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112A - System for interlocking internet of thing devices for detecting abnormal biological sign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interlocking internet of thing devices for detecting abnormal biological sign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112A
KR20200072112A KR1020180159904A KR20180159904A KR20200072112A KR 20200072112 A KR20200072112 A KR 20200072112A KR 1020180159904 A KR1020180159904 A KR 1020180159904A KR 20180159904 A KR20180159904 A KR 20180159904A KR 20200072112 A KR20200072112 A KR 20200072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detection result
ow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6414B1 (en
Inventor
최성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Priority to KR102018015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414B1/en
Publication of KR20200072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1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4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ystem for interlock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for detecting abnormal biological signals customized for individuals by grasping individual situ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collecting user bio-signals, it is possible to perform follow-up actions according to the user bio-signals. The system includes: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including a sensor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ransmits a detection result to a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including an input unit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user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Description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YSTEM FOR INTERLOCKING INTERNET OF THING DEVICES FOR DETECTING ABNORMAL BIOLOGICAL SIGN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System for interlocking IoT devices for detecting abnormal biosignal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SYSTEM FOR INTERLOCKING INTERNET OF THING DEVICES FOR DETECTING ABNORMAL BIOLOGICAL SIGN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interlock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interlock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personalized abnormal biosignals that identify an individual's situation.

인간의 생체 신호의 검출 또는 계측은, 초창기에 주로 의학 분야에서 연구되고 활용되어 왔다. 즉, 혈압이나 맥박등을 측정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거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검출 또는 계측된 생체 신호가 사용되었다. BACKGROUND ART Detection or measurement of human biosignals has been studied and utilized mainly in the medical field in the early days. That is, in order to check a patient's health state by measuring blood pressure or pulse, or to treat a patient, a biosignal detected or measured is used.

그런데, 최근에는 이러한 의학분야 뿐만 아니라, 인간의 감성 상태를 파악하는 인간과 기계간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 분야에 생체 신호가 활용되고 있다.However, recently, in addition to the medical field, biosignals are being used in the field of human-machine interface that grasps the human emotional state.

특히, 인간과 기계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보다 편리하고 친근한 통신수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생체 신호를 이용한 인간의 감성을 인식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생체신호(또는 생리신호)를 검출 또는 계측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and friendly communication means for a human-machine interface, it is emerging as essential to recognize human emotions using bio signals. In response to this, 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for detecting or measuring a biosignal (or physiological signal) and using it.

이와 같이,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인식된 감성 상태 정보는 외부 기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감성 상태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감성 상태 정보는 유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s)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motional state information recognized using the biosignal may be provid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is, the external device provides a service suitable for the user's emotional state. At this time, the user's emotional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usin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PAN)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종래에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적용하여 피검자의 신체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검출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수집, 분석하여 피검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기술등이 제안되었다. Conventionally, a technique for collecting a biosignal of a subject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 change in an electrical signal detected through an electrode attached to the body of the subject by apply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이와 같은 종래의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을 위한 생체신호 수집기술은 전자직물의 개발과 함께 성장되었고,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술분야로서 인정되었다. Such a conventional bio-signal collection technology for interworking with IoT devices has grow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fabrics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technology field with high growth potential in the future.

하지만, 종래의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측정 기술은 단순히 생체 신호만을 수집하는 데에 목적을 하고 있어, 피검자의 신체 상황을 확인한 뒤에 시급한 응급상황에 필요한 후속조치(예를 들면, 응급 요원의 출동)가 이루어지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단점을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iometric technology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aims to collect only the bio-signals, and after confirm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subject, follow-up necessary for an urgent emergency (for example, dispatch of emergency personnel) Since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achieve this, the need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has emerged.

