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784A - 텐덤 볼 베어링 - Google Patents

텐덤 볼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784A
KR20200083784A KR1020180172593A KR20180172593A KR20200083784A KR 20200083784 A KR20200083784 A KR 20200083784A KR 1020180172593 A KR1020180172593 A KR 1020180172593A KR 20180172593 A KR20180172593 A KR 20180172593A KR 20200083784 A KR20200083784 A KR 2020008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ed portion
rolling element
ball bearing
outer ring
tandem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697B1 (ko
Inventor
이영근
이운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Priority to KR102018017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697B1/ko
Priority to PCT/KR2019/018669 priority patent/WO2020139049A1/ko
Publication of KR2020008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 F16C19/181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16C19/18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in tandem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41Ball cages comb-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8Cages for rollers or needles for multiple rows of rollers or nee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은 외주면에 전동체의 내측 궤도면이 형성된 내륜과, 내륜의 반경방향 외측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전동체의 외측 궤도면이 형성된 외륜과, 내륜과 외륜 사이에 장착되는 전동체와, 전동체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케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 조립시 전동체가 삽입되는 쪽에 위치하는 외륜의 단부에는 삽입된 전동체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단턱부와 단턱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차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텐덤 볼 베어링 {Tandem Ball Bearing}
본 발명은 회전장치에서 회전요소를 비회전요소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데 이용되는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륜의 단부에 단차부를 형성해 윤활유가 흘러나가는 출구측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윤활유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용이한 제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텐덤 볼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은 회전장치에서 회전요소와 비회전요소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요소와 비회전요소 사이의 상대운동을 보조하는 장치로, 베어링과 축이 접촉하는 방식에 따라 미끄럼 베어링과 구름 베어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구름 베어링은 볼(ball)이나 롤러(roller)와 같은 전동체를 이용해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으로, 축의 일부에 직접 접촉하는 미끄럼 베어링에 비해 마찰 저항이 작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전동체의 형상에 따라 볼 베어링, 테이퍼 롤러 베어링, 니들 베어링 등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구름 베어링 가운데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테이퍼진 원추형 구조로 전동체가 형성되어 있어 축방향 및 반경방향 하중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동력전달장치의 회전축을 지지하는데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전동체가 내륜 및 외륜과 선접촉을 하는 상태로 작동되기 때문에 하중 지지 능력은 좋지만 마찰 저항 토크가 높아 동력 전달 손실이 큰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 보다 상대적으로 베어링 용량은 작지만 동력 전달 손실(마찰 저항 토크)이 작은 텐덤 형식의 볼 베어링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텐덤 볼 베어링(10)의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덤 볼 베어링(10)은 회전축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내륜(20)과 하우징 등에 압입되어 장착되는 외륜(30)과 내륜(20)과 외륜(30) 사이에 게재되는 볼 전동체(40) 등으로 구성되며, 볼 전동체(40)는 축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복열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텐덤 볼 베어링(10)은 전동체(40)가 내륜(20)과 외륜(30) 사이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외륜(30)의 단부에 단턱부(32)가 형성되어 전동체(4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륜(30)의 단턱부(32)에 의해 윤활유의 배출이 간섭되어 윤활유가 원활하지 유동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베어링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륜(30)의 단부를 짧게 형성해 단턱부를 제거함으로써 윤활유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베어링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조립시에 조립 공구(60)가 외륜(30)에 접촉하기 전에 먼저 전동체 케이지(50)에 접촉하게 되어 조립 공정이 방해가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3666호 (공개일: 2017.02.07.)
