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156A -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156A
KR20200089156A KR1020190005879A KR20190005879A KR20200089156A KR 20200089156 A KR20200089156 A KR 20200089156A KR 1020190005879 A KR1020190005879 A KR 1020190005879A KR 20190005879 A KR20190005879 A KR 20190005879A KR 20200089156 A KR20200089156 A KR 2020008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ndscaping
constructing
stand
a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215B1 (ko
Inventor
강승호
Original Assignee
강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호 filed Critical 강승호
Priority to KR102019000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215B1/ko
Priority to PCT/KR2020/000817 priority patent/WO2020149671A1/ko
Publication of KR2020008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은 (a) 각각의 층마다 집수정을 구비하는 단위대지가 형성된 골조를 시공하는 단계, (b) 각각의 상기 단위대지를 분양하는 단계, (c) 상기 단위대지의 상부에 단위세대 및 조경을 설계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위세대 및 조경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Construction Method of Independent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조의 각층에 형성된 단위대지를 분양한 후 단위대지에 단위세대를 설계 및 시공함에 따라 소비자가 원하는 단독주택을 시공할 수 있는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은, 건물의 벽·복도·계단 기타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각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주택의 일종으로서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이 상기의 공동주택에 해당한다.
그리고 근래에 들어 신축되는 공동주택은, 소득수준의 향상 및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각종 편의시설과 자연친화적 휴식공간 및 첨단기술이 적용된 집합체로서 다른 단독주택에 비교하여 수요자의 선호가 뚜렷할 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교육, 치안, 의료, 교통, 상권 등이 집중되어 주거공간 이상의 투자가치를 갖는 바, 단위세대의 면적이 넓고 신축된 공동주택일수록 그 선호가 더욱 뚜렷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은 단위대지의 형태상 생길 수 있는 여유공간인 조경 및 향과 층고가 무시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프라이버시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7381호 (2005년 08월 09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층마다 집수정이 구비된 단위대지를 분양함에 따라 공동주택에 단위세대마다 조경을 조성할 수 있는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위대지 상부에 사용자의 설계 의도에 따라 조경과 단위세대를 시공할 수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은 (a) 각각의 층마다 집수정을 구비하는 단위대지가 형성된 골조를 시공하는 단계, (b) 각각의 상기 단위대지를 분양하는 단계, (c) 상기 단위대지의 상부에 단위세대 및 조경을 설계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위세대 및 조경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골조는 골조 기둥과 슬래브로 형성된 기둥식 구조로 형성되며, 엘리베이터 홀보다 다수의 상기 슬래브를 낮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집수정은 등간격으로 상기 슬래브의 하부에 다수가 설치되며, 상기 단위세대 시공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집수정에 모인 우수 및 조경수는 공용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단위대지는 상기 단위세대의 높이 및 나무의 식재 높이를 확보하며,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의 지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층고를 상기 엘리베이터홀 2개층 이상의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위대지는 3면이 개방되며, 상기 엘리베이터홀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코어타입 및 2면이 개방되며, 다수가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는 편복도타입 중 적어도 하나로 분양할 수 있다.
(c)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위대지는 상기 단위세대로 형성되는 거주공간과 토사 및 조경수로 형성되는 조경공간으로 구획하여 설계할 수 있다.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위세대는 상기 슬래브 상부에 설치되는 토대에 기둥이 결합되는 중목구조로 시공될 수 있다.
