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045A - 땅콩 수확기 - Google Patents

땅콩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045A
KR20200058045A KR1020180142543A KR20180142543A KR20200058045A KR 20200058045 A KR20200058045 A KR 20200058045A KR 1020180142543 A KR1020180142543 A KR 1020180142543A KR 20180142543 A KR20180142543 A KR 20180142543A KR 20200058045 A KR20200058045 A KR 20200058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ain body
peanut
transport
pean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908B1 (ko
Inventor
허정규
Original Assignee
허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규 filed Critical 허정규
Priority to KR102018014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9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9/00Harvesters for peanu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콩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실린더에 의해 본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땅속의 땅콩을 굴취하는 굴취날; 본체에 구비되어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 입력축과 연결되어 본체에서 회전되게 구비되는 상부 구동축; 상부 구동축과 연결되어 본체의 하부에서 회전되게 구비되는 하부 구동축; 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부 구동축과 베벨기어로서 각각 연동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전방 연결축; 양 전방 연결축에 각각 구비되어 무한 회전되면서 땅콩 줄기를 이송시키는 한쌍의 제 1 이송체인; 양 제 1 이송체인에 각각 연결되어 제 1 이송체인과 같이 회전되면서 굴취된 땅콩 줄기를 일정량씩 수확하여 제 1 이송체인으로 공급하는 한쌍의 수확날; 본체에 전후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회전되는 한편 그 선단부는 상부 구동축과 각각 베벨기어로서 연동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이송축; 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축의 후단부와 베벨기어로서 각각 연동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후방 연결축; 양 후방 연결축에 각각 구비되어 무한 회전되면서 제 1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어온 땅콩 줄기를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한쌍의 제 2 이송체인; 양 제 2 이송체인의 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2 이송체인과 같이 회전되면서 제 2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을 털어내 줄기로부터 분리시키는 탈곡축;을 포함하는 땅콩 수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땅콩 수확기{Peanut harvester}
본 발명은 땅콩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땅속에 심어져 있는 땅콩 작물을 수확하는 수확 작업과, 수확한 땅콩 작물에서 줄기와 작물을 분리하는 탈곡 작업을 한번에 자동으로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땅콩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농업의 기계화 추세에 따라 작물의 재배가 대형화되었고, 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에도 다양한 수확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땅콩 역시 대량으로 재배하고 대량으로 수확해야 한다.
그러나, 땅콩은 벼와 같이 지면 위에서 수확할 수 있는 다른 작물들과는 달리 땅속에서 재배되는 작물이기 때문에, 흙 속에 묻혀 있는 것을 캐내어 수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땅콩은 수확시기가 짧기 때문에, 적기에 수확을 하지 못하면 수확 손실 및 상품으로서 가치가 하락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땅콩은 흙 속에 묻혀 있는 것을 캐내어 수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 깊이로 땅을 파헤치고, 줄기를 잡아당기는 작업을 통하여 땅 속에 심어져 있는 땅콩을 수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대량으로 재배되는 땅콩을 수확하는 일은 수작업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땅콩 수확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종래의 땅콩 수확기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288132호(명칭 : 정선시스템을 구비한 땅콩수확기,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에는, 전면 측에 줄기를 끌어올리는 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취날에 의해 복수열로 두둑에 재배된 땅콩 줄기와 뿌리 부분을 흙과 함께 지면 위로 굴취하고 그 땅콩 줄기를 파지하여 이송체인으로 송급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에 물려 후방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제공되어 땅콩 뿌리부분의 흙덩이를 파쇄하고 털어내는 흙털이수단과; 상기 흙털이수단에 의해 흙이 털려진 상태로 이송되는 땅콩 뿌리부분으로부터 땅콩을 흩어내려 분리시키도록 급치날들을 구비하여 인접배치된 2개의 급동을 구비하는 급동부; 상기 급동부에서 분리된 땅콩을 그 껍질에 묻은 흙을 털어내고 급동부에서 땅콩을 분리시킬 때 함께 떨어진 잔가지 등을 분리정선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땅콩줄기의 잔가지와 비닐을 분리하기 위한 진동스크린과, 그 진동스크린의 하측에 설치되어 땅콩 껍질에 묻은 흙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싱장치와, 상기 브러싱장치로부터 땅콩을 수집기로 이송하는 경사스크린 및 경사스크린 하측에 설치되어 송풍력으로 잔가지와 흙먼지를 분리하여 땅콩만을 수집하도록 하는 송풍수단을 구비한 정선수단;을 포함하여, 지중으로부터 뿌리를 굴취하여 흙털기와 함께 땅콩의 분리 및 정선작업을 일관되게 자동적으로 처리하여 땅콩수확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땅콩 수확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땅콩 수확기에서는 두둑에 재배된 땅콩 줄기와 뿌리 부분을 지면 위로 굴취하고 굴취된 땅콩 줄기가 이송체인으로 파지되어 이송되는데, 이 과정에서 굴취된 많은 양의 땅콩 줄기가 계속해서 양 이송체인 사이로 유입되는 병목 현상으로 인해 양 이송체인에는 큰 부하가 걸려 작동이 정지되는 등의 오작동 소지가 있고, 이로 인해 땅콩의 수확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어 땅콩의 수확 효율이 저조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땅콩 수확기에서는 두둑에서 땅콩을 굴취하는 굴취날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높이의 