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968Y1 - 피난용 난간 - Google Patents

피난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968Y1
KR200357968Y1 KR20-2004-0009822U KR20040009822U KR200357968Y1 KR 200357968 Y1 KR200357968 Y1 KR 200357968Y1 KR 20040009822 U KR20040009822 U KR 20040009822U KR 200357968 Y1 KR200357968 Y1 KR 200357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handrail
emergency
railing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식
Original Assignee
배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식 filed Critical 배종식
Priority to KR20-2004-0009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9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06Devices for preventing acce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1Rungs or other treads comprising anti-slip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terally displac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에 사용되는 난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 발코니의 미려한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사다리를 아래로 펼쳐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난용 난간{Rail for escape}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에 적용되는 피난용 난간에 관한것으로, 특히, 특히, 평상시 발코니의 미려한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사다리를 아래로 펼쳐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에는 비상탈출구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 사용할 비상탈출장비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지만, 가옥이나 소형건물에는 이러한 비상탈출구와 비상탈출장비를 구비하고 있지가 않다.
그 결과 소형 상가건물이나 아파트 등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비상탈출 방법이 없어 큰 인명피해를 보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집합적 개인주택인 아파트의 경우에는 대형건물이면서도 소방법상 상용되는 별도의 비상탈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탈출에 따른 문제가 많고, 고가소방사다리를 사용하여도 건물의 상단에 닿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호텔과 같은 대형건물의 경우에 있어서도, 비상탈출구와 비상탈출수단을 구비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사용방법이 널이 알려져 있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비상의 경우에는 이러한 비상탈출기구를 찾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대형피해가 발생하는 현상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265513호에서는 발코니의 난간에 비상시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사다리를 소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종래의 비상사다리는 건물의 발코니(1)에 설치된 난간(2)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게 형성시킨 통로(3)와, 통로(3)의 양쪽 기둥(3a, 3b)에 지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사다리(5) 및, 사다리(5)를 접은 상태에서 난간(2)에 록크시켜 상기 사다리(5)와 난간(2)이 일체의 상태를 이루게 하는 록크기구(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다리(5)는 2개 이상의 부분적인 사다리로 구성되며, 이들 상,하단 사다리(5a,5b)는 힌지축(7)으로 서로 접을 수 있게 연결시킨 절첩식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상,하단 사다리(5a,5b)의 연결구조는 상단 사다리(5a)와 난간(2)의 연결상태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는 바, 예컨대, 상단 사다리(5a)를 발코니(1)의 돌출 선단에 걸려지게 하는 걸림부(10)를 형성시켜, 사다리(5)를 펼쳤을 때 상기 걸림부(10)가 이 발코니(1)에 걸려지게 한 구조에서는, 상기 사다리(5)의 구조를 하단 사다리(5b)를 상단 사다리(5a)의 아래쪽에 배치하여, 상하단 사다리(5a,5b)를 접었을 때 난간(2)에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밀어 부칠 수 있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단 사다리(5a)를 하단사다리(5b)의 아래쪽에 배치한 상태에서 사다리가 지지되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단 사다리(5a)에 브래킷(8)을 고정 설치하고, 이 브래킷(8)에 상기 힌지축(7)을 설치하여 하단 사다리(5b)가 상단사다리(5a)에 대해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시킬 수가 있다.
