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71U - 주방용 칼 - Google Patents

주방용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71U
KR20200001871U KR2020190000638U KR20190000638U KR20200001871U KR 20200001871 U KR20200001871 U KR 20200001871U KR 2020190000638 U KR2020190000638 U KR 2020190000638U KR 20190000638 U KR20190000638 U KR 20190000638U KR 20200001871 U KR20200001871 U KR 202000018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handle
cut
gradual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병
Original Assignee
정해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병 filed Critical 정해병
Priority to KR2020190000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871U/ko
Publication of KR20200001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3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off slices one by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칼에 관한 것으로서, 절단날이 형성된 금속재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으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칼날 상부의 몸체 측면에는 식재료의 표면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각각 높이의 중간보다 상부에서 가장 큰 폭으로 형성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쪽으로는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하여 첨단을 이루는 펜촉형으로 형성하고, 몸체의 선단에서 손잡이부측으로 점차 몸체 측면으로부터의 돌출 두께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몸체의 양면으로 형성되는 돌기의 사이즈를 손잡이쪽으로 갈수록 커지게 하여 칼질에 의해 식재료를 썰게 될 때 좀 더 가지런하게 썰려질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칼{Kitchen knife}
본 고안은 주방용 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에 펜촉 형태의 응착방지용 돌기를 칼 끝에서부터 손잡이쪽으로 일정 차등 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돌기의 돌출 두께가 점차 증가되도록 하고, 양면으로의 식재료 응착이 방지되면서 식재료의 정확한 썰기를 제공하는 동시에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에게도 유리한 주방용 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칼은 손잡이부와 본체부로 구분되고, 손잡이부는 주로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본체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부는 다시 하단부를 일정 폭으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점차 얇고 날카롭게 형성한 칼날과 상부의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몸체로서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주방용 칼은 야채, 과일, 두부, 무 등의 각종 재료를 썰 때 썰던 재료가 몸체에 양측면 또는 한쪽면에 들러붙게 된다.
즉, 야채나 과일 등에 함유된 팩틴질 및 수분으로 인해 주방용 칼의 몸체에는 썰어진 야채나 과일 조각이 밀착되면서 마치 접착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몸체가 평평한 주방용 칼을 이용하여 야채, 과일 및 물기가 잔존해 있는 두부, 무우 등을 썰게되면 썰린 재료가 주방용 칼의 몸체에 들러붙어 다음 번에 써는 작업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왼손으로 밀어 떼어내며 썰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빨리 썰기를 할 경우에는 재료에 함유된 물기에 의해서 본체부의 측면에 들러붙거나 잘려지는 순간 재료가 튀게 되어 칼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물기에 의해 들러붙어 있는 재료는 손으로 떼어내야 하기 때문에 써는 속도가 저하되기도 하고, 썰어진 재료는 어지러이 흐트러지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주방용 칼의 몸체에 홈을 뚫거나 돌기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데 등록특허 제0565165호(절단면 부착 방지용 합성수지 돌기가 구비된 주방용 칼과 그 제작 방법)가 그 중 하나이다.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서도 등록실용신안 제0293528호(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와 그 외 다수의 선등록 사례들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몸체의 측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식재료가 몸체의 측면에 응착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들에서는 몸체의 측면으로 단순히 돌출되게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을 뿐이므로 칼질에 의해 식재료를 썰게 되면 썬 식재료가 돌기를 통과하는 순간 흐트러지게 되므로 별도로 정렬을 해야하는 불편이 따르고, 썰려진 식재료의 크기나 모양이 불균일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0565165호(2006.03.22.) (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0293528호(2002.10.16.)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불편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본체부의 몸체 양측면에서 펜촉형상으로 돌기를 양각으로 형성하면서 칼날측으로부터 칼등측으로 점차 돌기의 돌출 두께가 증가되도록 하면서 중간 높이 상부에서 가장 많이 돌출되도록 하다 상단부측으로 갈수록 다시 돌출 두께가 감소되도록 하고, 돌기의 높이와 폭이 칼끝으로부터 손잡이쪽으로 갈수록 사이즈가 커지게 하여 칼질에 의해 식재료를 썰게 되면 몸체의 측면과의 응착이 방지되면서 어떠한 식재료에 대해서도 썰려진 식재료들이 좀 더 가지런하게 정렬되도록 하여 칼질 이후의 식재료 정렬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칼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속적인 칼질에도 잘려진 식재료가 몸체를 저항없이 이동하게 되므로 칼질을 하는 손목에 아무런 충격을 주지 않게 되어 좀 더 안전하고 손쉬운 칼질이 되도록 하는 주방용 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주방용 칼은, 절단날이 형성된 금속재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으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칼날 상부의 몸체 측면에는 식재료의 표면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각각 높이의 중간보다 상부에서 가장 큰 폭으로 형성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쪽으로는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하여 첨단을 이루는 펜촉형으로 형성하고, 몸체의 선단에서 손잡이부측으로 점차 몸체 측면으로부터의 돌출 두께가 증가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돌기들은 몸체의 양측면에서 손잡이부측으로부터 몸체의 선단부측으로 차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손잡이부측으로부터 몸체의 선단부측으로 돌기들간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배열되도록 한다.
