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775A -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775A
KR20190143775A KR1020180076597A KR20180076597A KR20190143775A KR 20190143775 A KR20190143775 A KR 20190143775A KR 1020180076597 A KR1020180076597 A KR 1020180076597A KR 20180076597 A KR20180076597 A KR 20180076597A KR 20190143775 A KR20190143775 A KR 20190143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yer
reward
item
fashion item
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호
Original Assignee
김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호 filed Critical 김근호
Publication of KR2019014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4Referral reward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구매자 구매 과정;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구매자가 구매한 패션 아이템의 구매 이력을 저장하는 구매자 구매 이력 저장 과정;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구매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등록받아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포스팅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 운영 과정; 제3자 단말기가,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서 제공하는 구매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표시하며,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서 판매하는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제3자 구매 과정; 및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각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통해 제3자로부터 구매되는 패션 아이템의 판매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의 리워드 수수료를 산출하여, 제3자로부터 구매가 이루어지진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의 구매자에게 리워드 수수료를 지급하는 리워드 수수료 지급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Method for managing reward platform}
본 발명은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으로서,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자에게 리워드할 수 있는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달 및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기 및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기술의 발달로 인해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유선 및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구축되었다.
인터넷이 발전하고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상품들을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컴퓨터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품의 인터넷 광고 및 인터넷 판매는 상품을 홍보 및 판매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판매 경로가 되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해 효율적으로 광고를 할 수 있는 다양한 광고 기술들이 개발되어 다양한 웹사이트들에 적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상품 판매 방식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 즉 인터넷 상품 판매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홍보되거나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서비스, 콘텐츠 포함)들을 구매 전에는 볼 수 없으므로 상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구매후기 제공 방법, 전문 블로거 포스팅 방법 등과 같은 판매 상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 방안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전문 블로거 포스팅 방식 및 구매후기 방식은 이전 구매자의 사용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상품을 구매할 사용자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었다. 그러나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위조상품, 하자상품 등을 판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상품 판매자들이 상품에 대한 구매 후기까지 조작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구매후기 방식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자신이 실제 구매한 옷을 가지고 그 옷의 대한 정보와 맞춤 코디 실제 촬영 사진 등을 제공하여 마켓터로서 활동을 한다. 상품에 대한 리뷰(후기)란 타인의 소비에 많은 영향을 끼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보상이란 개념은 무의미할 정도로 낮은 수준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1083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실제 구매한 옷에 대한 정보와 맞춤 코디 실제 촬영사진 등을 해당 상품의 상품평으로 등록하며, 리뷰(후기)에 대한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플랫폼으로서, 1차 구매가 리워드 플랫폼 쇼핑몰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2차 구매는 작성자가 직접 판매자가 되어 상품홍보와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구매자 구매 과정;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구매자가 구매한 패션 아이템의 구매 이력을 저장하는 구매자 구매 이력 저장 과정;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구매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등록받아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포스팅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 운영 과정; 제3자 단말기가,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서 제공하는 구매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표시하며,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서 판매하는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제3자 구매 과정; 및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각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통해 제3자로부터 구매되는 패션 아이템의 판매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의 리워드 수수료를 산출하여, 제3자로부터 구매가 이루어지진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의 구매자에게 리워드 수수료를 지급하는 리워드 수수료 지급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 운영 과정은,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패션 아이템의 구매 이력이 있는 구매자에 한하여, 구매자가 직접 관리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개설해주는 스토어몰 개설 과정; 및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구매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경우, 제공되는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가 관리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포스팅하여 등록하는 포스트 등록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는, 구매자가 자신에게 개설된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관리할 수 있는 구매자 관리 툴을 구매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매자 관리툴은,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등록된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SNS 및 블로그를 다른 지인들에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매자 관리툴은, 구매자가 포스팅한 포스트에 대한 댓글 개수, 공감 개수, 당일 조회수, 총 조회수, 당일 구매량, 총 구매량, 정산 총액을 열람할 수 있다.
