 개시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짧을 경우, 터치 센서(502) 및 포스 터치 센서(503)의 상태를 비활성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짧다는 것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공간에 상기 외부 객체가 삽입될 가능성이 적거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프로세서(501)는, 터치 센서(502) 및 포스 터치 센서(503)의 상태를 상기 비활성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터치 센서(502) 및 포스 터치 센서(503)의 상태가 상기 비활성 상태 내에 있고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제1 프로세서(501)는, 자세 검출 센서(504)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긴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식별함으로써 외부 객체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외부 객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위에 접촉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는 것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에게 압력을 가할 확률이 올라간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짧아짐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의 변경을 제2 프로세서(505)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도 5에 도시된 제1 프로세서(501) 및 제2 프로세서(50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01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포스 터치 센서(503)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를 누르는 강도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303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식별된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큰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외부 장치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식별된 강도가 상기 기준 강도보다 큰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강도가 상기 기준 강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프로세서(501)는, 동작 1305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식별된 강도가 상기 기준 강보다 작거나 같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프로세서(5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외부 객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를 누르는 강도를 식별하는 것을 지속하고, 상기 강도와 상기 기준 강도의 비교를 지속할 수 있다.
동작 1305에서, 제1 프로세서(501)는, 상기 식별된 강도가 상기 기준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의 변경을 제2 프로세서(505)에게 요청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505)는, 상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307에서, 제2 프로세서(505)는,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프로세서(505)는,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제2 프로세서(505)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동작 1309에서, 제2 프로세서(505)는, 상기 활성 상태로의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지정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프로세서(505)는, 햅틱 모듈(506), 스피커(507), 또는 그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2 프로세서(505)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동작하는 제1 프로세서(501)와 제1 프로세서(501)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포스 터치 센서(503)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의 손상 가능성을 체크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09)가 의도되지 않은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면 상기 제3 면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3 면에 대응하는 제2 영역 위에 접촉되는 외부 객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depress) 강도를 나타내는 다른(another)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의 포스 터치 센서를 통해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다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상기 접촉이 유지됨을 식별하는 동안, 상기 다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큰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강도가 상기 기준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와 상기 제1 경계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영역의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보다 김을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음을 상기 자세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활성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의 동작 주파수보다 짧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의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상에서의 분포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입력 수단(input means)과 구별되는 객체임을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지정된 알림은, 지정된 패턴을 가지는 햅틱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지정된 알림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주의할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포스 터치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가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면 상기 제3 면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3 면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누르는 강도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식별된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에 있어서,
    제1 면(surface)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faced away)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housing);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side surface)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facing)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pivotably) 연결하는 접이부(folding part);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across)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 상에(on)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3 면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되는 외부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터치 입력의 누름의 강도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포스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depress) 강도를 나타내는 다른(another) 데이터를 상기 포스 터치 센서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다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상기 접촉이 유지됨을 식별하는 동안, 상기 다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큰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강도가 상기 기준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posture)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자세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와 상기 제1 경계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영역의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보다 김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활성화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비활성화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활성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의 동작 주파수보다 짧은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상에서의 분포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입력 수단(input means)과 구별되는 객체임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알림은,
    지정된 패턴을 가지는 햅틱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손상(damage)을 주의할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로 구성된(configured with) 상기 지정된 알림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향해 노출되는 PI(polyimide)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면 상기 제3 면 상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3 면에 대응하는 제2 영역 위에 접촉되는 외부 객체를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위에 접촉된 상기 외부 객체에 의해 야기되는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과,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depress) 강도를 나타내는 다른(another)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의 포스 터치 센서를 통해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다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상기 접촉이 유지됨을 식별하는 동안, 상기 다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큰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강도가 상기 기준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와 상기 제1 경계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영역의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지정된 거리보다 김을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활성화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제1 경계와 상기 제2 경계 사이의 거리가 상기 지정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음을 상기 자세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비활성화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활성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터치 센서의 동작 주파수보다 짧은 전자 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의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 상에서의 분포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가 입력 수단(input means)과 구별되는 객체임을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알림은,
    지정된 패턴을 가지는 햅틱에 대응하는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알림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주의할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방법.
