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504B1 - 땅콩 수확기 - Google Patents

땅콩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504B1
KR101393504B1 KR1020120128474A KR20120128474A KR101393504B1 KR 101393504 B1 KR101393504 B1 KR 101393504B1 KR 1020120128474 A KR1020120128474 A KR 1020120128474A KR 20120128474 A KR20120128474 A KR 20120128474A KR 101393504 B1 KR101393504 B1 KR 101393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tem
guide
soi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선
소진환
김기홍
안희명
김대철
김봉진
김홍곤
박상훈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9/00Harvesters for peanu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바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땅콩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1)은 땅콩수확기를 본체에 지지하거나 각 부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선단에는 줄기를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10a,10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체인(26)은, 안내부재에 의하여 중앙으로 안내된 줄기를 이송하고, 엔진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사이에서 줄기를 클램핑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1)의 하단부에는, 뿌리를 흙에서 분리하기 위한 굴취날(38)이 설치되어 있고, 안내부재의 후방이고 체인(26)의 하부에는, 뿌리에 붙어 있는 흙을 털어내기 위한 흙분리판(60,70)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땅콩 수확기{A peanut harvester}
본 발명은 땅콩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출력으로 주행이 가능하여, 두둑에 재배중인 땅콩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주식 땅콩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농업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서, 대량으로 재배되는 땅콩을 대량으로 수확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계 장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벼 등과는 달리 땅콩은 흙 속에 묻혀 있는 것을 캐내어 수확해야 하기 때문에, 땅콩 수확기를 기계화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뒤따른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한국 특허 출원 제10-1998-0017935에서 제안된 기술 또는 현재 외국에서 제품화되어 출시되고 있는 땅콩 수확기는 실제로 땅속의 땅콩을 수확함에 있어서 효율성에서 문제가 뒤따르거나 신뢰도의 측면에서 그리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본 발명은 땅콩을 대량으로 수확 가능한 땅콩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콤바인 등과 같이 자주식으로 땅콩의 수확이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실제로 땅콩의 경작지에서 효율적인 땅콩의 수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땅콩수확기는 엔진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 가능한 본체를 구비하는 땅콩수확기이고, 땅콩수확기를 본체에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선단에 설치되어 줄기를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 상기 안내수단에 의하여 중앙으로 안내된 줄기를 이송하고, 엔진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사이에서 줄기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엔드리스 체인을 포함하는 이송수단;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뿌리를 흙에서 분리하기 위한 굴취수단; 그리고 상기 안내수단의 후방이고 이송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뿌리에 붙어 있는 흙을 털어내기 위한 흙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는, 굴취수단 보다 하부의 위치에 설치되고, 비닐을 누를 수 있는 비닐 누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굴취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편심축과, 상기 편심축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편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왕복운동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와 연결되고 프레임에 지지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왕복운동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굴취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굴취날은, 전후방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안내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선단에 설치되고 전방이 넓고 후방이 좁게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안내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내수단은; 선단에 설치되고 전방이 넓고 후방이 좁게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제1안내수단과; 상기 제1안내수단의 내측에 설치되고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핑거를 구비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제2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고, 줄기를 그 내측으로 더 안내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흙분리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프라켓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는 뿌리를 그 사이에 통과시키면서 뿌리와 접촉하여 흙을 털어내고, 중심부분에는 회전축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흙털기판, 그리고 스프라켓의 중심축의 회전을 상기 회전축의 일정 원주각 범위 내에서 반복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수단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두둑에서 재배되고 있는 땅콩를 가장 효율적으로 수확함으로써 대량 생산에 최적합한 수확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컴바인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있는데, 동력 전달에서도 각각의 구성요소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의 줄기 이송부의 예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의 흙털기장치의 구동을 보인 예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의 예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의 예시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땅콩은 이랑 사이의 두둑에서 비닐로 감싸지는 형태로 재배된다. 