상기 구매자 관리툴은, 구매자의 편집 요청 없이도 공감 개수가 높은 포스트를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의 상단에 자동 배치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매자 구매 과정은, 리워드 쇼핑몰 서버로부터 추천되는 추천 아이템을 구매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아이템을 구매하는 것은, 구매자 단말기가, 리워드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상기 패션 아이템에 매칭되는 추천 아이템들의 리스트인 추천 아이템 리스트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추천아이템 리스트 중에서 구매자로부터 선택되는 추천 아이템을 구매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은, 리워드 쇼핑몰 서버에서 판매하는 온라인상의 패션 아이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구매자로부터 패션 아이템으로 선택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은, 구매자가 오프라인상에서 소지한 패션 아이템을 촬영하여, 촬영한 패션 아이템을 제1패션 아이템으로서 리워드 쇼핑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매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수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구매자들이 이 플랫폼 안에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매자들은 이 플랫폼 안에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또 다른 SNS 공유 활동을 할 것이며 이로인해 유입될 수 있는 제3의 구매자들의 수는 무시할 수 없을 수준의 마케팅 활동이 가속화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플랫폼 운영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어몰 개설 모습을 도시한 예시 그림.
도 5,6,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 등록 모습을 도시한 예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의 예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관리툴이 표시된 예시 그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구매 방법이 도시된 플로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천 아이템 매칭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칭 버튼 눌림에 따라서 매칭 코디되는 패션 아이템을 추천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촬영을 통하여 추천 아이템을 선택받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의 매칭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플랫폼 운영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실제 구매한 옷에 대한 정보와 맞춤 코디 실제 촬영사진 등을 해당 상품의 상품평으로 등록하며, 리뷰(후기)에 대한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플랫폼으로서, 1차 구매가 리워드 플랫폼 쇼핑몰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2차 구매는 구매자가 직접 판매자가 되어 상품홍보와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앱을 통하여 구매자 모든 개개인이 마켓터로써 활동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에 걸맞는 수익을 창출시켜줌으로써 앱 내부적인 활동과 타인의 경험소비를 만족시켜 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워드 플랫폼 운영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100), 구매자 단말기(200), 제3자 단말기(400), 및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구매자 단말기(200), 제3자 단말기(400), 및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는,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하여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단말기이다. 제3자 단말기(400)는, 각 구매자가 개별 관리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My Store)을 통해서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제3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이러한 구매자 단말기(200)와 제3자 단말기(400)는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패션 아이템은, 의류, 신발, 가방, 액세서리 등의 다양한 패션 아이템 들이 모두 해당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는,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를 통해 패션 아이템을 구매한 구매자에게 개설된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구매자 관리 툴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제3자는, 각 구매자가 개별 관리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통해서 구매자의 사용후기, 착용영상을 확인하고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게 된다.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는, 리워드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로서, 구매자가 구매한 패션 아이템의 구매 이력을 저장한다. 그리고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구매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등록받아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포스팅한다. 즉,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가, 패션 아이템의 구매 이력이 있는 구매자에 한하여, 구매자가 직접 관리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개설해준 후,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구매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는 경우, 제공되는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가 관리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포스팅하여 등록한다.
또한 각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통해 제3자로부터 구매되는 패션 아이템의 판매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의 리워드 수수료를 산출하여, 제3자로부터 구매가 이루어지진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의 구매자에게 리워드 수수료를 지급하게 된다.
따라서 1차 구매가 리워드 플랫폼 쇼핑몰을 통하여 직접 이루어지고, 2차 구매는 구매자가 직접 판매자가 되어 구매자 고유 쇼핑몰을 통하여 제3자에게 상품홍보와 판매를 하게 되고, 그에 따른 댓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어몰 개설 모습을 도시한 예시 그림이며, 도 5,6,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 등록 모습을 도시한 예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의 예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관리툴이 표시된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매자 구매 과정(S210), 구매자 구매 이력 저장 과정(S220),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 운영 과정(S230), 제3자 구매 과정(S240), 및 리워드 수수료 지급 과정(S25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등록이 있은 후 사용자 A가 상품을 구매하면 사용자 A의 포스팅몰이 개설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 A의 포스팅몰에서 사용자 A가 구매 상품에 대한 리뷰 포스팅을 하게 되고, 이를 열람한 다른 사용자 B가 포스팅을 통한 해당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A의 포스팅몰에서의 판매가 이루어지면, 이루어진 건에 대하여 판매 건당 판촉비(수수료)가 사용자 A에게 지급되게 된다.
