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400A -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400A
KR20200036400A KR1020180116001A KR20180116001A KR20200036400A KR 20200036400 A KR20200036400 A KR 20200036400A KR 1020180116001 A KR1020180116001 A KR 1020180116001A KR 20180116001 A KR20180116001 A KR 20180116001A KR 20200036400 A KR20200036400 A KR 20200036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polypropylene
weight
film
polypropylene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6400A/ko
Publication of KR2020003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40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 뛰어난 투명성을 확보하면서도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여 도장에 대한 보호 성능이 현저히 향상된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호 필름{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 뛰어난 투명성을 확보하면서도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도장에 대한 보호 성능이 현저히 향상된 폴리프로필렌계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완성차의 이송 또는 보관 시, 차체 도장은 외부로부터 각종 오염, 충격, 스크래치, 습기, 자외선 등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도장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도장 표면을 코팅하거나 도장 상부에 보호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왁스를 포함한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코팅층을 균일하게 형성하기 어렵고, 오염되기 쉬우며, 도장에 침투하여 도장의 변색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호 필름을 도장 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시공이 용이하고, 필름의 두께를 조절하여 도장면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기는 하나, 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특성이 좋지 않고 장시간 사용 시 열화에 의해 박리되거나 필름이 탁해지거나 하는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도장을 보호하는 수단의 물성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효과적인 도장 보호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77782호(2018.07.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우수한 투명성을 가지면서도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기계적 특성은 물론,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각종 오염물질로부터 쉽게 오염되지 않는 내오염성,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어도 도장의 변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내후성을 가지는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이 뛰어나고, 시공 시 작업성이 용이하며, 외관 특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는 메탈로센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로서, 중합 공정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무정형 매트릭스가 작게 분산되고 결정성의 아이소택틱(isotactic) 폴리프로필렌이 연결됨으로써 탄성(elastic)이 부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는 에틸렌 함량은 1 내지 20중량%, 구체적으로 2 내지 15중량%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로 프로필렌과 에틸렌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져 소프트한 물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보호 필름은 높은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특성이 탁월하고,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이 뛰어나며, 시공 시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종 오염물질에 대한 내오염성, 내화학성이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장기간 자외선 등의 외부에 노출되어도 변색 등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탁월한 내후성을 가지며,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종래 도장 보호를 위한 수단인 보호 필름이 보호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두께를 높이고 이로 인해 투명도가 낮아져 도장의 색 구현이 떨어지고, 기계적 특성이 좋지 않으며,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어 물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연구를 심화하던 중,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의 조합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이 높은 투명도를 유지하면서도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제조된 필름을 이용하여 시공 시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장기적으로 물성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보호 필름은 (a) 메탈로센 중합으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및 (b)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이다. 필름 내 이들 성분의 조합은 높은 투명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은 물론 탁월한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구현한다. 나아가, 내열성, 치수안정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면서도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면에서 더욱 좋다. 이때, ‘작업성’은 보호 필름을 도장 등의 피막 성분에 부착하는 시공 공정에서 열이나 연신 등이 가해졌을 때 파열되는 등의 필름 손상 없이 시공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elastomer polypropylene, EPP)는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인 것일 수 있다. 