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219A -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219A
KR20200089219A KR1020190179908A KR20190179908A KR20200089219A KR 20200089219 A KR20200089219 A KR 20200089219A KR 1020190179908 A KR1020190179908 A KR 1020190179908A KR 20190179908 A KR20190179908 A KR 20190179908A KR 20200089219 A KR20200089219 A KR 20200089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substituted
carboxamide
imidazo
ethy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
조서현
류희선
김승수
최현진
도우미
김현경
최지은
손정범
김대권
김남두
Original Assignee
보로노이 주식회사
보로노이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로노이 주식회사, 보로노이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로노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89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21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85Pyrazines or piper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25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hree nitrogen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e.g. chlorazanil,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하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는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에 대해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므로, RIPK1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ryl or heteroaryl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kinase-related disease}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키나아제는 ATP의 감마-인산기를 단백질의 타이로신, 세린 및 트레오닌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전달하는 인산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세포의 대사, 유전자 발현, 세포 성장, 분화 및 세포 분열 작용을 담당하며 세포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비특허문헌 1, Thomas A. Hamilton, in Encyclopedia of Immunology (Second Edition), 1998, 2028-2033). 단백질 키나아제는 타이로신 단백질 키나아제와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로 분류되는데, 그 중 약 90 종 이상은 타이로신 키나아제이다.
단백질 키나아제는 분자 스위치로 세포 내에서 활성과 비활성 상태 사이의 전이가 원활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만약, 상기 활성과 비활성 상태 사이의 전이가 비정상적으로 조절되면 세포 내 신호 전달을 과도하게 활성화시켜 통제불능의 세포 분열 및 증식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단백질 키나아제의 유전자 변이, 증폭 및 과발현에 의한 비정상적인 활성화는 다양한 종양의 발생 및 진행과 관련이 있어 염증성 질환, 퇴행성 뇌질환, 자가면역 질환, 암 등 다양한 질병의 발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키나아제의 예를 들면 ABL1, ABL2, BRAF, CDK11, CDK8, CDKL2, CIT, CSF1R, DDR1, DDR2, FLT3, KIT, LOK, LTK, MUSK, PAK3, PDGFRA, PDGFRB, RAF1, RIPK1 등이 있다. 단백질 키나아제의 일 구체예인 수용체-상호작용 단백질-1 키나아제(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RIPK1)는 NF-κB 활성화, 아폽토시스(Apoptosis) 및/또는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를 매개하는데 관여하는 다작용성 신호 전달자이다.
특히, RIPK1 활성은 괴사 세포사의 카스파제(caspase)-비의존성 경로인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의 매개에 결정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Holler et al., Nat Immunol 2000; 1: 489-495; 비특허문헌 3, Degterev et al., Nat Chem Biol 2008; 4: 313-321).
따라서, RIPK1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면, 종양 괴사 인자 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에 의한 세포사멸유도 조건에서 세포 보호가 가능하여,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RIPK1에 의해 매개되는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는 염증성 질환, 퇴행성 뇌질환, 자가면역 질환, 암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어 왔다. 먼저, RIPK1-매개 프로그램화된 괴사가 완전히 차단되도록 설계된 RIP3 녹아웃 마우스는 염증성 장 질환(궤양성 결장염 및 크론병 포함)(비특허문헌 4, (2011) Nature 477, 330-334), 건선(Psoriasis)(비특허문헌 5, (2011) Immunity 35, 572-582), 망막-박리-유도된 광수용체 괴사(비특허문헌 6, (2010) PNAS 107, 21695-21700), 색소성 망막염(Retinitis pigmentosa) (비특허문헌 7, (2012) Proc. Natl. Acad. Sci., 109:36, 14598-14603), 세룰레인-유도된 급성 췌장염(비특허문헌 8, (2009) Cell 137, 1100-1111) 및 패혈증/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SIRS)(비특허문헌 9, (2011) Immunity 35, 908-918)에서 보호성인 것으로 확인된 바 있으므로, 특정 화합물이 RIPK1에 의해 매개되는 네크롭토시스를 차단할 수 있다면, 해당 화합물은 염증성 질환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RIPK1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에서 소교 반응 (microglial response)을 매개함이 알려진바 있으므로(비특허문헌 10, PNAS October 10, 2017. 114 (41) E8788-E8797), 특정 화합물이 RIPK1을 표적하여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면, 해당 화합물은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여 다운 신드롬, 파킨슨 질환, 루게릭병, 치매, 헌팅턴 질환,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근위측성 측삭 경화증, 중풍, 뇌졸중, 경도 인지장애 등의 퇴행성 뇌질환(즉,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로도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RIPK1은 종양 괴사 인자 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의 생산을 조절하고, 상기 TNF-α는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암 등 수많은 질병에서 세포 사멸 및 염증 매개에 관여하는 친 염증성 사이토카인임이 알려져 있으므로(비특허문헌 11, Cell Death and Disease (2012) 3, e320), 특정 화합물이 RIPK1를 표적하여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면, 해당 화합물은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을 포함하여 류마티스성 다발근통, 강직성 척추염, 운동신경원병(Motor neurone disease) 등의 자가면역질환, 또는 암의 치료제로도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RIPK1는 췌장암(pancreatic cancer)에서 대식세포-매개 적응 면역 내성(Macrophage-Mediated Adaptive Immune Tolerance)을 유도하는 것으로 공지된 바 있다(비특허문헌 12, Cancer Cell 34, 757-774, November 12, 2018). 보다 구체적으로, TAMs에서의 RIPK1 억제는 혼합된 Th1/Th17 표현형(phenotype)에 대한 세포 독성 T 세포 활성화 및 T 헬퍼 세포 분화를 초래하여, 마우스 및 인간 PDA의 기관 유형 모델에서 종양 면역(tumor immunity)을 유도함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RIPK1을 표적으로 하는 것은 PD-1 및 유도성 공동 자극기 기반 면역 요법과 상승적으로 작용하므로, RIPK1은 종양 면역을 통제(governing)하는 체크 포인트(checkpoint) 키나아제임을 알 수 있다. 즉, RIPK1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은 염증성 질환, 퇴행성 뇌질환, 자가면역 질환, 암 등 다양한 질병의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규한 구조의 단백질 키나아제 억제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에 대해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상기 키나아제 관련 질환에 치료 효과를 갖는 신규한 구조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특히 N-(에티닐페닐)이속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유도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상기 N-(에티닐페닐)이속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유도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IPK1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상기 N-(에티닐페닐)이속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유도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IPK1 관련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RIPK1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N-(에티닐페닐)이속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유도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RIPK1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medicament)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N-(에티닐페닐)이속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유도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use)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E는 질소(N) 또는 탄소(C)이고;
L은 직접결합 또는 C1~5 알킬렌기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존재, 수소, 할로겐 원자, 또는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고;
R3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이미다조피리다지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피라졸로피리미디닐, 이미다조피라지닐 또는 피라졸로피리디닐이며; 및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할로알킬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관련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medicament)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us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하는 N-(에티닐페닐)이속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유도체는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에 대해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므로,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태양으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비치환 또는 치환된"은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원자가 할로겐 원자(염소(Cl), 요오드(I), 브롬(Br), 플루오르(F)), C1~10 알킬, C2~10 알켄일, C2~10 알킨일, 하이드록실, C1~10 알콕시, 아미노, 니트로, 티올(thiol), 티오에테르, 이민, 시아노, 포스포나토(phosphonato), 포스핀(phosphine), 카르복시, 카르밤오일(carbamoyl), 카르밤산, 아세탈, 요소, 티오카르보닐, 설폰일, 설폰아미드(sulfonamide), 케톤, 알데히드, 에스테르, 아세틸, 이세톡시, 산소(=0), 할로알킬(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르메틸), 치환 아미노아실과 아미노알킬, 탄소고리 사이클로 알킬로서 단일 고리이거나 융합 혹은 비융합 다중 고리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 혹은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로서 단일 고리이거나 융합 또는 비융합된 다중 고리 (예를 들어, 피롤리딘일, 피페리딘일딘일, 피페라진일, 모르폴린일, 또는 티아진일), 탄소고리 또는 헤테로 고리, 단일고리 또는 융합 또는 비융합 다중 고리 아릴 (예를 들어, 페닐, 나프틸, 피롤릴(pyrrolyl), 인돌릴, 퓨란일, 티엔일,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isoxazolyl), 티아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라졸릴, 피리딘일, 퀴놀린일, 이소퀴놀린일, 아크리딘일(acridinyl),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벤즈이미다졸릴(benzimidazolyl), 벤조티엔일 또는 벤조퓨란일), 아미노(일급, 이급, 또는 삼급), -0-저급알킬, -O-아릴, 아릴, 아릴-저급알킬, CO2CH3, CONH2, OCH2CONH2,NH2, N(C1~4 알킬)2, NHC(O)C1~4알킬, SO2NH2, SO2C1~4알킬, OCHF2, O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된 치환기 각각은 다시 이들 치환기 군에서 선택된 치환기로 비치환 또는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할로겐 원자”는 F, Cl, Br, 또는 I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할로알킬”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탄화수소)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할로알킬의 예로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F, Cl, Br, I로 독립적으로 치환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N-부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은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직쇄 또는 분지쇄의 비고리형 포화 탄화 수소를 의미할 수 있다. 대표적인 -(C1~8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N-펜틸및 -N-헥실, -N-헵틸과 -N-옥틸을 포함하고; 가지친사슬포화알킬은 -이소프로필, -2급(sec)-부틸, -이소부틸, -3급(tert)-부틸, -이소펜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2,3-디메틸부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1~8알킬)은 치환될 수도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들어, C1~8 알킬기는 페닐로 치환되어 벤질기를 이룰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이클로 알킬" 작용기는 비방향족인 포화 또는 불포화 탄소 고리를 의미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이클로 알킬에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펜타디엔일,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센일, 1,3-사이클로헥사디엔일, 1,4-사이클로헥사디엔일, 사이클로헵틸, 1,3-사이클로헵타디엔일, 1,3,5-사이클로헵타트리엔일, 사이클로옥틸과 사이클로옥타디엔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이클로알킬기는 치환될 수도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 실시 태양에서는 이 사이클로알킬기는 C3~8 사이클로알킬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은 3 내지 10의 전체 수의 고리 원자를 갖고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고리형 치환기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는 단환식, 이환식, 스피로환식 또는 다환식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원소로 브릿지된 고리형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고리 탄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예로는 피롤리딘, 피페리딘, N-메틸피페리딘, 이미다졸리딘, 피라졸리딘, 부티로락탐, 발레로락탐, 이미다졸리딘온, 하이단토인, 다이옥솔란, 프탈이미드, 피페리딘, 피리미딘-2,4(1H,3H)-다이온, 1,4-다이옥산, 모폴린, 티오모폴린, 티오모폴린-S-옥사이드, 티오모폴린-S,S-옥사이드, 피페라진, 피란, 피리돈, 3-피롤린, 티오피란, 피론,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 퀴누클리딘, 트로판, 2-아자스피로[3.3]헵탄, (1R,5S)-3-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 (1s,4s)-2-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 (1R,4R)-2-옥사-5-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아릴”은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로부터 하나의 수소가 제거되어 유도된 임의의 작용기 또는 치환기를 의미할 수 있다. 아릴기는 단환식 아릴기 또는 다환식 아릴기일 수 있다. 아릴기의 고리 형성 탄소수는 5 이상 30 이하, 5 이상 20 이하, 또는 5 이상 15 이하일 수 있다.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기, 나프틸기, 플루오레닐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릴기, 바이페닐기, 터페닐기, 쿼터페닐기, 퀸크페닐기, 섹시페닐기, 트리페닐렌기, 피레닐기, 벤조 플루오란테닐기, 크리세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 아릴”은 이종 원소로 O, N, P, Si 및 S 중 1개 이상을 포함하는 아릴 고리기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의 고리 형성 탄소수는 2 이상 30 이하 또는 2 이상 20 이하일 수 있다. 헤테로 아릴은 단환식 헤테로 아릴 또는 다환식 헤테로 아릴일 수 있다. 다환식 헤테로 아릴는 예를 들어, 2환 또는 3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헤테로 아릴의 예로는 티에닐, 티오펜, 퓨릴,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트리아졸릴, 피리디닐, 비피리딜, 피리미딜, 트리아지닐, 트리아졸릴, 아크리딜기, 피리다지닐기, 피라지닐, 퀴놀리닐, 퀴나졸린, 퀴녹살리닐, 페녹사질, 프탈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도 피리미디닐, 피리도 피라지닐, 피라지노 피라지닐, 이소퀴놀린, 인돌, 카바졸, 이미다조피리다지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피라졸로피리미디닐, 이미다조피라지닐 또는 피라졸로피리디닐, N-아릴카바졸, N-헤테로아릴카바졸, N-알킬카바졸기, 벤조옥사졸, 벤조이미다졸, 벤조티아졸, 벤조카바졸, 벤조티오펜, 디벤조티오페닐, 티에노티오펜, 벤조퓨라닐, 페난트롤린, 이소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벤조티아졸릴, 테트라졸릴, 페노티아지닐, 디벤조실롤 및 디벤조퓨라닐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헤테로 아릴은 또한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 고리에 융합된 아릴 고리 또는 사이클로 알킬 고리에 융합된 헤테로 아릴을 포함하는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로-아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E는 질소(N) 또는 탄소(C)이고;
L은 직접결합 또는 C1~5 알킬렌기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존재, 수소, 할로겐 원자, 또는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고;
R3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이미다조피리다지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피라졸로피리미디닐, 이미다조피라지닐 또는 피라졸로피리디닐이고; 및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할로알킬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화학식 3]
Figure pat00004
화학식 2 또는 3에서,
상기 E, L,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실시 태양에서,
상기 E는 질소이고;
상기 L은 직접 결합 또는 C1~3 알킬렌기이며; 및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F, Cl, Br, 또는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C1-3의 직쇄 알킬로 보다 구체적으로 메틸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태양에서,
상기 R3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또는
Figure pat00012
로 표시되는 비치환 헤테로 아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3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또는
Figure pat00015
로 표시되는 치환된 헤테로 아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5는 수소,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고,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은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카보닐, C3-6의 사이클로알킬카보닐,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 C3-6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산소(O)를 헤테로 원자로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치환된 페닐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은 C1-10 알킬 또는 질소(N)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5의 직쇄 알킬, C1-5의 직쇄 알킬카보닐, C3-4의 사이클로알킬카보닐, C1-5의 직쇄 알콕시카보닐, 비치환 페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 C3-4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하나의 산소(O)를 헤테로 원자로 포함하는 비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환된 피라졸릴은 C1-3 알킬 또는 하나의 질소(N)를 포함하고 메틸기로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6은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고,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3-6의 사이클로알킬, C1-10의 하이드록시알킬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5의 분지쇄 알킬, C3-4의 사이클로알킬, C1-5의 하이드록시알킬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7은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또는 상기 피리디닐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탄소원자와 융합된 고리기를 형성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7은 C1-5의 알킬, C1-5의 알콕시 또는 상기 피리디닐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탄소원자와 융합된 고리기를 형성하고 산소(O)로 치환된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태양에서,
상기 R3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
Figure pat00020
,
Figure pat00021
,
Figure pat00022
,
Figure pat00023
,
Figure pat00024
,
Figure pat00025
,
Figure pat00026
,
Figure pat00027
,
Figure pat00028
,
Figure pat00029
,
Figure pat00030
,
Figure pat00031
,
Figure pat00032
,
Figure pat00033
,
Figure pat00034
,
Figure pat00035
,
Figure pat00036
또는
Figure pat00037
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태양에서,
상기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할로알킬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F, Cl, Br, 또는 C1-3의 알콕시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3의 직쇄 알킬, C1-3의 직쇄 알콕시, 트리플루오르알킬(-CF3)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리디닐은 메틸 또는 시아노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티아졸릴은 트리플루오르알킬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4
Figure pat00038
,
Figure pat00039
,
Figure pat00040
,
Figure pat00041
,
Figure pat00042
,
Figure pat00043
,
Figure pat00044
,
Figure pat00045
,
Figure pat00046
,
Figure pat00047
,
Figure pat00048
,
Figure pat00049
,
Figure pat00050
,
Figure pat00051
,
Figure pat00052
,
Figure pat00053
,
Figure pat00054
,
Figure pat00055
,
Figure pat00056
,
Figure pat00057
또는
Figure pat00058
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태양에서, 상기 E가 질소(N)일 때,
상기 L은 직접 결합 또는 C1~3 알킬렌이며,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존재 또는 수소이고,
상기 R3
Figure pat00059
이고, 및
상기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할로알킬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4는 비치환, 또는 F, Cl, 및 B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로겐 원자는 F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태양에서, 상기 E가 탄소(C)일 때,
상기 L은 직접 결합 또는 C1~3 알킬렌기이며,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자 또는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고,
상기 R3
Figure pat00060
,
Figure pat00061
,
Figure pat00062
,
Figure pat00063
,
Figure pat00064
,
Figure pat00065
,
Figure pat00066
또는
Figure pat00067
이고, 여기서 상기 R5는 수소,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고,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카보닐, C3-4의 사이클로알킬카보닐,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 C3-4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산소(O)를 헤테로 원자로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치환된 페닐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은 C1-3 알킬 또는 질소(N)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R6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고,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3-4의 사이클로알킬, C1-5의 하이드록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R7 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또는 상기 피리디닐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탄소원자와 융합된 고리기를 형성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이고; 및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할로알킬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L은 직접 결합 또는 메틸렌이며;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F, 또는 C1-3의 직쇄 알킬이고;
상기 R3
Figure pat00068
이며; 및
상기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트리플루오르화탄소(-CF3)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4
Figure pat00069
,
Figure pat00070
,
Figure pat00071
,
Figure pat00072
,
Figure pat00073
,
Figure pat00074
,
Figure pat00075
,
Figure pat00076
,
Figure pat00077
,
Figure pat00078
,
Figure pat00079
,
Figure pat00080
,
Figure pat00081
,
Figure pat00082
,
Figure pat00083
,
Figure pat00084
,
Figure pat00085
,
Figure pat00086
,
Figure pat00087
,
Figure pat00088
또는
Figure pat00089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L은 직접 결합이고;
상기 R1 및 R2는 수소이며;
상기 R3
Figure pat00090
,
Figure pat00091
,
Figure pat00092
,
Figure pat00093
,
Figure pat00094
,
Figure pat00095
또는
Figure pat00096
이고, 여기서 상기 R5는 수소,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고,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카보닐, C3-4의 사이클로알킬카보닐,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 C3-4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산소(O)를 헤테로 원자로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치환된 페닐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은 C1-3 알킬 또는 질소(N)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R6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고,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3-4의 사이클로알킬, C1-3의 하이드록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R7 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또는 상기 피리디닐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탄소원자와 융합된 고리기를 형성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이고; 및
상기 R4는 비치환 페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3
Figure pat00097
,
Figure pat00098
,
Figure pat00099
,
Figure pat00100
,
Figure pat00101
,
Figure pat00102
,
Figure pat00103
,
Figure pat00104
,
Figure pat00105
,
Figure pat00106
,
Figure pat00107
,
Figure pat00108
,
Figure pat00109
,
Figure pat00110
,
Figure pat00111
,
Figure pat00112
,
Figure pat00113
,
Figure pat00114
,
Figure pat00115
,
Figure pat00116
또는
Figure pat00117
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태양에서, 상기 화학식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각각 하기 화학식 2', 2'', 3' 또는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118
[화학식 2'']
Figure pat00119
[화학식 3']
Figure pat00120
[화학식 3'']
Figure pat00121
상기 화학식 2', 2'', 3' 또는 3''에서,
상기 E, L,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다른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1)(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S)-3-(3,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S)-3-(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R)-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6)(S)-3-(3,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7)(R)-3-(3,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8)(S)-3-(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9)(R)-3-(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0)(S)-3-(4-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1)(S)-3-(4-클로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2)(S)-3-(4-브로모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3)(S)-3-(3,4-다이클로로-2-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4)(S)-3-(4-클로로-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5)(S)-3-(3-클로로-4-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6)(S)-3-(2,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7)(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8)(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3-메톡시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9)(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6-메틸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0)(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1)(S)-N-(4-(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르복사마이드; (22)(S)-3-(5-사이아노피리딘-3-일)-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3)(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2-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4)(R)-3-벤질-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5)(S)-3-벤질-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6)(S)-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 일에티닐)피리딘-4-일)-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7)(R)-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yl)-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8)(S)-3-(3,5-다이플루오로페닐)-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9)(S)-3-(3-플루오로페닐)-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0)(S)-N-(4-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1)(S)-N-(2-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2)(S)-N-(2-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3)(S)-N-(2,4-다이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4)(S)-N-(2,4-다이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5)(S)-N-(3-((8-아미노이미다조 [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6)(S)-N-(3-((8-(사이클로프로페인카복사미도)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7)(S)-N-(3-((8-(에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8)(S)-3-페닐-N-(3-((8-((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9)(S)-메틸-3-((3-(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미도)페닐)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 (40)(S)-N-(3-((8-((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S)-N-(3-((8-((1-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2)(S)-N-(3-((8-((1-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3)(S)-N-(3-((8-(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4)(S)-3-페닐-N-(3-((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5)(S)-N-(3-((8-((1-(1-메틸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6)(S)-N-(3-(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7)(S)-3-페닐-N-(3-(피라졸로[1,5-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8)(S)-N-(3-(이미다조[1,2-a]피라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9)(S)-N-(3-(이미다조[1,2-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0)(R)-N-(3-(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1)(R)-3-페닐-N-(3-(피라졸로[1,5-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2)(R)-N-(3-(이미다조[1,2-a]피라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3)(R)-N-(3-(이미다조[1,2-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4)(S)-N-(3-((6-메틸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5)(S)-N-(3-((5-메톡시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6)(S)-N-(3-((1H-피라졸로[3,4-b]피리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7)(S)-N-(3-((7-옥소-5,6,7,8-테트라하이드로-1,8-나프티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8)(S)-N-(3-((2-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9)(S)-N-(3-((2-(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60)(S)-N-(3-((2-((3-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및 (61)(S)-N-(3-((2-(이소부틸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아세테이트,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체 이성질체는 구체적으로 거울상 이성질체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학식 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N,N'-다이석시니미딜 카보네이트 및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122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R4 및 E는 독립적으로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PG는 트리(C1-C6알킬)실릴기, C1-C6알킬 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및 페닐아세틸기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실릴(TMS)일 수 있으며; 및
상기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다.
