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256A -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 Google Patents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256A
KR20200015256A KR1020180090854A KR20180090854A KR20200015256A KR 20200015256 A KR20200015256 A KR 20200015256A KR 1020180090854 A KR1020180090854 A KR 1020180090854A KR 20180090854 A KR20180090854 A KR 20180090854A KR 20200015256 A KR20200015256 A KR 20200015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transverse
piloti
load transf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8002B1 (ko
Inventor
김승일
이상진
구정모
최영락
서보성
한성준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0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0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면의 벽체를 분할하여 이격 배치하되 상부구조물의 분할된 횡방향 외부 벽체의 직하부에 필로티층의 횡방향 필로티 벽체를 배치함으로써, 하중 전이 부재 없이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필로티 벽체로 직접 전달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공기 단축 및 경제성 향상이 가능한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는 필로티층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세대층이 수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부구조물이 구비된 공동주택건물에서, 상기 단위 세대층의 전후면 외곽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횡방향 외부 벽체; 및 상기 횡방향 외부 벽체 하부의 필로티층으로 연장 형성되어 횡방향 외부 벽체를 지지하는 횡방향 필로티 벽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Wall type piloti structure of apartment buildings without load transfer}
본 발명은 전후면의 벽체를 분할하여 이격 배치하되 상부구조물의 분할된 횡방향 외부 벽체의 직하부에 필로티층의 횡방향 필로티 벽체를 배치함으로써, 하중 전이 부재 없이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필로티 벽체로 직접 전달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공기 단축 및 경제성 향상이 가능한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에 대한 것이다.
공동주택 등의 시공시 상부는 일반적인 공동주택 구조 양식인 벽식 구조를 채택하되 하부층에서는 개방감을 확보하기 위해 라멘조로 구성하는 구조 형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벽식 구조에서 라멘 구조로 바뀌는 부분에는 하중 전이를 위해 하부 필로티층 상부에 두께 2m 이상의 춤이 큰 전이보(transfer girder)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이보는 크기가 매우 크므로, 철근 배근이나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 타설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전체 공기가 지연되고, 소요 자재 물량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전이보에서는 응력의 흐름이 급격하게 변화하므로, 전이보의 대부분 구역에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철근 배근량이 과도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강성이 큰 전이보 하부에 수직 부재가 일체로 연결되어 구속되므로, 수직 부재에도 역시 과도한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철근 배근량이 증가한다.
또한, 전이보에 큰 하중이 작용하면 전이보의 변형이 불가피한데, 이 경우 전이보 상부층 세대 발코니에 수직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하여 창호 에폭시가 들뜨는 등 하자 발생의 우려가 있다.
아울러 공동주택은 일반적으로 갱 폼 등과 같은 대형 폼을 사용하여 시공을 하는데, 종래 필로티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라멘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대형폼을 사용할 수 없어 비효율적이다.
상기와 같은 전이보 시공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제10-1643584호에서는 기존의 전이보를 제거하고 필로티층 상부 벽체 전체를 전이 부재로 구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도 1).
그러나 상기 등록기술의 경우에도 필로티 상부 벽체에서 하중 전이가 발생하여 벽체에 과도한 응력 집중이 발생하고, 필로티 기둥이 강성이 강한 전이 벽체에 연결되므로 필로티 기둥에도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철근 배근량이 과도해 질 수밖에 없다.
