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944A - 갱폼장치 - Google Patents

갱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944A
KR20200032944A KR1020180112219A KR20180112219A KR20200032944A KR 20200032944 A KR20200032944 A KR 20200032944A KR 1020180112219 A KR1020180112219 A KR 1020180112219A KR 20180112219 A KR20180112219 A KR 20180112219A KR 20200032944 A KR20200032944 A KR 20200032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ang form
molding
space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Priority to KR102018011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2944A/ko
Publication of KR20200032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갱폼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갱폼장치는, 프레임부와, 이 프레임부 측에 고정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성형패널을 구비하고, 이 성형패널은, 패널 양쪽면 중에서 일면에 형성되는 성형면과, 이 성형면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패널 내측에 형성되는 단열공간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갱폼장치{GANG FORM APPARATUS}
본 발명은 갱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예: 아파트, 빌딩)의 외부벽체는 대부분 갱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시공된다.
즉, 갱폼은 타워크레인과 같은 리프트장치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층 측에서 상부층 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옮겨지면서 각층의 외부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역할이 가능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갱폼은 리프트장치에 의해 옮겨지는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장치의 경량화 및 내구성 확보와 부합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서는 작업장의 기온(氣溫)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능 구현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갱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외부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낮은 기온에 의해 벽체의 양생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갱폼 구조가 요구된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갱폼의 성형패널 측에 별도의 단열재를 부착하여 성형패널의 단열성을 확보하는 구조 및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허등록 제10-1202061호_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특허등록 제10-1224293호_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온(氣溫)이 낮은 작업 환경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벽체 양생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열 구조를 갖는 갱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프레임부와, 이 프레임부 측에 고정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성형패널을 구비한 갱폼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패널은, 패널 양쪽면 중에서 일면에 형성되는 성형면과, 이 성형면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패널 내측에 형성되는 단열공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성형패널 내측에 형성된 단열공간에 의해 비(非) 노출 타입으로 성형면 측에 단열성을 부여할 수 있는 패널 구조를 제공하므로, 특히 동절기와 같이 외부 기온이 낮은 작업 환경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벽체를 시공할 때, 단열 구조를 갖는 성형패널에 의해 외부벽체의 시공(양생) 품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장치는, 프레임부(2)와, 성형패널(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부(2)는 후술하는 성형패널(4) 측이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프레임부(2)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대(A)들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성형패널(4)의 면적과 대응하는 사각 프레임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A)들은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파이프나 형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용접 접합이나 볼팅 체결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되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2)는 예를 들어, 세파타이나 웨지핀과 같은 별도의 체결연결구(미도시)에 의해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W)의 외부벽체(W1) 시공을 위하여 갱폼과 한조로 사용되는 내벽거푸집(T) 측과 서로 간격을 띄우고 마주하는 상태로 체결 조작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성형패널(4)은 프레임부(2) 측에 고정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되며, 외부벽체(W1)의 성형과 부합하는 패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성형패널(4)은 기온(氣溫)이 낮은 작업 환경에서도 외부벽체(W1)의 양생(養生) 처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와 부합하는 단열(斷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성형패널(4)은 외부벽체(W1)의 성형을 위한 성형면(B)을 구비하고, 이 성형면(B)은 성형 작업 여건과 부합하는 성형 면적을 갖는 상태로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패널 양쪽면 중에서 일면에 형성된다.
성형패널(4)은 금속 재질의 패널이 사용되며, 금속 패널들 중에서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한 패널을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패널(4)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패널의 양쪽면 중에서 성형면(B)의 반대면 측이 프레임부(2) 측과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성형패널(4)은 프레임부(2) 측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지지대(A)들에 의해 성형면(B)의 뒷면 전체가 균일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상태로 프레임부(2) 측에 설치된다.
한편, 성형패널(4)은 성형면(B) 측에 단열성(斷熱性)이 부여될 수 있는 패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성형패널(4) 측에는 단열공간(C)이 형성되며, 이 단열공간(C)은 패널 양쪽면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간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된다.