이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X1이 결합되어 있는 위치에, 보호기가 말단에 치환된 아세틸렌, 하나의 구체예로는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을 치환시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반응 용매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아세토나이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반응 온도는 70 내지 90℃의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보호기의 제거는, 도입된 보호기의 종류에 따라, 해당 보호기의 제거방법으로 공지된 방법을 제한 없이 채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구체예로 도입된 보호기가 트리메틸실릴(Trimethylsilyl, TMS)일 경우, 메탄올 용매 하에 탄산칼륨을 처리하여 트리메틸실릴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반응은 에틸아세테이트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30 내지 70℃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N,N'-다이석시니미딜 카보네이트 및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피리딘 존재하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용매에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N,N'-다이석시니미딜 카보네이트를 먼저 반응시키고(이때 반응 온도는 약 0 내지 10℃, 반응 시간은 1 내지 3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RIPK1 관련 질환은,
프로그램화된 괴사, 아폽토시스 또는 염증성 시토카인의 생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질환/장애, 특히 염증성 장질환(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 포함), 건선, 망막 박리 (및 변성), 색소성 망막염, 황반 변성, 췌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관절염(류마티스 관절염, 척추관절염, 통풍, 소아 특발성 관절염(전신 발병 소아 특발성 관절염(SoJIA)), 건선성 관절염 포함),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쇼그렌 증후군, 전신 경피증, 항-인지질 증후군(APS), 혈관염, 골관절염, 간 상해/질환(비-알콜 지방간염, 알콜 지방간염, 자가면역 간염, 자가면역 간담도 질환,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PSC), 아세트아미노펜 독성, 간독성), 신장 상해/손상(신염, 신장 이식, 수술, 신독성 약물 예를 들어 시스플라틴의 투여, 급성 신장 손상(AKI)), 복강 질환, 자가면역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자가면역 ITP), 이식 거부(이식 기관, 조직 및 세포의 거부), 실질 기관의 허혈 재관류 손상, 패혈증,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SIRS), 뇌혈관 사고(CVA, 졸중), 심근경색(MI), 아테롬성동맥경화증,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신생아 저산소성 뇌 손상, 허혈성 뇌 손상, 외상성 뇌 손상 알레르기성 질환(천식 및 아토피성 피부염 포함), 화상, 다발성 경화증, 제I형 당뇨병, 베게너 육아종증, 폐 사르코이드증, 베체트병, 인터류킨-1 전환 효소(ICE, 또한 카스파제-1로서 공지됨) 연관 열 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담배 연기-유발 상해, 낭성 섬유증,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연관 주기성 증후군(TRAPS), 신생물성 종양, 치주염, NEMO-돌연변이(NF-카파-B 필수 조정제 유전자 (또한 IKK 감마 또는 IKKG로서 공지됨)의 돌연변이), 특히, NEMO-결핍 증후군, HOIL-1 결핍 ((또한 RBCK1로서 공지됨) 헴-산화된 IRP2 유비퀴틴 리가제-1 결핍), 선형 유비퀴틴 쇄 어셈블리 복합적(LUBAC) 결핍 증후군, 혈액 및 실질 기관 악성종양, 박테리아 감염 및 바이러스 감염 (예컨대 인플루엔자, 스타필로코쿠스, 및 미코박테리움(결핵)), 및 리소솜 축적 질환(특히, 고셔병, 및 GM2 강글리오시드증, 알파-만노시드축적증, 아스파르틸글루코사민뇨,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축적 질환, 만성 헥소사미니다제 A 결핍, 시스틴축적증, 다논병, 파브리병, 파버병, 푸코시드축적증, 갈락토시알산증, GM1 강글리오시드증, 점액지질증, 영아 유리 시알산 축적 질환, 소아 헥소사미니다제 A 결핍, 크라베병, 리소솜 산 리파제 결핍, 이염성 백질이영양증, 뮤코폴리사카라이드증 장애, 다발성 술파테이스 결손증, 니만-픽병, 신경 세로이드 리포푸신증, 폼페병, 농축이골증, 샌드호프병, 쉰들러병, 시알산 축적 질환, 테이-작스 및 월만병 포함),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녹내장, 척수 손상, 췌장관 선암종, 간세포성암종, 중피종, 흑색종, 급성 간부전 등 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사용중인 다른 항암제와 병용투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제, 현탁제, 유제, 시럽제, 기타 액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전신 및/또는 국부로 작용할 수 있고, 경구 및 비경구, 즉, 폐, 비강, 설하, 설측, 협측, 직장, 피부, 경피 또는 결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대상에 투여될 수 있으므로, 투여 경로에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결정질 및/또는 무정형 및/또는 용해된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들로, 예를 들어 정제 (비코팅 또는 코팅된 정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방출을 제어하는 위액-내성 또는 지연-용해 또는 불용성 코팅을 사용함), 구강 내에서 신속하게 붕해되는 정제 또는 필름/오블레이트, 필름/동결건조물, 캡슐(예를 들어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 당-코팅된 정제, 츄어블제 (예를 들어 연질 츄어블제), 과립, 펠릿, 분말, 에멀젼, 현탁액, 에어로졸 또는 용액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흡수 단계를 회피하면서 (예를 들어 정맥내, 동맥내, 심장내, 척수내 또는 요추내 경로에 의함) 또는 흡수를 포함하면서 (예를 들어 근육내, 피부, 피하, 피내, 경피 또는 복강내 경로에 의함) 달성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용액, 현탁액, 에멀젼, 동결건조물 또는 멸균 분말 형태의 주사 및 주입을 위한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필요로 하는 대상(subject)에게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상기 질환의 의심 대상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시판되는 치료제와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및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안전성이 우수하므로, 결정된 투여 용량 이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N-(에티닐페닐)이속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유도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medicament)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N-(에티닐페닐)이속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유도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us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하는 N-(에티닐페닐)이속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유도체는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에 대해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므로, RIPK1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실험예에 의해 뒷받침된다.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관련 질환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합성된 화합물은 다음의 HPLC 조건에 의해 정제하거나 또는 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제용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TELEEDYNE ISCO사의 CombiFlash Rf +UV을 사용하였다.
분석용 HPLC 조건 (ACQUITY UPLC H-Class Core System)
Waters사 제조 UPLC system (ACQUITY UPLC PDA Detector)에 Waters사 제조 mass QDA Detector가 장착된 장비를 사용하였다. 사용 컬럼은 Waters사의 ACQUITY UPLC®BEH C18 (1.7 ㎛, 2.1X50 mm)였으며 컬럼온도는 30℃에서 진행하였다.
이동상 A는 0.1% 개미산이 포함된 물, 이동상 B는 0.1%의 개미산이 포함된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였다.
Gradient condition(10-100% B로 3분, 이동속도=0.6ml/min)
정제용 Prep-LCMS (Preparative-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Waters사 제조 Autopurification HPLC system(2767 sample manger, 2545 binary gradient module, 2998 Photodiode Array Detector)에 Waters사 제조 mass QDA Detector가 장착된 장비를 사용하였다. 사용 컬럼은 Waters사의 SunFire®Prep C18 OBDTM(5 ㎛, 19X50 mm)였으며 컬럼온도는 실온에서 진행하였다.
이동상 A는 0.03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 포함된 물, 이동상 B는 0.035%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 포함된 메탄올을 사용하였다.
Gradient condition(15-100% B로 10분, 이동속도=25ml/min)
정제용 Prep-150 LC System(Preparative-Liquid chromatography UV spectrometry)
Waters사 제조 Prep 150 LC system(2545 Quaternary gradient module, 2998 Photodiode Array Detector, Fraction collector Ⅲ)에 Waters사 제조 장비를 사용하였다. 사용 컬럼은 Waters사의 XTERRA®Prep RP18 OBDTM(10 ㎛, 30X300 mm)였으며 컬럼온도는 실온에서 진행하였다.
Gradient condition(3-100% B로 120분, 이동속도=40ml/min)
사용된 시판 시약은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실온이란 20~25℃ 정도의 온도를 말한다. 감압하 농축 또는 용매 증류 제거는, 회전식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1> ( S )-3-페닐이소옥사졸리딘의 제조
Figure pat00123
단계 1: tert -부틸 ( R )-(3-하이드록시-3-페닐프로폭시)카바메이트의 제조
tert-부틸 하이드록시카바메이트(7.8 g, 58.6 mmol)를 다이메틸폼아마이드 (140 mL)에 녹인 후 0℃에서 수소화나트륨(2.58 g, 64.5 mmol)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반응하였다. 그리고 다이메틸폼아마이드(10 mL)에 녹인 (R)-3-클로로-1-페닐프로판-1-올(5 g, 29.3 mmol)을 0℃에서 10분간 천천히 적가하고 상온에서 7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넣어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소금물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합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여 농축 후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n-헥산)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tert-부틸 (R)-(3-하이드록시-3-페닐프로폭시)카바메이트 (2.8 g, 68%)을 수득하였다.
MS (m/z): 150.17 [M+1]+, UPLC r. t. (min) : 1.51
1H NMR (400 MHz, CDCl3) δ = 7.43 - 7.39 (m, 2H), 7.38 - 7.32 (m, 2H), 7.27 - 7.24 (m, 1H), 5.05 - 4.97 (m, 1H), 4.15 - 4.08 (m, 1H), 4.07 - 4.00 (m, 1H), 2.10 - 1.93 (m, 2H), 1.54 - 1.48 (m, 9H)
단계 2: tert -부틸 ( S )-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시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1에서 얻어진 화합물 tert-부틸 (R)-(3-하이드록시-3-페닐프로폭시)카바메이트(2.55 g, 9.54 mmol)와 트리에틸아민(3.13 ml, 22.44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250 ml)에 녹인 후 0℃로 냉각하였다. 그리고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1 ml, 13 mmol)을 적가하고 0℃에서 2시간 반응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소금물 및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합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ter-부틸 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시레이트를 얻어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MS (m/z): 194.13 [M+1]+, UPLC r. t. (min) : 1.69
1H NMR (400 MHz, CDCl3) δ = 7.29 - 7.23 (m, 4H), 7.18 - 7.17 (m, 1H), 5.12 - 5.11 (m, 1H), 4.10 - 4.03 (m, 1H), 3.82- 3.80 (m, 1H), 2.75 - 2.65 (m, 1H), 2.29 - 2.15 (m, 1H), 1.37 (s, 9H)
단계 3: ( S )-3-페닐이소옥사졸리딘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2에서 얻어진 화합물 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시레이트(2.3 g)을 다이클로로메탄(90 mL)에 녹인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4 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킨 뒤 유기층을 합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테트라하이드로퓨란/n-헥산)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3-페닐이소옥사졸리딘(1.3 g, 94%)를 수득하였다.
MS (m/z): 150.08 [M+1]+, UPLC r. t. (min) : 0.72
1H NMR (400 MHz, DMSO-d 6) δ = 7.59 - 7.52 (m, 2H), 7.50 - 7.39 (m, 3H), 5.01 - 4.93 (m, 1H), 2.93 - 2.82 (m, 1H), 2.62 - 2.53 (m, 2H)
<제조예 2> ( S )-3-(3-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24
단계 1: 3-플루오로- N- 메톡시- N- 메틸벤자마이드의 제조
3-플루오로벤조익산(90 g, 642.35 mmol, 1 eq)을 피리딘(150 mL)에 녹인 후, N,O-다이메틸하이드록실아민 염산염(75.19 g, 770.81 mmol, 1.2 eq)을 첨가한다. 그 후 15°C에서 EDCI(147.77 g, 770.81 mmol, 1.2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C에서 30분 동안 교반한다. TLC 분석결과(PE:EA = 3:1), 출발물질이 모두 사라졌으며 낮은 극성을 가지는 새로운 스팟이 검출되었다. 감압 농축하여 피리딘 용매를 제거하고, DCM(500mL)과 HCl(500mL, 2N), 소금물(200mL)을 이용해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황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 3-플루오로-N-메톡시-N-메틸벤자마이드(110 g, 600.50 mmol, 93.49% yield)를 수득하였다.
단계 2: 1-(3-플루오로페닐)프로프-2-엔-1-원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단계 1에서 얻어진 3-플루오로-N-메톡시-N-메틸-벤자마이드 (110 g, 600.50 mmol, 1 eq)를 THF(1 L)에 녹인 후, 0°C에서 브로모(비닐)마그네슘(1 M, 630.53 mL, 1.05 eq)를-78°C에서 한 방울씩 적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0°C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 결과 (PE:EA=4:1), 출발 물질이 모두 사라졌으며, 낮은 극성을 가지는 새로운 스팟이 검출되었다. HCl(4N, 50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한 후, MTBE(2000 mL)와 소금물(500 mL)을 이용해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한 화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30/1)을 이용해 정제하여 황색 오일 상태의 목적 화합물 1-(3-플루오로페닐)프로프-2-엔-1-원(80 g, 532.80 mmol, 88.73% yield)을 수득하였다.
단계 3: 3-클로로-1-(3-플루오로페닐)프로판-1-원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단계 2에서 얻어진 1-(3-플루오로페닐) 프로프-2-엔-1-원 (71 g, 472.86 mmol, 1.0 eq)을 DCM(71 mL)에 녹인 후, 0°C에서 HCl/dioxane(4 M, 295.54 mL, 2.5 eq)을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15°C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 결과 (PE:EA=10:1), 출발 물질은 모두 사라졌으며, 목적 화합물이 검출 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고, DCM(450 mL)과 물 (200 mL * 5)을 첨가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였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황색의 고체의 목적 화합물 3-클로로-1-(3-플루오로페닐)프로판-1-원 (73 g, 391.19 mmol, 82.73% yield)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CDCl3) δ = 7.78 - 7.72 (m, 1H), 7.69 - 7.60 (m, 1H), 7.53 - 7.44 (m, 1H), 7.37 - 7.24 (m, 1H), 3.93 (t, J=6.8 Hz, 2H), 3.46 (t, J=6.8 Hz, 2H)
단계4: ( R )-3-클로로-1-(3-플루오로페닐)프로판-1-올의 제조
(S)-1-메틸-3,3-다이페닐테트라하이드로-1H,3H-피롤로[1,2-c][1,3,2]옥사자보롤(8.61 g, 31.08 mmol, 9.27 mL, 0.1 eq)을 THF(380 mL)에 녹인 후, BH3.THF(1 M, 186.48 mL, 0.6 eq)를 0°C에서 질소기류 하에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C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에 THF(390 mL)에 희석한 상기 제조예 2의 단계 3에서 얻어진 3-클로로-1-(3-플루오로페닐)프로판-1-원(70g, 375.11 mmol, 1 eq)을 0°C에서 한 방울씩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C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 결과 (PE:EA=5:1), 출발물질이 모두 사라졌으며, 목적 화합물 스팟이 검출되었다. 0°C에서 MeOH (100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한 후, 용매를 감압 하에 날려주었다. 농축한 화합물을 DCM(100mL * 3)과 NH4Cl 용액(300mL)을 이용해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한 화합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PE:EA=50:1 to 5:1)를 사용해 정제하여 무색의 오일 (R)-3-클로로-1-(3-플루오로페닐)프로판-1-올(55 g, 286.33 mmol, 92.13% yield, 98.2% purity, 54.1% e.e.)를 수득하였다.
