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274A -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및 전동 칫솔 - Google Patents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및 전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274A
KR20200088274A KR1020207007325A KR20207007325A KR20200088274A KR 20200088274 A KR20200088274 A KR 20200088274A KR 1020207007325 A KR1020207007325 A KR 1020207007325A KR 20207007325 A KR20207007325 A KR 20207007325A KR 20200088274 A KR20200088274 A KR 20200088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rtion
head
electric toothbrush
neck portion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하타다
데츠야 아베
마이코 기쿠치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부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어금니의 높은 청소 실감을 얻음과 함께, 구강 내에서의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는, 전동 칫솔의 핸들부를 포함하는 칫솔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네크부(3) 및 헤드부(4)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1B)로서, 헤드부(4)의 최대 두께(T)가 2 내지 4mm이며, 네크부(3)의 최소 두께(D)가 3 내지 5mm이며, 또한 D≥T의 관계를 만족하고, 식모면(4a)이 마련된 전방면측과는 반대측의 헤드부(4) 및 네크부(3)의 배면측에 있어서, 헤드부(4)가 네크부(4)보다도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및 전동 칫솔
본 발명은,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및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11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23117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전동 칫솔은, 통상의 손으로 닦는 칫솔로는 얻어지지 않는 높은 청소 실감이 얻어진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을 참조). 이 때문에, 칫솔질에 있어서 전동 칫솔의 사용이 유효해지고 있다.
전동 칫솔은, 반전 진동식과 음파 진동식으로 크게 구별된다. 이 중, 음파 진동식은, 모터에 직결된 편심추가 고속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진동을 헤드부에 전달하고, 모다발을 진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2를 참조). 또한, 일반적인 전동 칫솔에서는, 전지나 모터를 수용한 핸들부에 대하여, 네크부 및 헤드부를 포함하는 교체 브러시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음파 진동식의 전동 칫솔에서는, 모다발의 선단(솔의 털끝)이 고속이면서 미소하게 진동함으로써, 치면, 치간 및 치경부에 대한 청소 실감의 향상이 기대된다. 한편, 통상의 손으로 닦는 칫솔로는, 구강 내의 조작성을 높이면서, 어금니 등의 좁은 개소의 청소 실감을 확보하기 위해서, 헤드부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3을 참조).
그러나, 음파 진동식의 전동 칫솔에 있어서, 헤드부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 헤드부의 식모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진동폭이 커져, 사용자가 구강 내에서 진동을 불쾌하게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구강 내에서 불쾌함을 느끼는 주된 부위로서는, 헤드부의 배면이 접촉하는 구강 조직(볼의 내측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어금니 등의 좁은 개소에서는, 헤드부의 배면이 구강 조직에 접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보다 불쾌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헤드부의 두께를 얇게 한 것에 의한 진동폭의 증대는, 헤드부의 배면뿐만 아니라, 헤드부의 전방면(식모면)에 식설(植設)된 모다발의 구강 조직(잇몸 등)에 대한 접촉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잇몸에 모다발의 일부가 접촉하면, 사용자가 모다발을 대는 방식에 따라서는 잇몸에 전해지는 진동에 의해 불쾌하게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헤드부의 두께를 얇게 한 전동 칫솔에서는, 상술한 「어금니의 청소 실감」과 「진동에 수반하는 불쾌감의 경감」을 양립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4833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2570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4852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헤드부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어금니의 높은 청소 실감을 얻음과 함께, 구강 내에서의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그리고 그러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를 구비한 전동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즉,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전기적인 구동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에 의해 구강 내를 청소하는 전동 칫솔의 상기 핸들부를 포함하는 칫솔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네크부 및 상기 헤드부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로서, 상기 헤드부의 최대 두께 T가 2 내지 4mm이며, 상기 네크부의 최소 두께 D가 3 내지 5mm이며, 또한 D≥T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식모면이 마련된 전방면측과는 반대측의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네크부의 배면측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네크부보다도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헤드부의 배면과 상기 네크부의 배면 사이에 단차 H가 마련되고, 상기 단차 H가 0.5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상기 헤드부가 상기 네크부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식모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기 헤드부의 축선 라인과, 상기 핸들부에 대한 착탈 방향과 평행한 상기 네크부의 축선 라인이 이루는 각도가 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이다.
또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상기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지지축의 선단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선단과 상기 지지축의 선단의 거리가 40 내지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상기 식모면이 마련된 측의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네크부의 전방면측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네크부보다도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네크부의 배면측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배면과 일부 연결되는 진동 억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이다.
또한,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전기적인 구동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에 의해 구강 내를 청소하는 전동 칫솔로서, 상기 핸들부를 포함하는 칫솔 본체에 대하여, 상기 네크부 및 상기 헤드부를 포함하는 교체 브러시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교체 브러시로서,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어금니의 높은 청소 실감을 얻음과 함께, 구강 내에서의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그리고 그러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를 구비한 전동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를 구비한 전동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의 헤드부를 식모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 중에 나타내는 선분 X-X에 의한 헤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식모면에 있어서의 모다발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헤드부의 식모면에 모다발이 식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식모면에 있어서의 모다발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및 전동 칫솔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언하면,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은, 특징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편의상 특징이 되는 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각 구성 요소의 치수 비율 등이 실제와 동일하다고 할 수는 없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모다발의 도시를 생략하고, 모다발이 식설되는 식모 구멍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술하는 헤드부(4)의 식모면(4a)이 마련된 측을 교체 브러시(1B)(전동 칫솔(1))의 전방면(정면)측으로 하고, 헤드부(4)의 식모면(4a)이 마련된 측과는 반대측을 교체 브러시(1B)(전동 칫솔(1))의 배면(후방면)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전동 칫솔(1)은, 핸들부(2)와, 핸들부(2)의 일단(선단)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네크부(3)와, 네크부(3)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4)를 구비하고, 전기적인 구동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면서, 헤드부(4)의 식모면(4a)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5)에 의해 구강 내를 청소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동 칫솔(1)은, 핸들부(2)를 포함하는 칫솔 본체(1A)에 대하여, 네크부(3) 및 헤드부(4)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이하, 교체 브러시라고 한다.)(1B)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체 구조로 되어 있다.