단열공간(C)은 성형패널(4) 내측에서 기밀성(氣密性)이 유지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단열공간(C)은 성형패널(4) 측에서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코킹(calking)이나 패킹 작업에 의해 밀폐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공간(C)은 단열성 확보를 위하여 진공(眞空) 분위기가 유지되는 상태로 단열 처리되거나, 이외에도 단열 작용이 가능한 기체류(예: 공기, 가스)나 액체류(예: 부동액)가 충진되는 상태로 단열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패널(4) 내측에 단열층 역할을 하는 단열공간(C)이 형성되면, 특히 동절기와 같이 기온(氣溫)이 낮은 작업 환경에서 외부벽체(W1)를 성형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성형패널(4)의 성형면(B) 뒷면 측에 단열성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벽체(W1)의 양생 작업이 한층 더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열공간(C)은 성형패널(4) 측에 비(非) 노출 타입으로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외부 접촉이나 마찰 등에 의해 단열층이 쉽게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패널의 미관도 한층 높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장치는, 착탈충진부(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착탈충진부(6)는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 측에 착탈 조작 방식으로 단열(斷熱) 충진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착탈충진부(6)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단열충진제(D1)가 담겨지며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 측에 착탈 조작으로 배치되기 위한 충진포켓(D)과, 이 충진포켓(D)의 착탈을 가이드하기 위한 착탈가이드구(E)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충진포켓(D)은 단열공간(C) 측과 대응하는 포켓 형태를 가지며, 포켓 내측에는 단열 처리를 위한 기체류나 액체류의 단열충진제(D1)가 충진된다.
충진포켓(D)은 기밀(氣密)이나 수밀(水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멤브레인층을 갖는 합성수지나 직물 재질의 포켓이 사용될 수 있다.
충진포켓(D)은 후술하는 착탈가이드구(E)에 의해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포켓 외부면 측이 단열공간(C)의 내부면 측에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는 포켓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충진포켓(D)은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 측에 배치되어 단열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단열공간(C) 내부를 메우는 상태로 위치되면서 성형면(B)의 뒷면 측을 지지하는 상태로 받쳐주는 역할(변형 억제)도 할 수 있다.
착탈가이드구(E)는 충진포켓(D)의 착탈 조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진포켓(D)이 내측에 수납된 상태로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 측을 향하여 미닫이 조작 방식으로 착탈을 가이드할 수 있는 카세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착탈가이드구(E)는 도 4에서와 같이 충진포켓(D)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부(E1)와, 이 수납부(E1) 일측에 형성되는 덮개부(E2)를 구비한 착탈 카세트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성형패널(4) 측에는 단열공간(C) 둘레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개방부(C1)가 형성되며, 이 개방부(C1)는 착탈가이드구(E) 측이 미닫이 조작 방식으로 단열공간(C) 내측에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수납부(E1)는 도 4에서와 같이 충진포켓(D)의 가장자리 부분과 대응하도록 연장된 프레임 형태의 둘레부를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며, 둘레부 내측에는 충진포켓(D)의 가장자리 부분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는 상태로 홈부(E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E2)는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의 개방부(C1) 측을 차단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착탈충진부(6)는 충진포켓(D)이 착탈가이드구(E) 측에 수납된 상태로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 측을 향하여 밀어 넣거나 빼내는 미닫이 조작 방식으로 단열공간(C)의 단열성 확보를 위한 단열 충진층을 용이하게 형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착탈충진부(6)는 작업 여건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단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단열충진제(D1)를 선정하여 충진포켓(D) 측에 충진시킨 상태로 성형패널(4) 측에 간편하게 셋팅할 수 있으므로, 성형패널(4)의 단열 기능성 및 효율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장치는, 분할구(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구(8)는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을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분할구(8)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7을 기준으로 할 때 단열공간(C)을 좌,우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상태로 성형패널(4)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분할구(8)는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 측에서 분할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 상부와 하부 측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조절홈(F1)이 각각 형성되고, 이 조절홈(F1)과 대응하는 상태로 분할구(8)의 상부와 하부 측에 각각 조절돌기(F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분할구(8)는 도 8에서와 같이 단열공간(C) 내측에서 조절돌기(F2)가 조절홈(F1) 측에 끼워진 상태로 홈부 연장구간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이드되는 상태로 분할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조작될 수 있다.
즉, 분할구(8)는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 내부를 좌,우로 나눠서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할 공간의 크기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할구(8)의 구조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W)의 외부벽체(W1)를 시공할 때, 성형패널(4)의 단열공간(C) 내부를 용이하게 2개의 공간으로 나눠서 분할할 수 있다.
그러면, 단열공간(C)의 분할된 공간들을 각각 이중으로 진공 처리하거나, 착탈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단열 충진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단열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분할구(8)는 간단한 공간 분할 구조 및 조작 방식으로 성형패널(4)의 단열 효율성 및 단열 호환성 향상과 부합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장치는, 외부 기온이 낮은 작업 환경에서 콘크리트 구조물(W)의 외부벽체(W1)를 시공할 때, 단열성이 부여된 성형패널(4)에 의해 벽체 양생 처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성형 품질의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만족할 만한 장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성형패널(4)은 비(非) 노출 타입의 단열층(단열공간)을 갖는 패널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예를 들어 패널 외부면 상에 우레탄보드와 같은 단열재가 부착되어 노출 타입으로 패널 단열층이 형성되는 일반 단열 갱폼들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즉, 비(非) 노출 타입의 단열층(단열공간)을 갖는 성형패널(4)은 외부 접촉이나 마찰에 의해 단열층이 쉽게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파손이나 손상에 의해 발생되는 단열재 파편들에 의한 작업장 오염이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2: 프레임부 4: 성형패널 6: 착탈충진부
8: 분할구 W: 콘크리트 구조물 W1: 외부벽체
C: 단열공간