또한, 종래의 피검자에 착용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에 생체신호를 송신하게 되나, 모바일 단말과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간에 통신이 두절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됨에 따라 피검자의 생체 정보가 연속성을 갖지 못하기에 정확한 이상 신호의 감지 또는 누적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IoT device worn on a subject transmits a bio-signal to a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a laptop, and a tablet PC), but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often occur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urate detection of an abnormal signal or reliability of accumulated data is weakened because the subject's biological information does not have continuity.

그리고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이상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단순히 수집된 데이터 결과만을 이용하여 수치적으로만 판단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current situation is not determin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biological signal is abnormal, but only a numerical result is determined using only the collected data result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8159호 (2018.12.03 공개)에서는 고감도 다중 생체신호 취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28159 (published on December 3, 2018) discloses a high-sensitivity multipl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and a health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but has not provided a solution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8159호 (2018.12.03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28159 (published 2018.12.03)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수집과 더불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따른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to enable the user to collect the bio-signals and to follow up according to the user's bio-signals, and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n abnormal bio-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It is to provide an IoT device interlocking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 bio-signals.

또한, 두 번째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수집과 더불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따른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purpose is to enable the user to collect the bio-signals and to follow up according to the user's bio-signals, and the Internet of Things for detecting abnormal bio-signals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n abnormal bio-signal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It is to provide a device interlocking control method.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용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는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사용자 단말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입력부가 입력받은 상기 상황 정보를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는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하는 상태 정보 판단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oT device interworking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an IoT device, and a user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IoT device detects and detects at least one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a sensor unit that transmits a result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terminal manages the input unit 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and the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the contex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nput unit. It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server, the user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owner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that the user terminal owner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A stat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for generating an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by gender, age, individual and group, and a second for transmitting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Provided is an IoT device interworking system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abnormal st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abnormal st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to a preset medical person terminal.

상기 상태 정보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 및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tus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stored by the storage unit, and th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for each group stored by the storage unit It may include a group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information.

상기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wner, the personal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may determin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by additionally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status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

상기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wner, the group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may determin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wner by additionally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status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가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사용자 단말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사용자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detects at least one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ransmits a detection result to a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terminal receives current user terminal context information. Step,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to a user management server, the user management server database and stores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by gender, age, individual and group database, Determining,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owner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user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owner is abnormal, an abnormal st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It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interworking with an IoT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of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he user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includes: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o a preset medical person terminal. It may include.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owner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that of the user terminal owner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stored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status information and determin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status information for each group stored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he user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owner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management server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by additionally using one of the detection results and context informa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체 신호 수집과 더불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따른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oT device interlocking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 bio-sig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llect a user's bio-signals and follow-up a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bio-signals, taking into account the user's current situatio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biological signal is abnorm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용자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용자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상태 정보 판단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oT device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oT devic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that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user management server,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ate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flow of an IoT device interlocking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 bio-signal,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erms can be properly defined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 user'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so, “… Wealth”, “… "" However, terms such as “module” and “devic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or softwa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appearance of new technologies. .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ir mean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s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not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not be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module' or'uni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modules' or a plurality of'units' may be integrated with at least one module except for a'module' or a'unit' that needs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to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process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Also includ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용자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사용자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상태 정보 판단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oT device interworking system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oT device that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onfiguration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user management server that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at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200) 및 사용자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IoT device interworking system may include an IoT device 100, a user terminal 200, and a user management server 300.

여기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 사용자 단말(200) 및 사용자 관리 서버(3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Her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IoT device 100,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그리고 무선 통신의 경우,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In the case of wireless communication, various communication chips such as a Wi-Fi chip, a Bluetooth chip, an NFC chip,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may be used. At this time, the Wi-Fi chip, the Bluetooth chip, and the NFC chip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WiFi method, a Bluetooth method, and an NFC method, respectively. Among them, the NFC chip means a chip that operates in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ethod using a 13.56 MHz band among various RF-ID frequency bands such as 135 kHz, 13.56 MHz, 433 MHz, 860 to 960 MHz, and 2.45 GHz. In the case of using a Wi-Fi chip or a Bluetooth chip, various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SSID and a session key may be first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refers to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G (3rd Generation),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nd LTE (Long Term Evoloution).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및 데스크탑 PC 등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사운드 등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and a desktop PC, an output device outputting a display, sound, etc., and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100 Is a device worn by a user, and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devices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biological signal.

