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165B1 -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 Google Patents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165B1
KR101200165B1 KR1020100112621A KR20100112621A KR101200165B1 KR 101200165 B1 KR101200165 B1 KR 101200165B1 KR 1020100112621 A KR1020100112621 A KR 1020100112621A KR 20100112621 A KR20100112621 A KR 20100112621A KR 101200165 B1 KR101200165 B1 KR 101200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sole
outsole
sho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267A (ko
Inventor
곽동엽
Original Assignee
곽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엽 filed Critical 곽동엽
Priority to KR102010011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165B1/ko
Priority to PCT/KR2010/009574 priority patent/WO2011159007A1/ko
Publication of KR2012005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 자극을 통하여 뇌기능 향상 효과를 제공하는 신발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아웃솔(outsole)을 포함하되, 상기 아웃솔에는 발바닥 앞꿈치 부분의 제1중족골두 부위와 제1지골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골 부위를 지지하는 제1보형물과, 발바닥 중앙 부분의 횡아치 부위를 지지하는 제2보형물과, 발바닥 외측 종아치 부위를 지지하는 제3보형물이 배치되며, 착용시 상기 아웃솔에 배치되는 각각의 보형물에 의하여 해당 부위 근육이 스트레칭되면서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proprioceptor)를 자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SHOES WITH EXCELLENT EFFECTS OF STABILITY AND STIMULATION OF PROPRIOCEPTOR OF SOLE IN WEARING}
본 발명은 아웃솔(outsole)을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할 때 발바닥의 여러 부위의 근육을 스트레칭시켜,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발 부분을 보호하고, 또한 장식을 위하여 사용되는 물건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발의 측면과 발등을 감싸는 상부(upper) 부분과 발 바닥을 지지하는 신발 솔(sole)로 구분된다.
신발 솔은 통상, 신발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outsole)을 포함한다.
최근, 웰빙을 추구하고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이 신발에도 적용되면서, 신발은 디자인 외에도 건강 관련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솔(outsole)에 사용자의 발 구조에 적합한 보형물을 삽입하여 제1지골 부위, 횡아치 부위, 외측 종아치 부위 등의 근육을 스트레칭 함으로써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proprioceptor) 자극이 이루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보형물의 통하여 착용시 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를 자극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아웃솔(outsole)을 포함하되, 상기 아웃솔에는 발바닥 앞꿈치 부분의 제1중족골두 부위와 제1지골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골 부위를 지지하는 제1보형물과, 발바닥 중앙 부분의 횡아치 부위를 지지하는 제2보형물과, 발바닥 외측 종아치 부위를 지지하는 제3보형물이 배치되며, 착용시 상기 아웃솔에 배치되는 각각의 보형물에 의하여 해당 부위 근육이 스트레칭되면서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proprioceptor)를 자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신발은 상기 제1보형물, 제2보형물 및 제3보형물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아웃솔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은 상기 아웃솔에, 발바닥 내측 종아치 부위를 지지하는 제4보형물이 더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보형물은 상기 제1보형물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솔의 뒷꿈치 부분은 발의 안쪽 방향으로 2˚ ~ 6˚ 상향 경사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아웃솔에 여러 보형물을 삽입함으로써 신발 착용시 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보형물에 지지되는 부위의 근육을 스트레칭하여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를 자극할 수 있다.
도 1은 정상적인 인간의 오른쪽 발의 골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아웃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바닥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바닥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proprioceptor)를 자극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정상적인 인간의 오른쪽 발의 골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상적인 인간은 발의 앞꿈치 부분에 제1지골(엄지발가락)로부터 제5지골을 가지고 있다.
발바닥에는 많은 고유감각수용체(proprioceptor)가 있다.
고유감각수용체는 근육이 스트레칭되어 있을 때 자극을 가장 많이 받는다.