상기 단위세대는 열교 및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상기 토대에 의하여 상기 단위대지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에 의하면, 기둥식 구조로 형성되는 골조의 슬래브에 다수의 집수정이 구비되어 소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조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골조의 층고를 높게 형성하여 단위대지 상부에 단위세대의 형상을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조의 단위대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어타입의 단위대지에 단위세대를 시공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복도타입의 단위대지에 단위세대를 시공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세대의 채광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조금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은 시공사에서 지면에 시공한 기둥식 구조의 골조(100) 각 층에 형성된 단위대지(150)를 소비자에게 분양한 후 단위대지(150)에 단독주택을 시공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단계 S1100에서는 골조 기둥(110)과 슬래브(130)로 형성된 기둥식 구조의 골조(100)를 제 1시공사에서 시공할 수 있다. 골조(100)는 다수의 층으로 형성됨에 따라 층마다 단위대지(1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단위대지(150)에 단위세대(200)가 시공된다. 이 때, 골조(100)는 층고가 높게 형성되도록 골조 기둥(110)의 높이가 높게 형성됨에 따라 단독주택이 내부에 지붕까지 시공된다.
그리고 골조(100)의 슬래브(130)는 엘리베이터 홀(300)보다 300mm ~ 1200mm 이상 낮게 설치될 수 있으며, 단위세대(200) 및 조경(220)이 설치되는 마감레벨(F.L.)은 엘리베이터 홀(300)과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골조(100)의 슬래브(130)는 하부로 돌출되는 집수정(140)이 등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우수 및 조경(220)수가 유입된다.
제 1시공사에서 시공된 기둥식 구조의 골조(100)가 시공되면 단계 S1200에서 소비자에게 분양할 수 있다. 이 때, 골조(10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층에 형성된 단위대지(150)를 분양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홀(30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코어타입 및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가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는 편복도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대지(150)로 분양된다.
코어타입은 중심에 엘리베이터 홀(300)이 형성됨에 따라 양측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채광이 유리하도록 3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편복도타입은 엘리베이터 홀(300)이 일측면에 구비되어 코어타입보다 좁은 세대에 유리하며, 서로 이웃하는 다수의 세대가 전면에 복도(1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에 따라 2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세대간벽은 비내력벽으로 철거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수의 세대를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계 S1300은 분양된 단위대지(150)에 소비자의 의도에 따라 조경(220) 및 단위세대(200)를 시공하기 위하여 설계자와 협의하여 설계한다. 이 때, 단위대지(150)는 코어타입일 경우 거주공간(400)과 조경공간(500)을 구획하여 설계할 수 있으며, 조경공간(500)은 채광이 유리하도록 골조(100)의 외벽측으로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대지(150)를 편복도타입으로 설계할 경우 침실 및 거실의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경공간(500)을 복도(10) 및 개방면 방면으로 형성한다. 편복도타입의 단위대지(150)는 복도(10)가 마감레벨보다 낮게 형성되어 복도(10)측에 면한 단위세대(200)의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조망을 확보할 수 있다.
거주공간(400)에 설계되는 단위세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층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의도에 따라 거실, 침실 등 각각의 실 높이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 설비, 인테리어, 자재 등은 소비자의 의도에 따라 다수의 단위세대(200)가 다양하게 설계된다.
이와 같이, 소비자가 단위세대(200)를 설계하면, 단계 S1400에서 단위대지(150)의 상부에 조경(220) 및 단위세대(200)를 제 2시공사에서 시공한다. 이 때, 제 2시공사에서 소비자에게 분양된 단위대지(150)를 검수한 후 설계자와 협의한 설계에 따라 시공하므로 하자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단위세대(200)는 엘리베이터 홀(300)보다 낮게 시공되는 슬래브(130)의 상부에 토대(210)가 설치됨에 따라 토사(230)가 마감레벨까지 충진되고 단위세대(200)가 마감레벨과 동일한 위치에 시공될 수 있다. 이 때, 단위세대(200)는 토대(210)의 상부에 기둥이 설치되며, 다수의 기둥 상부가 보로 연결되는 중목구조로 시공된다.
또한, 단위세대(200)는 골조(100) 시공시 설치되는 다수의 집수정(140)을 선택하여 시공될 수 있으며, 배관 및 방수재 방음재를 시공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다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골조(100)를 선시공한 뒤 각각의 층마다 형성되는 단위대지(150)를 분양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대지(150)에 설치될 독립형 단위세대(200)인 단층형 단독주택을 소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및 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시스템은 제 1시공사에서 지면에 골조 기둥(110)과 슬래브(130)로 형성되는 골조(100)와, 제 2시공사에서 소비자와 설계자가 협의한 설계에 따라 시공하는 단위세대(200)를 포함한다.