또한, ASTM D1238의 규정에 의거하여 230℃, 2.16kg의 하중 조건에서 측정된 용융지수(MI, Melt Index)가 0.1 내지 100g/10min, 구체적으로 0.2 내지 50g/10min, 보다 구체적으로 0.5 내지 20g/10min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높은 투명도를 확보하면서 신율 등의 기계적 특성, 내충격성, 내열성, 치수안정성 등의 향상 효과를 가지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는 그 밀도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필름의 기계적 특성 및 도장의 외관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측면에서, 밀도가 0.85 내지 0.95g/㎤, 구체적으로 0.86 내지 0.93g/㎤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시켜 제조된 것으로, 상업화된 예로서, Exxon Mobil사의 Vistamaxx 시리즈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는 에틸렌 함량이 상이한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틸렌 함량이 6 내지 12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중량%인 제1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와, 상기 제1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보다 상대적으로 에틸렌 함량이 낮은 것으로서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6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인 제2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것과 비교 시 보다 향상된 투명도를 가지면서도 도장 성분이 필름으로 이행되지 않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도장 등의 피막 성분 위에 제조된 필름을 시공하는 경우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에틸렌 함량이 상이한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는 상기 제1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및 제2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의 중량비가 0.2:1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0.5:1 내지 1.5:1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필름 성형 시 성분들의 혼련성을 높일 수 있고, 필름의 물성 균일성을 확보하며, 보호 필름으로서의 물성 확보는 물론 우수한 작업성을 구현하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는 프로필렌 반복단위의 입체 배열 구조가 아이소택틱(isotactic)인 것이다. 이는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의 현저한 향상과 동시에 보다 향상된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을 구현하는데 더욱 유리한 특성을 가진다. 나아가, 시공 시 물성 저하 없이 용이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는 필름 성형 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필름 성형용 수지 조성물 내 함량이 60 내지 95중량%, 구체적으로 65 내지 90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목적하는 물성 상승효과를 구현하는 점에서 효과적이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polypropylene, RPP)은 폴리프로필렌 중합 시 에틸렌을 첨가하여 입체규칙성을 낮춘 것으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강신도 등의 기계적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에틸렌의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4 내지 15중량%, 구체적으로 6 내지 12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충격성 향상과 우수한 외관 특성을 구현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은 ASTM D1238의 규정에 의거하여 230℃, 2.16kg의 하중 조건에서 측정된 용융지수가 1 내지 20g/10min, 구체적으로 2 내지 18g/10min, 보다 구체적으로 3 내지 15g/10min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와의 조합으로 높은 투명도를 확보하면서 기계적 특성, 내열성, 치수안정성 등의 향상 효과를 구현하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일 양태로,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가 상이한 2종 이상의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230℃, 2.16kg의 하중 조건에서 측정된 용융지수가 1 내지 4g/mol인 제1랜덤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제1랜덤 폴리프로필렌과 비교 시 상대적으로 용융지수가 높은 제2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랜덤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는 4 내지 20g/mol, 구체적으로 4 내지 10g/mol인 것일 수 있다. 이는 필름의 성형 가공성 및 균일한 물성, 나아가 목적하는 물성 상승효과를 가지는 면에서 구현하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와의 조합으로 투명성,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을 가지며, 시공 시 열에 의해 물성이 저하되거나 연신 또는 마찰 등에 의해 파열되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 시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장기간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도장 물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보호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은 필름 성형 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필름 성형용 수지 조성물 내 함량이 5 내지 40중량%, 구체적으로 10 내지 35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목적하는 물성 상승효과를 구현하는 점에서 효과적이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외에,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안티블록킹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내열안정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난연제, 충전제, 이형제, 광안정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의 총합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0.1 내지 5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보호 필름은 단층 또는 두 층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호 필름을 기재층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추가 필름이 적층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일 양태에 따른 보호 필름은 우수한 모듈러스와 강도, 신율 등의 탁월한 기계적 특성으로, 기재층으로서 적층 공정, 일예로 롤투롤 공정에 투입 시 공정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보호 필름은 특별히 그 제조방법이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일예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와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정량한 후, 압출기에 투입하여 180 내지 250℃의 범위에서 용융압출한 후, 티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미연신된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보호 필름은 인장강도가 150 내지 300 kgf/㎠, 구체적으로 170 내지 270 kgf/㎠, 신율이 400% 이상, 구체적으로 450 내지 750%인 것이다. 또한, F-5 모듈러스(F-5 modulus)가 50 내지 100 kgf/㎠, 헤이즈가 3% 이하, 구체적으로 2% 이하이고, 120℃ 조건에서 30분 동안 방치 후 측정한 수축률이 1% 이내인 물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물성을 모두 만족하는 범위에서 용이한 작업성을 확보하면서 도장의 보호 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보호 필름은 각종 제품의 보호 필름 또는 시트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도장 보호용, 일예로 자동차 도장 보호용도로 적용되어 탁월한 보호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1) 강신도 : MD 및 TD 방향에 따른 인장강도, 신율 및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이때, 인장강도(kgf/㎠)는 ASTM D790의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신율(%) 및 모듈러스(kgf/㎠)는 ASTM D882의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F-5 모듈러스는 필름이 5% 신장될 때 걸리는 힘을 측정한 것이다.
