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824A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824A
KR20200046824A KR1020180128491A KR20180128491A KR20200046824A KR 20200046824 A KR20200046824 A KR 20200046824A KR 1020180128491 A KR1020180128491 A KR 1020180128491A KR 20180128491 A KR20180128491 A KR 20180128491A KR 20200046824 A KR20200046824 A KR 20200046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receiving
body member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545B1 (ko
Inventor
강병길
Original Assignee
강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길 filed Critical 강병길
Priority to KR102018012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545B1/ko
Priority to PCT/KR2019/014038 priority patent/WO2020085810A1/ko
Publication of KR2020004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써, 비계, 헹거, 서포트 등에 사용되는 파이프를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자체 하중, 파이프에 전달되는 다양한 형태의 외력이나 하중 등에 의해 결합 형태가 변화되지 않으며, 분리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파이프를 다양한 형태로 다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파이프에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제1산부 및 제1골부가 연속적으로 교차형성 된 제1클램프부, 다른 파이프에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산부 및 제1골부와 맞물리는 제2산부 및 제2골부가 연속적으로 교차형성 된 제2클램프부, 상기 제1클램프부와 제2클램프부를 결합시켜 상기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램프{CLAMP}
본 발명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비계, 헹거, 서포트 등에 사용되는 파이프를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하중, 외부에서 파이프에 전달되는 외력이나 하중 등에 의해 결합형태가 변화되지 않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건물의 골조를 성형한 다음 외측벽을 마무리 작업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측부분에 비계봉체를 설치하여 비계봉체를 타고 사람이 이동하면서 외측벽을 마무리작업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중 고층 건물의 마무리작업을 하기 위하여 건물과 같은 높이로 건축용비계를 건축물 외벽에 설치하며, 이때 하부의 건축용비계와 클램프는 상부에 설치된 건축용비계, 클램프, 사람, 외벽에 작업하고자 하는 벽돌, 타이루 등의 무계로 인하여 많은 하중을 받게 되므로 건축용비계와 클램프는 매우 견고 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철판으로 프레스 성형한 두 개의 클램프를 리벳으로 접합하였으므로 접합된 부분이 쉽게 파손되거나 많은 하중을 받을 경우 리벳 접합된 부분의 고정공이 쉽게 헐거워져 직각으로 접합된 두개의 클램프가 유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클램프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65857호(2013.05. 1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비계, 헹거, 서포트 등에 사용되는 파이프를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자체 하중, 파이프에 전달되는 다양한 형태의 외력이나 하중 등에 의해 결합 형태가 변화되지 않는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분리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를 다양한 형태로 다시 연결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파이프에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제1산부 및 제1골부가 연속적으로 교차형성 된 제1클램프부, 다른 파이프에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산부 및 제1골부와 맞물리는 제2산부 및 제2골부가 연속적으로 교차형성 된 제2클램프부, 상기 제1클램프부와 제2클램프부를 결합시켜 상기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클램프부는,
상기 파이프에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된 제1장착부재, 상기 제1장착부재와 직교되는 형태로 연결되며, 가장자리에 상기 제1산부 및 제1골부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는 상기 결합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산부 및 제1골부가 형성된 일측과 이와 반대되는 타측에는 상기 제1수용홀과 연결되는 제1,2수용홈이 각각 형성된 제1몸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클램프부는,
상기 파이프에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된 제2장착부재, 상기 제2장착부재와 직교되는 형태로 연결되며, 가장자리에 상기 제2산부 및 제2골부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는 상기 결합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1수용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산부 및 제2골부가 형성된 일측과 이와 반대되는 타측에는 상기 제2수용홀과 연결되는 제1,2수용홈이 각각 형성된 제2몸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2몸체부재의 제2수용홈에 각각 수용되며, 상기 제1,2몸체부재의 수용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나선홀이 형성된 제1마감부재 및 제2마감부재, 상기 제1,2마감부재와 제1,2몸체부재를 관통하여 일부분이 제1마감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며, 양측이 상기 제1,2마감부재의 나선홀에 체결되는 볼트부재, 상기 제1마감부재의 외부로 돌출된 볼트부재에 체결되면서 제1마감부재를 제1몸체부재에 가압하고, 일측에 걸이홀을 갖는 제어부가 형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부재와 제2몸체부재의 내부에는 제2수용홈과 연결되는 쐐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마감부재와 제2마감부재에는 상기 쐐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쐐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재와 