이하, 상술하면, 구매자 구매 과정(S210)은, 구매자 단말기(200)가,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하여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과정이다.
구매자 구매 이력 저장 과정(S220)은,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가, 구매자가 구매한 패션 아이템의 구매 이력을 저장하는 과정이다.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 운영 과정(S230)은,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사용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등록받아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포스팅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 운영 과정(S230)은,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가, 패션 아이템의 구매 이력이 있는 구매자에 한하여, 구매자가 직접 관리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개설해주는 스토어몰 개설 과정과,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사용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는 경우, 제공되는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가 관리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포스팅하여 등록하는 포스팅 등록 과정을 가진다.
스토어몰 개설은,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등록될 상품을 등록하기 위해서 앱을 통해 쇼핑을 한 구매자에 한하여 개설해준다. 스토어몰 개설 과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어 프로필 설정, 스토어 소개글 작성, 해쉬태그 설정을 받게 된다.
포스팅 등록 과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 중에서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등록할 상품을 구매자가 고른 후 자신의 착용 영상과 함께 사용 후기(텍스트)를 작성한다. 아울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스팅할 상품을 선택하고 리뷰할 사진 갯수와 텍스트 갯수를 선택하는데, 사진의 개수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사용후기의 텍스트 개수는 한정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사진 업로드, 포스팅 사진 업로드, 및 사용 후기의 텍스트 작성을 통해 포스팅 등록이 완료될 수 있다.
제3자 구매 과정(S240)은, 제3자 단말기(400)가,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서 제공하는 구매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표시하며,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서 판매하는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과정이다. 즉, 포스팅 등록이 완료되면 구매자가 등록한 패션 아이템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포스팅 되어지고 또다른 사용자들은 리뷰 스토어(review store)에서 포스팅을 열람하여 구매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3자의 구매자는 각 구매자들에게 개설된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의 사용후기 및 착용 영상을 보고 마음에 들면 해당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게 된다.
결국 1차 구매는 패션 아이템을 필요로 하는 구입을 통해 이루어지고 2차 구매는 구매자가 직접 판매자(Seller)가 되어 상품 홍보와 판매를 하게 된다.
리워드 수수료 지급 과정(S250)은,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가, 각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통해 제3자로부터 구매되는 패션 아이템의 판매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의 리워드 수수료를 산출하여, 제3자로부터 구매가 이루어지진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의 구매자에게 리워드 수수료를 지급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구매자 A는 자신에게 개설된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통해 판매된 패션 아이템의 판매 가격의 3~5%의 금액을 포인트 또는 현금으로 정산받게 된다. 구매자 A는 패션 아이템마다 정해진 포인트 점수를 개방 판매량에 따라서 합산 정산 받을 수 있다. 예컨대, 40,000원 짜리의 옷을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등록하고 그 등록된 리뷰를 통해 100건의 구매가 이루어 진다면 등록한 사용자가 정산받는 금액은120,000~200,000만원이 된다.
