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615A -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615A
KR20200065615A KR1020180152249A KR20180152249A KR20200065615A KR 20200065615 A KR20200065615 A KR 20200065615A KR 1020180152249 A KR1020180152249 A KR 1020180152249A KR 20180152249 A KR20180152249 A KR 20180152249A KR 20200065615 A KR20200065615 A KR 20200065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compound
formula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423B1 (ko
Inventor
엄병헌
권재영
손종대
박을용
신명걸
조익현
이정환
김난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스트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스트힐(주)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2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4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화합물은 개다래 잎의 추출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HITENING OF SKIN COMPRISING KAEMPFEROL DERIVATIVES}
본 명세서에는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유럽,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중국, 동남아시아 등 화장품 관련 기업에서는 식물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다양한 식물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피부 노화 방지 기능성을 갖는 추출물,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추출물, 주름 개선의 기능을 갖는 추출물들이 다양한 추출 기술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다.
사람의 피부색은 카로틴, 멜라닌의 양, 헤모글로빈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중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피부색뿐만 아니라 머리카락과 눈동자의 색에 관련된 색소의 일종이며 사람의 피부 보호 작용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과도한 자외선 노출, 대기오염, 스트레스 등 외부 환경에 의해 과다하게 피부 내에 생성되면 색소 침착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피부가 검게 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이 된다. 예컨대, 자외선은 멜라닌 생성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의 활성 촉진, 멜라닌 생합성 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 멜라닌의 산화 촉진 또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촉진 등을 통해 멜라닌 과다 생성을 유도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멜라닌 생성 메카니즘의 가장 큰 특징은 티로시나아제라는 단 한 개의 효소가 관여한다는 것으로, 상기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방지하게 되면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28757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코로솔산 화합물 또는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개다래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 중 1 이상의 화합물, 이의 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O)-R3 (여기서, R3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이다.)로 표시되는 카르보닐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 내지 1c의 화합물 중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3
[화학식 1b]
Figure pat00004
[화학식 1c]
Figure pat00005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은 개다래 추출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개다래 잎의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 억제 용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코로솔산 화합물 또는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다래 분획물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다래 분획물의 세포 내 멜라닌 함량 감소율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다래 분획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다래로부터 코로솔산(corosolic acid)을 분리하는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다래의 헥산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코로솔산(corosolic acid)의 HPLC chromatogram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다래 헥산 분획물의 silica 분획물들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다래 헥산 분획물에서 분리한 화합물들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다래로부터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 F7-6을 분리하는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다래로부터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 F7-6을 분리하는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다래 잎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에 대한 HPLC chromatogram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다래에서 분리한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 F7-6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 중 1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O)-R3 (여기서, R3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 탄소수 1 내지 5, 탄소수 1 내지 4, 탄소수 1 내지 3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이다.)로 표시되는 카르보닐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7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 등과 함께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모 화합물(parent compound)의 바람직한 약리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염을 의미한다. 무기산 또는 유기산 또는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로 형성된 통상적인 염 및 4급 암모늄의 산부가염을 포함한다. 