상기 돌기들은 손잡이부측으로부터 몸체의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들은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높이의 중간보다는 상부에서 가장 돌출되게 만곡지도록 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로 갈수록 돌출 두께가 감소하면서 첨단부위가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 돌기들은 몸체의 양측면에서 가장 돌출되는 부위가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몸체의 선단부로부터 손잡이부측으로 갈수록 사이즈가 점차 확대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돌기들은 칼에 의해 잘려지는 방향으로 식재료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서 손잡이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주방용 칼에 의해 어떠한 식재료도 측면에 응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잘려지는 방향으로 잘려진 식재료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잘린 식재료를 잘린 직후에도 잘 정리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의 주방용 칼은 잘려지는 식재료가 손잡이부측으로 갈수록 측면으로부터 점점 더 이격되게 함으로써 잘려진 식재료의 인출이 쉽도록 하여 좀 더 손쉬운 식재료 썰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칼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칼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칼의 응착방지용 돌기를 예시한 주요부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칼의 측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칼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칼의 평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방용 칼은 우선 본체부(100)와 손잡이부(200)로서 이루어지고, 이중 절단날을 형성하는 본체부(100)는 금속재로서 형성한다.
본체부(100)의 일단에서 본체부(100)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고정되는 손잡이부(200)는 합성수지나 목재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의 일단부로부터 상부를 일정 높이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한 부위가 내부로 삽입되게 하면서 내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본체부(100)는 다시 몸체(110)와 칼날(120)로 구분되며, 몸체(110)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부위이고, 칼날(120)은 몸체(11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가 상부에서 하단부로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하여 절단날을 형성하게 되는 구성이다.
이에 본 고안은 본체부(100)의 몸체(110) 양측면으로 식재료의 표면응착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돌기(1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돌기(10)들의 형성 구성은 이미 알려진 종전의 기술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고안의 돌기(10)들은 도 4에서와 같이 몸체(110)의 양측면에서 높이의 중간 위치 보다 상부에서 가장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가장 큰 폭의 양측 외주면으로부터는 상부와 하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가 첨단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펜촉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돌기(10)들은 몸체(110)의 선단에서 손잡이부(200)측으로 점차 몸체(110) 측면으로부터의 돌출 두께가 증가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은 몸체(110)의 측면에서 손잡이부(200)측에 형성되는 돌기(10)가 가장 큰 두께로 돌출되고, 몸체(110)의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돌기(10)의 돌출 두께는 점차 작아지도록 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돌기(10)들은 몸체(110)의 양측면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손잡이부(200)측으로부터 몸체(110)의 선단부측으로 돌기(10)들간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차등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게 할 수도 있고, 손잡이부(200)측으로부터 몸체(110)의 선단부측으로 돌기(10)들간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배열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돌기(10)는 손잡이부(200)측으로부터 몸체(110)의 선단부측으로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돌기(10)들은 도 5에서와 같이 몸체(110)의 양측면으로부터 높이 중간보다는 상부에서 가장 돌출되게 만곡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부와 하부로 갈수록 돌출 두께가 감소되게 함으로써 상단부와 하단부는 몸체(110)와 첨단을 이루면서 연결되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의 돌기(10)들은 몸체(110)의 양측면에서 가장 돌출되는 부위를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게 되면 몸체(110)의 선단부로부터 손잡이부(200)측으로 돌출 두께와 높이의 사이즈가 점차 확대되도록 형성한다.
한편, 본 고안의 돌기(10)는 칼에 의해 잘려지는 방향을 따라 식재료가 이동하게 되므로 식재료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서 손잡이부(200)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주방용 칼은 본체부(100)의 몸체(110)에 형성한 돌기(10)의 형상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주방용 칼을 사용한 칼질 시 도 6에서와 같이 칼날(112)에 의해 베어진 식재료(300)가 돌기(10)에 접촉되거나 몸체(110)의 측면를 따라 이동하다가 돌기(10)에 접촉되면 식재료(300)는 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폭이 이격되면서 썰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칼날(120)에 의해 식재료(300)가 베어지면서 칼날(120)을 지나 몸체(110)측으로 이동하는 식재료의 잘려진 부위(310)는 처음부터 돌기(10)를 타고 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처음에는 몸체(110)의 측면을 타고 이동하다 돌기(10)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만일, 칼날(120)을 통과한 식재료(300)가 돌기(10) 사이의 몸체(110) 측면에 접촉되더라도 칼질은 식재료(300)에 대해 수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선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식재료(300)도 칼날(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국 돌기(10)와 만나게 된다.
돌기(10)는 몸체(110)에서 칼날(120)측의 단부로부터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므로 칼날(120)을 통과한 식재료(300)와 이 식재료(300)로부터 잘려진 부위(310)는 자연스럽게 돌기(10)를 타고 올라가게 되어 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몸체(110)에서 원활하게 상승 이동하게 된다.
칼질 시 식재료(300)의 잘려진 부위(310)가 본체부(100)에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면 계속해서 식재료(300)를 쉽게 썰 수가 있다.
또한, 식재료(300)의 잘려진 부위(310)는 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면서 원하는 방식으로 정렬시킬 수가 있게 된다.
식재료(300)가 잘려나가면서 식재료(300)의 잘려진 부위(310)가 몸체(110)의 측면에 응착되거나 균일하게 이동하지 않게 되면 계속해서 식재료(300)를 썰면서 이동이 불규칙해지게 되므로 식재료(300)를 다 썬 이후에는 잘려진 식재료(300)들을 정렬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하지만, 식재료의 잘려진 부위(310)가 돌기(10)를 따라 이동하면서 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하면 연속되는 칼질에 의해서도 식재료(300)의 잘려진 부위(310)는 동일한 모양으로 정렬되므로 별도의 정렬이 필요치 않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돌기(10)는 하단부가 칼날(120)에 근접하여 형성되고, 이 하단부로부터 가장 돌출 두께가 두꺼운 높이까지 식재료(300)의 잘려진 부위(310)가 서서히 이동하면서 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있어 식재료(300)의 잘려진 부위(310)를 균일하게 이동시키면서 정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칼질에 의해 식재료(300)의 잘려진 부위(310)가 연속해서 이동이 원활해지도록 하는 동시에 칼질을 매우 쉽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칼질을 하는 사람의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더욱 손쉬운 칼질이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돌기 100 : 본체부
110 : 몸체 120 : 칼날
200 : 손잡이부 300 : 식재료

