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771A -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771A
KR20200028771A KR1020180107348A KR20180107348A KR20200028771A KR 20200028771 A KR20200028771 A KR 20200028771A KR 1020180107348 A KR1020180107348 A KR 1020180107348A KR 20180107348 A KR20180107348 A KR 20180107348A KR 20200028771 A KR20200028771 A KR 20200028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area
user
electronic devi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863B1 (ko
Inventor
허창룡
이기혁
조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863B1/ko
Priority to US17/250,813 priority patent/US11416080B2/en
Priority to PCT/KR2019/011442 priority patent/WO2020050636A1/ko
Publication of KR2020002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06K9/0033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assification, e.g. of video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문서는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거리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가 상기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USER GESTURES BASED ON USER INTENTION}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유효한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 명령을 입력 하기 위하여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를 휴대하거나 착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 장치가 사용자가 수행하는 모든 제스처를 명령으로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제스처도 명령으로 인식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참조 지점을 미리 설정하고, 참조 지점 주변의 일정 범위 내에서 발생한 사용자의 제스처만을 명령으로 인식하는 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특정 참조 지점에 대한 인식이 없는 상태에서는 전자 장치의 제스처 인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특정 영역 혹은 객체를 참조 지점으로 고정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 신체 및 주변 상황의 변화에 맞게 제스처 인식 영역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없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거리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가 상기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거리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가 상기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 또는 감지된 제스처의 특징에 기반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제스처만을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및 사용자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스처 감지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별로 적합한 제스처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의도를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스처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에 따른 제스처 인식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유효한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사용자 간의 제스처 인식 상황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결정한 제스처 영역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결정한 제스처 영역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스처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별로 적합하게 결정된 제스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결정된 제스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사용자 및 외부 장치간에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통해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스처를 구분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의 속도에 기초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행동 모듈(163),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행동 모듈(163)은 표정 변화 표현, 자세 표현 또는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행동 모듈(163)은 얼굴 표정 모터, 자세 표현 모터 또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얼굴 표정 모터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이동 및 다른 구성 요소를 기구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구동부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 하, 좌/우 또는 시계/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구동부는, 예를 들면, 구동 모터(예: 휠(wheel)형 바퀴, 구(sphere)형 바퀴, 무한궤도(continuous track) 또는 프로펠러)를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2D 카메라(182) 또는 적외선 기반의 depth 카메라(18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는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지능형 프레임워크(Intelligent Framework) 또는 내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조 시에 전자 장치에 프리로드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 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2 또는 103), 또는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리소스들(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의 관리(예: 할당 또는 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행동 모듈(163),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Middleware)는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검출하고 추적하거나 얼굴 인식을 통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미들웨어는 사용자의 3D 제스처를 인식, 오디오 신호에 대한 입력 위치 추적(DOA, Direct of Arrival), 음성 인식 및 각종 센서 데이터들의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미들웨어는, 예를 들면, 제스처 인식 매니저, 얼굴 검출/추적/인식 매니저, 센서 정보 처리 매니저, 대화 엔진 매니저, 음성 합성 매니저, 음원 추적 매니저, 또는 음성 인식 매니저를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프레임워크는, 예를 들면, 멀티모달 융합 블록, 사용자 패턴 학습 블록, 또는 행동 제어 블록(Behavior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모달 융합 블록은, 예를 들면, 미들웨어에서 처리된 각종 정보를 취합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 패턴 학습 블록은, 예를 들면, 멀티모달 융합 블록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 선호도 등의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고 학습할 수 있다. 행동 제어 블록은, 예를 즐면,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정보를 움직임, 그래픽(UI/UX), 빛, 음성 응답, 또는 소리로 표현할 수 있다.
내부 저장소(Internal Storage)는, 예를 들면, 사용자 모델 DB, 행동 모델 DB, 또는 음성 모델 D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모델 DB는, 예를 들면, 지능형 프레임워크에서 학습한 정보를 사용자 별로 저장할 수 있다. 행동 모델 DB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행동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DB에 저장된 정보들은,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 DB(예: 클라우드(cloud))에 저장되거나 공유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에 따른 제스처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동작 301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센서는,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적외선(infra-red, IR) 센서, 생체 센서, 3차원 심도 센서(3D depth sensor), 마이크, 카메라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의 센싱 값은 프로세서로 제공되며,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상기 센서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예: 사용자)의 위치 및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는 듀얼 카메라, 360도 카메라, 2D 영상 촬영 카메라(182) 또는 적외선 기반의 depth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 센서는, 예를 들어, 비전 카메라일 수 있다. 3차원 심도 센서는 적외선 기반의 depth 카메라일 수 있다. 3차원 심도 센서는 심도 카메라(184)일 수 있다. 3차원 심도 센서 및 카메라 센서는 카메라 모듈(18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을 수행할 수 있다.
