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784A - 치아 복원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치아 복원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784A
KR20200020784A KR1020207000522A KR20207000522A KR20200020784A KR 20200020784 A KR20200020784 A KR 20200020784A KR 1020207000522 A KR1020207000522 A KR 1020207000522A KR 20207000522 A KR20207000522 A KR 20207000522A KR 20200020784 A KR20200020784 A KR 20200020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treatment element
tooth
removabl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186B1 (ko
Inventor
벤자민 칼바트
로이 콘스탄트
벤자민 페이롯
테오 레거
세드릭 랑쉬
Original Assignee
유로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로테크니카 filed Critical 유로테크니카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18/06613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234247A1/fr
Publication of KR2020002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5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chip tag or any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 e.g. RF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diverging in the apical direction of the implant or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7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shape following the gingival surface or the bone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60)에 연결될 수 있는 감긴 치료 요소(10)를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치료 요소(10)는 치료될 때 잇몸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잇몸 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횡방향 표면(13), 및 횡방향 표면(13)의 한 부분과 함께, 하나 이상의 수직 중간 평면에 대해 비대칭이며 잇몸 외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돌출 표면을 형성하는 단부 표면(14)을 포함하고, 상기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는 크라운 보철물(25, 25')을 위한 수용 부분(4)과 감긴 치료 요소(10)에 제공된 관통-개구(11)에 형성된 연결 영역(6)과 결합될 수 있는 연결 부분(5)을 포함하는 착탈식 보철 지지부(2a, 2b, 2c, 2d, 2e, 2f, 2g)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복원용 조립체
본 발명은 치아 복원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치아 복원(dental restoration)은 치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잃은 환자를 위해 인조 치열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치아 복원은 골 구조(bone structure)에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골 구조에 도달하여 골 구조를 관통하기 위하여 잇몸에 절개 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치료 요소가 임플란트에 고정되며 이 조립체는, 임플란트가 치료 요소 주위의 잇몸을 치료하고 골-융합(osteo-integration)에 의해 골 구조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때까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치아 복원은 임플란트에 복원 지지대(restoration abutment)를 고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임플란트에 치아 보철물(dental prosthesis)이 고정된다. 지지대 및 치아 보철물은, 치열을 이상적인 자연적인 치열에 가능한 최대한 가깝게 구현하기 위하여, 교체되어야 하는 치아와 환자의 해부학적 형태에 꼭 맞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된다(individualized). 이를 위해서, 복원되어야 하는 공간의 정확한 부피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본을 뜨는데(taking impression), 이렇게 본을 뜨면, 치아 보철물을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 기존의 치아 복원을 위한 방법은 다음에 기술된 기술적 문제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기존의 종래 기술의 방법에서는, 전체의 기하학적 형상(overall geometry)을 정확하게 고려하고, 정확한 형태를 가진 보철물과 지지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잇몸과 임플란트를 보면서, 복원되어야 하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본을 뜨거나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본을 뜨기 위하여, 임플란트를 배치하고 나서 치료된 뒤에, 잇몸에 새롭게 삽입되는데, 이러한 접근법은 자연스럽게 외상이 남게 되고;
그 밖의 다른 기존 방법들은, 잇몸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을 뜰 때, 제거되지 않는 치료 구성요소들을 이용함으로써 외상을 제한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및 표준 형태로 구성된 특정의 치료 요소(heating element), 종종, 본을 뜰 때, 완전히 개방하지 않고서도, 임플란트 위의 기하학적 형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시자(indicator) 및/또는 몇몇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렇게 외상이 덜한 방법은 치료 상태(healing phase)의 복잡성 및/또는 최적화 측면에서 다른 단점들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지 않는 치아 복원(dental restoration)을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복원 방법 동안, 환자가 경험하는 외상(trauma)을 최소화하는 치아 복원을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환자의 해부학적 형태(anatomy)에 가능한 최대한 가깝게 복원이 가능한 치아 복원을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가능한 최대한 임의의 임플란트(implant) 및 임의의 복원에 꼭 맞춘 일반적인 치아 복원을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dental implant)에 연결될 수 있는 치료 요소(healing element)를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치료 요소는 치료될 때 잇몸(gum)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잇몸 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횡방향 표면(lateral surface), 및 상기 횡방향 표면의 한 부분과 함께, 하나 이상의 수직 중간 평면에 대해 비대칭이며 잇몸 외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돌출 표면(emergent surface)을 형성하는 단부 표면(end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치아 복원용 조립체는 크라운 보철물(crown prosthesis)을 위한 수용 부분과 치료 요소에 제공된 관통-개구(through-opening)에 형성된 연결 영역(linking zone)과 결합될 수 있는 연결 부분(linking part)을 포함하는 착탈식 보철 지지부(detachable prosthesis support)를 포함한다.
그 밖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각각, 구강 내부와 구강 외부를 향해 배열되도록 위치된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 부분들은 상이한 형태를 가지며;
횡방향 표면의 횡단방향 섹션(transverse section) 또는 돌출 표면의 평행 평면 상의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태 또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또는 삼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난형(ovoid) 형태, 또는 둥근 코너(rounded corner)들을 가진 실질적으로 다각형 형태를 가지거나;
횡방향 표면의 횡단방향 섹션 또는 돌출 표면의 평행 평면 상의 돌출부는 구강 내부를 향해 배열되도록 위치되는 부분보다 큰 구강 외부를 향해 배열되도록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단부 표면 및/또는 돌출 표면은, 평평하지 않은 곡선 표면, 및/또는 볼록 표면, 및/또는 매끄러운 표면(smooth surface)을 가지며;
치료 요소는 단부 표면의 맞은편에 위치된 표면에 개구를 포함하는 캡(cap)이고;
연결 부분은 한 자유 단부(free end)에서 고정 요소(fixing element), 가령, 제1 클리핑 구성요소(clipping component) 또는 스레드형 부분(threaded part)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요소는 기계적 연결(mechanical link)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연결 영역과 결합될 수 있으며;
연결 영역은 제2 클리핑 구성요소, 특히, 관통-개구의 벽에 형성된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클리핑 구성요소는 제1 클리핑 구성요소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연결 영역은 관통-개구의 벽에 형성된 태핑된 부분(tapped part)을 포함하되, 상기 태핑된 부분은 연결 부분의 고정 요소의 스레드형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착탈식 지지부의 수용 부분은 돌출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내측면이 제공된 제1 구성요소 및 상기 제1 구성요소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연결 부분은 제1 구성요소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내측면은 연결 부분 주위에 형성된 공동(cavity)을 포함하되, 돌출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를 가져서, 접촉될 수 있고;
착탈식 지지부의 수용 부분은 상기 수용 부분의 제2 구성요소를 연결 부분과 연결하는 제1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제1 구성요소에는 착탈식 지지부와 치료 요소 사이의 경계면(interface)을 밀봉하고 착탈식 지지부와 치료 요소 사이의 병진운동 유극(translational play)을 0(zero)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치료 요소의 원뿔형 지탱 표면(conical bearing surface)과 결합된 원추형 부분(frustoconical portion)이 제공되며;
연결 부분에는 착탈식 지지부를 치료 요소에 적절하게 고정하기 위해 회전방지 요소(anti-rotation element)가 제공되고;
착탈식 지지부는 중공 몸체(hollow body)를 포함하되, 상기 중공 몸체에는 착탈식 지지부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몸체(body)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through-hole)이 제공되며;
크라운 치아 복원용 조립체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되, 고정 요소의 제1 단부는 지지부의 수용 부분, 특히,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태핑된 수용 부분의 제2 구성요소에 형성된 관통-홀의 벽과 결합될 수 있는 스레드형 부분을 포함하고;
크라운 치아 복원용 조립체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되, 고정 요소의 제2 단부는 지지부의 연결 부분, 특히, 제1 클리핑 구성요소와 결합될 수 있으며;
수용 부분의 제2 구성요소는 외측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 표면은 크라운 보철물을 상기 외측 표면에 결합하기 위한 요소, 특히, 접착제(adhesive)를 보유하기 위한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고정 요소는 크라운 보철물의 최대 변경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마커(marker)이며;
착탈식 지지부는 폴리머 재료, 특히 "PEEK", "PMMA" 또는 심지어 "POM" 재료로 형성되고;
착탈식 지지부는 기계가공(machining)에 의해 및/또는 몰딩(molding)에 의해 및/또는 재료를 추가함으로써 형성되며;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지지부의 종축(longitudinal axis)이 연결 부분과 수용 부분의 제1 및 제2 구성요소들의 회전축과 일치하고;
착탈식 지지부는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종축을 포함하되, 상기 종축은 치료 요소의 한 축과 정렬될 수 있으며; 및/또는
착탈식 지지부는 일체형 부분(one-piece part)이다.