Claims (5)

  1. 프레임부와, 이 프레임부 측에 고정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성형패널을 구비한 갱폼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패널은, 패널 양쪽면 중에서 일면에 형성되는 성형면과, 이 성형면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패널 내측에 형성되는 단열공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공간은,
    상기 성형패널 내측에서 상기 성형면의 뒷면 측에 공간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갱폼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갱폼장치는, 상기 성형패널 측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착탈충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탈충진부는,
    단열충진제가 담겨지며 상기 성형패널의 단열공간 측에 착탈 조작으로 배치되기 위한 충진포켓과, 이 충진포켓의 착탈을 가이드하기 위한 착탈가이드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갱폼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이드구는,
    상기 충진포켓이 수납될 수 있는 카세트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성형패널의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통해서 미닫이 조작 방식으로 상기 단열공간 내측에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갱폼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갱폼장치는, 상기 성형패널 측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분할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할구는,
    상기 성형패널 내측에서 상기 단열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나눠서 분할하는 상태로 셋팅되는 갱폼장치.
KR1020180112219A 2018-09-19 2018-09-19 갱폼장치 KR20200032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19A KR20200032944A (ko) 2018-09-19 2018-09-19 갱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19A KR20200032944A (ko) 2018-09-19 2018-09-19 갱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944A true KR20200032944A (ko) 2020-03-27

Family

ID=6995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219A KR20200032944A (ko) 2018-09-19 2018-09-19 갱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294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101224293B1 (ko) 2012-05-25 2013-01-21 대건기술 주식회사 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101224293B1 (ko) 2012-05-25 2013-01-21 대건기술 주식회사 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830U (ko) 단열재 시공을 위한 간격유지구
US8495843B1 (en) Buck system
CN211472836U (zh) 一种装配式房屋建筑结构
JP2006328869A (ja) 覆工コンクリート養生構造
KR20200032944A (ko) 갱폼장치
JP6905794B2 (ja) 基礎点検口
CN211114395U (zh) 建筑用外板及其组装结构
JP5281814B2 (ja) 基礎パッキン及び基礎パッキンの設置方法
JP2009041266A (ja) 外断熱用複合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目地構造
KR20220002327U (ko) 건축용 스틸 방수판
KR101581455B1 (ko) 진공단열패드를 이용한 단열키트
KR102037732B1 (ko) 단열 컨테이너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9102861A (ja) 鎧戸の製造法および鎧戸ならびにルーバーの製造法
JP2011220006A (ja) 床用伸縮継手装置
JP2020033728A (ja) ウレタン断熱耐力壁
CN210224612U (zh) 一种建筑工程临时用电力保护装置
JP2004076319A (ja) 断熱材の充填構造
JP5963403B2 (ja) 既存建物の断熱改修工法
JP2017203310A (ja) 間仕切りシステム
JP6909656B2 (ja) 止水構造
JP5237629B2 (ja) 断熱壁
JP7437547B1 (ja) 天井構造
KR102622371B1 (ko) 방수성이 향상된 모듈러 구조체
JPH11280199A (ja) 間仕切りパネル
JP7301734B2 (ja) 屋外構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