  20.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에 있어서,
    제1 면(surface) 및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faced away) 제2 면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housing);
    제3 면 및 상기 제3 면과 마주하며 떨어진 제4 면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side surface)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하는(facing)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pivotably) 연결하는 접이부(folding part);
    상기 접이부를 가로질러(across)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 상에(on)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3 면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누름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포스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 내에서 있는 동안, 상기 포스 터치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또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 강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큼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에게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상태를 상기 활성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에 응답하여, 지정된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KR1020190007484A 2019-01-21 2019-01-21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90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484A KR20200090438A (ko) 2019-01-21 2019-01-21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202080009775.9A CN113316757A (zh) 2019-01-21 2020-01-21 用于防止显示器损坏的电子装置和方法
PCT/KR2020/001042 WO2020153725A1 (en) 2019-01-21 2020-01-2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of display
US16/747,674 US11073866B2 (en) 2019-01-21 2020-01-2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of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484A KR20200090438A (ko) 2019-01-21 2019-01-21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438A true KR20200090438A (ko) 2020-07-29

Family

ID=7160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484A KR20200090438A (ko) 2019-01-21 2019-01-21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73866B2 (ko)
KR (1) KR20200090438A (ko)
CN (1) CN113316757A (ko)
WO (1) WO20201537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479A1 (ko) * 2021-01-13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889287B2 (en) 2021-01-13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posture of user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4367S1 (en) * 2018-08-01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2898S1 (en) * 2018-08-01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07616S1 (en) * 2018-10-19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918885S1 (en) * 2018-10-19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10871802B2 (en) * 2019-03-21 2020-12-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43609A (ko) * 2019-06-14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A42186S (uk) * 2019-07-01 2020-08-25 Віво Мобіле Комм Мобільний телефон
US11462140B2 (en) * 2020-09-30 2022-10-04 GE Precision Healthcar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 malfunctioning display device
CN112860011B (zh) * 2020-12-31 2024-04-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US11693451B2 (en) * 2021-01-19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Digit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835507B (zh) * 2021-02-24 2022-09-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CN113438340B (zh) * 2021-06-24 2023-09-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异物检测方法及装置
EP4332722A1 (en) * 2021-09-16 202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2483B2 (en) 1990-03-23 2004-08-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processing apparatus
JPH0695787A (ja) 1992-09-16 1994-04-08 Fujitsu Ltd ペン入力装置
US6070140A (en) 1995-06-05 2000-05-30 Tran; Bao Q. Speech recognizer
JPH10333789A (ja) 1997-05-28 1998-12-18 Nec Niigata Ltd コンピュータ
JP3512640B2 (ja) 1997-07-31 2004-03-31 富士通株式会社 ペン入力情報処理装置、ペン入力情報処理装置の制御回路及びペン入力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6449496B1 (en) 1999-02-08 2002-09-10 Qualcomm Incorporated Voice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telephone handsets
SE9902229L (sv) 1999-06-07 2001-02-05 Ericsson Telefon Ab L M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oice controlled operation
US6976180B2 (en) 2001-03-16 2005-12-13 Dualcor Technologies, Inc. Personal electronics device
US20030040339A1 (en) 2001-08-21 2003-02-27 Allen Chang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functions of a portable information appliance
JP2003188962A (ja) * 2001-12-14 2003-07-04 Nec Corp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7898994B2 (en) 2002-02-25 2011-03-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saving in multi-processor device
US7010710B2 (en) 2002-03-12 2006-03-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ximity sensor enhanced power management
CN1757027A (zh) 2003-01-13 2006-04-05 德尔卡技术公司 新式的个人电子装置
US7176902B2 (en) 2003-10-10 2007-0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ke-on-touch for vibration sensing touch input devices