본 발명은 특히 하기 청구범위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들과 특징들은 단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공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술한 내용을 읽음으로써 보다 자명해질 것이다:
도 1A, 1B 및 1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료 요소, 임플란트 및 보철물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 제공된 착탈식 보철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투시도;
도 1D 및 1E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요소의 제1 변형예가 제공된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도 1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보철 지지부의 투시도;
도 1G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보철 지지부의 종방향 단면도;
도 1H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요소의 제1 변형예의 투시도;
도 1I 및 1J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요소의 제2 변형예가 제공된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료 요소, 임플란트 및 크라운 보철물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 제공된 착탈식 보철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2A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료 요소, 임플란트 및 크라운 보철물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 제공된 착탈식 보철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3A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도 4A, 4B 및 4C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료 요소, 임플란트 및 크라운 보철물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 제공된 착탈식 보철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투시도;
도 4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도 5A, 5B 및 5C는, 각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료 요소, 임플란트 및 크라운 보철물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 제공된 착탈식 보철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투시도;
도 5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도 5E, 5F 및 5G는, 각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보철 지지부가 치료 요소로부터 해체된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투시도;
도 5H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 5F 내지 5G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도 5I, 5J, 5K, 5L 및 5M은, 각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보철물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는 착탈식 보철 지지부의 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료 요소, 임플란트 및 크라운 보철물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 제공된 착탈식 보철 지지부 뿐만 아니라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6A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보철 지지부가 치료 요소로부터 해체된 도 6A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투시도;
도 6D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6C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도 6E, 6F, 6G, 및 6H는, 각각,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보철물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는 착탈식 보철 지지부의 투시도;
도 6I 및 6J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치료 요소, 임플란트 및 크라운 보철물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 제공된 착탈식 보철 지지부의 한 변형예 뿐만 아니라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투시도;
도 6K 내지 6M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6I 및 6J에 도시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도 8 및 9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치료 요소의 바닥 투시도 및 상측 투시도;
도 10A 내지 10C 및 도 11A 내지 11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치료 요소들의 상측 투시도 및 바닥 투시도;
도 12A 내지 12C, 도 13A 내지 13C 및 도 14A 내지 14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치료 요소들의 측면도, 상측도 및 바닥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에 배열된 치료 요소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에 배열된 치료 요소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를 사용하여 임플란트에 고정된 치료 요소의 단면도;
도 19 및 20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와 치료 요소를 가진 임플란트의 중간 상태의 측면도 및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에 고정되고 잇몸에 의해 둘러싸인 치료 요소를 포함하는 치료 조립체의 단면도;
도 22, 23 및 24는 잇몸의 횡단면의 개략도로서, 잇몸 내부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치료 요소가 고정되고;
도 25는 하측 및 상측의 치아 상부도;
도 26은 인접-잇몸으로서 치아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접-잇몸에서의 치열 및 상응하는 치료 요소들의 수평 단면도;
도 28 내지 3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중간 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A 내지 6H와 도 6J 및 도 6K 내지 6M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는 치아 임플란트(60)(간단히 임플란트(60)로 지칭됨)에 연결될 수 있는 치료 요소, 및 착탈식 보철 지지부, 특히, 크라운 보철물(25, 25')를 포함한다. 이러한 치아 복원용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는 치아 복원 방법의 제2 상태의 실시하는 데 보조하는데, 3가지 상태는 다음과 같다:
- 제1 상태는 치료 상태(healing 상태)로 지칭되는데, 제1 상태 동안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가 골-융합(osteo-integration)에 의해 환자의 골 구조(bone structure)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제1 상태 동안 특정 치료 요소가 사용되는데, 이는 밑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며;
- 특히, 치료에 필요한 시간 동안, 착탈식 지지에 의해 하나 이상의 치료 요소 상에 임시 크라운 보철물(25)을 끼워맞춤(fitting) 하는 제2 상태; 및
- 제3 상태인 복원 상태로서, 제3 상태 동안 최종적인 크라운 보철물(25')이 복원 지지대(restoration abutment)에 의해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 상에 끼워맞춤 되거나 심지어는 착탈식 지지에 의해 하나 이상의 치료 요소 상에 직접 끼워맞춤 된다.
제2 상태는 제1 상태 동안에도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정 경우에, 임시 크라운 보철물(25)은 최종적인 용도를 위해 적합한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 상태는 제2 상태로 결합된다.
치료 상태 동안에, 가령, 위에서 언급한 제1의 두 상태 동안에 보철물을 끼워맞춤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다수의 상황들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로, 이러한 보철물은 심미적 혜택을 제공한다. 하지만, 치료 과정 동안 임플란트에 힘이 유도되는 위험이 존재하며, 이는 해로울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치료 요소는 제1 상태 동안 또는 제1의 두 상태 동안에 입에 오직 1회 용도로 제공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보철물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 가령, 제1, 제2 또는 제3 상태에서 꼭 맞아야 한다. 따라서, 치료 요소는 보철 지지부의 착탈식 파스너를 수용하는 제1 형상, 및 보철물 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구성요소를 추가하지 않고도,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제2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E, 도 1I 내지 5H, 도 6A 내지 6D, 도 6I 및 6J, 그리고 도 6K 내지 6M 및 도 15 내지 21를 보면, 임플란트(6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또는 원추형(frustoconical)의 쉘(shell)과 상기 쉘을 위한 회전축을 형성하는 종축(L)을 포함한다. 임플란트(60)는 환자의 골 구조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 수단은 가변 스레드 피치(variable thread pitch)를 포함하며 임플란트의 외주 상에 배열된 스레드 세트일 수 있다. 임플란트의 하측 부분, 즉 골 구조의 바닥에 있는 임플란트의 한 부분이 넓은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의 상측 부분, 즉 골 구조의 표면에 있는 임플란트의 한 부분이 얇은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는 상측 단부에서 종축(L)을 따라 개구를 포함하며, 개구 내부에서 연결 장치가 치료 요소(10)에 연결하기 위해 위치된다. 연결 장치는 스레드형 개구(21), 상기 스레드형 개구의 연장선에 있는 6각형 횡단면 개구(22), 및 임플란트의 상측면에 있는 원뿔형 지탱 표면을 포함한다. 스레드형 개구(21), 6각형 횡단면 개구(22) 및 원뿔형 지탱 표면은 서로 인접하고, 종축(L)에 동축으로 위치되고, 스레드형 개구(21)가 임플란트(60)의 하측면에 위치되고, 원뿔형 지탱 표면은 임플란트(60)의 상측면에 위치되며, 그리고, 6각형 횡단면 개구(22)는 원뿔형 지탱 표면과 스레드형 개구(21)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조립체에서, "캡"으로 지칭되는 치료 요소(10)는 일체형 부분 즉 단일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단일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임플란트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착탈식으로 임플란트에 고정된 후에, 절개된 잇몸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 내지 30에 예시된 것과 같이, 치료 요소(10)는 연결 장치와 결합시키기 위해 임플란트의 개구 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하측 부분(32)과 잇몸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상측 부분(31)을 포함한다. 치료 요소는 임플란트의 스레드형 개구(21) 내에 조여진 나사(4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축을 따라 배열된 관통-개구(11)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치료 요소(10)는, 특히, 단부 표면(14)의 맞은편에 위치된 표면에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치료 요소(10)는 나사(40)를 사용하여 임플란트에 직접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치료 요소가 임플란트에 고정될 때, 관통-개구(11)의 축은 임플란트의 종축(L)과 일치한다. 상기 조립체는 특히 도 18 및 21에 예시된다. 관통-개구(11)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태로 구성되며 상측 부분의 측면에 있는 한 단부에서 원뿔형 지탱 표면(33)을 포함한다. 상기 원뿔형 지탱 표면(33)은 밀봉 경계면(sealed interface)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치하는 형태의 나사 헤드(41)의 원뿔형 지탱 표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원뿔형 지탱 표면(33)과 나사 헤드(41)는 밀봉 콘(sealing cone)의 기능을 충족한다.
치료 요소(10)는 단일의 병진 운동을 통해 치료 요소(10)과 나사(4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40)의 스레드형 부분과 결합될 수 있으며 개구(11)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스레드(34)를 포함한다. 나사(40)는 나사 헤드(41)와 스레드형 부분 사이에 비-스레드형 원통형 부분(non-threaded cylindrical part)을 포함한다. 스레드형 부분은 제자리에 있는 치료 요소를 차단하기(block) 위하여 임플란트의 스레드형 개구(21)와 협력하도록(cooperate) 형성된다. 나사의 원통형 부분은 치료 요소의 개구(11)을 따라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나사(40)가 치료 요소(10)와 함께 조립될 때, 나사는 하나 이상의 스레드(34)를 통해 죄어져야 한다. 나사는, 나사 헤드(41)가 치료 요소의 원뿔형 지탱 표면(33)에 접할 때, 하나 이상의 스레드(34)가 나사의 원통형 부분의 맞은편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40)의 스레드형 부분은 임플란트의 스레드형 개구(21)와 하나 이상의 스레드(34)와 동시에 결합될 수 없다. "캡티브 조립체(captive assembly)"로도 지칭되는, 이러한 나사 조립체는 치료 요소가 나사로부터 실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조립체는 치료 요소를 조작할 때 나사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따라서, 치료 요소와 나사는 사전-조립된 형태로 공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치과의사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 횟수가 줄어든다.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스레드(34)는 치료 요소를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동안 사용될 수 있는 치료 요소의 결부 지점을 구성한다. 실제로, 치과의사는, 스레드형 부분이 치료 요소의 하나 이상의 스레드(3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임플란트의 스레드형 개구(21)로부터 스레드형 부분을 분리시키기 위해 나사를 부분적으로 풀 수 있다. 그러면, 치과의사는 임플란트에 임의의 힘을 전달하지 않고서, 환자에게 어떠한 불편감도 야기하지 않을 채, 쉽게 나사 헤드를 쥐고 끌어당겨 치료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임플란트(60)에 치료 요소(10)를 직접 고정하는 것 대신에, 상기 요소는 임플란트(60)에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실제로, 공보 FR 3027792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르면, 치료 요소(10)는 임플란트(60)에 연결된 지지대 베이스(abutment base)에 착탈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형상에서, 임플란트(60)는 골 부분(bone part)에 고정되고, 지지대 베이스는 임플란트(60)에 고정되며, 칼라(collar)는 잇몸과 골 부분 사이의 경계에 위치된다. 치료 요소는 칼라에까지 지지대 베이스를 덮고(cover), 잇몸이 치료 요소(10)와 거의 전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지지대 베이스 상에 치료 요소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된 조립체는 위에 기술된 치료 조립체(healing assembly)에 상응한다. 모든 경우에서, 보철물을 수용하기 위한 착탈식 지지부는 치료 조립체로부터 즉 두 구성요소로부터 또는 단일 구성요소로부터 분리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착탈식 지지부는 본을 뜨기 위한(taking impression) 디지털 또는 그 밖의 다른 기능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착 지지부는, 착탈식 보철 지지부를 제거하고 난 뒤 또는 착탈식 보철 지지부가 없을 때, 본을 뜰 때 사용되는, 특히 스캐너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본을 뜰 때 사용되는 치료 조립체이다.