칫솔 본체(1A)를 구성하는 핸들부(2)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며, 그의 형상에 대하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대략 원주상을 이루고 있다. 핸들부(2)의 내부에는, 도시를 생략하기는 하지만, 내부 전원이 되는 전지(예를 들어 단 3 또는 단 4의 건전지)가 수용되는 전지 수용부와,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모터와, 모터에 직결된 편심추가 배치되어 있다.
칫솔 본체(1A)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편심추가 고속 회전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음파 진동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핸들부(2)의 선단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지지축(6)에 진동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모터의 회전수에 대하여는, 6000 내지 16000rpm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0 내지 15000rp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모터의 회전수가 6000rpm 미만이 되면, 전동 칫솔(1)에 의한 청소 실감이 부족하게 된다. 한편, 모터의 회전수가 16000rpm을 초과하면, 진동에 의한 불쾌감이 조장되게 된다.
칫솔 본체(1A)는, 도시를 생략하기는 하지만, 핸들부(2)의 저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캡을 분리함으로써, 전지 수용부에 대하여 전지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칫솔 본체(1A)에서는, 핸들부(2)의 전방면에 마련된 전원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전지로부터 모터로의 전력의 공급/차단(전원 ON/전원 OFF)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언하면, 칫솔 본체(1A)에 대하여는, 상술한 전지(일차 전지)를 내부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니켈 카드뮴 전지나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등의 배터리(이차 전지)를 내부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내부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탑재하는 경우에는, 외부 전원(상용 전원)으로부터 충전기를 통해 내부 전원으로의 충전이 가능하게 하면 된다. 이 경우, 무접점 충전 방식을 사용한 쪽이 사용성이 높으면서 또한 안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칫솔 본체(1A)에서는, 상술한 전원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전원의 ON/OFF를 전환하는 구성 이외에도, 예를 들어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진동의 강/약을 전환하거나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교체 브러시(1B)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크부(3)와 헤드부(4)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칫솔 본체(1A)의 지지축(6)에 네크부(3)의 기단부를 접속함으로써, 칫솔 본체(1A)의 선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네크부(3)의 기단부에는, 칫솔 본체(1A)의 지지축(6)이 삽입되는 축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축선 방향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부언하면, 칫솔 본체(1A)에 대하여 교체 브러시(1B)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교체 구조에 대하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부터 공지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전동 칫솔(1)에서는, 칫솔 본체(1A)에 교체 브러시(1B)가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축(6)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네크부(3)를 통해 헤드부(4)에 전달하고, 모다발(5)을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교체 브러시(1B)(네크부(3) 및 헤드부(4))에는, 기계적 강도가 높은 수지(예를 들어, 폴리아세탈(POM)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술한 축 구멍에 대한 지지축(6)의 삽입 강도가 견고해지고, 헤드부(4)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에도, 헤드부(4)의 식모면(4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진동폭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네크부(3) 및 헤드부(4)를 형성하는 수지의 굽힘 탄성률(JIS K 7171)은, 1000 내지 300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 내지 3000M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내지 3000MP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네크부(3)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점차 축경된 끝이 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네크부(3)의 선단이 가장 축경된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네크부(3)의 형상에 대하여는, 어금니를 닦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 네크부(3)의 적어도 전방면(3a)측을 완만한 곡면(커브) 형상으로 해도 된다.
네크부(3)의 최소 두께 D는 3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내지 4.5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네크부(3)의 두께란, 네크부(3)의 전방면(3a)과 배면(3b) 사이의 두께를 말한다. 따라서, 네크부(3)의 최소 두께 D는, 가장 축경된 네크부(3)의 선단 두께(도 2에 있어서의, 당해 부위를 형성하는 배면(3b)측의 점 P를 기준으로, 네크부(3)의 연신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단면 두께)를 채용하고 있다.
네크부(3)의 최소 두께 D가 3mm 미만이면, 헤드부(4)의 식모면(4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진동폭이 커지고, 네크부(3)로부터 헤드부(4)에 전해지는 진동도 커지기 때문에, 진동에 수반하는 불쾌감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네크부(3)의 최소 두께 D가 5mm를 초과하면, 칫솔질 시에 입술의 벌어짐이 커져, 구강 내의 조작성을 확보할 수 없어, 어금니의 청소 실감이 저하되게 된다.
헤드부(4)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모다발(5)에 의해 구강 내를 쇄소(刷掃)하는 부분이며, 쇄소 시에 복수의 모다발(5)을 진동시킴으로써, 치면이나 치경부, 치간부 등의 세부에 있어서의 치구 제거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헤드부(4)는, 구강 내를 쇄소하기 쉬운 형상이나 크기이면 되고, 그의 형상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대략 직육면체상을 이룸과 함께, 모퉁이부가 둥그스름해진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헤드부(4)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헤드부(4)의 식모면(4a) 및 그의 배면(4b)은, 서로 평탄한 면을 형성하고 있다.
부언하면, 헤드부(4)의 배면(4b)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형상이어도 되고, 헤드부(4)의 배면(4b)측의 중앙이 솟아오른 둥그스럼한 형상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헤드부(4)는, 정면에서 보아, 선단으로부터 네크부(3)를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으로 넓어지고, 이어서 동등한 폭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폭 방향으로 좁아지며, 네크부(3)와의 경계 R에 이르는 형상을 갖고 있다.