또한, 두께가 얇은 벽체가 전이보의 역할을 하는데다 중간에 횡방향 지지 부재가 없어 약축 방향 강성이 약하여 전이 부재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중 전이 부재 자체를 제거하고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필로티 벽체로 직접 전달할 수 있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필로티층 시공을 쉽고 용이하게 하여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필로티층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세대층이 수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부구조물이 구비된 공동주택건물에서, 상기 단위 세대층의 전후면 외곽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횡방향 외부 벽체; 및 상기 횡방향 외부 벽체 하부의 필로티층으로 연장 형성되어 횡방향 외부 벽체를 지지하는 횡방향 필로티 벽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단위 세대층에는 상기 횡방향 외부 벽체와 동일한 열에 종방향으로 복수의 종방향 벽체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 벽체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종방향 벽체를 지지하는 종방향 필로티 벽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필로티층 상부의 횡방향 외부 벽체 사이에는 슬래브와 상부로 돌출되는 난간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로연결벽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가로연결벽은 난간벽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슬래브 하부로 돌출되는 수벽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가로연결벽의 내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근 및 상기 복수의 주근을 감싸는 스터럽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횡방향 필로티 벽체의 폭은 횡방향 외부 벽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횡방향 외부 벽체와 횡방향 필로티 벽체의 경계 부위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횡방향 외부 벽체와 횡방향 필로티 벽체의 축에 평행하고 중앙부는 기울어진 옵셋철근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하부 구조물의 형식이 바뀌는 공동주택건물에서, 전후면의 벽체를 분할하여 이격 배치하되 상부구조물의 분할된 횡방향 외부 벽체의 직하부에 필로티층의 횡방향 필로티 벽체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필로티층의 수직 부재에 직접 전달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번거롭고 공기가 오래 소요되는 전이 부재의 설치가 필요 없고, 하중 전달 경로가 간단하여 설계 및 시공이 용이하며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둘째, 하중 전이 없이 수직 하중이 하부 필로티층으로 자연스럽게 전달되므로, 발코니 측 상대수직변위가 거의 없어 하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필로티층의 외곽에 배치되는 횡방향 필로티 벽체가 상부구조물의 횡방향 외부 벽체와 연속되므로, 조기에 대형폼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 필로티층 상부에 전이 벽체가 구비된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필로티층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필로티층의 상부층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적용시 수직 하중의 흐름을 나타내는 입면도.
도 6의 (a)와 (b)는 각각 종래 전이보 형식과 본 발명 벽식 필로티 구조 형식에서 중력 하중에 대한 수직변위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a)와 (b)는 각각 종래 전이보와 본 발명 벽식 필로티 구조의 가로연결벽의 응력 집중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의 (a)와 (b)는 각각 종래 전이보 형식과 본 발명 벽식 필로티 구조 형식에서 발코니 전후면 벽체의 응력 집중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가로연결벽의 철근 배근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횡방향 외부 벽체와 횡방향 필로티 벽체 경계의 철근 배근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필로티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는 필로티층의 상부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 적용시 수직 하중의 흐름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는 필로티층(2)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세대층(30)이 수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부구조물(3)이 구비된 공동주택건물(1)에서, 상기 단위 세대층(30)의 전후면 외곽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횡방향 외부 벽체(31); 및 상기 횡방향 외부 벽체(31) 하부의 필로티층(2)으로 연장 형성되어 횡방향 외부 벽체(31)를 지지하는 횡방향 필로티 벽체(21);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부 구조물의 형식이 바뀌는 부분에 위치하는 하중 전이 부재를 제거하고 상부구조물(3)의 하중을 필로티 벽체로 직접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필로티층(2)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공동주택건물(1)은 하부의 필로티층(2)과 상부의 상부구조물(3)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구조물(3)은 복수의 단위 세대층(30)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단위 세대층(30)의 전면과 후면 외곽에는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의 횡방향 외부 벽체(31)가 배치된다.
여기에서 횡방향은 도면상 가로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종방향은 도면상 세로 방향, 즉 필로티층(2) 관통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필로티층(2)에는 횡방향 외부 벽체(3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횡방향 외부 벽체(31)를 지지하는 횡방향 필로티 벽체(21)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동주택건물(1) 전후면의 벽체를 분할하여 이격 배치하고, 분할된 횡방향 외부 벽체(31)의 직하부에 횡방향 필로티 벽체(21)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부구조물(3)의 하중을 전이 부재에 의해 전이하여 필로티층(2)의 수직 부재에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구조물(3)의 수직 부재 하중을 직접 필로티층(2)의 수직 부재에 전달한다.