치료 요소(10)가 일체형인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하측 단부 및 외주 상에서, 임플란트의 6각형 횡단면 개구(22)와 결합될 수 있는 6각형 횡단면 부분(35)을 포함한다. 치료 요소를 임플란트(60) 주위로 회전시키지 않고도, 특정 배열방향에 따라, 치료 요소(10)가 고정되는 경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6각형 횡단면 부분(35)과 6각형 횡단면 개구(22)은 회전방지 요소(anti-rotation element)들로서, 이들은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상응하는 회전방지 요소들로 교체될 수 있다. 게다가, 치료 요소는, 하측 부분(32)의 외주 상에서, 치료 요소와 임플란트 사이에 밀봉 경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임플란트의 원뿔형 지탱 표면(23)과 결합될 수 있는 원추형 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원추형 부분(36)을 포함한다. 원추형 부분(36)은 치료 요소의 상측 부분(31)과 하측 부분(32) 사이의 경계를 포함한다. 원뿔형 지탱 표면(23)과 원추형 부분(36)은 밀봉 콘(sealing cone)의 기능을 충족시키고, 또한, 임플란트에 대해 치료 요소를 독특하게 배열시키는 기능을 충족시킨다. 실제로, 원뿔형 지탱 표면(23)을 원추형 부분(36)과 조립되면, 종축(L)과 일치하는 축과 피벗회전 연결(pivot link)이 구성된다. 특히, 나사(40)를 조이고 난 후에, 이러한 피벗회전 연결은 종축(L) 또는 종축(L)에 수직인 임의의 축을 따라 임플란트와 치료 요소 사이의 병진운동 유극(translational play)을 0(zero)으로 감소시킨다. 게다가, 6각형 횡단면 개구(22)와 6각형 횡단면 부분(35)에 의해 형성된 경계면으로 인해, 치료 요소가 임플란트에 대해 회전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임플란트와 치료 요소 사이의 연결은 특히 견고한 연결(rigid link)이다.
치료 요소의 상측 부분은 개구(11)의 원뿔형 지탱 표면(33)이 제공되는 단부면(14), 및 주위의 잇몸이 치료되도록 형성되는 횡방향 표면(13)을 포함한다. 원뿔형 지탱 표면은 나사 헤드(41)가 치료 요소 내에 매립되도록(embedded) 치료 요소의 내부를 향해 배열된다. 따라서, 나사 헤드(41)는 단부면(1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나사 헤드(41)는, 특히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속적인 최종 표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면이 연장될 때, 단부면의 개구(11)를 밀폐하도록 배열된다.
기존의 임플란트는 상이한 형태, 특히 상이한 연결 장치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기존 임플란트에 대해, 임플란트에 꼭 맞는 연결 장치가 구비된 치료 요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이한 연결 장치들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상이한 치료 요소들이 있을 수 있다.
치료 요소(10)의 목적은 절개된 잇몸 내에 자체로 고정시키고, 그 뒤에 임플란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최종 형상은 도 21에 도시된다. 상기 최종 형상에서, 임플란트(60)는 골 구조(62)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잇몸(63)에서 골 부분으로부터 약간 돌출된다(emerge). 치료 요소(10)는 잇몸이 치료 요소(10)와 거의 단독으로 접촉되도록 임플란트(60)에 고정된다. 치료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임시로, 최종적인 크라운 보철물(25')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도 형성하고 치료할 수 있게 하는 복원 방법을 보조한다.
따라서, 잇몸은 치료 요소(10)의 횡방향 표면(13) 주위에서 치료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횡방향 표면(13)은 환자의 구강 형태(oral environment)와 최적으로 일치하도록 선택된다. 치료 요소의 단부 표면(14)은, 잇몸(63)이 치료 요소의 횡방향 표면(13)과 완전히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잇몸의 잇몸 표면(64) 위에서 볼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단부 표면(14)과 횡방향 표면(13)의 상측 부분이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emergent surface)을 형성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돌출 표면은 특히 도 22 내지 24에 예시된다. 이를 위해, 상이한 형상의 구강의 기하학적 형상(geometry)에 꼭 맞도록 하기 위하여 상이한 높이의 치료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3개의 상이한 표준 높이들이 모든 상황들에 가장 잘 맞을 수 있다. 상기 높이는 3 내지 10 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색상이 칠해진 나사가 치료 요소의 높이를 빠르게 식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랑 나사는 작은 치료 요소를 가진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초록 나사는 중간 치료 요소를 가진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빨강 나사는 큰 치료 요소를 가진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의사와 보철사(prosthetist)들 간의 대화가 간단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치료 요소의 형태는, 교체되어야 하는 치아, 따라서 상기 구강 공간을 점유하도록 형성된 추후의 크라운 보철물에 최적으로 상응하는 해부학적 형태에 따라, 잇몸의 치료를 촉진하도록 특정적으로 선택된다. 상기 형태는, 특히, 횡방향 표면(13)의 평평한 섹션에 의해 특징지어 지는데, 상기 평평한 섹션은 단부 표면(1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도 18에 도시된, 횡방향 표면(13)에 수직인 평면(P)을 따른 횡단방향 섹션이다. 상기 섹션은, 단부 표면(14)의 형태에 의해,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평면 상에서 단부 표면(14)이 돌출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재형성되며 즉 잇몸 표면(6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접근법을 이해하기 위하여, 도 25는 상측 및 하측 치아의 상부도를 예시하며, 도 26은 배열된 치아의 뿌리(root)에서, 도 21에 도시된, 치열의 인접-잇몸 평면(PJ)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은 치아가 상이한 형태의 횡단면을 가진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직사각형 형태 및/또는 정사각형 형태 및/또는 삼각형 형태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다리꼴 형태로 단순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선택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형태들을 가진 일련의 치료 요소(10)들로 인해, 상이한 형태들을 최적으로 재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27은 모든 치아의 횡단면의 상부도 및 각각의 치아와 결합된 치료 요소(10)들의 상부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부호 11 내지 18, 21 내지 28, 31 내지 38 및 41 내지 48로 표시된(이 부호들은 본 발명의 특징부들을 표시하기 위하여 그 밖의 다른 도면들에서 표시된 도면부호들과 혼돈되어서는 안 됨), 상이한 일련의 치아 형태들은, 모두, A 내지 D로 표시된 4개의 상이한 치료 요소(10)들에 의해 접근되어야 한다. 몇몇 치아에 대해서, 또는 실제로 모든 치아에 대해서, 치료 요소들 A 내지 D 중에서 몇몇 치료 요소들이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도 27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치료 요소(A)들은 모든 하측 앞니(incisor)들과 상측 횡방향 앞니들의 치료 복원에 적합하다. 치료 요소(B)들은 송곳니와 작은 어금니(premolar)를 복원하는 데 적합하고, 치료 요소(C)들은 중간 어금니(intermediate molar)를 복원하는 데 적합하며, 치료 요소(D)들은 큰 어금니들을 복원하는 데 적합하다. 한 변형예로서, 일련의 치료 요소(10)들은 그 밖의 다른 임의의 개수의 상이한 치료 요소, 예를 들어, 3개 또는 5개의 상이한 치료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료 요소들은, 이제, 3개의 치료 요소(A, B 및 C)를 고려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치료 요소(A)는, 특히, 도 10A 내지 14A에 예시되고, 치료 요소(B)는 도 10B 내지 14B에 예시되며, 치료 요소(C)는 도 10C 내지 14C에 예시된다. 도면들을 너무 복잡하게 만들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도면들에서는 모든 치료 요소들에 대해서 도면부호들이 모두 표시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 모든 치료 요소들이 동일한 특징부들을 가지는데, 이는 밑에 기술될 것이다.
도 10A 내지 13C에서 볼 수 있듯이, 잇몸 위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치료 요소(10)들(A 내지 C)의 단부 표면(14)들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며 도 25의 절단 평면에 상응하는 수평 평면(상기 평면 위에 1 내지 2 mm 사이에서 인접-잇몸 평면(PJ)에 평행한)에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이들은 다소 곡선 형태로 구성되며, 도 12A 내지 1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잇몸 위로 외주 부분(146)들보다 더 많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중앙 부분(145)을 가진다.
횡방향 표면(13)에 수직인 평면(P)을 따른 치료 요소의 횡단방향 섹션은,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치료 단계 이후 잇몸의 최종 형태를 제공하며, 연장선 상에 배열된 치료 요소의 단부 표면(14)(특히, 평면(P) 상에서 돌출됨)에 의해 실질적으로 재형성된다. 모든 치료 요소들의 횡단면들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진다. 이들은 입의 외부(전정면(vestibular side))에 배열되는 장측면(141) 및 두 측면(143, 144)에 의해 연결되는 입의 내부(혀쪽 면(lingual side))에 배열되는 단측면(142)을 가지는데, 상기 단측면(142)은 장측면(141)에 평행하고 맞은편에 위치된다. 사다리꼴의 대각선들이 교차함으로써, 중심(15)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15)은 치료 요소의 관통-개구(11)의 축에 위치된다. 게다가, 몇몇 개별의, 실질적으로 원형의 요소를 가진 한 대안의 복원 조립체에서 치료 요소의 하측 단부에 개구(11)의 중심(17)을 고려함으로써, 두 중심 지점(15, 17)들을 통과하는 치료 요소의 중심축(18)을 형성할 수 있다. 치료 요소(10)의 축(18)은 단부 표면(14)에 수직이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요소의 축(18)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든지 아닌지 간에, 임플란트의 종축(L)과 관통-개구(11)의 축과 일치한다.
따라서, 치료 요소(10)들의 3가지 타입(A, B 및 C)은 횡방향 표면(13)들의 횡단방향 섹션의 사다리꼴 형태와 상이하다. 고려되는 치료 요소에 따라, 상기 사다리꼴 형태는 삼각형 형태 또는 직사각형 형태, 또는 심지어 정사각형 형태와 비슷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로서, 도 14A 내지 14C는 이러한 치료 요소들의 크기를 밀리미터 단위로 제공한다.
물론, 이렇게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의 형태는, 잇몸이 아프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둥근 코너(rounded corner) 및 곡선 측면을 가진다. 게다가, 각각의 치료 요소의 단부 표면(14)은, 개구(11)를 제외하고는, 돌출 부분 및/또는 중공 부분 및/또는 리세스 및/또는 리지(ridge) 및/또는 거친 부분(roughness)이 없는 연속 표면을 가진다. 상기 표면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렇게 매끄러운 기하학적 형상은 구강 위생을 촉진하고, 음식이 축적되고 치태(dental plaque)가 침적되는 것을 줄여준다. 치료 요소가 단독으로 나사(40)에 의해 임플란트에 고정되면, 나사의 헤드(41)는 단부 표면(14)을 완료하여(complete), 개구(11)에서도 실질적으로 연속적이 된다. 따라서, 나사 헤드에 의해 밀폐된 상기 표면은 돌출 부분 및/또는 중공 부분, 및/또는 리세스, 및/또는 리지, 및/또는 거친 부분이 없는 연속 표면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단일의 치료 요소를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부 표면(14)과 나사(40)의 헤드(41) 사이의 경계면에 밀봉부(seal)가 제공된다.
