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249A -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249A
KR20200027249A KR1020180105317A KR20180105317A KR20200027249A KR 20200027249 A KR20200027249 A KR 20200027249A KR 1020180105317 A KR1020180105317 A KR 1020180105317A KR 20180105317 A KR20180105317 A KR 20180105317A KR 20200027249 A KR20200027249 A KR 20200027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bluetooth
bluetooth connection
external devi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811B1 (ko
Inventor
윤석언
김상민
고영석
문영훈
설진
함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811B1/ko
Priority to PCT/KR2019/011343 priority patent/WO2020050596A1/en
Priority to US16/558,744 priority patent/US11212123B2/en
Priority to JP2021537016A priority patent/JP7210745B2/ja
Priority to CN201910834817.1A priority patent/CN110876073B/zh
Priority to EP19195413.0A priority patent/EP3621283B1/en
Priority to EP21152999.5A priority patent/EP3829150B1/en
Publication of KR2020002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249A/ko
Priority to US17/557,240 priority patent/US2022011623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 외부 기기로부터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가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상태로 웨이크업 되도록 동작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METHOD FOR CONTROLLING OF A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본 개시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블루투스 연결을 통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블루투스 연결을 통하여 외부 기기와 사운드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가 널리 이용되면서, 복수개의 전자 기기들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개의 전자 기기들이 서로 연동되어 이용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인 휴대용 기기, 가전 제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가까운 거리 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는 전자 기기는 모바일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기기인 모바일 기기와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미러링 (mirroring) 기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러링은 음향 신호를 공유하기 위한 사운드 미러링(sound mirroring), 화면을 공유하기 위한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욕구 등)를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욕구 중 하나로, 어느 하나의 기기(예를 들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사운드 미러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욕구가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블루투스 스피커와 블루투스 스피커로 음원을 제공하는 소스 기기(예를 들어, 모바일 폰)를 블루투스 연결하고, 블루투스 스피커를 통하여 소스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듣기를 원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정 전자 기기(예를 들어, 모바일 폰)보다 더 높은 음향 재생 품질을 갖는 기기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욕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사용자의 욕구에 부합하도록 더욱 편리하고 빠르게 사운드 미러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 및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 사운드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power off) 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기기간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할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 외부 기기로부터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가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상태로 웨이크업 되도록 동작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에도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무시하지 않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외부 기기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면,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전에 존재하였던 이력에 근거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전에 페어링 되었던 외부 기기와 빠르고 편리하게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백그라운드 파워 온에 대응하는 이유(reason)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접속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유 및 상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블루투스 맥 주소(BT MAC address: Bluetooth MAC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그라운드 파워 온이 수행되면, 상기 백그라운드 파워 온에 대응하는 이유(reason)에 근거하여, 사운드 미러링(sound mirroring)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그라운드 파워 온 된 후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함을써, 블루투스 연결 이전까지는 스크린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되어 사운드 미러링이 개시되기 이전에는 스크린 오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는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되었던 적이 있는 기기에 대한 블루투스 연결 정보인 제1 정보를 저장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온(power on)되어 있을 때 동작하며, 상기 제1 정보를 저장하는 블루투스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기기의 블루투스 연결 정보가 상기 제1 정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외부 기기의 블루투스 연결 정보가 상기 제1 정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wake up)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서 웨이크업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블루투스 모듈이 이전에 적법하게 블루투스 연결을 완료하였던 외부 기기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서 제어부를 웨이크업 시킴으로써, LPM 모드에서도 외부기기에서 수신되는 블루투스 연결 요청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LPM(Low Power Mode) 모드에서 블루투스 연결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블루투스 프로세서는 HCI (Host controller interface) 모드에서 블루투스 연결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외부 기기의 블루투스 연결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wake up)시키고, LPM 모드에서 수행되었던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 해제(disconnect)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프로세서는 HCI 모드에서,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connect)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 해제(disconnect) 된 후 재연결(reconnect)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재연결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서, 외부 기기는 일시적으로 블루투스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것을 블루투스 연결에 있어서의 오류 발생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사운드 미러링(sound mirroring)에 대한 연결 요청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서 웨이크업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완료하고, 자동으로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오디오 전송은 사운드 미러링을 위한 오디오 전송이며,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사운드 미러링을 위한 소스 기기로 동작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운드 미러링을 위한 싱크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파워 오프 상태에 있더라도 외부 기기로부터 수행되는 블루투스 연결 요청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고 후속하여 사운드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피커,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 상기 통신부에서 외부 기기로부터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어부가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상태로 웨이크업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에도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무시하지 않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외부 기기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이전에 존재하였던 이력에 근거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전에 페어링 되었던 외부 기기와 빠르고 편리하게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는 단계; 상기 백그라운드 파워 온에 대응하는 이유(reason) 및 상기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접속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유 및 상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완료하는 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연결을 통하여 자동으로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조작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power off) 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기기간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할 있다.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와 무관하게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사용자의 욕구를 빠르게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기기 간의 사운드 미러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사운드 미러링이 수행될 때,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하는 화면의 예들이 도시된다.
도 3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power off) 된 상태에서 사운드 미러링 수행을 위해 필요한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power off) 된 상태에서 사운드 미러링 수행을 위해 필요한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블루투스 연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내부적으로 생성 및 전송되는 펄스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블루투스 연결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기기 간의 블루투스 연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외부 기기에서 출력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모듈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A와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모든 외부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모든 외부 기기로, TV,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태블릿 PC, 모바일 폰, 모바일 폰,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형뿐만 아니라, 이동 가능하거나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가 전송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규격을 따르는 블루투스 네트워크(bluetooth network)가 될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기기 간의 사운드 미러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은 외부 기기(150)와 블루투스 네트워크(13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블루투스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연결'을 '블루투스 연결'이라 칭하도록 하겠다.
