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709A - 피난용 사다리장치 - Google Patents

피난용 사다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709A
KR20200029709A KR1020180108072A KR20180108072A KR20200029709A KR 20200029709 A KR20200029709 A KR 20200029709A KR 1020180108072 A KR1020180108072 A KR 1020180108072A KR 20180108072 A KR20180108072 A KR 20180108072A KR 20200029709 A KR20200029709 A KR 20200029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evacuation
main
auxiliar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098B1 (ko
Inventor
오승찬
Original Assignee
오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찬 filed Critical 오승찬
Priority to KR102018010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0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피난용 사다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피난용 사다리장치는: 발코니 난간을 거쳐 대피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는 피난공간부와, 피난공간부에 구비되어 하측으로 펼쳐지는 사다리부와, 사다리부를 피난공간부에서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난용 사다리장치{LADDER DEVICE FOR ESCAPE}
본 발명은 피난용 사다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빌코니 난간의 외측에 마련된 피난공간부의 바닥부에 사다리부를 구비하여 발코니를 통해 피난공간부로 진입한 대피자가 사다리부를 하측으로 펼쳐주므로 화재 등 위험상황으로부터 기준층에서 아래층으로 안전한 피난을 보장할 수 있는 피난용 사다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빌딩, 오피스텔 및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은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시 비상계단이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대피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게 되며, 이의 경우 창문이나 발코니를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비상탈출을 시도하게 된다.
창문이나 발코니를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비상탈출을 시도함에 있어서, 추락 등의 위험이 내포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발코니의 바닥에 매설되어 화재발생과 같은 긴급상황시 아래층으로 피난이 가능하도록 한 비상용 피난 사다리가 제공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종래의 피난사다리는 발코니의 바닥에 상하로 관통된 이동공간에 덮개를 설치하고, 덮개의 내측에 접철식 사다리를 구비하여 하측으로 펼쳐주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비상달출을 수행하는 제1피난방식과, 발코니 난간을 피난 사다리로 이용하여 피난 사다리를 하측으로 펼쳐주므로 비상 탈출을 수행하는 제2피난방식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제1피난방식의 경우에는 발코니에 이동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아래층의 발코니 천정에 구멍이 형성되고, 위충의 발코니 바닥에는 덮개에 의한 돌출부위가 형성됨으로써, 외관상 보기 좋지 않고 공간활용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한 제2피난방식의 경우에는 발코니 난간을 사다리로 활용함에 따라 비상 탈출 시점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발코니 난간이 펼쳐지거나 지지력이 약화되므로 대피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0261호(2014.06.16, 발명의 명칭: 피난사다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빌코니 난간의 외측에 마련된 피난공간부의 바닥부에 사다리부를 구비하여 발코니를 통해 피난공간부로 진입한 대피자가 사다리부를 하측으로 펼쳐주므로 화재 등 위험상황으로부터 기준층에서 아래층으로 안전한 피난을 보장할 수 있는 피난용 사다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는, 발코니 난간을 거쳐 대피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는 피난공간부; 상기 피난공간부에 구비되어 하측으로 펼쳐지는 사다리부; 및 상기 사다리부를 상기 피난공간부에서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난공간부는, 상기 발코니 난간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평상시 물품을 안치하거나, 비상시 대피자가 대피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 배치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말코니 난간에는 상기 피난공간부의 대피공간으로 이동할 때 개폐되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베란다 난간에 상기 피난공간부와 연통되도록 개방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개방부의 양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도어는 잠금해제부에 의해 베란다 난간에서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다리부는, 상기 피난공간부의 바닥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사다리부; 상기 메인사다리부에서 가이드 이동되어 펼쳐지는 보조사다리부; 및 상기 메인사다리부와 상기 보조사다리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인사다리부에서 상기 보조사다리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아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사다리부는, 상기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한 쌍 배치되는 메인지지부재; 및 상기 메인지지부재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메인디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사다리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재의 내측에 한 쌍 배치되는 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보조지지부재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조디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부; 상기 가이드홀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보조지지부재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이드축부재; 