그러므로 하중 전이가 없어, 시공이 번거롭고 공기가 오래 소요되는 전이 부재의 설치가 필요 없고 하중 전달 경로가 간단하여 설계 및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하중 전이 없이 수직 하중이 자연스럽게 하부 필로티층(2)으로 전달되므로, 발코니 측 상대수직변위가 거의 없어 하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필로티층(2)의 외곽에 배치되는 횡방향 필로티 벽체(21)가 상부구조물(3)의 횡방향 외부 벽체(31)와 연속되므로, 조기에 대형 폼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상기 단위 세대층(30)에는 상기 횡방향 외부 벽체(31)와 동일한 열에 종방향으로 복수의 종방향 벽체(32)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 벽체(32)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종방향 벽체(32)를 지지하는 종방향 필로티 벽체(22)가 배치될 수 있다.
필로티 구조는 개방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필로티층(2) 내부의 수직 부재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지 않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단위 세대층(30) 평면에서 종방향 벽체(32)를 횡방향 외부 벽체(31)와 같은 열에 배치하면서 내력벽을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필로티층(2) 역시 종방향 벽체(32)와 연속되도록 종방향 필로티 벽체(22)를 구성함으로써, 전후면이 개방되어 개방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필로티층(2)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부구조물(3)의 단위 세대층(30)에서 벽체를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하면,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평면 가변성이 우수하며, 슬래브를 일방향 슬래브로 배근하여 철근량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이보에 의해 상하부 구조물이 분리된 종래의 필로티 구조와 달리 하부에 위치하는 필로티층(2)의 배치를 고려하여 상부구조물(3)의 단위 세대층(30)의 평면 형태를 결정한다. 그리고 이를 하부의 필로티층(2)으로 확장함으로써 상부구조물(3)은 물론 하부 필로티층(2)을 구조적으로 매우 효율적이고 시공이 용이한 구조물로 형성한다.
도 2,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로티층(2) 상부의 횡방향 외부 벽체(31) 사이에는 슬래브(33)와 상부로 돌출되는 난간벽(3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로연결벽(3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로연결벽(34)은 횡하중에 대해 서로 분리되어 이격 배치되는 횡방향 외부 벽체(31)의 하중을 다이어프램(diaphragm) 역할을 하는 슬래브(33)에 전달한다.
상기 가로연결벽(34)은 횡방향 외부 벽체(31)를 지지하고, 슬래브(33)는 가로연결벽(34)의 횡력을 지지한다(도 5).
또한, 상기 가로연결벽(34)은 횡방향 외부 벽체(31)와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의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분산시킨다.
이때, 상기 가로연결벽(34)은 난간벽(341)을 활용할 수 있다.
기존 발코니 난간벽은 하중을 부담하는 구조재가 아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난간벽(341)을 구조재로 활용함으로써 응력 집중 없이 하중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종래 전이보 형식과 본 발명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형식에 대한 구조프로그램 해석 결과가 도시된다.
먼저, 도 6의 (a)와 (b)는 각각 종래 전이보 형식과 본 발명 벽식 필로티 구조 형식에서 중력 하중에 대한 수직변위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이보 형식에서는 필로티 상부 세대의 전후면 발코니 측에 큰 상대수직변위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는 필로티 상부 세대의 전후면 발코니 측 상대수직변위가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a)와 (b)는 각각 종래 전이보와 본 발명 벽식 필로티 구조의 가로연결벽의 응력 집중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이보 형식에서는 전이보 대부분 구역에서 응력 집중 현상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는 가로연결벽(34)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 현상이 미미하다.
도 8의 (a)와 (b)는 각각 종래 전이보 형식과 본 발명 벽식 필로티 구조 형식에서 발코니 전후면 벽체의 응력 집중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이보 형식에서는 전이보에 정착된 벽체에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는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에 응력 집중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도 9는 가로연결벽의 철근 배근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연결벽(34)은 난간벽(341)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슬래브(33) 하부로 돌출되는 수벽(342)이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래브(33)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수벽(袖壁, 342)은 구조체로 활용 가능하다.
