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112A -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112A
KR20200072112A KR1020180159904A KR20180159904A KR20200072112A KR 20200072112 A KR20200072112 A KR 20200072112A KR 1020180159904 A KR1020180159904 A KR 1020180159904A KR 20180159904 A KR20180159904 A KR 20180159904A KR 20200072112 A KR20200072112 A KR 20200072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detection result
ow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414B1 (ko
Inventor
최성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Priority to KR102018015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4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수집과 더불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따른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YSTEM FOR INTERLOCKING INTERNET OF THING DEVICES FOR DETECTING ABNORMAL BIOLOGICAL SIGN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체 신호의 검출 또는 계측은, 초창기에 주로 의학 분야에서 연구되고 활용되어 왔다. 즉, 혈압이나 맥박등을 측정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거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검출 또는 계측된 생체 신호가 사용되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러한 의학분야 뿐만 아니라, 인간의 감성 상태를 파악하는 인간과 기계간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 분야에 생체 신호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간과 기계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보다 편리하고 친근한 통신수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생체 신호를 이용한 인간의 감성을 인식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생체신호(또는 생리신호)를 검출 또는 계측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인식된 감성 상태 정보는 외부 기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감성 상태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감성 상태 정보는 유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s)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된다.
종래에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적용하여 피검자의 신체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검출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수집, 분석하여 피검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기술등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을 위한 생체신호 수집기술은 전자직물의 개발과 함께 성장되었고,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술분야로서 인정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측정 기술은 단순히 생체 신호만을 수집하는 데에 목적을 하고 있어, 피검자의 신체 상황을 확인한 뒤에 시급한 응급상황에 필요한 후속조치(예를 들면, 응급 요원의 출동)가 이루어지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단점을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종래의 피검자에 착용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에 생체신호를 송신하게 되나, 모바일 단말과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간에 통신이 두절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됨에 따라 피검자의 생체 정보가 연속성을 갖지 못하기에 정확한 이상 신호의 감지 또는 누적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이상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단순히 수집된 데이터 결과만을 이용하여 수치적으로만 판단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8159호 (2018.12.03 공개)에서는 고감도 다중 생체신호 취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8159호 (2018.12.03 공개)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수집과 더불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따른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수집과 더불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따른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용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는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사용자 단말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입력부가 입력받은 상기 상황 정보를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는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하는 상태 정보 판단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 및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가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사용자 단말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사용자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체 신호 수집과 더불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따른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용자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용자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상태 정보 판단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용자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용자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상태 정보 판단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200) 및 사용자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200) 및 사용자 관리 서버(3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의 경우,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및 데스크탑 PC 등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사운드 등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센서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부(210), 제1통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상태 정보 판단부(310), 저장부(320) 및 제2통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 판단부(310)는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 및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는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온, 심박수 등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환경 정보는 가스 수치, 미세 먼지 수치, 날씨(외부 온도, 습도 등) 정보, 걸은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서부(110)는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하여, 각종 센서, 예를 들면, 습도, 체온, 먼지, 가스, 심박수, 땀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가스 센서, 습도 센서, 심박수 측정 센서, 먼지 센서, 체온 감지 센서, 땀 감지 센서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센서부(110)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생체 감지를 위하여 공지된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210)는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10)는 터치 스크린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정보는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경우, 입력부(210)는 운동이라는 상황 정보를 입력받을 것이며, 사용자가 운동이 아닌 다른 야외 활동 중이라면, 입력부(210)는 야외 활동이라는 상황 정보를 입력받을 것이고, 사용자가 실내 활동 중이라면, 입력부(210)는 실내 활동이라는 상황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운동은 걷기, 달리기, 자전거 등의 세부적인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야외 활동은 야외 근무 등의 세부적인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신부(220)는 센서부(110)로부터 수신한 감지 결과 및 입력부(210)가 입력받은 상황 정보를 사용자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입력부(210)가 