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276A -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276A
KR20200044276A KR1020180124799A KR20180124799A KR20200044276A KR 20200044276 A KR20200044276 A KR 20200044276A KR 1020180124799 A KR1020180124799 A KR 1020180124799A KR 20180124799 A KR20180124799 A KR 20180124799A KR 20200044276 A KR20200044276 A KR 20200044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weight
oil
wate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윤
전상훈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24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4276A/ko
Publication of KR2020004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담지 유닛은 담지체; 상기 담지체에 담지된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는 수중유 형태이며, 상기 화장료의 경도는 3N 내지 600N이다.

Description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Carrier unit comprising O/W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 goods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중유(O/W) 형태의 화장료는 피부에 수분감을 부여하며 산뜻하고 가벼운메이크업 효과를 연출해 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수중유 형태의 화장료는 자체의 휘발로 인해 중량이 감소하고, 화장료에서 수상부가 분리되는 이수현상이 있어 안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점도가 높은 고체타입의 수중유 화장료의 경우, 퍼프와 같은 도포구로 화장료를 취하게 되면 화장료가 뜯겨져 나가 미관상 좋지 않고 피부에 불균일하게 도포되어 사용성이 낮은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수중유 형태 화장료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안정도와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4-0093349호(2014년 07월 28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도와 사용성이 향상된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담지체; 상기 담지체에 담지된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는 수중유 형태이며, 상기 화장료의 경도는 3N 내지 600N인 담지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화장료의 경도는 3N 내지 300N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수상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점증제는 아가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는 아가를 0.05 중량% 내지 6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아가를 0.05 중량% 내지 2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지 유닛의 경도는 50g 내지 100g일 수 있다.
상기 담지 유닛의 경도는 50g 내지 70g일 수 있다.
상기 담지체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아가 0.05 내지 6중량% 또는 0.05 내지 2중량%, 고상분체안료 0.1 내지 30중량%, 정제수 50 내지 90중량%, 방부제 0.2 내지 3중량%, 오일 5 내지 20중량%, 유화제 0.5 내지 10중량% 및 향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담지체; 상기 담지체에 담지된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는 수중유 형태이며, 상기 화장료는, 아가 0.05 내지 6중량% 또는 0.05 내지 2중량%, 고상분체안료 0.1 내지 30중량%, 정제수 50 내지 90중량%, 방부제 0.2 내지 3중량%, 오일 5 내지 20중량%, 유화제 0.5 내지 10중량% 및 향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며, 상온에서 직각으로 1일 보관 시에 이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담지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담지 유닛;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담지 유닛에 담지된 화장료를 전달하기 위한 화장도구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상점증제, 정제수, 고상분체안료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분산시키는 단계; 오일과 유화제를 포함하는 오일부를 분산된 상기 수상부와 혼합하여 수중유상의 화장료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료를 가온하여 상기 화장료의 점도를 낮춘 상태에서 상기 화장료를 담지체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화장료는, 아가 0.05 내지 6중량% 또는 0.05 내지 2중량%, 고상분체안료 0.1 내지 30중량%, 정제수 50 내지 90중량%, 방부제 0.2 내지 3중량%, 오일 5 내지 20중량%, 유화제 0.5 내지 10중량% 및 향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도와 사용성이 향상된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실험예에서 화장료의 이수현상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실험예에서 담지 유닛의 이수현상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실험예에서 화장료 및 담지 유닛의 경사 안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담지체"는 조성물(화장료)을 예로 들 수 있는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담체", "함침재", “운반체” 또는 "매개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담지체"는 이에 담지된 물질을 별개의 도포구에 배출(전달)하도록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담지체”에 담지되어 있는 조성물은 예를 들어 손이나, 퍼프, 팁, 브러쉬 등의 도포 수단(도포구 또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라고도 함)을 통해 피부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배출능" 또는 "배출력"은 화장료(화장료 조성물)를 담지한 담지체로부터 도포구에 의해 화장료를 취할 때 배출되는 화장료의 양을 의미하며, 많지도 적지도 않은 적절한 양의 화장료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을 설명한다.