따라서 땅콩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두둑에서 땅속의 뿌리를 캐내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두둑에 있는 땅콩의 줄기 및 잎을 중심부분으로 모아서 줄기를 파지하는 과정도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땅콩 수확기의 선단 부분에는 지상에 있는 줄기 및 잎을 중심부분으로 모아주기 위한 제1안내부재(10:10a,10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안내부재(10a,10b)는 두둑에 있는 땅콩의 줄기를 중심부분으로 일차적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수확기의 가장 선단부분에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부재(10a,10b)는 선단에서는 상대적으로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짐으로써 땅콩의 줄기 등을 중심부분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땅콩 수확기는 실질적으로 콤바인 등과 같은 농기계와 동일하게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바퀴 또는 궤도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본체라고 함은 내연기관인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바퀴 등의 주행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체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예를 들면 콤바인, 트랙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술하는 땅콩수확기를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1)을 포함하고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프레임(1)이라고 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땅콩수확기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지지하거나, 이를 본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뼈대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1안내부재(10a,10b)도 실제로는 프레임(1)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이고,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본체의 이동시 땅콩의 줄기를 중심부분으로 모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부재(10)의 내측에는 가이드바(12)를 설치하여, 중심으로 모아지는 땅콩의 줄기 부분을 더욱 더 중심으로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부재(10)에 의하여 중심으로 모아지는 땅콩 줄기는, 제2안내부(21)에 의하여 더욱 더 중심부분으로 모아진다. 제2안내부(21)도 한 쌍으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넓은 간격을 가지고 후방에는 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안내부(21)는, 본체의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엔드리스 체인(26)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프라켓(24)과, 상기 스프라켓(24)과 축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하는 풀리(26a)를 포함한다. 상기 풀리(26a)는 일정 간격 이격된 다른 하나의 풀리(26b)와의 사이에서 벨트(22)를 감아걸고 있으며, 상기 벨트(22)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핑거(22a)가 돌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풀리(26a,26b)는 하나의 커버(28)에 의하여 보호된다. 상기 벨트(22)의 외측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핑거(22a)는, 상기 제1안내부재(10)에 의하여 중심부로 안내된 땅콩 줄기를 더욱 더 중심부분으로 안내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술한 안내부재에 의하여 중심으로 모아진 줄기를 잡아서 이송시키기 위한 줄기이송부(2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줄기이송부(20)의 개념을 도시한 도 3을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24)에는 엔드리스 체인(26)이 걸려 있고, 상기 엔드리스 체인(26)은 본체의 엔진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라켓(24)은 본체의 엔진동력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현재 널리 이용되는 동력전달장치를 통하여 본체에 내장된 엔진의 동력을 상기 스프라켓에 직접 전달하거나, 상기 체인(26)의 루프 상에 엔진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스프라켓(도시 생략)을 설치하고 이러한 구동스프라켓에 의하여 체인(26)이 폐루프상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프라켓(24)이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체인(26)은 전방부분에서는 넓은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진 후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체인(26)은 상기 제1안내부재(10) 및 제2안내부재(21)에 의하여 중심으로 모아진 땅콩의 줄기를 그 사이에서 클램핑하여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벨트(22)의 외측으로 돌출 성형된 핑거(22a)는 땅콩 줄기를 상기 체인(26) 사이에 안내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시의 편의상,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체인(26)이 예시적으로 한 개만 도시되어 있고, 연속적 도시는 도 3에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체인(26)의 각각의 외측면, 즉 줄기를 클램핑 하는 부분에는 돌기(26a)가 형성되어 있어서, 줄기의 클램핑 및 이송이 더욱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땅콩 줄기를 중심부분으로 모아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1안내부재(10) 및 제2안내부(21), 그리고 줄기이송부(20)는 본체의 이동과 같이 동작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줄기이송부(20)가 줄기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땅속에 묻혀 있는 뿌리(실제로 땅콩은 뿌리에 있기 때문에)가 보다 원활하게 지상으로 뽑아질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체인(26) 사이에서 줄기가 잡혀서 후방으로 이송될 때, 뿌리가 미리 땅에서 뽑혀질 수 있을 정도로 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에 의하면, 상기 제1안내부재(10) 및 줄기이송부(20)의 동작시, 땅속의 뿌리를 흙에서 분리하기 위한 굴취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굴취부(30)는 땅을 파는 동작에 의하여 뿌리가 흙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줄기이송부(20)의 체인(26)은 줄기를 잡아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굴취부(30)는 엔진에서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스프라켓(32)과, 상기 스프라켓(32)에 편심 상태로 연결되는 편심축(34)과, 상기 편심축(34)이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3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프라켓(32)의 