MS (m/z): 135.2 [M-56+H]
1H NMR (400 MHz, CDCl3) δ = 7.35 - 7.28 (m, 1H), 7.19 - 7.04 (m, 2H), 7.01 - 6.91 ( m, 1H), 5.00 - 4.88 (m, 1H), 3.76 - 3.70 (m, 1H), 3.60 - 3.51 (m, 1H), 2.24 - 2.13 (m, 1H), 2.12 - 1.98 (m, 2H)
단계5: tert -부틸 ( R )-(3-(3-플루오로페닐)-3-하이드록시프로폭시)카바메이트의 제조
tert-부틸 하이드록시카바메이트(40.76 g, 306.16 mmol, 1.05 eq)를 DMF(400 mL)에 녹인 후, 0°C에서 질소기류 하에 NaH (12.83 g, 320.74 mmol, 60% purity, 1.1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DMF(150 mL)에 희석된 상기 제조예 2의 단계 4에서 얻어진 (1R)-3-클로로-1-(3-플루오로페닐)프로판-1-올(55 g, 291.58 mmol, 1 eq)를 0°C에서 한 방울씩 첨가하고 10°C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 결과 (PE:EA=2:1), 출발 물질은 모두 사라졌으며, 목적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물(800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한 후, 생성된 고체를 필터해주었다. 회수한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800mL)와 물(100mL), 소금물(100mL)를 이용해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밝은 황색 고체의 tert-부틸 (R)-(3-(3-플루오로페닐)-3-하이드록시프로폭시)카바메이트(72 g, 189.57 mmol, 65.01% yield, 75.12% purity)를 수득하였다.
MS (m/z):167.9 [M-118]
1H NMR (400 MHz, CDCl3) δ = 7.17 - 7.06 (m, 1H), 7.01 - 6.93 (m, 2H), 6.80 - 6.73 (m, 1H), 4.89 - 4.79 (m, 1H), 3.95 - 3.89 (m, 1H), 3.88 - 3.82 (m, 1H), 1.89 - 1.81 (m, 1H), 1.80 - 1.69 (m, 1H), 1.32 (s, 9H)
단계6: tert -부틸 ( S )-3-(3-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단계 5에서 얻어진 tert-부틸 (R)-(3-(3-플루오로페닐)-3-하이드록시프로폭시)카바메이트(72g, 252.36mmol, 1 eq)와 Et3N (76.61 g, 757.07 mmol, 105.38 mL, 3 eq)를 DCM (700 mL)에 녹인 후, 0°C에서 메탄설폰산 무수물 (65.94 g, 378.53 mmol, 1.5 eq)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C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결과(PE:EA=3:1), 출발물질은 모두 사라졌으며, 새로운 스팟이 검출되었다. 물(1000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한 후, DCM(200 mL * 3)을 이용해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한 화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PE:EA=50:1 to 5:1)로 정제하여 57.7% e.e 값을 가지는 목적화합물 35g을 추출하였다. 목적화합물을 SFC(column: DAICEL CHIRALPAK AD-H(250mm*30mm,5um); mobile phase: [Neu-MeOH]; B%: 15 %, 2.9 min;760 min)을 통해 정제하여 밝은 황색의 고체 tert-부틸 (S)-3-(3-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실레이트(25 g, 92.00 mmol, 36.17% yield, 98.37% purity,100% e.e.)와 tert-부틸 (R)-3-(3-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실레이트(6.5 g, 22.16 mmol, 8.71% yield, 91.13% purity, 100% e.e.)를 수득하였다.
MS (m/z): 212.2 [M-56+H]
1H NMR (400 MHz, CDCl3) δ = 7.34 - 7.27 (m, 1H), 7.17 - 7.05 (m, 2H), 6.99 - 6.91 (m, 1H), 5.20 (dd, J=5.6, 8.8 Hz, 1H), 4.22 - 4.14 (m, 1H), 3.94 - 3.84 (m, 1H), 2.84 - 2.73 (m, 1H), 2.34 - 2.22 (m, 1H), 1.47 (s, 9H)
단계7: ( S )-3-(3-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의 제조
tert-부틸 (3S)-3-(3-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실레이트(25g, 93.53 mmol, 1 eq)를 EA(50mL)에 녹인 후, 0°C에서 HCl/EtOAc(4M, 250mL)를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10°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 결과, 출발물질이 모두 사라졌고 목적 화합물 96.97%가 검출되었다. 고체를 얻기 위해 감압 농축하여 백색 고체의 (S)-3-(3-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19.12g, 86.71mmol, 92.71% yield, 92.35% purity, HCl, 99.91% e.e.)를 수득하였다.
MS (m/z): 168.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 12.51 (br s, 1H), 7.55 - 7.44 (m, 2H), 7.44 - 7.37 (m, 1H), 7.32 - 7.22 (m, 1H), 5.03 (t, J=8.0 Hz, 1H), 4.54 - 4.43 (m, 1H), 4.34 - 4.24 (m, 1H), 2.95 - 2.83 (m, 1H), 2.64 - 2.52 (m, 1H)
상기 제조예 1,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예 3 내지 20을 제조하였으며, 제조예 3 내지 20의 화합물명, 화학구조식, UPLC 및 NMR분석 결과를 아래에 나타내었고 이하 실시예의 제조시 사용하였다.
<제조예 3> ( R )-3-페닐이소옥사졸리딘의 제조
Figure pat00125
MS (m/z): 150.08 [M+1]+
1H NMR (400 MHz, DMSO-d 6) δ = 7.59 - 7.53 (m, 2H), 7.51 - 7.41 (m, 3H), 5.02 - 4.93 (m, 1H), 4.52 - 4.43 (m, 1H), 4.33 - 4.23 (m, 1H), 2.93 - 2.83 (m, 1H), 2.62 - 2.55 (m, 1H)
<제조예 4>( R )-3-(3-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26
1H NMR (400 MHz, DMSO-d 6) δ = 12.31 (br s, 1H), 7.55 - 7.43 (m, 2H), 7.43 - 7.37 ( m, 1H), 7.32 - 7.22 (m, 1H), 5.04 - 5.00 (t, J = 7.6 Hz, 1H), 4.51 - 4.43 (m, 1H), 4.32 - 4.23 (m, 1H), 2.95 - 2.82 (m, 1H), 2.63 - 2.51 (m, 1H)
<제조예 5>( S )-3-(3,5-다이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27
1H NMR (400 MHz, DMSO-d 6) δ = 7.36 - 7.28 (m, 3H), 5.04 - 4.98 (t, J = 7.6 Hz, 1H), 4.47 - 4.38 (m, 1H), 4.25 - 4.19 (dd, J = 7.6, 15.2 Hz, 1H), 2.89 - 2.81 (m, 1H), 2.58 - 2.51 (m, 1H)
<제조예 6>( R )-3-(3,5-다이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28
1H NMR (400 MHz, DMSO-d 6) δ = 7.36 - 7.27 (m, 3H), 5.04 - 4.98 (t, J = 7.6 Hz, 1H), 4.46 - 4.36 (m, 1H), 4.25 - 4.19 (dd, J = 7.6, 15.2 Hz, 1H), 2.90 - 2.78 (m, 1H), 2.56 - 2.51 (m, 1H)
<제조예 7>( S )-3-(4-클로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29
1H NMR (400 MHz, MeOD) δ = 7.58 - 7.52 (m, 4H), 5.19 - 5.15 (t, J = 7.6 Hz, 1H), 4.71 - 4.66 (m, 1H), 4.48 - 4.42 (m, 1H), 3.04 - 3.0 (m, 1H), 2.81 - 2.75 (m, 1H)
<제조예 8>( S )-3-(4-브로모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30
1H NMR (400 MHz, MeOD) δ = 7.69 - 7.65 (d, J = 8.6 Hz, 2H), 7.48 - 7.46 (d, J = 8.6 Hz, 2H), 5.16 - 5.12 (m, 1H), 4.67 - 4.63 (m, 1H), 4.46 - 4.40 (m, 1H), 3.02 - 2.98 (m, 1H), 2.78 - 2.72 (m, 1H)
<제조예 9>( S )-3-(3,4-다이클로로-2-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31
1H NMR (400 MHz, DMSO-d 6) δ = 7.64 - 7.58 (m, 2H), 5.16 - 5.06 (dd, J = 6.4, 8.0 Hz, 1H), 4.44 - 4.32 (m, 1H), 4.20 - 4.10 (dd, J = 7.6, 15.2 Hz, 1H), 2.91 - 2.76 (m, 1H), 2.57 - 2.51 (m, 1H)
<제조예 10>( S )-3-(4-클로로-3-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32
1H NMR (400MHz, DMSO-d 6) δ = 7.78 - 7.63 (m, 2H), 7.43 - 7.40 (dd, J = 1.6, 8.0 Hz, 1H), 5.03 - 4.99 (t, J = 7.6 Hz, 1H), 4.47 - 4.40 (m, 1H), 4.26 - 4.20 (q, J = 7.6 Hz, 1H), 2.90 - 2.82 (m, 1H), 2.58 - 2.52 (m, 1H)
<제조예 11>( S )-3-(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33
1H NMR (400 MHz, DMSO-d 6) δ = 7.80 - 7.87 (dd, J = 2.0,7.2 Hz, 1H), 7.55 - 7.50 (m, 2H), 4.98 - 4.94 (t, J = 8.0 Hz, 1H), 4.43 - 4.39 (m, 1H), 4.22 - 4.18 (m, 1H), 2.85 - 2.81(m, 1H), 2.54 - 2.53 (m, 1H)
<제조예 12>( S )-3-(2,5-다이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34
1H NMR (400MHz, DMSO-d 6) δ = 7.55 - 7.49 (m, 1H), 7.39 - 7.30 (m, 2H), 5.13 - 5.10 (t, J = 7.2 Hz, 1H), 4.47 - 4.39 (m, 1H), 4.22 - 4.17 (q, J = 7.6 Hz, 1H), 2.93 - 2.82 (m, 1H), 2.59 - 2.52 (m, 1H)
<제조예 13>( S )-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35
1H NMR (400 MHz, DMSO-d 6) δ = 7.49 - 7.43 (m, 2H), 7.20 - 7.16 (m, 1H), 6.56 (s, 1H), 4.65 (s, 1H), 3.96 - 3.91 (m, 1H), 3.67 - 3.65 (m, 1H), 2.66 - 2.61 (m, 1H), 2.08 - 2.01 (m, 1H)
<제조예 14> ( S )-3-(3-메톡시페닐)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36
1H NMR (400 MHz, DMSO-d 6) δ = 7.37 (t, J = 8.0 Hz, 1H), 7.23 - 7.20 (m, 1H), 7.13 (d, J = 7.7 Hz, 1H), 7.01 (dd, J = 8.3, 2.5 Hz, 1H), 4.96 (t, J = 8.1 Hz, 1H), 4.49 (td, J = 8.1, 4.0 Hz, 1H), 4.30 (q, J = 7.7 Hz, 1H), 3.79 (s, 3H), 2.88 (dtd, J = 11.5, 7.4, 4.0 Hz, 1H), 2.58 (dq, J = 12.5, 8.5 Hz, 1H)
<제조예 15>( S )-3-(6-메틸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37
1H NMR (400 MHz, MeOD) δ = 8.98 (d, J = 2.0 Hz, 1H), 8.71-8.68 (dd, J = 2.0, 8.4 Hz, 1H), 8.09 - 8.07 (d, J = 8.4 Hz, 1H), 5.53 - 5.49 (dd, J = 6.8, 8.0 Hz, 1H), 4.79-4.75 (m, 1H), 4.49 - 4.43 (m, 1H), 3.17 - 3.11 (m, 1H), 2.94 - 2.78 (m, 4H)
<제조예 16>( S )-3-(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38
1H NMR (400 MHz, DMSO-d 6) δ = 9.09 - 9.08 (d, J = 1.6 Hz, 1H), 8.96 - 8.95 (d, J = 5.2 Hz 1H), 8.76 - 8.74 (m, 1H), 8.15 - 8.12 (dd, J = 5.6 Hz, 8.0 Hz, 1H), 5.34 -5.30 (m, 1H), 4.52 - 4.48 (m, 1H), 4.29 - 4.25 (m, 1H), 2.94 - 2.91 (m, 1H), 2.69 - 2.66 (m, 1H)
<제조예 17>( S )-5-(아이소옥사졸리딘-3-일)니코티노나이트릴
Figure pat00139
1H NMR (400 MHz, CDCl3) δ = 8.79 - 8.76 (dd, J = 2.0, 12.4 Hz, 2H), 8.09 (s, 1H), 5.58 (br s, 1H), 4.67 - 4.66 (m, 1H), 4.19 - 4.14 (m, 1H), 3.84 - 3.82 (m, 1H), 2.82 - 2.77 (m, 1H), 2.29 - 2.25 (m, 1H)
<제조예 18>( S )-3-(4-(트리플루오로메틸)싸이아졸-2-일)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40
1H NMR (400 MHz, CDCl3) δ = 7.71 (s, 1H), 5.76 (br d, J = 4.4 Hz, 1H), 4.91 - 4.88 (m, 1H), 4.20 - 4.15 (m, 1H), 3.80 (m, 1H), 2.81 - 2.76 (m, 2H)
<제조예 19>( R )-3-벤질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41
1H NMR (400 MHz, MeOD) δ = 7.38 - 7.31 (m, 5H), 4.45 - 4.42 (m, 1H), 4.31 - 4.23 (m, 2H), 3.18 - 3.09 (m, 2H), 2.62 - 2.58 (m, 1H), 2.36 - 2.30 (m, 1H)
<제조예 20>( S )-3-벤질이소옥사졸리딘
Figure pat00142
1H NMR (400 MHz, MeOD) δ = 7.38 - 7.30 (m, 5H), 4.45 - 4.42 (m, 1H), 4.31 - 4.24 (m, 2H), 3.20 - 3.11 (m, 2H), 2.60 - 2.59 (m, 1H), 2.36 - 2.31 (m, 1H)
<제조예 21>( S )- N- (3-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Figure pat00143
단계 1: ( S )- N- (3-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의 제조
3-에티닐아닐린(15.8g, 134.87mmol, 1 eq), TEA(68.24g, 674.36mmol, 93.86mL, 5 eq)를 DCM(300mL)에 녹인 후, -10°C에서 DSC(38.01g, 148.36mmol, 1.1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C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S)-3-페닐이소옥사졸리딘 염산염(30g, 160.62mmol, 1.19 eq)를 첨가하였다. LC-MS 분석 결과, 출발물질이 모두 사라졌으며, 목적 화합물 69%가 검출되었다. HCl(1 N, 300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한 후, 물(400mL*2), 소금물(300mL)을 이용해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오일 상태의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화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15/1 to 10/1)를 사용해 정제하여 황색의 목적화합물 (S)-N-(3-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17g, 58.15mmol, 43.11% yield, 100% purity, 96.63% e.e.)를 수득하였다.
MS (m/z): 293.1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2 (s, 1H), 7.82 (1, 1H), 7.71 - 7.68 (d, J = 8.0 Hz, 1H), 7.38 - 7.37 (m, 4H), 7.34 - 7.28 (m, 2H), 7.4 (m, 1H), 5.43 - 5.40 (m, 1H), 4.27 - 4.24 (m, 1H), 4.15 (s, 1H), 3.89 - 3.87 (m, 1H), 2.86 - 2.85 (m, 1H), 2.24 - 2.23(m, 1H)
<실시예 1> N- (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염의 제조
Figure pat00144
단계 1: 3-((트리메틸실릴)에티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의 제조
3-브로모이미다조[1,2-b]피리다진(10g, 50.5mmol), Pd(PPh3)4(2.92g, 2.52mmol)과 CuI(0.962g, 5.05mmol)를 넣고 아세토나이트릴(50.5ml)를 첨가하여 희석 후 질소를 흘리면서 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가스를 제거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7.44g, 76mmol)과 트리에틸아민(28.2mL, 202mmol)을 첨가한 후,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반응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하에 농축한 후 3-((트리메틸실릴)에티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11g, 100%)을 얻었으며,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MS (m/z): 216. 15[M+1]+, UPLC r. t. (min) : 1.63
단계 2: 3-에티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얻어진 화합물 3-((트리메틸실릴)에티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11g, 51.1mmol)과 탄산칼륨 (21.18g, 153mmol)을 메탄올(51.1 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1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반응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하에 농축한 후,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다이클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고체의 목적화합물 3-에티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5.78g, 80%)을 수득하였다.
MS (m/z): 144.03 [M+1]+, UPLC r. t. (min) : 0.87
1H NMR(400 MHz, DMSO-d 6) δ 8.66 (dd, J = 4.4, 1.5 Hz, 3H), 7.70 - 7.61 (m, 6H), 7.59 - 7.51 (m, 5H), 4.96 (s, 2H).
단계 3: 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아닐린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얻어진 화합물 3-에티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 (400mg, 2.79mmol), 3-아이오도-4-메틸아닐린(715mg, 3.07mmol)을 에틸아세테이트 (9.3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질소를 흘리면서 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반응혼합물에 Pd(PPh3)4(161mg, 0.140mmol), CuI(53.2mg, 0.279mmol)와 DIPEA(976μL, 5.59mmol)를 첨가한 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씻어주었다.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하에 농축한 후,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다이클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고체의 목적화합물 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아닐린(555mg, 80%)을 수득하였다.
MS (m/z): 249.16 [M+1]+, UPLC r. t. (min) : 1.12
1H NMR(400 MHz, DMSO-d 6) δ 8.69 (dd, J = 4.4, 1.2 Hz, 1H), 8.29 - 8.07 (m, 2H), 7.36 (dd, J = 9.2, 4.4 Hz, 1H), 6.99 (d, J = 8.2 Hz, 1H), 6.79 (d, J = 2.4 Hz, 1H), 6.59 (dd, J = 8.2, 2.4 Hz, 1H), 5.08 (s, 2H), 2.35 (s, 3H).