두둑에서 땅콩을 수확함에 있어 굴취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28813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두둑에서 굴취된 땅콩 줄기를 연속적으로 일정량씩 공급하여 이송함으로써 장치의 부하를 저감시켜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하고, 땅콩의 수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땅콩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굴취날을 두둑의 높이에 맞게 상하로 조절하여 땅콩의 굴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땅콩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수확기는, 지면을 이동하면서 땅속의 땅콩을 굴취하여 수확하고 수확된 땅콩 줄기를 일정량씩 연속해서 이송시키며 이송되는 땅콩을 줄기로부터 분리시켜 탈곡시키는 본체를 포함하는 땅콩 수확기로서, 승강실린더에 의해 본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땅속의 땅콩을 굴취하는 굴취날; 본체에 구비되어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 입력축과 연결되어 본체에서 회전되게 구비되는 상부 구동축; 상부 구동축과 연결되어 본체의 하부에서 회전되게 구비되는 하부 구동축; 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부 구동축과 베벨기어로서 각각 연동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전방 연결축; 양 전방 연결축에 각각 구비되어 무한 회전되면서 땅콩 줄기를 이송시키는 한쌍의 제 1 이송체인; 양 제 1 이송체인에 각각 연결되어 제 1 이송체인과 같이 회전되면서 굴취된 땅콩 줄기를 일정량씩 수확하여 제 1 이송체인으로 공급하는 한쌍의 수확날; 본체에 전후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회전되는 한편 그 선단부는 상부 구동축과 각각 베벨기어로서 연동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이송축; 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축의 후단부와 베벨기어로서 각각 연동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후방 연결축; 양 후방 연결축에 각각 구비되어 무한 회전되면서 제 1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어온 땅콩 줄기를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한쌍의 제 2 이송체인; 양 제 2 이송체인의 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2 이송체인과 같이 회전되면서 제 2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을 털어내 줄기로부터 분리시키는 탈곡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이송체인 하부의 본체 양측에 탈곡용 회전축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탈곡용 회전축의 양단부에는 회전판이 고정되게 구비되며, 양 회전판 사이에는 다수의 탈곡축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어, 제 2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이 양편의 탈곡축 사이를 통과하면서 탈곡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양편의 탈곡축은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다수의 탈곡축이 이루는 내경이 각각 외측으로 벌어져 확장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탈곡축은 양 회전판 사이에 비틀린 상태로 고정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양 제 2 이송체인의 상,하부에는 제 2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 줄기를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탈곡축의 하부에는 탈곡된 땅콩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컨베이어벨트에는 컨베이어벨트를 회전시키는 하부 연결축이 구비되되, 하부 연결축은 그 일측이 상부 구동축과 연결되는 한편 타측은 하부 구동축과 베벨기어로서 연결되어 상부 구동축과 하부 구동축 및 컨베이어벨트를 동시에 연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굴취날 후방의 본체에는 한쌍의 수확날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의 흙을 털어내기 위한 흙털이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흙털이축은 상부 구동축과 연결되어 연동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에 따르면, 전방에 구비되는 한쌍의 수확날에 의해 두둑에서 굴취된 땅콩 줄기가 일정량씩 연속해서 이송체인으로 공급되어 이송됨으로써 이송체인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오작동을 예방하고, 땅콩의 수확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두둑 속의 땅콩을 굴취하는 굴취날을 두둑의 높이에 맞게 상하로 조절한 후 땅콩을 굴취함으로써, 땅콩의 굴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수확기를 일방향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수확기를 다른 방향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수확기에 구성되는 수확부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부에 구성되는 굴취날의 승강수단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부에 구성되는 수확날의 구성도로서, 도 5a는 평면 구성도이고, 도 5b는 저면 구성도이며, 도 5c는 수확날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방 연결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수확기의 이송부에 구성되는 구동수단의 구성도로서, 도 6a는 상부 구동수단의 구성도이고, 도 6b는 하부축의 풀리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6c는 하부축의 베벨기어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수확기의 후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수확기에 구성되는 이송 및 탈곡부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및 탈곡부의 정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수확기 및 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100)는 땅콩이 재배되는 지면을 이동하면서 땅콩을 굴취하여 수확하고 수확된 땅콩 줄기를 일정량씩 연속해서 이송시키며 이송되는 땅콩을 줄기로부터 분리시켜 탈곡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땅콩 수확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와 같은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방부에 구성되어 땅속의 땅콩을 굴취하여 수확하는 수확부(200)와, 수확부(200) 후방에 구성되어 수확부(200)에서 수확된 땅콩 줄기를 일정량씩 연속해서 이송시키는 이송부(300)와, 이송부(300) 하부에 구성되어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을 줄기로부터 분리시켜 탈곡하는 탈곡부(400)를 포함한다.