3차원 심도 센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발광부(IR Emitter)와 심도 이미지(Depth image) CMOS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외선 발광부를 통해 송출된 적외선 신호가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오브젝트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프로세서는 동작 301에서 확인한 사용자와의 거리가 지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확인된 거리가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동작 305로 이동하여,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01)가 제1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전자 장치(101)는 제1 제스처 모드 하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확인된 거리가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동작 307로 이동하여,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01)가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전자 장치(101)는 제2 제스처 모드 하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01)와 사용자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스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 지정된 범위 내에 사용자가 위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제스처 모드로, 지정된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제스처를 근거리에서 수행되는 제1 제스처 모드 또는 원거리에서 수행되는 제2 제스처 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예를 들어, 근거리에서 수행되는 제1 제스처 모드(420)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에 터치와 같은 직접적인 입력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는 2D 제스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예를 들어, 원거리에서 수행되는 제2 제스처 모드(430)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가 불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므로 프로세서는 3D 제스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스처 모드를 결정하는 지정된 범위는 전자 장치(101)에 미리 설정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응적(adaptively)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는, 예를 들면, 2D 영상 촬영 카메라 센서 또는 적외선 기반 심도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스처 영역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메모리에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은 제스처 영역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제스처 영역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 전체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골격을 확인하여 관절의 움직임 등을 인식하여 해당 제스처를 입력 명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리키는 동작, 손을 앞/뒤/좌/우로 움직이는 동작, 손으로 삼각형이나 원을 그리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307에서, 프로세서는 감지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된 것에 기초하여 유효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감지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동작 309로 진행하여, 상기 유효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감지된 제스처가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상기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에 대응하는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유효한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3의 동작 307의, 프로세서가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동작 410에서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제스처 영역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위치를 사용자의 중심 축으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중심 축으로부터 지정된 제1 거리(R1)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는 영역을 제1 영역, 지정된 제1 거리(R1)보다 멀리 지정된 제2 거리(R2)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제2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스처 영역은, 예를 들어, 제2 거리(R2)이내의 영역 전체를 의미할 수 있고, 제스처 영역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동작 420에서, 프로세서는 제스처를 감지하고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1 영역에서 제스처가 감지되었는지, 제2 영역에서 제스처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프로세서는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에 기초하여 감지된 제스처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을 지정하여 지정된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제1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는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제2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는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한 경우, 감지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한 경우, 감지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430 이후 도 3의 동작 309로 진행하여, 프로세서는 제스처의 유효 여부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1 영역에서 발생한 제스처는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하고, 제2 영역에서 발생한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와 사용자 간의 제스처 인식 상황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한 제스처에 기초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제스처 감지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제1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지정된 범위 밖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중심 축(520)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제스처 영역에 기초하여 감지된 제스처에 유효 여부를 판단할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위치를 사용자의 중심 축(520)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의 중심 축(520)으로부터 제1 거리(R1)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는 영역을 제1 영역(570), 제1 거리(R1)보다 먼 제2 거리(R2)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며 제1 영역(570)을 제외한 영역을 제2 영역(560)으로 결정할 수 있다. R1 및 R2는 전자 장치(101)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도 있고, 전자 장치(101)가 인식한 사용자의 특징(예: 사용자의 키, 사용자의 신체 구조(예: 팔)의 길이 등)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에 