상기 염은 (1)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아세트산, 프로파이온산, 헥사노산, 시클로펜테인프로피온산, 글라이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히드록시벤조일)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1,2-에테인-디설폰산, 2-히드록시에테인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캄퍼설폰산, 4-메틸바이시클로 [2,2,2]-oct-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파이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ert-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히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뮤콘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되는 산 부가염(acid addition salt); 또는 (2) 모 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프로톤이 치환될 때 형성되는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염기 염의 더욱 특정한 예는 나트륨, 리튬, 칼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아연,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메틸글루코사민 및 프로카인의 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통상의 의약적 복용량(medicinal dosage)으로 이용할 때 상당한 독성 효과를 피함으로써 동물, 더 구체적으로는 인간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정부 또는 이에 준하는 규제 기구의 승인을 받을 수 있거나 승인을 받거나, 또는 약전에 열거되거나 기타 일반적인 약전으로 인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프로드럭의 형태로 조성물 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드럭(prodrug)"은 어떤 약물을 화학적으로 변화시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조절한 약물을 의미하며, 그 자체는 생리 활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투여 후 체내에서 화학적 혹은 효소의 작용에 의해 원래의 약물로 바뀌어 약효를 발휘할 수 있다. 프로드럭은 투여되면, 대사 과정을 통하여 화학 변환을 통해 활성 약물로 변환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프로드럭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기능적 유도체이고, 생체 내에서 원하는 화합물로 쉽게 변환된다. 예를 들어, 적절한 프로드럭 유도체를 선별하고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은 문헌["Design Of Prodrugs", H Bund Saard, Elsevier, 1985]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수화물의 형태로 조성물 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수화물(hydrate)"은 물이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물과 화합물 사이에 화학적인 결합력이 없는 내포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용매화물의 형태로 조성물 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용매화물"은 용질의 분자나 이온과 용매의 분자나 이온 사이에 생긴 고차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이성질체의 형태로 조성물 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이성질체"란 화학식은 같으나 동일하지는 않은 화합물의 관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이성질체의 종류에는 구조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 및 입체 이성질체가 있다. 구조 이성질체란, 분자식은 같지만 구조가 달라 다른 성질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기하 이성질체란, 이중결합으로 연결된 두 원자에 결합된 원자 또는 원자단의 공간적 배치가 다른 이성질체를 의미하고, 입체 이성질체란, 동일한 화학적 구성을 갖지만 공간 중에서 원자 또는 기의 배열의 측면에서 상이한 화합물 의미하고, 광학 이성질체(거울상 이성질체)란, 서로 겹치지 않는 거울상을 갖는 한 화합물의 두 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하며, 부분입체 이성질체란, 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가지고 그것의 분자들이 서로 거울상이 아닌 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성질체"는 특히 광학 이성질체(optical isomers)(예를 들면, 본래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essentially pure enantiomers), 본래 순수한 부분 입체 이성질체(essentially pure diastereomers) 또는 이들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형태 이성질체(conformation isomers)(즉, 하나 이상의 화학 결합의 그 각도만 다른 이성질체), 위치 이성질체(position isomers)(특히, 호변이성체(tautomers)) 또는 기하 이성질체(geometric isomers)(예컨대, 시스-트랜스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래 순수(essentially pure)"란, 예컨대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이성질체와 관련하여 사용한 경우,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이성질체를 예로 들 수 있는 구체적인 화합물이 약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7% 이상 또는 약 98%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99% 이상,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99.5% 이상(w/w)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 내지 1c의 화합물 중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8
[화학식 1b]
Figure pat00009
[화학식 1c]
Figure pat00010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1a의 화합물은 화학식 1a-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1a-1의 화합물은 kaempferol-3-O-[a-rhamnopyranosyl-(1-3)-a-L-rhamnopyranosyl-(1-6)-a-D-galactopyranoside]로 분자량 740, 분자식 C33H40O19이다.
[화학식 1a-1]
Figure pat00011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1b의 화합물은 화학식 1b-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1b-1의 화합물은 Kaempferol 3-O-[a-L-rhamnopyranosyl-(1-3)-(4-O-acetyl)-O-a-L-rhamnopyranosyl-(1-6)-O-b-D-galactopyranoside]로 분자량 782, 분자식 C35H42O20이다.
[화학식 1b-1]
Figure pat00012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1c의 화합물은 화학식 1c-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1c-1의 화합물은 Kaempferol 3-O-[a-L-rhamnopyranosyl-(1-3)-2,4-di-O-acetyl-a-L-rhamnopyranosyl-(1-6)-b-D-galactopyranoside]로 분자량 824, 분자식 C37H44O21이다.
[화학식 1c-1]
Figure pat00013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2a의 화합물은 코로솔산(corosolic acid)으로 분자량 472, 분자식 C30H48O4인 물질이다.
[화학식 2a]
Figure pat00014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은 다래속(Actinidia sp.) 식물로부터 분리된 것이거나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 또는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다래속(Actinidia) 식물에 속하는 것으로는 30종 이상의 식물이 보고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 개다래(A. polygama), 다래(A. arguta), 쥐다래(A. kolomikta), 섬다래(A. rupa), 키위로 알려진 참다래(A. chinensis or A. deliciosa) 등이 있다.