단계 4: N- (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얻어진 화합물(100mg, 0.4mmol)과 피리딘 (0.14mL, 1.7mmol)을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2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0℃에서 N,N'-다이석시니미딜 카보네이트(127mg, 0.785mmol)을 첨가하였다.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 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0.09mL, 0.6mmol)을 천천히 적가한 뒤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뒤 에틸아세테이트 및 소금물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합한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여 농축 후 Prep-150 장치를 이용하여 정제한 후 목적 화합물 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염(178mg, 70% purity; 94.4% e.e.)을 얻었다
MS (m/z): 424.32 [M+1]+, UPLC r. t. (min) : 1.73
1H NMR (400 MHz, DMSO-d6) δ = 9.50 (s, 1H), 8.78 (dd, J = 4.5, 1.6 Hz, 1H), 8.34 - 8.28 (m, 2H), 7.93 (d, J = 2.3 Hz, 1H), 7.60 (dd, J = 8.4, 2.3 Hz, 1H), 7.48 (dd, J = 9.2, 4.5 Hz, 1H), 7.41 - 7.34 (m, 4H), 7.29 - 7.24 (m, 2H), 5.41 (dd, J = 8.6, 5.9 Hz, 1H), 4.25 (td, J = 7.9, 3.1 Hz, 1H), 3.89 (dt, J = 9.1, 7.2 Hz, 1H), 2.90 - 2.80 (m, 1H), 2.46 (s, 3H), 2.28 - 2.17 (m, 1H)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25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25의 화합물명, 화학구조식, NMR 및 UPLC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 화합물명 UPLC
[M+1]+; r.t. (min)
1H NMR
1
Figure pat00145
(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염산염 424.4; 1.74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0 (s, 1H), 8.78 (dd, J = 4.5, 1.6 Hz, 1H), 8.34 - 8.28 (m, 2H), 7.93 (d, J = 2.3 Hz, 1H), 7.60 (dd, J = 8.4, 2.3 Hz, 1H), 7.48 (dd, J = 9.2, 4.5 Hz, 1H), 7.41 - 7.34 (m, 4H), 7.29 - 7.24 (m, 2H), 5.41 (dd, J = 8.6, 5.9 Hz, 1H), 4.25 (td, J = 7.9, 3.1 Hz, 1H), 3.89 (dt, J = 9.1, 7.2 Hz, 1H), 2.90 - 2.80 (m, 1H), 2.46 (s, 3H), 2.28 - 2.17 (m, 1H)
2
Figure pat00146
(S)-3-(3,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염 460.2; 1.81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6 (s, 1H), 8.72 (dd, J = 4.5, 1.6 Hz, 1H), 8.29 - 8.19 (m, 2H), 7.91 (d, J = 2.3 Hz, 1H), 7.60 (dd, J = 8.4, 2.3 Hz, 1H), 7.39 (dd, J = 9.2, 4.5 Hz, 1H), 7.27 (d, J = 8.4 Hz, 1H), 7.19 - 7.08 (m, 3H), 5.45 (dd, J = 8.7, 5.8 Hz, 1H), 4.24 (dt, J = 7.9, 4.0 Hz, 1H), 3.90 (dd, J = 8.1, 1.8 Hz, 1H), 2.93 - 2.85 (m, 1H), 2.46 (s, 3H), 2.29 - 2.20 (m, 1H)
3
Figure pat00147
(S)-3-(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염 442.2; 1.77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3 (s, 1H), 8.73 (dd, J = 4.4, 1.5 Hz, 1H), 8.26 (dd, J = 9.2, 1.6 Hz, 1H), 8.23 (s, 1H), 7.92 (d, J = 2.3 Hz, 1H), 7.63 - 7.57 (m, 1H), 7.44 - 7.37 (m, 2H), 7.27 (d, J = 8.7 Hz, 2H), 7.19 (s, 1H), 7.11 (d, J = 2.7 Hz, 1H), 5.44 (dd, J = 8.6, 5.8 Hz, 1H), 4.25 (d, J = 3.1 Hz, 1H), 3.90 (dd, J = 8.1, 1.9 Hz, 1H), 2.87 (dddd, J = 12.0, 8.6, 7.0, 3.1 Hz, 1H), 2.47 (s, 3H), 2.29 - 2.19 (m, 1H)
4
Figure pat00148
(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0.3; 1.67 1HNMR (400 MHz, CDCl3) δ = 8.44 - 8.38 (m, 1H), 7.98 - 7.84 (m, 3H), 7.72 - 7.67 (m, 1H), 7.53 - 7.46 (m, 1H), 7.38 - 7.33 (m, 2H), 7.32 - 7.24 (m, 4H), 7.23 - 7.20 (m, 1H), 7.08 - 6.99 (m, 1H), 5.52 - 5.44 (m, 1H), 4.25 - 4.15 (m, 1H), 3.97 - 3.84 (m, 1H), 2.83 - 2.71 (m, 1H), 2.45 - 2.31 (m, 1H)
5
Figure pat00149
(R)-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염 410.3; 1.63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9 (s, 1H), 8.72 (d, J = 4.4 Hz, 1H), 8.47 - 8.12 (m, 2H), 7.98 (t, J = 1.9 Hz, 1H), 7.72 (dd, J = 8.3, 2.2 Hz, 1H), 7.43 - 7.34 (m, 6H), 7.30 - 7.23 (m, 2H), 5.42 (dd, J = 8.6, 5.9 Hz, 1H), 4.26 (td, J = 7.9, 3.0 Hz, 1H), 3.90 (dt, J = 9.3, 7.4 Hz, 1H), 2.92 - 2.80 (m, 1H), 2.30 - 2.18 (m, 1H)
6
Figure pat00150
(S)-3-(3,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46.2; 1.73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5 (s, 1H), 8.70 (dd, J = 4.4, 1.6 Hz, 1H), 8.24 (dd, J = 9.3, 1.6 Hz, 1H), 8.19 (s, 1H), 7.97 (t, J = 1.9 Hz, 1H), 7.74 - 7.69 (m, 1H), 7.41 - 7.35 (m, 2H), 7.26 (dt, J = 7.6, 1.3 Hz, 1H), 7.16 (dt, J = 9.2, 2.4 Hz, 1H), 7.13 - 7.08 (m, 2H), 5.46 (dd, J = 8.7, 5.8 Hz, 1H), 4.25 (td, J = 7.9, 3.0 Hz, 1H), 3.96 - 3.84 (m, 1H), 2.87 (dtt, J = 9.7, 7.1, 3.5 Hz, 1H), 2.24 (dddd, J = 12.2, 9.3, 7.8, 5.6 Hz, 1H)
7
Figure pat00151
(R)-3-(3,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염 446.3
;1.77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5 (s, 1H), 8.70 (dd, J = 4.4, 1.6 Hz, 1H), 8.25 (dd, J = 9.2, 1.6 Hz, 1H), 7.98 (t, J = 1.9 Hz, 1H), 7.72 (ddd, J = 8.3, 2.2, 1.1 Hz, 1H), 7.62 (m, 2H), 7.56 (m, 1H), 7.38 (m, 2H), 7.27 (dt, J = 7.7, 1.3 Hz, 1H), 7.16 (m, 1H), 5.47 (dd, J = 8.7, 5.8 Hz, 1H), 4.26 (td, J = 7.9, 3.0 Hz, 1H), 3.91 (m, 1H), 2.88 (m, 1H), 2.24 (m, 1H)
8
Figure pat00152
(S)-3-(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28.3; 1.66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2 (s, 1H), 8.70 (dd, J = 4.5, 1.6 Hz, 1H), 8.24 (dd, J = 9.2, 1.6 Hz, 1H), 8.19 (s, 1H), 7.98 (t, J = 1.9 Hz, 1H), 7.71 (ddd, J = 8.3, 2.2, 1.1 Hz, 1H), 7.45 - 7.34 (m, 3H), 7.26 (ddd, J = 8.0, 3.6, 2.4 Hz, 2H), 7.20 (dt, J = 10.3, 2.2 Hz, 1H), 7.11 (td, J = 8.4, 2.5 Hz, 1H), 5.45 (dd, J = 8.6, 5.9 Hz, 1H), 4.26 (td, J = 7.9, 3.0 Hz, 1H), 3.90 (dt, J = 9.1, 7.3 Hz, 1H), 2.88 (dddd, J = 12.0, 8.7, 7.0, 3.0 Hz, 1H), 2.24 (dddd, J = 12.1, 9.5, 7.9, 5.9 Hz, 1H)
9
Figure pat00153
(R)-3-(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염 428.3; 1.73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2 (s, 1H), 8.70 (dd, J = 4.5, 1.6 Hz, 1H), 8.25 (dd, J = 9.2, 1.6 Hz, 1H), 8.20 (s, 1H), 7.98 (t, J = 1.7 Hz, 1H), 7.72 (m, 1H), 7.43 (m, 1H), 7.37 (m, 2H), 7.26 (m, 2H), 7.20 (dt, J = 10.3, 2.2 Hz, 1H), 7.11 (td, J = 8.6, 2.7 Hz, 1H), 5.45 (dd, J = 8.7, 5.9 Hz, 1H), 4.26 (td, J = 7.9, 2.9 Hz, 1H), 3.91 (q, J = 7.7 Hz, 1H), 2.88 (m, 1H), 2.24 (m, 1H)
10
Figure pat00154
(S)-3-(4-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28.3; 1.69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9 (s, 1H), 8.70 (dd, J = 4.5, 1.6 Hz, 1H), 8.24 (dd, J = 9.2, 1.6 Hz, 1H), 8.19 (s, 1H), 7.97 (t, J = 1.9 Hz, 1H), 7.74 - 7.68 (m, 1H), 7.45 - 7.40 (m, 2H), 7.40 - 7.35 (m, 2H), 7.25 (dt, J = 7.6, 1.3 Hz, 1H), 7.22 - 7.16 (m, 2H), 5.42 (dd, J = 8.5, 5.9 Hz, 1H), 4.26 (td, J = 7.9, 3.0 Hz, 1H), 3.90 (dt, J = 9.1, 7.6 Hz, 1H), 2.85 (dtt, J = 9.6, 7.0, 3.5 Hz, 1H), 2.22 (dddd, J = 12.1, 9.5, 7.8, 5.9 Hz, 1H)
11
Figure pat00155
(S)-3-(4-클로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44.3; 1.78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2 (s, 1H), 8.71 (dd, J = 4.4, 1.3 Hz, 1H), 8.25 (dd, J = 9.2, 1.3 Hz, 1H), 8.21 (s, 1H), 7.99 (s, 1H), 7.72 (dd, J = 8.3, 1.1 Hz, 1H), 7.45 - 7.36 (m, 6H), 7.27 (d, J = 7.7 Hz, 1H), 5.43 (dd, J = 8.5, 6.0 Hz, 1H), 4.26 (td, J = 7.8, 2.8 Hz, 1H), 3.91 (dd, J = 16.8, 7.8 Hz, 1H), 2.87 (dtd, J = 9.8, 7.2, 2.9 Hz, 1H), 2.22 (dtd, J = 12.3, 9.3, 7.9 Hz, 1H)
12
Figure pat00156
(S)-3-(4-브로모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90.2; 1.90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2 (s, 2H), 8.70 (dd, J = 4.4, 1.4 Hz, 2H), 8.25 (dd, J = 9.2, 1.5 Hz, 2H), 8.20 (s, 2H), 7.98 (s, 2H), 7.72 (dd, J = 8.3, 1.1 Hz, 2H), 7.57 (d, J = 8.4 Hz, 4H), 7.41 - 7.34 (m, 8H), 7.27 (d, J = 7.7 Hz, 2H), 5.41 (dd, J = 8.4, 6.0 Hz, 2H), 4.26 (td, J = 7.8, 2.8 Hz, 2H), 3.91 (dd, J = 16.7, 7.8 Hz, 2H), 2.92 - 2.82 (m, 3H), 2.21 (dtd, J = 12.3, 9.3, 7.9 Hz, 2H)
13
Figure pat00157
(S)-3-(3,4-다이클로로-2-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96.3; 2.00 1H NMR (400 MHz, DMSO-d 6) δ = 9.70 (s, 1H), 8.73 (d, J = 4.3 Hz, 1H), 8.27 (d, J = 9.5 Hz, 2H), 7.98 (s, 1H), 7.72 (dd, J = 8.3, 1.0 Hz, 1H), 7.57 - 7.52 (m, 1H), 7.50 - 7.36 (m, 3H), 7.28 (d, J = 7.7 Hz, 1H), 5.62 (dd, J = 8.5, 6.1 Hz, 1H), 4.30 (td, J = 7.8, 2.5 Hz, 1H), 3.99 - 3.91 (m, 1H), 2.98 - 2.87 (m, 1H), 2.29 - 2.16 (m, 1H)
14
Figure pat00158
(S)-3-(4-클로로-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62.3; 1.89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5 (s, 1H), 8.71 (dd, J = 4.4, 1.4 Hz, 1H), 8.25 (dd, J = 9.2, 1.5 Hz, 1H), 8.21 (s, 1H), 7.98 (t, J = 1.6 Hz, 1H), 7.72 (dd, J = 8.3, 1.1 Hz, 1H), 7.59 (t, J = 8.1 Hz, 1H), 7.40 (ddd, J = 13.7, 9.0, 2.0 Hz, 3H), 7.28 (dd, J = 10.3, 4.5 Hz, 2H), 5.46 (dd, J = 8.5, 5.9 Hz, 1H), 4.27 (td, J = 7.9, 2.9 Hz, 1H), 3.92 (dd, J = 16.7, 7.9 Hz, 1H), 2.88 (dtd, J = 9.9, 7.1, 3.0 Hz, 1H), 2.30 - 2.15 (m, 1H)
15
Figure pat00159
(S)-3-(3-클로로-4-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62.3; 1.88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4 (s, 1H), 8.72 (dd, J = 4.4, 1.3 Hz, 1H), 8.26 (dd, J = 9.2, 1.3 Hz, 1H), 8.23 (s, 1H), 7.99 (s, 1H), 7.72 (dd, J = 8.3, 1.0 Hz, 1H), 7.58 (d, J = 7.4 Hz, 1H), 7.45 - 7.35 (m, 4H), 7.27 (d, J = 7.7 Hz, 1H), 5.45 (dd, J = 8.4, 6.0 Hz, 1H), 4.27 (td, J = 7.8, 2.8 Hz, 1H), 3.92 (dd, J = 16.8, 7.8 Hz, 1H), 2.88 (ddd, J = 11.8, 10.8, 2.9 Hz, 1H), 2.31 - 2.18 (m, 1H)
16
Figure pat00160
(S)-3-(2,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46.3; 1.80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9 (s, 1H), 8.71 (dd, J = 4.4, 1.3 Hz, 1H), 8.26 (dd, J = 9.2, 1.4 Hz, 1H), 8.22 (s, 1H), 7.98 (s, 1H), 7.72 (dd, J = 8.3, 1.1 Hz, 1H), 7.40 (td, J = 7.6, 3.1 Hz, 2H), 7.34 - 7.26 (m, 2H), 7.25 - 7.17 (m, 2H), 5.60 (dd, J = 8.5, 6.0 Hz, 1H), 4.31 (td, J = 7.9, 2.7 Hz, 1H), 3.97-3.91 (m, 1H), 2.97 - 2.85 (m, 1H), 2.26 - 2.13 (m, 1H)
17
Figure pat00161
(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62.3; 1.88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8 (s, 2H), 8.72 (dd, J = 4.4, 1.4 Hz, 2H), 8.26 (dd, J = 9.2, 1.4 Hz, 2H), 8.22 (s, 2H), 7.98 (s, 2H), 7.72 (dd, J = 8.3, 1.1 Hz, 2H), 7.57 - 7.49 (m, 2H), 7.48 - 7.42 (m, 2H), 7.42 - 7.36 (m, 4H), 7.26 (t, J = 8.2 Hz, 4H), 5.64 (dd, J = 8.5, 6.2 Hz, 2H), 4.31 (td, J = 7.9, 2.5 Hz, 3H), 3.95 (dd, J = 17.0, 7.7 Hz, 2H), 2.99 - 2.87 (m, 2H), 2.28 - 2.14 (m, 2H)
18
Figure pat00162
(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3-메톡시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40.3; 1.75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1 (s, 2H), 8.71 (dd, J = 4.4, 1.2 Hz, 2H), 8.25 (dd, J = 9.2, 1.3 Hz, 2H), 8.21 (s, 2H), 8.00 (s, 2H), 7.73 (dd, J = 8.3, 1.1 Hz, 2H), 7.42 - 7.34 (m, 4H), 7.32 - 7.24 (m, 4H), 6.96 (dd, J = 10.5, 4.9 Hz, 4H), 6.85 (dd, J = 8.1, 2.4 Hz, 2H), 5.41 (dd, J = 8.5, 5.9 Hz, 2H), 4.26 (td, J = 7.8, 2.9 Hz, 2H), 3.90 (dd, J = 16.9, 7.7 Hz, 3H), 3.77 (s, 6H), 2.86 (ddd, J = 15.4, 9.5, 3.0 Hz, 2H), 2.30 - 2.17 (m, 2H)
19
Figure pat00163
(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6-메틸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25.3; 1.14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4 (s, 1H), 8.71 (dd, J = 4.4, 1.3 Hz, 1H), 8.51 (s, 1H), 8.25 (dd, J = 9.2, 1.4 Hz, 1H), 8.20 (s, 1H), 7.99 (s, 1H), 7.76 (dd, J = 8.1, 2.2 Hz, 1H), 7.74 - 7.70 (m, 1H), 7.41 - 7.35 (m, 2H), 7.33 (d, J = 8.1 Hz, 1H), 7.27 (d, J = 7.7 Hz, 1H), 5.47 (dd, J = 8.3, 6.0 Hz, 1H), 4.28 (td, J = 7.9, 3.0 Hz, 1H), 3.94 (dd, J = 16.6, 7.9 Hz, 1H), 2.92 - 2.82 (m, 1H), 2.49 (s, 3H), 2.34 - 2.21 (m, 1H)
20
Figure pat00164
(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11.2; 1.13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4 (s, 1H), 8.71 (ddd, J = 11.3, 4.5, 1.6 Hz, 1H), 8.61 (dd, J = 5.2, 2.3 Hz, 1H), 8.50 (d, J = 4.8 Hz, 1H), 8.27 - 8.22 (m, 1H), 8.19 (s, 1H), 7.98 (t, J = 1.9 Hz, 1H), 7.79 (dt, J = 8.7, 2.6 Hz, 1H), 7.46 - 7.34 (m, 3H), 7.30 - 7.23 (m, 1H), 5.47 (ddd, J = 14.5, 8.6, 5.8 Hz, 1H), 4.30 (dtd, J = 11.0, 8.0, 6.9, 3.1 Hz, 1H), 3.99 - 3.89 (m, 1H), 2.90 (dtt, J = 11.8, 7.5, 3.7 Hz, 1H), 2.34 - 2.23 (m, 1H)
21
Figure pat00165
(S)-N-(4-(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410.2; 1.69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6 (s, 1H), 8.69 (dd, J = 4.5, 1.6 Hz, 1H), 8.23 (dd, J = 9.2, 1.6 Hz, 1H), 8.15 (s, 1H), 7.78 (d, J = 8.7 Hz, 2H), 7.53 (d, J = 8.7 Hz, 2H), 7.41 - 7.34 (m, 5H), 7.30 - 7.25 (m, 1H), 5.43 (dd, J = 8.6, 5.8 Hz, 1H), 4.27 (d, J = 3.1 Hz, 1H), 3.92 - 3.87 (m, 1H), 2.90 - 2.83 (m, 1H), 2.24 (ddt, J = 9.8, 5.9, 3.2 Hz, 1H)
22
Figure pat00166
(S)-3-(5-사이아노피리딘-3-일)-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36.3; 1.44 1H NMR (400 MHz, DMSO-d 6) δ = 9.70 (s, 1H), 8.94 (dd, J = 25.4, 2.0 Hz, 2H), 8.71 (dd, J = 4.4, 1.3 Hz, 1H), 8.31 (t, J = 1.8 Hz, 1H), 8.25 (dd, J = 9.2, 1.4 Hz, 1H), 8.20 (s, 1H), 7.98 (s, 1H), 7.75 - 7.68 (m, 1H), 7.42 - 7.34 (m, 2H), 7.28 (d, J = 7.7 Hz, 1H), 5.57 (dd, J = 8.4, 5.9 Hz, 1H), 4.31 (td, J = 7.8, 3.0 Hz, 1H), 3.97 (dd, J = 16.4, 8.0 Hz, 1H), 2.97 - 2.85 (m, 1H), 2.42 - 2.29 (m, 1H)