따라, 감지된 제스처의 유효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제2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를 예를 들면, 제1 영역(570)에서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된 경우,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고, 제2 영역(560)에서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된 경우,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한 경우, 감지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한 경우, 감지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R1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스처 중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가 발생하는 영역의 반경으로, R2는 사용자가 제스처를 행할 수 있는 최대 범위 반경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제스처 영역 중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는 영역은 R1을 반경으로 하는 제1 경계(550)와 R2를 반경으로 형성되는 제2 경계(540)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스처 영역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스처를 행할 수 있는 최대 반경 범위(R2)이내의 영역 전체를 의미할 수 있고, 제스처 영역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제1 영역(570) 및 제2 영역(560)을 원형과 원기둥 형태로 표현 하였으나, 제1 영역(570) 및 제2 영역(560)은 구(sphere), 타원, 반원 등 다양한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 형태로 제1 영역(570)과 제2 영역(560)이 결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중심 축(520)이 아닌 중심 점(예: 사용자의 머리)을 설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제스처를 근거리(581)에서 수행되는 제1 제스처 모드 또는 원거리(583)에서 수행되는 제2 제스처 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예를 들어, 근거리(581)에서 수행되는 제1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에 터치와 같은 직접적인 입력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는 터치 모드 또는 2D 제스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예를 들어, 원거리(583)에서 수행되는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가 불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므로 프로세서는 3D 제스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모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지 여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스처 모드를 결정하는 지정된 범위는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응적(adaptively)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사용자 간의 거리(530, D)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와 사용자 간의 거리(5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중심 축(510)으로부터 사용자의 중심 축(520)까지의 직선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R2를 사용자가 제스처를 행할 수 있는 최대 범위 반경으로, R1을 사용자의 다양한 제스처 중 유효하지 않는 제스처가 발생하는 영역의 반경으로 설정하여 제스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스처 모드를 결정하는 기준인 지정된 범위를, 제2 영역 반경인 제2 거리(R2)에 기초하여 사용자 적응적(adaptively)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와 사용자 간의 거리(530, D)가 최대 범위 반경 R2보다 짧은 경우(D
Figure pat00001
R2, 사용자가 범위 581 내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1 제스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만을 수신하거나, 2D 제스처 영역을 결정하고, 2D 제스처 영역별로 특정 유효성을 갖는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와 사용자 간의 거리(D)가 최대 범위 반경 R2보다 긴 경우(D
Figure pat00002
R2, 사용자가 범위 583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예를 들어, 3D 제스처 영역을 결정하고 3D 제스처 영역별로 감지된 제스처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스처 모드와 제2 제스처 모드를 구분하기 위한 변환 지점은 (D - R2)로 정의 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결정한 제스처 영역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점(610)으로 하여 기준점으로부터 제1 거리(R1)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 하는 제1 영역(620)에서 발생한 사용자의 제스처는 프로세서가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620)에서 발생하는 사용자가 턱을 받치는 제스처(620a), 사용자가 머리를 긁는 제스처(620b), 사용자가 머리에 손가락을 대고 생각하는 제스처(620c) 등의 제스처는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동작일 뿐,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의도된 유효한 제스처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1 영역(620) 내에서 발생한 제스처의 경우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판단하여 필터링 할 수 있다.
제2 거리(R2)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고 제1 영역(620)을 포함하지 않는 제2 영역(630)에서 발생한 사용자의 제스처는 프로세서가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630)에서 발생하는 사용자가 팔로 가리키는 제스처(630a). 사용자가 손으로 넘기는 제스처(630b), 사용자가 두 손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제스처(630c) 등의 제스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할 의도가 있는 것이므로 유효한 제스처 명령으로 판단해야 한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2 영역(630) 내에서 발생한 제스처의 경우 유효한 제스처로 판단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제2 거리(R2)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가적인 물체(예: 지휘봉 등)를 손으로 들고 있다고 인식한 경우, 프로세서는 해당 길이(
Figure pat00003
R2)를 고려하여 R2를 R2+
Figure pat00004