개다래(Actinidia polygama)는 한국, 시베리아, 일본이 원산지로서, 우리나라 각처의 100m 내지 1,500m 정도 되는 산지에서 자라는 다래나무과(Actinidiaceae) 다래나무속(Actinidia)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이다.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5m에 달하고, 작은 가지는 어릴 때 연갈색 털이 있고, 잎은 난형으로 길이는 8~14㎝, 폭은 3.5~8㎝로 어긋나고, 표면이 처음엔 녹색이지만 꽃이 필 무렵에는 흰색 혹은 녹색과 흰색이 같이 있으며 씨가 맺히면 붉은색에서 다시 녹색으로 변한다. 꽃은 백색으로 지름이 1.5㎝로 가지 윗부분의 잎자루에 달리며 한 꽃줄기에서 1~3개씩 피고 향기가 있다. 개화 시기는 6~7월이고 열매는 9~10월경에 달리고 타원형이며 길이는 약 3㎝ 정도이고 과육은 혀가 아릴 정도이며 단맛은 없다. 벌레가 붙어 이상한 모양으로 달린 열매는 약용으로 쓰인다. 개다래의 잎은 식물이 곤충을 속이는 형태를 보여주는 식물로서, 흰꽃이 피기 전 하얀 페인트를 칠한 듯한 모양을 볼 수 있는데 이 하얀 나뭇잎 때문에 수분 매개충들이 모여 들고, 벌레들은 모여서 기생하는 벌레집으로 변하고 그 속에 벌레가 약효를 더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은 개다래 추출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은 개다래 잎의 추출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개다래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개다래 잎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개다래 추출물은 개다래 잎의 추출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개다래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염화메틸렌,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헥산 분획물은 개다래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개다래 추출물은 60% 내지 80%, 60% 내지 70%, 70% 내지 80% 또는 65% 내지 75% 농도(v/v)의 에탄올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과다 생성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멜라닌 과다 생성으로 인한 질환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 잡티, 표피 멜라닌세포성 병변(Epidermal melanocytic lesion), 밀크커피 반점(Cafe's au lait macules), 베커 모반(Becker's Nevus), 반문상 모반(Nevus Spilus), 흑자(Lentigines), 진피 멜라닌세포성 병변(Dermal melanocytic lesions), 몽고반(Mongolian spot), 오타 모반(Nevus of Ota), 후천성 양측성 오타 모반양 반(Acquired bilateral nevus of Ota-like macules), 이토 모반(Nevus of Ito), 청색 모반(Blue nevus), 멜라닌형성세포성 모반(Melanocytic nevus), 경계 모반(Junctional nevus), 복합 모반(Compound nevus), 진피내 모반(Intradermal nevus), 운륜모반(Halo nevus), 선천성 멜라닌세포성 모반(Congenital nevocytic nevus), 스피츠 모반(Spitz nevus), 이형성 모반(Dysplastic nevus), 흑색종(Melanoma), 악성 흑자 흑색종(Lentigo maligna melanoma), 표재 확장성 흑색종(Superficial spreading melanoma), 선단 흑자성 흑색종(Acral lentiginous melanoma), 결절성 흑생종(Nodular melanoma), 색소성 기저세포암(pigment basal cell carcinoma), 색소성 피부섬유종(dermatofibromas), 색소성 피부낭종(dermoid cyst), 색소성 켈로이드(keloid) 및 색소성 각질극세포종(keratoacanthoma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증가로 피부에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흑색종,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 의한 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따른 유효성분 이외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 형태로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 1 ㎍/kg 내지 200 mg/kg, 다른 일 측면에서 50 ㎍/kg 내지 50 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유효성분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액상 또는 고체 상태의 제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 외에 함유할 수 있는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 등이 있다. 상기의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일 측면에서 약 5 내지 12 g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 측면에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 염, 알긴산 및 그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개다래 추출물의 제조
실온 건조된 개다래 잎(강릉시 왕산면 닭목령 채집)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추출 용기에 개다래 300.0 g과 70% 에탄올 수용액 3.0 L를 가하여 환류추출을 10시간 동안 실시한 후, 거름종이(whatman filterpaper No.1)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 과정은 3회 반복하였고, 이후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117.07 g의 70% 에탄올 개다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개다래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개다래 추출물을 분별깔때기를 이용하여 헥산(6.40 g), 디클로로메탄(9.31 g), 에틸아세테이트(9.77 g), n-부탄올(21.24 g) 및 물(46.93 g) 분획물로 계통분획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개다래 분획물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 시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개다래 분획물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B16F1 세포를 6 well plate에 well 당 1×105 세포를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제조된 개다래 분획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이후, 72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로부터 1N NaOH (10% DMSO)를 이용하여 멜라닌을 60℃ water bath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여 추출한 후 ELISA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개다래 분획물의 세포 내 멜라닌 함량 감소율 시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개다래 분획물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B16F1 세포를 6 well plate에 well 당 1×105 세포를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제조된 개다래 분획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이후, 72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로부터 1N NaOH (10% DMSO)를 이용하여 멜라닌을 60℃ 항온기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여 추출한 후 ELISA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개다래 분획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시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개다래 분획물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0.1 M의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완충용액 (pH 6.6) 120 μl에 개다래 분획물의 농도별 용액 20 μl를 혼합한 다음 티로시나제 20 μl(500unit)를 넣고, 기질로서 1.5 mM L-티로신 40 μl를 첨가하여 37 ℃ 항온기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ELI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개다래 Hexane 분획물의 silica 소분획물 제조