회전에 의하여 그 중심축에서 편심된 위치의 편심축(34)은 상기 링크(36)를 화살표(a)(도 1 참조)로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상기 링크(36)의 선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37)는 중심축(35)(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됨)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 반복되는 원호운동을 하게 되고, 그 방향이 화살표(b)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37)의 하단부에는 굴취날(38)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굴취날(38)은 실제로 땅속을 파서 땅콩의 뿌리를 흙에서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32)의 회전을 지지하는 중심축은 연결바아(31)에 의하여 양측으로 돌출되어 실질적으로 그 양단부에 각각 편심축(34)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링크(34)도 좌우에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연결부재(37)도 좌우에서 한 쌍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굴취날(38)도 한 쌍(38a,38b)으로 구성되어, 두둑에서 한 쌍의 굴취날(38)이 땅을 파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굴취날(38a,38b)은 상기 연결부재(37)의 하단부에 각각 부착되어 있어서, 연결부재(37)의 하단부와 동일하게 일정한 구간 내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라켓(32)은 실질적으로 굴취날(38)이 일정 구간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면서 땅을 파도록 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상기 스프라켓(32)도 본체의 엔진에서의 힘을 전달 받도록 구성된다. 즉, 본체의 엔진에서의 출력은, 연동스프라켓(42)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동력의 전달은 체인을 이용한 동력의 전달, 벨트를 이용한 동력의 전달, 기어열을 이용한 동력의 전달 등과 같이 현재 널리 사용되는 동력 전달 수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연동스프라켓(42)로 전달된 엔진의 출력은 체인(C)을 통하여 스프라켓(32)로 전달된다. 또한 연동스프라켓(42)로 전달된 엔진의 출력은 체인(C)을 통하여 스프라켓(52)로 같이 전달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굴취날(38)은 한 쌍(38a,38b)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굴취날(38a,38b)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일정 거리 이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굴취날(38)이 동작할 때, 전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땅을 파도록 함으로써, 진행방향에 대하여 교호로 땅을 파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에서의 동력이 전달된 연동스프라켓(42)에는 체인(C)이 감아걸려 있다. 상기 체인(C)은 상술한 스프라켓(32) 및 다른 또 하나의 스프라켓(52)에도 물려 있다. 상기 스프라켓(52)은 후술하는 땅콩 뿌리의 흙털기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연동스프라켓(42)은 체인(C)을 이용하여, 스프라켓(32) 및 스프라켓(52)에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굴취날(38)의 구동 및 후술하는 흙털기장치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굴취날(38)이 땅을 파는 동작에 의하여 땅콩의 뿌리가 흙에서 어느 정도 이격되면 줄기를 잡아 당김으로써 심어져 있던 땅콩이 뿌리째 들어올려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굴취날(38)에 의하여 뿌리가 흙에서 분리되면, 줄기는 제1안내부재(10) 및 제2안내부재(21)에 의하여 안내된 후, 줄기이송부(20)의하여 잡아당겨져서 본 발명의 수확기 내부로 이송된다.
즉, 본체가 진행함에 따라서, 땅콩의 줄기는 상기 제1안내부재(10) 및 제2안내부(21)에 의하여 어느 정도 중심부분으로 모이고 있는 상태이고, 이어서 한 쌍의 체인(26) 사이로 안내된 줄기는 체인(26) 사이에서 클램핑되어 체인(26)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 때 땅콩의 뿌리에는 흙이 많이 달려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땅콩을 분리하여 수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흙을 털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스프라켓(52)은 연동스프라켓(42)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흙털기장치를 구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스프라켓(52)은, 연결부재(51)를 관통하고 있는 그 중심축을 통하여 편심판(54)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편심판(54)은 링크(55)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링크(55)의 선단부는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링크(55)의 타단부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링크(56)와 연결되고. 상기 링크(56)는 회전축(58)과 연결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축(58)은 일정각 회전 각도를 반복하게 회전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58)은 흙털기판(60)의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58)이 일정 구간(일정한 원호각) 회전 운동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흙털기판(60)도 일정 구간 왕복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도 4는 상기 흙털기판(60)의 구동과 관련된 부분의 평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흙털기판(60)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를 땅콩의 뿌리가 지나가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체인(26)에 의하여 그 사이에 끼워져서 이송되는 뿌리는 상기 한 쌍의 흙털기판(60)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흙털기판(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d)로 표시한 일정 구간 내에서 왕복 회전 운동을 하기 때문에 그 사이를 지나가는 뿌리에 붙어 있던 흙이 털어지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흙털기판(60)을 같이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회전축(58)을 움직이는 링크(56)의 타단부에는 연결링크(6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링크(61)의 타단부는 링크(63)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링크(56)의 일정 구간 회동 운동[화살표(e)]은 연결링크(61)를 통하여 링크(63)의 일정 구간 회동 운동[화살표(f)]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63)의 타단부는 회전축(68)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상기 회전축(68)은 다른 또 하나의 흙털기판(60)의 회동 운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한 쌍의 