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457A -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457A
KR20200013457A KR1020180088677A KR20180088677A KR20200013457A KR 20200013457 A KR20200013457 A KR 20200013457A KR 1020180088677 A KR1020180088677 A KR 1020180088677A KR 20180088677 A KR20180088677 A KR 20180088677A KR 20200013457 A KR20200013457 A KR 20200013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nveyor belt
housing
move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832B1 (ko
Inventor
김태광
Original Assignee
유주티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주티엔씨(주) filed Critical 유주티엔씨(주)
Priority to KR102018008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8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8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guiding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피이송물을 탑재하고, 저면에 휠(11)(12)을 갖춘 트레이(10); 상기 트레이(10)의 이동을 유발하도록 하우징(21) 상에 가이드레일(23)과 이송벨트(25)를 구비하는 단위이송체(20); 상기 단위이송체(20)를 복수로 연결하여 설정된 이동 경로를 유지하는 연결수단(30); 및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상에서 트레이(10)의 이동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협소한 영역에 배치 가능하고 다수의 트레이를 순환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속도의 향상과 더불어 정확성을 높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Conveyor belt apparatus for narrow space}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간적으로 협소한 영역에서 다수의 트레이를 순환적으로 이송하는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수의 약품을 취급하는 현장에서 좁고 긴 용기에 담긴 약품을 트레이에 거치하고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이송한다. 약품이 설정된 순환 경로로 이송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방향전환이 가능한 곡선형 컨베이어를 코너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의 여건상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곡선형 컨베이어가 적합하지 않기도 하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하기의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3869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79229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양단에 풀리를 갖는 수평축이 설치된 회전몸체; 수평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1,2롤러 및 이에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는 평벨트로 구성된 롤러켄베이어; 회전몸체의 중심부에 설치되면서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에, 이송물의 흐름방향을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전환시켜 작업능률을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다양한 방향으로 보내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의 구성이 복잡화되고 이송 속도를 높이는 경우 작동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선행문헌 2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과, 회전축과 그 양단에 구비되는 제1풀리 및 제2풀리로 이루어지는 회전수단, 및 회전벨트부를 포함하고, 교차하는 프레임의 말단부 코너에 회전지지부와 가이드판이 구비된다. 이에, 이송방향 전환장치의 배제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방향 전환이 자유로우며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협소한 공간에서 개별 물품을 이송하기에 적합하므로 다수의 약품을 트레이로 신속하게 이송하는 용도에 적용하기 위한 개선의 여지가 크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3869호 "컨베이어의 방향 전환장치" (공개일자 : 2004.06.2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79229호 "이송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시스템" (공개일자 : 2010.06.24.)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적으로 협소한 영역에 배치 가능하고 다수의 트레이를 순환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속도를 향상하면서도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피이송물을 탑재하고, 저면에 휠을 갖춘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유발하도록 하우징 상에 가이드레일과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단위이송체; 상기 단위이송체를 복수로 연결하여 설정된 이동 경로를 유지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상에서 트레이의 이동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트레이는 휠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 상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단위이송체는 하우징 상에서 대향하는 일측 및 타측 가이드레일을 위치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연결수단은 L자형으로 인접한 단위이송체 간에 통로를 형성하는 유도홈, 유도홈의 저면에 휠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유도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조절수단은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어 휠의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트레이의 경사운동을 유발하는 경사캠,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어 휠의 이동을 단속하는 스토퍼 중에서 2개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적으로 협소한 영역에 배치 가능하고 다수의 트레이를 순환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속도의 향상과 더불어 정확성을 높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위이송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 설치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 무한순환 방식으로 피이송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4각형의 경로로 피이송물이 무한순환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면에 휠(11)(12)을 갖춘 트레이(10)가 복수의 피이송물을 탑재하는 구조이다. 