도 1에서는, 외부 기기(150)가 모바일 폰 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15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동되어 미러링 서비스 (mirroring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러링(mirroring)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 중 일 단에서 재생중인 데이터를 다른 일단으로 전송시켜, 싱크 기기(sink device)에서 전송받은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하는 기술을 뜻하며, 미러링 서비스는 이러한 미러링 기술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기를 소스 기기(source device) 또는 마스터 기기(master device)라 칭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제공받는 기기를 싱크 기기(sink device) 또는 클라이언트 기기(client device)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기를 소스 기기라 하고, 데이터를 제공받는 기기를 싱크 기기라 칭하도록 하겠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15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동되어 음향 신호를 전송 및 출력하는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 (sound mirroring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미러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기인 소스 기기는 데이터를 제공받는 기기인 싱크 기기로 소정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을 통하여,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개의 전자 기기들 사이에서 동일한 음원을 공유하여 재생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기기(150)는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음원을 재생하고, 재생되는 음원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블루투스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150)는 음원의 재생 메뉴(16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51)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150)에서 미러링되는 음원의 재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150)와 연결되는 블루투스 스피커(BT speaker: Bluetooth speaker)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외부 기기(150)가 사용자의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운드 미러링(sound mirroring)서비스는 전자 기기들간의 블루투스 통신 표준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에 따라서, 전자 기기들을 검색 및 연결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싱크 기기 및 소스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싱크 기기로 동작하는 싱크 모드(sink mode) 및 소스 기기로 동작하는 소스 모드(source mode)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의 스피커(미도시)와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2DP 소스 모드로 동작한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모바일 폰(예를 들어, 150)과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2DP 싱크 모드로 동작한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2DP 싱크 모드 및 A2DP 소스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으며, 연결되는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적합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기기(150)인 모바일 폰은 블루투스 A2DP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검색 및 연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블루투스 스피커처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2DP sink 로 동작하며, 외부 기기(150)는 A2DP source 로 동작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싱크 기기로 동작하며, 외부 기기(150)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소스 기기로 동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사운드 미러링이 수행될 때,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하는 화면의 예들이 도시된다.
사운드 미러링이 수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링되는 음원의 재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미러링되는 음원의 재생을 나타내는 메뉴(220)가 화면(210)의 전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미러링되는 음원의 재생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User Interface Screen) 자체가 배경 화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미러링되는 음원의 재생을 나타내는 메뉴(260)는 화면(250)의 상단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미러링 되는 음원의 재생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60)이 전체 화면(25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미니 플레이어 UI(mini player UI)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운드 미러링이 수행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150)에서 수신되는 음원의 재생의 대응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power off) 된 상태에서 사운드 미러링 수행을 위해 필요한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 TV 를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TV 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로 모바일 폰(350)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모바일 폰(350)에서 TV(300)에 블루투스 연결을 통하여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하고 할 때, 종래의 TV(300)가 켜져 있을 경우만 모바일 폰(350)과의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하다. 즉, TV(300)가 파워 오프(power off)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바일 폰을 조작하여 TV(300)와 블루투스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TV(300)가 파워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TV(300)는 어떠한 화면도 출력하지 않는 '스크린 오프(screen off)' 상태가 된다. 즉, TV(300)가 파워 오프 상태에 있으면,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블랙 화면(black screen)이 될 수 있다.
종래의 TV(300)는 파워 오프 상태에 있으면, 외부 기기인 모바일 폰(350)으로부터 오디오 전송(예를 들어, 사운드 미러링)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요청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이에 반영하여 어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었다. 즉, TV(300)가 파워 오프 상태에 있으면, 모바일 폰에서 TV(300)에 블루투스 연결을 요청하여도, 이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동작이 진행되지 않았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종래의 파워 오프(power off) 상태에 있는 TV(300)를 이용하여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TV(300)가 파워 온(power on) 되도록 TV(300)를 조작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320)를 이용하여, TV(300)를 파워 온 시킨 후, 모바일 폰(350)을 통하여 파워 온 상태에 있는 TV(300)와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TV(300)가 파워 온 되면, TV(300)는 디스플레이 상으로 소정 화면(330)을 출력하는 '스크린 온(screen on)'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TV(300)가 파워 온 된 이후에, 모바일 폰(350)을 통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폰(350)의 블루투스 연결 기능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기기로 TV(300)를 선택하고, 선택된 TV(300)와 모바일 폰(350)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하여, TV(300)와 모바일 폰(350)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폰(350)의 제어에 따라서 TV(300)와 모바일 폰(350)간의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폰(350)이 소스 기기로, TV(300)가 싱크 기기로 하여,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TV(300)는 사운드 미러링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371)을 포함하는 화면(37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화면(370)은 도 2b에서 도시한 화면(250)과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TV(300)가 파워 오프된 상태에서는, 모바일 폰(350)과 TV(300)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바로 진행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모바일 폰(350)의 사용자가 TV(300)를 통하여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하고 할 때, 사용자가 TV(300)를 먼저 파워 온 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인 조작을 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TV(300)가 파워 온 되어 스크린 온 상태가 될때까지 기다려야만,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시킬 수 있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전술한 불편함을 극복하여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사운드 미러링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컨텐츠, 광고 및 안내 정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등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 TV,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냉장고 등과 같은 외부 기기에 포함되는 형태(예를 들어, 냉장고의 전면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등)로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으로 소정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401)를 통하여,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450)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페어링(pairing)될 수 있거나,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원격 제어하거나, 또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원격 제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401)을 통하여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4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자동차의 전자 제어 장치, 중앙 정보 디스플레이(CID, Central Information Display) 등 모바일 컴퓨팅 장치 또는 비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모든 종류의 전자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지 않은 전자 기기도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외부 기기(450)와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통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고,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기기(450)로부터 사운드 미러링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도면들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TV 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 및 도시하였다. 그리고, 외부 기기(450)는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기기(450)는 통신부(460), 제어부(470) 및 메모리(4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60)는 제어부(470)의 제어에 따라서 외부 기기(45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60)는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서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기기(4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60)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60)는 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통신부(410)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47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외부 기기(4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70)는 외부 기기(450)를 소스 기기로 하여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도록 외부 기기(4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70)는 통신부(46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제어부(420)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48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8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제어부(47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480)는 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메모리(430)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메모리(480)는 사운드 미러링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외부 기기(450)의 제어부(470)은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70)의 제어에 따라서,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가 개시되면,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기기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기기들 중 어느 하나가 싱크 기기로써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70)는 선택된 싱크 기기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위해서 선택된 싱크 기기는 이하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통신부(410), 제어부(420), 메모리(430), 디스플레이(440) 및 스피커(445)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서 외부 기기(45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서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기기(4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통신부(410)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외부 기기(450)와 블루투스 네트워크(401)을 통하여 블루투스 통신 표준에 맞춰 생성되는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블루투스 통신 표준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에 따라서, 외부 기기(450)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부(미도시)(도 6의 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각각은 메모리(4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킴으로써, 소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 각각은 제어부(420)의 내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킴으로써, 소정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소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00) 내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20)가 소정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더라도, 제어부(4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소정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420)는 내부 메모리(미도시) 및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제어부(42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소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미도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또는 복수개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ROM(미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Process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어부(420)가 소정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하는데 있어서, 제어부(420)의 프로세서(미도시)가 메모리(4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메모리(43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제어부(42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40)는 비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445)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외부 기기(450) 간의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될 때, 스피커(445)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서, 사운드 미러링된 음원을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통신부(41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파워 오프(power off) 상태일 때, 외부 기기(450)로부터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외부 기기(450)에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하고, 제어부(420)가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상태로 웨이크업(wake-up) 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동작 모드는 크게 파워 온(power on) 된 상태에 대응되는 정상 모드(normal mode) 및 파워 오프(power off) 상태에 대응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정상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통신부(410) 및 통신부(410)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들로 전원이 공급되는 동작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상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소정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정상 모드는 스크린 오프(screen off) 되어 디스플레이(440)의 화면은 블랙 화면의 상태이나, 제어부(420)로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부(420)가 소정 동작을 제어 및/또는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어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440)는 스크린 오프(screen off) 되어 있으나, 제어부(420)는 부팅(booting)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소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그라운드 파워 온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은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부팅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백그라운드 파워 온은 백그라운드 부트(Background boot)(803)로 호칭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디스플레이(440)를 통하여 의미있는 화면은 출력하지 않는 단계이나, 제어부(420)가 소정 동작, 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 부팅은 이뤄져야 하는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백그라운드 파워 온을 수행할 수 있다.