수확부(200)는, 본체(110)의 전방부 즉 선단부에 구비되어 땅콩을 굴취하는 굴취날(290)과, 굴취날(290) 후방에 구비되어 땅속에서 굴취된 땅콩 줄기를 잡고 이송시키는 한쌍의 제 1 이송체인(270)을 포함한다.
굴취날(290)은 본체(110)의 전방부 하단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되, 굴취날(290)의 경사각도는 10∼1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함과 동시에 굴취날(290)의 위치는 본체(110)의 선단부에서 10㎝ 정도 후방으로 진입된 상태로 구비함으로써 굴취시 땅콩 작물과 비닐 등의 부산물이 걸리지 않고 땅콩을 원활히 굴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굴취날(290)은 본체(110)의 전방부 하단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굴취날(290)은 그 양측 단부가 본체(110)의 양측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관통 결합되고, 본체(110)의 외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291)가 고정되게 구비되며, 승강실린더(291)의 하단부에는 본체(110)를 관통한 굴취날(290)의 단부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292)가 출입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승강실린더(291)에서 피스톤로드(292)를 출입시킴에 따라 본체(110)의 전방부에서 굴취날(29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땅콩이 재배되는 토양에 따라 굴취날(290)에 의한 굴취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굴취되는 땅콩 작물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수확한 땅콩 작물에서 흙을 털어내는 등의 불필요한 후작업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승강실린더(291)는 본체(110)의 양 외측면에 구비되어 굴취날(29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림직하고, 굴취날(290)이 관통되는 본체(110)에는 별도의 보강판(293)을 구비하여 본체(110)를 보강할 수도 있다.
한편, 한쌍의 제 1 이송체인(270)은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무한 회전하게 되고, 본체(110)의 전방부 상단부에는 트랙터의 PTO축과 연결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땅콩 수확기(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축(210)이 구비된다.
입력축(210)의 후단부에는 트랙터의 동력을 감속시켜 전달하기 위한 기어박스(211)가 구비되고, 기어박스(211)의 일측에는 구동 스프로킷휠(212)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구동 스프로킷휠(212)은 후술될 상부 구동축(220)의 종동 스프로킷휠(221)과 체인(213)으로 연결되어 연동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입력축(210) 후방의 본체(110) 상부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210)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구동축(22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 구동축(220)에는 구동 스프로킷휠(212)과 체인(213)으로 연결되는 종동 스프로킷휠(221)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부 구동축(220)과 같이 회전되고, 종동 스프로킷휠(221)과 인접한 상부 구동축(220)에는 복수의 베벨기어(226)가 상부 구동축(220)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의 베벨기어(226)는 상부 구동축(220)에 각각 구비되지만,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동시에 설명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도 한쌍으로 구성되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게다가, 본체(110)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구동축(220)의 일단부에는 후술될 흙털이용 회전축(280)과 벨트(224)로 연결되는 외측 풀리(222)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본체(110) 내측의 상부 구동축(220)에는 후술될 하부 연결축(230)과 벨트(225)로 연결되는 내측 풀리(223)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내.외측 풀리(222)(223)에 의해 상부 구동축(220)은 후술될 하부 구동축(240) 및 하부 연결축(230)과 동시에 회전 구동된다.