제2몸체부재의 제1수용홈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 압축되는 이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제1클램프부와 제2클램프부가 산부와 골부가 연속적으로 맞물리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파이프의 자체 하중, 파이프에 전달되는 다양한 형태의 외력이나 하중 등에 의해 제1클램프부와 제2클램프부가 회전되거나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클램프부와 제2클램프부를 분리 시 이격부가 서로 접하고 있는 제1,제2클램프부를 자동으로 이격시키기 때문에 분해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에 적용된 제1클램프부 및 제2클램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에 적용된 제1클램프부 및 제2클램프부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에 적용된 제1클램프부 및 제2클램프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연결예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에 적용된 제1클램프부 및 제2클램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에 적용된 제1클램프부 및 제2클램프부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에 적용된 제1클램프부 및 제2클램프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연결예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은 비계, 헹거, 서포트 등에 사용되는 파이프(P1,P2)를 연결 및 고정할 수 있고, 파이프(P1,P2) 자체의 하중, 파이프에 전달되는 다양한 형태의 외력이나 하중 등에 의해 결합형태가 변화되지 않는 등 안정성이 확보된 클램프(1)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다른 클램프(1)는, 어느 하나의 파이프(P1)에 장착되는 제1클램프부(10), 다른 하나의 파이프(P2)에 장착되는 제2클램프부(20), 제1클램프부(10)와 제2클램프부(20)를 결합시켜 2개의 파이프(P1,P2)가 제1클램프부(10)와 제2클램프부(2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클램프부(10)는 파이프(P1)를 클램핑 하는 것으로, 제1장착부재(11), 제1몸체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착부재(11)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장착부재(11)에는 파이프(P1)의 외면에 장착되는 장착홀(11a)이 형성된다. 이때, 장착홀(11a)은 장착되는 파이프(P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몸체부재(12)는 제1장착부재(11)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2클램프부(20)의 제2몸체부재(22)와 결합된다.
이때, 제1몸체부재(12)는 제1장착부재(11)에 직교되는 형태로 연결되어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제2몸체부재(22)와 함께 2개의 파이프(P1,P2)를 직각 형태 또는 대략 수직이나 수평 형태이되, 마주하는 부분이 단차진 구조로 연결할 수 있다.
제1몸체부재(12)의 일측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갖는 제1산부(121) 및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갖는 제1골부(122)가 연속적으로 교차 형성된다.
이때, 제1산부(121)는 후술되는 제2산부(221)와 측방향으로 맞물리게 되는데, 맞물린 이후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제1산부(121)가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제1산부(121)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제1골부(122)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제1몸체부재(12)의 중앙부분에는 결합부(30)를 구성하는 볼트부재(33)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1수용홀(123)이 형성된다.
제1몸체부재(12) 중 제1산부(121) 및 제1골부(122)가 형성된 일측에는 제1수용홀(123)과 연결되는 제1수용홈(124)이 형성되고, 이와 반대되는 타측에는 제1수용홈(124)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면서 제1수용홀(123)과 연결되는 제2수용홈(125)이 형성된다.
즉, 제1수용홀(123)은 제1수용홈(124)과 제2수용홈(125)의 사이에 배치되며, 볼트부재(33)가 제1수용홈(124)과 제1수용홀(124) 및 제2수용홈(125)을 관통하게 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제1수용홈(124)에는 후술되는 이격부(40)가 수용된다.
따라서, 제1수용홈(124)은 제1수용홀(123)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수용홀(123)과 접하는 부분에 이격부(40)를 지지하는 단턱(12a)이 형성된다.
한편, 제2클램프부(20)는 다른 파이프(P2)를 클램핑하여 제1클램프부(10)와 함께 2개의 파이프(P1,P2)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2장착부재(21), 제2몸체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장착부재(21)는 파이프(P2)의 외면에 장착되는 장착홀(21a)이 형성된다. 이때, 장착홀(21a)은 장착되는 파이프(P2)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몸체부재(22)는 제2장착부재(21)의 일측에 직교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몸체부재(22)의 일측면은 제1몸체부재(12)의 일측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갖는 제2산부(221) 및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갖는 제2골부(222)가 연속적으로 교차 형성된다.
이때, 제2산부(221) 및 제2골부(222)는 제1산부(121) 및 제1골부(122)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는 제1산부(121)가 제2골부(222)에 수용되고, 제2산부(221)가 제1골부(122)에 수용되도록 접촉되며, 이로 인해 제1산부(121)들과 제2산부(221)들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때, 제1산부(121), 제2산부(221)는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가 접촉된 이후에 쉽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골부(122), 제2골부(222)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갖도록 제작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2몸체부재(22)의 중앙부분에는 제1몸체부재(12)의 제1수용홀(123)과 연결되며 볼트부재(33)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2수용홀(223)이 형성된다.