경계 R은, 헤드부(4)의 정면에서 본 형상에 있어서의, 네크부(3)로부터의 코너 컷(corner cut)을 형성하는 곡선의 종점, 즉 코너 컷을 형성하는 곡선의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되는 위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면에서 본 헤드부(4)에 있어서의 네크부(3)로부터의 코너 컷 부분의 폭이 좁아지는 양쪽 테두리를 형성하는 곡선 혹은 직선으로부터, 폭이 넓어지는 곡선 혹은 직선, 또는 폭이 동일한 직선으로 변화되는 위치이다. 또한, 경계 R은, 정면에서 보아 네크부(3)가 핸들부(2)를 향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는 전동 칫솔(1)의 경우, 정면에서 보아 헤드부(4)와 네크부(3)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작은 위치와 일치한다. 네크부(3)의 정면에서 본 최소폭은, 3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내지 4.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헤드부(4)의 식모면(4a)에는, 동일 직경의 식모 구멍(7)이 지그재그상으로 복수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모다발(5)은, 복수개의 솔(필라멘트)을 묶어 반으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이라 불리는 금속제의 고정 도구(도시하지 않음)를 끼워 식모 구멍(7)에 박아넣음으로써, 각 식모 구멍(7)에 식설되어 있다. 부언하면, 도 5에서는, 모다발(5)의 도시를 생략하고, 식모 구멍(7)만을 도시하고 있다.
식모 구멍(7)은, 지그재그상으로 복수 배열하여 배치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격자상으로 복수 배열하여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식모 구멍(7)의 내경은, 식모되는 모다발(5)의 개수와 상관이 있으므로, 모다발(5)의 경도나 사용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식모할 때에 사용하는 모다발(5)의 굵기나 모길이에 의해 사용감은 어느 정도 조정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1.0 내지 3.0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모다발(5)은, 그 솔의 재질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기는 하지만,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예: 6-12 나일론, 6-10 나일론), 폴리에스테르(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예: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 재료를 복수 조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코어-시스 구조 등과 같이 코어부와 시스부에서 다른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솔의 횡단면 형상은 통상은 원형이지만, 그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별형, 세잎 클로버형, 네잎 클로버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모다발(5)의 모길이는, 헤드부(4)의 식모면(4a)으로부터, 어른용으로 8mm 내지 13mm, 어린이용으로 6mm 내지 9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의 굵기(최대 직경)는 구강 내의 사용성이나 사용감의 점에서, 0.12mm 내지 0.2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감이나, 쇄소감, 청정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솔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모다발(5)의 식모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솔의 모다발(5)을 반으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을 끼워 식모 구멍(7)에 식설되는 평선 식모법 이외에도, 모다발(5)의 하단을 헤드부(4)가 되는 용융 수지 중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열융착법이나, 모다발(5)의 하단을 가열하여 용융 덩어리를 형성한 후에, 금형의 캐비티 내에 용융 수지를 충전하여 헤드부(5)와 일체로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4)의 폭 W는, 6 내지 16mm가 바람직하고, 8 내지 15mm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12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값 이하이면,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수반하지 않고, 어금니 등의 좁은 개소에도 삽입 가능하다. 또한, 헤드부(4)의 폭 W는 작으면 작을수록, 헤드부(4)의 진동에 수반하는 위화감은 경감된다. 또한, 하한값 이상이면, 충분량의 모다발(5)을 식설 가능해지기 때문에, 어금니 등의 청소 실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4)가 진동해도, 확실히 브러시를 청소 부위에 닿게 수 있어, 안정된 구강 청소를 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4)의 길이 V는 20 내지 35mm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3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값 이하이면, 헤드부(4)의 진동에 수반하는 헤드 선단의 변위가 크지 않고, 위화감의 경감으로 연결된다. 또한, 하한값 이상이면, 충분량의 모다발(5)을 식설 가능해지기 때문에, 어금니 등의 청소 실감을 확보할 수 있다.
헤드부(4)의 폭 W가 12 내지 16mm인 경우에는, 헤드부(4)의 길이 V를 28 내지 33mm로 함으로써, 헤드부(4)의 진동에 수반하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이 넓은 와이드 헤드의 경우에는, 헤드부(4)의 길이 V를 짧게 함으로써, 청소 부위를 광범위하게 효율적으로 닦는 이점을 확보하면서, 상기 위화감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교체 브러시(1B)에서는, 헤드부(4)를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헤드부(4)의 최대 두께 T가 네크부(3)의 최소 두께 D와 동일하거나(D=T) 또는 네크부(3)의 최소 두께 D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D>T).
헤드부의 최대 두께 T는 2 내지 4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3.5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헤드부(4)의 두께란, 헤드부(4)의 전방면(식모면)(4a)과 배면(4b) 사이의 두께를 말한다. 헤드부(4)를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구강 내의 조작성을 높여, 어금니 등의 좁은 개소의 청소 실감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헤드부(4) 및 네크부(3)의 배면측에 있어서, 헤드부(4)는, 네크부(3)보다도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쳐(시프트되어)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교체 브러시(1B)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4)의 배면(4b)을 따른 축선 방향의 연장 라인 L1이, 네크부(3)의 배면(3b)의 선단 P를 통과하면서 또한 연장 라인 L1에 대하여 평행한 연장 라인 L2보다도, 전방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부언하면, 네크부(3)의 선단 P는, 네크부(3)의 배면(3b)이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칠 때의 개시점(변곡점)을 나타낸다. 즉, 네크부(3)의 선단 P는, 네크부(3)의 배면(3b)을 형성하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부터, 헤드부(4)의 배면(4b)을 형성하는 직선 또는 곡선을 향하여, 그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위치에 있다. 또한, 헤드부(4)의 배면(4b)이 곡선을 형성하는 경우, 연장 라인 L1은, 헤드부(4)의 최대 두께 T를 형성하는 배면(4b)측의 점을 통과하면서 또한 식모면(4a)에 대하여 평행한 연장 라인을 채용하면 된다.