및 상기 가이드홀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축부재의 히측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한 쌍의 상기 메인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홀부; 상기 고정홀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끼움홀부; 및 상기 끼움홀부를 통해 상기 고정홀부에 끼워지거나 분리되어 상기 사다리부를 상기 바닥부에서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는, 빌코니 난간의 외측에 마련된 피난공간부의 바닥부에 사다리부를 구비하여 발코니를 통해 피난공간부로 진입한 대피자가 사다리부를 하측으로 펼쳐주므로 화재 등 위험상황으로부터 기준층에서 아래층으로 안전한 피난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속부를 이용하여 피난공간부의 바닥부에서 당겨주기만 하면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사다리부를 간편하게 하측으로 펼쳐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사다리부를 메인사다리부에서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펼쳐줌으로써, 공간의 제약 없이 사다리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방지부를 이용하여 메인사다리부에서 보조사다리부가 펼쳐진 후 대피자가 밟고 내려올 때 보조사다리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가 발코니 난간을 거쳐 대피하도록 마련된 전체 구성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의 피난공간부에서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잠금해제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사디리부를 바닥부에서 펼치기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사디리부를 바닥부에서 펼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메인사다리부와 보조사다리부의 연결부위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사다리부를 순차적으로 펼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구속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가 발코니 난간을 거쳐 대피하도록 마련된 전체 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의 피난공간부에서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잠금해제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사디리부를 바닥부에서 펼치기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사디리부를 바닥부에서 펼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메인사다리부와 보조사다리부의 연결부위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사다리부를 순차적으로 펼치는 과정을 보인 도면들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에서 구속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는, 피난공간부(100), 사다리부(200) 및 구속해제부(300)를 포함한다.
피난공간부(100)는 발코니 난간(10)을 거쳐 대피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피난공간부(100)는 평상시에는 화분, 장독 등과 같은 생활용 물품을 일시 수용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비상시에는 물품을 발코니 측으로 이동시키고, 사다리부(200)를 하측으로 펼쳐 피난하도록 하는 대피난공간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다.
피난공간부(100)는 발코니 난간(10)의 외측면에 접하여 마련되고, 발코니 난간(10)의 개방부위를 거쳐 이동하는 구성이다.
피난공간부(100)는, 발코니 난간(1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평상시 물품을 안치하거나, 비상시 대피자가 대피하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 배치되는 측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난공간부(100)는 화분, 장독 등과 같은 생활용 물품의 안착을 용이하게 위하여 사다리부(200)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는 사다리부(20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힌지 방식으로 개폐되거나 사다리부(200)의 상측에서 분리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격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는 바닥부(110)를 금속판재로 형성하는 상태로 도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측면부(120)는 격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는 측면부(120)를 격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하는 상태로 도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말코니 난간(10)에는 피난공간부(100)의 대피공간으로 이동할 때 개폐되는 개폐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130)는 어린이 들이 무의식적으로 피난공간부(10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해준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개폐부(130)는, 베란다 난간(10)에 피난공간부(100)와 연통되도록 개방 형성되는 개방부(140)와, 개방부(140)의 양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힌지부(150)와, 힌지부(150)에 연결되어 개방부(140)를 개폐하는 개폐도어(16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50)는 경첩 형태로 형성하도록 한다.
개폐도어(160)는 하나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양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개폐도어(160)는 잠금해제부(170)에 의해 베란다 난간(10)에서 잠그거나 잠금해제할 수도 있다.
잠금해제부(170)는, 발코니 난간(10) 또는 개폐도어(160)에 구비되는 삽입홀부(171)와, 삽입홀부(171)에 진입되거나 이탈되도록 마련되는 이동축부재(172)와, 이동축부재(17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개폐도어(160) 또는 발코니 난간(10)에 구비되는 안내부재(173)와, 이동축부재(172)에 구비되어 안내부재(173)에서 이동축부재(172)의 이동을 조절하는 손잡이부재(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축부재(172)는 삽입홀부(171)에 삽입되는 원형봉으로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각형 봉일 수도 있다.