담지 유닛(10)은 담지체(110)와 화장료(120)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담지체(110)는 원판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각판 형상, 긴 원기둥 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화장료(120)는 수중유 형태이며, 담지체(110)에 내에 담지되어 있다.
담지체(110)는 화장료를 담지 및 배출한다. 담지체(110)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스펀지를 사용할 수 있다.
스펀지는 고무, 섬유 또는 수지를 해면처럼 만든 것이다. 스펀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천연 스펀지 또는 합성 스펀지일 수 있고, 천연 스펀지는 예를 들어 해면 스펀지, 천연고무 스펀지 등일 수 있으며, 합성 스펀지는 합성수지 스펀지, 우레탄, 발포 우레탄,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NR(Natural Rubber), 클로로프렌 고무(CR),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IIR), 이소프렌 고무(IR), 가황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다황화물 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NR(Nitrile Rubb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스펀지의 일종인 발포 우레탄(발포 우레판 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 실시예로서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에테르 폴리올을 주베이스로 함), 폴리에스테르계 발포 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발포 우레탄은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에테르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에테르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에스테르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며, 폴리카보네이트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카보네이트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펀지는 포어(pore)들을 포함하며, 스펀지에 포함되는 포어들은 30 내지 1000㎛의 평균 사이즈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균 포어 사이즈는 1000㎛ 이하, 900㎛ 이하, 800㎛ 이하, 700㎛ 이하, 600㎛ 이하, 500㎛ 이하, 400㎛ 이하, 300㎛ 이하, 200㎛ 이하, 100㎛ 이하, 50㎛ 이하 또는 30㎛ 이하일 수 있으며, 30㎛ 이상, 50㎛ 이상, 100㎛ 이상, 200㎛ 이상, 300㎛ 이상, 400㎛ 이상, 500㎛ 이상, 600㎛ 이상, 700㎛ 이상, 800㎛ 이상, 900㎛ 이상 또는 100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스펀지의 평균 포어 사이즈의 측정은 광학현미경(Nikon ECLIPSE LV100POL)을 사용하여 5x/0.15배율로 확대하여 측정할 수 있다. 스펀지의 포어 사이즈가 평균 30㎛ 미만이면 화장료를 담지하는 포어 공간이 작아, 담지능이 떨어지고, 평균 1000㎛를 초과하는 경우 포어 공간이 지나치게 커서 화장료의 배출 조절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담지체(110)는 1mm 내지 5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담지체(110)의 두께가 1mm 미만이면 화장료의 담지량이 적으며, 50mm를 초과하면 사용시 화장료의 배출에 있어서, 그 내용물의 잔량 없이는 배출이 어렵다. 담지체(110)는 예를 들어 3mm 내지 4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mm 내지 4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8mm 내지 3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mm 내지 3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께는 50mm 이하, 40mm 이하, 30mm 이하, 20mm 이하, 10mm 이하, 또는 5mm 이하일 수 있으며, 1mm 이상, 10mm 이상, 20mm 이상, 30mm 이상, 40mm 이상, 또는 50mm 이상일 수 있다.
화장료(120)는 수상점증제, 정제수, 방부제, 오일, 유화제 및 향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장료(120)는 수상점증제 0.05 내지 6중량% 또는 0.05 내지 2중량%, 고상분체안료 0.1 내지 30중량%, 정제수 50 내지 90중량%, 방부제 0.2 내지 3중량%, 오일 5 내지 20중량%, 유화제 0.5 내지 10중량% 및 향 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수상점증제는 아가,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검, 잔탄검, 만난, 젤라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수상점증제는 특히 아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상점증제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담지 유닛(10)에 담지된 화장료(120)가 물리적으로 불안정하거나 담지 유닛(10)에서의 배출력이 과도해 질 수 있다. 수상점증제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높은 점도로 혼합에 문제가 생겨 화장료 제조가 어려워지거나 담지 유닛(10)에서의 배출력이 매우 낮아질 수 있다.