상기 상하단 사다리(5a,5b)를 브래킷(8)과 힌지축(7)을 통하여 연결시킨 구조로 하면서, 상기 힌지축(7)의 연결지점이 상단 사다리(5a)의 아래쪽 자유단쪽에 설치된 최하측 발판부재(9)의 상단 쪽에 위치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상,하단 사다리(5a,5b)를 펼쳤을 경우에 상단 사다리(5a)의 상기 최하측 발판부재(9)가 하단 사다리(5b)의 양측 세로부재(5b1,5b2)에 닿아 지지되게 함으로써, 펼쳐진 상하단 사다리(5a,5b)가 서로 지지되어지게 함과 더불어, 펼쳐진 상하단 사다리(5a,5b)를 타고 비상 탈출할 때 사다리에 가해지는 사람의 하중을 하단 사다리(5b)가 지지할 수 있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사다리(5)의 상단부에 "ㄱ"자 형으로 꺾여진 걸림부(10)를 형성시켜 둠으로써 사다리를 펼쳤을 때 상기 걸림부(10)가 발코니(1)의 선단에 걸려져 지지되게 할 수가 있는데, 이는 통상 난간(2)이 발코니(1)의 경계턱에 설치될 때 경계턱의 중앙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다리(5)가 펼쳐질 때 사다리(5)의 상단부가 상기 발코니(1)의 경계턱에 걸려져 방해를 받지 않게 함과 더불어, 사다리(5)의 걸림구조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인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절첩식으로 연결되는 상하단 사다리(5a,5b)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결정하면 되는데, 이는 발코니(1)에 설치된 난간(2)의 높이와 사다리(5)를 통하여 연결시키고자 하는 지점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결정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비상사다리를 아파트와 같은 다층 구조의 건물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하나의 난간(2)에 설치된 사다리(5)를펼치면 난간(2)의 하단이 아래층의 난간(11)에 접촉되어지게 하면, 각 층의 난간에 설치된 본 고안의 비상사다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지면위로 내려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사다리(5a,5b)가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하나만의 사다리로 이루어진 비상사다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축(4)을 중심으로 사다리를 접어 올리거나, 안쪽으로 돌려 난간과 일체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난간(2)의 통로(3)를 막아 주게 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록크기구(6)를 사용하여 접혀진 사다리를 록크시키면 난간의 형태로 고정되게 되어, 본 고안의 비상사다리가 설치된 난간을 정상적인 난간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록크기구(6)는 난간(2)에 부착되어 접혀진 사다리(5)가 안쪽으로 넘어지지 않게 받쳐 주는 스토퍼(12)와 접혀진 사다리(5)를 난간(2)의 기둥에 고정시켜 주는 록크핀(13)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펼쳐진 사다리를 접어 올려 스토퍼(12)에 의해 지지되게 한 다음, 상기 록크핀(13)으로 고정시키면 접혀진 사다리(5)가 난간의 형태로 세팅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 등의 비상시에 상기 록크핀(13)을 분리하여 내거나 록크바(21)를 돌려 사다리를 록크상태로부터 해제한 다음, 아래쪽으로 펼쳐 주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비상사다리가 다층 구조에 설치되어 서로 연계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그 높이에 따른 안전을 보장하기위해, 사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안전고리(14)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바, 이 안전고리(14)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다리를 난간의 형태로 접을때 함께 접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사다리(5)와 연결되는 부분이 힌지(15)를 매개하여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다리(5)의 구조에서 하단 사다리(5b)에 안쪽을 향하도록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16)를 설치하여, 다층 구조의 사다리(5)가 펼쳐졌을 때 상기 돌출부재(16)가 아래층 베란다의 유리창을 깨뜨리므로써, 위층에서 화재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아래층에서 간단하게 알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위층의 비상사다리와 아래층의 난간의연결이 용이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비상사다리는 펼쳐진 상태에서는 아래층의 난간을 통하거나 그 자체의 사다리만으로 지면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비상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의 경우에는 간단히 접어 난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코니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구조는 사다리가 난간과는 별개의 구조물로 구비되어 난간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사다리가 장착된 상태의 난간 외관이 미려하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시 록크기구를 해제하여 사다리를 난간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발코니의 바닥면상에 지지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다리 구조물에 의해 차단되었던 난간의 통로가 개방되어 자칫 개방된 통로로 사람이 떨어질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사다리는 복수의 사다리가 서로 접혀있는 구조로서 사다리가 난간과는 별도의 구조물로서 구비되기 때문에, 사다리의 중량으로 인해 비상시 사용자의 사용에도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난간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사다리를 전개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발코니 난간의 외관을 해지치 않도록 하는 피난용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난간 아치부를 돌출부로 이용함과 동시에 난간에 비상용 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는 별도의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평상시나 비상시 사람이 개방된 통로를 통해 떨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용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하나의 사다리를 가지고서 난간상에 슬라이딩 전개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2개의 사다리가 합쳐진 구조물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설치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피난용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난용 난간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다리의 슬라이딩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변경예에 따른 피난용 난간의 시공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발코니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난간체 102 : 통로부
110 : 슬라브 120 : 수직프레임
122 : 가이드 123 : 가이드홈
124 : 걸림돌기 130 : 수평프레임
140 : 돌출부 142,144 : 고리부
145 : 체결공 146 : 록킹핀
150 : 도어 200 : 사다리
220 : 수직레일 230 : 걸림턱
240 : 디딤부 260 : 발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피난용 난간은 개방된 통로부가 형성된 난간체; 상기 통로부가 위치된 상기 난간체에 전방으로 돌출 설치된 돌출부; 상기 통로부가 위치된 상기 난간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사다리; 및 상기 사다리를 상기 난간체에 접은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난간체에는 상기 통로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다리의 하단에는 사용자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발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사다리는 좌,우측에 배치된 수직레일 및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직레일상에 지지되는 다수의 디딤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난용 난간의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다리의 슬라이딩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피난용 난간은 난간체(100)와, 상기 난간체(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다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난간체(100)는 중앙부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개방된 통로부(102)가 형성되고, 이 통로부(102)측 전방에는 아치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돌출부(140)가 가이드(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40)는 난간체(100)의 미려한 외관의 역할을 담당함과 동시에 비상시에는 사람이 사다리(200)를 통해 탈출할 경우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대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난간체(100)는 종래의 난간체에 일반적으로 형성된 아치형 구조를 돌출부(140)로 이용하기 때문에 난간체(100)의 외관이 복잡해지지 않는다.