안내부재(173)와 삽입홀부(171)는 이동축부재(172)의 외형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재(174)는 이동축부재(172)의 측면 또는 단부 등에 구비되어 대피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성이다.
이동축부재(172)에는 이탈방지턱부(175)가 형성되어 안내부재(173)의 걸림턱부에 걸림으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손잡이부재(174)는 안내부재(173)에 형성된 슬롯홀부(176)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동축부재(172)는 안내부재(173)에 설치된 탄성부재(177)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어 삽입홀부(171)에 삽입되어 결속된다.
탄성부재(177)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30)의 사용 상태를 살펴 보도록 한다. 도 3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축부재(172)는 안내부재(173)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177)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방향(도 3애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홀부(171)에 삽입됨으로써, 개폐도어(160)는 발코니 난간(10)에 구속된다.
연이어, 도 3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 난간(10)에서 개폐도어(16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재(174)를 잡고서 슬롯홀부(176)를 따라 이동축부재(172)를 함몰방향(도 3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부재(177)를 안내부재(173)에서 수축시키면, 이동축부재(172)가 삽입홀부(171)에서 이탈되어 개폐도어(160)의 구속이 해제된다.
그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160)를 힌지부(15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폐도어(160)를 개방하고, 발코니 난간(10) 사이의 개방부(140)를 통해 피난공간부(100)에 진입할 수 있다.
한편, 개폐도어(160)의 구속은 상기한 반대 과정을 거치면 된다.
사다리부(200)는 피난공간부(100)에 구비되어 하측으로 펼쳐지는 구성이다. 사다리부(200)는 슬라이드방식 또는 회전방식 및 이들의 복합방식 등으로 2단 이상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다리부(200)는, 피난공간부(100)의 바닥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사다리부(210)와, 메인사다리부(210)에서 가이드 이동되어 펼쳐지는 보조사다리부(220)와, 메인사다리부(210)와 보조사다리부(220)에 구비되어 베인사다리부(210)에서 보조사다리부(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아드하는 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사다리부(210)는, 바닥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한 쌍 배치되는 메인지지부재(212)와, 메인지지부재(212)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메인디딤부재(214)를 포함한다.
보조사다리부(220))는, 메인지지부재(212)의 내측에 한 쌍 배치되는 보조지지부재(222)와, 보조지지부재(222)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조디딤부재(224)를 포함한다.
가이드부(230)는, 메인지지부재(21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부(232)와, 가이드홀부(232)에 삽입 설치되고, 보조지지부재(222)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이드축부재(234)와, 가이드홀부(232)의 하측에 구비되어 가이드축부재(234)의 히측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236)를 포함한다.
보조사다리부(220)는 회전방지부(240)에 의해 메인사다리부(210)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회전방지부(240)는, 보조지지부재(222)에 구비되는 연장부재(242)와, 연장부재(242)에 구비되고, 가이드축부재(234)와 이격되도록 가이드홀부(232)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방지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축부재(234)와 회전방지부재(244) 사이 간격은 가이드홀부(232)의 너비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로써, 회전방지부재(244)가 가이드홀부(232)에서 가이드축부재(234)에 대해 회전되는 것이 걸림에 의해 차단되므로 보조사다리부(220)는 메인사다리부(210)에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구속부(300)는 사다리부(200)를 피난공간부(100)에서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구성이다.
구속부(300)는 사다리부(200)를 피난수용부(100)의 바닥부(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화재시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도와준다.
구속부(300)는, 한 쌍의 메인지지부재(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홀부(310)와, 고정홀부(310)에 대응하도록 바닥부(110)에 형성되는 끼움홀부(320)와, 끼움홀부(320)를 통해 고정홀부(310)에 끼워지거나 분리되어 사다리부(200)를 바닥부(110)에서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구속부재(330)를 포함한다.