한편, 고유감각수용체는 인체 센서로서 자극이 이루어지는 상태에 따라서 4가지 타입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고유감각수용체는 정지 상태에서 자극을 받는 제1타입 고유감각수용체, 움직이는 상태에서 자극을 받는 제2타입 고유감각수용체, 스트레칭 상태에서 자극을 받는 제3타입 고유감각수용체 및 통증에 의하여 자극을 받는 제4타입 고유감각수용체로 구분된다.
지골 부위에 분포된 고유감각수용체는 정지 상태에서 자극을 받는 제1타입 혹은 제3타입 고유감각수용체이고, 발뒷꿈치 부위에 분포된 고유감각수용체는 보행 상태에서 자극을 받는 제2타입 고유감각수용체에 해당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지골 부위 근육, 특히 제1지골 부위 근육을 스트레칭하여 제1타입 혹은 제3타입의 고유감각수용체를 자극할 수 있으며, 또한 발뒤꿈치 부분의 제2타입의 고유감각수용체를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아웃솔(outsole)이 마련된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바닥 중앙 부분의 횡아치 부위 근육 및 발바닥 외측 종아치 부위 근육 등을 지지하여, 착용시 안정감을 높이며, 아울러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를 자극시킬 수 있는 아웃솔이 마련된 신발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아웃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신발의 아웃솔(outsole)(201)에는 제1보형물(210), 제2보형물(220) 및 제3보형물(230)이 배치되어 있다.
아웃솔(110)은 신발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제1보형물(210)은 발바닥 앞꿈치 부분의 제1지골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골 부위 근육이 스트레칭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1보형물(210)은 제1중족골두 부위와 제1지골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골 부위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중족골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골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 제1보형물(210)이 제1중족골두 및 제1지골을 포함하는 여러 지골을 지지할 경우, 해당되는 지골 부위 근육이 스트레칭될 수 있다.
제1보형물(210)이 제1중족골두 부위와 제1지골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골 부위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1보형물(210)은 왼쪽 신발을 기준으로 내측 테두리가 "ㄱ"에 가까운 모양을 갖고, 외측 테두리가 아웃솔(201) 테두리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보형물(210)은 제1중족골두 부위 및 제1지골을 포함하는 지골들을 지지할 수 있는 모양이라면, 상기 모양 이외에도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2보형물(220)은 발바닥 중앙 부분의 횡아치 부위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3보형물(230)은 발바닥 외측 종아치 부위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1보형물(210), 제2보형물(220) 및 제3보형물(230)은 아웃솔(201) 상부에 배치되어, 아웃솔(201) 상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아웃솔(201) 제조 과정에서 아웃솔(20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보형물(210), 제2보형물(220) 및 제3보형물(230) 중 하나 이상은 아웃솔(20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웃솔(201)에서 제1보형물(210), 제2보형물(220) 또는 제3보형물(230)에 해당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약간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특히 제2보형물(220)에 의하여 지지되는 횡아치 부분은 돔(dome)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보형물(210), 제2보형물(220) 및 제3보형물(230)은 사용자가 신발 착용시 해당 부위 근육을 스트레칭시킨다. 이를 통하여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가 자극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아웃솔(201)에, 발바닥 내측 종아치 부위를 지지하는 제4보형물(2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4보형물(240) 역시 아웃솔(201)의 상부에 부착되거나, 혹은 아웃솔(201) 내부에 삽입되거나, 아웃솔(20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보형물(240)은 필요에 따라서는 제1보형물(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보형물(220), 제3보형물(230) 및 제4보형물(240)은 횡아치 부위, 외측 종아치 부위 및 내측 종아치 부위와 같이, 발바닥 부위 중 바닥에 완전히 접촉하지 않는 부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 착용시 여러 보형물에 의하여 횡아치 부분 등을 지지하게 되어,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아울러 스트레칭, 지압 등의 작용에 의하여 고유감각수용체를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아웃솔(110)의 뒷꿈치 부분은 발의 안쪽 방향(오른쪽 신발의 경우 좌측 방향, 왼쪽 신발의 경우 우측 방향)으로 2˚ ~ 6˚,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정도 상향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보행시 사용자의 뒷꿈치 부분을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발뒷꿈치에 분포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뒷꿈치 부분에서 내측 방향으로의 상향 경사의 정도가 2˚ 미만일 경우 보행시 발뒷꿈치 부분의 고유감각수용체 자극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경사의 정도가 6˚를 초과할 경우 보행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바닥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좌측 부분이 신발의 앞부분에 해당하고, 우측 부분이 신발의 뒷부분에 해당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바닥으로부터, 아웃솔(310), 텍션(textion)(320), 쿠션(cushion)(330) 및 커버(cover)(340)를 포함할 수 있다.