한 변형예로서, 일련의 치료 요소(C)들은 상이한 개수의, 가령,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간단한 대안의 실시예에서, 단일의 치료 요소 형태가 모든 치아에 적합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대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치료 요소의 횡단방향 섹션은, 횡방향 표면(13)에서, 임의의 다각형, 가령, 3개, 5개 또는 6개의 변을 가진 다각형과 비슷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변형예로서, 이러한 다각형의 코너 부분들은 둥글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태가 난형의(ovoid) 횡단면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 또는 다각형이 아닌 그 밖의 임의의 다른 형태와 비슷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형태는, 치료 요소의 중심(15), 또는 축(18)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하학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중심 또는 지점을 포함한다. 상기 횡단방향 섹션은 인접-잇몸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절단 평면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내부에서 치료 요소의 표면의 기하학적 형상은, 잇몸의 곡률(curvature)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강 외부의 기하학적 형상과 상이하다. 따라서,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의 형태는, 도 13A 내지 13C에 도시된, 잇몸에 대한 접선(T)을 포함하는 중간 평면(median plane)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5에 도시된, 복원되어야 하는 치아(50)에 대해, 비대칭이다. 상기 중간 평면은 접선 평면(T)으로도 지칭되는데, 잇몸에 대한 접선(T)에 평행하고, 인접-잇몸 평면(PJ)에 수직이며, 치료 요소의 중앙부(15)를 통과한다. 달리 말하면, 구강 내부에서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의 기하학적 형상은, 치아의 자연스러운 형태 또는 잇몸의 곡률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강 외부의 기하학적 형상과 상이하다. 특히, 혀쪽 면에서 즉 구강 내부에서 치료 요소의 종축을 따른 높이는 구강 외부에서 치료 요소의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의 형태는 단부 표면(111)의 중심(113)을 통과하고 종축에 평행한 평면에 대해 비대칭이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비대칭성은, 종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치료 요소가 돌출됨으로써, 평면의 양쪽 측면에서 치료 요소의 상이한 형태들로 인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비대칭성은 평면의 양쪽 측면에서 치료 요소의 상이한 높이들로 인해 특징지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비대칭성의 한 예가 도 21에 도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원통형 치료 요소와 관련된, 치료 요소의 횡단면에 대해 원형 형태는 적합하지 않다. 보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치료 요소의 횡단면에 대해서, 한 축 또는 한 지점에 대해 대칭인 임의의 평평한 곡선도 적합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한편으로는 입의 해부학적 형태(anatomy)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축 주위로 원형으로 배열되는 것이 식별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똑같은 이유로,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은 축(18)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축(18)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또는 심지어 복수의 평면들에 대해 대칭이 아니다. 축(18)을 포함하거나 또는 중심(15)을 통과하며 돌출 표면에 수직인 하나 이상의 또는 복수의 평면들에 대해 대칭이 아니며, 수직 중간 평면(perpendicular median plane)들로 지칭된다. 도시된 예에서, 두 측면(141, 142)의 중앙을 통과하며 접선 평면(T)에 수직인 평면만이 대칭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개념은,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 또는 미리 형성된 절단 평면(P)을 통과하는 횡단방향 섹션, 또는 이러한 평면(P)(인접-잇몸 평면에 평행한)에서 돌출 표면에 적용된다. 수직 중간 평면은 치료 요소의 기하학적 형상의 중심을 통과하며 평면(P에 수직인 임의의 평면이다. 대안으로, 수직 중간 평면은 치료 요소의 축(18)을 포함하는 임의의 평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은 식별가능한 3차원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기능을 충족하기 위하여 치료 요소가 인식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배열방향을 알 수 있다.
치료 요소들의 단부 표면(14)들은 외주(146)로부터 연장되는데, 횡방향 표면(13)에 의해 잇몸이 치료되고, 추후의 크라운 보철물에 꼭 맞는 잇몸 형태를 제공한다. 이러한 횡방향 표면(13)은 복수의 표면(131, 132, 133, 134)들을 가지는데, 이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선택적으로는 다소 곡선 형태로 구성되며, 치료 요소의 단부 표면(14)의 상이한 측면(141, 142, 143, 144)이 연장됨으로써, 임플란트의 종축(L)에 평행하거나 및/또는 치료 요소의 축(18)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횡방향 표면(13)의 상이한 부분들과 단부 표면(14) 사이의 경계면들은 매끄럽고 둥근 표면, 특히 볼록한 표면들에 의해 형성된다.
치료 요소는 분홍, 하양 또는 크림(cream) 색상을 가지며 의료용으로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치료 요소는 폴리머 재료, 특히, "PEEK"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 변형예로서, 치료 요소는 금속, 예를 들어, 티타늄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혹은 지르코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요소(10)는, 특히 생체적합성을 띄면서도, 구강 스캐너(oral scanner)를 이용하여 치료 요소(10)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르코늄 니트라이드로 형성되고, 표면 처리를 한 티타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치료 요소는 기계가공에 의해 및/또는 몰딩에 의해 및/또는 재료를 추가함으로써, 달리 말하면 3차원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치료 요소를 이용하면, 입의 해부학적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기하학적 형태로 인해, 치아 복원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잇몸을 이상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된다. 한 변형예로서, 치료 요소는 완전히 잇몸 하부에 위치되어 보이지 않을 수도 있으며, 잇몸 위에 삽입하여 보일 수 있게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치료 요소의 단부 부분은 항상 돌출 부분(emergent part)으로 부정확하게 지칭될 것이다.
게다가, 단부 표면(14)에 의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는 횡방향 표면(13)의 상측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치료 요소(10)의 돌출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치아 임플란트(60) 및/또는 지지대 베이스 및/또는 치료 요소(10)의 2개 이상의 특징들을 식별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정보 마커(informative mark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치료 요소(10) 상에 정보 마커가 배열되면, 임플란트에 본을 뜨기 위한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없어지고, 필요한 시간이 줄어들며, 치료 요소를 위한 대체물(replacement)로서 끼워맞춤 되는 치아 복원을 위한 지지대를 설정해야 하는 복잡성이 감소되는데, 지지대 상에는 최종 보철물이 배열되거나, 혹은 임시 크라운 보철물(25)을 위한 대체물로서 최종적인 크라운 보철물(25')이 끼워맞춤 된다. 이러한 정보 마커는 선택적인 사항인데, 그 이유는, 대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 표면의 특정 비대칭 형태로 인해, 동일한 정보의 자동 식별을 위해서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의 단일 형태가 충분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마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마커가 있을 때의 해결책을 적절하게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식별을 위해 기호 또는 특정 형태로서 마커가 형성되는데, 마커의 유일한 목적은 식별을 위한 것으로서, 마커는 일반적으로 스캐너에 의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치료 요소의 주 치료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본 발명에 대한 대안예는, 원하는 정보를 추론하기(deduce) 위하여, 마커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 요소, 특히, 단부 부분의 특정 형태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처음에 식별된 형태는 해부학적 치료 과정의 주된 기술적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은 마커를 없애기 위해 상기 해부학적 특징을 이용한다. 상기 대안예로는, 식별 과정이 보다 어렵지만, 지시자(indicator)를 형성하는 이차 목적으로, 치료를 위한 이상적인 형태를 손상시키지 않는 이점을 제공한다. 마커가 없거나 또는 마커가 거의 없는 상기 대안예의 해결책은(오직 마커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해결책에 비해) 이점이 있으며 바람직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마커에 의해 식별된 특징부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한다:
- 치료 요소(10)의 높이:
- 치료 요소(10)의 형태, 특히, 돌출 표면의 평행한 평면 상의 돌출부 또는 횡방향 표면(13)의 횡단방향 섹션의 수치(dimension) 및 형태;
- 지지대 베이스를 가진 또는 가지지 않은, 따라서, 치아 임플란트(60)의 치료 요소(10)의 연결 부분(linking part)의 수치;
- 캡(cap)의 배열방향에 의한, 예를 들어, 캡의 회전방지 요소와 정렬된 마커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60)의 배열방향.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개 이상의 정보 마커는 치료 요소(10)의 제1 특징부의 정보 마커의 제1 타입 및 치료 요소(10)의 제2 특징부의 정보 마커의 제2 타입을 포함한다. 치료 요소(10)와 관련된 상기 제1 및 제2 특징부는 특히 치료 요소(10)의 높이 및/또는 치료 요소(10)의 형태, 특히, 돌출 표면의 평행한 평면 상의 돌출부 또는 횡방향 표면(13)의 횡단방향 섹션의 형태 및 수치로 구성된다. 간접적으로, 마커는, 지지대 베이스에 대한 정보, 선택적으로는 임플란트에 대한 정보, 가령, 치료 요소의 배열방향과 관련된 그들의 배열방향이 결정될 수 있게 한다.
정보 마커의 디자인을 제한하지 않는 한, 각각의 정보 마커는 다음 타입들 중 한 타입에 속한다:
- 네거티브(negative) 정보 마커, 특히, 치료 요소(10)의 표면 들 중 하나, 특히 돌출 표면 상에서 움푹 들어간(hollowed out) 네거티브 정보 마커;
- 포지티브(positive) 정보 마커, 특히, 치료 요소(10)의 표면 들 중 하나, 특히 돌출 표면 상에서 돌출된 부분으로서 포지티브 정보 마커;
- 치료 요소(10)의 표면들 중 하나에 형성된 특정적이고 식별가능한 형태, 특히 다각형 또는 선형 형태의 정보 마커;
- 판독가능한 식별 코드, 가령, 바 코드 및/또는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에 의해 또는 판독가능한 디지털 값에 의해 형성된 정보 마커이다. 이러한 마커는 레이저 마킹 및/또는 색상 및/또는 임의의 기호 및/또는 글자 및/또는 수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 RFID 칩에 의해 형성된 정보 수단.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치아 임플란트(60)와 연결될 수 있는 치료 요소(100를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내지 1f)는 착탈식 보철 지지부(2a 내지 2g)를 포함하는데, 착탈식 보철 지지부는 종종 단지 "지지부"로도 지칭된다. 상기 착탈식 지지부(2a 내지 2g)는 임시 크라운 보철물(25)(도 4B에 도시된) 및/또는 최종적인 크라운 보철물(25')(도 5A에 도시된)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4)을 포함한다. 수용 부분(4)에는 제1 및 제2 구성요소(7a, 7b) 및 특히 도 1F 및 1G에 도시된 연결 부분(5)이 제공된다.