입력받은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상황 정보에 제1부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받은 상황 정보가 운동이라면, 제어부(230)는 GPS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제어부(230)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모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이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동 거리 및 움직임을 고려한 소모 칼로리 정보를 제1부가 정보로서, 상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모 칼로리 정보는 하나의 예시로서, 제1부가 정보는 소모 칼로리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 거리나 움직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입력부(210)가 입력받은 개인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상황 정보에 제2부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로서, 키 및 몸무게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황 정보가 운동이라면, 제어부(230)는 GPS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제어부(230)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230)는 이동거리, 움직임,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를 고려하여 소모 칼로리 정보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이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키, 몸무게, 이동 거리 및 움직임을 고려한 소모 칼로리 정보를 제2부가 정보로서, 상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부가 정보로 포함되는 소모 칼로리 정보는 하나의 예시로서, 소모 칼로리 정보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키, 몸무게, 이동 거리 및 움직임 등이 제2부가 정보로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개인 정보로서, 키 및 몸무게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황 정보가 야외 활동이라면,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와 더불어 수신한 감지 결과에 날씨(외부 온도 등)가 포함된 경우, 해당 날씨(외부 온도 등)를 고려하여 소모 칼로리 정보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이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와 더불어 날씨를 고려한 소모 칼로리 정보를 제2부가 정보로서, 상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부가 정보로서, 소모 칼로리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와 더불어 수신한 감지 결과에 날씨(외부 온도 등)가 제2부가 정보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20)는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시간대별, 날짜별로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결과를 제2통신부(330)가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저장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성별은 남녀를 의미하며, 개인별은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 각각을 의미하고, 그룹별은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소속된 집단(회사, 동아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 정보 판단부(310)는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상태 정보 판단부(310)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상태 정보 판단부(310)는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 판단 결과는 수치로 판단할 경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태 정보 판단부(310)가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기 설정된 범위는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은 저장부(320)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저장부(320)가 저장하고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는 개인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 이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은 이러한 개인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 이력을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개인 맞춤별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고려할 때, 특정인(A)이 운동을 한 경우 심박수가 평균 125BPM 이라면, 그러한 특정인(A)은 상황 정보가 운동이고, 감지 결과 심박수가 120 내지 130 BPM으로 나왔을 때,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은 특정인(A)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것이다.
하지만,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고려할 때, 특정인(B)이 운동을 한 경우 심박수가 평균 110BPM 인 경우, 특정인(B)는 상황 정보가 운동이고, 감지 결과 심박수가 120BPM 내지 130BPM 이라면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은 특정인(B)이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이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경우, 개인별로 같은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라고 하더라도 상이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것으로 보다 정교하게 개인 맞춤별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은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할 경우, 보다 정교하게 개인 맞춤별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자면, 특정인(C)이 청소년인 경우와 특정인(D)이 노인인 경우, 같은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더라도 상태 정보를 판단 결과는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남자 및 여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고, 여자라면 가임기 여자와 가임기가 아닌 여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러한 성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 또는 연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는 해당 성별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의 평균을 통해 성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산출될 수 있으며, 해당 연령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의 평균을 통해 연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 결과를 통해 저장부(320)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은 저장부(320)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고려할 때, 특정 그룹(E)은 외부 활동이 많은 그룹(체육 활동이 많은 그룹, 택배 회사 등)이고, 특정 그룹(F)은 내부 활동이 많은 그룹(사무직 등)이라면, 감지 결과 같은 체온(38℃)을 유지하더라도 외부 활동이 많은 그룹(E)은 많은 움직임에 따라 체온 상승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나, 내부 활동이 많은 그룹(F)은 체온 상승 요인이 존재하지 않을 것인바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이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그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는 그룹 구성원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의 평균을 통해 산출될 수 있고, 산출 결과를 통해 저장부(320)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을 통해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은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할 경우, 보다 정교하게 그룹에 속한 개인 상태를 고려한 개인 맞춤별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자면, 특정인(G)이 청소년인 경우와 특정인(H)이 노인인 경우, 같은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더라도 상태 정보를 판단 결과는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남자 및 여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고, 여자라면 가임기 여자와 가임기가 아닌 여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러한 성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 또는 연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는 해당 성별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의 평균을 통해 성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산출될 수 있으며, 해당 연령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의 평균을 통해 연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 결과를 통해 저장부(320)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330)는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저체온, 고체온, 심박 이상 등)을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부(220)는 제2통신부(330)로부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미도시)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가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S630)