텍션(320)은 신발의 외형 유지 목적으로 형성되어, 신발의 바닥부분이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쿠션(330)은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커버(340)는 쿠션(330)을 상부에서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솔이 없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솔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바닥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아웃솔(201) 상부를 커버하는 인솔(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솔(420)은 도 3에 도시된 쿠션(330) 및 커버(340)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발 또는 양말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인솔(420)과 아웃솔(201) 사이에는 제5보형물(4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보형물(425)은 고유감각수용체 자극에 효과적인 제1지골 부위 근육의 스트레칭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제5보형물(425)은 중심 발란스가 내측으로 무너진 사용자에게 바람직하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내측의 제1지골로부터 제1중족골의 부위가 무너짐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바닥면을 힘있게 지지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발을 더 이상 무너지지 않게 제1지골 및 제1중족골의 위치를 지면으로부터 떨어뜨리는 위치 이동의 작용을 함과 동시에 제1지골 부위의 고유감각수용체를 자극하는 작용을 한다.
제1지골 부위 근육의 스트레칭 보완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5보형물(425)은 제1중족골두 부위를 지지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5보형물(425)은 제1중족골두 부위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내측 테두리가 "ㄴ"에 가까운 모양을 갖고, 곡선 부분의 외측 테두리가 인솔(420)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제5보형물(425)은 제1중족골두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5보형물(425)은 제1보형물(210)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층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5보형물(425)은 1개 혹은 여러개의 보형물이 적층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5보형물(425)은 인솔(420)의 테두리쪽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중족골두 부위의 가장자리 부분의 지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지골 부위 근육의 스트레칭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제5보형물(425)은 제1지골 부위까지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5보형물(425)은 사용자의 발바닥 구조에 따라 길이, 폭 및 두께가 맞춤형으로 결정되어,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는 제5보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5보형물(425)은 고무와 같은 플렉서블(flexible)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 등과 같은 점착제와 부착전 점착제의 표면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인솔(420)과 아웃솔(201) 사이에, 도 3의 텍션(320)의 역할 등을 할 수 있는 인솔 보드(43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제5보형물(425)은 인솔(420)과 인솔 보드(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신발의 아웃솔에 배치되는 제1보형물(210), 제2보형물(220), 제3보형물(230)을 통하여 착용시 안정감을 높일 수 있으며,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를 자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아웃솔(110)의 뒷꿈치 부분을 발의 안쪽 방향으로 2˚ ~ 6˚ 상향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보행시 뒷꿈치 부분의 고유감각수용체를 효과적으로 자극시킬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201, 310 : 아웃솔 210 : 제1보형물
220 : 제2보형물 230 : 제3보형물
240 : 제4보형물 320 : 텍션
330 : 쿠션 340 : 커버
420 : 인솔 425 : 제5보형물
430 : 인솔 보드

Claims (10)

  1. 아웃솔(outsole)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에는 발바닥 앞꿈치 부분의 제1중족골두 부위와 제1지골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골 부위를 지지하는 제1보형물과, 발바닥 중앙 부분의 횡아치 부위를 지지하는 제2보형물과, 발바닥 외측 종아치 부위를 지지하는 제3보형물이 배치되며,
    착용시 상기 아웃솔에 배치되는 각각의 보형물에 의하여 해당 부위 근육이 스트레칭되면서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고유감각수용체(proprioceptor)를 자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제1보형물, 제2보형물 및 제3보형물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아웃솔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아웃솔에, 발바닥 내측 종아치 부위를 지지하는 제4보형물이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보형물은