오일은 에스테르계, 트리글리세라이드계, 탄화수소계 및 실리콘계 오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오일은 부드러움, 촉촉함, 밀착감 등 화장료에서 요구하는 발림성 정도에 따라 상이한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고상 분체 안료는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성, 커버력, 색상 및 발림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탈크, 알루미나, 아이런 옥사이드, 마이카, 실리카, 알루미나, 유기 색소 및 천연 색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유화제는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알코올, 세타아릴글루코사이드, 베헤닐알코올, 아라키딜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 및 향은 통상 사용되는 재료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담지체(110)에 담지하지 않은 화장료(120)는 상온에서 흐름성이 거의 없는 고체 상태이며, 화장료(120)의 경도는 상온에서 3N 내지 600N 또는 3N 내지 300N일 수 있다. 또한, 담지 유닛(10)의 경도는 50g 내지 100g 또는 50g 내지 70g일 수 있다. 화장료(120)의 경도 및/또는 담지 유닛(10)의 경도가 너무 높으면 배출력이 낮아 문제되며, 화장료(120)의 경도 및/또는 담지 유닛(10)의 경도가 너무 낮으면 이수현상이 발생하거나 배출력이 너무 클 수 있다.
담지 유닛(10)에서 화장료(120)는 담지체(110)에 의해 안정도가 향상된다. 즉, 화장료(120) 자체로는 이수현상이 발생하고 기울여서 보관할 경우 형태가 무너지지만, 담지 유닛(10)에서는 이수현상 발생이 억제되고 기울여서 보관 시에도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담지 유닛(10)이 화장료(120) 내에서 구조체 역할을 하여 화장료(120)의 흐름을 억제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포구(퍼프 등)를 이용한 화장 시에 적절한 배출력을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담지 유닛(10)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보관해도 이수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55도 기울기에서 상온에서 3일 동안 보관해도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담지 유닛(10)은, 0.01g 내지 0.4g의 배출력 또는 0.1g 내지 0.4g의 배출력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화장료(120) 및 담지 유닛(10)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실험예에 설명되어 있다.
화장료는 수상부(수상점증제(아가)/ 정제수/ 피그먼트베이스/방부제)를 80℃ 이상, 예를 들어, 80℃ 내지 100℃로 가온하면서 분산 후, 80℃ 이상, 예를 들어, 80℃ 내지 100℃로 가온된 오일부(오일/유화제)를 투입하여 유화 진행하고, 유화 후 향을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후 화장료는 상온에서 흐름성이 거의 없는 고체상태가 된다. 40℃ 내지 60℃로 가온시켜 유동시킨 후 담지체(110)에 담지시켜 담지 유닛(10)을 제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화장용구(1)는 담지 유닛(10), 상부케이스(20), 하부케이스(30), 담지체 수용부(40), 커버(50) 및 화장도구(60)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30)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담지 유닛(10), 담지체 수용부(40), 커버(50) 및 화장도구(도포구, 60)는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다.
담지체(10)는 담지체(110)에 수중유 형태의 화장료(120)가 담지되어 있다.
커버(50)는 화장도구(60)의 안착부 역할도 수용한다.
사용자는 화장도구(60)는 담지 유닛(10)에 가압 및 해제하면서 화장을 수행한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화장료 제조
수상부(수상점증제/정제수/피그먼트베이스/방부제)를 90℃로 가온하면서 분산 후, 90℃로 가온된 오일부(오일/유화제)를 투입하여 유화 진행하였고, 유화 후 향을 투입하였다.