한편, 상기 난간체(100)에는 상기 통로부(102)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5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50)는 일측이 수직프레임(120)과 슬라브(110) 사이에 힌지 고정되어 회동 개폐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도어(150)의 타측에는 통로부(102)를 폐쇄한 상태에서 수평 프레임(130)상에 록킹시킬 수 있는 소정의 록킹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다리(200)는 돌출부(140)가 지지되는 양쪽 가이드(122)상에 결합되는 수직레일(220)과, 상기 돌출부(140)와 동일한 형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직레일상(220)에 지지되는 다수의 디딤부(240), 및 상기 디딤부(240)측 양쪽 가이드(122) 사이에 지지되는 다수의 수평바아(도면부호 생략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평상시 상기 사다리(2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디딤부(240)가 상기 돌출부(14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상기 디딤부(240)의 크기는 상기 돌출부(140)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평상시 사다리(200)가 접혀진 상태에서 디딤부(240)가 돌출부(140)에 의해 가려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난간체(100)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사다리(200)를 상기 수평바아가 배제된 상기 수직레일(220)과 디딤부(240)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사다리(200)의 전체적인 무게가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상기 디딤부(240)는 탈출시 사용자가 사다리(200)의 안쪽에서 딛고 내려갈 수 있는 기능과 함께 난간체(100)의 돌출부(140)와 동일한 추락방지 안전보호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122)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가이드홈(123)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23)을 따라 사다리(200)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개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사다리(200)가 가이드(122)에 대해 소정의 위치만큼 내려간 후에 위치가 고정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122)에 구비된 가이드홈(123)의 위쪽 및 아래쪽에 각각 걸림돌기(124)를 형성시켜 두고, 상기 걸림돌기(124)에 사다리(200)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턱(210)이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122)의 상단에는 록킹핀(146)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145)이 형성되며, 사다리(2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사다리(200)의 걸림턱(230) 저면부가 록킹핀(146)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다리(200)의 하단에는 별도의 발판(260)을 형성되어 비상시에 사다리(200)를 통해 내려온 사용자가 발판(260)을 디디고 아래층으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 사다리(200)는 난간체(100)의 돌출부(140) 안쪽으로 접혀진 상태로 되어 있으며 난간체(100)의 통로부(102)는 도어(150)에 의해 폐쇄된 채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주의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난간체(100)의 통로부(102)에 접근하여 자칫 추락하게 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게, 본 고안의 난간은 일반적인 난간체에 형성된 아치형상 구조를 돌출부(140)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별도의 구조물로 구비되던 것과 비교하여 난간의 외관 구조가 복잡하지 않다.
한편, 건물에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탈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도어(150)의 록킹장치(미도시)를 해제하여 개방한 다음 록킹핀(146)을 해제하여 사다리(200)를 아래로 내리게 된다.
이때, 사다리(200)는 가이드(122)에 형성된 가이드홈(123)를 따라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하방으로 전개되고 사용자는 전개된 사다리(200)를 타고 내려와 아래층으로 대피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난간체(100) 및 사다리(200)에 형성된 돌출부(140)와 디딤부(240)는사용자가 사다리(200)를 통해 아래층으로 탈출하는 과정에서 부주의에 의해 외부로 추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사다리(200)의 하단에 발판(260)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사다리(200)를 타고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 상기 발판(260)을 디디고 아래층으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서는 아치 구조가 형성된 난간체에 사다리가 접목된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일반적인 일자형 난간체에 사다리를 시공하여 유사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난용 난간의 변경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일자형 난간체상에 사다리가 시공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경예에서는 가이드(122)와 이에 지지되는 다수의 돌출부(140)로 이루어진 구조물 내부에 상술한 일실시 예에서 보여진 사다리(200)가 슬라이딩식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의 사다리체가 별도 구비된다.