슬립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전원이 절약되는 모드로, 통신부(410)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외부 기기 (예를 들어, 모바일 폰(미도시), 또는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미도시) 등)로부터 제어 신호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동작 상태를 의미한다. 슬립 모드에서는 통신부(410) 이외의 구성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슬립 모드는 대기 모드(standby mode) 또는 절전 모드, 또는 LPM(Low Power Mode)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이크 업(wake-up)' 은 슬립 모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정상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 활성화되는 동작을 뜻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 제어부(420)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제어부(420)는 동작하고 있지 않고, 통신부(410)으로만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부(410)만 동작 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 경우, 통신부(410)는 스캔 또는 수신되는 블루투스 신호, 및/또는 원격 제어 신호 등에 따라서 제어부(420)를 웨이크 업 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파워 온(power on) 되어 있는 동안에는 통신부(410)가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420)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파워 온(power on) 또는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어 있을 때의 동작 모드를 HCI (Host controller interface) 모드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파워 오프(power off)되어 있을 때, 통신부(410)가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는 바로 제어부(420)로 전달될 수 없으며, 제어부(420)가 웨이크업 된 이후에야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가 제어부(4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파워 오프(power off)되어 있을 때의 동작 작 모드를 LPM(Low Power Mode) 모드라 칭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power off) 된 상태에서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4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통신부(41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 외부 기기(450)로부터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무시하는 처리를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수신된 블루투스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450)에 연결 요청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410)는 제어부(420)가 웨이크업 되어 블루투스 연결을 후속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구체적으로, 도 9에서 도시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20)는 통신부(410)에서 전송된 신호에 응답하여 웨이크업 되며,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동작들을 실행하게 된다.
그에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이더라도, 외부 기기(450)의 오디오 전송을 블루투스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블루투스 연결 동작을 수행하고 후속되는 오디오 전송을 위한 동작(예를 들어, 사운드 미러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파워 오프 된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은 블랙 화면(501)이 된다. 이 때, 외부 기기(450)인 모바일 폰에서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접속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고자 시도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통신부(410)는 외부 기기(450)에서 전송되는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어부(420)가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상태로 웨이크업 되도록 동작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420)는 통신부(410)의 동작에 대응하여 웨이크업 되며,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후속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가 웨이크업 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파워 온(power on) 상태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여 사운드 미러링이 수행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사운드 미러링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571)을 포함하는 화면(57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파워 오프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외부 기기(4500를 조작하여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한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설명한 추가적인 조작 및 지연 시간을 생략 또는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4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대응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부(410)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부(610)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410)는 무선랜 모듈(630) 및 내부 메모리(6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부(6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무선랜 모듈(630)은 블루투스 이외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이동 통신 모듈(미도시),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규격을 따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뜻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도 6에 미도시됨)(도 3에 도시된 원격 제어 장치(320)에 대응됨)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10)는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410)는 내부적으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에 포함되는 메모리를 '내부 메모리(620)'로 도시하였다. 내부 메모리(620)는 통신부(410)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메모리(62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파워 오프 상태에 있을 때, 통신부(410) 수행하는 동작을 제어 또는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도 4에서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50)는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5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사용자의 푸시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하는 휠, 키보드(key board), 및 돔 스위치 (dome switch)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50)는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장치는 마이크가 될 수 있으며, 음성 인식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 또는 음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어부(420)는 음성 명령 또는 음성 요청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50)는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을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음성 인식 장치(미도시) 및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50) 내에 포함되는 형태가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450)와는 독립적인 모듈로 디스플레이 장치(400) 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700)가 사운드 미러링을 수행할 때, 디스플레이 부(715)는 사운드 미러링에 대응되는 UI 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UI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50)는 사운드 미러링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700)가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에, 사용자가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의 출력 음량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50)에서 수신한 제어 요청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300, 400, 또는 600)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비디오 처리부(710), 디스플레이 부(715), 오디오 처리부(720), 오디오 출력부(725), 전원부(730), 튜너부(740), 통신부(750), 감지부(미도시), 입/출력부(770), 제어부(780), 메모리(7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78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어부(420)에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통신부(750), 블루투스 통신부(752), 무선랜(751), 디스플레이 부(715), 오디오 출력부(725) 및 메모리(790)는 각각 도 4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통신부(410), 블루투스 통신부(610), 무선랜 모듈(630), 디스플레이(440), 스피커(445) 및 메모리(43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 또는 600)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비디오 처리부(710)는, 디스플레이 장치(7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7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비디오 처리부(710)에서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록 요청을 수신하고, 비디오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제어부(780) 또는 메모리(790)에 포함되는 메모리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RAM(미도시)에 기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부(715)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7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부(715)는 통신부(750) 또는 입/출력부(7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부(715)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7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부(7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7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7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7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725)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7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725)는 통신부(750) 또는 입/출력부(7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725)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7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725)는 스피커(726), 헤드폰 출력 단자(7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7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725)는 스피커(726), 헤드폰 출력 단자(727) 및 S/PDIF 출력 단자(7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스피커(726)는 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726)는 초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전원부(73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700) 내부의 구성 요소들(710 내지 7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73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7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미도시)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710 내지 7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74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7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740)은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외부의 제어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740)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740)은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도 있다. 