상기 연결 부분(5)은 치료 요소(10)에 배열된 관통-개구(11)에 형성된 상응하는 연결 영역(6)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2a 내지 2g)가 치료 요소(10)에 착탈식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이러한 연결 부분(5)은, 특히, 한 자유 단부에서, 고정 요소(8), 가령, 제1 클리핑 구성요소, 특히, 수의(male) 클리핑 구성요소, 또는 스레드형 부분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부분(5)이 제1 클리핑 구성요소를 포함할 때, 상기 구성요소는 기계적 연결을 구현하기 위하여 연결 영역(6), 가령,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의 벽에 형성된 리세스/홈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립-온 고정(clip-on fixing)으로 인해, 크라운 보철물(25, 25')이 착탈식 지지부(2a 내지 2c)에 위치될 때, 착탈식 지지부(2a 내지 2g)가 몇 번이고 치료 조립체에 쉽게 장착될 수 있으며 치료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데, 이는 환자의 구강 외부에서의 교체 작업 및/또는 폴리싱(polishing)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 부분(5)의 고정 요소(8)가 스레드형 부분을 포함하는 한 변형예에서, 상기 부분은 연결 영역(6), 가령, 이러한 기계적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관통-개구(11)의 벽에 형성된 태핑된 부분(tapped part)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E 및 1I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착탈식 지지부(2a)는 착탈식 지지부(2a)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몸체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의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관통-홀(19)이 제공된 일체형 부분이다. 수용 부분(4)의 제1 구성요소(7a)에는 내측 및 외측면(9a, 9b)이 제공되며, 상기 내측 및 외측면(9a, 9b)들을 함께 연결하는 기본적으로 둥근 외주벽(peripheral wall)이 제공된다. 상기 형상에서, 제2 구성요소(7b)는, 외측면(9b)을 포함하는 평면(P1)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A3)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1 구성요소의 외측면(9b)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제2 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원추형 또는 심지어 원통형 형태를 가지며 수용 부분(4)에, 따라서, 상기 표면에 크라운 보철물(25, 25')을 결합하기 위한 요소를 고정하기(retaining) 위한 복수의 요소(24)들이 제공된 외측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요소가 접착제이면, 예를 들어, 각각의 고정 요소(24)는 공동, 홈, 홀 또는 심지어 돌출부(bump) 일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요소(24)는 지지부 및/또는 크라운 보철물의 최대 변경 높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마커일 수 있다. 또한, 제2 구성요소(7b)에 형성된 착탈식 지지부(2a)의 관통-홀(19)의 부분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태핑된 벽(tapped wall)을 포함한다.
상기 착탈식 지지부(2a)에서, 연결 부분(5)은 제1 구성요소(7a)의 내측면(9a)의 중앙 영역에서 돌출된다. 상기 연결 부분(5)은 착탈식 지지부(2a)가 치료 요소(10)에 조립될 때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 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 부분(5)은 원추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추형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치료 요소(10)와 착탈식 지지부(2a) 사이에 밀봉 경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치료 요소(10)의 원뿔형 지탱 표면(33)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분(5)은, 자유 단부에서, 고정 요소(8), 가령, 제1 클리핑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클리핑 구성요소는 착탈식 지지부(2a)의 관통-홀(19)의 한 단부에 포함되며, 하측 단부까지, 관통-홀(19)의 축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가요성 핀(flexible fin), 이 경우에서는, 2개, 3개 또는 4개의 가요성 핀을 포함한다. 상기 핀들은 재료로부터 움푹 들어감(hollowing out)으로써 형성된 실질적으로 비슷한 틈(gap)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다(spaced apart). 이러한 핀들은 이들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정지 위치(rest position)로부터 제한 위치(constrained position)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핀들은 연결 영역(6)과 일치하는 형태, 가령 클립-온 고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결합될 수 있는 리세스 형태를 가진다.
착탈식 지지부(2a)에서, 제1 구성요소(7a)의 내측면(9a)은 특히 치료 요소(10)의 돌출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기 위해 제공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1I 및 1J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 단부 표면(14)과 상기 단부 표면(14)에 인접한 횡방향 표면(13)의 일부를 덮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내측면(9a)은 연결 부분(5) 주위에 형성된 공동(26)을 포함하되, 돌출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를 가져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치아 복원용 조립체(1a)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태를 가지며 제1 및 제2 단부가 제공된 몸체(body)를 포함하는, 착탈식 지지부(2a)를 강화하기 위한 고정 요소(20a, 2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H를 보면, 고정 요소(20a, 20b)는, 예를 들어, 샤프트와 헤드를 포함하는 나사(20a)일 수 있다. 헤드는 고정 요소(20a)의 몸체의 제1 상측 단부에 포함되며, 수용 부분(4), 특히,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태핑된, 제2 구성요소(7b)에 형성된 관통-홀(19)의 내측벽과 결합될 수 있는 스레드형 부분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도 1I 및 1J를 보면, 고정 요소(20a, 20b)는 샤프트(20b)일 수 있는데, 몸체의 일부분은 상기 샤프트가 치아 복원용 조립체(1a)에 배열될 때 수용 부분(4)의 제2 구성요소(7b)의 근처에서 관통-홀(19)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고정 요소(20a, 20b)는, 제1 클리핑 구성요소의 가요성 핀들을 작동시켜서 이들이 정지 위치로부터 제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착탈식 지지부(2a)의 관통-홀(19)을 통과하여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제한 위치에 있으면, 상기 핀들의 큰 부분이 관통-개구(11)의 벽에 형성된 리세스에 배열되며 및/또는 이러한 핀들의 제거는 불가능하며, 따라서, 치료 요소(10)로, 심지어는, 치료 요소(10)와 임플란트(60)에 의해 형성된 치료 조립체로, 착탈식 지지부(2a)의 고정 조립체의 기능을 충족시킨다. 이에 따라, 관통-개구(11)와 관통-홀(19)로부터 고정 요소(20a, 20b)를 제거하면, 핀들은 리세스로부터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disengaged). 고정 요소(20a, 20b)는,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를 통과하는 제2 단부가 치료 요소(10)를 임플란트(60)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나사(40)의 나사 헤드(41)에 형성된 하우징에 배열될 때까지, 관통-홀(19)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고정 요소(20a, 20b)가 치아 복원용 조립체(1a)에 배열되면, 상기 고정 요소(20a, 20b)의 몸체가 클립-온 고정 위치에 고정된 가요성 핀들 사이에 포함된다. 상기 고정 요소(20a, 20b)가 도 1H에 도시된 나사(20a)에 상응하면, 제1 상측 단부는 관통-홀(19) 내에 포함되고 제2 하측 단부는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 특히, 치료 요소(10)를 임플란트(60)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나사(40)의 나사 헤드(41)에 형성된 하우징에 위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1 실시예의 지지부와 달리, 착탈식 지지부(2b)는 2개의 개별 부분들을 포함한다. 상기 형상에서, 제1 부분은, 내측 및 외측면(9a, 9b)들과 상기 내측 및 외측면(9a, 9b)들에 연결된 기본적으로 둥근 외주벽이 제공된, 수용 부분(4)의 제1 구성요소(7a)에 상응한다. 또한, 착탈식 지지부(2b)의 연결 부분(5)과 제2 구성요소(7b)을 형성하는 제2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중앙 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치료 요소(10) 상에 장착됨으로써 두 부분이 함께 조립되어 착탈식 지지부(2b)를 형성하면, 제2 구성요소(7b)는, 외측면(9b)을 포함하는 평면(P1)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A3)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1 구성요소(7a)의 외측면(9b)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제2 구성요소(7b)는 기본적으로 원추형 또는 심지어 원통형 형태를 가지고, 제1 실시예와 비슷하게, 수용 부분(4)에 크라운 보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요소를 보유하기(retain) 위해 복수의 요소(24)들이 제공된 외측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고정 요소(24)는 지지부 및/또는 크라운 보철물의 최대 변경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마커일 수 있다.
또한, 연결 부분(5)은 제1 구성요소(7a)의 내측면(9a)의 중앙 영역에서 돌출된다. 상기 연결 부분(5)은, 착탈식 지지부(2b)가 치료 요소(10)에 조립될 때,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 부분(5)은, 자유 단부에서, 고정 요소(8), 이 경우, 스레드형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스레드형 부분은 치료 요소(10)와 착탈식 지지부(2b) 사이에서 기계적 연결을 구현하기 위하여 관통-개구(11)의 벽에 형성된 태핑된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지지부(2b)에서, 제1 구성요소(7a)의 내측면(9a)은 특히 치료 요소(10)의 돌출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기 위해 제공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전체 단부 표면(14)과 상기 단부 표면(14)에 인접한 횡방향 표면(13)의 일부를 덮기 위해 제공된다. 이 때, 내측면(9a)은 중앙 개구 따라서 연결 부분(5) 주위에 형성된 공동(26)을 포함하되, 돌출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를 가져서, 접촉될 수 있다.
착탈식 지지부(2b)의 단부는, 착탈식 지지부(2b)와 치료 요소(10)를 조립하기 위하여, 연결 부분(5)과 제2 구성요소(7b)을 형성하는 제2 부분을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 내에 죄기 위하여, 적절한 공구, 가령, 스크루드라이버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구성요소(7b)에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3A와 3B 및 도 4A와 4B에 각각 도시된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서,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1 실시예의 지지부와 달리, 착탈식 지지부(2c, 2d)는 2개의 개별 부분들을 포함한다. 상기 형상에서, 제1 부분은 착탈식 지지부(2c, 2d)의 수용 부분(4)에 상응한다. 상기 수용 부분(4)에는 상기 몸체에서 수용 부분(4)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중앙 보어가 제공된다. 또한, 수용 부분(4)은 제1 및 제2 구성요소(7a, 7b)들을 포함하되, 제1 구성요소(7a)에는 내측 및 외측면(9a, 9b)들과 상기 내측 및 외측면(9a, 9b)들을 함께 연결하는 외주벽이 제공된다. 상기 형상에서, 제2 구성요소(7b)는 외측면(9b)을 포함하는 평면(P1)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A3)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1 구성요소(7a)의 외측면(9b)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제2 구성요소(7b)는 기본적으로 원추형 또는 심지어 원통형 형태를 가진다.