한편, 상부 구동축(220)과 이격된 본체(110) 하부에는 하부 연결축(23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 연결축(230)의 일단부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구동축(220)의 내측 풀리(223)와 벨트(225)로서 연결되는 풀리(231)가 고정되게 구비되며, 하부 연결축(230)의 타단부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232)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 베벨기어(232)는 후술될 하부 구동축(240)의 베벨기어(24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합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하부 연결축(230)의 외주면에는 후술될 컨베이어벨트(310)가 연결됨에 따라 컨베이어벨트(310)는 하부 연결축(230)의 회전에 의해 무한 반복 회전된다.
그리고, 하부 연결축(230) 전방의 본체(110)에는 하부 구동축(24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 구동축(240)은 그 일단부에 하부 연결축(230)의 베벨기어(232)에 치합되는 베벨기어(241)가 고정되게 구비되며, 베벨기어(241)와 하부 구동축(240) 사이에는 베벨기어(241)의 회전력을 하부 구동축(240)의 회전력으로 방향 전환시키기 위한 기어박스(24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하부 구동축(240)에는 도 5b에서와 같이 한쌍의 베벨기어(243)가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된 채로 고정되어 구비되고, 이 베벨기어(243)에는 후술될 전방 연결축(250)의 각 베벨기어(251)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하부 구동축(240) 상부의 본체(110)에는 한쌍의 전방 연결축(25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각 전방 연결축(250)의 하단부에는 하부 구동축(240)의 베벨기어(243)에 각각 치합되는 베벨기어(251)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때, 전방 연결축(250)의 각 베벨기어(251)는 하부 구동축(240)의 양 베벨기어(243)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합되어 구비됨으로써 하부 구동축(240)의 회전시 양 전방 연결축(25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방 연결축(250)은 하나의 축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5c에서와 같이 2개의 단위 축이 유니버셜 조인트로서 연결되어 전방 연결축(250)의 상단부가 하단부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본체(110)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후술될 제 1 이송체인(270)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것으로, 전방 연결축(250)의 상단부에는 구동 스프로킷휠(252)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제 1 이송체인(270)과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본체(110)의 전방부 내측에는 좌우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무한 반복 회전되는 한쌍의 제 1 이송체인(270)이 구비되고, 한쌍의 제 1 이송체인(270)은 본체(110)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부에 위치한 제 1 이송체인(270)의 후단부에는 전술한 전방 연결축(250)의 구동 스프로킷휠(252)이 결합되어 구비되고, 하부에 위치한 제 1 이송체인(270)의 선단부에는 도 5b에서와 같이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종동 스프로킷휠(271)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종동 스프로킷휠(271)은 본체(110)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종동 스프로킷휠(271)의 상면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한쌍의 수확날(260)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한쌍의 수확날(260)은 굴취날(290)의 후방에 위치되고, 한쌍의 수확날(260) 후방에는 양 제 1 이송체인(270)의 중심선이 일치된 상태로 위치되어, 양 수확날(260)에서 일정량으로 홀딩되어 이송되는 땅콩 작물은 그대로 양 제 1 이송체인(270) 사이로 공급되어 계속 이송된다.
특히, 한쌍의 수확날(260)은 별 또는 스프로킷휠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의 치형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고, 수확날(260) 후방의 제 1 이송체인(270) 역시도 이송체인을 구성하는 각 단위링크의 외주면에 서로 맞물리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굴취된 땅콩 작물의 줄기를 일정량씩 홀딩한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굴취날(290) 후방의 본체(110)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한쌍의 수확날(260)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의 흙을 털어내기 위한 흙털이축(281)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굴취날(290) 후방의 본체(110)에는 흙털이용 회전축(28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본체(110) 내부에 위치한 흙털이용 회전축(280)의 양단부에는 흙털이용 회전축(280)보다 큰 직경을 갖는 회전판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며, 양 회전판 사이에는 다수의 흙털이축(281)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됨으로써 흙털이축(281)은 흙털이용 회전축(280)과 같이 회전된다.
또한, 본체(110)를 관통한 흙털이용 회전축(280)의 일단부에는 풀리(282)가 고정되어 구비되고, 이 풀리(282)에는 상부 구동축(220)의 외측 풀리(222)가 벨트(224)로 연결되어, 흙털이축(281)은 상부 구동축(220)과 연동되어 동시에 회전된다.
