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473A - 배터리 유닛 및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유닛 및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473A
KR20200043473A KR1020207009307A KR20207009307A KR20200043473A KR 20200043473 A KR20200043473 A KR 20200043473A KR 1020207009307 A KR1020207009307 A KR 1020207009307A KR 20207009307 A KR20207009307 A KR 20207009307A KR 20200043473 A KR20200043473 A KR 2020004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battery
electronic component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타케시 아카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배터리 유닛은,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유출구로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퍼프 동작에 따라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 유닛을 가지는 향미 흡인기에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 유닛은, 배터리와, 상기 무화 유닛을 제어하는 전자부품과,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배터리 유닛의 소정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소정 부재는, 상기 소정 부분에 침입하는 물을 검지하는 물검지부재를 가진다.

Description

배터리 유닛 및 향미 흡인기
본 발명은, 배터리 유닛 및 향미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배터리 유닛 및 무화 유닛을 가지는 향미(香味)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향미 흡인기는, 공기 유입구(inlet)로부터 공기 유출구(outlet)로 연통(連通)하는 공기유로(空氣流路)를 가진다. 무화(霧化) 유닛은, 공기유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퍼프 동작(puffing action)에 따라 에어로졸원(源)을 무화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5247711호
제1 특징은,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유출구로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퍼프 동작에 따라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 유닛을 가지는 향미 흡인기에 설치되는 배터리 유닛으로서, 배터리와, 상기 무화 유닛을 제어하는 전자부품과,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배터리 유닛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 부분은, 상기 소정 부분에 침입하는 물(水)을 검지(檢知)하는 물검지부재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공간과 연통하는 개공(開孔)이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특징은, 제1 특징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은, 길이방향(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과 함께, 상기 무화 유닛과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분과, 상기 배터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속부분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선단(先端)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소정 부분은, 상기 선단부분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검지부재는, 상기 공기유로와는 다른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검지부재는, 상기 전자부품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배터리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퍼프 동작을 검지하는 흡인(吸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2 특징을 인용하는 제6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인 센서에 의해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구획된 제1 공동(空洞) 및 제2 공동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공동은,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제2 공동은, 상기 개공과 연통하고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2 특징을 인용하는 제3 특징, 제2 특징 및 제3 특징을 인용하는 제4 특징 또는 제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개공은, 상기 선단부분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검지부재는, 상기 선단부분의 단면(端面)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8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 중, 상기 개공과 연통하는 공간에 노출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액불투과성(液不透過性) 부재에 의해 피복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제9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퍼프 동작을 검지하는 흡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 센서는, 상기 개공과 연통하는 공간으로 노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향미 흡인기로서,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유출구로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퍼프 동작에 따라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 유닛과, 배터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 유닛은, 배터리와, 상기 무화 유닛을 제어하는 전자부품과,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배터리 유닛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 부분은, 상기 소정 부분에 침입하는 물을 검지하는 물검지부재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일 태양(態樣)에 따르면, 소정 부분에 침입하는 물에 의해 생기는 전자부품의 열화(劣化)를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 유닛 및 향미 흡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무화 유닛(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선단부분(11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인 센서(1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시의 개요]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향미 흡인기에서는, 퍼프 동작에 따라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성질상, 향미 흡인기의 하우징의 외측 공간(대기(大氣)공간)과 연통하는 개공을 배터리 유닛에 설치해야 하는 상황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 유닛은 배터리 이외에도 전자부품을 가지고 있으며,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소정 부분에 침입하는 물에 의해 전자부품의 열화를 초래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개시의 개요에 따른 배터리 유닛은,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유출구로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퍼프 동작에 따라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 유닛을 가지는 향미 흡인기에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 유닛은, 배터리와, 상기 무화 유닛을 제어하는 전자부품과,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배터리 유닛의 소정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소정 부분은, 상기 소정 부분에 침입하는 물을 검지하는 물검지부재를 가진다.