골조(100)는 도 4를 참조하면, 단위대지(150)에 다양한 형상의 단위세대(200)를 시공하기 위하여 기둥식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면에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골조 기둥(110)과, 다수의 골조 기둥(110)을 서로 연결하는 골조 보(120)와, 골조 보(12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집수정(140)의 상단이 관통되는 슬래브(130)를 구비한다. 슬래브(130)의 외측면은 마감레벨보다 높게 형성되어 조망은 확보되나 주거자 및 물건이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골조(100)는 골조 기둥(110)과 골조 보(120)를 이용한 라멘구조로 PC(Precast) 구조로 시공하기 원활함에 따라 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비용절감 및 시공성이 향상된다. 또한, 골조(100)는 엘리베이터 홀(300) 및 주차장과 같이 공용부를 제외한 마감공사는 진행하지 않으며, 불필요한 마감공사를 생략함으로써 공사 비용 및 공정을 절약할 수 있다.
골조 기둥(110)은 등간격으로 다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골조 기둥(110)과 골조 보(120)가 접하는 위치에는 집수정(140)이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골조 기둥(110)은 지하까지 연장됨에 따라 벽식구조에서 내력벽에 의하여 주차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차장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수의 골조 기둥(110)을 연결하는 골조 보(120)는 층고를 형성할 수 있다. 골조(100)의 층고는 조경공간(500)에 구비되는 나무의 식재 높이를 확보하도록 높게 형성됨에 따라 단위세대(200) 설계시 공간 구성의 수직적 요소를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골조(100)의 층고가 높게 형성됨에 따라 화재시 유독가스는 공기보다 가벼워 천장쪽으로 모이게 되므로 거주자의 이동시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조경공간(500)의 채광을 위해 개방된 면을 통해 유독가스가 보다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슬래브(1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홀(300)보다 300mm ~ 1200mm 이상 낮게 설치되며, 슬래브(130)의 두께는 조경(220) 및 단위세대(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두껍게 형성한다. 그리고 슬래브(130)는 마감레벨보다 낮게 형성됨에 따라 조경공간(500)에서는 조경(220)을 위한 토심을 확보하고, 거주공간(400)에서는 설비 및 전기를 메인샤프트에서 각실과 연결하는 수평 샤프트로 활용한다.
집수정(140)은 슬래브(130)의 하단에서 골조 보(120)의 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며, 슬래브(130)와 관통함에 따라 우수 및 조경(220)수가 유입된다. 그리고 다수의 집수정(140)으로 유입되는 우수 및 조경(220)수는 단위세대(200)에서 배출되는 오수와 함께 공용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집수정(140)은 다수가 구비됨에 따라 조경(220)구간과 거주공간(400)의 위치에 상관없이 소비자의 의도에 따라 조경(220)구간에 위치하는 집수정(140)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슬래브(130)와 집수정(140)은 방수와 보호몰탈을 소비자에게 분양 전에 시공함에 따라 조경공간(500)의 우수 및 조경(220)수가 원활히 집수정(140)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슬래브(130)는 조경(220)이 시공될 조경공간(500)에 방근매트를 시공하여 방수층과 단위대지(150)의 골조(100)를 보호한다.