R2로 확대하고 제2 영역(630)을 빗금 친 영역(640)까지 확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결정한 제스처 영역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했던 내용과는 다르게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스왑(swap)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기준점(710)으로부터 제1 거리(R1)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는 제1 영역(720)에서 인식된 제스처를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고, 제2 거리(R2)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며 제1 영역(720)을 포함하지 않는 제2 영역(730)에서 인식된 제스처를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한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점(7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점(710)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중심 축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예: 사용자의 머리)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예: 소파)를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상기 외부 객체를 기준으로 제스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1 영역(720)에서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영역(730)에서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하지 않는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810, 예: 사용자)으로부터 유효한 제스처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별로 학습된 제스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행하는 제스처 발생 패턴을 학습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별로 제스처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전체 제스처 영역 내에서 사용자로부터 감지된 모든 제스처에 대해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모든 제스처에 대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제스처인지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한 제스처인지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하는 제1 영역(820) 및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는 제2 영역(830)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별로 제1 영역(820) 및 제2 영역(830)의 크기 및 형태가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가 제스처(821) 및 제스처 (823)을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는 제스처(821) 및 제스처(823)이 의도된 제스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를 통해 제스처(821) 및 제스처(823)이 사용자가 의도와 무관한 제스처임을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스처(821) 및 제스처(823)이 발생한 곳이 제1 영역에 포함되도록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가 제스처(831)을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는 제스처(831)이 의도된 제스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를 통해 제스처(831)이 사용자가 의도한 제스처임을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스처(831)이 발생한 곳이 제2 영역에 포함되도록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제스처를 행할 수 있는 최대 범위 반경(R2) 내의 영역을 전체 제스처 영역으로 결정하고, 전체 제스처 영역 내에서 감지된 모든 사용자 제스처에 대해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발생 패턴을 학습하고, 사용자의 제스처 발생 패턴에 기초하여, 제1 영역(820)과 제2 영역(830)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지정된 거리에 따라 제1 영역(820) 및 제2 영역(830)을 결정한 후, 제1 영역(820) 및 제2 영역(83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해서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제스처 패턴을 학습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1 영역(820) 및 제2 영역(830)을 변경하여 다시 결정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제스처 영역 내의 제1 영역(820) 및 제2 영역(830)의 크기 및 형태를 사용자 별로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결정된 제스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예: 키, 신체 구조의 길이, 나이, 신체적 장애 유무 등)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맞는 제스처 영역을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인식한 정보를 기초로 프로세서가 판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스처 영역의 위치와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스처 영역을 몸 전체(911)로 설정할 수도 있고, 상체(921) 또는 하체(923)만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머리(931), 팔(933, 935) 또는 다리(937, 939) 만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양 손(941, 943)만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도 제스처 인식 영역의 위치와 사이즈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사용자 및 외부 장치간에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1020)는 전자 장치(1010)를 통해 주변에 위치한 외부 장치(10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0)는, 예를 들어 주변에 위치한 외부 장치(1030)와 페어링(pairing)될 수 있고, 사용자(1020)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특정 명령 커맨드를 외부 장치(1030)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0)는, 예를 들어, 사용자(1020)의 시야(field of view)를 확인하고 시야각 내에 위치한 외부 장치(1030)를 명령 커맨드 전달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0)는 사용자(1020)의 위치 및/또는 신체 특징을 기반으로 제스처 영역(1040)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10에서,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로부터 실행 중인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란, 예를 들면,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모드, 게임 등을 플레이하는 플레이 모드, 사용자 설정을 하는 세팅 모드 또는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140에서, 프로세서는 수신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스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컨텐츠 별로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을 다르게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통해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1030)가 제공하는 컨텐츠에 따라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을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1030)로부터 수신한 실행 중인 컨텐츠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은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2의 상측은 시간에 따른 컨텐츠 모드의 변화 및 그에 따른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2의 하측은 외부 장치(1030)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별로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을 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1201에서, 예를 들어, 게임 컨텐츠가 실행되면 외부 장치(1030)는 메뉴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메뉴 모드 같은 컨텐츠의 경우, 복잡하지 않고 사용자의 입력이 민감하게 입력되지 않아도 되므로, 프로세서는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을 사용자의 오른손 주변(1211)으로만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오른손의 움직임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거나, 오른손의 손가락의 움직임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중심 축으로부터 오른쪽에서 감지된 제스처만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도록 