상기 수벽(342) 형성에 의하여 수직 부재의 횡력을 슬래브(33)로 전달하고 응력을 분산하는 가로연결벽(34)의 폭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아프램 역할을 하는 슬래브(33)가 가로연결벽(34)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가로연결벽(34)의 응력을 편심 없이 슬래브(33)에 안정적으로 전달하며, 가로연결벽(34)의 약축 방향 강성을 증대하여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로연결벽(34)의 내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근(343) 및 상기 복수의 주근(343)을 감싸는 스터럽(344)이 배근될 수 있다.
일반적인 난간벽(341)은 수직 철근이 주근이 된다. 즉, 벽 배근으로 철근이 배근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난간벽(341)을 포함한 가로연결벽(34)이 횡방향 외부 벽체(31)의 횡력을 슬래브(33)에 전달하고, 벽체 접합부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수평 철근이 주근(343)이 되는 보 배근으로 철근을 배근한다.
상기 난간벽(341)은 전단력을 전달하여야 하므로 가로연결벽(34)의 내부에는 복수의 주근(343)을 감싸는 스터럽(344)을 배근할 수 있다.
상기 난간벽(341) 및 난간벽(34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수벽(342)으로 구성된 가로연결벽(34)은 세장하여 압축 하중 작용시 면외 방향으로 횡좌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슬래브(33)가 가로연결벽(34)의 중간을 횡지지하여 횡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슬래브(33)와 가로연결벽(34)을 구조적으로 일체화하는 횡지지철근(345)를 슬래브와 가로연결벽(34)의 접합부에 배근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높이가 높은 가로연결벽(34)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균열 방지 철근(346)을 추가로 배근할 수 있다.
도 10은 횡방향 외부 벽체와 횡방향 필로티 벽체 경계의 철근 배근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의 폭은 횡방향 외부 벽체(31)의 폭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인 벽식 구조의 공동주택은 내력벽체가 공간 구획의 역할도 하도록 설계되어 벽체 개소가 많다. 이에 따라 건물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벽체의 수보다 실제 벽체량이 훨씬 초과되게 설계된다.
그러므로 개방 면적을 최대로 해야 하는 필로티층(2)은 횡방향 외부 벽체(31) 전체를 하부의 필로티층(2)까지 연장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횡방향 외부 벽체(31)는 일부만을 하부까지 연장시켜 횡방향 필로티 벽체(21)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필로티층(2)의 개방 면적을 최대화하도록 한다.
물론, 구조해석 결과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에 작용하는 하중이 클 경우 등 필요한 경우에는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 가능하다.
한편, 종방향 필로티 벽체(22)의 면적은 필로티층(2)의 전면 개방 면적과 무관하므로 해당 벽체의 폭을 좁게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 외부 벽체(31)와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의 경계 부위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횡방향 외부 벽체(31)와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의 축에 평행하고 중앙부는 기울어진 옵셋철근(23)이 배근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구조물(3)의 수직 부재 하중을 필로티층(2)의 수직 부재에 직접 전달하므로, 횡방향 외부 벽체(31)와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의 경계 부위에서 수직 철근을 겹침 이음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하 수직 벽체의 폭이 변하는 경우에는 상하 수직 벽체의 수직 철근을 직접 겹침 이음하기 어렵다.