이송부(300)는 수확부(200) 후방의 본체(110) 내부에 구성되어 땅콩을 이송시키는 부분으로서, 한쌍의 제 2 이송체인(340)을 포함하고, 한쌍의 제 2 이송체인(340)은 각각의 이송축(320)과 연결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무한 반복 회전되게 구비된다.
즉, 상부 구동축(220) 후방의 본체(110)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이송축(320)이 본체(110)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각 이송축(320)의 선단부에는 도 6a에서와 같이 상부 구동축(220)의 양 베벨기어(226)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합되는 전방 베벨기어(321)가 구비된다.
이때, 전방 베벨기어(321)는 상부 구동축(220)의 양 베벨기어(226)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치합됨으로써 상부 구동축(220)의 회전시 양 이송축(32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축(320)의 후단부에는 후방 베벨기어(322)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후방 베벨기어(322)는 후술될 후방 연결축(330)의 연결 베벨기어(331)와 치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양 이송축(320)은 하나의 축으로 나란히 구비될 수도 있지만, 각 이송축(320)이 전,후방의 각 베벨기어(321)(322)에서 인출되는 기어축과 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되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비틀린 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양 이송축(320) 후단부의 본체(1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한 한쌍의 후방 연결축(33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각 후방 연결축(330)의 상단부에는 각 이송축(320)의 후방 베벨기어(3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합되는 연결 베벨기어(331)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이송축(320)의 수평한 회전력은 후방 연결축(330)의 수직한 회전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게다가, 양 후방 연결축(330)의 하단부에는 한쌍의 제 2 이송체인(340)이 각각 스프로킷휠을 매개로 하여 연동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한쌍의 제 2 이송체인(340)은 전술한 제 1 이송체인(270)과 동일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의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제 2 이송체인(340) 역시도 제 1 이송체인(270)과 마찬가지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서로 접하는 양 제 2 이송체인(340)의 상,하부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양 제 2 이송체인(340)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 줄기를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34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배출가이드(341)는 다수의 파이프가 제 2 이송체인(340)의 상,하부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제 2 이송체인(340)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 줄기의 처짐을 방지하여 땅콩 줄기가 제 2 이송체인(340)에 걸림되어 간섭되는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가이드(341)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게 구비되어, 땅콩 줄기의 유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한쌍의 제 2 이송체인(340) 하부에는 후술될 탈곡부(400)에 의해 탈곡된 땅콩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벨트(3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벨트(310)는 그 양측 단부가 각각 전술한 하부 연결축(230)과, 본체(11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아이들링축(311)에 걸림된 상태로 구비되어 무한 반복 회전된다.
이때, 컨베이어벨트(310) 후방의 아이들링축(311)은 전방의 하부 연결축(230)보다 높은 위치로 구비하여 컨베이어벨트(310)의 후단부가 선단부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이송되는 땅콩과 흙을 컨베이어벨트(310)의 진동에 의해 분리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10)의 후단부에는 이송축(320)의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한쌍의 출력축(350)이 구비되고, 양 출력축(350)의 선단부에는 양 후방 연결축(330)의 연결 베벨기어(331)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합되는 출력 베벨기어(351)가 고정되게 구비되며, 양 출력축(350)의 후단부에는 도 7에서와 같이 풀리(352)가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 풀리(352)는 후술될 탈곡축의 풀리(413)와 벨트(353)로서 연결되어 연동되게 구비된다.
탈곡부(400)는 양 제 2 이송체인(340)의 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제 2 이송체인(340)과 같이 회전되면서 양 제 2 이송체인(340)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을 털어내 줄기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 2 이송체인(340) 하부의 본체(110) 전,후 방향의 양측에는 탈곡용 회전축(410)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탈곡용 회전축(410)의 양단부에는 회전판(411)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며, 양 회전판(411) 사이에는 다수의 탈곡축(412)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어, 제 2 이송체인(340)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이 양편의 탈곡축(412) 사이를 통과하면서 탈곡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다수의 탈곡축(412)은 양 회전판(411)에 의해 각각 탈곡용 회전축(4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탈곡용 회전축(410)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양편의 탈곡축(412)은 탈곡용 회전축(410)의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탈곡용 회전축(410)을 감싸는 다수의 탈곡축(412)이 이루는 내경이 각각 외측으로 벌어져 확장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수의 탈곡축(412)이 본체(110)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확장되게 구비됨으로써 제 2 이송체인(340)에 의해 본체(110)의 후방으로 이송되는 땅콩 줄기에서 땅콩의 탈곡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게다가, 이와 같은 다수의 탈곡축(412)은 양 회전판(411) 사이에서 일정 각도로 휘어져 비틀어진 상태로 고정되게 구비됨으로써 회전되는 양 탈곡축(412) 사이의 교차 부위에 공간이 최소화되어 땅콩의 탈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탈곡축(412)을 갖는 탈곡용 회전축(410)은 그 후단부가 본체(110)의 후면으로 관통되어 돌출되고, 각 탈곡용 회전축(410)의 후단부에는 풀리(413)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각 출력축(350)의 풀리(352)와 벨트(353)로서 연결된다. 이로써, 탈곡축(412)은 제 2 이송체인(340)의 작동과 동시에 연동되어 작동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후면 하단부에는 컨베이어벨트(310)에서 배출되는 탕콩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배출받이(420)가 구비되고, 이 배출받이(420)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바닥면은 메쉬나 체 형태로 구비되어 땅콩과 같이 유입되는 흙을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수확기(100)는 트랙터와 같은 농업용 차량의 후방에 연결하고, 트랙터의 PTO축을 입력축(210)에 연결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구비한다.