설정하거나 사용자의 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영역에서 감지된 오른손의 움직임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1203에서, 예를 들어, 외부 장치(1030)에서 게임이 실행되어 플레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플레이 모드의 경우, 보다 정밀하고 다양한 입력이 요구되므로,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상체 전부(1221)를 제스처가 감지되는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중심 축으로 삼아 허리 윗부분을 제스처가 감지되는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1205에서, 예를 들어, 외부 장치(1030)는 사용자 설정을 하는 세팅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세팅 모드의 경우 메뉴 모드와 같이 정밀한 입력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는 오른손 주변(1231)만을 제스처가 감지되는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1209에서, 예를 들어, 외부 장치(1030)는 광고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광고 모드의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제스처 영역(1241) 및 오른손을 중심으로 하는 제2 제스처 영역(1243)으로 나누어 동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 얼굴 주변의 제1 제스처 영역에서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1 제스처(예: 부가기능 제공 요청)로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 오른손 주변의 제2 제스처 영역에서 제스처가 감지 되면 제2 제스처(예: 채널 변경 요청)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3a 및 1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기준축(1310)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고, 제스처의 기준축(1310)에 대한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 및 제스처의 방향에 기초하여 감지된 제스처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이 기준축으로부터 위치한 방향 및 감지된 제스처의 방향을 비교하여 감지된 제스처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좌측 혹은 우측의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의 제스처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제스처가 반복적으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스처 감지 영역별로 특정 방향의 제스처에 대해서만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기준 축(1310)을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축(1310)은, 예를 들면,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수직축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준 축(1310)을 중심으로 제스처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기준 축(1310)으로부터 기준 축(1310)에 수직한 제1 방향(1320)에 위치한 제3 영역과, 기준 축(1310)으로부터 제1 방향(1320)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1330)에 위치한 제4 영역으로 구분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기준 축(1310)으로부터 제1 방향(1320)에 위치한 제3 영역에서, 제1 방향(1320) 및 제2 방향(1330)으로 각각 3번씩 반복되는 사용자 제스처(1321)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의 제스처 및 제2 방향의 제스처가 반복적으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3 영역 내에서 제1 방향으로 감지된 제스처(1323)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준 축(1310)으로부터 제2 방향(1330)에 위치한 제4 영역에서, 제1 방향(1320) 및 제2 방향(1330)으로 각각 3번씩 반복되는 사용자 제스처(1333)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4 영역 내에서 제2 방향(1330)으로 감지된 제스처(1333)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기준 축(1350)을 설정할 수 있고, 기준 축(1350)은, 예를 들면,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수평축일 수 있다.
도 13a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기준 축(1350)으로부터 제3 방향(1360)에 위치한 영역에서 방향이 반복되는 복수의 제스처(1361)가 감지되는 경우, 제3 방향(1360)으로 발생한 제스처(1363)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기준 축(1350)으로부터 제4 방향(1370)에 위치한 영역에서 사용자의 반복되는 제스처(1371)가 감지되는 경우, 제4 방향(1370)으로 발생한 제스처(1373)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작 1410에서,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점으로 하여 지정된 제 1거리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지정된 제1 거리보다 먼 지정된 제2 거리 이내의 주변 공간은 포함하며 제1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제2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420에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430에서, 프로세서는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 및 감지된 제스처의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440에서, 프로세서는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 및 제스처의 속도에 기초하여 감지된 제스처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스처의 영역별로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하게 인식하는 속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에서는, 제스처의 속도가 설정된 기준(threshold) 값을 초과하는 제1 속도인 경우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고, 발생 속도가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제2 속도인 경우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에서는, 제스처의 속도가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제2 속도인 경우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고, 속도가 제1 속도인 경우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에서는 제스처의 속도가 제1 속도 및 제2 속도 모두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도 있다.
동작 1450에서, 프로세서는 제스처의 유효 여부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의 속도에 기초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 및 제스처 속도에 기초하여 제스처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4와는 다르게 제스처 영역을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도 1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앞에서 설명한 제1, 제2, 제3 영역과는 별개의 내용이며,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용어를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제3 영역은 지정된 제2 거리(1530)보다 먼 지정된 제3 거리(1540)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포함하지 않는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점으로 설정하여, 제1 영역은 머리에서 어깨까지의 거리(1520), 제2 영역은 어깨에서 팔꿈치까지의 거리(1530) 및 제3 영역은 팔꿈치에서 손끝까지의 거리(1540)로 지정할 수 있다.