Claims (7)

  1. 절단날이 형성된 금속재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으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칼날 상부의 몸체 측면에는 식재료의 표면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각각 높이의 중간보다 상부에서 가장 큰 폭으로 형성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쪽으로는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하여 첨단을 이루는 펜촉형으로 형성하고, 몸체의 선단에서 손잡이부측으로 점차 몸체 측면으로부터의 돌출 두께가 증가되도록 하는 주방용 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몸체의 양측면에서 손잡이부측으로부터 몸체의 선단부측으로 돌기들간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차등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주방용 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몸체의 양측면에서 손잡이부측으로부터 몸체의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작아지게 배열되도록 하는 주방용 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손잡이부측으로부터 몸체의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하는 주방용 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높이의 중간보다는 상부에서 가장 돌출되게 만곡지도록 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로 갈수록 돌출 두께가 감소하면서 첨단부위가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하는 주방용 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몸체의 양측면에서 가장 돌출되는 부위가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면 몸체의 선단부로부터 손잡이부측으로 사이즈가 점차 확대되도록 하는 주방용 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칼에 의해 잘려지는 방향으로 식재료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서 손잡이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주방용 칼.
KR2020190000638U 2019-02-14 2019-02-14 주방용 칼 KR202000018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38U KR20200001871U (ko) 2019-02-14 2019-02-14 주방용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38U KR20200001871U (ko) 2019-02-14 2019-02-14 주방용 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71U true KR20200001871U (ko) 2020-08-24

Family

ID=7223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638U KR20200001871U (ko) 2019-02-14 2019-02-14 주방용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871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528Y1 (ko) 2002-04-19 2002-10-31 정해병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KR100565165B1 (ko) 2003-06-13 2006-03-30 김병식 절단면 부착 방지용 합성수지 돌기가 구비된 주방용 칼과그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528Y1 (ko) 2002-04-19 2002-10-31 정해병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KR100565165B1 (ko) 2003-06-13 2006-03-30 김병식 절단면 부착 방지용 합성수지 돌기가 구비된 주방용 칼과그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466114A (en) Apple slicer
US20140317940A1 (en) Anti-Stick Knife Blade
DE3642697A1 (de) Geraet zum schneiden von pilzen in scheiben
US20070245572A1 (en) Knives
US10786911B2 (en) Knives
KR20200001871U (ko) 주방용 칼
WO2016080302A1 (ja) 波刃を備える調理器具、調理方法、食材
JP3171162U (ja) 刺さない包丁
CN205614756U (zh) 能自动对中的切丝切片装置
KR20230000805U (ko) 주방용 칼
KR20230000660U (ko) 주방용 칼
KR200416663Y1 (ko) 채칼용 손잡이
KR20230000658U (ko) 주방용 칼
KR20230000656U (ko) 주방용 칼
KR20230001282U (ko) 주방용 칼
KR20230000663U (ko) 주방용 칼
KR20230000719U (ko) 주방용 칼
US1771296A (en) Appliance for peeling oranges and like fruits
KR20190133466A (ko) 절단면 부착 방지 주방용 칼 및 그 제조 방법
DE102010049952A1 (de) Fischmesser
JP3160933U (ja) 斜め押し切り包丁
US1960651A (en) Knife and corer
JP3189679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3190072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5613355B1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53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24

Effective date: 2020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