제2몸체부재(22) 중 제2산부(221) 및 제2골부(222)가 형성된 일측에는 제2수용홀(223)과 연결되는 제1수용홈(224)이 형성되고, 이와 반대되는 타측에는 제1수용홈(224)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면서 제2수용홀(223)과 연결되는 제2수용홈(225)이 형성된다.
즉, 제2수용홀(223)은 제1수용홈(224)과 제2수용홈(225)의 사이에 배치되며, 볼트부재(33)가 제1수용홈(224)과 제2수용홀(223) 및 제2수용홈(225)을 관통하게 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제1수용홈(224)에도 이격부(40)가 수용된다. 따라서, 제1수용홈(224)은 이격부(40)를 지지하는 단턱(22a)을 갖도록 제1몸체부재(12)의 제1수용홈(124) 및 제2수용홈(12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의 내부에는 도 4를 기준으로 제2수용홈(125,225)의 하측에 위치되며, 제2수용홈(125,225)과 연결되는 쐐기홈(126,226)이 더 형성된다.
쐐기홈(126,226)은 후술되는 제1마감부재(31)와 제2마감부재(32)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추후 제1마감부재(31)와 제2마감부재(32)에 대해 설명 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결합부(30)는 제1클램프부(10)와 제2클램프부(20)를 결합시켜, 제1클램프부(10)와 제2클램프부(20) 상에 2개의 파이프(P1,P2)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2마감부재(31,32), 볼트부재(33), 체결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감부재(31)는 제1몸체부재(12)의 제2수용홈(125)에 수용되고, 제2마감부재(32)는 제2몸체부재(22)의 제2수용홈(225)에 수용되어, 제2수용홈(125,225)을 메꿔 마감한다.
그리고, 제1마감부재(31) 및 제2마감부재(32)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쐐기홈(126,22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쐐기부(126,226)가 각각 형성된다.
쐐기부(126,226)는 그 폭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쐐기홈(126,226)은 쐐기부(126,226)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쐐기부(126,226)는 쐐기홈(126,226) 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갖도록 제작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마감부재(31) 및 제2마감부재(32)는 제2수용홈(125,225)에서 쉽게 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마감부재(31) 및 제2마감부재(32)에는 볼트부재(33)가 체결되는 나선홀(31a,32a)이 각각 형성된다.
나선홀(31a,32a)은 제1,2수용홀(123,223)과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볼트부재(33)가 제1,2수용홀(123,223)에 수용되도록 가이드 한다.
볼트부재(33)는 제1마감부재(31)의 나선홀(31a)과 제1몸체부재(12)의 제1수용홀(123) 및 제2몸체부재(22)의 제2수용홀(223)과 제2마감부재(32)의 나선홀(32a)에 관통설치된다.
도 1을 기준으로 볼트부재(33)의 상,하측에는 제1마감부재(31)와 제2마감부재(32)의 나선홀(31a,32a)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볼트부재(33)의 하측은 체결부재(34)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마감부재(31)의 외부로 돌출된다.
체결부재(34)는 공지의 너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부재(33)의 돌출된 부분에 체결되면서 제1마감부재(31)를 제1몸체부재(12)에 가압한다.
이때, 체결부재(34)의 하측에는 걸이홀을 갖는 링 형태의 제어부(3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어부(341)를 손 또는 공구로 파지하여 회전시키거나 또는, 제어부(341)의 걸이홀에 막대 형상의 도구를 넣은 다음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부재(34)를 볼트부재(33)에 결합 또는 분리하면 된다.
그리고, 체결부재(34)가 볼트부재(33)에 체결되면 제1마감부재(31)를 제1몸체부재(12)의 단턱(12a)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1클램프부(10)와 제2클램프부(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결합부(30)로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를 결합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체결부재(34)와 제1몸체부재(12)를 가압하여 제2몸체부재(22)와 밀착시킨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는 제1클램프부(10)와 제2클램프부(20)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격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격부(40)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것이 적용되며, 도면에서는 코일스프링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로 인해,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를 결합 시 볼트부재(33)는 이격부(40)를 관통하게 된다.