흙털기판(60,7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호각 만큼 회전 운동을 반복하게 되어, 그 사이를 지나가는 뿌리에 접촉하게 되어 뿌리에 붙어 있던 흙이 털리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쌍의 흙털기판(60,70)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의 회전축(58,68)에 의하여 일정 구간 원호 운동을 반복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땅콩은 두둑에서 비닐에 의하여 덮여진 상태로 재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줄기 및 뿌리가 땅에서 뽑혀 나와서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로 이송될 때 이러한 비닐이 같이 딸려나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닐이 수확기 자체 내부로 딸려 들어가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누름판(80)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비닐누름판(80)은 상술한 굴취날(38) 보다 하부에 설치되고, 본체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프레임(1)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의 직진 이동에 의하여 땅콩의 줄기 및 뿌리가 뽑혀 나오는 과정에서, 비닐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비닐이 같이 줄기이송부(20)의 내부로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땅콩수확기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땅콩 수확기가 장착된 본체가 직진 이동하면서 땅콩의 수확을 개시하게 되면, 땅콩의 줄기는 제1안내부재(10) 및 제2안내부재(21)에 의하여 중심으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한 쌍의 굴취날(38)은 흙을 파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뿌리를 흙에서 분리하는 기본적인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줄기가 한 쌍의 체인(26) 사이까지 안내되면, 체인(26)은 줄기를 클램핑하여 그 사이를 통하여 후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물론 이 때는 뿌리는 흙에서 빠져나와 줄기와 같이 체인(26) 사이로 이송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체인(26) 사이를 통하여 이송되는 도중에, 먼저 뿌리에 붙어 있던 흙이 털어지는데, 이는 한 쌍의 흙털기판(60,70) 사이를 통과하면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한 쌍의 흙털기판(60,70)이 일정한 원호각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을 하고 이러한 운동 도중에 흙이 붙어 있는 뿌리를 주기적으로 가격하게 되어 뿌리에 있던 흙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두둑에서 땅콩이 상기 줄기이송부(20)를 통하여 후방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비닐누름판(80)은 두둑의 상면에 덮혀 있는 줄기의 상면을 누르게 되는데, 이러한 비닐누름판(80)에 의하여 비닐이 수확기 내부로 딸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흙이 제거된 뿌리에 매달려 있는 땅콩은 회전하는 한 쌍의 날개(도시 생략) 사이를 통과하면서 떨어지고 수확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보관용기로 수집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필요한 구조는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10, 10a, 10b ..... 제1안내부재
20 ..... 줄기 이송부
21 ..... 제2안내부
22 ..... 벨트
22a ..... 핑거
24 ..... 스프라켓
26 ..... 체인
30 ..... 굴취부
31 ..... 연결바아
32 ..... 스프라켓
34 ..... 편심축
36 ..... 링크
37 ..... 연결부재
51 ..... 연결부재
52 ..... 스프라켓
54 ..... 편심판
55 ..... 링크
56 ..... 링크
58, 68 ..... 회전축
60, 70 ..... 흙털기판

Claims (8)

  1.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주행 가능한 주행수단을 포함하는 본체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땅콩수확기로써;
    땅콩수확기를 본체에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선단에 설치되어 줄기를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
    상기 안내수단에 의하여 중앙으로 안내된 줄기를 이송하고, 엔진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사이에서 줄기를 클램핑하는 한 쌍의 엔드리스 체인을 포함하는 이송수단;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뿌리를 흙에서 분리하기 위한 굴취수단; 그리고
    상기 안내수단의 후방이고 이송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뿌리에 붙어 있는 흙을 털어내기 위한 흙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굴취수단은,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편심축(34)과, 상기 편심축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편심축의 회전에 의하여 왕복운동하는 링크(36)와, 상기 링크(36)와 연결되고 프레임에 지지되는 중심축(35)을 중심으로 왕복운동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37),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굴취날(3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굴취날(38)은, 전후방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땅콩 수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취수단 보다 하부의 위치에 설치되고, 비닐을 누를 수 있는 비닐 누름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땅콩 수확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선단에 설치되고 전방이 넓고 후방이 좁게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부재(10a,10b)를 포함하는 땅콩 수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선단에 설치되고 전방이 넓고 후방이 좁게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부재(10a,10b)를 포함하는 제1안내수단과; 상기 제1안내수단의 내측에 설치되고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핑거(22a)를 구비하는 벨트(22)를 포함하는 제2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땅콩 수확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고, 줄기를 그 내측으로 더 안내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땅콩수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흙분리수단은,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프라켓(52)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는 뿌리를 그 사이에 통과시키면서 뿌리와 접촉하여 흙을 털어내고, 중심부분에는 회전축(58,68)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흙털기판(60,70), 그리고 스프라켓의 중심축의 회전을 상기 회전축(58,68)의 일정 원주각 범위 내에서 반복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수단으로 구성되는 땅콩 수확기.