본 발명은 종래의 텐덤 볼 베어링에서 발생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베어링의 조립성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윤활유의 원활한 유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보다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가 가능한 텐덤 볼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은 외주면에 전동체의 내측 궤도면이 형성된 내륜과, 내륜의 반경방향 외측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전동체의 외측 궤도면이 형성된 외륜과, 내륜과 외륜 사이에 장착되는 전동체와, 전동체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케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 조립시 전동체가 삽입되는 쪽에 위치하는 외륜의 단부에는 삽입된 전동체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단턱부와 단턱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차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턱부와 단차부 사이의 연결부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경사면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턱부와 단차부 사이의 연결부에는 중심축에 대해 제1 경사각을 가지며 단턱부 측에 위치하는 제1 경사면과 중심축에 대해 제2 경사각을 가지며 단차부 측에 위치하는 제2 경사면이 포함되고, 제2 경사각은 제1 경사각 보다 큰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사각은 20° 내지 55°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경사각은 제1 경사각 보다 5° 내지 20°더 큰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교차하는 지점과 단턱부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는 단턱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동체의 직경의 4% 내지 10%의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턱부와 단차부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교차하는 지점과 단턱부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의 1.5배 내지 2.5배의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륜은 전동체 및 전동체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케이지 보다 축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은 외륜의 단부에 단턱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차부를 형성해 윤활유가 보다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윤활유의 유동성이 증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입되는 윤활유와 잔류하는 윤활유 사이의 충돌이 최소화되어 교반 저항이 감소되고 마찰 저항 토크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은 외륜의 단턱부와 단턱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단차부 사이의 연결부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직선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전동체가 삽입되고 장착되는 부위를 보다 쉽게 연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륜 및 이를 포함하는 베어링을 보다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텐덤 볼 베어링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다른 구조의 텐덤 볼 베어링을 예시적으로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텐덤 볼 베어링이 조립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의 외륜에 구비되는 단턱부, 단차부 및 이들 사이의 연결부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6은 외륜의 단턱부와 단차부 사이의 연결부를 하나의 경사면으로 형성한 구조에서 연마 공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외륜의 단턱부와 단차부 사이의 연결부를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직선면이 포함되도록 형성한 구조에서 연마 공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에서 외륜의 내측으로 전동체(볼)를 삽입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은 통상의 텐덤 볼 베어링과 유사하게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내륜(200) 및 외륜(300)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은 외주면에 전동체의 내측 궤도면이 형성된 내륜(200)과, 내륜(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전동체의 외측 궤도면이 형성된 외륜(300)과, 내륜(200)과 외륜(300) 사이에 안착되어 장착되는 전동체(400)와, 전동체(40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케이지(5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륜(200)은 회전축의 외주면 등에 압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궤도면[내측 궤도면(210)]을 통해 전동체(400)를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2열의 전동체(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륜(200)의 외주면에 2개의 내측 궤도면[제1 내측 궤도면(210a) 및 제2 내측 궤도면(210b)]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륜(300)은 내륜(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장착되어 하우징 등에 압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된 궤도면[외측 궤도면(310)]을 통해 전동체(400)를 외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2열의 전동체(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외륜(300)의 내주면에 2개의 외측 궤도면[제1 외측 궤도면(310a) 및 제2 외측 궤도면(310b)]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체(400)는 내륜(200)에 형성된 내측 궤도면(210)과 외륜(300)에 형성된 외측 궤도면(310) 사이에서 케이지(500)에 수용된 상태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륜(200)과 외륜(300) 사이의 상대운동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동체(400)는 