또한, 헤드부(4)의 배면(4b)과 네크부(3)의 배면(3b) 사이에는, 단차 H가 마련되어 있다. 부언하면, 단차 H는, 연장 라인 L2에 대한 연장 라인 L1의 치우침(시프트)량에 상당한다.
단차 H는 0.5 내지 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2.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헤드부(4)의 배면(4b)과 구강 조직(볼의 내측 등)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헤드부(4)의 배면(4b)의 구강 조직으로의 접촉이 억제되어,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단차 H가 0.5mm 미만이면, 상술한 헤드부(4)의 배면(4b)측을 네크부(3)의 배면(3b)측보다도 얇게 한 것에 의한 효과가 불충분해진다. 한편, 단차 H가 2.0mm를 초과하면, 핸들부(2)의 축직(軸直)에 대하여 헤드부(4)가 전방면측에 과도하게 위치하게 되고,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저하되어, 어금니의 청소 실감이 저하된다.
또한, 헤드부(4)의 선단과 지지축(6)의 선단의 거리 A는, 40 내지 6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내지 5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거리 A란, 헤드부(4)의 선단과 지지축(6)의 선단을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를 말한다. 거리 A가 40mm 미만이 되면, 헤드부(4)에 진동이 강하게 전해지기 때문에, 과도한 진동에 의한 불쾌감으로 연결된다. 한편, 거리 A가 60mm를 초과하면, 헤드부(4)에 전해지는 진동이 약해지기 때문에, 청소 실감이 불충분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교체 브러시(1B)에서는, 헤드부(4)의 배면(4b)측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쇄소 시의 헤드부(4)의 배면(4b)과 구강 조직(볼의 내측 등)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헤드부(4)의 배면(4b)의 구강 조직으로의 접촉이 억제되어,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헤드부(4) 및 네크부(3)의 전방면측에 있어서, 헤드부(4)는, 네크부(3)보다도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쳐(시프트되어)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교체 브러시(1B)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4)의 식모면(4a)을 따른 축선 방향의 연장 라인 L3이, 네크부(3)의 전방면(3a)의 선단 Q를 통과하면서 또한 연장 라인 L3에 대하여 평행한 연장 라인 L4보다도, 전방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부언하면, 선단 Q는, 네크부(3)의 전방면(3a)이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칠 때의 개시점(변곡점)을 나타낸다.
또한, 연장 라인 L4에 대한 연장 라인 L3의 치우침(시프트)량은, 0mm 초과 또한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mm 초과 또한 0.5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교체 브러시(1B)에서는, 헤드부(4)의 식모면(4a)을 전방면측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치우치게 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네크부(3)로부터 헤드부(4)로의 진동의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헤드부(4)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에도, 헤드부(4)의 식모면(4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진동폭을 작게 할 수 있어, 구강 내에서의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치우침(시프트)량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면, 핸들부(2)의 축직에 대하여 헤드부(4)가 과도하게 이격되기 때문에,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저하되어, 어금니의 청소 실감이 저하된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의 교체 브러시(1B)에서는, 상술한 헤드부(4)의 식모면(4a)이 네크부(3)의 전방면(3a)보다도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쳐(시프트되어)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헤드부(4)의 식모면(4a)과 네크부(3)의 전방면(3a)을 연속적으로(스트레이트로)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헤드부(4)는, 네크부(3)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교체 브러시(1B)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모면(4a)에 대하여 평행한 헤드부(4)의 축선 라인 T1(연장 라인 L3의 연장선)이, 핸들부(2)에 대한 착탈 방향과 평행한 네크부(3)의 축선 라인 T2(축 구멍의 중심축을 따른 연장선)에 대하여, 전방면측에 경사져 있다.
이 경우, 헤드부(4)의 축선 라인 T1과 네크부(3)의 축선 라인 T2가 이루는 각도(이하, 헤드부(4)의 기울기라고 한다.) α는, 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헤드부(4)의 배면(4b)의 구강 조직(볼의 내측 등)으로의 접촉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어금니나 치아의 안쪽의 청소 실감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비해, 헤드부(4)의 기울기 α가 1° 미만이 되면, 상술한 효과가 불충분해질 뿐만 아니라, 브러시 본체(1A)로부터의 진동이 헤드부(2)에 전해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식모면(4a)과 수직 방향의 진동폭이 커져, 사용 시의 진동에 수반하는 위화감이 조장된다. 한편, 헤드부(4)의 기울기 α가 5°를 초과하면, 헤드부(4)의 어금니로의 도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헤드부(4)의 위치가 핸들부(2)의 축직으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기 때문에, 식모면(4a)과 수직 방향의 진동폭이 커져, 사용 시의 진동에 수반하는 위화감이 조장된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의 교체 브러시(1B)에서는, 상술한 헤드부(4)가 네크부(3)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헤드부(4)의 축선 라인 T1과 네크부(3)의 축선 라인 T2가 평행(α=0°)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교체 브러시(1B)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4) 및 네크부(3)의 배면측에 있어서, 네크부(3)의 선단으로부터 헤드부(4)의 배면(4b)과 일부 연결되는 진동 억제부(8)를 갖고 있다.