그리고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센서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부(210), 제1통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상태 정보 판단부(310), 저장부(320) 및 제2통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100 may include a sensor unit 110,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210, a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30, and a user management server The 300 may include a status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310, a storage unit 32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또한, 상태 정보 판단부(310)는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 및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10 may include a personal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1 and a group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2.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는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10 may detect at least one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200.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온, 심박수 등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환경 정보는 가스 수치, 미세 먼지 수치, 날씨(외부 온도, 습도 등) 정보, 걸은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body, such as the user's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gas values, fine dust values, weather (external temperature, humidity, etc.) information, walking distance, and the like. .

즉, 센서부(110)는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하여, 각종 센서, 예를 들면, 습도, 체온, 먼지, 가스, 심박수, 땀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가스 센서, 습도 센서, 심박수 측정 센서, 먼지 센서, 체온 감지 센서, 땀 감지 센서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센서부(110)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생체 감지를 위하여 공지된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 That is, the sensor unit 11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sensors, for example,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humidity, body temperature, dust, gas, heart rate, and sweat, to detect bio-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 sensor, a humidity sensor, a heart rate sensor, a dust sensor, a body temperature sensor, and a sweat sensor may be included. However, the sensor unit 110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various known sensors can be applied for biological sensing.

그리고 입력부(210)는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210 may receiv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이러한 입력부(210)는 터치 스크린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1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touch screen.

여기서 상황 정보는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경우, 입력부(210)는 운동이라는 상황 정보를 입력받을 것이며, 사용자가 운동이 아닌 다른 야외 활동 중이라면, 입력부(210)는 야외 활동이라는 상황 정보를 입력받을 것이고, 사용자가 실내 활동 중이라면, 입력부(210)는 실내 활동이라는 상황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Here, the context information refers to the context of the user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200. Accordingly, when the user is exercising, the input unit 210 will receive context information called exercise, and if the user is in an outdoor activity other than exercise, the input unit 210 will receive context information called outdoor activity, and the user If is indoor activity, the input unit 210 may receive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indoor activity.

여기서 운동은 걷기, 달리기, 자전거 등의 세부적인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야외 활동은 야외 근무 등의 세부적인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xercise may include details such as walking, running, and cycling, and the outdoor activity may include details such as outdoor work.

그리고 제1통신부(220)는 센서부(110)로부터 수신한 감지 결과 및 입력부(210)가 입력받은 상황 정보를 사용자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Als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may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10 and the contex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nput unit 210 to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또한, 제어부(230)는 입력부(210)가 입력받은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상황 정보에 제1부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30 may include the first unit information in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information input by the input unit 210.

예를 들어 입력받은 상황 정보가 운동이라면, 제어부(230)는 GPS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제어부(230)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모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이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동 거리 및 움직임을 고려한 소모 칼로리 정보를 제1부가 정보로서, 상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ceived context information is exercise, the control unit 230 may calculat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GPS, and the control unit 230 may detect movement through a gyro sensor, through which The calories burned can be calculated, the user terminal 200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by the user terminal 200, and calories burned information considering the moving distance and movement is included in the context information as the first additional information. .

여기서 소모 칼로리 정보는 하나의 예시로서, 제1부가 정보는 소모 칼로리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 거리나 움직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calorie consumption information is an example, and the first additional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the calorie consumption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 moving distance or movement.

그리고 제어부(230)는 입력부(210)가 입력받은 개인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상황 정보에 제2부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may include the second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by u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contex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nput unit 210.