KR1020120128474A 2012-11-14 2012-11-14 땅콩 수확기 KR101393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474A KR101393504B1 (ko) 2012-11-14 2012-11-14 땅콩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474A KR101393504B1 (ko) 2012-11-14 2012-11-14 땅콩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504B1 true KR101393504B1 (ko) 2014-05-14

Family

ID=5089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474A KR101393504B1 (ko) 2012-11-14 2012-11-14 땅콩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50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178B1 (ko) * 2017-01-13 2017-08-08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고추 수확기
KR101833133B1 (ko) 2016-06-24 2018-02-27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KR20200058045A (ko) * 2018-11-19 2020-05-27 허정규 땅콩 수확기
CN111201877A (zh) * 2020-03-06 2020-05-29 河北永发鸿田农机制造有限公司 一种花生挖掘反铺机
CN112655352A (zh) * 2020-12-17 2021-04-16 孙和慧 一种手持式湿土地用辅助花生秧拔取装置
CN114402814A (zh) * 2022-01-25 2022-04-29 浙江农林大学 花生采摘清洗一体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645A (ja) * 1998-01-07 1999-07-27 Iseki & Co Ltd 落花生収穫機
KR100213826B1 (ko) * 1997-06-20 1999-08-02 김강권 무, 당근 수확장치
KR100288132B1 (ko) * 1998-05-19 2001-05-02 유환덕 정선시스템을 구비한 땅콩수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826B1 (ko) * 1997-06-20 1999-08-02 김강권 무, 당근 수확장치
JPH11196645A (ja) * 1998-01-07 1999-07-27 Iseki & Co Ltd 落花生収穫機
KR100288132B1 (ko) * 1998-05-19 2001-05-02 유환덕 정선시스템을 구비한 땅콩수확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133B1 (ko) 2016-06-24 2018-02-27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굴취 깊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 수확기
KR101766178B1 (ko) * 2017-01-13 2017-08-08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고추 수확기
KR20200058045A (ko) * 2018-11-19 2020-05-27 허정규 땅콩 수확기
KR102176908B1 (ko) 2018-11-19 2020-11-10 허정규 땅콩 수확기
CN111201877A (zh) * 2020-03-06 2020-05-29 河北永发鸿田农机制造有限公司 一种花生挖掘反铺机
CN112655352A (zh) * 2020-12-17 2021-04-16 孙和慧 一种手持式湿土地用辅助花生秧拔取装置
CN114402814A (zh) * 2022-01-25 2022-04-29 浙江农林大学 花生采摘清洗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504B1 (ko) 땅콩 수확기
CN201004807Y (zh) 花生联合收割机
CN108076775A (zh) 一种半喂入花生联合收获机
CN202269174U (zh) 一种履带式自走油莎豆收获机
CN205567130U (zh) 一种自走式油茶果收获机
CN104255184A (zh) 履带自走式棉秆拔杆机
US2539834A (en) Rotary tedder for peanut harvesters
KR101621139B1 (ko) 뿌리 수확을 위한 줄기 제거장치
KR20180072141A (ko) 알뿌리 작물 수확기
CN204377412U (zh) 大蒜打捆收获机
KR100464958B1 (ko) 인발식 당근 수확기
CN201928641U (zh) 一种花生收果机
CN103583141B (zh) 单垄或双垄花生收获机
JP7182524B2 (ja) 作物収穫機
CN204408968U (zh) 打籽西葫芦收获机输送装置
JP3287533B2 (ja) 根菜類収穫機
JP3745253B2 (ja) 作物引抜収穫機
CN113892350A (zh) 一种青核桃集条收获一体机及收获方法
JPS6427Y2 (ko)
CN203505051U (zh) 单垄或大垄双行花生收获机
JP3734727B2 (ja) 作物引抜収穫機
JP4814484B2 (ja) 枝豆引抜収穫機
JPH11187729A (ja) 球葱収穫機
CN2583956Y (zh) 玉米联合收割机
JP3658551B2 (ja) 枝豆引抜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