단위세대(200)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골조(100)의 각층에 형성되는 단위대지(150)에 소비자가 선택한 설계에 따라 제 2시공사가 단층의 단독주택으로 시공한다. 단위세대(200)는 슬래브(130)의 하단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슬래브(130) 상단에 토대(21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위세대(200)가 설치되지 않는 조경공간(500)에는 토대(210)에 의하여 조경(220)을 형성하는 토사(230)가 단위세대(200) 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유도되며, 토심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토대(210)는 중목구조로 형성되며, 슬래브(130) 상단에 줄기초로 형성됨에 따라 단위세대(200)를 시공하기 위한 기둥을 설치시 기둥을 통해 전달되는 집중하중을 슬래브(130)에서 각각의 골조 기둥(110)으로 분산시키므로 분포하중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토대(210)는 슬래브(130) 상단에 베이스 플레이트 등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앙카에 의하여 단위세대(200)가 결합되는 비파괴 접합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대(210)는 소비자의 의도에 따라 단위세대(200)의 위치 및 평면 형상을 조절하도록 슬래브(130)의 상단에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토대(210)에 의하여 단위세대(200)가 슬래브(130)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시공되어 콘크리트를 통해 발생하는 진동을 줄일 수 있으며, 골조(100) 시공시 슬래브(130) 상단에 방수와 eps 블럭 등의 흡음재(240)가 설치되어 단위세대(2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위세대(200) 상부의 소음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토대(210)의 상부에 중목구조로 설치되는 단위세대(200)는 기둥이 토대(210)의 상부에 앙카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기둥을 연결하는 보의 위치에 의하여 단위세대(200)의 천장고가 결정된다.
이 때, 단위세대(200)의 천장고는 골조(100)의 단위대지(150) 천장까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단위대지(150)와 이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진행된다. 그리고 단위세대(200)는 각각의 실에 따라 천장고를 다르게 적용하여 공간감을 유도한다.
단위세대(200)는 기둥과 보로 형성되는 중목구조로 벽체는 해체 및 조립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진행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단위세대(200)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단위세대(200)는 기둥과 보를 시공한 후 세대에서 사용할 급수 및 배수 등의 설비에 필요한 배관이 공용배관으로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전기 및 통신 배관과 인테리어 또한 배관 공사를 진행할 때 같이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세대(200)는 조경공간(500)이 단위세대(200)를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하절기의 남중고도 차이를 이용한 선택적 채광이 가능하며, 콘크리트의 열방출이 세대 내로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골조(100)의 외측에서 이격되어 단위세대(200)가 시공됨에 따라 외단열 공법으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세대(200)는 실외기를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그늘에 설치함에 따라 실내기로의 냉매 동선확보가 용이하고 자연 환기가 원활하게 진행되어 공조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시스템은 지면에 시공하여 조경(220)을 조성함에 따라 정원을 갖는 단독주택을 다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골조(100)에 조성하는 것으로 다양한 단독주택을 형성하며, 아파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복도 100: 골조
110: 골조 기둥 120: 골조 보
130: 슬래브 140: 집수정
150: 단위대지 200: 단위세대
210: 토대 220: 조경
300: 엘리베이터 홀 400: 거주공간
500: 조경공간

Claims (9)

  1. (a) 각각의 층마다 집수정을 구비하는 단위대지가 형성된 골조를 시공하는 단계;
    (b) 각각의 상기 단위대지를 분양하는 단계;
    (c) 상기 단위대지의 상부에 단위세대 및 조경을 설계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위세대 및 조경을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골조는 골조 기둥과 슬래브로 형성된 기둥식 구조로 형성되며, 엘리베이터 홀보다 다수의 상기 슬래브를 낮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등간격으로 상기 슬래브의 하부에 다수가 설치되며, 상기 단위세대 시공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집수정에 모인 우수 및 조경수는 공용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대지는 상기 단위세대의 높이 및 나무의 식재 높이를 확보하며,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의 지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층고를 상기 엘리베이터홀 2개층 이상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위대지는 3면이 개방되며, 상기 엘리베이터홀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코어타입 및 2면이 개방되며, 다수가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는 편복도타입 중 적어도 하나로 분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c)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위대지는 상기 단위세대로 형성되는 거주공간과 토사 및 조경수로 형성되는 조경공간으로 구획하여 설계하는 것을 하는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d)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위세대는 