23
Figure pat00167
(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2-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85.2; 1.69 1H NMR (400 MHz, DMSO-d 6) δ = 9.80 (s, 1H), 8.70 (dd, J = 4.4, 1.6 Hz, 1H), 8.47 (d, J = 1.0 Hz, 1H), 8.25 (dd, J = 9.2, 1.6 Hz, 1H), 8.20 (s, 1H), 7.98 (t, J = 1.9 Hz, 1H), 7.76 - 7.70 (m, 1H), 7.43 - 7.36 (m, 2H), 7.30 (dt, J = 7.7, 1.3 Hz, 1H), 5.76 (dd, J = 8.9, 5.2 Hz, 1H), 4.32 (td, J = 8.1, 3.0 Hz, 1H), 3.95 (q, J = 8.2 Hz, 1H), 2.94 - 2.92 (m, 1H), 2.66 - 2.58 (m, 1H)
24
Figure pat00168
(R)-3-벤질-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24.4; 1.74 1H NMR (400 MHz, DMSO-d 6) δ = 9.48 (s, 1H), 8.71 (dd, J = 4.4, 1.3 Hz, 1H), 8.25 (dd, J = 9.2, 1.4 Hz, 1H), 8.21 (s, 1H), 7.97 (s, 1H), 7.68 (dd, J = 8.3, 1.1 Hz, 1H), 7.42 - 7.19 (m, 8H), 4.68 - 4.57 (m, 1H), 4.17 (td, J = 8.0, 3.6 Hz, 1H), 3.80 (q, J = 8.2 Hz, 1H), 2.94 (dd, J = 13.7, 7.2 Hz, 1H), 2.77 (dd, J = 13.7, 7.3 Hz, 1H), 2.35 - 2.24 (m, 1H), 2.07 - 1.94 (m, 1H)
25
Figure pat00169
(S)-3-벤질-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24.4; 1.97 1H NMR (400 MHz, DMSO-d 6) δ = 9.48 (s, 1H), 8.71 (dd, J = 4.4, 1.3 Hz, 1H), 8.25 (dd, J = 9.2, 1.3 Hz, 1H), 8.21 (s, 1H), 7.96 (d, J = 1.6 Hz, 1H), 7.68 (dd, J = 8.3, 1.1 Hz, 1H), 7.41 - 7.19 (m, 8H), 4.63 (qd, J = 7.4, 4.7 Hz, 1H), 4.17 (td, J = 7.9, 3.5 Hz, 1H), 3.83 - 3.77 (m, 1H), 2.94 (dd, J = 13.7, 7.2 Hz, 1H), 2.77 (dd, J = 13.7, 7.3 Hz, 1H), 2.35 - 2.23 (m, 1H), 2.06 - 1.94 (m, 1H)
<실시예 26> ( S )- N- (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일)-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170
단계 1: 2-아이오도피리딘-4-아민의 제조
2-브로모피리딘-4-아민(400mg, 2.312mmol), CuI(881mg, 4.62mmol)과 KI(1.92g, 11.56mmol)을 1,4-디옥산(7.7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질소를 흘리면서 10분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가스를 제거하여 13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과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녹여 소금물로 닦아준 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하에서 농축한다.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하여 목적화합물인 2-아이오도피리딘-4-아민(105.1mg, 83%)을 얻었으며,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MS (m/z) : 220.95 [M+1]+, UPLC r. t. (min) : 0.22
1H NMR (400 MHz, CDCl3) δ = 7.94 - 7.87 (m, 1H), 6.99 - 6.94 (m, 1H), 6.50 - 6.43 (m, 1H), 4.32 - 4.14 (m, 2H)
단계 2: ( S )- N- (2-아이오도피리딘-4-일)-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26의 단계 1에서 얻어진 화합물 2-아이오도피리딘-4-아민(350mg, 1.591mmol), N,N′'-다이석시니미딜 카보네이트(509mg, 1.989mmol)과 피리딘(0.515mL, 6.36mmol)을 DMF(7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6시간 동안 교반 하고,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S)-3-페닐이소옥사졸리딘(350μL, 2.386mmol)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교반 한다. 반응 종결 뒤 에틸아세테이트 및 소금물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합한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여 농축 후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테트라하이드로퓨란/n-헥산)로 정제하여 고체의 목적화합물 (S)-N-(2-아이오도피리딘-4-일)-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470mg, 74 %)를 수득하였다
MS (m/z): 396.3 [M+1]+, UPLC r. t. (min) : 1.77
1H NMR (400 MHz, CDCl3) δ = 8.20 - 8.17 (m, 1H), 7.98 - 7.96 (m, 1H), 7.94 - 7.89 (m, 1H), 7.43 - 7.40 (m, 1H), 7.39 - 7.37 (m, 3H), 7.32 - 7.28 (m, 1H), 5.51 - 5.44 (m, 1H), 4.34 - 4.25 (m, 1H), 4.01 - 3.91 (m, 1H), 2.93 - 2.81 (m, 1H), 2.51 - 2.40 (m, 1H)
단계 3: ( S )- N- (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일)-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6의 단계 2에서 얻어진 화합물 (S)-N-(2-아이오도피리딘-4-일)-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470mg, 1.189mmol),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얻어진 3-에티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213mg, 1.487mmol), Pd(PPh3)4(68.7mg, 0.059mmol), CuI(22.65mg, 0.119mmol)와 트리에틸아민(332μL, 2.379mmol)를 아세토나이트릴(11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50℃에서 밤새 가열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하에 농축한 후, Prep-150 장치를 이용하여 정제한 후 목적 화합물 (S)-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일)-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로산염(155mg, 29%)을 얻었다.
MS (m/z): 411.3 [M+1]+, UPLC r. t. (min) : 1.34
1H NMR (400 MHz, CDCl3) δ = 8.44 - 8.42 (m, 1H), 8.42 - 8.39 (m, 1H), 8.03 - 8.01 (m, 1H), 7.96 - 7.92 (m, 2H), 7.74 - 7.71 (m, 1H), 7.43 - 7.39 (m, 1H), 7.37 - 7.28 (m, 4H), 7.25 - 7.21 (m, 1H), 7.10 - 7.03 (m, 1H), 5.48 - 5.40 (m, 1H), 4.29 - 4.17 (m, 1H), 3.96 - 3.85 (m, 1H), 2.86 - 2.75 (m, 1H), 2.44 - 2.33 (m, 1H)
상기 실시예 26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7 내지 29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26 내지 29의 화합물명, 화학구조식, NMR 및 UPLC 분석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 화합물명 UPLC
[M+1]+; r.t. (min)
1H NMR
26
Figure pat00171
(S)-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 일에티닐)피리딘-4-일)-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1.3; 1.36 1HNMR (400 MHz, CDCl3) δ = 8.44 - 8.42 (m, 1H), 8.42 - 8.39 (m, 1H), 8.03 - 8.01 (m, 1H), 7.96 - 7.92 (m, 2H), 7.74 - 7.71 (m, 1H), 7.43 - 7.39 (m, 1H), 7.37 - 7.28 (m, 4H), 7.25 - 7.21 (m, 1H), 7.10 - 7.03 (m, 1H), 5.48 - 5.40 (m, 1H), 4.29 - 4.17 (m, 1H), 3.96 - 3.85 (m, 1H), 2.86 - 2.75 (m, 1H), 2.44 - 2.33 (m, 1H)
27
Figure pat00172
(R)-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yl)-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1.2; 1.36 1H NMR (400 MHz, DMSO-d 6) δ = 9.97 (s, 1H), 8.72 (dd, J = 4.5, 1.6 Hz, 1H), 8.44 (d, J = 5.7 Hz, 1H), 8.30 - 8.23 (m, 2H), 8.07 (d, J = 2.1 Hz, 1H), 7.71 (dd, J = 5.7, 2.2 Hz, 1H), 7.38 (q, J = 2.6 Hz, 4H), 7.28 (dp, J = 8.5, 2.8 Hz, 1H), 5.41 (dd, J = 8.6, 6.2 Hz, 1H), 4.30 (td, J = 7.9, 2.8 Hz, 1H), 3.92 (ddd, J = 9.6, 8.1, 6.8 Hz, 1H), 2.89 (tdt, J = 9.3, 6.9, 2.8 Hz, 1H), 2.24 (dddd, J = 12.1, 9.8, 7.7, 6.2 Hz, 1H)
28
Figure pat00173
(S)-3-(3,5-다이플루오로페닐)-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염산염 447.2; 1.44 1H NMR (400 MHz, DMSO-d 6) δ = 10.78 (s, 1H), 8.77 (dd, J = 4.5, 1.5 Hz, 1H), 8.59 (d, J = 6.8 Hz, 1H), 8.42 (s, 1H), 8.35 (d, J = 2.3 Hz, 1H), 8.32 (dd, J = 9.2, 1.5 Hz, 1H), 8.07 (dd, J = 6.8, 2.3 Hz, 1H), 7.50 (dd, J = 9.3, 4.5 Hz, 1H), 7.08 - 7.04 (m, 2H), 5.40 (dd, J = 8.6, 6.4 Hz, 1H), 4.29 (td, J = 7.8, 2.6 Hz, 1H), 3.94(ddd, J = 9.8, 8.0, 6.6 Hz, 1H), 2.90 (dddd, J = 11.9, 9.0, 6.4, 2.5 Hz, 1H), 2.22 (tt, J = 9.7, 7.3 Hz, 1H)
29
Figure pat00174
(S)-3-(3-플루오로페닐)-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29.3; 1.37 1H NMR (400 MHz, DMSO-d 6) δ = 10.58 (s, 1H), 8.78 (dd, J = 4.5, 1.6 Hz, 1H), 8.59 (d, J = 6.4 Hz, 1H), 8.41 (s, 1H), 8.37 - 8.30 (m, 2H), 8.00 (dd, J = 6.5, 2.3 Hz, 1H), 7.50 (dd, J = 9.2, 4.5 Hz, 1H), 7.43 (td, J = 8.0, 6.0 Hz, 1H), 7.24 (d, J = 7.8 Hz, 1H), 7.20 (dt, J = 10.3, 2.2 Hz, 1H), 7.13 (td, J = 8.5, 2.7 Hz, 1H), 5.44 (dd, J = 8.5, 6.4 Hz, 1H), 4.35 (td, J = 7.8, 2.6 Hz, 2H), 3.97 (ddd, J = 9.9, 8.0, 6.7 Hz, 1H), 2.94 (dddd, J = 11.8, 9.0, 6.6, 2.6 Hz, 1H), 2.28 (ddt, J = 14.1, 12.0, 4.9 Hz, 1H)
<실시예 30> ( S )- N- (4-플루오르-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염의 제조
Figure pat00175
단계 1: 3-((2-플루오르-5-나이트로페닐)에티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얻어진 화합물 3-에티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 (400mg, 2.79mmol), 1-플루오르-2-아이오도-4-나이트로벤젠(746mg, 2.79mmol)에 에틸아세테이트(9.3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질소를 흘리면서 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반응혼합물에 Pd(PPh3)4(161mg, 0.140mmol), CuI(53.2mg, 0.279mmol)와 DIPEA(976μL, 5.59mmol)를 첨가한 후 5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씻어주었다.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하에 농축한 후, 중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고체의 목적화합물 3-((2-플루오르-5-나이트로페닐)에티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619mg, 78%)을 수득하였다.
MS (m/z): 283.14 [M+1]+, UPLC r. t. (min) : 1.43
단계 2: 4-플루오르-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아닐린의 제조
상기 실시예 30의 단계 1에서 얻어진 화합물 3-((2-플루오르-5-나이트로페닐)에티닐)이미다조[1,2-b]피리다진(619mg, 2.193mmol), Fe(612mg, 10.97 mmol)과 염화암모늄(1173mg, 21.93mmol)을 에탄올/H2O(비율 4/1)의 혼합용액에 첨가하여 녹인 후, 80℃에서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한 후, 온도를 실온으로 낮추어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여 클로로폼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하에 농축하여 목적화합물4-플루오르-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아닐린(535mg, 97%)을 수득하였다
MS (m/z): 253.1 [M+1]+, UPLC r. t. (min) : 1.26
단계 3: N- (4-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5-페닐-4,5-다이하이드로-1H-피리졸-1-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0의 단계 2에서 얻어진 화합물 4-플루오르-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아닐린(100mg, 0.396mmol), 1,1'-카보닐다이이미다졸(96mg, 0.595mmol)과 DIPEA(277μL, 1.586mmol)을 DMF(1.321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1시간 30분 동안 교반 하고, 5-페닐-4,5-다이하이드로-1H-피라졸(103μL, 0.595mmol)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후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증류수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합한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여 농축 후 Prep-150 장치를 이용하여 정제한 후 목적화합물 N-(4-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5-페닐-4,5-다이하이드로-1H-피리졸-1-카복사마이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119mg, 56%)을 수득하였다.
MS (m/z): 438.2 [M+1]+, UPLC r. t. (min) : 1.85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5 (s, 1H), 8.71 (dd, J = 4.5, 1.5 Hz, 1H), 8.29 - 8.21 (m, 2H), 8.00 (dd, J = 6.4, 2.7 Hz, 1H), 7.73 (ddd, J = 9.1, 4.7, 2.8 Hz, 1H), 7.43 - 7.33 (m, 6H), 7.30 (d, J = 9.3 Hz, 1H), 5.41 (dd, J = 8.6, 5.9 Hz, 1H), 4.26 (td, J = 7.9, 3.0 Hz, 2H), 2.93 - 2.78 (m, 1H), 2.23 (dddd, J = 12.0, 9.6, 7.8, 5.8 Hz, 1H)
상기 실시예 30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1 내지 34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30 내지 34의 화합물명, 화학구조식, NMR 및 UPLC 분석 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 화합물명 UPLC
[M+1]+; r.t. (min)
1H NMR
30
Figure pat00176
(S)-N-(4-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28.3; 1.85 1H NMR (400 MHz, DMSO-d 6) δ = 9.65 (s, 1H), 8.71 (dd, J = 4.5, 1.5 Hz, 1H), 8.29 - 8.21 (m, 2H), 8.00 (dd, J = 6.4, 2.7 Hz, 1H), 7.73 (ddd, J = 9.1, 4.7, 2.8 Hz, 1H), 7.43 - 7.33 (m, 6H), 7.30 (d, J = 9.3 Hz, 1H), 5.41 (dd, J = 8.6, 5.9 Hz, 1H), 4.26 (td, J = 7.9, 3.0 Hz, 2H), 2.93 - 2.78 (m, 1H), 2.23 (dddd, J = 12.0, 9.6, 7.8, 5.8 Hz, 1H)
31
Figure pat00177
(S)-N-(2-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28.3; 1.71
32
Figure pat00178
(S)-N-(2-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29.3;1.14 1H NMR (400 MHz, DMSO-d 6) δ = 9.35 (s, 1H), 8.80 (s, 1H), 8.28 (d, J = 1.6 Hz, 1H), 8.25 (d, J = 1.7 Hz, 2H), 8.24 (d, J = 2.6 Hz, 1H), 7.81 (dd, J = 8.1, 5.1 Hz, 2H), 7.65 (td, J = 7.8, 1.7 Hz, 1H), 7.48 (ddd, J = 8.0, 6.3, 1.7 Hz, 1H), 7.40 (ddd, J = 9.3, 7.8, 4.5 Hz, 2H), 7.26 (t, J = 7.9 Hz, 1H), 6.89 - 6.73 (m, 1H), 5.59 (dd, J = 8.7, 5.8 Hz, 1H), 4.30 (dd, J = 8.1, 3.2 Hz, 7H), 4.05 - 3.97 (m, 5H), 2.94 (dddd, J = 15.5, 11.8, 7.0, 3.6 Hz, 2H), 2.41 - 2.28 (m, 1H)
33
Figure pat00179
(S)-N-(2,4-다이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46.2; 1.59
34
Figure pat00180
(S)-N-(2,4-다이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트리플로오르아세트산염 447.2; 1.16 1H NMR (400 MHz, DMSO-d 6) δ = 9.39 (s, 1H), 8.73 (dd, J = 4.5, 1.5 Hz, 1H), 8.33 - 8.22 (m, 3H), 8.07 (d, J = 8.0 Hz, 1H), 7.70 - 7.56 (m, 2H), 7.42 (dd, J = 9.2, 4.4 Hz, 1H), 7.31 - 7.25 (m, 1H), 5.53 (dd, J = 8.6, 5.7 Hz, 1H), 4.31 (td, J = 8.0, 3.1 Hz, 2H), 3.54 - 3.45 (m, 1H), 2.99 - 2.87 (m, 1H), 2.37 - 2.25 (m, 2H)
<실시예 35>( S )- N- (3-((8-아미노이미다조 [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Figure pat00181
단계 1: tert -부틸( tert -부톡시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이미다조[1,2-a]피리딘-8-아민(9g, 67.59mmol, 1 eq), DMAP(1.65g, 13.52mmol, 0.2 eq)과 TEA(28.22ml, 202.78mmol, 3 eq)를 THF(100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Boc)2O(32.45g, 148.70mmol, 34.16mL, 2.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C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 결과, 출발물질이 모두 사라졌으며 목적 화합물 66%가 검출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한 후, 크로마토그래피(SiO2, 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5/1 to 1/1)를 사용해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tert-부틸(tert-부톡시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12.5g, 37.49mmol, 55.47% yield, 100% purity)를 수득하였다.