피이송물은 좁고 긴 용기에 담긴 약품을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트레이(10)의 상부는 다수의 용기를 일렬로 수용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트레이(10)의 하부에는 전방휠(11)과 후방휠(12)이 각각의 수직축을 개재하여 결합된다. 전방휠(11)과 후방휠(12)은 후술하는 가이드레일(23)에 수용되면서 이송벨트(25) 상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력을 받는다. 이와 같이 좁고 긴 형태의 트레이(10)는 후술하는 여타의 구성과 연계되지 않으면 협소한 공간에서 무한순환 방식으로 이동함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트레이(10)는 휠(11)(12)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14) 상에 스프링(16)을 개재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트레이(10)의 변형예에 대한 구조를 예시하고, 도 6에서 변형예에 의한 작동 상태를 예시한다. 지지축(14)은 휠(11)(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축방향(상하)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휠(11)(12)의 내부에서 지지축(14)에 동심으로 수용되는 스프링(16)은 휠(11)(12)이 트레이(1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와 같이 휠(11)(12)이 수직축인 지지축(14)을 개재하여 유격을 지니도록 장착되면 주행중의 충격을 완화하는 측면은 물론 후술하는 도 6의 자세 변동을 수행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8은 트레이(10)의 저면과 휠(11)(12) 사이에 개재되는 부싱 또는 베어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이송체(20)가 상기 트레이(10)의 이동을 유발하도록 하우징(21) 상에 가이드레일(23)과 이송벨트(25)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도 1 및 도 3에서 단위이송체(20)는 하우징(21)의 일측으로 편재되어 가이드레일(23)과 이송벨트(25)를 지닌 상태로 예시한다. 이와 같이 편재된 구조는 도 1의 형태로 무한순환 경로를 형성하기 적합하다. 가이드레일(23)은 이동중인 트레이(10)의 휠(11)(1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ㄱ자형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하우징(21)과 가이드레일(23)은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송벨트(25)는 일측과 타측의 풀리(26)에 장착하고, 일측의 풀리(26)에는 구동기(27)를 연결하여 구동력을 인가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단위이송체(20)는 하우징(21) 상에서 대향하는 일측 및 타측 가이드레일(23)을 위치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와 같이 단위이송체(20)를 일자형으로 연결하는 경우 일측 및 타측 가이드레일(23)은 어긋나지 않고 일치된 위치에 대향한다. 도 4(b)와 같이 단위이송체(20)를 L자형으로 연결하는 경우 일측 및 타측 가이드레일(23)은 약간 어긋난 위치에서 대향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레일(23)의 적어도 일측은 하우징(21) 상에 위치변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수단(30)이 상기 단위이송체(20)를 복수로 연결하여 설정된 이동 경로를 유지하는 구조이다. 도 4(a)의 직선형 경로는 일자연결대(31)를 이용하여 인접한 하우징(21)을 연결한다. 도 4(b)의 L자형 경로는 L자연결대(32)를 이용하여 인접한 하우징(21)을 연결한다. 도 4(c)의 U자형 경로는 일자연결대(31) 또는 L자연결대(32)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특히 도 4(c)의 U자형 경로에서 부호 20′로 나타내는 것처럼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위이송체(20)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의 무한순환 경로는 4개소 코너에 L자연결대(32)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어느 경우에나 별도의 곡선형 컨베이어를 코너에 배치하지 않으므로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연결수단(30)은 L자형으로 인접한 단위이송체(20) 간에 통로를 형성하는 유도홈(34), 유도홈(34)의 저면에 휠(11)(12)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유도롤러(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3에서 대향하는 가이드레일(23)의 일측에 유도홈(34)과 유도롤러(36)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트레이(10)가 일측 단위이송체(20)에서 인접한 타측 단위이송체(20)로 이동할 때 휠(11)(12)이 유도롤러(36)에 지지되어 이송벨트(25)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천이된다. 즉, 유도롤러(36)는 직교하는 일측 이송벨트(25) 및 타측 이송벨트(25) 사이에 개재된다.
한편, 도 5의 변형예와 같이 부호 20″로 나타내는 단위이송체의 중간에 또 다른 단위이송체(20)를 직교시키고 L자연결대(32)를 연결하여 T자형 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부호 20″의 단위이송체는 하나 또는 양분되는 이송벨트(2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중간의 교차점에 유도홈(34)과 유도롤러(36)를 구비한다. T자형 경로에 의하면 양방향의 L자형 경로가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수단이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상에서 트레이(10)의 이동 상태를 조절하는 구조이다. 조절수단은 도 1 및 도 5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 경로에서 트레이(10)의 이동, 정지, 자세 변동을 유발한다. 조절수단은 제어기(도시 생략)와 연계되어 원격으로 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조절수단은 하우징(21)의 측면에 설치되어 휠(11)(12)의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기(42), 하우징(21)의 상면에 설치되어 트레이(10)의 경사운동을 유발하는 경사캠(44), 하우징(21)의 측면에 설치되어 휠(11)(12)의 이동을 단속하는 스토퍼(46) 중에서 2개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검출기(42)는 비접촉식 근접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선호되지만 리미트스위치 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경사캠(44)은 단순한 곡면형이나 롤러로 구성되어 가이드레일(23)에 착탈된다. 경사캠(44)과 접촉되는 트레이(10)의 선단에 구배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스토퍼(46)는 구동기(47)에 연결되어 이송벨트(25)의 상측으로 출입하며 휠(11)(12)의 이동을 단속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작동의 일예를 설명하되 제어기와 연계되는 구성을 전제로 한다. 다수의 약품이 탑재된 트레이(10)는 일측 단위이송체(20)의 이송벨트(25)에 휠(11)(12)이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고, 전방휠(11)이 유도홈(34)과 유도롤러(36)를 통하여 타측 단위이송체(20)에 이르면서 후방휠(12)과 연동하여 트레이(10)의 코너링이 수행된다. 협소한 공간에 설치될지라도 트레이(10)의 코너링 속도와 정확성이 보장되며, 특정 공정에 맞추어 검출기(42)와 스토퍼(46)를 활용하여 트레이(10)의 이동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만일 단위이송체(20)의 상면에 경사캠(44)을 설치한다면 도 6과 같이 트레이(10)가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므로 특정 공정에서 피이송물을 착탈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트레이 11: 전방휠