개시의 개요에 따르면,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소정 부분은, 소정 부분에 침입하는 물을 검지하는 물검지부재를 가진다. 따라서, 소정 부분에 침입하는 물에 의해 생기는 전자부품의 열화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형태]
(향미 흡인기)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향미 흡인기(1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기구이며, 비흡구단(非吸口端)으로부터 흡구단을 향하는 방향인 길이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는, 배터리 유닛(100)과, 무화 유닛(200)과, 향미 유닛(300)을 가진다. 향미 흡인기(10)는,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유출구로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가진다. 공기 유입구는, 배터리 유닛(100)과 무화 유닛(200)의 경계부분에 설치되어도 된다. 공기 유출구는, 향미 유닛(300)의 일단(흡구단)에 설치되어도 된다.
배터리 유닛(100)은, 향미 흡인기(10)를 구동하는 전력을 축적하는 배터리(후술하는 배터리(123))를 가지는 유닛이다. 배터리 유닛(100)은, 길이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배터리 유닛(100)은, 무화 유닛(200)과 전기적으로 또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배터리 유닛(100)은, 무화 유닛(200)에 대해 착탈(着脫)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배터리 유닛(100)의 상세(詳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2 참조).
무화 유닛(200)은, 공기유로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동작에 따라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유닛이다. 무화 유닛(200)은, 길이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무화 유닛(200)은, 배터리 유닛(100)과 전기적으로 또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무화 유닛(200)은, 배터리 유닛(1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무화 유닛(20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3 참조).
향미 유닛(300)은, 무화 유닛(200)으로부터 방출되는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여하는 향미원을 가지는 유닛이다. 향미 유닛(300)은, 무화 유닛(2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향미 유닛(300)은, 통기성을 가지는 한 쌍의 부재(예를 들면, 메시체(體), 파일(file) 외 등)를 가지고 있으며, 향미원은, 한 쌍의 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향미원은, 살담배(shred tobacco)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입상(粒狀)의 담배원료의 성형체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허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은, 멘톨 등의 향료를 포함해도 된다.
(배터리 유닛)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유닛(100)은, 길이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하우징(101)을 가진다. 하우징(101)은, 선단부분(110), 배터리부분(120) 및 접속부분(130)을 수용한다.
선단부분(110)은, 배터리부분(120)보다 배터리 유닛(100)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선단부분(110)은, 커버(111)와, 전자부품(112)과, 기재(基材)(113)를 가진다. 커버(111)는, 하우징(101)의 선단을 막는 부재이다. 전자부품(112)은, 적어도 무화 유닛(200)을 제어한다. 전자부품(112)은, 기판(112A)을 가지고 있으며, 기판(112A)의 기판면(基板面)은, CPU, 메모리, 발광소자 및 흡인 센서 등을 가진다. 기판(112A)의 기판면은, 커버(111)에 면해 있어도 된다. 기재(113)는, 전자부품(112)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배터리부분(120)은, 쿠션부재(121)와, 쿠션부재(122)와, 배터리(123)를 가진다. 쿠션부재(121) 및 쿠션부재(122)는, 배터리(123)의 충격을 흡수하는 부재이다. 예를 들면, 쿠션부재(121) 및 쿠션부재(122)는, 에틸렌초산비닐 코폴리머(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배터리(123)는, 일회용 타입의 배터리여도 되고, 충전 타입의 배터리여도 된다.
접속부분(130)은, 무화 유닛(200)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다. 접속부분(130)은, 스페이서(131)와, 기재(132)와, 탄성부재(133)와, 내측 전극(134)과, 외측 전극(135)과, 절연부재(136)를 가진다. 스페이서(131)는, 쿠션부재(122)와 기재(132)를 이간(離間)하는 부재이다. 기재(132)는, 탄성부재(133) 및 내측 전극(134)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탄성부재(133)는, 길이방향 A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내측 전극(134)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내측 전극(134)은, 배터리(123)의 제1 극(플러스극 또는 마이너스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내측 전극(134)은, 무화 유닛(200)의 전극(후술하는 내측 전극(2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내측 전극(134)과 무화 유닛(200)의 전극과의 전기적인 접속은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담보된다. 외측 전극(135)은, 배터리(123)의 제2 극(마이너스극 또는 플러스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측 전극(135)은, 무화 유닛(200)의 전극(후술하는 외측 전극(2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측 전극(135)과 무화 유닛(200)의 전극과의 전기적인 접속은 감합(嵌合)(예를 들면, 나사결합)에 의해 담보된다. 절연부재(136)는, 내측 전극(134) 및 외측 전극(135)을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여기서, 내측 전극(134)은, 길이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시(斷面視)에서 외측 전극(135)의 내측에 배치된다. 절연부재(136)는, 길이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시에서 내측 전극(134)과 외측 전극(135) 사이에 배치된다.