수상점증제로는 아가를, 용제로는 정제수를 고상분체 안료로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산화철 및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를 질량비로 6:3:1, 방부제로는 페녹시에탄올 및 에칠핵실글리세린을 질량비로 8:1, 오일로는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를, 유화제로는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를 질량비로 2:1로 사용하였다.
수상점증제로 사용한 아가의 함량 및 이에 따른 용제의 함량을 변경하며 화장료 1 내지 화장료 7을 제조하였으며, 조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화장료 6 및 화장료 7의 경우 점증력이 과도하게 높아 기계적 분산이 어려워 화장료가 제조되지 못하였다.
화장료 1 내지 화장료 7의 조성비(중량%)
성분 화장료 1 화장료 2 화장료 3 화장료 4 화장료 5 화장료 6 화장료 7
수상점증제 0.10 0.50 1.00 3.00 5.00 7.00 10.00
용제 69.00 68.60 68.10 66.10 64.10 62.10 59.10
고상분체안료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방부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오일 16.50 16.50 16.50 16.50 16.50 16.50 16.50
유화제 3.00 3.00 3.00 3.00 3.00 3.00 3.00
0.40 0.40 0.40 0.40 0.40 0.40 0.40
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담지체 유닛 제조
제조된 화장료를 45℃로 가열하여 유동성을 가지도록 한 후 담지체에 각각 17g을 충진하였다.
담지체는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을 사용했다. 경도는 70~95g, 포어사이즈는 300~600㎛, 두께는 10mm, 직경은 50mm 였다.
화장료 1 내지 화장료 5를 담지한 담지체 유닛이 담지체 유닛 1 내지 담지체 유닛 5이다.
특성 테스트
화장료 및 담지체 유닛에 대해 특성을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내용물 경도, 즉 화장료 자체의 경도는 경도 측정 용기에 내용물을 가득담아 30℃에서 1일 보관 후 레올로지 기계로 경도 측정 (측정기기: SUN RHEO METER(CR-500DX), SUN SCIENTIFIC CO., LTD.를 사용하였으며, 경도 측정 조건은 mode 20, Max 2kg, R/H Hold 5.0mm, P/T PRESS 5mm/m)
담지 유닛의 경도, 즉 화장료가 담지체에 담지된 상태의 경도는 화장료 17g을 담지체에 충진한 다음 경도 측정 기계로 측정(측정 경도계: ASKER F TYPE, 아스카 고무경도계 F 타입)하였다.
화장료 배출양(배출력) 측정: 내용물 17g을 담지체에 충진한 다음, 퍼프로 담지체의 표면을 2kg의 무게(힘)으로 1회 눌렀을 때 취해지는 내용물 양(10회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이수 현상은 화장료 또는 담지체 유닛을 상온에서 1일(24시간) 동안 직각으로 기울인 상태로 보관 시 물이 나오는지 관찰하였다.
경사 안정도는 화장료 또는 담지체 유닛을 직각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55℃ 인큐베이터에서 3일간 보관 후에 외관상태를 관찰하였다.
화장료에 대한 이수현상 및 안정도 측정 시 화장료는 17g을 화장료 도 3과 같은 담지체 수용부에 담아서 측정하였다. 담지 유닛에 대한 이수현상, 경사 안정도 및 배출양 측정 실험에서도 담지 유닛을 담지체 수용부에 담아서 측정하였다.
특성테스트 결과는 표 2 및 도 3 내지 도 5와 같다.