12: 후방휠 14: 지지축
20: 단위이송체 21: 하우징
23: 가이드레일 25: 이송벨트
26: 풀리 27: 구동기
30: 연결수단 31: 일자연결대
32: L자연결대 34: 유도홈
36: 유도롤러 42: 검출기
44: 경사캠 46: 스토퍼
47: 구동기

Claims (5)

  1. 협소한 공간에 설치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피이송물을 탑재하고, 저면에 휠(11)(12)을 갖춘 트레이(10);
    상기 트레이(10)의 이동을 유발하도록 하우징(21) 상에 가이드레일(23)과 이송벨트(25)를 구비하는 단위이송체(20);
    상기 단위이송체(20)를 복수로 연결하여 설정된 이동 경로를 유지하는 연결수단(30); 및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 상에서 트레이(10)의 이동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0)는 휠(11)(12)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14) 상에 스프링(16)을 개재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이송체(20)는 하우징(21) 상에서 대향하는 일측 및 타측 가이드레일(23)을 위치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0)은 L자형으로 인접한 단위이송체(20) 간에 통로를 형성하는 유도홈(34), 유도홈(34)의 저면에 휠(11)(12)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유도롤러(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하우징(21)의 측면에 설치되어 휠(11)(12)의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기(42), 하우징(21)의 상면에 설치되어 트레이(10)의 경사운동을 유발하는 경사캠(44), 하우징(21)의 측면에 설치되어 휠(11)(12)의 이동을 단속하는 스토퍼(46) 중에서 2개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KR1020180088677A 2018-07-30 2018-07-30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KR102221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677A KR102221832B1 (ko) 2018-07-30 2018-07-30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677A KR102221832B1 (ko) 2018-07-30 2018-07-30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57A true KR20200013457A (ko) 2020-02-07
KR102221832B1 KR102221832B1 (ko) 2021-03-03

Family

ID=6957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677A KR102221832B1 (ko) 2018-07-30 2018-07-30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897B1 (ko) * 2021-03-05 2022-01-20 주식회사 가람테크 자동화 인라인 증착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869B1 (ko) 2000-08-05 2002-09-27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직물을 포함하는 바닥장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268827A (ja) * 2003-03-11 2004-09-30 Daihatsu Motor Co Ltd 台車搬送システム
JP3835747B2 (ja) * 2002-04-12 2006-10-18 日本輸送機株式会社 自動倉庫用移載装置
EP1976786B1 (en) * 2006-01-17 2011-10-26 C.M.C. S.R.L. A conveying apparatus for changing the forward motion direction of sheet articles
KR101079229B1 (ko) 2008-12-15 2011-11-03 이태훈 이송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시스템
KR101736423B1 (ko) * 2016-12-29 2017-05-17 주식회사 세광 자체구동식 모노레일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869B1 (ko) 2000-08-05 2002-09-27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직물을 포함하는 바닥장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3835747B2 (ja) * 2002-04-12 2006-10-18 日本輸送機株式会社 自動倉庫用移載装置
JP2004268827A (ja) * 2003-03-11 2004-09-30 Daihatsu Motor Co Ltd 台車搬送システム
EP1976786B1 (en) * 2006-01-17 2011-10-26 C.M.C. S.R.L. A conveying apparatus for changing the forward motion direction of sheet articles
KR101079229B1 (ko) 2008-12-15 2011-11-03 이태훈 이송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시스템
KR101736423B1 (ko) * 2016-12-29 2017-05-17 주식회사 세광 자체구동식 모노레일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832B1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7062B (zh) 运输容器或容器组的方法和装置
US9475653B2 (en) Closed gap transfer for a conveyor and method of using same
US8720673B2 (en) Transport apparatus
JP6649383B2 (ja) ローラアセンブリを備えたコンベヤシステム
US9540172B2 (en) High volume conveyor transport for clean environments
CN113213092B (zh) 传送台和模块
KR102448638B1 (ko) 구역 제어를 갖춘 적층 롤러 벨트 컨베이어
CN114466814A (zh) 用于饮料容器的饮料设备和输送***
KR20140087293A (ko) 대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송시스템
CN107117449B (zh) 物料理料输送装置
TWI732987B (zh) 物品移載裝置
KR20200013457A (ko)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JP2007039237A (ja) 磁性ベルト駆動式軌道搬送方法及び装置
US20180327186A1 (en) Conveying system
KR101158483B1 (ko) 천장주행형 물류반송시스템용 반송장치
KR102049037B1 (ko) 주행 및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레일턴모듈 및 이를 이용한 팰릿이송시스템
WO2018086396A1 (zh) 物流推车以及使用该物流推车的生产线
US8727100B2 (en) Self-aligning pallets and a system for automated conveying of components through an assembly line
KR102200021B1 (ko) 자기부상반송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198948B1 (ko) 이송 물품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
KR102179894B1 (ko) 자기력을 이용한 물품 이송 시스템
JP2005187142A (ja) 搬送方向変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ローラ搬送システム
JP5506081B2 (ja) 方向転換装置
JP2007216941A (ja) 搬送装置
KR102425593B1 (ko)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