상기 착탈식 지지부(2c, 2d)에서, 연결 부분(5)은 제2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연결 부분(5)은, 착탈식 지지부(2c, 2d)가 치료 요소(10)에 조립될 때 수용 부분(4)에 제공된 보어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샤프트와 헤드가 제공된 나사이다. 따라서, 치료 요소(10) 상에 장착됨으로써 두 부분이 함께 조립되어 착탈식 지지부(2c, 2d)를 형성하면, 연결 부분(5)은 제1 구성요소(7a)의 내측면(9a)의 중앙 영역 내로 돌출된다. 연결 부분(5)을 형성하는 나사의 헤드는 보어 내에 배열되고 샤프트의 단부는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에 배열된다. 달리 말하면, 연결 부분(5)은, 착탈식 지지부(2c, 2d)가 치료 요소(10)에 조립될 때,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 부분(5)은 자유 단부에서 스레드형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스레드형 부분은, 치료 요소(10)와 착탈식 지지부(2c, 2d) 사이에 기계적 연결을 구현하기 위하여, 연결 영역(6), 이 경우, 관통-개구(11)의 벽에 형성된 태핑된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상기 태핑된 부분은 치료 요소(10)의 상측 부분(31)에 포함된 관통-개구(11)의 벽에 형성되며, 제4 실시예에서는, 상기 태핑된 부분은 치료 요소(10)의 하측 부분(32)에 포함된 관통-개구(11)의 벽에 형성된다.
제3 실시예에서, 수용 부분(4)의 보어는 밀봉 경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나사 헤드의 일치하는 형태의 지탱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지탱 표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나사 헤드와 보어의 지탱 표면은 밀봉 기능을 가진다.
제4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5)의 스레드형 부분은 임플란트(60)의 스레드형 개구(21)와 중앙 개구의 벽의 태핑된 부분(37)과 동시에 결합된다. 상기 형상에서, 치료 요소(10)는 임플란트(60)와 착탈식 지지부(2c, 2d) 사이에 끼워진다(sandwiched). 따라서, 그 밖의 다른 실시예들과는 달리, 상기 제4 실시예에서, 치아 복원용 조립체(1d)는 착탈식 지지부(2d), 치료 요소(10) 및 임플란트(60)가 함께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연결 부분(5)에 의해 형성된 단일의 나사를 포함한다. 또한, 수용 부분(4)의 보어는 밀봉 경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나사 헤드의 일치하는 형태의 원뿔형 지탱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원뿔형 지탱 표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나사 헤드와 원뿔형 지탱 표면은 밀봉 콘의 밀봉 기능을 충족한다. 상기 형상에서, 연결 부분(5)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나사는, 나사 헤드(41)가 보어의 원뿔형 지탱 표면에서 접할 때, 치료 요소(10)의 하측 부분(32)에 포함된 관통-개구(11)의 벽의 하나 이상의 스레드(34)가 상기 나사의 맞은편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의 스레드형 부분은 임플란트(60)와 하나 이상의 스레드(34)와 동시에 결합될 수 없다. "캡티브 조립체(captive assembly)"로도 지칭되는, 이러한 나사 조립체는 치료 요소(10)가 나사, 이 경우, 나사에 연결된 연결 부분(5)으로부터 실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조립체는 치료 요소(10)를 조작할 때 나사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상기 두 실시예들의 착탈식 지지부(2c, 2d)에서, 제1 구성요소(7a)의 내측면(9a)은 특히 치료 요소(10)의 돌출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기 위해 제공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전체 단부 표면(14)과 상기 단부 표면(14)에 인접한 횡방향 표면(13)의 일부를 덮기 위해 제공된다. 이 때, 내측면(9a)은 보어 따라서 연결 부분(5) 주위에 형성된 공동(26)을 포함하되, 돌출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를 가져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두 실시예들에서, 제2 구성요소(7b)는 기본적으로 원통형 형태를 가지고, 제1 실시예와 비슷하게, 수용 부분(4)에 크라운 보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요소를 보유하기 위해 복수의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거나 제공되지 않은 외측 표면을 포함한다.
연결 부분(5)을 형성하는 나사의 헤드는, 착탈식 지지부(2c, 2d)와 치료 요소(10)를 조립하기 위하여, 연결 부분(5)을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 내에 죄기 위하여, 적절한 공구, 가령, 스크루드라이버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5A 내지 5M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서, 착탈식 지지부(2e)는 일체형 부분이다. 착탈식 지지부(2e)에서, 수용 부분(4)의 제1 구성요소(7a)는 제2 구성요소(7b)를 연결 부분(5)에 연결시킨다. 상기 형상에서, 제2 구성요소(7b)는 축(A3)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구성요소(7b)는 기본적으로 원통형 형태를 가지고, 제1 실시예와 비슷하게, 수용 부분(4)에 크라운 보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요소를 보유하기 위해 복수의 요소들이 제공된 외측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고정 요소(24)는 지지부 및/또는 크라운 보철물의 최대 변경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마커일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지지부(2e)에서, 제1 구성요소(7a)에는 착탈식 지지부(2e)와 치료 요소(10) 사이의 경계면을 밀봉하고 착탈식 지지부(2e)와 치료 요소(10) 사이의 병진운동 유극을 0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치료 요소(10)의 원뿔형 지탱 표면(33)과 결합된 원추형 부분이 제공된다.
착탈식 지지부(2e)의 연결 부분(5)은, 착탈식 지지부(2e)가 치료 요소(10)에 조립될 때,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부분(5)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2개의 가요성 핀을 포함하는 제1 클리핑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 고정 요소(8)를 포함한다. 이 두 핀들은 재료로부터 움푹 들어감으로써 형성된 틈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다. 이러한 핀들은 이들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정지 위치로부터 제한 위치로 탄성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핀들은 각각 연결 영역(6)과 일치하는 형태, 가령 클립-온 고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연결 부분(5)은 착탈식 지지부(2e)를 치료 요소(10)에 적절하게 보유하기 위한 회전방지 요소(1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방지 요소(16)는, 착탈식 지지부(2e)가 치료 요소(10)에 조립될 때, 제2 클리핑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 영역(6) 위에,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의 벽을 향하는 연결 부분(5)의 외주벽의 부분에 형성된다.
도 6A 내지 6M에 도시된 제6 실시예에서, 착탈식 지지부(2f, 2g)는 제5 실시예의 착탈식 지지부와 실질적으로 비슷하다. 두 실시예 간의 유일한 차이점은 제6 실시예의 착탈식 지지부(2f, 2g)에는 관통-홀(19)이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상기 실시예에서, 착탈식 지지부(2f, 2g)는 착탈식 지지부(2f, 2g)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몸체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의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관통-홀(19)이 제공된 일체형 부분이다. 제2 구성요소(7b)에 형성된 착탈식 지지부(2f, 2g)의 관통-홀(19)의 부분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태핑된 벽을 포함한다. 상기 형상에서, 제1 클리핑 구성요소는 복수의 가요성 핀, 이 경우에서는, 2개의 가요성 핀을 포함하는 착탈식 지지부(2f, 2g)의 관통-홀(19)의 한 단부에 포함되어, 따라서, 관통-홀(19)의 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6 실시예에서, 치아 복원용 조립체(1f)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태를 가지며 제1 및 제2 단부가 제공된 몸체를 포함하는, 착탈식 지지부(2f, 2g)를 강화하기 위한 고정 요소(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요소(20a)는, 예를 들어, 도 1H, 6C, 6D 및 6K 내지 6M에 도시된 고정 요소(20a)와 실질적으로 비슷한, 샤프트와 헤드를 포함하는 나사일 수 있다. 상기 고정 요소(20a)의 헤드는 고정 요소(20a)의 몸체의 제1 단부에 포함되며, 수용 부분(4), 특히,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태핑된, 제2 구성요소(7b)에 형성된 관통-홀(19)의 벽과 결합될 수 있는 스레드형 부분을 포함한다. 실제로, 관통-홀(19)의 상기 벽은 하나 이상의 스레드(42a, 4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요소(2f)의 제1 변형예에서, 상기 벽은 제2 구성요소(7b)의 하측 부분(39a)에 형성된 단일의 스레드(42a)을 포함하고, 지지부(2g)의 제2 변형예에서는, 상기 벽은 각각 제2 구성요소(7b)의 하측 부분(39a)과 상측 부분(39b)에 배열된 2개의 스레드(42a, 42b)를 포함한다. 착탈식 지지부(2f, 2g)의 두 변형예에서, 관통-홀(19)의 상기 벽의 나머지 부분(42c)은 태핑되지 않는다. 이러한 고정 요소(20a)는, 제1 클리핑 구성요소의 가요성 핀들을 작동시켜서 이들이 정지 위치로부터 제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와 착탈식 지지부(2f, 2g)의 관통-홀(19)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치아 복원용 조립체(1f) 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제한 위치에 있으면, 상기 핀들의 큰 부분이 관통-개구(11)의 벽에 형성된 리세스에 배열되어 착탈식 지지부(2f, 2g)의 조립체가 치료 요소(10)와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심지어, 치료 요소(10)와 임플란트(60)에 의해 형성된 치료 조립체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개구(11)와 관통-홀(19)로부터 고정 요소(20a)를 제거하면, 핀들은 리세스로부터 부분적으로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고정 요소(20a)는,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를 통과하는 제2 단부가 치료 요소(10)를 임플란트(60)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나사(40)의 나사 헤드(41)에 형성된 하우징에 배열될 때까지, 관통-홀(19)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고정 요소(20a)가 치아 복원용 조립체(1f)에 배열되면, 상기 고정 요소(20a)의 몸체가 제한 위치에 고정된 가요성 핀들 사이에 포함된다. 상기 고정 요소(20a)가 도 1H, 6C, 6D, 6K 내지 6M에 도시된 나사에 상응하면, 제1 단부는 관통-홀(19) 내에 포함되고 제2 단부는 치료 요소(10)의 관통-개구(11), 특히, 치료 요소(10)를 임플란트(60)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나사(40)의 나사 헤드(41)에 형성된 하우징에 위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관통-홀(19)은 밀봉 경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나사 헤드의 일치하는 형태의 원뿔형 지탱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원뿔형 지탱 표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나사 헤드와 원뿔형 지탱 표면은 밀봉 콘의 밀봉 기능을 충족한다.