진동 억제부(8)는, 헤드부(4) 및 네크부(3)와 일체로 형성됨과 함께, 네크부(3)의 배면(3b)의 선단 P로부터 헤드부(4)의 배면(4b)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면서 또한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진동 억제부(8)는, 상술한 헤드부(4)의 배면(4b)과 네크부(3)의 배면(3b) 사이를 원활하게 접속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진동 억제부(8)의 선단은, 후술하는 외측 식모 영역(S2)의 가장 후단(기단)측에 위치하는 제2 모다발(5b)의 후단을 통과하는 폭 방향의 라인 상에 위치하고 있다.
진동 억제부(8)는, 헤드부(4)의 식모면(4a)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과도한 진동을 억제한다.
또한, 상술한 헤드부(4)의 배면(4b)측의 두께를 얇게 한 채, 이 진동 억제부(8)에 의해 헤드부(4)와 네크부(3)의 연결 부분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헤드부(4)의 배면(4b)의 구강 조직(볼의 내측 등)으로의 접촉을 억제하면서,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헤드부(4)의 식모면(4a)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중앙 부분에 복수의 식모 구멍(11)이 헤드부(4)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구성되는 중앙 식모 영역(S1)과, 이 중앙 식모 영역(S1)을 사이에 둔 양측에 복수의 식모 구멍(11)이 헤드부(4)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구성되는 외측 식모 영역(S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헤드부(4)의 식모면(4a)에 지그재그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식모 구멍(11) 중, 식모면(4a)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헤드부(4)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3열의 식모 구멍(11)에 의해 중앙 식모 영역(S1)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중앙 식모 영역(S1)을 사이에 둔 양측에 있어서, 각각 헤드부(4)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2열의 식모 구멍(11)에 의해 한 쌍의 외측 식모 영역(S2)이 구성되어 있다.
중앙 식모 영역(S1)의 각 식모 구멍(11)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털끝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상의 솔(이하, 제1 테이퍼용 모라고 한다.)에 의해 구성되는 모다발(5)(이하, 제1 모다발(5a)이라고 한다.)이 식설되어 있다. 한편, 외측 식모 영역(S2)의 각 식모 구멍(11)에는, 제1 테이퍼용 모보다도 선단 직경이 가는 테이퍼상의 솔(이하, 제2 테이퍼용 모라고 한다.)에 의해 구성되는 모다발(5)(이하, 제2 모다발(5b)이라고 함)이 식설되어 있다.
또한, 중앙 식모 영역(S1)의 선단측 및 후단측에 위치하는 식모 구멍(7a, 7b)에는, 각각 제2 모다발(5b)이 식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헤드부(4)의 식모면(4a)에는, 이들 중앙 식모 영역(S1)의 선단측 및 후단측에 식설된 제2 모다발(5b)과, 외측 식모 영역(S2)에 식설된 제2 모다발(5b)이, 중앙 식모 영역(S1)에 식설된 제1 모다발(5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헤드부(4)의 식모면(4a)에는, 외측 식모 영역(S2)에 식설된 복수의 제2 모다발(5b)과 함께, 중앙 식모 영역(S1)의 주위에 복수의 제2 모다발(5b)이 헤드부(4)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하여 식설된 외주 식모 영역(S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중앙 식모 영역(S1)에 식설된 제1 모다발(5a)의 식모 밀도는, 외측 식모 영역(S2)에 식설된 제2 모다발(5b)의 식모 밀도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부언하면, 여기에서 말하는 「식모 밀도」란, [식모 구멍의 면적의 총합]÷식모 면적]으로 부여되는 값이며, 「식모 구멍의 면적의 총합」이란, 각 식모 영역(S1, S2)을 구성하는 식모 구멍(11)의 면적을 더한 값이며, 「식모 면적」이란, 「JIS S 3016-1995」에 준거한 것이며, 각 식모 영역(S1, S2)의 외주에 위치하는 각 식모 구멍(11)의 외측을 직선으로 연결한 포위 영역의 면적으로 표현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식모 영역(S2)보다도 식모 밀도가 높고, 게다가 제2 테이퍼용 모보다도 선단 직경이 굵은 제1 테이퍼용 모로 이루어지는 중앙 식모 영역(S1)의 제1 모다발(5a)에 의해, 치면이 효율적으로 쇄소됨과 함께, 비교적 잇몸에 닿기 쉬운 외측 식모 영역(S2)에 대하여, 중앙 식모 영역(S1)보다도 식모 밀도가 낮고, 게다가 제1 테이퍼용 모보다도 선단 직경이 가는 제2 테이퍼용 모로 이루어지는 제2 모다발(5b)을 식설함으로써, 쇄소 시에 잇몸에 전해지는 진동의 강도를 완화할 수 있어, 구강 내에서의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식모 밀도가 높은 중앙 식모 영역(S1)의 제1 모다발(5a)은, 제2 테이퍼용 모보다도 선단 직경이 굵은 제1 테이퍼용 모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이 제1 모다발(5a)에 의한 모탄력의 강도가 양호한 진동 전달을 만들어내어, 진동에 의한 청소 실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식모 영역(S1)에 식설된 제1 모다발(5a)의 주위를 둘러싸는 외주 식모 영역(S3)에 제2 모다발(5b)이 식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어금니를 닦을 때에 제2 모다발(5b)이 전방위에서 잇몸에 접촉하기 쉬워져, 털끝이 잇몸에 닿았을 때의 닿은 기분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식모 영역(S2)에 식설된 제2 모다발(5b)의 모길이가, 중앙 식모 영역(S1)에 식설된 제1 모다발(5a)의 모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다발(5a)의 최대 높이를 t1[mm], 제2 모다발(5b)의 최대 높이를 t2[mm]라 하였을 때, 0.5mm≤t2-t1≤3.0mm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모다발(5b)의 최대 높이 t2를 제1 모다발(5a)의 최대 높이 t1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제2 모다발(5b)의 치경부 및 치간부에 대한 털끝 진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털끝이 치면에 닿았을 때, 모길이가 