베어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축방향을 따라 1열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의 복열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열(제1 열 및 제2 열)로 볼 형상의 전동체를 배치한 텐덤 볼 베어링 형태로 베어링이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열로 전동체를 배치하는 경우에, 제1 열에 배치되는 전동체의 피치원 직경과 제2 열에 배치되는 전동체의 피치원 직경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열에 배치되는 전동체와 제2 열에 배치되는 전동체의 피치원 직경을 상이하게 형성하게 되면 베어링 내부에서 윤활유가 보다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어 베어링의 작동 성능 및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외륜(300)의 일측 단부[도 4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 도면의 좌측 단부] 부근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걸림턱(320)이 구비되어 내륜(200)과 외륜(300) 사이에 삽입된 전동체(40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내륜(200)의 일측 단부[도 4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 도면의 우측 단부] 부근에는 지지턱(220)이 구비되어 내륜(200)과 외륜(300) 사이에 삽입된 전동체(40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륜(300)은 내부에 위치하는 전동체(400) 및 전동체(400)를 지지하는 케이지(500) 보다 축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륜(300)을 전동체(400) 및 이를 지지하는 케이지(500) 보다 축방향 외측까지 돌출시켜 형성하게 되면,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종래의 텐덤 볼 베어링과 달리 베어링 조립시 조립 공구가 케이지 등과 간섭되어 조립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외륜(300)을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게 되면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텐덤 볼 베어링과 유사하게 외륜에 형성되는 단턱부에 의해 윤활유의 흐름이 방해되어 윤활유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베어링의 성능 및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은 외륜(300)의 일측 단부[베어링 조립시 전동체(400)가 삽입되는 쪽에 위치하는 단부: 도 4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 도면의 우측 단부]에 단턱부(33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차부(340)를 형성해 확장된 직경의 단차부(340)에 의해 윤활유의 유동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륜(300)의 일측 단부에 내륜(200)과 외륜(300) 사이에 삽입된 전동체(40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 단턱부(330)를 구비하고, 이러한 단턱부(330)로부터 축방향 외측에 단턱부(330)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차부(34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은 외륜(300)의 일측 단부에 단턱부(33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차부(34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좁은 직경을 갖는 단턱부(330)를 거쳐 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단차부(340)로 이동하면서 윤활유의 유동성이 향상되어 보다 원활한 윤활유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전동체(400)가 삽입되는 측에 위치하는 외륜(300)의 단부에 단차부(340)와 같은 추가적인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외륜(300) 제조시에 연마 가공을 수행해야 하는 부위가 넓어져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생산성 저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은 단턱부(330)와 단차부(340)가 형성되는 외륜(300)의 일측 단부 부분에 특수한 구조의 형상 프로파일을 적용해 외륜의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은 외륜(3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330)와 단차부(340) 사이의 연결부(350)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경사면[제1 경사면(360) 및 제2 경사면(37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은 외륜(3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330)와 단차부(340) 사이의 연결부(350)가 중심축에 대해 제1 경사각(α)을 갖는 제1 경사면(360)과 중심축에 대해 제2 경사각(β)을 갖는 제2 경사면(3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2 경사각(β)은 제1 경사각(α)보다 큰 각도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턱부(330)와 단차부(340) 사이의 연결부(350)에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륜(300) 제조시에 연마 가공이 수행되어야 하는 부위가 감소되거나 연마 공정의 난이도가 감소될 수 있어 외륜(300)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베어링의 외경을 제조할 때에는 전동체가 조립되어 안착되는 부분(궤도면)과 조립시 전동체가 접촉될 수 있는 부분에 연마 가공을 수행해 베어링의 조립 및 작동 과정에서 전동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외륜(3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330)와 단차부(340) 사이의 연결부(350)가 하나의 단일 경사면 구조로 형성되게 되면 연마 과정에서 연결부(350)에 의도치 않은 단차가 형성되게 되어[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지석(600)이 접촉하는 부위와 접촉하지 않는 부위의 경계에 단차가 형성됨], 전동체를 베어링 내로 삽입할 때 형성된 단차의 모서리(350a)에 의해 전동체에 찍힘이 발생해 전동체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단턱부(330)와 단차부(340)를 포함하는 외륜(300)의 단부 영역 전체를 연마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나[도 6의 (b) 참조], 이러한 경우에는 매우 긴 공정 시간이 요구되는 연마 공정을 넓은 범위에 걸쳐 수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베어링의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증가되고 나아가 연마 지석(600) 등의 공구 비용이 