(무화 유닛)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무화 유닛(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무화 유닛(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화 유닛(200)은, 길이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하우징(201)을 가진다. 무화 유닛(200)은, 접속부분(210) 및 무화부분(220)을 수용한다.
접속부분(210)은, 배터리 유닛(100)과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다. 접속부분(210)은, 내측 전극(211)과, 외측 전극(212)과, 절연부재(213)를 가진다. 내측 전극(211)은, 배터리 유닛(100)의 전극(상술한 내측 전극(13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내측 전극(211)은, 히터(223B)로부터 연장되는 제1 리드선(lead wire)이 전기적으로 접합된다. 외측 전극(212)은, 배터리 유닛(100)의 전극(상술한 외측 전극(13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측 전극(212)은, 히터(223B)로부터 연장되는 제2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접합된다. 절연부재(213)는, 내측 전극(211) 및 외측 전극(212)을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여기서, 내측 전극(211)은, 길이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시에서 외측 전극(212)의 내측에 배치된다. 절연부재(213)는, 길이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시에서 내측 전극(211)과 외측 전극(212) 사이에 배치된다. 배터리 유닛(100) 및 무화 유닛(200)의 기계적인 접속은 외측 전극(135) 및 외측 전극(212)의 감합(예를 들면, 나사결합)에 의해 담보된다.
무화부분(220)은, 리저버(reservoir)(221)와, 통상(筒狀)부재(222)와, 히터 유닛(223)과, 캡(224)을 가진다. 리저버(221)는, 에어로졸원을 보지(保持)하는 부재이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은, 글리세린(glycerin)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등의 액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리저버(221)는 2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내측층(221A)은 코튼(cotton)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외측층(221B)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에 의해 구성된다. 리저버(221)는 1층 구조여도 된다. 통상부재(222)는, 길이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공기유로를 형성한다. 통상부재(222)는, 리저버(221) 내에 삽입된다. 통상부재(222)는, 히터 유닛(223)을 보지하는 슬릿(222A)을 가진다. 예를 들면, 통상부재(222)는 글래스화이버(fiberglass)에 의해 구성된다. 히터 유닛(223)은, 리저버(221)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한다. 예를 들면, 히터 유닛(223)은, 윅(wick)(223A) 및 히터(223B)를 가진다. 윅(223A)은, 공기유로를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슬릿(222A)에 의해 보지된다. 윅(223A)은, 리저버(221)로부터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전달되는 에어로졸원을 보지한다. 히터(223B)는, 윅(223A)에 의해 보지되는 에어로졸원을 무화한다. 히터(223B)는, 윅(223A)에 감기는 코일 형상을 가지는 전열선이다. 캡(224)은, 리저버(221)를 향미 유닛(300)측으로부터 피복한다. 캡(224)은, 공기유로를 구성하는 개공(開孔)을 가진다.
(선단부분)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선단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선단부분(1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단부분(110)은, 배터리(123)를 사이에 두고 접속부분(130)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선단부분(110)은, 커버(111)와, 전자부품(112)과, 기재(113)를 가진다. 실시형태에서, 선단부분(110)은, 전자부품(112)이 설치되는 소정 부분의 일례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분(110)은, 선단부분(110)에 침입하는 물을 검지하는 물검지부재(114)를 가진다. 물검지부재(114)는, 선단부분(110)에 물이 침입했는지 아닌지를 확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물검지부재(114)는, 물의 접촉에 의해 변질하도록 구성된다. 변질은, 변색이어도 되고, 용해이어도 되고, 팽창(팽윤(膨潤))이어도 된다. 물검지부재(114)는, 커버(111)에 첩부(貼付)되는 씰(seal)이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부품(112)은, 기판(112A)을 가지고 있으며, 기판(112A)의 기판면은, CPU, 메모리, 발광소자 및 흡인 센서 등을 가진다. 전자부품(112)은, 하우징(101)에 수납된다.