이 상태에서 트랙터를 구동시키면, 트랙터의 동력이 PTO축을 통해 땅콩 수확기(100)의 입력축(210)으로 입력되어 입력축(210)이 회전된다.
그러면, 입력축(210)의 회전과 동시에 기어박스(211)를 통해 구동 스프로킷휠(212)이 회전되고, 이에 체인(213)으로 연결된 종동 스프로킷휠(221)이 회전되면서 상부 구동축(2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구동축(220)이 회전되면, 상부 구동축(220)의 외측 풀리(222)와 벨트(224)로서 연결된 풀리(282)에 의해 흙털이용 회전축(280)이 동시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이에 흙털이용 회전축(280)의 외주면에 구비된 흙털이축(281)이 회전하게 된다.
게다가, 상부 구동축(220)의 내측 풀리(223)와 벨트(225)로서 연결된 풀리(231)에 의해 하부 연결축(230)이 회전되고, 하부 연결축(230)의 회전에 의해 이에 베벨기어(232)(241)로서 연결된 하부 구동축(240)이 회전된다.
그리고, 하부 구동축(240)의 회전에 의해 이에 베벨기어(243)(251)로서 연결된 상부의 전방 연결축(25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전방 연결축(250)의 회전에 의해 한쌍의 제 1 이송체인(270)과 한쌍의 수확날(26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의 회전방향은 양 수확날(260) 및 양 제 1 이송체인(270)을 평면에서 보면, 좌측 부재들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우측 부재들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하부 연결축(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이송체인(270) 후방의 컨베이어벨트(310)는 그 상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상부 구동축(220)의 회전 시, 상부 구동축(220)과 베벨기어(226)(321)로서 연결된 양 이송축(32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양 이송축(320)과 베벨기어(322)(331)로서 연결된 후방 연결축(330) 역시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후방 연결축(330)의 회전에 의해 제 2 이송체인(340) 역시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양 후방 연결축(330)과 베벨기어(331)(351)로서 각각 연결된 한쌍의 출력축(350) 역시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각 출력축(350)의 풀리(352)와 벨트(353)로서 연결된 풀리(413)에 의해 양 탈곡용 회전축(410)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양 탈곡용 회전축(410)의 회전에 의해 양편의 탈곡축(412)은 도 9를 기준으로 볼 때, 좌측의 탈곡축(41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우측의 탈곡축(41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땅콩을 하부의 컨베이어벨트(310) 측으로 털어내 탈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땅콩 수확기(10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트랙터에 의해 땅콩 수확기(100)가 땅콩의 재배지를 이동하게 되면, 굴취날(290)이 땅콩이 심어진 두둑에서 땅콩을 지면 위로 굴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굴취된 땅콩은 땅콩 수확기(100)의 본체(110) 선단부를 통해 굴취날(290)의 상면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땅콩의 줄기 부분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수확날에서 일정량씩 홀딩되어 후방의 제 1 이송체인(270)으로 보내져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이송체인(270)으로 이송되는 땅콩 작물의 뿌리 부분은 굴취날(290) 후방에서 회전되는 흙털이축(281)에 의해 1차로 흙이 털어져 제거된 후, 제 1 이송체인(270)으로 이송된다.
제 1 이송체인(270)으로 이송되어온 땅콩 줄기는 서로 마주한 상태로 접하는 양 제 1 이송체인(270)의 단위 링크 사이에서 그대로 홀딩되어 본체(110) 후방의 제 2 이송체인(340) 측으로 이송된다.