상기 슬래브 상부에 설치되는 토대에 기둥이 결합되는 중목구조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세대는 열교 및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상기 토대에 의하여 상기 단위대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KR1020190005879A 2019-01-16 2019-01-16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KR102154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79A KR102154215B1 (ko) 2019-01-16 2019-01-16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PCT/KR2020/000817 WO2020149671A1 (ko) 2019-01-16 2020-01-16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79A KR102154215B1 (ko) 2019-01-16 2019-01-16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56A true KR20200089156A (ko) 2020-07-24
KR102154215B1 KR102154215B1 (ko) 2020-09-09

Family

ID=7161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879A KR102154215B1 (ko) 2019-01-16 2019-01-16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4215B1 (ko)
WO (1) WO20201496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892B1 (ko) * 2022-12-16 2024-01-26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모듈구조를 가진 가변 가능형 공동주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176A (ja) * 1999-09-24 2001-04-03 Daiwa House Ind Co Ltd バルコニーの緑化構造
KR20040007381A (ko) 2003-12-29 2004-01-24 이정민 발포수지층을 이용한 포장용 필름 및 그 필름으로 제작된스파우트 파우치 용기
KR20090114703A (ko) * 2008-04-30 2009-11-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
JP2013136923A (ja) * 2011-12-28 2013-07-11 Katsuhiko Konno 立体空中都市建造物
KR20140052067A (ko) * 2011-09-30 2014-05-02 리준 바오 전원식 주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360A (ko) * 2000-04-18 2001-11-07 이수행 조립식의 환경친화적 및 마을공동체적인 아파트 등 빌딩형건축물의 설계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176A (ja) * 1999-09-24 2001-04-03 Daiwa House Ind Co Ltd バルコニーの緑化構造
KR20040007381A (ko) 2003-12-29 2004-01-24 이정민 발포수지층을 이용한 포장용 필름 및 그 필름으로 제작된스파우트 파우치 용기
KR20090114703A (ko) * 2008-04-30 2009-11-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
KR20140052067A (ko) * 2011-09-30 2014-05-02 리준 바오 전원식 주택
JP2013136923A (ja) * 2011-12-28 2013-07-11 Katsuhiko Konno 立体空中都市建造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892B1 (ko) * 2022-12-16 2024-01-26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모듈구조를 가진 가변 가능형 공동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215B1 (ko) 2020-09-09
WO2020149671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1287A1 (en) Lift-slab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ulti-story buildings using pre-manufactured structures
CA1179820A (en) Buildings
KR20200078650A (ko) 가옥 건물 구조
JP4871418B1 (ja) 防災機能を有するpc人工地盤と集落としての自治機能とを備えた集合住宅街区システム
US20200354946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Tunçoku et al. Assessment of construction techniques and material usage in Izmir rural houses
KR102154215B1 (ko)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ES2369947B1 (es) Sistema de construcción modular.
EP1214482B1 (en) A multiuse construction system using modular building blocks
JP5674269B2 (ja) 構造物
KR100939077B1 (ko) 조립식 건축물
JP2011241559A (ja) 既存鉄筋コンクリート集合住宅の耐震補強構造
NL2012897C2 (nl) Modulair skeletbouwsysteem voor woningen.
Clifford Case study 2: Wynyard Central East 2: Case study 2: Wynyard Central East 2
JP5532732B2 (ja) ユニット式金属製地下納骨堂
JP5627069B2 (ja) 多層建物
JP2001234634A (ja) 傾斜地を利用して建てられる階層建築物
JP3494372B2 (ja) 建 物
JP200400322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
Pronk et al. Slimline floor an invention by Pronk and Lichtenberg
JP3546900B2 (ja) コンクリ−ト建物の単位構造および凹所部材
US20050086874A1 (en) Flexible, adaptable loft city
Barroso et al. The vernacular house between the Cávado and the Ave, Portugal
Xie et al. Slimline floor an invention by Pronk and Lichtenberg
Chaudhary The Integration of Climate Responsive Design and Traditional Settlement in High Altitude-A Case Study of Spiti Va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