한편,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는, 구매자가 자신에게 개설된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관리할 수 있는 구매자 관리 툴을 구매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매자 관리툴은,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등록된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SNS 및 블로그를 다른 지인들에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SNS 아이콘, 블로그 아이콘을 나열하여, 구매자는 SNS 아이콘, 블로그 아이콘을 선택하여 자신의 스토어에서 포스팅한 패션 아이템을 공유 및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관리툴은, 구매자가 포스팅한 포스트에 대한 댓글 개수, 공감 개수, 당일 조회수, 총 조회수, 당일 구매량, 총 구매량, 정산 총액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구매자 관리툴은, 구매자의 편집 요청 없이도 공감 개수가 높은 포스트를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의 상단에 자동 배치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다른 제3자로부터 공감이 많이 된 제품을 상단에 배치하여 판매 촉진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 단말기(200)가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하여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구매자 구매 과정(S210)은,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추천되는 추천 아이템을 구매하도록 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4과 함께 상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구매 방법이 도시된 플로차트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천 아이템 매칭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칭 버튼 눌림에 따라서 매칭 코디되는 패션 아이템을 추천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촬영을 통하여 추천 아이템을 선택받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의 매칭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추천되는 추천 아이템을 구매하는 것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션 아이템 선택 과정(S211), 추천 아이템 리스트 제공 과정(S212), 및 추천 아이템 구매 과정(S213)을 포함할 수 있다.
패션 아이템 선택 과정(S211)은, 구매자 단말기(200)가,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에 접속하여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추천 아이템 리스트 제공 과정(S212)은,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가, 패션 아이템에 매칭되는 추천 아이템들의 리스트인 추천 아이템 리스트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과정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템 매칭 DB 과정을 거쳐 각 패션 아이템마다 고유한 매칭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매칭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아이템과 코디되는 패션 아이템의 상품을 추천할 수 있게 된다.
추천 아이템 구매 과정(S213)은, 구매자 단말기(200)가 추천아이템 리스트 중에서 구매자로부터 선택되는 추천 아이템을 구매하는 과정이다.
한편, 패션 아이템 선택 과정(S211)에서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는,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에서 판매하는 온라인상의 패션 아이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구매자로부터 패션 아이템으로 선택받을 수 있다.
다른 하나는, 구매자가 오프라인상에서 소지한 패션 아이템을 촬영하여, 촬영한 패션 아이템을 제1패션 아이템으로서 리워드 쇼핑몰 서버(300)로 전송하여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매자가 소유중인 아이템 카테고리를 설정하면 사진 촬영 틀이 나오고 사용자는 그 틀에 맞춰 사진을 촬영하면 딱 그 부분만 사진이 촬영되며 배경은 제거된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매자는 촬영된 아이템을 흰색 보드 위에서 움직일 수 있고 그에 맞게 다른 아이템과 매칭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유무선 통신망
200:구매자 단말기
300:제3자 단말기
400:리워드 쇼핑몰 서버

Claims (10)

  1.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구매자 구매 과정;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구매자가 구매한 패션 아이템의 구매 이력을 저장하는 구매자 구매 이력 저장 과정;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구매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등록받아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포스팅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 운영 과정;
    제3자 단말기가,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서 제공하는 구매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표시하며,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서 판매하는 패션 아이템을 구매하는 제3자 구매 과정; 및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각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통해 제3자로부터 구매되는 패션 아이템의 판매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의 리워드 수수료를 산출하여, 제3자로부터 구매가 이루어지진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의 구매자에게 리워드 수수료를 지급하는 리워드 수수료 지급 과정;
    을 포함하는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 운영 과정은,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패션 아이템의 구매 이력이 있는 구매자에 한하여, 구매자가 직접 관리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개설해주는 스토어몰 개설 과정; 및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패션 아이템을 착용한 구매자의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경우, 제공되는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구매자가 관리하는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포스팅하여 등록하는 포스트 등록 과정;
    을 포함하는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는,
    구매자가 자신에게 개설된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을 관리할 수 있는 구매자 관리 툴을 구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관리툴은,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에 등록된 착용 영상과 사용 후기를 SNS 및 블로그를 다른 지인들에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관리툴은,
    구매자가 포스팅한 포스트에 대한 댓글 개수, 공감 개수, 당일 조회수, 총 조회수, 당일 구매량, 총 구매량, 정산 총액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관리툴은,
    구매자의 편집 요청 없이도 공감 개수가 높은 포스트를 구매자 고유 스토어몰의 상단에 자동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구매 과정은,
    리워드 쇼핑몰 서버로부터 추천되는 추천 아이템을 구매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추천 아이템을 구매하는 것은,