튜너부(7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790)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튜너부(740)은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튜너부(740)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부(715)에 제공되는 멀티윈도우 화면을 이루는 복수개의 윈도우에 복수개의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튜너부(740)은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미도시), 입/출력부(770)에 연결되는 튜너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750)은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외부 기기(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7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기기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75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외부 기기(미도시)에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750)는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 및 이동 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통신부(750)가 무선 랜(751), 블루투스 통신부(7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753)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통신부(750)은 무선랜(751), 블루투스 통신부(7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75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듈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5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미도시)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750)은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미도시), 별도의 BLE 모듈(bluetooth low energ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7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7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7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7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7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7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761)는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761)는 통신부(750) 또는 입/출력부(7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7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7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7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부(762)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762)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78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7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762)는 렌즈(미도시) 및 이미지 센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7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7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7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762)는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76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미도시)는 통신부(750) 또는 입/출력부(7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7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763)는 외부의 제어 장치(미도시)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 부(715)의 베젤의 광창(미도시)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763)는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신부(763)는 제어 장치(미도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7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부(715)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었으며, 제어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또는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700)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광 수신부(763)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미도시)에 마련된 터치 패드(미도시)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제어 장치(미도시)를 움직이면 이 제어 장치(미도시)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7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광 수신부(763)는 제어 장치(미도시)에 마련된 특정한 버튼이 눌려졌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7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수신부(763)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미도시)에 버튼식으로 마련된 터치 패드(미도시)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이러한 버튼식 터치 패드(미도시)이 눌려졌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7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식 터치 패드(미도시)가 눌려졌다는 신호는 아이템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입/출력부(77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7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7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772), PC 포트(PC port, 773), 및 USB 포트(USB port, 7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770)는 HDMI 포트(771), 컴포넌트 잭(772), PC 포트(773), 및 USB 포트(7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7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780)는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내부 구성요소들(미도시)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7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780)는 메모리(7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7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미도시),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미도시) 및 프로세서(Process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미도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미도시)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미도시)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 부(7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400, 600 또는 700)의 블루투스 연결 동작 및 후속하는 사운드 미러링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블루투스 연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4 또는 도 6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기기(450)는 디스플레이 장치(600) 이외의 전자 장치로,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폰(451), 미디어 플레이어(452) 등이 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외부 기기(450)가 모바일 폰(451)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모바일 폰(451) 간의 통신 검색, 통신 연결, 및 오디오 전송은 블루투스 통신 표준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에 따라서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 상, 이하에서는 '블루투스 A2DP(Bluetooth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를 'A2DP'라 표기하도록 하겠다.
또한, 도 8에서는 전술한 통신부(410)가 블루투스 통신부(610)와 동일 대응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하겠다.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맞춰서 블루투스 신호를 생성 및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블루투스 모듈(611) 및 블루투스 프로세서(613)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611)은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611)은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파워 오프 상태에 진입한 이후에도, 전원을 공급받아, 블루투스 신호를 스캔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611)은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있는 외부 기기에 대한 블루투스 연결 정보인 제1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611)은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사운드 미러링(sound mirroring)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있는 외부 기기에 대한 블루투스 연결 정보(제1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블루투스 프로세서(613)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온(power on)되어 있을 때 동작하며,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있는 외부 기기에 대한 블루투스 연결 정보(전술한 '제1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프로세서(613)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오디오 전송(예를 들어, 사운드 미러링(sound mirroring))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있는 외부 기기에 대한 블루투스 연결 정보(전술한 '제1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인 간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의 어느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 간에 블루투스 연결을 완료하였던 적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적법한 인증 절차가 수행되고 적법하게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된 경우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 간에 블루투스 연결을 완료한 이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이력은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 간에 블루투스 연결을 적법하게 완료하였던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력은 부적법한 방식(해킹 등)으로 블루투스 연결을 완료하였던 이력은 포함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또한, 이력은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사용자에 의해서 상호 연동 되었던 이력을 뜻하는 것으로, 특정 데이터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에 대한 이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사용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별도 설정에 의해서, 전술한 이력을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이력으로 제한할 수는 있을 것이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디폴트 설정에 의해서, 전술한 이력을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이력으로 제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적법하게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어부(420)는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 되었던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인 연결 정보인 제1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부(61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정보는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법하게 인증 및 연결된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결 정보는 외부 기기의 블루투스 맥 주소(BT MAC address: Bluetooth MAC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맥 주소 이외에도,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법하게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라면, 연결 정보인 제1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적법하게 완료되었던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될 때, 대응되는 연결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부(61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적법하게 완료되었던 블루투스 연결에 대응되는 연결 정보가 블루투스 통신부(610)의 블루투스 모듈(611) 및 블루투스 프로세서(613) 각각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 및 연결 해제될 때마다 갱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는 현재 시점 이전의 소정 기간 동안에,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 및 연결 해제되었을 때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20)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간의 블루투스 연결 정보는 소정 기간(예를 들어, 1개월, 3개월 또는 6개월 등)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블루투스 모듈(611) 및 블루투스 프로세서(613) 각각에서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블루투스 