도 6K를 보면, 나사의 나사 헤드를 배열하여, 착탈식 지지부(2g)의 제2 변형예의 관통-홀(19)의 벽의 태핑되지 않은 부분(42c)에 고정 요소(20a)를 형성하는 것은 나사의 "캡티브 조립체"에 상응하는데, 이러한 나사 조립체는 착탈식 지지부(2g)가 나사로부터 실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조립체는 착탈식 지지부(2g)를 조작할 때 나사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착탈식 지지부(2a 내지 2g)는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연결 부분(5)과 수용 부분(4)의 제1 및 제2 구성요소(7a, 7b)들의 회전축(A2, A3, A4)와 일치하는 종축(A1)을 포함한다. 또한, 착탈식 지지부(2a 내지 2g의 상기 축(A1)은 치료 요소(10)의 축(18)과 임플란트(60)의 축(L)과 일치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착탈식 지지부(2a 내지 2g)는 의료용으로 사용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2a 내지 2g)는 변형을 용이하게 하고 크라운 보철물(25, 25')을 수용 부분(4)에 쉽게 접착하기 위하여, 폴리머 재료, 특히 재료에 따라, 가령, "PEEK", "PMMA" 또는 심지어 "POM"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변형예로서, 지지부는 금속, 예를 들어, 티타늄일 수 있거나, 또는 지르코늄 또는 세라믹일 수 있다. 착탈식 지지부(2a 내지 2g)는 기계가공에 의해 및/또는 몰딩에 의해 및/또는 재료를 추가함으로써, 달리 말하면 3차원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고정 요소(20a, 20b)도 폴리머 재료, 가령, "PEEK"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금속, 예를 들어, 티타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현하는 데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일시적인 및/또는 최종적인 크라운 보철물을 형성하는 데 관한 모든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크루-온(screw-on) 또는 클립-온 고정 메커니즘으로부터 치료 요소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지지부(2a 내지 2g)로부터, 임플란트를 포함하여 치아 복원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시간에서, 특히, 이러한 치아 복원 구현에 관한 치료에 필요한 시간에서, 환자의 구강에 임시 크라운 보철물을 형성하는 데 관한 것이다. 실제로, 지지부(2a 내지 2g)는, 지지부(2a 내지 2g) 및/또는 크라운 보철물의 변형 과정 또는 심지어 폴리싱 작업을 수행할 수 있거나 최종적인 크라운 보철물 형성에 관한 그 밖의 다른 작업들, 가령, 본을 뜨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착탈식 특징으로 인해, 치료 요소는 구강 내부에서 임플란트에 고정된 상태로 여전히 남이 있으면서도, 지지부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치료 요소와 지지부 사이의 연결은 상이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치료 요소는 암의 연결 부분(특히, 개구(11) 내부의)을 포함하고, 지지부는 상응하는 수의 연결 부분을 포함한다. 실제로, 치료 요소에서 수의 연결 부분은 단독으로는 구강 내에 유지되기에 적합하지 않은 단부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모든 실시예들에서, 지지부는 치료 요소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치료 요소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환자의 턱에 배열됨으로써, 이러한 지지부(2a 내지 2g), 뿐만 아니라 지지된 크라운 보철물(25, 25')은, 특히, 임플란트의 골-융합(osteo-integration) 상태 동안, 치아들이 서로 모이는(converging)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치아 사이에서 브레이스(brace)로서 작동시킴으로써, 인접한 치아가 제자리에 유지되는데 도움을 준다. 지지부가 고정 요소(20a), 가령, 나사에 의해 고정될 때, 보철물(25, 25')은 상기 고정 요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착탈식 지지부(2a 내지 2g)는 크라운 보철물이 형성될 때에도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의 형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도록 복원 부분들의 기하학적 형상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치아 복원의 마지막 상태가 구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그 비대칭성 특징으로 인해 정보가 임플란트의 배열방향과 직접 및 간접적으로 위치시키는 데 관해 자동으로 추론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착탈식 지지부(2a 내지 2g)는 치료 요소(10)의 점막경유 부분(transmucosal part)에 연조직(soft tissue)이 상피 결부(epithelial attachment)되어 보존될 수 있게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 임플란트를 구현하는 치아 복원 방법에서 이러한 크라운 보철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구현되는 그 밖의 방법들에 의해 손상될 수도 있다.
치료 요소(10)에 형성된 조립체, 지지부 및 이러한 지지부에 고정된 크라운 보철물은 최종적인 보철물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만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앞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조합한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에서 기술된 복원 방법을 구현하는 복원 시스템(restoration system)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원 시스템은, 앞에서 기술된 치아 복원용 조립체, 본을 뜨기 위한 요소, 특히, 스캐너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본을 뜨기 위한 요소, 및 치료 조립체의 해부학적 형태에 따라, 또는 마커를 식별함으로써, 치료 요소의 타입 및 임플란트의 위치와 치료 부위에 따라, 자동 식별을 위해 본을 뜬 이미지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복원 시스템은 제2 형상의 복원 조립체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제2 형상에서, 착탈식 지지부에 장착된 선택적인 보철물은 제거되고, 단일의 치료 조립체가 있는 구강 공간이 디지털화되어 있다(digitized).

Claims (26)

  1. 치아 임플란트(60)에 연결될 수 있는 치료 요소(10)를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로서, 치료 요소(10)는 치료될 때 잇몸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잇몸 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횡방향 표면(13), 및 횡방향 표면(13)의 한 부분과 함께, 하나 이상의 수직 중간 평면에 대해 비대칭이며 잇몸 외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돌출 표면을 형성하는 단부 표면(14)을 포함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는 크라운 보철물(25, 25')을 위한 수용 부분(4)과 치료 요소(10)에 제공된 관통-개구(11)에 형성된 연결 영역(6)과 결합될 수 있는 연결 부분(5)을 포함하는 착탈식 보철 지지부(2a, 2b, 2c, 2d, 2e, 2f, 2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2. 제1항에 있어서, 치료 요소(10)는, 착탈식 보철 지지부(2a, 2b, 2c, 2d, 2e, 2f, 2g)에 연결되는 제1 형상, 및 착탈식 보철 지지부(2a, 2b, 2c, 2d, 2e, 2f, 2g) 없이, 나사(40)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제2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3. 제2항에 있어서, 나사(40)의 제2 형상 헤드(41)는 치료 요소에 매립되고 치료 요소(10)의 단부면(14)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 구강 내부와 구강 외부를 향해 배열되도록 위치된 치료 요소(10)의 돌출 표면 부분들은 상이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요소(10)의 횡방향 표면(13)의 횡단방향 섹션 또는 치료 요소(10)의 돌출 표면의 평행 평면 상의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태 또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또는 삼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난형 형태, 또는 둥근 코너들을 가진 실질적으로 다각형 형태; 및/또는
    구강 내부를 향해 배열되도록 위치되는 부분보다 큰 구강 외부를 향해 배열되도록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치료 요소(10)의 돌출 표면 및/또는 단부 표면(14)은, 평평하지 않은 곡선 표면, 및/또는 볼록 표면, 및/또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거나; 또는
    나사(40)를 이용하여 치료 요소(10)가 고정될 때, 나사(40)의 헤드(41)에 의해 지지되는, 치료 요소(10)의 돌출 표면 및/또는 단부 표면(14)은, 연속 표면을 가지거나, 돌출 부분이 없거나, 및/또는 중공 부분이 없거나, 및/또는 리세스(recess)가 없거나, 및/또는 리지(ridge)가 없거나, 및/또는 거친 부분이 없거나, 및/또는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요소의 돌출 표면은 식별가능한 3차원 형태를 가지며, 자동으로 식별하고, 배열하거나, 및/또는 마커 없이, 임플란트를 배열하고 간접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식 지지부의 연결 부분(5)은 한 자유 단부에서 고정 요소(8), 가령, 제1 클리핑 구성요소 또는 스레드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요소는 기계적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치료 요소(10)의 연결 영역(6)과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요소(10)의 연결 영역(6)은:
    제2 클리핑 구성요소, 특히, 관통-개구(11)의 벽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클리핑 구성요소는 제1 클리핑 구성요소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또는
    관통-개구(11)의 벽에 형성된 태핑된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태핑된 부분은 연결 부분(5)의 고정 요소(8)의 스레드형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식 지지부(2a, 2b, 2c, 2d)의 수용 부분(4)은 치료 요소(10)의 돌출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내측면(9a)이 제공된 제1 구성요소(7a) 및 상기 제1 구성요소(7a)의 외측면(9b)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구성요소(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1. 제10항에 있어서, 연결 부분(5)은 제1 구성요소(7a)의 내측면(9a)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2. 제11항에 있어서, 내측면(9a)은 연결 부분(5) 주위에 형성된 공동(26)을 포함하되, 치료 요소(10)의 돌출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를 가져서,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식 지지부(2e, 2f, 2g)의 수용 부분(4)은 수용 부분(4)의 제2 구성요소(7b)를 연결 부분(5)과 연결하는 제1 구성요소(7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e, 1f).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구성요소(7a)에는 착탈식 지지부(2e, 2f, 2g)와 치료 요소(10) 사이의 경계면을 밀봉하고 착탈식 지지부(2e, 2f, 2g)와 치료 요소(10) 사이의 병진운동 유극을 0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치료 요소(10)의 원뿔형 지탱 표면과 결합된 원추형 부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e, 1f).