    상기 제1보형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뒷꿈치 부분은 발의 안쪽 방향으로 2˚ ~ 6˚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아래로부터, 아웃솔, 텍션(textion), 쿠션(cushion) 및 커버(co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아웃솔의 상부를 커버하는 인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인솔과 아웃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골 부위 근육의 스트레칭을 보완하도록 상기 제1중족골두 부위를 지지하는 제5보형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보형물은
    제1지골 부위까지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형물은
    상기 인솔의 테두리쪽으로 향할수록 더 두꺼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100112621A 2010-06-15 2010-11-12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KR101200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621A KR101200165B1 (ko) 2010-11-12 2010-11-12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PCT/KR2010/009574 WO2011159007A1 (ko) 2010-06-15 2010-12-30 고유감각수용체 자극을 통한 뇌기능 향상 효과가 있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621A KR101200165B1 (ko) 2010-11-12 2010-11-12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267A KR20120051267A (ko) 2012-05-22
KR101200165B1 true KR101200165B1 (ko) 2012-11-13

Family

ID=4626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621A KR101200165B1 (ko) 2010-06-15 2010-11-12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994B1 (ko) * 2022-03-21 2023-01-12 주식회사 엑스바디 충격흡수 층 구조가 형성된 신발 밑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29B1 (ko) * 2013-11-19 2014-05-20 윤상규 자세 교정용 기능성 신발
KR102338104B1 (ko) * 2020-08-26 2021-12-10 김조영 깔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802A (ja) 1997-11-17 1999-06-02 Taisuke Motai 履物および靴中敷
KR100802066B1 (ko) 2007-05-18 2008-02-20 (주)조은제화 하중 분산 및 공기 순환이 우수한 신발용 깔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802A (ja) 1997-11-17 1999-06-02 Taisuke Motai 履物および靴中敷
KR100802066B1 (ko) 2007-05-18 2008-02-20 (주)조은제화 하중 분산 및 공기 순환이 우수한 신발용 깔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994B1 (ko) * 2022-03-21 2023-01-12 주식회사 엑스바디 충격흡수 층 구조가 형성된 신발 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267A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17844A1 (en) Outsole with pods and grooves
KR20080043823A (ko) 신발 안창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US20180008002A1 (en) Insole assembly
JP2009512525A (ja) 一体型の中足骨部起伏部を有する履物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GB2526192A (en) Orthotic insole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US20120304489A1 (en) Footwear promoting natural motion
KR200414204Y1 (ko) 신발
KR101200165B1 (ko) 착용시 안정성 및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의 자극 효과가 우수한 신발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JP2010279697A (ja) 減圧デバイス
JP2006193844A (ja) 健康促進用の靴下
KR101001019B1 (ko) 고유감각수용체 자극을 통한 뇌기능 향상 효과가 있는 신발
KR100948537B1 (ko) 국민건강을 위한 신발 밑창
KR200495970Y1 (ko) 체형 교정용 슬리퍼
JP2018192026A (ja) 履物用中敷およびそれを備えた履物
KR200461630Y1 (ko) 중창 내부에 보행압력완충부가 형성된 신발
EP1444910B1 (en) Foot support or insole able to generate a localized pressure at precise points of the sole of the foot, to hence create a massage on those points
KR101509233B1 (ko) 안전화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KR102667891B1 (ko) 교정용 슬리퍼
KR200389448Y1 (ko)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
KR100601584B1 (ko)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