모듈(611) 및 블루투스 프로세서(613) 각각에서의 내부 데이터 저장 공간이 꽉 차면, 제어부(420)는 가장 오래 전에 저장되었던 연결 정보가 삭제되도록 블루투스 모듈(611) 및 블루투스 프로세서(613)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폰(451)은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A2DP Connection request)(801)을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모바일 폰(451)으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청(A2DP Connection request)(801)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인 모바일 폰(451) 간의 무선 연결(구체적으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오디오 전송을 위한 무선 연결(구체적으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사운드 미러링을 위한 무선 연결(구체적으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410),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부(610)가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전술한 응답을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인 모바일 폰(451)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면, 외부 기기인 모바일 폰(451)으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는 블루투스 통신부(610)에 저장된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력 정보는 전술한 연결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점 이전에, 모바일 폰(451)이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적법하게 블루투스 연결되었던 적이 있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블루투스 모듈(611) 및 블루투스 프로세서(613)각각에 모바일 폰(451)에 대응되는 연결 정보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파워 오프 상태에 있는 현재 시점에서, 블루투스 통신부(610),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611)로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이 수신되면, 블루투스 모듈(611)은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이력 정보에 모바일 폰(451)에 대응되는 연결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611)은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을 전송한 모바일 폰(451)의 연결 정보(예를 들어, 블루투스 맥 주소)와 동일한 정보가 내부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면 모바일 폰(451)으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현재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파워 오프 상태이며, 디스플레이(440)의 화면은 스크린 오프 화면(830) 상태에 있다고 하자.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파워 오프 상태에서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이 수신되면,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상기 백그라운드 파워 온에 대응하는 이유(reason)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하기 위해서, 블루투스 모듈(611)은 제어부(420)를 웨이크업(wake-up)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부(42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부(610),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611)은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에 대응하여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인 모바일 폰(451)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에 대응하여 모바일 폰(451)에 대응되는 연결 정보가 내부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611)은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에 대응하여,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폰(451)에 대응되는 연결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블루투스 모듈(611)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제어부(420)를 웨이크업(wake-up)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부(4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웨이크업 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또는, 백그라운드 부트)(803)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파워 온되면, 디스플레이(440)는 스크린 오프 화면(840)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어부(420)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는 펄스 신호(802)로 형성될 수 있다. 펄스 신호는 이하에서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내부적으로 생성 및 전송되는 펄스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모듈(611)이 생성하여 제어부(420)로 전송하는 펄스 신호(802)는 라이징 에지(rising edge) 또는 폴링 에지(falling edge) 중 적어도 하나의 개수에 따라서 정보 내용이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611)이 생성 및 전송하는 펄스 신호(802)는 파워 오프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온 상태로 천이되도록, 제어부(420)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펄스 신호(802)의 폴링 엣지의 개수에 따라서 제어부(420)를 웨이크업 시키는 이유 또는 부트 이유(boot reason)가 달라질 수 있다. 본원에서, 제어부(420)가 웨이크업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파워 온 상태를 위해 부팅이 진행되게 되므로, 제어부(420)를 웨이크업 시키는 이유는 부트 이유(boot reason)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펄스 신호(802)의 첫 번째 폴링 엣지(901)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의 전원 버튼에 대응되는 부트 이유(911)에 대응되고, 펄스 신호(802)의 두 번째 폴링 엣지(902)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전원 버튼에 대응되는 부트 이유(912)에 대응될 수 있으며, 펄스 신호(802)의 세 번째 폴링 엣지(903)는 채널-업 또는 채널-다운 요청에 따른 부트 이유(913)에 대응될 수 있다. 계속하여, 펄스 신호(802)의 여섯번째 폴링 엣지(906)는 외부 기기에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것에 따른 부트 이유(916)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폴링 엣지만을 포함하는 펄스 신호(802)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의 전원 버튼이 입력되어 부팅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여섯 개의 폴링 엣지를 포함하는 펄스 신호(802)는 외부 기기에서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이 수신되어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서 부팅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모듈(611)은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 예를 들어, 라이징 엣지를 6개 포함하는 펄스 신호(802)를 제어부(420)에 전송하고, 전송된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420)가 웨이크업 될 수 있다.
제어부(420)가 웨이크업 되기 이전에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LPM 모드에 있으며, 제어부(420)가 웨이크업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HCI 모드로 될 수 있다. HCI 모드로 천이됨에 따라서, 블루투스 프로세서(613)로 전원이 공급되어 블루투스 프로세서(613)가 되어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백그라운드 파워 온에 대응하는 이유(reason)(구체적으로, 전술한 '부트 이유')를 제어부(4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420)는 전술한 이유에 근거하여, 외부 기기인 모바일 폰(451)과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모바일 폰(451)과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프로세서(613)는 파워 온 이유(POWER_ON_REASON)(804)을 블루투스 모듈(611)로 쿼리하고, 블루투스 모듈(611)은 상기 쿼리에 응답하여 부트 이유(Boot reason)(805)를 블루투스 프로세서(613)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프로세서(613)는 제작자 특정 커멘드(VSC: Vendor Specific Command)를 이용하여 파워 온 이유(POWER_ON_REASON)(804)을 블루투스 모듈(611)로 쿼리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611)은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을 송신하는 외부 기기, 구체적으로, 모바일 폰(451)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정보, 예를 들어, 모바일 폰(451)의 블루투스 주소(BT Addr: Bluetooth Address)(806) 및/또는 블루투스 맥 주소(BT MAC Address)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부트 이유(805)와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을 송신하는 모바일 폰(451)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806)는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이 수신될 때 같이 또는 후속하여 블루투스 모듈(611)로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프로세서(613)은 획득된 부트 이유(805)를 제어부(4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전달된 백그라운드 파워 온 이유, 구체적으로, 부트 이유(805)에 근거하여, 외부 기기인 모바일 폰(451)과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트 이유(805)는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위해 부팅이 필요하다는 이유를 포함하므로, 제어부(420)는 획득된 부트 이유(805)에 근거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420)는 획득된 부트 이유(805)에 근거하여, 블루투스 모듈(611)을 통하여 모바일 폰(451)에 접속하여 모바일 폰(451)과 디스플레이 장치(60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완료(complete)한다. 현재 시점 이전에,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적법한 인증 절차가 수행되고 적법하게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된 경우가 존재하므로, 제어부(420)는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인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제어부(420) 모바일 폰(451)에 대한 블루투스 인증 없이, 바로 블루투스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블루투스 연결은 오디오 전송, 예를 들어, 사운드 미러링(sound mirroring)을 위한 것이므로, 제어부(420)는 자동적으로 사운드 미러링을 수행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디스플레이(440)는 사운드 미러링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을 포함하는 스크린 온 화면(85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을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적법하게 무선 연결이 완료되어 페어링(pairing) 되었던 이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외부 기기 간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무선 연결에 따른 페어링, 예를 들어, 와이파이 연결에 따른 페어링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블루투스 모듈(611)은 외부 기기로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하고, 제어부(420)가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상태로 웨이크업 되도록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파워 오프 상태이더라도,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모바일 폰(451)으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청(A2DP Connection request)을 수신하면, 이를 무시처리 하지 않고,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파워 오프 상태에 있더라도, 모바일 폰(451)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통한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블루투스 연결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도 9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외부 기기(450)와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오디오 전송을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450)는 전술한 모바일 폰(45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 언급되는 현재 시점은 도 9에서와 동일하게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이 수신되는 시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현재 시점 이전에, 외부 기기(450)와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적법한 블루투스 연결이 수행된다(S1001). 즉, 현재 시점 이전에 외부 기기(450)와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적법하게 페어링(pairing) 되었다가, 블루투스 연결이 연결 해제(Disconnect)(S1002) 된 이력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S1001 에서의 블루투스 연결에 대응되는 이력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611) 및 블루투스 프로세서(613) 각각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03).
