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112A - 여성용기능성구두 - Google Patents

여성용기능성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112A
KR20200056112A KR1020180140042A KR20180140042A KR20200056112A KR 20200056112 A KR20200056112 A KR 20200056112A KR 1020180140042 A KR1020180140042 A KR 1020180140042A KR 20180140042 A KR20180140042 A KR 20180140042A KR 20200056112 A KR20200056112 A KR 2020005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attached
women
arch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스웰
Priority to KR102018014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6112A/ko
Publication of KR2020005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heel or toe c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에 소정의 엠보싱 형태의 요철을 갖고 연질고무로 형성된 굽창이 부착된 구두굽과, 상기 구두굽의 상부에 후방 영역이 부착되며 바닥의 전방 소정 영역에 연질고무로 형성된 미끄럼방
지부재가 마련된 겉창과; 상기 겉창 위에 덧깔리며 중심으로부터 일측 전방 영역에는 코르크로 형성되어 발가락 방을 형성하는 발가락접지부재가 부착된 중창과; 상기 발가락접지부재 위에 덧깔리며 저면에 소정의 엠보싱 형태의 요철을 갖고 연
질의 실리콘재로 형성된 군살방지부재와; 상기 중창의 아치 영역에 부착되며 발뒷꿈치가 접촉하는 발뒷꿈치부에는 상기 중창에 접촉되어 전후 좌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내측아치부와 외측아치부로 구획하여 상기 내측
아치부와 상기 외측아치부에 각각 별도로 덧 붙여지는 보조보형물을 포함하는 보형물과; 상기 군살방지부재가 부착된 상기 중창에 덧깔리어 살균 및 탈취를 행할 수 있도록 표면에 동선이 소정 간격을 두고 식재된 안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 미적감각에만 치중하기 위해 얇은 창과 딱딱한 보행환경으로부터 불편했던 정장구두를 배제하고, 지면으로부터 구두가 미끄러지지 않으며 항상 올바른 걸음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발바닥접지부재 및 군살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완충시스템을 부가하여 발바닥전체에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발을 편하게 유지하여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구두 속에 기생하는 각종 균을 살균하는 것에 의해 탈취을 행함으로
써 항상 건강하고 청결한 발을 유지할 수 있어서 여성의 품위를 가일층 높일 수 있는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여성용기능성구두 {Functional shoes for women}
기능성구두
본 발명은,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으로부터 구두가 미끄러지지 않고, 발바닥에 체중을 분산하여 발을 편하게 유지하며, 구두 속을 살균 및 탈취함으로써 항상 건강한 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여성용 기
능성 정장구두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발은 손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신체기관이며, 이러한 발은 인체의 모든 중량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자연상태에서의 발은 웬만한 충격은 흡수하여 분산시켜주는 완충기능을 행한다. 따라서 자연상태에서 맨발로 지면
을 밟고 걷는다는 것은 매우 복합적인 운동일 것이다.
자연상태의 지면은 보행시 발이 받게 되는 충격의 대부분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교통수단의 발달과 급격한 도시화로 자연지면과의 접촉 기회가 줄어들어 발의 정상적인 보행기능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신발에 대한 일
반인들의 인식부족으로 기존의 신발들이 겉모양에 치중하여 발의 보행을 고려하지 않은 부적절한 설계로 발과 인체에 많은 부담을 주어 왔다.
일반적으로 발바닥아치는, 발뒤꿈치와 발바닥 앞쪽의 볼록한 부분만으로 지면을 밟을 때, 척추에 오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행하는 한편, 아치의 뼈대 끝부분에는 부드러운 연골이 두텁게 덮여 있어서 아치의 충격 완화기능을 도와준다.
특히, 아치 정도의 유무에 따라 의학적으로 정상인발, 평발(편평족발) 등으로 구분되어지며 현재 기존의 신발 또는 보형물로서는 후천적 평발이 계속 양산되어지는 실정이다. 종래의 구두는, 일측에 구두굽이 부착된 겉창과 여기에 덧깔리는 중창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대체로 발길이와 발형태 및 발폭, 발등 크기 특히, 발바닥의 아치부 형상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발바닥전체를 접촉수용할 수 있는 일종의 깔창(쿠션부재)수준의 보형물을 덧붙이는 정도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두는, 구두굽이 부착된 겉창과 여기에 중창 및 안창이 덧깔리어 구두의 기초적인 구성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기능성을 부여하지 않고 있으며, 완충장치의 결여로 몸의 피로감과 발바닥군살 및 중족골뼈