예를 들어 개인 정보로서, 키 및 몸무게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황 정보가 운동이라면, 제어부(230)는 GPS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제어부(230)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230)는 이동거리, 움직임,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를 고려하여 소모 칼로리 정보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이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키, 몸무게, 이동 거리 및 움직임을 고려한 소모 칼로리 정보를 제2부가 정보로서, 상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personal information, if a key and a weight are input, and the received context information is an exercise, the controller 230 may calculate a moving distance of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GPS, and the controller 230 may include a gyro sensor.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the control unit 230 may calculate calories burne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distance, motion, height and weight of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200 to display it. It can be controlled, and the user's height, weight, distance traveled, and calories burned in consideration of movement can be included in the context information as the second additional information.

여기서 제2부가 정보로 포함되는 소모 칼로리 정보는 하나의 예시로서, 소모 칼로리 정보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키, 몸무게, 이동 거리 및 움직임 등이 제2부가 정보로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calories burned information included as the second part information is one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calories burned information. The user's height, weight, movement distance, and movement may be included as the second part information.

또 다른 예로서, 개인 정보로서, 키 및 몸무게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황 정보가 야외 활동이라면,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와 더불어 수신한 감지 결과에 날씨(외부 온도 등)가 포함된 경우, 해당 날씨(외부 온도 등)를 고려하여 소모 칼로리 정보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이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와 더불어 날씨를 고려한 소모 칼로리 정보를 제2부가 정보로서, 상황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key and weight are input a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situation information is an outdoor activity, the controller 230 includes weather (external temperature, etc.) in the detection result received along with the user's height and weight. If it 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calories burne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eather (external temperature, etc.), the user terminal 200 can control the user terminal 200 to display it,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user, as well as the weather The considered calorie consump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situation information as the second additional information.

마찬가지로 제2부가 정보로서, 소모 칼로리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키 및 몸무게와 더불어 수신한 감지 결과에 날씨(외부 온도 등)가 제2부가 정보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Similarly, as the second part information, it is not limited to calories burned information, and weather (external temperature, etc.)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second part information in the received detection result together with the user's height and weight.

또한, 저장부(320)는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the detection result and context information in a database by gender, age, individual, and group.

저장부(320)는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시간대별, 날짜별로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20 may database and store th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by gender, age, individual, and group so as to check the amount of change by time and date.

이러한 저장 결과를 제2통신부(330)가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저장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may transmit the storage result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received storage result.

여기서 성별은 남녀를 의미하며, 개인별은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 각각을 의미하고, 그룹별은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소속된 집단(회사, 동아리 등)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gender means male and female, and each individual means each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that transmitted the detection result and context information, and each group is a group to which the owner of the preset user terminal 200 belongs (company, club, etc.). Can mean

그리고 상태 정보 판단부(310)는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상태 정보 판단부(310)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상태 정보 판단부(310)는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10 may determin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200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context information,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10,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is an abnormal state, the stat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10 may generate an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여기서 상태 정보 판단 결과는 수치로 판단할 경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태 정보 판단부(310)가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Here, whe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a numerical value, when it is out of a preset range, the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10 may determine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as an abnormal state.

기 설정된 범위는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The preset range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administrator.

보다 구체적으로,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은 저장부(320)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ersonal state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1 may determin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using the individual detection result and contex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즉, 저장부(320)가 저장하고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는 개인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 이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은 이러한 개인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 이력을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개인 맞춤별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unit 320 stores and the individual detection results and context information refers to the individual detection results and context information history, and the personal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1 checks the individual detection results and context information history Thu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determined for each individual fit.

예를 들면,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고려할 때, 특정인(A)이 운동을 한 경우 심박수가 평균 125BPM 이라면, 그러한 특정인(A)은 상황 정보가 운동이고, 감지 결과 심박수가 120 내지 130 BPM으로 나왔을 때,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은 특정인(A)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것이다.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etection results and context information, if a specific person (A) has exercised and the heart rate is an average of 125 BPM, the specific person (A) has context information as an exercise and the detection result has a heart rate of 120 to 130 BPM. When it comes out, the personal state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1 will determine that the specific person A is in a normal state.