또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실시하였다. 상온에서 15 mm 폭의 시편을 길이 50 mm 간격으로 고정한 뒤 500mm/min 속도로 100% 인장한 후 0%로 돌아오는 것을 1회로 하여 10회 실시하고, 1회 및 10회에서의 인장강도 및 신율을 상온(20℃)에서 측정하였다. 이후, 최초 1회 때 기준으로 10회 실시한 인장강도 및 신율의 변화율을 기재하였다.
(2) 수축율(%) : 120℃에서 30분 동안 시편을 방치한 후 측정 전후의 필름의 수축률(%)을 측정하여 내열치수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수축률은 ASTM D955의 규정에 의거 시편을 MD(Machanical Direction)과 TD(Transverse Direction)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3) 헤이즈(Haze) : 헤이즈미터(hazemeter, Nippon Denshoku, NDH-50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내충격성(kgf·cm/cm) : Notched Izod 시편을 사용하여 ASTM D256의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5) 내스크래치성 : 스틸울(Steelwool)을 이용하여 500g 하중, 50mm/sec의 속도 100mm를 500회 왕복으로 문지른 후, 육안으로 흠집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흠집이 전혀 발견되지 않으면 ◎, 흠집의 개수가 1~2이면 ○, 3~5이면 △, 5개 초과이면 ×로 표기하였다.
(6) 내화학성 :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에탄올에 각각 시편을 넣고 24시간 방치 후 상태를 확인하였다. 육안으로 확인하여 용해 및 백탁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4개의 용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에서 나타나는 현상에 따라, 형태를 유지하며 백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 형태는 유지하나 백탁이 발생한 경우 △,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완전히 녹거나 뭉개지며 백탁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 ×로 구분하였다.
(7) 외관 특성 : 용융되지 않거나 겔 등 외관에 이물질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때, 시편 크기 100㎜×100㎜ 내에 이물질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이물질 개수 하나는 이물질의 크기 0.01㎟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크기 이하인 것을 하나, 이를 초과한 경우 기준 값의 배율로 그 개수를 환산하였다. 이후, 시편 내 이물질이 전혀 없는 경우 ◎, 이물질의 개수가 1~2이면 ○, 3~10이면 △, 10개 초과이면 ×로 표기하였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은 다음과 같다.
- EPP-1: 에틸렌 함량이 9중량%이며, 반복단위인 프로필렌이 아이소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Exxonmobil사, Vistamaxx 3980FL, MI 3.6g/10min(ASTM D1238, 230℃, 2.16kg))
- EPP-2: 에틸렌 함량이 4중량%이며, 반복단위인 프로필렌이 아이소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Exxonmobil사, Vistamaxx 3588FL, MI 8.0g/10min(ASTM D1238, 230℃, 2.16kg))
- EPP-3: 에틸렌 함량이 5중량%이며, 어택틱 구조를 갖는 것인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MI 5.8g/10min(ASTM D1238, 230℃, 2.16kg))
- RPP-1: 롯데케미칼사, TI-640(Random PP), MI 4.4g/10min(ASTM D1238, 230℃, 2.16kg)
- RPP-2: SK Chemical사, Yuplene PP R931Y(Random PP), MI 3.5g/10min(ASTM D1238, 230℃, 2.16kg)
(실시예 1)
EPP-1 90중량% 및 RPP-1 10중량%를 혼합하여 압출기에 투입한 후, 230℃로 용융압출한 후, 티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두께가 180㎛인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EPP-1 및 RPP-1의 함량을 각각 80중량% 및 20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두께가 180㎛인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EPP-1 40중량%, EPP-2 50중량% 및 RPP-1 10중량%를 혼합하여 압출기에 투입한 후, 230℃로 용융압출한 후, 티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두께가 180㎛인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EPP-1 및 EPP-2의 함량을 각각 30중량% 및 60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두께가 180㎛인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EPP-1 및 EPP-2의 함량을 각각 60중량% 및 30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두께가 180㎛인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EPP-1 40중량%, EPP-2 50중량%, RPP-1 5중량% 및 RPP-2 5중량%를 혼합하여 압출기에 투입한 후, 230℃로 용융압출한 후, 티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두께가 180㎛인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RPP-1을 사용하지 않고, EPP-1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두께가 180㎛인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EPP-1을 사용하지 않고, RPP-1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두께가 180㎛인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엘라스토머가 아닌 EPP-3 90중량% 및 RPP-1 10중량%를 혼합하여 압출기에 투입한 후, 230℃로 용융압출한 후, 티다이를 통해 압출하여 두께가 180㎛인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인장강도, 신율 및 F-5 모듈러스의 기계적 특성은 물론 히스테리시스(Hysteresis)가 우수하며, 수축률이 현저히 낮아 우수한 내열치수안정성을 구현함을 알 수 있었다. 더구나, 헤이즈가 뛰어나면서도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및 외관 특성의 물성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들은 상기의 물성들을 모두 만족하면서 작업성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들은 실시예 대비 물성이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일부 물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 도장 보호용으로서 적합하지 않고, 작업성 또한 현저히 떨어졌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9)