헥산 분획물의 어떤 화합물이 멜라닌 함량과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하고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silica 분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개다래 Hexane 분획물을 Dichloromethane과 Methanol 용매 40:1~0:1의 비율을 이용하여 5개의 소분획으로 나누었다. 분리 과정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을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개다래 Hexane 분획물의 silica 소분획물로부터 화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6에서 얻은 개다래 Hexane 분획물의 silica 2번 소분획물로부터 Acetonitrile과 Water 용매로 C18 prep-HPLC를 이용하여 6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그 중 멜라닌 생합성 저해도가 13%인 corosolic acid(F2-3(#3))를 구조동정하였다(도 4 참고). 분리한 화합물의 크로마토그램은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개다래 EA 분획물로부터 F7-6 화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개다래 EA 분획물을 도 9에서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하여 6개의 분획물(EA1~EA6)로 나눴다. 또한, EA 3번 분획물을 Acetonitrile-Water 용매를 이용하여 C18 분리용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1개의 미백 효능 성분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 F3-16(도 8의 공정도에서 분리된 F7-6과 동일)은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을 측정하여 도 11에 나타내었다. F7-6은 적은 함량으로 25%의 매우 우수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분리된 화합물 F7-6에 대해 단일 화합물의 분자량을 측정하고, NMR 기기분석하여 하기와 같이 구조를 결정하였다. NMR 결과는 DMSO(d-6)에 녹인 후, Varian Unity Inova 500MHz로 1H와 13C-NMR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 미백 효능 성분 F7-6은 분자량 824의 Kaempferol 3-O-[a-L-rhamnopyranosyl-(1-3)-2,4-di-O-acetyl-a-L-rhamnopyranosyl-(1-6)-b-D-galactopyranoside]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1에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 F7-6의 NMR DATA를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5
위치 1H (δ, mult, J, Hz) 13C (δ)
2   156.6
3   133.2
4   177.4
5   161.2
6 6.19, d (2.0) 98.9
7   164.6
8 6.42, d (2.0) 93.8
9   156.5
10   103.8
1'   120.8
2' 8.06, d (8.5) 131.0
3' 6.85, d (8.5) 115.1
4'   160.1
5' 6.85, d (8.5) 115.1
6' 8.06, d (8.5) 131.0
Gal-1'' 5.32, d (7.5) 102.1
2'' 3.55, m 71.1
3'' 3.41, m 72.8
4'' 3.62, m 68.1
5'' 3.67, m 73.5
6'' 3.63, m 66.6
  3.39, m  
Rha-1''' 4.59, d (2.0) 96.9
2''' 4.85, dd (3.5, 1.5) 71.2
OAc-2'''   169.5
  2.00, s 20.7
3''' 3.77, m 74.1
4''' 4.71, m 72.2
OAc-4'''   169.8
  2.02, s 20.7
5''' 3.69, m 65.7
6''' 0.96, d (6.5) 17.3
1'''' 4.53, d (2.0) 102.9
2'''' 3.41, m 70.6
3'''' 3.21, m 70.3
4'''' 3.10, m 71.5
5'''' 3.23, m 69.3
6'''' 0.97, d (6.5) 17.7
OH-5 12.57, s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 중 1 이상의 화합물, 이의 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6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O)-R3 (여기서, R3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이다.)로 표시되는 카르보닐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7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 내지 1c의 화합물 중 1 이상인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화학식 1a]
    Figure pat00018

    [화학식 1b]
    Figure pat00019

    [화학식 1c]
    Figure pat0002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은 개다래 추출물에서 분리된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개다래 잎의 추출물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 억제 용도를 갖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80152249A 2018-11-30 2018-11-30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24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249A KR102124423B1 (ko) 2018-11-30 2018-11-30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249A KR102124423B1 (ko) 2018-11-30 2018-11-30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615A true KR20200065615A (ko) 2020-06-09
KR102124423B1 KR102124423B1 (ko) 2020-06-18

Family

ID=7108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249A KR102124423B1 (ko) 2018-11-30 2018-11-30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4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757A (ko) 1994-04-21 1995-11-22 한동근 4-히드록시-5-메틸-3[2h]-퓨라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8058800A (ja) * 2016-10-07 2018-04-12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メラニン抑制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757A (ko) 1994-04-21 1995-11-22 한동근 4-히드록시-5-메틸-3[2h]-퓨라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8058800A (ja) * 2016-10-07 2018-04-12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メラニン抑制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423B1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965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3200B1 (ko) 상동나무 열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04477B1 (ko) 신규 바이우라실,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19227A (ko) 황칠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조성물
KR101671852B1 (ko)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07921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69907B1 (ko)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289813B1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KR102124423B1 (ko) 캠페롤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03732B1 (ko)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2425562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00091B1 (ko) 사이토칼라신 d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89794B1 (ko) 양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20080060380A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2090169B1 (ko) 고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탄력증가활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69070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삼나무 잎 추출물 및 그의 용도
KR102169239B1 (ko) 마스린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86853B1 (ko) 백심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9748A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38695B1 (ko) 감마선 조사된 감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57706B1 (ko) 사포나린 및 영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1711B1 (ko)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