이격부(40)는 일부분이 제1몸체부재(12)의 제1수용홈(124)에 수용되고 다른 부분은 제2몸체부재(22)의 제1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의 단턱(12a,22a)에 지지되며, 결합부(30)로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를 결합 시 압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장착부재(11)와 제2장착부재(21)에 파이프(P1,P2)를 각각 장착한 다음,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의 제1수용홈(124,224)에 이격부(40)를 수용시킴과 동시에 제1산부(121)들과 제2산부(221)들을 각각 제1골부(122)들과 제2골부(222)들의 사이에 수용시켜 제1산부(121)들과 제2산부(221)들이 맞물리도록 한다.
이때, 제1산부(121)와 제1골부(122) 및 제2산부(221)와 제2골부(222)는 각각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2개의 파이프를 도 6처럼 "ㄱ"자나 "ㄴ"자 같은 직각형태 또는, 도 7 처럼 대략 수직이나 수평이되, 마주하는 부분이 단차진 형태 또는, 도 8처럼 열십자 형태 또는, 도 9처럼 어느 하나의 파이프(P1)를 다른 파이프(P2)에 경사진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산부(121)와 제2산부(221)가 연속적으로 맞물리기 때문에 파이프(P1,P2)의 자체 하중 또는 파이프(P1,P2)에 고정되는 옷이나 구성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 및 이에 장착된 파이프(P1,P2)가 회전되거나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계속해서, 볼트부재(33)를 제1마감부재(31)의 나선홀(31a), 제1몸체부재(12)의 제1수용홀(123), 제2몸체부재(22)의 제2수용홀(223), 제2마감부재(32)의 나선홀(32a)에 관통설치 한 다음, 제2마감부재(32)의 외부로 돌출된 볼트부재(33)의 끝부분에 체결부재(34)를 체결하여 제1클램프부(10)와 제2클램프부(20)의 결합 및 파이프(P1,P2)의 연결작업을 완료한다.
이때, 볼트부재(33)에 체결부재(34)를 체결하면 제1마감부재(32)가 가압되어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를 밀착시키고, 이와 동시에 이격부(40)가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는 기 결합된 제1클램프부(10)와 제2클램프부(20)를 분리하여 파이프(P1,P2)의 연결 형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직각 형태로 연결된 파이프(P1,P2)를 도 8과 같이 열십자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클램프부(10)와 제2클램프부(20)에서 결합부(30)를 분리한 다음, 원하는 형태에 맞게 파이프(P1,P2)의 방향을 조절한 후 결합부(30)로 다시 결합하면 된다.
이때, 볼트부재(33)에서 체결부재(34)를 분리하면 체결부재(34)의 가압력에 해제됨으로, 수축되어 있던 이격부(40)는 원래의 형태로 팽창되면서 제1몸체부재(12)와 제2몸체부재(22)를 밀어내 억지끼움으로 수용되어 있던 제1산부(121)들과 제2산부(221)들이 각각 제1골부(122)들과 제2골부(222)들에서 자동으로 빠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제1클램프부(10)와 제2클램프부(20)를 쉽게 분리한 다음, 파이프(P1,P2)를 원하는 형태로 변경하여 연결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클램프 10 : 제1클램프부
11 : 제1장착부재 11a,21a : 장착홀
12 : 제1몸체부재 12a,22a : 단턱
121 : 제1산부 122 : 제1골부
123 : 제1수용홀 124,224 : 제1수용홈
125,225 : 제2수용홈 20 : 제2클램프부
21 : 제2장착부재 22 : 제2몸체부재
221 : 제2산부 222 : 제2골부
223 : 제2수용홀 30 : 결합부
31 : 제1마감부재 31a,32a : 나선홀
32 : 제2마감부재 33 : 볼트부재
34 : 체결부재 40 : 이격부
341 : 제어부

Claims (5)

  1. 파이프에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제1산부 및 제1골부가 연속적으로 교차형성 된 제1클램프부,
    다른 파이프에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산부 및 제1골부와 맞물리는 제2산부 및 제2골부가 연속적으로 교차형성 된 제2클램프부,
    상기 제1클램프부와 제2클램프부를 결합시켜 상기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부는,
    상기 파이프에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된 제1장착부재,
    상기 제1장착부재와 직교되는 형태로 연결되며, 가장자리에 상기 제1산부 및 제1골부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는 상기 결합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산부 및 제1골부가 형성된 일측과 이와 반대되는 타측에는 상기 제1수용홀과 연결되는 제1,2수용홈이 각각 형성된 제1몸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클램프부는,
    상기 파이프에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된 제2장착부재,
    상기 제2장착부재와 직교되는 형태로 연결되며, 가장자리에 상기 제2산부 및 제2골부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는 상기 결합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1수용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산부 및 제2골부가 형성된 일측과 이와 반대되는 타측에는 상기 제2수용홀과 연결되는 제1,2수용홈이 각각 형성된 제2몸체부재를 포함하는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2몸체부재의 제2수용홈에 각각 수용되며, 상기 제1,2몸체부재의 수용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나선홀이 형성된 제1마감부재 및 제2마감부재,
    상기 제1,2마감부재와 제1,2몸체부재를 관통하여 일부분이 제1마감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며, 양측이 상기 제1,2마감부재의 나선홀에 체결되는 볼트부재,
    상기 제1마감부재의 외부로 돌출된 볼트부재에 체결되면서 제1마감부재를 제1몸체부재에 가압하고, 일측에 걸이홀을 갖는 제어부가 형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재와 제2몸체부재의 내부에는 제2수용홈과 연결되는 쐐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마감부재와 제2마감부재에는 상기 쐐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쐐기부가 형성된 클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재와 제2몸체부재의 제1수용홈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 압축되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는 클램프.