따라서 횡방향 외부 벽체(31)와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의 경계 부위에 옵셋철근(23)을 설치하여 힘의 흐름이 원활히 일어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셋철근(23)의 굽힘부에서 철근이 원활하게 응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수평지지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띠철근이나 나선철근과 같은 횡보강 철근을 사용하여 옵셋철근(23)의 굽힘부에서 수평력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옵셋철근(23)은 기울기를 1/6 이하로 완만하게 구성하여 수직 응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공동주택건물
2: 필로티층
21: 횡방향 필로티 벽체
22: 종방향 필로티 벽체
23: 옵셋철근
3: 상부구조물
30: 단위 세대층
31: 횡방향 외부 벽체
32: 종방향 벽체
33: 슬래브
34: 가로연결벽
341: 난간벽
342: 수벽
343: 주근
344: 스터럽
345: 횡지지철근
346: 균열 방지 철근

Claims (7)

  1. 필로티층(2)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세대층(30)이 수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부구조물(3)이 구비된 공동주택건물(1)에서,
    상기 단위 세대층(30)의 전후면 외곽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횡방향 외부 벽체(31); 및
    상기 횡방향 외부 벽체(31) 하부의 필로티층(2)으로 연장 형성되어 횡방향 외부 벽체(31)를 지지하는 횡방향 필로티 벽체(21);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단위 세대층(30)에는 상기 횡방향 외부 벽체(31)와 동일한 열에 종방향으로 복수의 종방향 벽체(32)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 벽체(32)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종방향 벽체(32)를 지지하는 종방향 필로티 벽체(2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필로티층(2) 상부의 횡방향 외부 벽체(31) 사이에는 슬래브(33)와 상부로 돌출되는 난간벽(3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로연결벽(3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가로연결벽(34)은 난간벽(341)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슬래브(33) 하부로 돌출되는 수벽(342)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가로연결벽(34)의 내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근(343) 및 상기 복수의 주근(343)을 감싸는 스터럽(344)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6. 제1항에서,
    상기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의 폭은 횡방향 외부 벽체(31)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7. 제6항에서,
    상기 횡방향 외부 벽체(31)와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의 경계 부위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횡방향 외부 벽체(31)와 횡방향 필로티 벽체(21)의 축에 평행하고 중앙부는 기울어진 옵셋철근(23)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KR1020180090854A 2018-08-03 2018-08-03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KR10222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854A KR102228002B1 (ko) 2018-08-03 2018-08-03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854A KR102228002B1 (ko) 2018-08-03 2018-08-03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256A true KR20200015256A (ko) 2020-02-12
KR102228002B1 KR102228002B1 (ko) 2021-03-12

Family

ID=6956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854A KR102228002B1 (ko) 2018-08-03 2018-08-03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0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510A (ja) * 2005-06-07 2006-12-21 Takenaka Komuten Co Ltd 連層耐震壁
JP2008223370A (ja) * 2007-03-14 2008-09-25 Haneda Concrete Industrial Co Ltd 隅角部の剛結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510A (ja) * 2005-06-07 2006-12-21 Takenaka Komuten Co Ltd 連層耐震壁
JP2008223370A (ja) * 2007-03-14 2008-09-25 Haneda Concrete Industrial Co Ltd 隅角部の剛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002B1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147B2 (en) Building system using modular precast concrete components
US4646495A (en) Composite load-bearing system for modular buildings
US20030084629A1 (en) Ring beam/lintel system
KR101191502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 및 엔드빔을 이용한 구조 시스템
EP2076637B1 (en) Building floor structure comprising framed floor slab
KR101547540B1 (ko) 이형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h형강 빔
RU2441965C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каркасно-стеновой конструктивной системы из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а
KR101407816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20200015256A (ko) 하중 전이 없는 공동주택 벽식 필로티 구조
KR101833949B1 (ko)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JP6634259B2 (ja) 柱梁架構
JP3754612B2 (ja) 集合住宅
CN210529916U (zh) 低层装配式钢砼结构建筑
JP3187977U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純ラーメンフレーム構造による板状型住宅建築物
CN110616851A (zh) 一种带平托柱帽的有梁楼盖装置及其施工方法
KR20160149087A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Kamara et al.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evolution of two-way slab design
CN220814238U (zh) 一种装配式钢箱梁结构框架
WO2012072671A1 (en) A composite beam flooring system
KR101165443B1 (ko) 층고저감형 바닥구조
KR102209700B1 (ko)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프리캐스트형 중공슬래브 시공방법 및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시스템
KR20220010942A (ko) 필로티층 형성을 위한 공동주택 외벽 구조
KR100585850B1 (ko) 전이층을 생략할 수 있는 캔틸레버 벽식구조를 포함하는복합구조
KR101216734B1 (ko) 표준규격 안전발판 설치용 서포트모듈 및 상기 모듈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서포트모듈시스템
JP2018123636A (ja) 建物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