하지만,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고려할 때, 특정인(B)이 운동을 한 경우 심박수가 평균 110BPM 인 경우, 특정인(B)는 상황 정보가 운동이고, 감지 결과 심박수가 120BPM 내지 130BPM 이라면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은 특정인(B)이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etection results and context information, when a specific person (B) has exercised, if the heart rate is an average of 110 BPM, the specific person (B) is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exercise, and if the detection result heart rate is 120 BPM to 130 BPM, personal state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module 311 may determine that the specific person B is abnormal.

즉,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이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경우, 개인별로 같은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라고 하더라도 상이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것으로 보다 정교하게 개인 맞춤별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That is, when the personal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1 determin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etection results and situation information, different results may be generated even if the individual detection results and situa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for each individual This will have the effect of more accurately judging the abnormal state for each personalization.

또한,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1)은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personal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1 additionally uses at least on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by gender and age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Status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보다 구체적으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할 경우, 보다 정교하게 개인 맞춤별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additionally using at least on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by gender and age, there will be an effect capable of more accurately determining an abnormal state for each personal fit.

예를 들자면, 특정인(C)이 청소년인 경우와 특정인(D)이 노인인 경우, 같은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더라도 상태 정보를 판단 결과는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남자 및 여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고, 여자라면 가임기 여자와 가임기가 아닌 여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For example, if a specific person (C) is a youth and a specific person (D) is an elderly person, the result of determining state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even if the sam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are used. This may also be true for men and women, and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 and women of childbearing age.

이러한 성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 또는 연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는 해당 성별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의 평균을 통해 성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산출될 수 있으며, 해당 연령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의 평균을 통해 연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 결과를 통해 저장부(320)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gender detection results and situation information or age-specific detection results and situation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through the average of the detection results and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gender, and the average of the detection results and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ge may be calculated. Through this, th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for each age may be calculated, and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the database through the calculation result.

그리고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은 저장부(320)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up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2 may determin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status information for each group stored by the storage unit 320.

보다 구체적으로, 그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고려할 때, 특정 그룹(E)은 외부 활동이 많은 그룹(체육 활동이 많은 그룹, 택배 회사 등)이고, 특정 그룹(F)은 내부 활동이 많은 그룹(사무직 등)이라면, 감지 결과 같은 체온(38℃)을 유지하더라도 외부 활동이 많은 그룹(E)은 많은 움직임에 따라 체온 상승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나, 내부 활동이 많은 그룹(F)은 체온 상승 요인이 존재하지 않을 것인바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이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considering th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for each group, a specific group (E) is a group having a lot of external activities (a group having a lot of physical activity, a courier company, etc.), and a specific group (F) is a group having a lot of internal activities. If it is (office worker, etc.), even if the body temperature (38°C) is the same as the detection result, the group E having a lot of external activity may experience a rise in body temperature due to many movements, so it is determined that the group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2 is normal Although it is possible, the group F having a lot of internal activity will determine that the group state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2 is in an abnormal state because there will be no body temperature increase factor.

그리고 이러한 그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는 그룹 구성원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의 평균을 통해 산출될 수 있고, 산출 결과를 통해 저장부(320)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for each group may be calculated through the average of the group member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age unit 320 may database and store the result through the calculation result.

즉,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을 통해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situations through the group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2.

또한,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312)은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group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2 additionally uses th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by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Status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보다 구체적으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할 경우, 보다 정교하게 그룹에 속한 개인 상태를 고려한 개인 맞춤별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additionally using at least on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by gender and age, there will be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an abnormal state for each individual fit considering the individual state of the group.