KR1020180128491A 2018-10-25 2018-10-25 클램프 KR102118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491A KR102118545B1 (ko) 2018-10-25 2018-10-25 클램프
PCT/KR2019/014038 WO2020085810A1 (ko) 2018-10-25 2019-10-24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491A KR102118545B1 (ko) 2018-10-25 2018-10-25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824A true KR20200046824A (ko) 2020-05-07
KR102118545B1 KR102118545B1 (ko) 2020-06-03

Family

ID=7033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491A KR102118545B1 (ko) 2018-10-25 2018-10-25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8545B1 (ko)
WO (1) WO2020085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3046B1 (de) * 2020-07-27 2021-05-15 Schlattner Hermann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Rohren
MX2023006891A (es) 2020-12-11 2023-06-26 Armstrong World Ind Inc Montaje de rejilla aerea, miembro de soporte del mismo y sistema de techo que incluye el mism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603A (ja) * 1998-08-20 2000-02-29 Norihisa Iwata パイプ材、棒材等の交差連結具
KR101265857B1 (ko) 2011-11-15 2013-05-20 심병섭 건축비계용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5407U (ko) * 1981-06-25 1982-12-27
JP3004816U (ja) * 1994-05-31 1994-11-29 政則 楠茂 足場クランプ
JP4067185B2 (ja) * 1998-06-22 2008-03-26 紀久 岩田 車椅子における頭部等の支持装置
JP2002227812A (ja) * 2001-01-29 2002-08-14 Norihisa Iwata パイプ材、棒材等の交差連結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603A (ja) * 1998-08-20 2000-02-29 Norihisa Iwata パイプ材、棒材等の交差連結具
KR101265857B1 (ko) 2011-11-15 2013-05-20 심병섭 건축비계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5810A1 (ko) 2020-04-30
KR102118545B1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682B1 (ko) 탈형 데크
KR102118545B1 (ko) 클램프
EP3209924B1 (en) Strut and clip assembly for stiffening a hanger rod
EP2689080B1 (en) Standard and ledger of a scaffolding system, and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JP4571672B2 (ja) 高置フロアアセンブリのための支持構造体
CN205654086U (zh) 立杆支撑连接结构及立杆支撑***
KR20180000638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WO2024007452A1 (zh) 固定装置、固定装置安装方法及墙体施工方法
KR100979817B1 (ko) 건축용 서포터
KR200483244Y1 (ko) 강관 비계틀 기초 지지용 조인트 구조체
KR20090023019A (ko) 케리어 찬넬 및 케리어 찬넬 행거
US7631902B2 (en) Transition coupling
KR101581915B1 (ko) 파스너를 이용한 벽체와 구조물 고정 구조
KR20130129151A (ko) 건설용 시스템서포트의 클램프
CN203257073U (zh) 电梯井操作平台
KR101639996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20120111825A (ko) 지하이중벽용 경량철골 고정장치
KR101918932B1 (ko) 가설 비계용 조인트 장치
US2103010A (en) Wall connecter
JP2017179840A (ja) 吊りボルト支持金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90043895A (ko) 프리캐스트 벽체 임시 고정 장치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CN221422807U (zh) 一种便于组合的建筑用支撑装置
KR102200331B1 (ko)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KR20150143911A (ko) 콘크리트 바닥면을 기준하는 레벨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