이후, 제 2 이송체인(340)으로 이송되어온 땅콩 줄기는 양 제 2 이송체인(340) 사이에서 그대로 홀딩되어 본체(110)의 후방으로 이송되고, 이 과정에서 땅콩 줄기 하단부의 뿌리 부분은 제 2 이송체인(340) 하부에서 회전되는 양 탈곡축(412)에 의해 하방으로 털어져 흙이 2차로 제거됨과 더불어 탕콩이 줄기로부터 탈거되어 컨베이어벨트(310) 위로 흙과 같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땅콩과 흙은 컨베이어벨트(310)에 의해 본체(110) 후단부로 이송되어 배출받이(420) 내로 유입되고, 배출받이(420)의 바닥면이 메쉬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땅콩은 배출받이(420)에 걸러져 저장되지만, 흙은 메쉬 형태의 바닥면을 통해 지면의 두둑 위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땅콩이 분리된 땅콩 줄기는 제 2 이송체인(340)에 의해 본체(110)의 후면으로 계속 이송되어 배출되고, 이 과정에서 제 2 이송체인(340)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배출가이드(341)가 이송되는 땅콩 줄기의 처짐을 방지한 상태로 가이드하여 땅콩 줄기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땅콩 수확기 110 : 본체
200 : 수확부 210 : 입력축
211 : 기어박스 212 : 구동 스프로킷휠
213 : 체인 220 : 상부 구동축
221 : 종동 스프로킷휠 222,223 : 풀리
224,225 : 벨트 226 : 베벨기어
230 : 하부 연결축 231 : 풀리
232 : 베벨기어 240 : 하부 구동축
241 : 베벨기어 242 : 기어박스
243 : 베벨기어 250 : 전방 연결축
251 : 베벨기어 252 : 구동 스프로킷휠
260 : 수확날 270 : 제 1 이송체인
271 : 종동 스프로킷휠 280 : 흙털이용 회전축
281 : 흙털이축 282 : 풀리
290 : 굴취날 291 : 승강실린더
292 : 피스톤로드 293 : 보강판
300 : 이송부 310 : 컨베이어벨트
311 : 아이들링축 320 : 이송축
321 : 전방 베벨기어 322 : 후방 베벨기어
330 : 후방 연결축 331 : 연결 베벨기어
340 : 제 2 이송체인 341 : 배출가이드
350 : 출력축 351 : 출력 베벨기어
352 : 풀리 353 : 벨트
400 : 탈곡부 410 : 탈곡용 회전축
411 : 회전판 412 : 탈곡축
413 : 풀리 420 : 배출받이

Claims (5)

  1. 농업용 차량에 연결되는 본체;
    본체에 구성되어 땅속의 땅콩을 굴취하여 수확하는 수확부;
    수확부에 구성되어 수확부에서 수확된 땅콩 줄기를 일정량씩 연속해서 이송시키는 이송부;
    이송부에 구성되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을 줄기로부터 분리시켜 탈곡하는 탈곡부;를 포함하는 한편.
    본체에는 승강실린더에 의해 본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땅콩을 굴취하는 굴취날이 구비되고,
    농업용 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부와 탈곡부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는 땅콩 수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은, 본체에 구비되어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
    입력축과 연결되어 본체에서 회전되게 구비되는 상부 구동축;
    상부 구동축과 연결되어 본체의 하부에서 회전되게 구비되는 하부 구동축;
    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부 구동축과 베벨기어로서 각각 연동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전방 연결축;을 포함하고,
    이송부는, 양 전방 연결축에 각각 구비되어 무한 회전되면서 땅콩 줄기를 이송시키는 한쌍의 제 1 이송체인;
    양 제 1 이송체인에 각각 연결되어 제 1 이송체인과 같이 회전되면서 굴취된 땅콩 줄기를 일정량씩 수확하여 제 1 이송체인으로 공급하는 한쌍의 수확날;
    본체에 전후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회전되는 한편 그 선단부는 상부 구동축과 각각 베벨기어로서 연동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이송축;
    본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축의 후단부와 베벨기어로서 각각 연동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후방 연결축;
    양 후방 연결축에 각각 구비되어 무한 회전되면서 제 1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어온 땅콩 줄기를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한쌍의 제 2 이송체인;을 포함하며,
    탈곡부는, 양 제 2 이송체인의 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2 이송체인과 같이 회전되면서 제 2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을 털어내 줄기로부터 분리시키는 탈곡축;을 포함하는 땅콩 수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2 이송체인 하부의 본체 양측에 탈곡용 회전축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탈곡용 회전축의 양단부에는 회전판이 고정되게 구비되며, 양 회전판 사이에는 다수의 탈곡축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어, 제 2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이 양편의 탈곡축 사이를 통과하면서 탈곡되는 땅콩 수확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양 제 2 이송체인의 상,하부에는 제 2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 줄기를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가 구비되고,
    굴취날 후방의 본체에는 한쌍의 수확날에 의해 이송되는 땅콩의 흙을 털어내기 위한 흙털이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흙털이축은 상부 구동축과 연결되어 연동되게 구비되는 땅콩 수확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탈곡축의 하부에는 탈곡된 땅콩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컨베이어벨트에는 컨베이어벨트를 회전시키는 하부 연결축이 구비되되, 하부 연결축은 그 일측이 상부 구동축과 연결되는 한편 타측은 하부 구동축과 베벨기어로서 연결되어 상부 구동축과 하부 구동축 및 컨베이어벨트를 동시에 연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땅콩 수확기.