구속부재(346)는 끼움홀부(320)와 고정홀부(310)에 삽입되는 삽입설치부와, 삽입설치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벌려지는 탄성확장부와, 삽입설치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손가락을 삽입하여 당길 수 있는 당김부를 포함한다.
탄성확장부는 끼움홀부(320)와 고정홀부(310)의 직경에 비해 더 크게 벌려지므로 평상시 구속부재(330)의 이탈을 방지하지만, 피난시 구속부재(300)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해 세게 당기는 경우,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면서 끼움홀부(320)와 고정홀부(310)에서 이탈된다.
당김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손가락을 삽입하여 당길 때, 저항에 의해 손가락에 통증 유발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당김부는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피난공간부(100)의 바닥부(110)에서 구속부(300)를 해제하여 사다리부(200)를 고층건물의 아래층의 핀난공간부(100)로 펼쳐 비상 대피하는 상태를 살펴 본다.
도 9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자가 고층건물의 해당층에 발생한 화재로 부터 대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폐도어(160)의 개방을 통해 개방부(140)를 거쳐 피난공간부(100)로 진입한다. 이때, 피난공간부(100)에 화분 등의 물품이 있는 경우에는 발코니로 물품을 이동시켜 치우도록 한다.
계속하여, 도 9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공간부(100)의 바닥부(110)에 형성된 끼움홀부(320)와 사다리부(200)의 메인지지부재(212)에 형성된 구속부재(330)의 당김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당겨주면, 구속부재(330)의 탄성확장부가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면서 구속부재(330)의 삽입설치부가 끼움홀부(320)와 고정홀부(310)에서 이탈되어 구속이 해제된다.
그 다음, 도 8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딕부(100)에서 구속이 해제된 사다리부(200)가 힌지를 기준으로 바닥부(100)에서 하측으로 회전하여 젖혀지게 된다.
연이어, 도 8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사다리부(210)에 수납되어 있던 보조사다리부(220)가 회전함에 따라 자중을 받아 가이드부(230)에 의해 메인사다리부(21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즉, 가이드부(240)의 작동을 살펴 보면, 메인지지부재(212)의 가이드홀부(232)에 삽입되어 있는 보조지지부재(222)의 가이드축부재(234)가 하측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이동제한부(236)에 걸리면서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회전방지부(240)의 회전방지부재(244)가 연장부재(242)를 통해 가이드축부재(234)와 이격된 상태로 가이드홀부(23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보조사다리부(220)는 메인사다리부(210)에서 회전이 방지된다.
이런 상태에서, 대피자는 메인사다리부(210)의 메인디딤부재(214)와 보조사다리부(220)의 보조디딤부재(224)을 밟고 아래층으로 피난(대피)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사다리장치는, 빌코니 난간의 외측에 마련된 피난공간부의 바닥부에 사다리부를 구비하여 발코니를 통해 피난공간부로 진입한 대피자가 사다리부를 하측으로 펼쳐주므로 화재 등 위험상황으로부터 기준층에서 아래층으로 안전한 피난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속부를 이용하여 피난공간부의 바닥부에서 당겨주기만 하면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사다리부를 간편하게 하측으로 펼쳐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사다리부를 메인사다리부에서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펼쳐줌으로써, 공간의 제약 없이 사다리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방지부를 이용하여 메인사다리부에서 보조사다리부가 펼쳐진 후 대피자가 밟고 내려올 때 보조사다리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발코니 난간 100 : 피난공간부
110 : 바닥부 120 : 측면부
130 : 개폐부 140 : 개방부
150 : 힌지부 160 : 개폐도어
170 : 잠금해제부 171 : 삽입홀부
172 : 이동축부재 173 : 안내부재
174 : 손잡이부재 175 : 이탈방지턱부
176 : 슬롯홀부 177 : 탄성부재
200 : 사다리부 210 : 메인사다리부
212 : 메인지지부재 214 : 메인디딤부재
220 : 보조사다리부 222 : 보조지지부재
224 : 보조디딤부재 230 : 가이드부
232 : 가이드홀부 234 : 가이드축부재
236 : 이동제한부 240 : 회전방지부
242 : 연장부재 244 : 회전방지부재
300 : 구속부 310 : 고정홀부
320 : 끼움홀부 330 : 구속부재

Claims (10)

  1. 발코니 난간을 거쳐 대피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는 피난공간부;
    상기 피난공간부에 구비되어 하측으로 펼쳐지는 사다리부; 및
    상기 사다리부를 상기 피난공간부에서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사다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공간부는,
    상기 발코니 난간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평상시 물품을 안치하거나, 비상시 대피자가 대피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 배치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사다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말코니 난간에는 상기 피난공간부의 대피공간으로 이동할 때 개폐되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사다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베란다 난간에 상기 피난공간부와 연통되도록 개방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개방부의 양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사다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잠금해제부에 의해 베란다 난간에서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사다리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부는,