JP4581452B2 (ja) 2004-03-29 2010-11-1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ロック機能解除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216053B2 (en) 2004-12-30 2007-05-08 Nokia Corporation Low power motion detector
WO2006102425A2 (en) 2005-03-21 2006-09-28 Defibtech, Llc Environmentally responsive active status indicator system and method
JP4505740B2 (ja) 2005-05-1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KR100748984B1 (ko) 2005-08-31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센서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7633076B2 (en) 2005-09-30 2009-12-15 Apple Inc. Automated response to and sensing of user activity in portable devices
US7606552B2 (en) 2005-11-10 2009-10-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327581B1 (ko) 2006-05-24 2013-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N201000588Y (zh) 2007-01-04 2008-01-0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手持终端的状态转换触发***
CN101632053A (zh) 2007-04-03 2010-01-20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根据运动探测进行***功耗模式切换的***和方法
US8068433B2 (en) 2007-11-26 2011-11-29 Microsoft Corporation Low power operation of networked devices
US20090259865A1 (en) 2008-04-11 2009-10-1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Using At Least One Of A Special Purpose Processor And Motion Sensing
US8072379B2 (en) 2008-05-12 2011-12-06 Qualcomm Incorporated GPS power savings using low power sensors
WO2009138941A1 (en) 2008-05-13 2009-11-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all detection system
TW201005503A (en) 2008-07-16 2010-02-0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KR20100061894A (ko) 2008-12-01 2010-06-10 (주)세븐코아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활용한 저전력 센싱 기술
CN101751112B (zh) 2008-12-12 2012-01-2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及用触控屏幕将其由睡眠模式唤醒的方法
US20100268831A1 (en) 2009-04-16 2010-10-21 Microsoft Corporation Thin Client Session Management
US8405505B2 (en) 2009-05-26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of sensors within a mobile device
US9529437B2 (en) 2009-05-26 2016-12-27 Dp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tion state aware device
US9086875B2 (en) 2009-06-05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device based on gesture recognition
US7873849B2 (en) 2009-09-02 2011-01-18 Apple Inc. Motion sensor data processing using various power management modes
EP2302521B1 (en) 2009-09-09 201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saving driving method thereof
US20110071759A1 (en) 2009-09-22 2011-03-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erformance of a Navigation Receiver Operating in a Power-Save Mode with the Aid of Sensors
US8294683B2 (en) 2009-09-25 2012-10-23 Mitac International Corp. Method of processing touch commands and voice commands in parallel in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peech recognition
US8386042B2 (en) 2009-11-03 2013-02-26 Medtronic Minimed, Inc. Omnidirectional accelerometer device and medical device incorporating same
US20110126014A1 (en) 2009-11-24 2011-05-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vent Triggered Pair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Time Measurements
KR101341044B1 (ko) 2009-12-21 2013-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노드 및 그의 신호 처리 방법
WO2011077385A1 (en) 2009-12-22 2011-06-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nergy management via sub-system
JP2011139301A (ja) 2009-12-28 2011-07-14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情報処理端末
US20110162894A1 (en) 2010-01-06 2011-07-07 Apple Inc. Stylus for touch sensing devices
US8311514B2 (en) 2010-09-16 2012-11-13 Microsoft Corporation Prevention of accidental device activation
US20120096290A1 (en) 2010-10-14 2012-04-19 Keynetik, Inc.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Situation Aware Sensory Application
US8706172B2 (en) 2010-10-26 2014-04-22 Miscrosoft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continuous sensing for communications devices
US8866735B2 (en) 2010-12-16 2014-10-21 Motor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242620B1 (ko) 2011-01-18 2013-03-19 주식회사 애트랩 터치 센서 제어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8635560B2 (en) 2011-01-21 2014-01-21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ensitive display
EP2479642B1 (en) 2011-01-21 2017-08-16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ensitive display
WO2012108213A1 (ja) 2011-02-10 2012-08-16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US8912877B2 (en) 2011-02-18 2014-12-16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two or more sensors
US8934228B2 (en) * 2011-03-21 2015-01-13 Apple In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8930734B1 (en) 2011-03-30 2015-01-06 Google Inc. Managing power states of a computing device
US20120254878A1 (en) 2011-04-01 2012-10-04 Lama Nachman Mechanism for outsourcing context-aware application-related functionalities to a sensor hub
CN102736820A (zh) 2011-04-01 2012-10-17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书