KR1020180142543A 2018-11-19 2018-11-19 땅콩 수확기 KR102176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543A KR102176908B1 (ko) 2018-11-19 2018-11-19 땅콩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543A KR102176908B1 (ko) 2018-11-19 2018-11-19 땅콩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045A true KR20200058045A (ko) 2020-05-27
KR102176908B1 KR102176908B1 (ko) 2020-11-10

Family

ID=7091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543A KR102176908B1 (ko) 2018-11-19 2018-11-19 땅콩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9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132B1 (ko) 1998-05-19 2001-05-02 유환덕 정선시스템을 구비한 땅콩수확기
WO2011101841A1 (en) * 2010-02-17 2011-08-25 The State Of Israel, Ministry Of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A.R.O.), The Volcani Center Peanut plant uprooter
KR101393504B1 (ko) * 2012-11-14 2014-05-14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땅콩 수확기
US20160316626A1 (en) * 2015-03-30 2016-11-03 Indústrias Reunidas Colombo Ltda. Harvester and processor for peanuts
KR101833133B1 (ko) * 2016-06-24 2018-02-27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132B1 (ko) 1998-05-19 2001-05-02 유환덕 정선시스템을 구비한 땅콩수확기
WO2011101841A1 (en) * 2010-02-17 2011-08-25 The State Of Israel, Ministry Of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 (A.R.O.), The Volcani Center Peanut plant uprooter
KR101393504B1 (ko) * 2012-11-14 2014-05-14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땅콩 수확기
US20160316626A1 (en) * 2015-03-30 2016-11-03 Indústrias Reunidas Colombo Ltda. Harvester and processor for peanuts
KR101833133B1 (ko) * 2016-06-24 2018-02-27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908B1 (ko)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603B1 (ko) 땅속작물 굴취 작업기
KR101738942B1 (ko) 구근류 수확장치
CN104012249B (zh) 一种多圆盘割刀斜向布置的收割机割台装置及收割方法
KR102136607B1 (ko) 땅속작물 수확기
CN104285582A (zh) 一种百合切秧收获机
KR20190048066A (ko) 역회전 컨베이어에 의한 토양 분리 기능을 갖는 구근류 수확장치
KR102283662B1 (ko) 뿌리 작물 수확 장치
CA2681550A1 (en) Combine with flexible suspension and turning shoe header
KR101506523B1 (ko) 콤바인의 예취장치
CN101669422B (zh) 普通型联合收割机
CN204408946U (zh) 多功能花生联合收获机
CN105451539B (zh) 采摘装置
KR20200058045A (ko) 땅콩 수확기
CN106385931A (zh) 一种自走式花生拣拾收获联合作业机
KR200461744Y1 (ko) 땅속 작물 수확기용 흙 공급구조
JP6750965B2 (ja) 茎葉処理機
KR100464958B1 (ko) 인발식 당근 수확기
KR101399098B1 (ko) 뿌리작물 수확장치
JP3914469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CN113068498B (zh) 一种滚筒分离式百合收获机
JP6246170B2 (ja) コンバインの刈り取り搬送構造
KR102638831B1 (ko) 올방개 수확기
CN107926275A (zh) 拔秆装置及拔秆农用机
CN211831906U (zh) 一种大蒜洋葱花生联合收获机
CN209787851U (zh) 一种花生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