    상기 피난공간부의 바닥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사다리부;
    상기 메인사다리부에서 가이드 이동되어 펼쳐지는 보조사다리부; 및
    상기 메인사다리부와 상기 보조사다리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인사다리부에서 상기 보조사다리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아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사다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사다리부는,
    상기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한 쌍 배치되는 메인지지부재; 및
    상기 메인지지부재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메인디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사다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사다리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재의 내측에 한 쌍 배치되는 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보조지지부재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조디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사다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부;
    상기 가이드홀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보조지지부재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이드축부재; 및
    상기 가이드홀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축부재의 히측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사다리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한 쌍의 상기 메인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홀부;
    상기 고정홀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끼움홀부; 및
    상기 끼움홀부를 통해 상기 고정홀부에 끼워지거나 분리되어 상기 사다리부를 상기 바닥부에서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사다리장치.
KR1020180108072A 2018-09-11 2018-09-11 피난용 사다리장치 KR102193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72A KR102193098B1 (ko) 2018-09-11 2018-09-11 피난용 사다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72A KR102193098B1 (ko) 2018-09-11 2018-09-11 피난용 사다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709A true KR20200029709A (ko) 2020-03-19
KR102193098B1 KR102193098B1 (ko) 2020-12-28

Family

ID=6995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072A KR102193098B1 (ko) 2018-09-11 2018-09-11 피난용 사다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0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9928A (zh) * 2021-07-26 2021-10-22 广东善建建设股份有限公司 装配式建筑的安装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198009A (zh) * 2021-12-16 2022-03-18 常德市境宏金属结构有限责任公司 一种折叠式易于逃生的铝合金门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80B1 (ko) * 2004-12-07 2006-08-21 박용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20070060646A (ko) * 2005-12-09 2007-06-13 이재훈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110107684A (ko) * 2010-03-25 2011-10-04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안전한 이삿짐 운반을 위한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80B1 (ko) * 2004-12-07 2006-08-21 박용문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20070060646A (ko) * 2005-12-09 2007-06-13 이재훈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110107684A (ko) * 2010-03-25 2011-10-04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안전한 이삿짐 운반을 위한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9928A (zh) * 2021-07-26 2021-10-22 广东善建建设股份有限公司 装配式建筑的安装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529928B (zh) * 2021-07-26 2022-08-23 广东善建建设股份有限公司 装配式建筑的安装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198009A (zh) * 2021-12-16 2022-03-18 常德市境宏金属结构有限责任公司 一种折叠式易于逃生的铝合金门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098B1 (ko) 202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267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0845297B1 (ko)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20200029709A (ko) 피난용 사다리장치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692844B1 (ko)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290693B1 (ko)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0655858B1 (ko) 비상대피를 위한 다층건물의 창문구조
KR10113097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200349394Y1 (ko) 베란다용 피난 사다리
KR102039521B1 (ko) 공공안전사다리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12464A (ko) 화재 대피용 난간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