그리고 사용자 다말은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631)
또한, 사용자 단말(200)이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사용자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S632)
그리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S633)
또한,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S634)
그리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35)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관리 서버(300)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서버(300)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면 S636 단계를 수행하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가 아니라면 S63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서버(300)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S636)
그리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가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S637)
또한, 사용자 단말(200)이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미도시)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110: 센서부
200: 사용자 단말 210: 입력부
220: 제1통신부 230: 제어부
300: 사용자 관리 서버 310: 상태 정보 판단부
311: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 312: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
320: 저장부 330: 제2통신부

Claims (9)

  1. 사용자 단말,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용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는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사용자 단말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입력부가 입력받은 상기 상황 정보를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는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하는 상태 정보 판단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및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제2통신부;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및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
    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6.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가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사용자 단말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사용자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
KR1020180159904A 2018-12-12 2018-12-12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6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04A KR102186414B1 (ko) 2018-12-12 2018-12-12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04A KR102186414B1 (ko) 2018-12-12 2018-12-12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12A true KR20200072112A (ko) 2020-06-22
KR102186414B1 KR102186414B1 (ko) 2020-12-04

Family

ID=7114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04A KR102186414B1 (ko) 2018-12-12 2018-12-12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667A (ko) 2022-09-01 2024-03-12 주식회사 안단테에프엠 막 관통 펩타이드 도메인과 그 양 끝에 염기성 또는 극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항균 펩타이드 및 그 변이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710A1 (en) 2021-01-21 2022-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devices in an iot environment using self-adaptive mechanis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783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170136317A (ko) * 2016-06-01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128159A (ko) 2017-05-23 2018-12-03 전자부품연구원 고감도 다중 생체신호 취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783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170136317A (ko) * 2016-06-01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128159A (ko) 2017-05-23 2018-12-03 전자부품연구원 고감도 다중 생체신호 취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667A (ko) 2022-09-01 2024-03-12 주식회사 안단테에프엠 막 관통 펩타이드 도메인과 그 양 끝에 염기성 또는 극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항균 펩타이드 및 그 변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414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ke et al. Healthcare algorithms by wearable inertial sensors: a survey
US8827906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easuring fingertip heart rate
Tripathi et al. Monitoring health care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an immaculate pairing
US20210401377A1 (en) Illness Detection Based on Modifiable Behavior Predictors
US10264971B1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grating feedback from multiple wearable sensors
CN105078437A (zh) 一种穿戴式人体异常监测告警***及其工作方法
CN104835003A (zh) 一种面向移动养老服务的***及其实现方法
CN110226802A (zh) 一种面向健康的基于多传感器的资源调配管理***
KR102186414B1 (ko)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6182B1 (ko) 생물학적 고려사항을 이용한 손상 검출
US11766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physiological condition of a user
KR101738673B1 (ko) 스마트 케어 손목착용형 장구 및 손목착용형 장구를 이용한 건강케어 시스템
Farhad et al. Measurement of vital signs with non-invasive and wireless sensing technologies and health monitoring
US20220319690A1 (en) Labor onset and birth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from wearable-based physiological data
Hey et al. Recent developments of ambulatory assessment methods
KR102190759B1 (ko)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09826737U (zh) 一种偏瘫习得性废用评估和治疗装置
Shrestha et al. Health Monitoring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A Comprehensive Framework
Ashwanth et al. Biometric Gloves for Health Monitoring
Ahmari et al. BioMeSensi: a wearable multi-sensing platform for bio-medical applications
US20220409187A1 (en) Illness detection with menstrual cycle pattern analysis
Baig et al. mHealth monitoring system for hospitalised older adults–current issues and challenges
Laxmi et al. Using Wearable IoT Devices to Analyze Healthcare Data for Human Activity Recognition
Tamilselvi et al. A WEARABLE DEVICE FOR FALL DETECTION AND HEART STROKE PREDICTION USING IOT AND MACHINE LEARNING
Hsu et al. Analysis of Personal Life Patterns Using Accelerometer-Based Wearab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