  15. 제1항 내지 제10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분(5)에는 착탈식 지지부(2e, 2f, 2g)를 치료 요소(10)에 고정하기 위해 회전방지 요소(1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e, 1f).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식 지지부(2a, 2f, 2g)는 착탈식 지지부(2a, 2f, 2g)의 한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f).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아 복원용 조립체는 고정 요소(20a, 20b)를 포함하되, 고정 요소의 제1 단부는 착탈식 지지부(2a, 2f, 2g)의 수용 부분(4), 특히,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태핑된 수용 부분(4)의 제2 구성요소(7b)에 형성된 관통-홀(19)의 벽과 결합될 수 있는 스레드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f).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아 복원용 조립체는 고정 요소(20a, 20b)를 포함하되, 고정 요소의 제2 단부는 착탈식 지지부(2a, 2f, 2g)의 연결 부분(5), 특히, 제1 클리핑 구성요소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f).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식 지지부의 수용 부분(4)의 제2 구성요소(7b)는 외측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 표면은 크라운 보철물(25, 25')을 상기 외측 표면에 결합하기 위한 요소, 특히, 접착제를 보유하기 위한 복수의 요소(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e, 1f).
  20. 제19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 요소(24)는 크라운 보철물(25, 25')의 최대 변경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e, 1f).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식 지지부(2a, 2b, 2c, 2d, 2e, 2f, 2g)는 폴리머 재료, 특히 "PEEK", "PMMA" 또는 심지어 "POM"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식 지지부(2a, 2b, 2c, 2d, 2e, 2f, 2g)는 기계가공에 의해 및/또는 몰딩에 의해 및/또는 재료를 추가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착탈식 지지부(2a, 2b, 2c, 2d, 2e, 2f, 2g)의 종축(A1)이 연결 부분(5)과 수용 부분(4)의 제1 및 제2 구성요소(7a, 7b)들의 회전축(A2, A3, A4)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식 지지부(2a, 2b, 2c, 2d, 2e, 2f, 2g)는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종축(A1)을 포함하되, 상기 종축(A1)은 치료 요소(10)의 한 축(18)과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b, 1c, 1d, 1e, 1f).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식 지지부는 일체형 부분(2a, 2b, 2e, 2f, 2g)이거나 및/또는 치료 요소(10)는 일체형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용 조립체(1a, 1d, 1e, 1f).
  26. 치아 복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복원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아 복원용 조립체, 본을 뜨기 위한 요소, 특히, 스캐너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본을 뜨기 위한 요소, 및 치료 조립체의 해부학적 형태에 따라, 또는 사용되는 치료 요소의 타입의 하나 이상의 마커를 식별함으로써, 자동 식별을 위해 디지털 방식으로 본을 뜬 이미지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 시스템은 제2 형상의 복원 조립체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제2 형상에서, 오직 치료 조립체가 구강 공간에서 디지털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복원 시스템.
KR1020207000522A 2017-06-20 2018-06-18 치아 복원용 조립체 KR102612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5618A FR3067586B1 (fr) 2017-06-20 2017-06-20 Ensemble de restauration dentaire temporaire
FR1755618 2017-06-20
FR1760122A FR3067588B1 (fr) 2017-06-20 2017-10-27 Ensemble de restauration dentaire
FR1760122 2017-10-27
PCT/EP2018/066133 WO2018234247A1 (fr) 2017-06-20 2018-06-18 Ensemble de restauration dent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784A true KR20200020784A (ko) 2020-02-26
KR102612186B1 KR102612186B1 (ko) 2023-12-08

Family

ID=5940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522A KR102612186B1 (ko) 2017-06-20 2018-06-18 치아 복원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282901A1 (ko)
EP (1) EP3641692B1 (ko)
KR (1) KR102612186B1 (ko)
CN (1) CN110996839A (ko)
AU (1) AU2018286880B2 (ko)
BR (1) BR112019027315B1 (ko)
ES (1) ES2965217T3 (ko)
FR (2) FR3067586B1 (ko)
IL (1) IL271490B1 (ko)
MA (2) MA49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571A (ko) * 2020-11-13 2022-05-20 채희진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3473B8 (en) * 2018-05-16 2024-01-03 Institut Straumann AG Gingiva former, arrangement and dental healing system
ES1220239Y (es) * 2018-10-01 2019-02-07 Terrats Medical S L Pieza de capuchón para escaneado dental
US11666420B2 (en) * 2018-12-21 2023-06-06 National Dentex, Llc Dental abutment cap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592A (en) * 1996-05-06 1998-09-22 Daftary; Fereidou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healing abutment member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US20010000748A1 (en) * 1997-10-03 2001-05-03 Rogers Dan Paul Single-stage implant system
KR101154221B1 (ko) * 2003-11-04 2012-06-18 프리아덴트 게엠베하 치아 임플란트 요소
WO2014081843A1 (en) * 2012-11-20 2014-05-30 Advanced Implant Intellectual Properties, Llc Universal aligning adaptor system and methods
KR20140113928A (ko) * 2011-12-29 2014-09-25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아이 엠에이에스 디, 에스. 엘. 치아 보철물용 내부 서포트로서 기능하는 금속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2476A (en) * 1992-06-29 1997-09-02 Nobel Biocare Ab Prosthetic implant restoration method
US5431567A (en) * 1993-05-17 1995-07-11 Daftary; Fereidou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various shaped healing cap assembly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US5527182A (en) * 1993-12-23 1996-06-18 Adt Advanced Dental Technologies, Ltd.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CN2216818Y (zh) * 1994-10-10 1996-01-10 刘华松 中空柱状组合式牙齿种植体
US6250922B1 (en) * 1998-07-30 2001-06-26 Sulzer Dental Inc. Two-piece dental abutment with removable cuff
US7080979B2 (en) * 2001-04-13 2006-07-25 Orametrix, Inc. Method and workstation for generating virtual tooth models from three-dimensional tooth data
EP1809201A1 (en) * 2004-09-23 2007-07-25 L P M Dental Development Ltd. Temporary dental prosthesis
CN101370441B (zh) * 2005-10-24 2013-11-13 拜奥美特3i有限责任公司 制造牙科植入物元件的方法
KR100677870B1 (ko) * 2006-05-29 2007-02-02 주식회사 메가젠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0841218B1 (ko) * 2007-03-30 2008-06-26 이상직 임플란트 장치
KR20090110136A (ko) * 2008-04-17 2009-10-21 이도상 힐링 커버를 갖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힐링 어버트먼트
CA2732090A1 (en) * 2008-07-24 2010-01-28 Pinchas Kfir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ation
KR101108280B1 (ko) * 2011-04-20 2012-01-31 김용상 임플란트
US20130196290A1 (en) * 2011-05-16 2013-08-01 Biomet 3I, Llc Healing Abutment Assembly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KR101296741B1 (ko) * 2011-11-25 2013-08-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힐링 어버트먼트
BR112014013654B1 (pt) * 2011-12-07 2020-12-08 3Shape A/S método implementado para computador para projetar um modelo virtual de um suporte personalizado para uso na projeção de um conjunto protético dental virtual, e interface de usuário
US9089382B2 (en) * 2012-01-23 2015-07-28 Biomet 3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spatial gingival soft tissue relationship to implant placement within alveolar bone for immediate-implant placement
US9452029B2 (en) * 2012-12-11 2016-09-27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GB2509135A (en) * 2012-12-21 2014-06-25 Nobel Biocare Services Ag An abutment with conical metal adapter
US9629696B2 (en) * 2013-06-07 2017-04-25 Paul Ouellette Hybrid temporary anchorage device impla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160324602A1 (en) * 2013-12-30 2016-11-10 Olista Ag Abutment system for immediate implants
US10016256B2 (en) * 2014-03-07 2018-07-10 Earl Wayne Simmons, Jr.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dental implant site
DE102014106076A1 (de) * 2014-04-30 2015-11-05 Michael Augthun Zahnmedizinisches Implantat
CN107106266A (zh) * 2014-10-29 2017-08-29 阿曼德·斯特默 牙齿修复用愈合组合件
KR101546531B1 (ko) * 2015-01-19 2015-08-25 주식회사 디맥스 디지털 힐링 어버트먼트
FR3036032B1 (fr) * 2015-05-12 2020-05-29 Biotech Dental Pilier dentaire a frein de vis et prothese dentaire utilisant un tel pili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592A (en) * 1996-05-06 1998-09-22 Daftary; Fereidou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healing abutment member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US20010000748A1 (en) * 1997-10-03 2001-05-03 Rogers Dan Paul Single-stage implant system
KR101154221B1 (ko) * 2003-11-04 2012-06-18 프리아덴트 게엠베하 치아 임플란트 요소
KR20140113928A (ko) * 2011-12-29 2014-09-25 바이오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아이 엠에이에스 디, 에스. 엘. 치아 보철물용 내부 서포트로서 기능하는 금속 구조체
WO2014081843A1 (en) * 2012-11-20 2014-05-30 Advanced Implant Intellectual Properties, Llc Universal aligning adaptor system and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571A (ko) * 2020-11-13 2022-05-20 채희진 다중 피스 형태의 임플란트 보철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67588B1 (fr) 2023-08-04
FR3067588A1 (fr) 2018-12-21
EP3641692C0 (fr) 2023-09-06
AU2018286880A1 (en) 2020-01-16
FR3067586A1 (fr) 2018-12-21
MA49439A (fr) 2021-03-17
AU2018286880B2 (en) 2023-11-23
IL271490B1 (en) 2024-07-01
EP3641692B1 (fr) 2023-09-06
ES2965217T3 (es) 2024-04-11
CN110996839A (zh) 2020-04-10
EP3641692A1 (fr) 2020-04-29
MA49440B1 (fr) 2023-12-29
MA49440A (fr) 2021-03-17
BR112019027315B1 (pt) 2022-12-06
BR112019027315A2 (pt) 2020-07-21
FR3067586B1 (fr) 2021-11-12
MA49439B1 (fr) 2023-12-29
US20210282901A1 (en) 2021-09-16
IL271490A (en) 2020-02-27
KR102612186B1 (ko)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US20200306014A1 (en) Dental implant
ES2356892T3 (es) Coronamiento de impresiones de acoplamiento a presión.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2612186B1 (ko) 치아 복원용 조립체
KR100677870B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539089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 방법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20030089602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20150014947A (ko) 치과 보철 시스템
KR101472570B1 (ko) 픽스츄어의 방향성 및 위치 식별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20200082806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EP3585300B1 (en) Dental technology kit
KR20120017951A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ES2965219T3 (es) Elemento de cicatrización dental
KR102653126B1 (ko) 치아 수복 방법
KR10106748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KR20028684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KR101435551B1 (ko)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