가 내려 앉는 등의 큰 폐단이 있다. 즉, 구두에 사용된 겉창은, 고무, 가죽 또는 합성수지로만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딱딱한 콘크리트바닥과 또는 그와 유사한 보행환경에서 접촉할 때 체중 및 기타하중으로 구두바닥이 얇아 기존의 정장구두로서는 지면의 열기가 몸에 그대로 흡수되어 피로를 유발하고, 쉽게 미끄러지는 등 보행자의 자세를 흩트리기 때문에 부정확한 자 세에 의한 발이 손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겉창 위에 덧깔린 중창이나 안창 역시 발바닥을 단순히 지지하는 역할만 행할 뿐 착용자의 발의 보행을 기능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발바닥 및 인체에 많은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구두굽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굽창(top lift)은 경질의 가죽, 플라스틱, 합성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행시 요란한 소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으론, 외국기술에 의존하여 수입되어 구두 속에 덧깔린 보형물은 그들의 체형에 맞는 아치부 형태를 갖고 있고, 아치 정도의 크기 및 형태도 획일적 이어서 한국형 발에 맞는 아치부의 보정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보형물은 일시적 족부의학처방용으로서 장기 착용으로 인한 문제점 및 정장구두에 적용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현실을 감안할 때 한국형 발에 맞으며, 특히 여성이 정장을 했을 때 그에 알맞게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완충시스템이 고려된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로서, 착용하고 보행하는 보행자의 보행자세가 흩트려지지 않도록 하고, 발을 편안
하게 유지시켜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진행되는 발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여 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관절, 디스크, 순환계통과 특히 외반무지발, 평발, 군살 티눈 등의 변형에 따른 통증제거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 여성용
정장구두의 보급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겉창에 미끄럼방지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구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올바른 걸음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발가락접지부재 및 군살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완충시스템과, 착용자의 아치에 알맞도록 주문 성형되어 덧깔린 보형물을 설치함으로써 발바닥 전체에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발을 편하게 유지하여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구두 속에 기생하는 각종 균을 살균하는 것에 의해
탈취을 행함으로써 항상 건강하고 청결한 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여성용 정장 구두에 있어서, 바닥면에 소정의 엠보싱 형태의 요철을 갖고 연질고무로 형성된 굽창이 부착된 구두굽과, 상기 구두굽의 상부에 후방 영역이 부착되며 바닥의 전방 소정 영역에 연질고무로 형성된 미끄럼방지부재가 마련된 겉창과; 상기 겉창 위에 덧깔리며 중심으로부터 일측 전방 영역에는 코르크로 형성되어 발가락 방을 형성하게 하는 발가락접지부재가 부착된 중창과; 상기 발가락접지부재 위에 덧깔리며 저면에 소정의 엠보싱 형태의 요철을
갖고 연질의 실리콘재로 형성된 군살방지부재와; 상기 중창의 아치 영역에 부착되며 발뒷꿈치가 접촉하는 발뒷꿈치부에는 상기 중창에 접촉되어 전후 좌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내측아치부와 외측아치부로 구획하여 상기
내측아치부와 상기 외측아치부에 각각 별도로 덧 붙여지는 보조보형물을 포함하는 보형물과; 상기 군살방지부재가 부착된 상기 중창에 덧깔리어 살균 및 탈취를 행할 수 있도록 표면에 동선이 소정 간격을 두고 식재된 안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미적감각에만 치중하기 위해 얇은 창과 딱딱한 보행환경으로부터 불편했던 정장구두를 배제하고, 지면으로부터 구두가 미끄러지지 않으며 항상 올바른 걸음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발바닥접지부재 및 군살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완충시스템을 부가하여 발바닥 전체에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발을 편하게유지하여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구두 속에 기생하는 각종 균을 살균하는 것에
의해 탈취을 행함으로써 항상 건강하고 청결한 발을 유지할 수 있어서 여성의 품위를 가일층 높일 수 있는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장구두의 일부를 발췌하여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선천적 요인으로 발생된 평발과, 체중증가 등과 같은 후천적 요인으로 변형 진행되는 평발의 아치에 각각의 아치부 아치 정도를 손쉽게 가감 보정할 수 있어서 1차적으로는 발의 피로감 및 통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 발 전체에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여 신체상부로 관절, 디스크, 정형외과적인 변형이 급속히 진행되어 점차 순환기계통에 까지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0 : 여성용기능성정장구두 20 : 겉창
21 : 구두굽 23 : 미끄럼방지부재
25 : 요철 27 : 굽창
30 : 중창 35 : 발가락접지부재
40 : 군살방지부재 41 : 요철
50 : 보형물 51 : 고정공
53 : 보조보형물 60 : 안창
61 : 동선