MS (m/z): 334.2 [M+H]+
1H NMR (400 MHz, CDCl3) δ = 8.09 (dd, J = 1.0, 6.8 Hz, 1H), 7.61 (dd, J = 1.2, 15.6 Hz, 2H), 7.04 (dd, J = 1.0, 7.2 Hz, 1H), 6.77 (t, J = 7.0 Hz, 1H), 1.42 (s, 18H)
단계 2: tert -부틸( tert -부톡시카보닐)(3-아이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35의 단계 1에서 얻어진tert-부틸(tert-부톡시카보닐)(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12.5g, 37.49mmol, 1 eq)와 NIS (9.28g, 41.24mmol, 1.1 eq)를 CH3CN(100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25°C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 분석 결과 (PE/EA=1:3), 출발물질 중 5%가 남았으며 더 낮은 극성을 가지는 새로운 스팟이 검출되었다. 그 후 혼합물을 필터하였고, CH3CN(10mL)로 씻어주었다. 회수한 고체를 감압하에 건조하여 백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tert-부틸(tert-부톡시카보닐)(3-아이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14g, 30.09mmol, 80.24% yield, 98.79% purity)를 수득하였다.
MS (m/z): 460.3 [M+H]+
1H NMR (400 MHz, MeOD) δ = 8.35 (dd, J = 1.0, 6.8 Hz, 1H), 7.66 (s, 1H), 7.32 - 7.31 (dd, J = 1.0, 7.2 Hz, 1H), 7.13 (t, J = 7.2 Hz, 1H), 1.34 (s, 18H)
단계 3: tert -부틸( S )-( tert -부톡시카보닐)(3-((3-(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미도)페닐)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35의단계 2에서 얻어진tert-부틸(tert-부톡시카보닐)(3-아이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2.36g, 5.13mmol, 1 eq), 상기 제조예 21에서 얻어진(S)-N-(3-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1.5g, 5.13mmol, 1 eq)와 TEA(1.56g, 15.39mmol, 2.14mL, 3 eq)를 DMF(15mL)에 첨가하여 녹인 후, Pd(PPh3)4 (1.19g, 1.03mmol, 0.2 eq)와 CuI(293.17mg, 1.54mmol, 0.3 eq)를 첨가하였다. 질소 기류 하에 혼합물을 25°C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 결과 (PE/EA=1:1), 출발물질이 모두 사라졌으며 더 높은 극성을 가지는 새로운 스팟이 검출되었다. 반응 종결 후, 에탈아세테이트 및 소금물을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한 화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4/1 to 2/1)를 사용해 정제하여 황백색의 목적화합물 tert-부틸(S)-(tert-부톡시카보닐)(3-((3-(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미도)페닐)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4.3g, 4.48mmol, 61.50% yield, 65% purity)를 수득하였다.
MS (m/z): 424.3 [M+H]+
1H NMR (400 MHz, CDCl3) δ = 8.32 (dd, J = 1.0, 6.8 Hz, 1H), 7.97 (s, 1H), 7.89 (s, 1H), 7.86 (t, J = 1.6 Hz, 1H), 7.72 - 7.64 (m, 2H), 7.50 - 7.43 (m, 4H), 7.40 - 7.34 (m, 2H), 7.31 - 7.28 (m, 1H), 5.55 (dd, J = 5.8, 8.4 Hz, 1H), 4.33 - 4.20 (m, 1H), 4.04 - 3.92 (m, 1H), 2.91 - 2.79 (m, 1H), 2.53 - 2.35 (m, 1H), 1.42 (s, 18H)
단계 4: ( S )- N- (3-((8-아미노이미다조 [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5의단계 3에서 얻어진tert-부틸(S)-(tert-부톡시카보닐)(3-((3-(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미도)페닐)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3.9g, 6.25mmol, 1 eq)를 EtOAc(10mL)에 녹인 후, HCl/EtOAc (4M, 30mL, 19.19 eq)를 첨가한다. 혼합물을 25°C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 결과, 출발물질이 모두 사라졌으며, 목적 화합물 80%가 검출되었다. 반응 종료 후, 감압 농축하여 갈색의 목적화합물(S)-N-(3-((8-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2.4g, 5.67mmol, 90.64% yield)를 얻었다. 300mg의 목적화합물을 prep-HPLC (column: Xtimate C18 150 * 40mm * 10μm; mobile phase: [water (0.05% ammonia hydroxide v/v)-ACN]; B%: 40% - 70%, 10 min]; B%: 40% - 70%, 10min)을 통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S)-N-(3-((8-아미노이미다조 [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45mg, 100% purity, 96.82% e.e.)를 얻었다.
MS (m/z): 424.3 [M+H]+
1H NMR (400 MHz, MeOD) δ = 7.89 - 7.87 (dd, J = 0.8, 6.4 Hz, 1H), 7.85 - 7.84 (m, 1H), 7.74 (s, 1H), 7.57 - 7.54 (m, 1H), 7.43 - 7.41 (m, 2H), 7.37 - 7.32 (m, 3H), 7.31 - 7.28 (m, 1H), 7.27 - 7.23 (m, 1H), 6.92 - 6.88 (dd, J = 6.8, 7.6 Hz, 1H), 6.57 - 6.55 (dd, J = 1.2, 7.6 Hz, 1H), 5.48 - 5.45 (dd, J = 6.0, 8.4 Hz, 1H), 4.30 - 4.25 (m, 1H), 4.01 - 3.95 (m, 1H), 2.93 - 2.85 (m, 1H), 2.38 - 2.29 (m, 1H)
<실시예 36>( S )- N- (3-((8-(사이클로프로페인카복사미도)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Figure pat00182
단계 1: ( S )- N- (3-((8-(사이클로프로페인카복사미도)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5에서 얻어진 화합물 (S)-N-(3-((8-아미노이미다조 [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200mg, 472.29 umol, 1 eq)를 DCM(1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TEA(143.37mg, 1.42mmol, 197.21uL, 3 eq)를 첨가한다. 그 후, DCM(1mL)에 희석되어 있는 사이클로프로페인카보닐 클로라이드(43.36μL, 477.02μmol, 1.01 eq)를 0°C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0°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뒤, 25°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 결과, 출발물질 중 4%가 남았으며 목적화합물 73.65% 검출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한 후, prep-HPLC(column: Unisil 3-100 C18 Ultra 150*50mm*3 um; mobile phase: [water (0.225%FA)-ACN]; B%: 50%-80%, 10min)을 통해 정제하여 적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S)-N-(3-((8-(사이클로프로페인카복사미도)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68mg, 138.34μmol, 29.29% yield, 100% purity, 98.85% e.e.)를 수득하였다.
MS (m/z): 492.5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 10.43 (s, 1H), 9.56 (s, 1H), 8.30 - 8.28 (dd, J = 0.8, 7.6 Hz, 1H), 8.11 - 8.09 (m, 1H), 8.03 (s, 1H), 7.99 - 7.98 (m, 1H), 7.72 - 7.69 (m, 1H), 7.41 - 7.32 (m, 6H), 7.30 - 7.25 (m, 1H), 7.1 - 7.09 (t, J = 4.0 Hz, 1H), 5.44 - 5.40 (m, 1H), 4.29 - 4.24 (m, 1H), 2.89 - 2.85 (m, 1H), 2.35 - 2.32 (m, 1H), 2.29 - 2.2 (m, 1H), 0.86 - 0.8.0 (m, 4H)
상기 나열된 방법으로 실시예 35, 36을 제조하였고, 실시예 36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7 내지 39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35 내지 39의 화합물명, 화학구조식, NMR 및 UPLC 분석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 화합물명 UPLC
[M+1]+
1H NMR
35
Figure pat00183
(S)-N-(3-((8-아미노이미다조 [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24.3 1H NMR (400 MHz, MeOD) δ= 7.89 - 7.87 (dd, J = 0.8, 6.4 Hz, 1H), 7.85 - 7.84 (m, 1H), 7.74 (s, 1H), 7.57 - 7.54 (m, 1H), 7.43 - 7.41 (m, 2H), 7.37 - 7.32 (m, 3H), 7.31 - 7.28 (m, 1H), 7.27 - 7.23 (m, 1H), 6.92 - 6.88 (dd, J = 6.8, 7.6 Hz, 1H), 6.57 - 6.55 (dd, J = 1.2, 7.6 Hz, 1H), 5.48 - 5.45 (dd, J = 6.0, 8.4 Hz, 1H), 4.30 - 4.25 (m, 1H), 4.01 - 3.95 (m, 1H), 2.93 - 2.85 (m, 1H), 2.38 - 2.29 (m, 1H)
36
Figure pat00184
(S)-N-(3-((8-(사이클로프로페인카복사미도)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92.5 1H NMR (400 MHz, DMSO-d 6) δ = 10.43 (s, 1H), 9.56 (s, 1H), 8.30 - 8.28 (dd, J = 0.8, 7.6 Hz, 1H), 8.11 - 8.09 (m, 1H), 8.03 (s, 1H), 7.99 - 7.98 (m, 1H), 7.72 - 7.69 (m, 1H), 7.41 - 7.32 (m, 6H), 7.30 - 7.25 (m, 1H), 7.1 - 7.09 (t, J = 4.0 Hz, 1H), 5.44 - 5.40 (m, 1H), 4.29 - 4.24 (m, 1H), 2.89 - 2.85 (m, 1H), 2.35 - 2.32 (m, 1H), 2.29 - 2.2 (m, 1H), 0.86 - 0.8.0 (m, 4H)
37
Figure pat00185
(S)-N-(3-((8-(에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52.3 1H NMR (400 MHz, MeOD) δ = 7.85 - 7.82 (m, 2H), 7.72 (s, 1H), 7.57 - 7.54 (m, 1H), 7.45 - 7.40 (m, 2H), 7.38 - 7.32 (m, 3H), 7.31 - 7.29 (m, 1H), 7.28 - 7.23 (m, 1H), 6.97 - 6.94 (dd, J = 6.4, 7.2 Hz, 1H), 6.37 - 6.35 (d, J = 7.2 Hz, 1H), 5.59 - 5.45 (dd, J = 6.0, 8.4 Hz, 1H), 4.58 (s, 1H), 4.30 - 4.26 (m, 1H), 4.02 - 3.96 (m, 1H), 3.35 - 3.32 (m, 2H), 2.93 - 2.88 (m, 1H), 2.39 - 2.30 (m, 1H), 1.38 - 1.34 (t, J = 7.2 Hz, 3H)
38
Figure pat00186
(S)-3-페닐-N-(3-((8-((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08.5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6 (s, 1H), 7.96 - 7.95 (m, 1H), 7.86 (s, 1H), 7.82 - 7.80 (m, 1H), 7.71 - 7.68 (m, 1H), 7.41 - 7.35 (m, 5H), 7.31 - 7.26 (m, 2H), 8.95 - 8.91 (t, J = 16.0 Hz, 1H), 6.42 - 6.41 (m, 1H), 5.91 - 5.89 (d, J = 8.0 Hz, 1H), 5.44 - 5.4 (m, 1H), 3.93 - 3.87 (m, 3H), 3.73 - 3.66 (m, 1H), 3.48 - 3.42 (m, 2H), 2.9 - 2.85 (m, 1H), 2.26 - 2.3 (m, 1H), 1.94 - 1.9 (m, 2H), 1.65 - 1.55 (m, 2H)
39
Figure pat00187
(S)-메틸 3-((3-(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미도)페닐)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 482.4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6 (s, 1H), 9.4 (s, 1H), 8.30 - 8.28 (dd, J = 0.8, 6.8 Hz, 1H), 8.0 - 7.98 (m, 2H), 7.78 - 7.76 (m, 1H), 7.72 - 7.69 (m, 1H), 7.41 - 7.32 (m, 6H), 7.29 - 7.25 (m, 1H), 7.14 - 7.10 (t, J = 16.0 Hz, 1H), 5.44 - 5.4 (m, 1H), 4.29 - 4.24 (m, 1H), 3.93 - 3.87 (m, 1H), 3.73 (s, 3H), 2.89 - 2.84 (m, 1H), 2.26 - 2.21 (m, 1H)
<실시예 40>( S )- N- (3-((8-((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Figure pat00188
단계 1: 8-브로모-3-아이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의 제조
8-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4.8g, 24.36mmol, 1 eq)과 NIS(5.76g, 25.58mmol, 1.05 eq)를 아세토나이트릴(100mL)에 녹인 후, 25°C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출발 물질 모두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목적화합물 97.84%가 검출되었다. 물(500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한 후, 이로부터 생성된 노란색의 고체 목적화합물 8-브로모-3-아이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6.9g, 21.37mmol, 87.71% yield)을 수득하였다.
MS (m/z): 332.8 [M+H]
1H NMR (400MHz, DMSO-d 6) δ = 8.37 (d, J = 6.4 Hz, 1H), 7.85 - 7.75 (m, 1H), 7.69 (d, J = 6.8 Hz, 1H), 6.99 (t, J = 7.2 Hz, 1H)
단계 2: ( S )- N- (3-((8-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21에서 얻어진(S)-N-(3-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2g, 6.84mmol, 1eq), 상기 실시예 40의단계 1에서 얻어진8-브로모-3-아이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2.61g, 8.07mmol, 1.18 eq), Pd(PPh3)4 (830.11mg, 718.20μmol, 0.105 eq), TEA (4.76mL, 34.20mmol, 5 eq)와 CuI(299.68mg, 1.57mmol, 0.23 eq)를 에틸아세테이트(20mL)에 녹인 후, 세 차례 질소 치환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질소 조건하에 25°C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PE:EA = 1:1)를 통해 출발 물질 모두 반응이 진행되어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하에 농축한 후 역상 컬럼으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S)-N-(3-((8-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2.5g, 5.09mmol, 74.48% yield, 99.31% purity, 96.57% e.e.)을 수득하였다.
MS (m/z): 489.0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7 (s, 1H), 8.63 (dd, J = 0.8, 6.8 Hz, 1H), 8.08 (s, 1H), 8.00 (d, J = 1.6 Hz, 1H), 7.79 (dd, J = 0.8, 7.6 Hz, 1H), 7.73 - 7.70 (m, 1H), 7.42 - 7.33 (m, 6 H), 7.31 - 7.24 (m, 1 H), 7.07 (t, J = 7.2 Hz, 1H), 5.42 (dd, J = 6.0, 7.4 Hz, 1H), 4.30 - 4.25 (m, 2.93 Hz, 1H), 3.96 - 3.85 (m, 1H), 2.94- 2.79 (m, 1H), 2.30 - 2.16 (m, 1H).
단계 3: ( S )- N- (3-((8-((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2에서 얻어진(S)-N-(3-((8-브로모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200mg, 410.39μmol, 1 eq)와 5-메틸-1H-피라졸-3-아민(59.78mg, 615.58μmol, 1.5 eq)를 다이옥세인(40mL)에 녹인 후, KOAc(120.83mg, 1.23mmol, 3 eq), Pd2(dba)3 (75.16mg, 82.08μmol, 0.2 eq)와 di-tert-부틸-[2-(2,4,6-트리아이소프로필페닐)페닐]포스페인(52.28mg, 123.12μmol, 0.3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100 °C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PE:EA = 2:5)를 통해 출발 물질 모두 반응이 진행되어 여러 개의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응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하에 농축한 후, Prep-TLC (PE:EA = 2:5)를 이용하여 1차 정제하였다. 이후 Prep-HPLC(column: Waters Xbridge 150 * 25mm * 5μm; mobile phase: [water (0.05% ammonia hydroxide v/v)-ACN]; B%: 50%-80%, 10 min)로 2차 정제하여 황백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S)-N-(3-((8-((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15mg, 28.87μmol, 7.04% yield, 96.92% purity, 100% e.e.)를 수득하였다.