긴 제2 모다발(5b)이 자연스럽게 벌어져, 털끝이 치경부에 핏되기 때문에, 털끝이 치경부에 닿는 각도를 신경쓰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치경부의 쇄소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모길이가 긴 제2 모다발(5b)을 잇몸에 접촉시켰을 때, 이 제2 모다발(5b)이 쿠션의 역할을 함으로써, 진동을 완충하여, 구강 내에서의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중앙 식모 영역(S1)에 있어서의 제1 모다발(5a)과 외측 식모 영역(S2)에 있어서의 제2 모다발(5b)의 모길이차 t2-t1을, 0.5 내지 3.0mm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m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mm의 범위로 함으로써, 치면의 청소성과 잇몸에 닿은 기분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테이퍼용 모의 선단 직경을 40 내지 80㎛로 하고, 제2 테이퍼용 모의 선단 직경을 5 내지 30㎛로 함으로써, 치면의 청소성과 치아의 간극에 있어서의 청소성을 양호한 밸런스로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치면의 청소와 진동에 수반하는 불쾌감의 경감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식모 영역(S1)에 복수의 식모 구멍(11)이 헤드부(4)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열 이상 배열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중앙 식모 영역(S1)에 제1 모다발(5a)을 헤드부(4)의 길이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열하여 식설함으로써, 이들 제1 모다발(5a)에 의해 치면에 대한 충분한 치구 제거력과, 진동에 의한 충분한 청소 실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식모 영역(S1)에 식설된 제1 모다발(5a)의 식모 밀도를 ρ1, 외측 식모 영역(S2)에 식설된 제2 모다발(5b)의 식모 밀도를 ρ2라 했을 때, 0.40≤ρ1≤0.70, 0.20≤ρ2≤0.40, 1.2≤ρ12≤2.4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식모 영역(S1)의 식모 밀도 ρ1을 0.40≤ρ1≤0.7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ρ1≤0.60의 범위로 함으로써, 중앙 식모 영역(S)에 있어서의 제1 모다발(5a)의 모탄력을 적절하게 강하게 하는 한편, 외측 식모 영역(S2)의 식모 밀도 ρ2를 0.20≤ρ2≤0.4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ρ2≤0.40의 범위로 함으로써, 외측 식모 영역(S2)에 있어서의 제2 모다발(5b)을 적절하게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들 중앙 식모 영역(S1)에 식설된 제1 모다발(5a)의 식모 밀도 ρ1에 대한 외측 식모 영역(S2)에 식설된 제2 모다발(5b)의 식모 밀도 ρ2의 비(이하, 식모 밀도비라고 한다.) ρ12를 1.2 내지 2.4의 범위로 한 경우에는, 외측 식모 영역(S2)보다도 식모 밀도가 높은 중앙 식모 영역(S1)의 제1 모다발(5a)에 의해, 치면이 효율적으로 쇄소됨과 함께, 이 중앙 식모 영역(S1)보다도 식모 밀도가 낮은 외측 식모 영역(S2)의 제2 모다발(5b)에 의해, 치경부 및 치간부가 효율적으로 쇄소되기 때문에, 치면이나 치경부, 치간부 등의 세부에 있어서의 치구 제거력을 높일 수 있다.
부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식모 영역(S1)의 선단측 및 후단측에 위치하는 식모 구멍(7a, 7b)에, 각각 제2 모다발(5b)이 식설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제2 모다발(5b) 대신에 제1 모다발(5a)이 식설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모다발(5a) 및 제2 모다발(5b)에 대하여는, 상술한 테이퍼용 모를 사용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털끝을 향해 직경이 일정해지는 스트레이트용 모 등, 임의의 솔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교체 브러시(1B)를 구비한 전동 칫솔(1)에서는, 헤드부(4)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어금니의 높은 청소 실감을 얻음과 함께, 헤드부(4)의 두께를 얇게 한 것에 의한 과도한 진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구강 내에서의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부언하면,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식모면(4a)에 있어서의 모다발(5)의 배치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다른 배치예에서는, 헤드부(4)의 식모면(4a)에 지그재그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식모 구멍(11) 중, 식모면(4a)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헤드부(4)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3열의 식모 구멍(11)에 의해 중앙 식모 영역(S1)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중앙 식모 영역(S1)을 사이에 둔 양측에 있어서, 각각 헤드부(4)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1열의 식모 구멍(11)에 의해 한 쌍의 외측 식모 영역(S2)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식모 영역(S2)의 각 식모 구멍(11)의 직경은, 중앙 식모 영역(S1)의 각 식모 구멍(11)의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식모 영역(S1)의 각 식모 구멍(11)에 식설되는 제1 모다발(5c)의 모다발 직경보다도, 외측 식모 영역(S2)의 각 식모 구멍(11)에 식설되는 제2 모다발(5d)의 모다발 직경이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모다발(5c)의 모길이가 제2 모다발(5d)의 모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제1 모다발(5c) 및 제2 모다발(5d)에는, 테이퍼용 모를 사용할 수 있다. 