크게 증가해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은 외륜(3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330)와 단차부(340) 사이의 연결부(350)에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경사면[제1 경사면(360) 및 제2 경사면(370)]이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360)을 포함하는 영역까지만 연마 가공을 수행하더라도 제2 경사면(370)은 연마 공정에 관여되지 않기 때문에 연마 공정에서 의도치 않은 단차가 발생하거나 연마 공정의 가공 부하가 증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턱부(330)와 단차부(340) 사이의 연결부(350)에서 단턱부(330) 측에 위치하는 제1 경사면(360)은 원활한 경사면의 형성을 위해 베어링의 회전축에 대해 20° 내지 55°의 경사각[제1 경사각(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경사면(370)은 제1 경사면(360)에 비해 5° 내지 20°더 큰 경사각[제2 경사각(β)]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사면(360)과 제2 경사면(370)이 교차하는 부분(A)[즉, 제1 경사면(360)으로부터 제2 경사면(370)으로 전환이 시작되는 부분]과 단턱부(330)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H1)는 단턱부(33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동체의 직경의 4% 내지 10%의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일, 단턱부(330)로부터 제1 경사면(360)과 제2 경사면(370)이 교차하는 부분(A)까지의 반경방향 거리(H1)가 단턱부(33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동체의 직경의 4% 미만으로 형성되게 되면 전동체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전동체가 제1 경사면(360)과 제2 경사면(370)의 교차점(A)에 접촉해 찍힘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도 8 참조). 또한, 단턱부(330)로부터 제1 경사면(360)과 제2 경사면(370)이 교차하는 부분(A)까지의 반경방향 거리(H1)가 단턱부(33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동체의 직경의 10%를 초과하여 형성되게 되면 연마 가공이 필요한 영역이 넓어져 베어링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텐덤 볼 베어링(100)은 제1 경사면(360)과 제2 경사면(370)이 교차하는 부분(A)과 단턱부(330)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H1)를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제조가 가능하면서 동시에 베어링 조립 과정에서 전동체에 손상을 가할 위험을 상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턱부(330)로부터 단차부(340)까지의 반경방향 거리(H2)는 조립되는 전동체가 연마 가공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내륜(200)과 외륜(300) 사이의 조립 위치로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단턱부(330)로부터 제1 경사면(360)과 제2 경사면(370)이 교차하는 부분(A)까지의 반경방향 거리(H1)의 1.5배 내지 2.5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에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텐덤 볼 베어링
200: 내륜
210: 내측 궤도면
220: 지지턱
300: 외륜
310: 외측 궤도면
320: 걸림턱
330: 단턱부
340: 단차부
350: 연결부
360: 제1 경사면
370: 제2 경사면
400: 전동체
500: 케이지
600: 연마 지석
α: 제1 경사각(제1 경사면과 중심축 사이의 경사각)
β: 제2 경사각(제2 경사면과 중심축 사이의 경사각)
H1: 단턱부로부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교차점(A)까지 반경방향 거리
H2: 단턱부로부터 단차부 까지의 반경방향 거리

Claims (8)

  1. 외주면에 전동체의 내측 궤도면이 형성된 내륜(200)과,
    상기 내륜(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전동체의 외측 궤도면이 형성된 외륜(300)과,
    상기 내륜(200)과 상기 외륜(300) 사이에 장착되는 전동체(400)와,
    상기 전동체(40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케이지(500)를 포함하고,
    베어링 조립시 전동체(400)가 삽입되는 쪽에 위치하는 외륜(300)의 단부에는 삽입된 전동체(400)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단턱부(330)와 상기 단턱부(330)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차부(340)가 구비되는,
    텐덤 볼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330)와 상기 단차부(340) 사이의 연결부(350)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경사면이 포함되는,
    텐덤 볼 베어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330)와 단차부(340) 사이의 연결부(350)에는 중심축에 대해 제1 경사각(α)을 가지며 단턱부(330) 측에 위치하는 제1 경사면(360)과 중심축에 대해 제2 경사각(β)을 가지며 단차부(340) 측에 위치하는 제2 경사면(370)이 포함되고,
    상기 제2 경사각(β)은 상기 제1 경사각(α) 보다 큰 각도로 형성되는,
    텐덤 볼 베어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각(α)은 20° 내지 55°의 각도로 형성되는,
    텐덤 볼 베어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각(β)은 상기 제1 경사각(α) 보다 5° 내지 20°더 큰 각도로 형성되는,
    텐덤 볼 베어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360)과 상기 제2 경사면(370)이 교차하는 지점(A)과 상기 단턱부(330)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H1)는 상기 단턱부(33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동체(400)의 직경의 4% 내지 10%의 값으로 형성되는,
    텐덤 볼 베어링.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330)와 상기 단차부(340)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H2)는 상기 제1 경사면(360)과 상기 제2 경사면(370)이 교차하는 지점(A)과 상기 단턱부(330)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H1)의 1.5배 내지 2.5배의 값으로 형성되는,
    텐덤 볼 베어링.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300)은 상기 전동체(400) 및 상기 전동체(40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케이지(500) 보다 축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는,
    텐덤 볼 베어링.