MS (m/z): 504.2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 11.81 (d, J = 1.6 Hz, 1H), 9.54 (s, 1H), 8.67 (s, 1H), 7.95 - 7.92 (m, 2H), 7.91 (s, 1H), 7.83 (d, J = 7.6 Hz, 1H), 7.70 - 7.66 (m, 1H), 7.40 - 7.32 (m, 5H), 7.31 - 7.22 (m, 2H), 6.99 (dd, J = 6.8, 7.6 Hz, 1H), 5.91 (s, 1H), 5.40 (dd, J = 6.0, 8.4 Hz, 1H), 4.257 - 4.22 (m, 1H), 3.92 - 3.83 (m, 1H), 2.90 - 2.79 (m, 1H), 2.28 - 2.20 (m, 1H), 2.18 (s, 3H)
상기 실시예 40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41 내지 45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40 내지 45의 화합물명, 화학구조식, NMR 및 UPLC 분석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 화합물명 UPLC
[M+1]+
1H NMR
40
Figure pat00189
(S)-N-(3-((8-((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04.2 1H NMR (400 MHz, DMSO-d 6) δ = 11.81 (d, J = 1.6 Hz, 1H), 9.54 (s, 1H), 8.67 (s, 1H), 7.95 - 7.92 (m, 2H), 7.91 (s, 1H), 7.83 (d, J = 7.6 Hz, 1H), 7.70 - 7.66 (m, 1H), 7.40 - 7.32 (m, 5H), 7.31 - 7.22 (m, 2H), 6.99 (dd, J = 6.8, 7.6 Hz, 1H), 5.91 (s, 1H), 5.40 (dd, J = 6.0, 8.4 Hz, 1H), 4.257 - 4.22 (m, 1H), 3.92 - 3.83 (m, 1H), 2.90 - 2.79 (m, 1H), 2.28 - 2.20 (m, 1H), 2.18 (s, 3H)
41
Figure pat00190
(S)-N-(3-((8-((1-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04.2 1H NMR (400MHz, DMSO-d 6) δ = 9.56 (s, 1H), 8.85 (s, 1H), 8.00 - 7.96 (m, 2H), 7.95 (s, 1H), 7.86 (d, J = 7.6 Hz, 1H), 7.71 (d, J=7.2 Hz, 1H), 7.55 (d, J = 2.2 Hz, 1H), 7.43 - 7.35 (m, 5H), 7.34 - 7.25 (m, 2H), 7.07 - 7.02 (m, 1H), 6.12 (d, J=2.2 Hz, 1H), 5.43 (dd, J = 6.2, 8.6 Hz, 1H), 4.32 - 4.22 (m, 1H), 3.96 - 3.86 (m, 1H), 2.92 - 2.82 (m, 1H), 2.30 - 2.19 (m, 1H)
42
Figure pat00191
(S)-N-(3-((8-((1-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04.2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5 (s, 1H), 8.17 (s, 1H), 7.96 (s, 1H), 7.93 - 7.87 (m, 2H), 7.81 (s, 1H), 7.70 (br d, J = 8.4 Hz, 1H), 7.51 (s, 1H), 7.43 - 7.34 (m, 5H), 7.33 - 7.24 (m, 2H), 6.94 (t, J = 7.2 Hz, 1H), 6.57 (d, J = 7.6 Hz, 1H), 5.42 (dd, J = 6.0, 8.0 Hz, 1H), 4.32 - 4.22 (m, 1H), 3.94 - 3.86 (m, 1H), 3.83 (s, 3H), 2.92 - 2.81 (m, 1H), 2.29 - 2.19 (m, 1H)
43
Figure pat00192
(S)-N-(3-((8-(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64.4 1H NMR (400 MHz, MeOD) δ = 7.90 - 7.88 (dd, J = 0.8, 6.8 Hz, 1H), 7.85 - 7.84 (m, 1H), 7.71 (s, 1H), 7.57 - 7.54 (m, 1H), 7.43 - 7.42 (m, 2H), 7.37 - 7.33 (m, 3H), 7.31 - 7.29 (m, 1H), 7.27 - 7.24 (m, 1H), 7.01 - 6.97 (dd, J = 6.8, 7.6 Hz, 1H), 6.74 - 6.72 (dd, J = 0.8, 7.6 Hz, 1H), 5.49 - 5.45 (dd, J = 6.0, 8.8 Hz, 1H), 4.58 (s, 2H), 4.30 - 4.26 (m, 1H), 4.02 - 3.96 (m, 1H), 2.94 - 2.88 (m, 1H), 2.61 - 2.56 (m, 1H), 2.39 - 2.30 (m, 1H), 0.88 - 0.83 (m, 2H), 0.63 - 0.59 (m, 2H)
44
Figure pat00193
(S)-3-페닐-N-(3-((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00.3 1H NMR (400MHz, DMSO-d 6) δ = 9.57 (s, 1H), 8.50 (s, 1H), 8.04 (dd, J = 1.6, 6.0 Hz, 1H), 8.00 - 7.95 (m, 2H), 7.71 (br d, J = 8.6 Hz, 1H), 7.43 - 7.32 (m, 10H), 7.31 - 7.25 (m, 1H), 7.05 - 6.96 (m, 3H), 5.43 (dd, J = 6.0, 8.4 Hz, 1H), 4.32 - 4.22 (m, 1H), 3.96 - 3.86 (m, 1H), 2.96 - 2.80 (m, 1H), 2.32 - 2.17 (m, 1H)
45
Figure pat00194
(S)-N-(3-((8-((1-(1-메틸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87.3 1H NMR (400MHz, MeOD) δ = 7.84 (dd, J = 0.8, 6.8 Hz, 1H), 7.77 (t, J = 1.6 Hz, 1H), 7.75 (s, 1H), 7.69 (s, 1H), 7.50 (d, J = 0.6 Hz, 1H), 7.48 - 7.43 (m, 1H), 7.35 - 7.31 (m, 2H), 7.29 - 7.21 (m, 4H), 7.21 - 7.14 (m, 1H), 6.85 (dd, J = 6.8, 7.6 Hz, 1H), 6.53 (dd, J = 0.8, 7.6 Hz, 1H), 5.37 (dd, J = 6.0, 8.4 Hz, 1H), 4.32 (m, 1H), 4.18 (m, 1H), 3.89 (m, 1H), 3.33 (m, 2H), 2.88 - 2.75 (m, 3H), 2.63 (s, 3H), 2.28 - 2.16 (m, 2H), 2.24 - 2.15 (m, 4H)
<실시예 46>( S )- N- (3-(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Figure pat00195
단계 1: ( S )- N- (3-(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의 제조
3-아이오도이미다조[1,2-a]피리딘(200mg, 819.56μmol, 1 eq)을 DMF(7mL)에 녹인 후, CuI(46.83mg, 245.87μmol, 0.3 eq), Pd(PPh3)4(189.41mg, 163.91μmol, 0.2 eq)과 TEA(570.37μL, 4.10mmol, 5 eq)를 25°C에서 질소기류 하에 첨가한다. 그 후, DMF(3mL)에 희석된 상기 제조예 21에서 얻어진(S)-N-(3-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150mg, 513.12μmol, 0.6 eq)를 천천히 적가하고 반응혼합물을 25°C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 결과, 출발물질이 모두 사라졌으며, 목적 화합물 49.5%가 검출되었다. 물(20mL)와 NH3·H2O(20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한 후 EtOAc(40mL*2)와 소금물(100mL)을 이용해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화합물을 prep-HPLC(column: Xtimate C18 150*40mm*10um; mobile phase: [water (0.05% ammonia hydroxide v/v)-ACN]; B%: 44%-74%,10min)을 통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S)-N-(3-(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125mg, 302.24μmol, 36.88% yield, 98.76% purity, 96.68% e.e.)를 수득하였다.
MS (m/z): 409.4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6 (s, 1H), 8.60 - 8.58 (d, J = 1.2 Hz, 1H), 8.03 (s, 1H), 7.99 - 7.98 (s, 1H), 7.74 - 7.69 (m, 2H), 7.46 - 7.42 (m, 1H), 7.41 -7.37 (m, 4H), 7.40 - 7.39 (m, 2H), 7.38 (m, 1 H), 7.17 - 7.14 (m, 1H), 5.44 - 5.41 (m, 1H), 4.30 - 5.41 (m, 1H), 3.93 - 3.87 (m, 1H), 2.89 - 2.86 (m, 1H), 2.27 - 2.23 (m, 1H)
상기 실시예 46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47 내지 61을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46 내지 61의 화합물명, 화학구조식, NMR 및 UPLC 분석 결과를 하기 표 6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 화합물명 UPLC
[M+1]+
1H NMR
46
Figure pat00196
(S)-N-(3-(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09.4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6 (s, 1H), 8.60 - 8.58 (d, J = 1.2 Hz, 1H), 8.03 (s, 1H), 7.99 - 7.98 (s, 1H), 7.74 - 7.69 (m, 2H), 7.46 - 7.42 (m, 1H), 7.41 -7.37 (m, 4H), 7.40 - 7.39 (m, 2H), 7.38 (m, 1 H), 7.17 - 7.14 (m, 1H), 5.44 - 5.41 (m, 1H), 4.30 - 5.41 (m, 1H), 3.93 - 3.87 (m, 1H), 2.89 - 2.86 (m, 1H), 2.27 - 2.23 (m, 1H)
47
Figure pat00197
(S)-3-페닐-N-(3-(피라졸로[1,5-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0.3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4 (s, 1H), 9.22 - 9.21 (d, J = 5.6 Hz, 1H), 8.70 - 8.69 (m, 1H), 8.52 (s, 1H), 7.91 (s, 1H), 7.67 - 7.64 (m, 1H), 7.41 - 7.31 (m, 5H), 7.20 (m, 1H), 7.20 - 7.18 (m, 2H), 5.44 - 5.41 (m, 1H), 4.28 - 4.24 (m, 1H), 3.93 - 3.87 (m, 1H), 2.87 - 2.84 (m, 1H), 2.26 - 2.21 (m, 1H)
48
Figure pat00198
(S)-N-(3-(이미다조[1,2-a]피라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0.3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9 (s, 1H), 9.19 (s, 1H), 8.67 - 8.66 (m, 1H), 8.24 (s, 1H), 8.12 - 8.11 (d, J = 4.8 Hz, 1H), 8.02 (s, 1H), 7.74 - 7.71 (m, 1H), 7.40 - 7.36 (m, 6H), 7.30 - 7.26 (m, 1H), 5.45 - 5.41 (m, 1H), 4.30 - 4.26 (m, 1H), 3.94 - 3.88 (m, 1H), 2.91 - 2.84 (m, 1H), 2.29 - 2.22 (m, 1H)
49
Figure pat00199
(S)-N-(3-(이미다조[1,2-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0.4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6 (s, 1H), 9.05 - 9.04 (d, J = 2.0 Hz, 1H), 8.69 - 8.67 (m, 1H), 8.18 (s, 1H), 8.0 (s, 1H), 7.71 - 7.69 (m, 1H), 7.40 - 7.34 (m, 6H), 7.27 - 7.25 (m, 2H), 5.43 - 5.40 (m, 1H), 4.29 - 4.24 (m, 1H), 3.93 - 3.86 (m, 1H), 2.90 - 2.82 (m, 1H), 2.28 - 2.19 (m, 1H)
50
Figure pat00200
(R)-N-(3-(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09.4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4 (s, 1H), 8.59 - 8.57 (d, J = 6.8 Hz, 1H), 8.01 (s, 1H), 7.98 - 7.97 (t, J = 4 Hz, 1H), 7.73 - 7.67 (m, 2H), 7.45 - 7.31 (m, 7H), 7.29 - 7.25 (m, 1H),7.16 - 7.12 (m, 1H), 5.43 - 5.4 (dd, J = 6.0, 8.8 Hz, 1H), 4.28 - 4.23 (m, 1H), 3.92 - 3.86 (m, 1H), 2.88 - 2.84 (m, 1H), 2.25 - 2.22(m, 1H)
51
Figure pat00201
(R)-3-페닐-N-(3-(피라졸로[1,5-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0.3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3 (s, 1H), 9.22 - 9.20 (m, 1H), 8.70 - 8.68 (m, 1H), 8.52(s, 1H), 7.91 (s, 1H), 7.66 - 7.64 (d, J = 8.0, 1H), 7.41 - 7.31 (m, 5H), 7.29 - 7.26 (m, 1H), 7.21 - 7.18 (m, 2H), 5.44 - 5.40 (m, 1H), 3.93 - 3.87 (m, 1H), 2.90 - 2.82 (m, 1H), 2.28 - 2.21 (m, 1H)
52
Figure pat00202
(R)-N-(3-(이미다조[1,2-a]피라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0.3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9 (s, 1H), 9.20 - 9.19 (d, J = 1.6 Hz, 1H), 8.68 - 8.66 (m, 1H), 8.24 (s, 1H), 8.12 - 8.10 (d, J = 4.8 Hz, 1H), 8.03 (m, 1H), 7.74 - 7.71 (m, 1H), 7.42 - 7.35 (m, 6H), 7.30 - 7.26 (m, 1H), 5.44 - 5.40 (m, 1H), 4.30 - 4.25 (m, 1H), 3.93 - 3.87 (m, 1H), 2.91 - 2.83 (m, 1H), 2.29 - 2.23 (m, 1H)
53
Figure pat00203
(R)-N-(3-(이미다조[1,2-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0.4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6 (s, 1H), 9.05 - 9.03 (m, 1H), 8.69 - 8.67 (dd, J = 1.6, 5.6 Hz, 1H), 8.18 (s, 1H), 8.0 (s, 1H), 7.71 - 7.69 (m, 1H), 7.40 - 7.34 (m, 6H), 7.29 - 7.25 (m, 2H), 5.43 - 5.40 (m, 1H), 4.29 - 4.25 (m, 1H), 3.93 - 3.87 (m, 1H), 2.87 - 2.85 (m, 1H), 2.26 - 2.22 (m, 1H)
54
Figure pat00204
(S)-N-(3-((6-메틸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84.1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5 (s, 1H), 8.62 (d, J = 2.0 Hz, 1H), 7.92 (t, J = 1.6 Hz, 1H), 7.85 (dd, J = 2.4, 8.0 Hz, 1H), 7.68 (dd, J = 1.2, 8.4 Hz, 1H), 7.42 - 7.18 (m, 8H), 5.41 (dd, J = 6.0, 8.4 Hz, 1H), 4.26 (dt, J = 2.8, 8.0 Hz, 1H), 3.94 - 3.84 (m, 1H), 3.32 - 3.32 (m, 3H), 2.94 - 2.77 (m, 1H), 2.30 - 2.16 (m, 1H)
55
Figure pat00205
(S)-N-(3-((5-메톡시 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00.1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3 (s, 1H), 8.40 (d, J = 2.0 Hz, 1H), 7.94 -7.82 (m, 2H), 7.66 (dd, J = 1.2, 8.4 Hz, 1H), 7.42 -7.30 (m, 5H), 7.30 -7.24 (m, 1H), 7.20 (d, J = 7.6 Hz, 1H), 6.90 - 6.88 (d, J = 8.4 Hz, 1H), 4.25 (td, J = 2.8, 8.0 Hz, 1H), 3.97 -3.84 (m, 4H), 2.94 -2.77 (m, 1H), 2.29 -2.16 (m, 1H)
56
Figure pat00206
(S)-N-(3-((1H-피라졸로[3,4-b]피리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0.1 1H NMR (400 MHz, DMSO-d 6) δ = 13.90 (br s, 1H), 9.55 (s, 1H), 8.68 (d, J = 2.0 Hz, 1H), 8.47 (d, J = 2.0 Hz, 1H), 8.20 (s, 1H), 7.94 (t, J = 1.6 Hz, 1H), 7.68 (dt, J = 1.2, 7.2 Hz, 1H), 7.44 -7.32 (m, 5H), 7.30 -7.22 (m, 2H), 5.42 (dd, J = 2.4, 8.4 Hz, 1H), 4.26 (td, J = 2.8, 8.0 Hz, 1H), 4.00 -3.78 (m, 1H), 2.92 -2.81 (m, 1H), 2.30 -2.18 (m, 1H)
57
Figure pat00207
(S)-N-(3-((7-옥소-5,6,7,8-테트라하이드로-1,8-나프티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39.0 1H NMR (400 MHz, DMSO-d 6) δ = 10.70 (s, 1H), 9.54 (s, 1H), 8.30 (d, J = 2.0 Hz, 1H), 7.90 (t, J = 1.6 Hz, 1H), 7.79 (d, J = 1.2 Hz, 1H), 7.69 -7.64 (m, 1H), 7.42 -7.24 (m, 6H), 7.22 -7.17 (m, 1H), 5.41 (dd, J = 5.6, 8.4 Hz, 1H), 4.26 (td, J = 2.8, 8.0 Hz, 1H), 3.89 (m, 1H), 2.97 -2.81 (m, 3H), 2.55 (br s, 2H), 2.29 -2.17 (m, 1H)
58
Figure pat00208
(S)-N-(3-((2-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86.1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2 (s, 1H), 8.42 (s, 2H), 7.86 (t, J = 1.6 Hz, 1H), 7.66 - 7.61 (m, 1H), 7.42 (m, 6H), 7.19 - 7.11 (m, 3H), 5.41 (dd, J = 6.0, 8.4 Hz, 1H), 4.28 - 4.23 (m, 1H), 3.92 - 3.86 (m, 1H), 2.92 - 2.78 (m, 1H), 2.31 - 2.16 (m, 1H)
59
Figure pat00209
(S)-N-(3-((2-(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26.3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2 (s, 1H), 8.48 (s, 2H), 7.91 - 7.81 (m, 2H), 7.63 (dd, J = 1.2, 8.4 Hz, 1H), 7.40 - 7.25 (m, 6H), 7.15 (d, J = 7.6 Hz, 1H), 5.40 (dd, J = 6.0, 8.4 Hz, 1H), 4.27 - 4.22 (m, 1H), 3.95 - 3.80 (m, 1H), 2.88 - 2.81 (m, 1H), 2.77 - 2.71 (m, 1H), 2.28 - 2.16 (m, 1H), 0.70 - 0.66 (m, 2H), 0.52 - 0.47 (m, 2H)
60
Figure pat00210
(S)-N-(3-((2-((3-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44.1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2 (s, 1H), 8.45 (br d, J = 11.0 Hz, 2H), 7.85 (s, 1H), 7.69 -7.60 (m, 2H), 7.40 -7.24 (m, 6H), 7.15 (d, J = 8 Hz, 1H), 5.41 (dd, J = 2.4, 8.4 Hz, 1H), 4.47 (t, J = 5.2 Hz, 1H), 4.25 (td, J = 2.8, 8.0 Hz, 1H), 3.96 -3.79 (m, 1H), 3.47 (q, J = 6.0 Hz, 2H), 3.35 (br s, 2H), 2.90 -2.80 (m, 1H), 2.28 -2.17 (m, 1H), 1.68 (quin, J = 6.8 Hz, 2H)
61
Figure pat00211
(S)-N-(3-((2-(이소부틸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42.1 1H NMR (400 MHz, DMSO-d 6) δ = 9.52 (s, 1H), 8.44 (br d, J = 5.2 Hz, 2H), 7.85 (s, 1H), 7.76 (br t, J = 6.0 Hz, 1H), 7.66 -7.61 (m, 1H), 7.41 -7.24 (m, 6H), 7.15 (br d, J = 7.6 Hz, 1H), 5.41 (dd, J = 6.0, 8.4 Hz, 1H), 4.25 (td, J = 2.8, 8.0 Hz, 1H), 3.94 -3.82 (m, 1H), 3.12 (t, J = 6.4 Hz, 2H), 2.90 -2.80 (m, 1H), 2.29 -2.18 (m, 1H), 1.91 -1.78 (m, 1H), 0.88 (d, J = 6.8 Hz, 6H)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저해 활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RIPK1 저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 중, 선별된 실시예 4에 대하여, DiscoverX 사에 의뢰하여 효소(kinase) 선택성을 측정하기로 하고, scanMAXTM Kinase 분석용 패널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효소에 처리되는 약물의 농도는 DMSO에 1μM로 하였고, 하기 식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절 백분율(% control)을 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식 1]
(실시예 화합물 - 양성 대조군)/(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 x 100
여기서, 상기 양성 대조군은 0%의 조절 백분율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말하며, 음성 대조군은 DMSO로 100%의 조절 백분율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효소 선택성은 효소에 대하여 조절 백분율이 <35% (즉 35% 미만)이면 해당 효소에 대하여 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키나아제 실시예 4
RIPK1 0
상기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은 RIPK1에 대하여 조절 백분율 35%보다 작은 값을 가지므로, RIPK1에 대하여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을 RIPK1 관련 질환에 사용할 경우 유용한 효과가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며, 따라서, RIPK1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2>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1) 효소 저해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의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1) 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을 정제된 human GST-RIPK1(1-375, signalchem) 효소와 반응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효소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반응 버퍼는 40mM Tris-HCl pH 7.4, 20mM MgCl2, 0.5mg/mL BSA, 및 0.5uM DTT 조성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시험물은 반응 버퍼상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시험시 human GST-RIPK1(1-375, 10ng)효소, 정제된 ATP(50uM), 및 특이적인 기질용액을 25℃ 상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효소활성은 in vitro ADP-GloTM kinase assay(promega)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2:2:1 비율로 효소활성반응액, ADP-Glo 반응액, 및 효소능 detection 용액을 반응시켜서 Luminoscence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용매대조군 효소활성의 형광도를 기준으로 각 화합물들의 처리 농도에 따른 효소활성 저해 정도를 산출하였으며, 이때 효소활성 저해를 50% 억제하는 각 화합물의 농도를 IC50(nM) 값으로 결정하였다. 각 화합물의 IC50는 3개씩의 데이터 세트로 결정하였고, 프리즘(버전 7.01, 그래프패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8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세포사멸유도 조건에서의 세포 보호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TNF-α에 따른 세포사멸유도 조건에서 세포 보호 효과능을 나타내는지 MT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세포 외부에서 TNF-α와 같은 세포사멸유도인자를 처리하고, FADD가 결핍된 사람 Jurkat T세포(I2.I Cell)의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 보호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하기와 같은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FADD가 결핍된 Jurkat T 세포주는 10% FBS를 포함하는 RPMI 배지(Hyclone)를 이용하여 세포배양을 하며, 시험 수행시에는 세포주에 맞는 배지가 들어있는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10,000 세포/웰의 농도로 분주한 후, 5% CO2 및 37℃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각 웰에 TNF-α를 40 ng이 되게 처리하고,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화합물들을 각각 1 μM을 최고농도로 하여 3배 농도구배를 주어 처리하였으며, 용매 대조군으로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를 화합물 처리시 사용한 것과 동일한 0.05 %(v/v)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후, 각 세포를 5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의 생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 배양된 세포의 배지에 CellTiter-Glo®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 Kit(Promega)에서 제공되는 혼합물을 첨가하고, 37℃ 조건에서 30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 후, Luminoscence 형광도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용매대조군 세포의 형광도를 기준으로 각 화합물들의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사멸유도 저해 정도를 산출하였으며, 이때 저해능이 50%인 농도를 EC50 (μM) 값으로 결정하였고 프리즘(버전 7.01, 그래프패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Enzyme IC 50 (nM) I2.I Cell EC 50 (nM) 실시예 Enzyme IC 50 (nM) I2.I Cell EC 50 (nM)
1 30.2 0.2 32 27.9 3.5
2 316 0.6 33 40.3 10.2
3 7.4 0.3 34 52.8 >1000
4 5.1 0.6 35 5.6 1.2
5 268 17.6 36 3.4 1.2
6 9.6 0.48 37 5.7 1.83
7 - - 38 13.1 0.9
8 3 0.05 39 6.9 1.3
9 >1000 651 40 16.3 0.2
10 10.7 1.1 41 13.6 0.06
11 1.8 0.64 42 7.1 0.5
12 1.5 1.4 43 10.3 0.7
13 10.5 0.13 44 10.4 1.4
14 5.7 0.5 45 6.2 0.2
15 11.8 3.5 46 4.5 6
16 18.7 1.4 47 1.53 3.23
17 17.8 10.7 48 1.38 2.18
18 14.2 1.2 49 2.24 41.9
19 683 19.8 50 >1000 179
20 9.8 6.7 51 664 >1000
21 >1000 >1000 52 >1000 >1000
22 1.8 7.1 53 >1000 >1000
23 357 >1000 54 6.6 257
24 5.92 9.4 55 13.2 77.3
25 >1000 >1000 56 8.9 0.5
26 16.4 2.3 57 1.8 2
27 304 163 58 12.6 3.1
28 12.3 0.17 59 1.03 0.3
29 3.8 0.07 60 1.5 1.3
30 22.7 0.3 61 13.5 2
31 27.7 3.6
상기 표 8는 RIPK1 효소활성능과 FADD가 결핍된 Jurkat T 세포에 대한 각 실험화합물의 세포사멸유도 조건에서의 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합물은 효소활성능과 세포 보호효과 모두에양호한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상기 실험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세포 사멸유도조건에서 세포보호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1]
    Figure pat00212

    상기 화학식 1에서,
    E는 질소(N) 또는 탄소(C)이고;
    L은 직접결합 또는 C1~5 알킬렌기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존재, 수소, 할로겐 원자, 또는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고;