후속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파워 오프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S1004).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파워 오프 상태에 진입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파워 온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HCI 모드(1021)로 동작할 수 있다.
현재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600),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611)이 외부 기기(450)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을 수신할 수 있다(S1005).
디스플레이 장치(600),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611)은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에 응답하여야 할지에 대한 필터링 동작(구체적으로, 도 8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인 모바일 폰(451)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006).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611)은 S1006 동작의 수행 결과에 따라서, 모바일 폰(451)로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611)은 S1006 동작의 수행 결과에 따라서, 제어부(420)를 웨이크업시킨다(S1007). S1007 동작은 도 8에서 설명한 웨이크업 동작인 '제어부(420)를 웨이크업(wake-up) 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802)를 제어부(420)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서, 제어부(420)가 웨이크업 되는 동작'에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하여, 디스플레이 장치(600),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S1011 블록에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600), 구체적으로, 제어부(420)는 백그라운드 파워 온(또는, 백그라운드 부트)을 수행한다(S1010). S1010에서의 백그라운드 파워 온은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한 백그라운드 부트(803) 동작에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백그라운드 파워 온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시된 S1008 동작 및 S1009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모듈(611)은 LPM(Low Power Mode) 모드에서 블루투스 연결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프로세서(613)는 HCI (Host controller interface) 모드에서 블루투스 연결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611)은 제어부를 웨이크업(wake up)시키고, 외부 기기(45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 해제(disconnect)한다(S1008). 그리고, 블루투스 프로세서(613)는 외부 기기(45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connect)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S1008, 및 S1009 동작은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서 수행될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동작 모드가 LPM 모드(1022)에서 HCI 모드(1023)로 변경될 경우, 변경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시점에서의 블루투스 통신 또는 연결은 유지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LPM(1022) 모드일 때, 블루투스 모듈(611)이 수행하였더 블루투스 통신 또는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동작들은 종료되게 된다. 즉, 블루투스 모듈(611)을 통한 통신 연결은 종료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HCI 모드(1023)로 변경됨에 따라서, 블루투스 프로세서(613)를 통한 블루투스 통신 또는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동작들이 개시된다.
또한, 제어부(420)는 전술한 연결 해제 동작(S1008) 및 재 연결 동작(S1009)이 수행되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외부 기기(450)로 전송할 수 있다(동작 미도시).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어부(420)는 외부 기기(450)로 상기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 해제(disconnect)(S1008) 된 후, 재연결(reconnect)(S1010)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계속하여,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어부(420)는 파워 온 이유(boot reason)(805)와 외부 기기(450)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외부 기기의 주소')(806)을 획득할 수 있다(S1012). S1012 동작은 도 8에서 설명한 부트 이유(805) 및 접속 정보(806)의 획득 동작에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에 따라서, 제어부(420)가 외부 기기(450)와 디스플레이 장치(60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 및 완료할 수 있다(S1013).
계속하여,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블루투스 연결을 통한 사운드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S1014).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파워 온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HCI 모드로 동작한다. 제어부(420)는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806)로 블루투스 맥 주소(BT MAC Address)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부(610)는 블루투스 맥 주소(BT MAC Address)에 따라서 외부 기기(450)에 접속하여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BT A2DP 연결'이라 칭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디스플레이는 스크린 온(screen on) 상태로 되어 소정 화면을 출력하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어부(420)는 사운드 미러링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1034)을 포함하는 화면(850)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450) 간의 블루투스 연결(BT A2DP 연결)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사운드 미러링에 따른 음원이 재생될 수 있도록, 제어부(420)는 외부 기기(450)로 AVRCP(Audio/Video Remote Control Profile)에 따른 음악 재생 커멘드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AVRCP 는 블루투스 A2DP 에 따라서 전송되는 오디오(음원)를 원격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프로파일로, 음원의 자동 재생, 자동 곡 넘김, 볼륨 조절 등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프로파일이다.
외부 기기(450)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로부터 송신된 음원 재생 커멘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사운드 미러링 대상이 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기기 간의 블루투스 연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외부 기기에서 출력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외부 기기(450)는 도 4에 도시된 구성들 이외에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45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미도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440)에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외부 기기(450)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로부터 외부 기기(450)로 상기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 해제(disconnect)(S1008) 된 후 재연결(reconnect)(S1010)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외부 기기(450)는 전송받은 정보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간적으로 t1, t2, t3 및 t4 시점이 연속할 때, t1, t2, t3 및 t4 시점 각각에서 외부 기기(450)에서 출력되는 UI 화면(1110), UI 화면(1120), UI 화면(1130), 및 UI 화면(1140)이 도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 기기(450)는 t1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600)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UI 화면(1110)을 출력할 수 있다. UI 화면(1110)은 블루투스 연결을 위해 선택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메뉴(1112) 및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메뉴(111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 기기(450)와 디스플레이 장치(60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진행하기 위해서 키(1111)를 조작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온 시키면, 외부 기기(4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을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전송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600)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서는, 외부 기기(450)와 디스플레이 장치(60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기기(450)는 메뉴(1113) 상으로 블루투스 연결이 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Not connected'를 출력할 수 있다.