여기서, 물검지부재(114)는,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유출구로 연통하는 공기유로와는 다른 부분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물검지부재(114)는, 공기 유입구를 기준으로 하여 공기 유출구의 반대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바꿔 말하면, 공기 유입구는, 물검지부재(114)와 공기 유출구 사이에 설치된다. 공기 유입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유닛(100)과 무화 유닛(200)의 경계부분에 설치되어도 된다. 즉, 물검지부재(114)는, 무화 유닛(200)으로부터 방출되는 에어로졸이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물검지부재(114)는, 전자부품(112)을 사이에 두고 배터리(123)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물검지부재(114)는, 배터리부분(120)에 침입하는 물을 검지하는 부재가 아니라, 선단부분(110)에 침입하는 물을 검지하는 부재라고 생각해도 된다.
(흡인 센서)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흡인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흡인 센서(1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흡인 센서(150)는, 퍼프 동작을 검지하는 부재이며, 전자부품(112)의 일례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센서(150)는, 하우징(101)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동(空洞)의 내압의 변화를 검지한다. 하우징(101)은, 흡인 센서(150)에 의해 연통하지 않도록 구획되는 제1 공동(161) 및 제2 공동(162)을 가진다. 제1 공동(161)은, 퍼프 동작에 따라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와 연통하는 공동이다. 제2 공동(162)은, 하우징(101)의 외측 공간과 연통하는 개공(111A)과 연통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흡인 센서(150)는, 제1 공동(161)의 내압과 제2 공동(162)의 내압과의 차압(差壓)을 검지한다. 예를 들면, 흡인 센서(150)는, 콘덴서(condenser)를 가지는 센서이며, 제1 공동(161)의 내압과 제2 공동(162)의 내압과의 차압에 따른 콘덴서의 전기용량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면, 전압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흡인 센서(15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151)와, 기판(152)과, 전극막(電極膜)(153)과, 고정전극(154)과, 제어회로(155)와, 개공(156)과, 개공(157)을 가진다. 지지부재(151)와 하우징(101)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 않으며, 제1 공동(161) 및 제2 공동(162)은, 하우징(101) 내에서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흡인 센서(15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기판(152)에는, 고정전극(154) 및 제어회로(155)가 설치된다. 전극막(153)은, 제1 공동(161)의 내압과 제2 공동(162)의 내압과의 차압의 변화에 따라 변형한다. 고정전극(154)은, 전극막(153)과 콘덴서를 형성한다. 콘덴서의 전기용량은, 전극막(153)의 변형에 의해 변화한다. 제어회로(155)는, 전극막(153)의 변형에 의해 변화하는 전기용량을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퍼프 동작에서, 제1 공동(161)의 내압이 저하하지만, 제2 공동(162)의 내압은 실질적으로는 변화하지 않고 대기압과 거의 같다. 즉, 흡인 센서(150)는, 제1 공동(161)에서의 압력 변화를 검지한다.
실시형태에서, 개공(111A)은, 선단부분(110)에 설치된다. 커버(111)는, 절결부(cutout)를 가지고 있으며, 개공(111A)은, 커버(111)와 하우징(101) 사이의 간극이다. 개공(111A)은, 선단부분(110)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물검지부재(114)는, 선단부분(110)의 내측 단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 전자부품(112) 중, 개공(111A)과 연통하는 공간(여기서는, 제2 공동(162))으로 노출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액불투과성(液不透過性) 부재에 의해 피복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액불투과성 부재는, 불소 수지이어도 되고, 실리콘이어도 된다. 액불투과성 부재를 사용한 피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프레이에 의한 피복 방법이어도 되고, 손으로 바르는(hand-painting) 피복 방법이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이라도, 흡인 센서(150)는, 개공(111A)과 연통하는 공간(여기서는, 제2 공동(162))으로 노출한다. 즉, 흡인 센서(150)의 전체가 액불투과성 부재에 의해 피복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흡인 센서(150)는, 제2 공동(162)의 내압이 거의 대기압이 되도록, 개공(111A)을 통해 하우징(101)의 외측 공간과 연통하는 제2 공동(162)으로 노출해 있다.