    R3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이미다조피리다지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피라졸로피리미디닐, 이미다조피라지닐 또는 피라졸로피리디닐이며; 및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할로알킬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것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2]
    Figure pat00213

    [화학식 3]
    Figure pat00214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3
    Figure pat00215
    ,
    Figure pat00216
    ,
    Figure pat00217
    ,
    Figure pat00218
    ,
    Figure pat00219
    ,
    Figure pat00220
    ,
    Figure pat00221
    또는
    Figure pat00222
    이고,
    상기 R5는 수소,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며,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카보닐, C3-6의 사이클로알킬카보닐,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 C3-6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산소(O)를 헤테로 원자로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이고, 상기 치환된 페닐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은 C1-10 알킬 또는 질소(N)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R6은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고,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3-6의 사이클로알킬, C1-10의 하이드록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R7 은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또는 상기 피리디닐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탄소원자와 융합된 고리기를 형성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3
    Figure pat00223
    ,
    Figure pat00224
    ,
    Figure pat00225
    ,
    Figure pat00226
    ,
    Figure pat00227
    ,
    Figure pat00228
    ,
    Figure pat00229
    ,
    Figure pat00230
    ,
    Figure pat00231
    ,
    Figure pat00232
    ,
    Figure pat00233
    ,
    Figure pat00234
    ,
    Figure pat00235
    ,
    Figure pat00236
    ,
    Figure pat00237
    ,
    Figure pat00238
    ,
    Figure pat00239
    ,
    Figure pat00240
    ,
    Figure pat00241
    ,
    Figure pat00242
    ,
    Figure pat00243
    , 또는
    Figure pat00244
    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4
    Figure pat00245
    ,
    Figure pat00246
    ,
    Figure pat00247
    ,
    Figure pat00248
    ,
    Figure pat00249
    ,
    Figure pat00250
    ,
    Figure pat00251
    ,
    Figure pat00252
    ,
    Figure pat00253
    ,
    Figure pat00254
    ,
    Figure pat00255
    ,
    Figure pat00256
    ,
    Figure pat00257
    ,
    Figure pat00258
    ,
    Figure pat00259
    ,
    Figure pat00260
    ,
    Figure pat00261
    ,
    Figure pat00262
    ,
    Figure pat00263
    ,
    Figure pat00264
    , 또는
    Figure pat00265
    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는 질소(N)이고;
    상기 L은 직접결합 또는 C1~3 알킬렌기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존재 또는 수소이고;
    상기 R3
    Figure pat00266
    이며; 및
    상기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할로알킬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인,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R4는 비치환, 또는 F, Cl, 및 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인 것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는 탄소(C)이고;
    상기 L은 직접 결합 또는 C1~3 알킬렌기이며;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자 또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고;
    상기 R3
    Figure pat00267
    ,
    Figure pat00268
    ,
    Figure pat00269
    ,
    Figure pat00270
    ,
    Figure pat00271
    ,
    Figure pat00272
    ,
    Figure pat00273
    , 또는
    Figure pat00274
    이며; 여기서 상기 R5는 수소,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고,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카보닐, C3-4의 사이클로알킬카보닐,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 C3-4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산소(O)를 헤테로 원자로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치환된 페닐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은 C1-5 알킬 또는 질소(N)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R6은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고,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3-4의 사이클로알킬, C1-5의 하이드록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R7 은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또는 상기 피리디닐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탄소원자와 융합된 고리기를 형성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이고; 및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할로알킬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은 직접 결합 또는 C1~2 알킬렌기이며;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자 또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고;
    상기 R3
    Figure pat00275
    이며; 및
    상기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트리플루오르화탄소(-CF3)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R4
    Figure pat00276
    ,
    Figure pat00277
    ,
    Figure pat00278
    ,
    Figure pat00279
    ,
    Figure pat00280
    ,
    Figure pat00281
    ,
    Figure pat00282
    ,
    Figure pat00283
    ,
    Figure pat00284
    ,
    Figure pat00285
    ,
    Figure pat00286
    ,
    Figure pat00287
    ,
    Figure pat00288
    ,
    Figure pat00289
    ,
    Figure pat00290
    ,
    Figure pat00291
    ,
    Figure pat00292
    ,
    Figure pat00293
    ,
    Figure pat00294
    ,
    Figure pat00295
    , 또는
    Figure pat00296
    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은 직접 결합 또는 C1~2 알킬렌기이며;
    상기 R1 및 R2는 수소이고;
    상기 R3
    Figure pat00297
    ,
    Figure pat00298
    ,
    Figure pat00299
    ,
    Figure pat00300
    ,
    Figure pat00301
    ,
    Figure pat00302
    , 또는
    Figure pat00303
    이며, 여기서 상기 R5는 수소,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고,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카보닐, C3-6의 사이클로알킬카보닐,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 C3-4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산소(O)를 헤테로 원자로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치환된 페닐 또는 치환된 피라졸릴은 C1-3 알킬 또는 질소(N)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R6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이고, 상기 치환된 아미노기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3-4의 사이클로알킬, C1-3의 하이드록시알킬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R7 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또는 상기 피리디닐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탄소원자와 융합된 고리기를 형성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이고; 및
    상기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R3
    Figure pat00304
    ,
    Figure pat00305
    ,
    Figure pat00306
    ,
    Figure pat00307
    ,
    Figure pat00308
    ,
    Figure pat00309
    ,
    Figure pat00310
    ,
    Figure pat00311
    ,
    Figure pat00312
    ,
    Figure pat00313
    Figure pat00314
    ,
    Figure pat00315
    ,
    Figure pat00316
    ,
    Figure pat00317
    ,
    Figure pat00318
    ,
    Figure pat00319
    ,
    Figure pat00320
    ,
    Figure pat00321
    ,
    Figure pat00322
    ,
    Figure pat00323
    , 또는
    Figure pat00324
    인,
    화합물, 이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S)-3-(3,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S)-3-(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R)-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아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6)(S)-3-(3,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7)(R)-3-(3,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8)(S)-3-(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9)(R)-3-(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0)(S)-3-(4-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1)(S)-3-(4-클로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2)(S)-3-(4-브로모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3)(S)-3-(3,4-다이클로로-2-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4)(S)-3-(4-클로로-3-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5)(S)-3-(3-클로로-4-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6)(S)-3-(2,5-다이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7)(S)-3-(3-클로로-2-플루오로페닐)-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8)(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3-메톡시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9)(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6-메틸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0)(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1)(S)-N-(4-(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르복사마이드;
    (22)(S)-3-(5-사이아노피리딘-3-일)-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3)(S)-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2-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4)(R)-3-벤질-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5)(S)-3-벤질-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6)(S)-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 일에티닐)피리딘-4-일)-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7)(R)-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yl)-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8)(S)-3-(3,5-다이플루오로페닐)-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29)(S)-3-(3-플루오로페닐)-N-(2-(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피리딘-4-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0)(S)-N-(4-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1)(S)-N-(2-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2)(S)-N-(2-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3)(S)-N-(2,4-다이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4)(S)-N-(2,4-다이플루오로-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페닐)-3-(피리딘-3-일)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5)(S)-N-(3-((8-아미노이미다조 [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6)(S)-N-(3-((8-(사이클로프로페인카복사미도)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7)(S)-N-(3-((8-(에틸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8)(S)-3-페닐-N-(3-((8-((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39)(S)-메틸 3-((3-(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미도)페닐)에티닐)이미다조[1,2-a]피리딘-8-일카바메이트;
    (40)(S)-N-(3-((8-((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1)(S)-N-(3-((8-((1-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2)(S)-N-(3-((8-((1-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3)(S)-N-(3-((8-(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4)(S)-3-페닐-N-(3-((8-(페닐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5)(S)-N-(3-((8-((1-(1-메틸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6)(S)-N-(3-(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7)(S)-3-페닐-N-(3-(피라졸로[1,5-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8)(S)-N-(3-(이미다조[1,2-a]피라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49)(S)-N-(3-(이미다조[1,2-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0)(R)-N-(3-(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1)(R)-3-페닐-N-(3-(피라졸로[1,5-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2)(R)-N-(3-(이미다조[1,2-a]피라진-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3)(R)-N-(3-(이미다조[1,2-a]피리미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4)(S)-N-(3-((6-메틸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5)(S)-N-(3-((5-메톡시 피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6)(S)-N-(3-((1H-피라졸로[3,4-b]피리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7)(S)-N-(3-((7-옥소-5,6,7,8-테트라하이드로-1,8-나프티리딘-3-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8)(S)-N-(3-((2-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59)(S)-N-(3-((2-(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60)(S)-N-(3-((2-((3-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및
    (61)(S)-N-(3-((2-(이소부틸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티닐)페닐)-3-페닐이소옥사졸리딘-2-카복사마이드.
  14.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학식 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N,N'-다이석시니미딜 카보네이트 및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pat00325

    상기 반응식 1에서,
    E는 질소(N) 또는 탄소(C)이고;
    L은 직접결합 또는 C1~5 알킬렌기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존재, 수소, 할로겐 원자, 또는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고;
    R3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이미다조피리다지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피라졸로피리미디닐, 이미다조피라지닐 또는 피라졸로피리디닐이며;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이고, 여기서 치환된 페닐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또는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로 치환되며, 여기서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아졸릴은 C1-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C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할로알킬 또는 시아노(-CN)로 치환된 것이고;
    상기 PG는 보호기이며; 및
    상기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이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는 트리(C1-C6알킬)실릴기, C1-C6 알킬 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및 페닐아세틸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제조방법.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이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IPK1(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1)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RIPK1 관련 질환은,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건선, 망막 박리, 색소성 망막염, 황반 변성, 췌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류마티스 관절염, 척추관절염, 통풍, 쇼그렌 증후군, 전신 경피증, 항-인지질 증후군, 혈관염, 골관절염, 비-알콜 지방간염, 알콜 지방간염,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신염, 복강 질환, 이식 거부, 패혈증,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 심근경색,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알레르기성 질환,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다발성 경화증, 제I형 당뇨병, 베게너 육아종증, 폐 사르코이드증, 베체트병, 운동신경원병(Motor neurone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암 및 치주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IPK1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90179908A 2019-01-15 2019-12-31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892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78 2019-01-15
KR20190005378 2019-01-15
KR20190053957 2019-05-08
KR1020190053957 2019-05-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219A true KR20200089219A (ko) 2020-07-24

Family

ID=7161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908A KR20200089219A (ko) 2019-01-15 2019-12-31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9219A (ko)
WO (1) WO20201495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5051A1 (ko) * 2020-07-14 2022-01-20 주식회사 보로노이바이오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068881A1 (ko) * 2021-10-22 2023-04-27 주식회사 보로노이바이오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2328136A1 (en) * 2021-08-10 2023-11-30 Abbvie Inc. Nicotinamide ripk1 inhibitors
CN113876778B (zh) * 2021-11-05 2023-04-14 中日友好医院(中日友好临床医学研究所) Kw2449在制备改善类风湿性关节炎药物中的应用
WO2023187471A1 (en) * 2022-03-30 2023-10-05 Voronoi Inc. Heteroaryl derivative compound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5989A (en) * 1996-12-31 1999-08-10 Gpi Nil Holdings Inc. N-linked ureas and carbamates of heterocyclic thioesters
EA200970375A1 (ru) * 2006-10-13 2009-10-30 Президио 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Инк. Соединения и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вируса гепатита с
CN105837575B (zh) * 2015-01-13 2019-01-15 四川大学 3-乙炔基吡唑并嘧啶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10709692B2 (en) * 2015-12-04 2020-07-14 Denali Therapeutics Inc. Isoxazolidine derived inhibitors of receptor interacting protein kinase 1 (RIPK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5051A1 (ko) * 2020-07-14 2022-01-20 주식회사 보로노이바이오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068881A1 (ko) * 2021-10-22 2023-04-27 주식회사 보로노이바이오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553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8337B2 (en) Chiral diaryl macrocycles as modulators of protein kinases
EP3429994B1 (en) 2-cyanoisoindoline derivatives for treating cancer
KR20200089219A (ko)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S2737696T3 (es) Pirazolopiridinas y pirazolopirimidinas
CN113286794B (zh) Kras突变蛋白抑制剂
ES2898698T3 (es) Salicilamidas de espiroheptanos y compuestos relacionados como inhibidores de cinasa Rho (ROCK)
US9079914B2 (en) Fused aminodihydro-oxazine derivatives
KR20220119088A (ko) Kras 돌연변이체 단백질 억제제
TW202144345A (zh) Kras突變蛋白抑制劑
TWI406864B (zh) 化合物
CN112552295A (zh) Kras突变蛋白抑制剂
KR20190057132A (ko) Il-12, il-23 및/또는 ifn 알파 반응의 조정제로서 유용한 이미다조피리다진 화합물
WO2005080330A1 (ja) ヘテロアリールフェニルウレア誘導体
KR20140138911A (ko) Mek 억제제로서 헤테로사이클릴 화합물
JP2011526295A (ja) 5員および6員複素環化合物
EP2614061A1 (en) Quinoline and quinoxaline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JP2017516855A (ja) 特定のタンパク質キナーゼ阻害剤
CA2914449A1 (en) Kinase inhibitors
KR20190068614A (ko) Il-12, il-23 및/또는 ifn 알파 반응의 조정제로서 유용한 헤테로비시클릭 화합물
EP3915992A1 (en) Pde9 inhibitor and use thereof
WO2016029776A1 (en) Protein kinase inhibitors
EP3939979A1 (en) Jak kinase inhibitor, preparation method for same, and applications thereof in field of medicine
EP2771011A1 (en) Chemical compounds
KR20220097466A (ko) 이미다졸리디논류 화합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과 용도
EP1597234A2 (en) Novel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