  1. (a) 메탈로센 중합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및 (b)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a)는 ASTM D1238의 규정에 의거하여 230℃, 2.16kg의 하중 조건에서 측정된 용융지수가 0.1 내지 100g/10min이고, 밀도가 0.85 내지 0.95g/㎤인 보호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a)는 에틸렌 함량이 상이한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함량이 상이한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는 에틸렌 함량이 6 내지 12중량%인 제1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와 상기 제1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에 비하여 에틸렌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6중량%인 제2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및 제2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의 중량비는 0.2:1 내지 2:1인 보호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b)은 ASTM D1238의 규정에 의거하여 230℃, 2.16kg의 하중 조건에서 측정된 용융지수가 1 내지 20g/10min인 보호 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a) 60 내지 95중량%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b) 5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F-5 모듈러스가 50 내지 100 kgf/㎠이며, 120℃에서 30분 동안 방치 후 측정한 수축률이 1% 이내인 보호 필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자동차 도장 보호용인 보호 필름.
KR1020180116001A 2018-09-28 2018-09-28 보호 필름 KR20200036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01A KR20200036400A (ko) 2018-09-28 2018-09-28 보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01A KR20200036400A (ko) 2018-09-28 2018-09-28 보호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00A true KR20200036400A (ko) 2020-04-07

Family

ID=7029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001A KR20200036400A (ko) 2018-09-28 2018-09-28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64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82B1 (ko) 2016-04-28 2018-07-16 (주)필링크 페인트 보호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82B1 (ko) 2016-04-28 2018-07-16 (주)필링크 페인트 보호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0049B1 (en) Photodegradable shrink films with good tensile and dart properties
US6855406B2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shrink film made from the same
JP6318619B2 (ja) 太陽電池用封止シート
JP5424169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多層フィルム
JP6221481B2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20150035736A (ko)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WO2015125595A1 (ja) 樹脂膜
KR102643114B1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아크릴레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다층 보호 필름
EP3360681B1 (en) Heat-shrinkable multi-layer film
JP6790711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れからなる積層体及び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697763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れからなる積層体及び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RU2505412C2 (ru) Пленки, полученные из них изделия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JPH0892428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2008208210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20200036400A (ko) 보호 필름
KR101487878B1 (ko) 신규 레토르트 식품 포장용 나노처리 내열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식품포장용 필름
JP452581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3681553B2 (ja) オレフィ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
KR100663677B1 (ko) 흐림방지성다층필름
KR101572158B1 (ko) 자동차 도막 보호용 필름
JPH09302108A (ja) 押出フィルム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押出フィルム
JP5521886B2 (ja) 鏡面化粧シート
KR101736690B1 (ko) 아스팔트 방수 시트용 다층 공압출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4024968A1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1459677B1 (ko) 레토르트 식품 포장용 적층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