Claims (1)

  1. 여성용 정장 구두에 있어서,
    바닥면에 소정의 엠보싱 형태의 요철을 갖고 연질고무로 형성된 굽창이 부착된 구두굽과, 상기 구두굽의 상부에 후방 영역이 부착되며 바닥의 전방 소정 영역에 연질고무로 형성된 미끄럼방지부재가 마련된 겉창과;
    상기 겉창 위에 덧깔리며 중심으로부터 일측 전방 영역에는 코르크로 형성되어 발가락 방을 형성하는 발가락접지부재가 부착된 중창과;
    상기 발가락접지부재 위에 덧깔리며 저면에 소정의 엠보싱 형태의 요철을 갖고 연질의 실리콘재로 형성된 군살방지부재와;
    상기 중창의 아치 영역에 부착되며 발뒷꿈치가 접촉하는 발뒷꿈치부에는 상기 중창에 접촉되어 전후 좌우 유동되는 것을방지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내측아치부와 외측아치부로 구획하여 상기 내측아치부와 상기 외측아치부에 각각 별도로 덧
    붙여지는 보조보형물을 포함하는 보형물과;
    상기 군살방지부재가 부착된 상기 중창에 덧깔리어 살균 및 탈취를 행할 수 있도록 표면에 동선이 소정 간격을 두고 식재된 안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
KR1020180140042A 2018-11-14 2018-11-14 여성용기능성구두 KR20200056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42A KR20200056112A (ko) 2018-11-14 2018-11-14 여성용기능성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42A KR20200056112A (ko) 2018-11-14 2018-11-14 여성용기능성구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12A true KR20200056112A (ko) 2020-05-22

Family

ID=7091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042A KR20200056112A (ko) 2018-11-14 2018-11-14 여성용기능성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61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2027B2 (ja) 履物ソール
CN108135325B (zh) 用于高跟鞋的装置和构造高跟鞋的方法
JP5744025B2 (ja) 履物製品
KR20080043823A (ko) 신발 안창
GB2498374A (en) Platform shoe, last and insole therefor and manufacture thereof
US20130318819A1 (en) Fabric-covered fluid-filled therapeutic foot orthotic with thong-cut device systems
JP2017079809A (ja) ヒール及びパンプス用組立式インソール
US20180199663A1 (en) Color matched fashionable shoe insert for open shoes device and method
US20060254092A1 (en) Anterior transverse arch support with phalanges grip
EP3439498A1 (en) Post-operative shoe
KR100975909B1 (ko) 성형틀 및 성형틀을 이용하여 맞춤 깔창을 제조하는 방법
KR20070098791A (ko)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KR101200165B1 (ko)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KR200427477Y1 (ko) 발가락 교정 및 무좀 치료 용구
KR20200056112A (ko) 여성용기능성구두
US20150335099A1 (en) Memory sneaker
JP3222296U (ja) 医療用短靴
US20160174653A1 (en) Padded Foot Support with a Ball of Foot Depression
KR100457101B1 (ko) 지압깔창
KR100601584B1 (ko)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
KR200441275Y1 (ko) 플립플랍형 샌들 및 갑피 덮개형 신발을 조합한 무지외반증 교정화
KR200389448Y1 (ko)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
KR102667891B1 (ko) 교정용 슬리퍼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JP3164854U (ja) メディカルインソ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