예를 들자면, 특정인(G)이 청소년인 경우와 특정인(H)이 노인인 경우, 같은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더라도 상태 정보를 판단 결과는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남자 및 여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고, 여자라면 가임기 여자와 가임기가 아닌 여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This is because, for example, when a specific person (G) is a youth and a specific person (H) is an elderly person, the result of determining state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even if the same detection result and context information are used. This may also be true for men and women, and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 and women of childbearing age.

이러한 성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 또는 연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는 해당 성별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의 평균을 통해 성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산출될 수 있으며, 해당 연령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의 평균을 통해 연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 결과를 통해 저장부(320)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gender detection results and situation information or age-specific detection results and situation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through the average of the detection results and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gender, and the average of the detection results and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ge may be calculated. Through this, th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for each age may be calculated, and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the database through the calculation result.

그리고 제2통신부(330)는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저체온, 고체온, 심박 이상 등)을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may transmit an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low body temperature, solid temperature, heart rate abnormality, etc.) to the user terminal 200.

또한, 제1통신부(220)는 제2통신부(330)로부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미도시)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receives the abnormal st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may transmit the abnormal st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to a preset medical person terminal (not show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flow of an IoT device interlocking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 bio-signal,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가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S630)Referring to FIG. 6,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100 may detect at least one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200 (S630).

그리고 사용자 다말은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631)In addition, the user Tamar can receive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S631)

또한, 사용자 단말(200)이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사용자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S632)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and context information to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S632)

그리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S633)In addition,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may store detection results and context information in a database by gender, age, individual, and group. (S633)

또한,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S634)In addition,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may determin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200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context information (S634).

그리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35)In addition,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is abnormal (S635).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관리 서버(300)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by using the individual detection results and context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and each group stored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determined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context information.

그리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additionally uses the detection result and situ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sex and age groups, respectively. ) You can determine the owner's status information.

사용자 관리 서버(300)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면 S636 단계를 수행하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가 아니라면 S63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i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is abnormal, perform step S636. I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is not abnormal, the determination of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performs step S630. It can be done.

사용자 관리 서버(300)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200)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관리 서버(300)는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S636)When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that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200 is in an abnormal state,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may generate an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S636)

그리고 사용자 관리 서버(300)가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S637)In addition, the user management server 300 may transmit an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S637)

또한, 사용자 단말(200)이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미도시)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o a preset medical person terminal (not show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oT device interlocking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whil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Modifications can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Therefore, the disclosure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point of view rather than a restrictive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110: 센서부
200: 사용자 단말 210: 입력부
220: 제1통신부 230: 제어부
300: 사용자 관리 서버 310: 상태 정보 판단부
311: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 312: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
320: 저장부 330: 제2통신부
100: Internet of Things device 110: sensor unit
200: user terminal 210: input unit
220: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control unit
300: user management server 310: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11: personal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12: group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20: storage unit 330: second communication unit

Claims (9)

사용자 단말,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사용자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는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사용자 단말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입력부가 입력받은 상기 상황 정보를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는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하는 상태 정보 판단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및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제2통신부;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In the IoT device interworking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an IoT device and a user management server,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A sensor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ransmits a detec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user terminal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current user terminal status information;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e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nput unit to the user management server;
It includes,
The user management server
A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status information of a current user terminal owner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tatus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abnormal st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owner is abnorm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by gender, age, individual, and group;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Internet of things device interlocking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n receiving the abnormal st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the IoT device inter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abnormal st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to a preset medical devic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및
상기 저장부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
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us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Personal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context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stored by the storage unit; And
A group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status information for each group stored by the storage unit;
Internet of things device interlocking system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상태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personal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the IoT device interlocking system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by additionally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contex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상태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group status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the IoT device interlocking system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by additionally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contex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가 생체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사용자 단말의 상황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사용자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성별, 연령별, 개인별 및 그룹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 소유자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sensing at least one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detection result to a user terminal;
Receiving, by the user terminal, context information of a current user terminal;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to a user management server;
Storing,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by gender, age, individual, and group;
Determining,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status information of a current user terminal owner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an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owner is abnorm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Internet of Things device interlocking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의료인 단말로 비정상 상태 정보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the user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is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the abnormal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to a preset medical person terminal;
Internet of Things device interlocking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개인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그룹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the user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owner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state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context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stored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and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by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status information for each group stored by the user management server;
Internet of Things device interlocking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가 성별 및 연령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황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소유자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the user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owner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user terminal by additionally using the detection result and contex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The Internet of Things device interlockin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KR1020180159904A 2018-12-12 2018-12-12 Internet of thing device interwork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personalized abnormal biological signals KR1021864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04A KR102186414B1 (en) 2018-12-12 2018-12-12 Internet of thing device interwork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personalized abnormal biological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04A KR102186414B1 (en) 2018-12-12 2018-12-12 Internet of thing device interwork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personalized abnormal biological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12A true KR20200072112A (en) 2020-06-22
KR102186414B1 KR102186414B1 (en) 2020-12-04