도 15의 우측 그래프는, 감지된 제스처를 트래킹하여 산출한 시간에 따른 제스처의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전자 장치는 제스처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트래킹할 수 있다. 제1 영역에서 발생한 제스처의 경우, 예를 들어, 발생 속도가 제2 기준 값(1560)을 초과하는 경우(제1 속도(1521))에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스처의 발생 속도가 제2 기준 값(1560) 이하인 경우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에서는 제스처의 발생 속도가 제2 기준 값(1560)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제2 영역에서 발생한 제스처의 경우, 예를 들어, 발생 속도가 제1 기준 값(1550)을 초과하고 제2 기준 값(1560) 이하인 경우(제2 속도(1531))에만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고, 발생 속도가 제2 기준 값(1560)을 초과하거나 제1 쓰레스홀드 값(1550) 이하인 경우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영역에서는 제스처의 발생 속도가 제1 기준 값(1550)을 초과하고 제2 기준 값(1560) 이하인 경우에만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제3 영역에서 발생한 제스처의 경우, 예를 들어, 발생 속도가 제1 기준 값(1550) 이하인 경우(제3 속도(1541))에만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고, 제1 기준 값(1550)을 초과하는 경우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영역에서는 제스처의 발생 속도가 제1 기준 값(1550) 이하인 경우에만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스처 영역별로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른 제스처만을 인식하도록 한 경우,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 유효한 제스처를 인식한 것에 대응하여 줌 인/줌 아웃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영역에서 속도가 중간인 제스처만을 인식하도록 한 경우,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 유효한 제스처를 인식한 것에 대응하여 5줄 단위의 스크롤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제3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제스처만을 인식하도록 한 경우,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 유효한 제스처를 인식한 것에 대응하여 페이지 단위의 스크롤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스처 영역별로 속도의 변화, 즉 가속도를 인식하여 입력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제스처가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스처의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에만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에서는 제3 속도(제1 기준 값(1550) 이하)가 감지되고, 제2 영역에서는 제2 속도(제1 기준 값(1550) 초과 제2 기준 값(1560) 이하)가 감지되며, 제3 영역에서는 제1 속도(제2 기준 값(1560) 초과)가 감지되는 경우 기준점에서 멀어질수록 속도가 빨라진 것이므로 이 경우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의 속도 차이에 기초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을 스크롤 하는 경우, 제1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의 속도와 제2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의 속도의 차이가 0.1m/s인 경우 1페이지 스크롤을 제공하고, 차이가 0.5m/s인 경우 10페이지 스크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각각의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스처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1 사용자(1612)의 위치에 기반하여 기준점(1601)을 설정하여 제스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1612)의 머리를 기준점으로 하여 거리에 따라 제5 영역, 제6 영역 및 제7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거리에 따라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5, 제6 및 제7 영역은 앞의 다른 도면에서 설명한 내용과는 별개의 내용이며, 단순히 본 실시예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서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각각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스처만을 인식할 수도 있고, 각각을 서로 다른 제스처로 인식할 수도 있다. 우선 순위는 영역 별로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증 방법, 전자 장치와 복수의 사용자 간의 거리 및 전자 장치의 시야각(field of view, FOV) 중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사용자의 얼굴 인식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의 얼굴 인식 정보를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한 경우,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된 사용자를 제1 사용자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복수의 사용자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와 복수의 사용자와의 각각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중 전자 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사용자를 제1 사용자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시야각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시야각에서 가장 중앙에 위치한 사람을 제1 사용자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아닌 외부 객체(예: 소파)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스처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시야각 내의 외부 객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외부 객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스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를 기준점으로 하여 거리에 따라 제5 영역 및 제6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및 제6 영역은 앞의 다른 도면에서 설명한 내용과는 별개의 내용이며, 단순히 본 실시예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서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에 따라, 감지된 제스처의 유효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5 영역 및 제6 영역 중 지정된 하나의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5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고, 제6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를 유효하지 않은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기준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외부 객체(예: 소파)를 제1 기준 오브젝트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거리에 따라 제스처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얼굴을 제2 기준 오브젝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실제 제스처가 입력되는 위치와 무관하게 제2 기준 오브젝트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제스처를 구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제1 사용자(1612)의 얼굴이 제5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사용자(1612)로부터 감지된 제스처는 제1 분류로, 제2 사용자(1622)의 얼굴이 제6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사용자(1622)로부터 감지된 제스처는 제2 분류로, 제3 사용자(1632)의 얼굴이 제7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3 사용자(1632)로부터 감지된 제스처는 제3 분류로 구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동시에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각 분류 별로 감지된 제스처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높은 제스처를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5 영역에서 제1 사용자로부터 감지된 제스처를, 제6 영역에서 제2 사용자로부터 감지된 제스처보다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동시에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각 영역에서 입력된 복수 개의 제스처는 각각 독립된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오브젝트는 영상 인식 및 depth map을 통해 미리 지정할 수도 있고 전자 장치와의 전기적 통신을 통해 위치를 인식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지능형 전자 장치(Intelligent device, Robot)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거리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가 상기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스처를 감지하는 동작의 일부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에서 제1 거리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 이내의 주변 공간은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포함하지 않는 