(작용 및 효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자부품(112)이 설치되는 선단부분(110)은, 선단부분(110)에 침입하는 물을 검지하는 물검지부재(114)를 가진다. 따라서, 선단부분(110)에 침입하는 물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부품(112)의 열화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전자부품(112)이 설치되는 소정 부분은 선단부분(110)이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정 부분은, 접속부분(130)이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서, 물검지부재(114)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유출구로 연통하는 공기유로와는 다른 부분에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물검지부재(114)는, 공기 유입구를 기준으로 하여 공기 유출구의 반대측(예를 들면, 비흡구단측 또는 선단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흡인 센서(150)는, 제1 공동(161)의 내압과 제2 공동(162)의 내압과의 차압을 검지하는 타입의 센서이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흡인 센서(150)로서는, 다른 센서를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서, 개공(111A)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향미 흡인기(10)는 향미 유닛(300)을 가진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향미 흡인기(10)는 향미 유닛(300)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서, 에어로졸원은 향미원을 포함해도 된다.

Claims (12)

  1. 공기 유입구(inlet)로부터 공기 유출구(outlet)로 연통(連通)하는 공기유로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퍼프 동작(puffing action)에 따라 에어로졸원(源)을 무화(霧化)하는 무화 유닛을 가지는 향미(香味) 흡인기에 설치되는 배터리 유닛으로서,
    배터리와,
    상기 무화 유닛을 제어하는 전자부품과,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배터리 유닛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 부분은, 상기 소정 부분에 침입하는 물(水)을 검지(檢知)하는 물검지부재를 가지는, 배터리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공간과 연통하는 개공(開孔)이 설치되는, 배터리 유닛.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은, 길이방향(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과 함께, 상기 무화 유닛과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분과, 상기 배터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속부분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선단(先端)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소정 부분은, 상기 선단부분인, 배터리 유닛.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검지부재는, 상기 공기유로와는 다른 부분에 설치되는, 배터리 유닛.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검지부재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공기 유출구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배터리 유닛.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검지부재는, 상기 전자부품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배터리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배터리 유닛.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퍼프 동작을 검지하는 흡인(吸引) 센서를 포함하는, 배터리 유닛.
  8. 청구항 2를 인용하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인 센서에 의해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구획된 제1 공동(空洞) 및 제2 공동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공동은,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제2 공동은, 상기 개공과 연통하고 있는, 배터리 유닛.
  9. 청구항 2를 인용하는 청구항 3, 청구항 2 및 청구항 3을 인용하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은, 상기 선단부분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검지부재는, 상기 선단부분의 내측 단면(端面)에 설치되는, 배터리 유닛.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 중, 상기 개공과 연통하는 공간에 노출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액불투과성(液不透過性) 부재에 의해 피복되는, 배터리 유닛.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퍼프 동작을 검지하는 흡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흡인 센서는, 상기 개공과 연통하는 공간으로 노출하는, 배터리 유닛.