US9395800B2 (en) 2011-09-30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Enabling instant handwritten input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9710048B2 (en) 2011-10-03 2017-07-1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detecting false wake condition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265276A1 (en) 2012-04-09 2013-10-10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ple touch sensing modes
US9465460B2 (en) 2012-05-24 2016-10-11 Htc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006825A1 (en) 2012-06-30 2014-01-02 David Shenhav Systems and methods to wake up a device from a power conservation state
US20150185909A1 (en) 2012-07-06 2015-07-0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sensing a user input to a capacitive touch sensor, a capacitive touch sensor controller, an input device and an apparatus
US9052896B2 (en) 2012-07-20 2015-06-09 Facebook, Inc. Adjusting mobile device state based on user intentions and/or identity
US9489067B2 (en) 2012-08-17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touchscreen processing with realtime role negotiation among asymmetric processing cores
US9063731B2 (en) 2012-08-27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ltra low power apparatus and method to wake up a main processor
JP2014049011A (ja) 2012-09-03 2014-03-17 Nec Saitama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816985B1 (en) 2012-09-20 2014-08-26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a touch pattern
US9081571B2 (en) 2012-11-29 2015-07-14 Amazon Technologies, Inc. Gesture detection manag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452871B1 (ko)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256269B2 (en) 2013-02-20 2016-02-0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performing analysis to a non-tactile inputs and generating confidence scores and based on the confidence scores transitioning the system from a first power state to a second power state
KR102131825B1 (ko) * 2013-03-2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524030B2 (en) * 2013-04-26 2016-12-20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interactions with foldable-bendable displays
CN104731493A (zh)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状态切换方法及装置
WO2015100224A1 (en) *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electronic display with user interface based on sensed movements
US9606625B2 (en) * 2014-10-13 2017-03-28 Immersion Corporation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device with rigid component
CN106598440A (zh) * 2015-10-14 2017-04-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终端告警的方法及装置
KR102434866B1 (ko) 2016-01-07 202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783597A (zh) * 2016-08-30 2018-03-09 三星电子株式会社 可折叠装置及控制所述可折叠装置的方法
KR102659420B1 (ko) * 2016-09-27 2024-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973159B (zh) * 2017-03-24 2019-02-15 东莞市步步高通信软件有限公司 一种异物检测方法及移动终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479A1 (ko) * 2021-01-13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889287B2 (en) 2021-01-13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posture of user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73866B2 (en) 2021-07-27
CN113316757A (zh) 2021-08-27
WO2020153725A1 (en) 2020-07-30
US20200233461A1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38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of display
KR10227792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1177096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flexible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775013B2 (e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10252706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2065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fingerprint sensor
KR20200129584A (ko)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폴더블 장치
KR20200124402A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2230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동작 모드 제어 방법
US20220044607A1 (en) Method for reducing deterioration of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ing method
KR20200045241A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콘텐츠의 다단 표시 방법
KR20190117133A (ko) 벤딩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2033586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measuring movement distance of display
US202001173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ouch input conditions based on type of touch input
US2021013272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or for detecting external input
KR20200131644A (ko) 터치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0120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동작 제어 방법
KR20190020481A (ko) 센서 및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전층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50582A (ko)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터치 데이터의 보상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22574A (ko)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90088800A (ko)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전자 장치
KR20210072563A (ko) 결함 영역을 검출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15560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65324A (ko)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10016875A (ko)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