제2 영역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지정된 하나의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제2 영역을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를 감지한 것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스처를 감지하는 동작의 일부로,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 경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실행 중인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스처를 감지하는 동작의 일부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위치에 기반하여 기준 축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축으로부터 상기 기준 축에 수직한 제1 방향에 위치한 제3 영역 및 상기 기준 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한 제4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 중 제1 방향의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고, 상기 제4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 중 제2 방향의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는 전자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한 후, 상기 제1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의 속도가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의 속도가 상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과 지정된 거리 이내의 외부 객체를 감지하고, 상기 외부 객체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상기 위치에서 제3 거리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는 제5 영역, 및 상기 외부 객체의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제3 거리보다 먼 제4 거리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5 영역은 포함하지 않는 제6 영역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5 영역 및 상기 제6 영역 중 지정된 하나의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기준점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제스처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거리가 지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가 상기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스처를 감지하는 동작의 일부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에서 제1 거리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 이내의 주변 공간은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포함하지 않는 제2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지정된 하나의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제2 영역을 조정할 수 있는, 동작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를 감지한 것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스처를 감지하는 동작은,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 경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동작;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실행 중인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영역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동작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스처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스처를 감지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위치에 기반하여 기준 축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기준 축으로부터 상기 기준 축에 수직한 제1 방향에 위치한 제3 영역 및 상기 기준 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한 제4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3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 중 제1 방향의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고, 상기 제4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 중 제2 방향의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는 전자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이후, 상기 제1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의 속도가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의 속도가 상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가 감지된 영역과 지정된 거리 이내의 외부 객체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외부 객체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객체의 위치에서 제3 거리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는 제5 영역 및 상기 외부 객체의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제3 거리보다 먼 제4 거리 이내의 주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5 영역은 포함하지 않는 제6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5 영역 및 상기 제6 영역 중 지정된 하나의 영역에서 감지된 제스처만을 유효한 제스처로 인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기준점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제스처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KR1020180107348A 2018-09-07 2018-09-07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258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348A KR102582863B1 (ko) 2018-09-07 2018-09-07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US17/250,813 US11416080B2 (en) 2018-09-07 2019-09-05 User intention-based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PCT/KR2019/011442 WO2020050636A1 (ko) 2018-09-07 2019-09-05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348A KR102582863B1 (ko) 2018-09-07 2018-09-07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771A true KR20200028771A (ko) 2020-03-17
KR102582863B1 KR102582863B1 (ko) 2023-09-27

Family

ID=6972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348A KR102582863B1 (ko) 2018-09-07 2018-09-07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16080B2 (ko)
KR (1) KR102582863B1 (ko)
WO (1) WO202005063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6693A (zh) * 2020-06-09 2020-10-02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智能设备的手势控制方法及装置
WO2021230568A1 (ko) * 2020-05-13 2021-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108001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시야(fov) 가장자리에서 움직임을 인식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8504B (zh) * 2019-10-10 2021-03-23 浙江大学 一种增强现实博物馆协作交互方法与***
US11112875B1 (en) * 2020-03-20 2021-09-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device using hand gestures in multi-user environment
WO2023085847A1 (ko) * 2021-11-15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트리거 이벤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33660A1 (en) * 2022-04-13 2023-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ynamic gesture recognition using mmwave radar
CN115309297A (zh) * 2022-08-11 2022-11-08 天津速越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燃气表的手势感应切换显示界面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5468A (ja) * 2012-01-13 2013-07-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15109111A (ja) * 2015-03-09 2015-06-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ジェスチャ操作入力処理装置、3次元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ジェスチャ操作入力処理方法
KR20160148769A (ko) 2015-06-16 2016-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공간 터치 기능을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2018109874A (ja) * 2017-01-04 2018-07-1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7526B2 (en) * 2000-07-24 2007-06-05 Gesturetek, Inc. Video-based image control system