부언하면, 제1 모다발(5c) 및 제2 모다발(5d)에 대하여는, 상술한 테이퍼용 모를 사용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털끝을 향해 직경이 일정해지는 스트레이트용 모 등, 임의의 솔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헤드부(4)의 식모면(4a)에는, 도시를 생략하기는 하지만, 상술한 외측 식모 영역(S2)에 식설된 복수의 제2 모다발(5d)과 함께, 중앙 식모 영역(S1)에 식설된 제1 모다발(5c)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제2 모다발(5d)이 헤드부(4)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하여 식설된 외주 식모 영역이 마련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제1 모다발(5c)의 모다발 직경보다도 제2 모다발(5d)의 모다발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제2 모다발(5d)이 잇몸에 접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이 제2 모다발(5d)에 의한 잇몸으로의 압력을 완화하여, 잇몸에 부드럽게 닿는 기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쇄소 시에 잇몸에 전해지는 진동의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모다발(5c)의 모길이를 제2 모다발(5d)의 모길이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잇몸에 부드럽게 닿는 기분과, 치경부의 청소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다른 배치예에서는, 식모면(4a)의 중앙 부분의 선단측에 복수의 제1 모다발(5e)이 헤드부(4)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식설된 중앙 식모 영역(S1)과, 식모면(4a)의 중앙 부분의 기단측에 모다발이 없는 중앙 무모 영역(S4)과, 중앙 식모 영역(S1) 및 중앙 무모 영역(S4)을 사이에 둔 양측에 복수의 제2 모다발(5f)이 헤드부(4)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식설된 외측 식모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모다발(5e) 및 제2 모다발(5f)에는, 테이퍼용 모를 사용할 수 있다. 부언하면, 제1 모다발(5e) 및 제2 모다발(5f)에 대하여는, 상술한 테이퍼용 모를 사용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털끝을 향해 직경이 일정해지는 스트레이트용 모 등, 임의의 솔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중앙 무모 영역(S4)을 사이에 둔 양측의 제2 모다발(5f)이 휘기 쉬워져, 털끝의 치경부로의 진입성이 높아진다. 한편, 제1 모다발(5e) 및 제2 모다발(5f)의 탄력의 저하나, 숱이 적은 느낌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치구의 긁어냄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앙 무모 영역(S3)을 사이에 둔 양측의 제2 모다발(5f)이 휨으로써, 진동을 완충하여, 구강 내에서의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한다. 부언하면,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4)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의 최대 두께 T[mm]」, 「네크부의 최소 두께 D[mm]」, 「단차 H[mm]」, 「헤드부의 선단과 지지축의 선단의 거리 A[mm]」, 「헤드부의 기울기 α[°]」, 「L4에 대한 L3의 치우침량[mm]」, 「헤드부 및 네크부의 재질」, 「헤드폭 W[mm]」, 「헤드 길이 V[mm]」를 다르게 한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교체 브러시를 제작하였다. 부언하면, 모터의 회전수에 대하여는, 모두 9000rpm으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는, 모두 「평선 식모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헤드부의 식모 구멍에 있어서의 「직경」은 1.6mm, 「행 피치」는 2.5mm, 「열 피치」는 2.2mm(모두 구멍 중심간 거리)로 배치하였다. 상기 피치를 기본으로 하여, 각 헤드 폭, 헤드 길이에 따라서 열수·행수를 설정하고, 폭 방향으로 4 내지 6열, 길이 방향으로 7 내지 9행으로 하였다.
용모(用毛)는 PBT 수지의 ST모, 기부 직경이 7.5mil인 것을 하나의 식모 구멍당, 23개 식모하였다. 평선 식모이기 때문에, 실질은 46개이다. 또한, 모길이는 12mm로 하였다.
그리고, 이들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교체 브러시를 사용한 전동 칫솔에 대하여, 「어금니의 청소 실감」 및 「진동에 수반하는 불쾌감」에 관한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부언하면, 「어금니의 청소 실감」의 평가 시험에 대하여는, 10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한 관능 평가를 행하고, 어금니(제2 대구치)의 청소 실감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5점: 매우 닦기 쉽다.
4점: 약간 닦기 쉽다.
3점: 어느 쪽도 아니다.
2점: 약간 닦기 어렵다.
1점: 매우 닦기 어렵다.
그리고, 10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한 평가점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하의 4단계에 의한 평가를 행하였다.
◎: 4.5 이상 5.0점 이하
○: 3.5 이상 4.5점 미만
△: 2.5 이상 3.5점 미만
×: 2.5점 미만
또한, 「진동에 수반하는 불쾌감」의 평가 시험에 대하여는, 10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한 관능 평가를 행하고, 쇄소 시의 진동에 수반하는 불쾌감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5점: 진동이 전혀 신경쓰이지 않는다.
4점: 진동이 거의 신경쓰이지 않는다.
3점: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2점: 진동이 약간 신경쓰인다.
1점: 진동이 매우 신경쓰인다.
그리고, 10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한 평가점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하의 4단계에 의한 평가를 행하였다.
◎: 4.5 이상 5.0점 이하
○: 3.5 이상 4.5점 미만
△: 2.5 이상 3.5점 미만
×: 2.5점 미만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평가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12의 전동 칫솔은, 비교예 1 내지 4의 전동 칫솔과 비교하여, 「어금니의 청소 실감」 및 「진동에 수반하는 불쾌감」의 어느 평가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는 점에서, 종합 평가에 대하여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부언하면,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 구멍의 배열 패턴은, 헤드 폭 및 헤드 길이에 맞게 설정하고 있지만, 어느 배열 패턴에서도 동일한 평가가 얻어졌다.