화장료 및 담지 유닛의 특성테스트 결과
화장료/담지 유닛 경도(N)
화장료
경도(g)
담지 유닛
배출양(g)
담지 유닛
이수현상
화장료
이수현상
담지 유닛
경사
화장료
경사
담지 유닛
1 5 55 0.26 이수 양호 무너짐  양호
2 11 58 0.19 이수 양호  무너짐 양호
3 20 65 0.16 이수 양호  무너짐 양호
4 200 83 0.08 이수 양호  양호 양호
5 500 90 0.02 이수 양호  양호 양호
6 N.A. N.A. N.A. N.A. N.A. N.A. N.A.
7 N.A. N.A. N.A. N.A. N.A.  N.A. N.A.
화장료 1 내지 화장료 5는 담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수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담지 유닛에서는 이수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경사 안정도에서 화장료 1 내지 화장료 3은 경사(기울임)에서 무너짐이 발생하였으나, 담지 유닛에서는 무너짐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로부터 담지체로의 담지에 의해 화장료의 안정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담지 유닛 1 내지 담지 유닛 5는 일정한 배출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담지 유닛 1 내지 담지 유닛 3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적합한 배출양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담지체;
    상기 담지체에 담지된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는 수중유 형태이며,
    상기 화장료의 경도는 3N 내지 600N인 담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의 경도는 3N 내지 30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수상점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점증제는 아가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는 아가를 0.05 중량% 내지 6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아가를 0.05 중량% 내지 2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 유닛의 경도는 50g 내지 1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 유닛의 경도는 50g 내지 7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아가 0.05 내지 6중량% 또는 0.05 내지 2중량%, 고상분체안료 0.1 내지 30중량%, 정제수 50 내지 90중량%, 방부제 0.2 내지 3중량%, 오일 5 내지 20중량%, 유화제 0.5 내지 10중량% 및 향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
  10. 담지체;
    상기 담지체에 담지된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는 수중유 형태이며,
    상기 화장료는,
    아가 0.05 내지 6중량% 또는 0.05 내지 2중량%, 고상분체안료 0.1 내지 30중량%, 정제수 50 내지 90중량%, 방부제 0.2 내지 3중량%, 오일 5 내지 20중량%, 유화제 0.5 내지 10중량% 및 향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며,
    상온에서 직각으로 1일 보관 시에 이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담지 유닛.
  1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담지 유닛;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담지 유닛에 담지된 화장료를 전달하기 위한 화장도구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12.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상점증제, 정제수, 고상분체안료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분산시키는 단계;
    오일과 유화제를 포함하는 오일부를 분산된 상기 수상부와 혼합하여 수중유상의 화장료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료를 가온하여 상기 화장료의 점도를 낮춘 상태에서 상기 화장료를 담지체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아가 0.05 내지 6중량% 또는 0.05 내지 2중량%, 고상분체안료 0.1 내지 30중량%, 정제수 50 내지 90중량%, 방부제 0.2 내지 3중량%, 오일 5 내지 20중량%, 유화제 0.5 내지 10중량% 및 향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
KR1020180124799A 2018-10-19 2018-10-19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4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799A KR20200044276A (ko) 2018-10-19 2018-10-19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799A KR20200044276A (ko) 2018-10-19 2018-10-19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76A true KR20200044276A (ko) 2020-04-29

Family

ID=7046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799A KR20200044276A (ko) 2018-10-19 2018-10-19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42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349A (ko) 2013-01-15 2014-07-28 주식회사 제닉 Ow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349A (ko) 2013-01-15 2014-07-28 주식회사 제닉 Ow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275B1 (ko)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USRE49062E1 (en) Foam having improved feeling during use
KR102023973B1 (ko)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US10485322B2 (en)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or comprising impermeable layer
KR20120108509A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552775B1 (ko)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2323103B1 (ko) 내용물 전달력이 개선된 도포구
KR101562221B1 (ko)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KR20140004575A (ko) 도포용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KR102587335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4620B1 (ko) 화장용 퍼프
CN107708656A (zh) 紫外线隔离用化妆品组合物
BRPI0712061A2 (pt) kit para a preparação de uma preparação fluida
KR102360819B1 (ko) 유화 분리 방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침시킨 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00044276A (ko)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679320B1 (ko)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는 폼
KR102349215B1 (ko)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220086881A (ko) 제1 및 제2 화장료 조성물을 동시에 배출하기 위한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58217A (ko) 화장료 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