계속하여, t2 시점은 외부 기기(450)가 디스플레이 장치(600)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을 수락하는 응답을 수신한 시점에 대응된다.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을 수락하는 응답을 수신하였으므로, 외부 기기(450)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와의 블루투스 연결이 수행되는 것으로 인식하며, 그에 따라서, 외부 기기(450)는 메뉴(1123) 상으로 블루투스 연결이 수행됨을 나타내는 정보인 'connected'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t3 시점은 도 8에서 설명한 S1011 블록 동작이 수행되는 시점에 대응될 수 있다. S1011 블록 동작을 참조하면, LPM 에서의 블루투스 모듈(611)을 통한 블루투스 연결은 해제되고(S1008), HCI 모드에서의 블루투스 연결이 진행(S1009)된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블루투스 연결 끊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일시적으로 블루투스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것으로 외부 기기(450)에서 동작 오류로 인식하지 않도록, S1008 동작 및 S1009 동작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해제 및 재연결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 기기(450)는 S1008 동작 및 S1009 동작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해제 및 재연결을 알리는 정보를 메뉴(1133)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t4 시점은 외부 기기(450)와 디스플레이 장치(60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S1013)된 시점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기기(450)는 메뉴(1143) 상으로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인 'connected'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200)은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400, 600 또는 700)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 400, 600 또는 700)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200)에 포함되는 단계 동작들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200)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각 단계들의 수행 주체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200)은, 디스플레이(440), 스피커(445),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10),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43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42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200)은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 통신부(410),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부(610)에서 외부 기기(450)로부터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을 수신한다(S1210). 구체적으로, 모바일 폰(451)은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A2DP Connection request)(801)을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통신부(410)는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을 수신한다. S1210 단계의 동작은 블루투스 통신부(610)의 블루투스 모듈(6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에 대응하여, 통신부(410),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부(610)의 블루투스 모듈(611)이 외부 기기(450)로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한다(S1220). S1210 단계의 동작은 블루투스 통신부(610)의 블루투스 모듈(6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계속하여, 통신부(410),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부(610)의 블루투스 모듈(611)은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에 대응하여, 제어부(420)가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상태로 웨이크업 되도록 제어한다(S1230). S1210 단계의 동작은 블루투스 통신부(610)의 블루투스 모듈(611)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300)은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400, 600 또는 700)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 400, 600 또는 700)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300)에 포함되는 단계 동작들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300)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각 단계들의 수행 주체로,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600) 및 그의 상세 동작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300)은 도 12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200)을 더욱 상세화한 것이다. 따라서, 도 1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30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200)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S1330 단계의 동작은 도 12의 S1230 단계의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3의 S1220 블록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1300)은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외부 기기인 모바일 폰(451)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면(S1315), 모바일 폰(451)로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S1320).
계속하여, 통신부(410),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부(610)의 블루투스 모듈(611)은 블루투스 연결 요청(801)에 대응하여, 제어부(420)가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상태로 웨이크업 되도록 제어한다(S1330).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611)은 제어부(420)를 웨이크업시킨다. 그에 따라서, 웨이크업 된 제어부(420)는 백그라운드 파워 온(또는, 백그라운드 부트)을 수행한다.
S1330 단계에 있어서, 웨이크업 동작은 도 10의 S1007 동작에 대응되며, 백그라운드 파워 온 동작은 도 10의 S1010 동작에 대응된다. 따라서, S1330 단계의 동작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하여,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어부(420)는 파워 온 이유(boot reason)(805)와 외부 기기(450)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외부 기기의 주소')(806)을 획득할 수 있다(S1340). S1340 단계는 도 10의 S1012 동작에 대응되므로, S1340 단계의 동작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어부(420)가 외부 기기(450)와 디스플레이 장치(60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 및 완료할 수 있다(S1350). S1350 단계는 도 10의 S1013 동작에 대응되므로, S1350 단계의 동작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하여,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블루투스 연결을 통한 사운드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S1360). S1360 단계는 도 10의 S1014 동작에 대응되므로, S1360 단계의 동작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추천 채널 리스트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본 개시의 일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중언어로 구성된 문장을 획득하는 동작; 및 다중언어 번역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중언어로 구성된 문장에 포함되는 단어들 각각에 대응하는 벡터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벡터 값들을 목표 언어에 대응하는 벡터 값들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벡터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언어로 구성된 문장을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400: 디스플레이 장치
401: 무선 통신 네트워크
410: 통신부
420: 제어부
430: 메모리
440: 디스플레이
445: 스피커
447: 사용자 인터페이스
450: 외부 기기
460: 통신부
470: 제어부
480: 메모리

Claims (19)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피커;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 외부 기기로부터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가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상태로 웨이크업 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외부 기기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면,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백그라운드 파워 온에 대응하는 이유(reason)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접속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유 및 상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블루투스 맥 주소(BT MAC address: Bluetooth MAC addres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그라운드 파워 온이 수행되면, 상기 백그라운드 파워 온에 대응하는 이유(reason)에 근거하여, 사운드 미러링(sound mirroring)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는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블루투스 연결되었던 적이 있는 기기에 대한 블루투스 연결 정보인 제1 정보를 저장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온(power on)되어 있을 때 동작하며, 상기 제1 정보를 저장하는 블루투스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기기의 블루투스 연결 정보가 상기 제1 정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외부 기기의 블루투스 연결 정보가 상기 제1 정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wake up)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서 웨이크업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LPM(Low Power Mode) 모드에서 블루투스 연결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블루투스 프로세서는
    HCI (Host controller interface) 모드에서 블루투스 연결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외부 기기의 블루투스 연결 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wake up)시키고, LPM 모드에서 수행되었던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 해제(disconnect)하며,
    상기 블루투스 프로세서는
    HCI 모드에서,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connect)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 해제(disconnect) 된 후 재연결(reconnect)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사운드 미러링(sound mirroring)에 대한 연결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서 웨이크업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완료하고, 자동으로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전송은 사운드 미러링을 위한 오디오 전송이며,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사운드 미러링을 위한 소스 기기로 동작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운드 미러링을 위한 싱크 기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디스플레이, 스피커,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워 오프 상태일 때, 상기 통신부에서 외부 기기로부터 오디오 전송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의 수락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어부가 블루투스 연결이 필요한 상태로 웨이크업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외부 기기 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였던 이력이 존재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그라운드 파워 온(Background Power On) 되는 단계;