1…전동 칫솔
1A…칫솔 본체
1B…(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2…핸들부
3…네크부
4…헤드부
4a…식모면
5…모다발
5a, 5c, 5e…제1 모다발
5b, 5d, 5f…제2 모다발
6…지지축
7…식모 구멍
8…진동 억제부
S1…중앙 식모 영역
S2…외측 식모 영역
S3…외주 식모 영역
S4…중앙 무모 영역

Claims (7)

  1.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전기적인 구동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에 의해 구강 내를 청소하는 전동 칫솔의 상기 핸들부를 포함하는 칫솔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네크부 및 상기 헤드부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로서,
    상기 헤드부의 최대 두께 T가 2 내지 4mm이며, 상기 네크부의 최소 두께 D가 3 내지 5mm이며, 또한 D≥T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식모면이 마련된 전방면측과는 반대측의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네크부의 배면측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네크부보다도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배면과 상기 네크부의 배면 사이에 단차 H가 마련되고,
    상기 단차 H가 0.5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네크부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식모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기 헤드부의 축선 라인과, 상기 핸들부에 대한 착탈 방향과 평행한 상기 네크부의 축선 라인이 이루는 각도가 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지지축의 선단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선단과 상기 지지축의 선단의 거리가 40 내지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이 마련된 측의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네크부의 전방면측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네크부보다도 배면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네크부의 배면측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배면과 일부 연결되는 진동 억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7.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전기적인 구동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에 의해 구강 내를 청소하는 전동 칫솔로서,
    상기 핸들부를 포함하는 칫솔 본체에 대하여, 상기 네크부 및 상기 헤드부를 포함하는 교체 브러시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교체 브러시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KR1020207007325A 2017-11-30 2018-11-29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및 전동 칫솔 KR20200088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1177 2017-11-30
JPJP-P-2017-231177 2017-11-30
PCT/JP2018/043970 WO2019107489A1 (ja) 2017-11-30 2018-11-29 電動歯ブラシ用取替ブラシ及び電動歯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274A true KR20200088274A (ko) 2020-07-22

Family

ID=6666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325A KR20200088274A (ko) 2017-11-30 2018-11-29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및 전동 칫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7270551B2 (ko)
KR (1) KR20200088274A (ko)
CN (1) CN111343944A (ko)
SG (1) SG11202004600XA (ko)
TW (1) TWI826404B (ko)
WO (1) WO201910748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043A (ja) 1995-03-24 1996-10-08 Nidai Seiko:Kk 電動歯ブラシ
JP3148337U (ja) 2008-11-26 2009-02-12 ライオン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JP2011004852A (ja) 2009-06-24 2011-01-13 Lion Corp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5080A (en) * 1969-08-28 1972-08-22 Huebner Otto Mechanically powered toothbrush
JPS60187623U (ja) * 1984-05-24 1985-12-12 ライオン株式会社 刷子
JP3083655B2 (ja) * 1992-08-11 2000-09-0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刷子
US5628082A (en) * 1995-03-22 1997-05-13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with improved efficacy
CN1897844B (zh) * 2003-12-24 2010-12-08 狮王株式会社 牙刷
JP4642376B2 (ja) * 2004-04-28 2011-03-02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電動歯ブラシ器具
KR101379119B1 (ko) * 2007-06-14 2014-03-31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CN101467813A (zh) * 2007-12-30 2009-07-01 彭呈睿涛 一种能够换刷头的牙刷
JP5530776B2 (ja) * 2010-03-24 2014-06-2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WO2012057157A1 (ja) * 2010-10-29 2012-05-0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AU2010365776B2 (en) * 2010-12-23 2014-11-2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N104284611B (zh) * 2012-05-01 2016-05-18 狮王株式会社 牙刷
CN103405283B (zh) * 2013-05-29 2015-04-15 宁波赛嘉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摆振驱动结构的电动牙刷
JP2016010511A (ja) * 2014-06-27 2016-01-21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JP6598352B2 (ja) * 2015-03-31 2019-10-3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EP3090650B1 (de) * 2015-05-04 2019-12-04 Trisa Holding AG Elektrogerät für die körper- insbesondere die gesichtspflege
CN108697230B (zh) * 2016-03-09 2020-04-24 狮王株式会社 牙刷
WO2017155045A1 (ja) * 2016-03-09 2017-09-1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6706103B2 (ja) * 2016-03-15 2020-06-0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グリップ部分とブラシ部分のとの間を強固に接続した電動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043A (ja) 1995-03-24 1996-10-08 Nidai Seiko:Kk 電動歯ブラシ
JP3148337U (ja) 2008-11-26 2009-02-12 ライオン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JP2011004852A (ja) 2009-06-24 2011-01-13 Lion Corp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6404B (zh) 2023-12-21
JP7270551B2 (ja) 2023-05-10
WO2019107489A1 (ja) 2019-06-06
SG11202004600XA (en) 2020-06-29
JPWO2019107489A1 (ja) 2020-11-26
CN111343944A (zh) 2020-06-26
TW201924622A (zh)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7480B2 (ja) 歯ブラシ
EP2000051B1 (en) Toothbrush with enhanced cleaning effects
JP4647586B2 (ja) 歯ブラシ
JP5970157B2 (ja) 歯ブラシ
JP5779413B2 (ja) 歯ブラシ
JP7190872B2 (ja) 歯ブラシ
CN107635432B (zh) 牙刷
JP6621497B2 (ja) 歯ブラシ
JP6141835B2 (ja) 歯ブラシ
JP5690523B2 (ja) 歯ブラシ
JP3148337U (ja) 電動歯ブラシ
JP6117463B2 (ja) 歯ブラシ
JP5851115B2 (ja) 歯ブラシ
KR20200088274A (ko) 전동 칫솔용 교체 브러시 및 전동 칫솔
JP3146526U (ja) 舌クリーナー
TWI734760B (zh) 牙刷
JP6598383B2 (ja) 歯ブラシ
JP2006181190A (ja) 歯ブラシ
CN112203559B (zh) 牙刷
JP6452220B2 (ja) 歯ブラシ
JP3138318U (ja) 歯ブラシ
TW202100061A (zh) 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