이 사다리체는 외측 상,하부 돌출부(140)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고리부(142)(1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부(142)(144)는 각각 수평프레임(130)과 수직프레임(120)상에 용접 등의 고정방법을 통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사다리체가 난간체(100)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측 고리부(142) 사이에 위치된 수평프레임(130)을 절개하여 떼어내면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같은 난간체(100) 형태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절개로 인해 발생된 공간부, 즉, 통로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도어를 마련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일반적인 난간체에 형성된 아치구조를 최대한 활용하여 비상시 안전 탈출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 구조물 설치에 따른 복잡한 구조를 개선할 수 있고 난간의 외관미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난간체에 돌출부와 통로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평상시 주의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통로부에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사다리를 이용한 비상 탈출시에도 사람이 부주의에 의해 추락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비상시 사다리를 전개시킬 경우 록킹핀을 해제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사다리의 전개가 용이하고, 종래 처럼 2개의 사다리가 합쳐진 무거운 구조물을 사용자가 직접 분리하여 발코니에 지지한 후 사용해야만 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사다리의 하단에 발판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사다리를 타고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 발판을 디디고 아래층으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다섯째, 상기 사다리를 수직레일과, 수직레일에 지지되는 돌출부 형상의 다수의 디딤부로 구성함으로써, 평상시 사다리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디딤부가 돌출부 안쪽에 가려지기 때문에 난간체의 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출시 사용자는 상기 디딤부만을 딛고서도 탈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평바아의 배제에 따른 사다리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게, 상기 디딤부는 난간체의 돌출부와 함께 안전보호대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탈출시 사용자가 부주의에 의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개방된 통로부가 형성된 난간체;
    상기 통로부가 위치된 상기 난간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
    상기 통로부가 위치된 상기 난간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사다리; 및
    상기 사다리를 상기 난간체에 접은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체에는 상기 통로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난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의 하단에는 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난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는 좌,우측에 배치된 수직레일과,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직레일상에 지지되는 다수의 디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난간.
KR20-2004-0009822U 2004-04-09 2004-04-09 피난용 난간 KR200357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22U KR200357968Y1 (ko) 2004-04-09 2004-04-09 피난용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22U KR200357968Y1 (ko) 2004-04-09 2004-04-09 피난용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968Y1 true KR200357968Y1 (ko) 2004-08-02

Family

ID=4934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822U KR200357968Y1 (ko) 2004-04-09 2004-04-09 피난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968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81B1 (ko) 2007-01-10 2007-06-07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0845297B1 (ko) 2007-06-28 2008-07-10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KR100870141B1 (ko) * 2007-02-07 2008-11-24 임장빈 피신용 곤돌라
KR100950095B1 (ko) 2009-10-22 2010-03-31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030286B1 (ko) 2009-07-03 2011-04-19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WO2011111998A2 (ko) * 2010-03-12 2011-09-15 Park Ki-Han 건물의 베란다에 설치되어 보안장치가 구비된 화재 대피용 계단
KR101159646B1 (ko) * 2010-01-14 2012-06-26 마루기건 주식회사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KR102011442B1 (ko) * 2019-04-25 2019-08-16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81B1 (ko) 2007-01-10 2007-06-07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0870141B1 (ko) * 2007-02-07 2008-11-24 임장빈 피신용 곤돌라
KR100845297B1 (ko) 2007-06-28 2008-07-10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KR101030286B1 (ko) 2009-07-03 2011-04-19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0950095B1 (ko) 2009-10-22 2010-03-31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159646B1 (ko) * 2010-01-14 2012-06-26 마루기건 주식회사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WO2011111998A2 (ko) * 2010-03-12 2011-09-15 Park Ki-Han 건물의 베란다에 설치되어 보안장치가 구비된 화재 대피용 계단
WO2011111998A3 (ko) * 2010-03-12 2012-04-19 Park Ki-Han 건물의 베란다에 설치되어 보안장치가 구비된 화재 대피용 계단
KR102011442B1 (ko) * 2019-04-25 2019-08-16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난간의 보강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EP1666100A2 (en) Rescue cage
KR20100138585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0965536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0610310B1 (ko) 비상사다리가 장착되는 베란다 난간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322422B1 (ko)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20110084639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265513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0905490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20100138588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141292B1 (ko) 화재 발생시 구난 사다리로 변형되는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