    구매자 단말기가, 리워드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리워드 쇼핑몰 서버가, 상기 패션 아이템에 매칭되는 추천 아이템들의 리스트인 추천 아이템 리스트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추천아이템 리스트 중에서 구매자로부터 선택되는 추천 아이템을 구매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은,
    리워드 쇼핑몰 서버에서 판매하는 온라인상의 패션 아이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션 아이템을 구매자로부터 패션 아이템으로 선택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패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은,
    구매자가 오프라인상에서 소지한 패션 아이템을 촬영하여, 촬영한 패션 아이템을 제1패션 아이템으로서 리워드 쇼핑몰 서버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KR1020180076597A 2018-06-21 2018-07-02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KR201901437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1314 2018-06-21
KR1020180071314 2018-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775A true KR20190143775A (ko) 2019-12-31

Family

ID=6905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597A KR20190143775A (ko) 2018-06-21 2018-07-02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377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331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스타일셀러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자에게 판매 상품을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44332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스타일셀러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커머스 플랫폼에서의 리뷰샵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22239921A1 (en) * 2021-05-12 2022-11-17 Arbaim Inc. Method for providing reward providing service based on relay reviews and purchase contributions of review content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KR102476471B1 (ko) * 2022-01-28 2022-12-12 주식회사 앱플러 숏폼 비디오 커머스 플랫폼에서 숏폼 비디오의 리뷰영상에 대해 리워드를 지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476474B1 (ko) * 2022-01-28 2022-12-12 주식회사 앱플러 숏폼 비디오 플랫폼에서 숏폼 비디오의 리뷰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숏펌 비디오 커머스 리뷰 플랫폼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331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스타일셀러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자에게 판매 상품을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44332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스타일셀러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커머스 플랫폼에서의 리뷰샵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22239921A1 (en) * 2021-05-12 2022-11-17 Arbaim Inc. Method for providing reward providing service based on relay reviews and purchase contributions of review content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KR102476471B1 (ko) * 2022-01-28 2022-12-12 주식회사 앱플러 숏폼 비디오 커머스 플랫폼에서 숏폼 비디오의 리뷰영상에 대해 리워드를 지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476474B1 (ko) * 2022-01-28 2022-12-12 주식회사 앱플러 숏폼 비디오 플랫폼에서 숏폼 비디오의 리뷰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숏펌 비디오 커머스 리뷰 플랫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13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retail network
US11915288B2 (en) Useful and novel shopping application
KR101525417B1 (ko) 웹 페이지 방문, 애플리케이션 사용, 위치 또는 경로에 기초한 여러 통신 장치의 동일한 사용자의 식별
KR101893568B1 (ko)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KR20190143775A (ko)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US20120265635A1 (en) Social network recommendation polling
KR101904454B1 (ko) 지인의 상품구매 이력 및 관심 상품, 이용 후기를 활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US20140222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urator recommended sale of commodities
US20150046244A1 (en) Server,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Mobile Computing Device for Discounting Payment Transactions, Facilitating Discounting Using Augmented Reality and Promotional Offering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20100642A (ko) 소셜 네트워크 피드백을 이용한 상품 판매광고서버 및 상품 판매광고 방법
US20120284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air stylist referrals
KR20130043030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20180118392A (ko) Sns를 이용한 쇼핑몰 상품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60087091A (ko)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
KR20200078257A (ko) 리뷰 콘텐츠를 이용한 쇼핑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EP2482245A1 (en) Method for managing advertisement and advertisement management server
KR101657588B1 (ko)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 기반 상품 거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4176A (ko) 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한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방법
KR102253732B1 (ko) 디자인 콘텐츠가 결합된 상품 판매 플랫폼 시스템
US201601892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skipping advertisements for a content
US201603507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entivizing Social Commerce
WO2019047630A1 (zh) 营销***、广告礼品推荐方法和销售分成***
US20190228433A1 (en) User Generated Mobile Advertisements Creation, Reaction and Distribu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