Family

ID=7114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04A KR102186414B1 (en) 2018-12-12 2018-12-12 Internet of thing device interwork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personalized abnormal biological sig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4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667A (en) 2022-09-01 2024-03-12 주식회사 안단테에프엠 antimicrobial peptides comprising of transmembrane domain attached by basic or hydrophilic amino acids and variant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710A1 (en) 2021-01-21 2022-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devices in an iot environment using self-adaptive mechanis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783A (en)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of biometric information
KR20170136317A (en) * 2016-06-01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128159A (en) 2017-05-23 2018-12-03 전자부품연구원 High Sensitivity Multipl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and Healthcare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783A (en)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of biometric information
KR20170136317A (en) * 2016-06-01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128159A (en) 2017-05-23 2018-12-03 전자부품연구원 High Sensitivity Multipl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and Healthcare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667A (en) 2022-09-01 2024-03-12 주식회사 안단테에프엠 antimicrobial peptides comprising of transmembrane domain attached by basic or hydrophilic amino acids and variant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414B1 (en)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achandran et al. A survey on recent advances in wearable fall detection systems
Buke et al. Healthcare algorithms by wearable inertial sensors: a survey
Tripathi et al. Monitoring health care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an immaculate pairing
US20210401377A1 (en) Illness Detection Based on Modifiable Behavior Predictors
US10264971B1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grating feedback from multiple wearable sensors
CN104835003A (en) System for mobile old-age services and implement method thereof
CN110226802A (en) A kind of resource alloc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multisensor towards health
KR102186414B1 (en) Internet of thing device interwork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personalized abnormal biological signals
EP34327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rination of a subject
KR102386182B1 (en) Impairment detection with biological considerations
US11766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physiological condition of a user
KR201900418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io information processing
KR101738673B1 (en) Smart care wrist device and healthcare system by smart care wrist device
US20220319690A1 (en) Labor onset and birth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from wearable-based physiological data
Hey et al. Recent developments of ambulatory assessment methods
KR102190759B1 (en) System and mehtod for monitering emergency situation
CN209826737U (en) Hemiplegia acquisition property is useless to be evaluated and treatment device
Ashwanth et al. Biometric Gloves for Health Monitoring
Shrestha et al. Health Monitoring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A Comprehensive Framework
Ahmari et al. BioMeSensi: a wearable multi-sensing platform for bio-medical applications
US20220409187A1 (en) Illness detection with menstrual cycle pattern analysis
Laxmi et al. Using Wearable IoT Devices to Analyze Healthcare Data for Human Activity Recognition
Tamilselvi et al. A WEARABLE DEVICE FOR FALL DETECTION AND HEART STROKE PREDICTION USING IOT AND MACHINE LEARNING
Hsu et al. Analysis of Personal Life Patterns Using Accelerometer-Based Wearable Devices
Wu et al. Integration of wearable sensors and positioning system for developing healthy living sty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