    상기 백그라운드 파워 온에 대응하는 이유(reason) 및 상기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 접속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유 및 상기 접속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외부 기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완료하는 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연결을 통하여 자동으로 사운드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0105317A 2018-09-04 2018-09-04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2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17A KR102652811B1 (ko) 2018-09-04 2018-09-04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9/011343 WO2020050596A1 (en) 2018-09-04 2019-09-03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US16/558,744 US11212123B2 (en) 2018-09-04 2019-09-03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JP2021537016A JP7210745B2 (ja) 2018-09-04 2019-09-03 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れによるディスプレイ装置
CN201910834817.1A CN110876073B (zh) 2018-09-04 2019-09-04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EP19195413.0A EP3621283B1 (en) 2018-09-04 2019-09-04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EP21152999.5A EP3829150B1 (en) 2018-09-04 2019-09-04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US17/557,240 US20220116239A1 (en) 2018-09-04 2021-12-21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17A KR102652811B1 (ko) 2018-09-04 2018-09-04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249A true KR20200027249A (ko) 2020-03-12
KR102652811B1 KR102652811B1 (ko) 2024-04-01

Family

ID=6798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317A KR102652811B1 (ko) 2018-09-04 2018-09-04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212123B2 (ko)
EP (2) EP3829150B1 (ko)
JP (1) JP7210745B2 (ko)
KR (1) KR102652811B1 (ko)
CN (1) CN110876073B (ko)
WO (1) WO2020050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11B1 (ko) * 2018-09-04 202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US11216233B2 (en) * 2019-08-06 2022-01-0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systems for replicating content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o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CN112311425B (zh) * 2020-10-29 2021-06-22 重庆百瑞互联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蓝牙hci模式自动检测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911380B (zh) * 2021-01-15 2023-03-2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与蓝牙设备的连接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106A (ko) * 2008-11-12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데이터 출력 장치 및 방법
US20120235896A1 (en) * 2010-09-20 2012-09-20 Jacobsen Jeffrey J Bluetooth or other wireless interface with power management for head mounted display
US20130290762A1 (en) * 2011-11-28 2013-10-31 Sagar C. Pawar Methods and apparatuses to wake computer systems from sleep states
US20150271432A1 (en) * 2014-03-24 2015-09-24 Broadcom Corporation Auto-Pairing Control Device
US20160162015A1 (en) * 2014-12-05 2016-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udio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audio device power supply
US20160227600A1 (en) * 2013-08-29 2016-08-04 Apple Inc. Multi-device wireless disable and enable
US20170026686A1 (en) * 2015-07-20 2017-01-26 Google Inc. Synchronizing audio content to audio and video devices
KR20170073257A (ko) * 2015-12-18 2017-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6684A (ja) * 2008-08-26 2010-03-11 Yamaha Corp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スピーカ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1579624B1 (ko) * 2009-07-14 201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TW201205254A (en) * 2010-07-22 2012-02-01 Asustek Comp Inc Computer system with blue-tooth remote power management and related control method
JP5321648B2 (ja) * 2011-06-22 2013-10-23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無線通信装置及び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
JP5841409B2 (ja) * 2011-11-09 2016-01-13 任天堂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入力端末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20130051153A (ko) * 2011-11-09 2013-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2666B1 (ko) * 2013-05-16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50007954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원 제어 방법
JP6182010B2 (ja) * 2013-07-31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63893B1 (ko) * 2013-10-02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16644B1 (ko) * 2014-02-23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기능 및 리소스 운용 방법
KR102248845B1 (ko) * 2014-04-16 2021-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마스터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160008920A (ko) * 2014-07-15 2016-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4874B1 (ko) 2014-07-16 201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KR101592755B1 (ko) 2014-08-25 2016-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운드 데이터 양방향 미러링 시스템
CN104333785A (zh) 2014-10-10 2015-02-04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的电视或电视盒子开关机方法
KR102306537B1 (ko) 2014-12-04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리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40230B1 (ko) * 2015-01-16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209657B (zh) * 2015-02-13 2021-12-2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再现装置以及输出装置
KR102349861B1 (ko) 2015-09-16 2022-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US20180278728A1 (en) * 2015-09-22 2018-09-27 Smartron India Privat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wo devices
KR102379205B1 (ko) * 2015-10-19 202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102748B1 (ko) 2016-02-11 202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WO2017141441A1 (ja) * 2016-02-19 2017-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制御システム
US11381554B2 (en) * 2016-05-24 2022-07-05 Feitian Technologies Co., Ltd. NFC dynamic token with a seed key in said token
US9904508B1 (en) * 2016-09-27 2018-02-27 Bose Corporation Method for changing type of streamed content for an audio system
KR20180038166A (ko) * 2016-10-06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JP6801375B2 (ja) * 2016-11-01 2020-1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542766B1 (ko) * 2016-11-17 202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169079B (zh) * 2017-02-06 2022-01-1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在信宿设备上的源设备的媒体内容控制
WO2019059427A1 (en) * 2017-09-19 2019-03-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CONTROL TERMINAL
US10560654B2 (en) * 2017-09-20 2020-02-1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A3037170A1 (en) * 2018-03-20 2019-09-20 Ecobee Inc. Smart light switch with vacation mode
KR102652811B1 (ko) * 2018-09-04 202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106A (ko) * 2008-11-12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데이터 출력 장치 및 방법
US20120235896A1 (en) * 2010-09-20 2012-09-20 Jacobsen Jeffrey J Bluetooth or other wireless interface with power management for head mounted display
US20130290762A1 (en) * 2011-11-28 2013-10-31 Sagar C. Pawar Methods and apparatuses to wake computer systems from sleep states
US20160227600A1 (en) * 2013-08-29 2016-08-04 Apple Inc. Multi-device wireless disable and enable
US20150271432A1 (en) * 2014-03-24 2015-09-24 Broadcom Corporation Auto-Pairing Control Device
US20160162015A1 (en) * 2014-12-05 2016-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udio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audio device power supply
US20170026686A1 (en) * 2015-07-20 2017-01-26 Google Inc. Synchronizing audio content to audio and video devices
KR20170073257A (ko) * 2015-12-18 2017-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811B1 (ko) 2024-04-01
US20220116239A1 (en) 2022-04-14
EP3829150A1 (en) 2021-06-02
CN110876073B (zh) 2022-01-28
CN110876073A (zh) 2020-03-10
EP3621283A1 (en) 2020-03-11
EP3829150B1 (en) 2023-07-05
JP2021536079A (ja) 2021-12-23
JP7210745B2 (ja) 2023-01-23
WO2020050596A1 (en) 2020-03-12
EP3621283B1 (en) 2021-03-17
US11212123B2 (en) 2021-12-28
US20200076631A1 (en)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074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れによるディスプレイ装置
US11523341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47069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9143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30072251A1 (en)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mobile terminal and system
KR20210061199A (ko) 디스플레이 기기,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미러링 방법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 미러링 방법
KR1021896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JP7436532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93508A (ko)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
KR20150015703A (ko)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25812A (ko) 전자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118283B2 (ja) ディスプレイ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42943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1687484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121535B1 (ko) 전자 장치, 보조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561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56672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101077A (ko) 서버,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