JP2004299025A (ja) * 2003-04-01 2004-10-28 Honda Motor Co Ltd 移動ロボット制御装置、移動ロボット制御方法及び移動ロボット制御プログラム
US8195220B2 (en) * 2008-02-01 2012-06-05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20100235786A1 (en) 2009-03-13 2010-09-16 Primesense Ltd. Enhanced 3d interfacing for remote devices
JP5527423B2 (ja) * 2010-11-10 2014-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120119440A (ko) * 2011-04-21 2012-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US20120316680A1 (en) * 2011-06-13 2012-12-13 Microsoft Corporation Tracking and following of moving objects by a mobile robot
DE112011105894T5 (de) * 2011-11-30 2014-1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ingabemethode auf der Grundlage eines Standorts einer Handbewegung
US9423877B2 (en) * 2012-02-24 2016-08-23 Amazon Technologies, Inc. Navigation approaches for multi-dimensional input
CN103455137B (zh) * 2012-06-04 2017-04-12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位移感测方法与位移感测装置
KR101978967B1 (ko) 2012-08-01 2019-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스처를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 장치와 제스처 인식 방법
JP2014048936A (ja) * 2012-08-31 2014-03-17 Omron Corp ジェスチャ認識装置、その制御方法、表示機器、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274608B2 (en) * 2012-12-13 2016-03-01 Eyesight Mobile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riggering actions based on touch-free gesture detection
US20140173524A1 (en) * 2012-12-14 2014-06-19 Microsoft Corporation Target and press natural user input
KR101956073B1 (ko) * 2012-12-20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US9747696B2 (en) * 2013-05-17 2017-08-29 Leap Mo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rmalized parameters of motions of objects in three-dimensional space
KR101824921B1 (ko) 2013-06-11 201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 기반 통신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장치
US20150277570A1 (en) * 2014-03-31 2015-10-01 Google Inc. Providing Onscreen Visualizations of Gesture Movements
KR20150130808A (ko) 2014-05-14 2015-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공간 제스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468144B (zh) 2015-11-17 2019-02-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设备控制方法及装置
US10503968B2 (en) * 2016-03-22 2019-12-10 Intel Corporation Identifying a local coordinate system for gesture recognition
JP2017211960A (ja) 2016-05-27 2017-11-30 株式会社エクスビジョン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プログラム
EP3267289B1 (en) * 2016-07-05 2019-02-27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168767B2 (en) * 2016-09-30 2019-01-01 Intel Corporation Interaction mode selection based on detected distance between user and machine interface
US20180188817A1 (en) 2017-01-04 2018-07-05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thod
US10515117B2 (en) * 2017-02-14 2019-12-24 Cisco Technology, Inc. Generating and reviewing motion metadata
US20200012350A1 (en) * 2018-07-08 2020-01-09 Youspac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fined gesture recognition
EP3691277A1 (en) * 2019-01-30 2020-08-05 Ubimax GmbH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of augmenting a video stream of an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5468A (ja) * 2012-01-13 2013-07-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15109111A (ja) * 2015-03-09 2015-06-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ジェスチャ操作入力処理装置、3次元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ジェスチャ操作入力処理方法
KR20160148769A (ko) 2015-06-16 2016-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공간 터치 기능을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2018109874A (ja) * 2017-01-04 2018-07-1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568A1 (ko) * 2020-05-13 2021-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736693A (zh) * 2020-06-09 2020-10-02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智能设备的手势控制方法及装置
CN111736693B (zh) * 2020-06-09 2024-03-22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智能设备的手势控制方法及装置
WO2022108001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시야(fov) 가장자리에서 움직임을 인식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16080B2 (en) 2022-08-16
KR102582863B1 (ko) 2023-09-27
US20210191526A1 (en) 2021-06-24
WO2020050636A1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6080B2 (en) User intention-based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7801413B (zh) 对电子设备进行控制的终端及其处理方法
KR102479052B1 (ko) 복수의 컨트롤러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EP3671549B1 (en) Electronic device for assisting a user during exercise
US116881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haring information on basis of augmented reality
CN113424142A (zh) 用于提供增强现实用户界面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CN113330392B (zh) 用于确定包括多个动作的任务的电子装置和方法
US2023007438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769475B2 (en) Method of identifying objects based on region of interes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200038111A (ko) 전자 장치 및 제스처 인식 방법
KR2020009309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4505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peration thereof
US11455833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cking user activit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2262364A (zh) 用于生成对象的电子装置和***
KR10251840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컨텐트 실행 방법
US1129445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motion of the user
US113631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voice and face on basis of change in camera driving method
US20230244301A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changing input mode and method thereof
KR20210085696A (ko)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119069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US1188918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lenses where the device changes a visual object corresponding to a recommended lens
CN111367492B (zh) 网页页面展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102543656B1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95691A (ko) 밀리미터 웨이브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4343516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on which augmented reality object is displaye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