KR1020180172593A 2018-12-28 2018-12-28 텐덤 볼 베어링 KR102647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93A KR102647697B1 (ko) 2018-12-28 2018-12-28 텐덤 볼 베어링
PCT/KR2019/018669 WO2020139049A1 (ko) 2018-12-28 2019-12-28 텐덤 볼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93A KR102647697B1 (ko) 2018-12-28 2018-12-28 텐덤 볼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784A true KR20200083784A (ko) 2020-07-09
KR102647697B1 KR102647697B1 (ko) 2024-03-15

Family

ID=7112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593A KR102647697B1 (ko) 2018-12-28 2018-12-28 텐덤 볼 베어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7697B1 (ko)
WO (1) WO2020139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9463B (zh) * 2020-12-07 2023-02-28 大连瑞谷科技有限公司 大型保持架区域构造尺寸的测量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874A (ja) * 2005-05-12 2006-11-24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08101685A (ja) * 2006-10-18 2008-05-01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13666A (ko)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텐덤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과 이를 적용한 차량용 액슬 및 그 축방향 내부 틈새 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3254B2 (ja) * 2006-11-27 2012-01-11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案内装置
JP5122412B2 (ja) * 2008-09-22 2013-01-1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軸受装置
JP2010159791A (ja) * 2009-01-07 2010-07-22 Ntn Corp 車輪用軸受シ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装置
JP5570297B2 (ja) * 2010-05-20 2014-08-13 Ntn株式会社 車輪用軸受装置
KR20120053594A (ko) * 2010-11-18 2012-05-29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베어링용 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874A (ja) * 2005-05-12 2006-11-24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08101685A (ja) * 2006-10-18 2008-05-01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13666A (ko)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텐덤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과 이를 적용한 차량용 액슬 및 그 축방향 내부 틈새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697B1 (ko) 2024-03-15
WO2020139049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8086B2 (en) Rolling bearing
EP2952763B1 (en) Multipoint contact ball bearing
US8985860B2 (en) Prong type resin cage for double row roller bearing and double row roller bearing
EP2541086A1 (en) Retainer for tapered rollers
US10054164B2 (en) Rolling bearing
US20140301688A1 (en) Prong type cage for double row roller bearing and double row roller bearing
JP2008240796A (ja) シール付きアンギュラ玉軸受及び主軸装置
EP1947356A2 (en) Cage for rolling bearing and rolling bearing having the same
EP2886894B1 (en) Mechanical device comprising a bearing and a lubrication system, implementing machine and method
KR20200083784A (ko) 텐덤 볼 베어링
JP2006071016A (ja) 玉軸受用保持器
US8529134B2 (en) Rolling bearing apparatus
JP2000320558A (ja) ころ軸受用合成樹脂製保持器
JP2006112555A (ja) 調心輪付きころ軸受
JP2008002495A (ja) 自動調心ころ軸受
JP2012172784A (ja) 玉軸受
CN106321624B (zh) 圆锥滚子轴承
JP2019173918A (ja) 四点接触玉軸受およびそれに用いる玉軸受用保持器
EP4291792B1 (en) Skew limiting bearing cage
JP2003130060A (ja) ラジアル玉軸受
KR102417576B1 (ko) 웨이브 기어 및 웨이브 기어용 베어링 요소
JP2010002027A (ja) 円筒ころ軸受および円筒ころ軸受装置
KR101585798B1 (ko) 저토크 복합 베어링
JP6094637B2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
JP6003022B2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