  12.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유출구로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퍼프 동작에 따라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 유닛과,
    배터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 유닛은, 배터리와, 상기 무화 유닛을 제어하는 전자부품과,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배터리 유닛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정 부분은, 상기 소정 부분에 침입하는 물(水)을 검지하는 물검지부재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
KR1020207009307A 2017-09-27 2017-09-27 배터리 유닛 및 향미 흡인기 KR202000434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34871 WO2019064364A1 (ja) 2017-09-27 2017-09-27 バッテリユニット及び香味吸引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473A true KR20200043473A (ko) 2020-04-27

Family

ID=6590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307A KR20200043473A (ko) 2017-09-27 2017-09-27 배터리 유닛 및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38447B2 (ko)
EP (1) EP3689163B1 (ko)
JP (2) JP7094971B2 (ko)
KR (1) KR20200043473A (ko)
CN (1) CN111148442A (ko)
TW (1) TWI717557B (ko)
WO (1) WO2019064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2031B1 (ja) * 2019-07-17 2020-04-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6683865B1 (ja) 2019-07-17 2020-04-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の制御方法、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の制御プログラム
JP6683866B1 (ja) * 2019-07-17 2020-04-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診断方法、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診断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7711B2 (ko) 1972-02-23 1977-12-05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2811B2 (ja) * 2000-06-09 2004-03-02 三洋ジ−エスソフトエナジー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4895388B2 (ja) * 2006-07-25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薬剤吐出装置
US7726320B2 (en) 2006-10-18 2010-06-0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containing smoking article
KR100965691B1 (ko) * 2007-11-13 2010-06-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2009267645A (ja) 2008-04-23 2009-11-12 Kyocera Corp 電子機器
CN201379072Y (zh) * 2009-02-11 2010-01-13 韩力 一种改进的雾化电子烟
EP2330655B1 (en) 2009-12-02 2018-11-1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351522B2 (en) * 2011-09-29 2016-05-31 Robert Safari Cartomizer e-cigarette
JP6143784B2 (ja) * 2011-12-30 2017-06-0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消費量を監視及びフィードバックす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US9609893B2 (en) 2013-03-15 2017-04-04 Rai Strategic Holdings, Inc. Cartridge and control body of an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nti-rotation mechanism and related method
CN203388263U (zh) * 2013-06-26 2014-01-15 刘秋明 电子烟、电子烟雾化器及电子烟吸嘴
JP2015122990A (ja) * 2013-12-26 2015-07-0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具
IL251279B2 (en) * 2014-10-15 2024-04-01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inhaler and components thereof
WO2016075746A1 (ja) * 2014-11-10 2016-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制御方法
JP6431214B2 (ja) * 2015-01-22 2018-11-28 フォンテム ホールディングス 1 ベー.ハー.Fontem Holdings 1 B.V. 電子気化装置
CN105105340B (zh) * 2015-09-10 2018-03-09 林光榕 电池杆及具有该电池杆的电子烟
CN108471804B (zh) 2015-12-22 2021-03-05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电源组件、非燃烧型香味吸取器以及非燃烧型香味吸取***
CN206161389U (zh) * 2016-11-07 2017-05-10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烟雾化气溶胶取样装置和测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7711B2 (ko) 1972-02-23 1977-12-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94758A1 (en) 2020-06-18
EP3689163A4 (en) 2021-05-05
US11638447B2 (en) 2023-05-02
JP7094971B2 (ja) 2022-07-04
JPWO2019064364A1 (ja) 2020-07-27
TW201914452A (zh) 2019-04-16
TWI717557B (zh) 2021-02-01
JP2022008329A (ja) 2022-01-13
EP3689163B1 (en) 2024-06-12
WO2019064364A1 (ja) 2019-04-04
CN111148442A (zh) 2020-05-12
EP3689163A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4785B2 (ja) エアロゾル提供装置
TWI724757B (zh) 霧氣吸嚐器用電力供應單元
JP6408709B2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
JP6898049B2 (ja) 電子蒸気供給システム
TWI707516B (zh) 電池單元、香味吸嚐器、控制電池單元的方法及程式
US10874148B2 (en) Method of inserting a removable insulator into an e-vaping device
JP6918775B2 (ja) 電子ベーピング装置用の電源セクション構成および電子ベーピング装置
KR102132104B1 (ko) 전원 어셈블리,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
JP2022008329A (ja) 香味吸引器
KR101907769B1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US9814267B2 (en)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device thereof
EP3590364A1 (en) Power supply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TW201840276A (zh) 電池單元、香味吸嚐器、控制電池單元的方法及程式
TW202002813A (zh) 香味生成裝置
US11369149B2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and aerosol inhaler
US11559085B2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aerosol inhaler, and aerosol inhale system
WO2019087414A1 (ja) 霧化ユニット及び香味吸引器
CN219982149U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