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246A - 채혈기 - Google Patents

채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246A
KR20190121246A KR1020190041290A KR20190041290A KR20190121246A KR 20190121246 A KR20190121246 A KR 20190121246A KR 1020190041290 A KR1020190041290 A KR 1020190041290A KR 20190041290 A KR20190041290 A KR 20190041290A KR 20190121246 A KR20190121246 A KR 2019012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ancet
hole
needl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465B1 (ko
Inventor
최민기
최예령
Original Assignee
최민기
최예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기, 최예령 filed Critical 최민기
Publication of KR2019012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혈에 따른 통증과 반복채혈에 따른 피로감이 없고, 위생 상 안전한 채혈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채혈기에 있어서, 선단개구를 가지는 배럴과, 상기 배럴 내에 수용되어 상기 선단개구를 향한 타격적인 슬라이딩 이동 및 철회이동 가능한 공이부재와, 상기 공이부재에 타격력을 가하는 타격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유니트와, 상기 선단개구 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구와, 상기 장착구에 대향되게 마련된 침통과공을 가지는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 내에 상기 공이부재의 타격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침지지체와, 상기 침지지체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침통과공을 통해 노출 가능한 침을 가지는 침부재와, 상기 침지지체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침통과공을 통해 노출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탄성적으로 가압접촉할 수 있는 무통스프링을 포함하는 캡유니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혈기{BLOOD LANCET}
본 발명은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바늘로 파공을 내어 채혈을 하기 위한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채혈침 기구는 파공을 내는 과정에서 피시술자의 통증이 수반되었고, 시술자는 손가락의 힘으로 채혈침을 여러번 한부위에 연속적으로 격발시키고 있어 피로감이 많았다.
또한, 일정한 부위에 다수의 채혈을 해야할 경우, 채혈기의 캡전단에 피시술자의 혈액이 묻어나와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혈에 따른 피시술자의 통증이 없고, 시술자는 반복채혈에 따른 피로감이 없으며, 위생 상 안전한 채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채혈기에 있어서, 선단개구를 가지는 배럴과, 상기 배럴 내에 수용되어 상기 선단개구를 향한 타격적인 슬라이딩 이동 및 철회이동 가능한 공이부재와, 상기 공이부재에 타격력을 가하는 타격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유니트와, 상기 선단개구 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구와, 상기 장착구에 대향되게 마련된 침통과공을 가지는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 내에 상기 공이부재의 타격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침지지체와, 상기 침지지체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침통과공을 통해 노출 가능한 침을 가지는 침부재와, 상기 침지지체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침통과공을 통해 노출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탄성적으로 가압접촉할 수 있는 무통스프링을 포함하는 캡유니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본체는 상기 침지지체가 상기 장착구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캡본체에 대해 상기 침지지체를 타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미는 복귀스프링을 통해 반복적인 침지지체의 사용과, 무통스프링이 피부를 충격하며 피부를 압착해 신경을 차단하고 침이 피부를 파공한 후 타성력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무통스프링과 복귀스프링이 침부재을 동시에 복귀시킴으로 침이 피부에서 더욱 빠르게 빠져 무통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귀스프링은 타격방향을 따라 전반부에 비해서 후반부의 피치가 더 크도록 하여, 침부재가 피부에 파공한 후 보다 빠르게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여 무통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채혈에 따른 피시술자의 통증이 없고, 시술자는 반복채혈에 따른 피로감이 없으며, 위생 상 안전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2은 캡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따른 채혈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채혈을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캡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귀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2는 캡유니트(2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크게 본체유니트(100)와 캡유니트(200)로 이루어지며, 도시된 사항에서 캡유니트(200)는 좌측에, 본체유니트(100)는 우측에 위치한다.
본체유니트(100)는 전단에 선단개구(111)와, 선단개구(1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슬라이딩홀과,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배럴(110)과, 배럴(110)내에 수용되어 선단개구(111)를 향한 타격적인 슬라이딩 이동 및 철회 이동 가능한 공이부재(120)와, 공이부재(120)의 후단에 타격력을 가하는 타격구동부(130)로 이루어진다.
공이부재(12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슬라이딩 홀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공이부재(120)의 후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영역을 가지며, 이 영역에는 공이복귀스프링(121)이 설치된다. 공이복귀스프링(121)은 일측이 공이부재(120)에 고정되고 타측이 슬라이딩홀의 내측면으로부터 배럴(110)의 축선을 향해 돌출된 턱에 고정된다. 따라서, 공이부재(120)는 외력을 받을 때 선단개구(111)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공이복귀스프링(121)으로 인해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타격구동부(130)는 공이부재(120)의 후단에 외력을 가하여 공이부재(12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공이부재(120)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타격부재(132)와, 타격부재(132)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타격부재(132)가 공이부재(120)의 후단을 타격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구동부(131)와, 솔레노이드구동부(131)를 제어하는 제어부(150)와, 제어부(150)와 솔레노이드구동부(131)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부(160) 및 타격구동부(13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140)로 구성된다.
이때, 타격부재(132)는 솔레노이드구동부(131)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솔레노이드구동부(131)가 작동하면 공이부재(120)의 후단을 타격하게 되고, 솔레노이드구동부(131)가 작동하지 않으면 후단에 일측이 솔레노이드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타격부재(132)의 말단에 고정되는 타격부재복귀스프링(133)에 의해 타격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시술자가 스위치(140)를 누르면, 솔레노이드구동부(131)가 작동하여 타격부재(132)가 공이부재(120)의 후단을 타격하게 되고 이로인해 공이부재(120)는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솔레노이드구동부(131)가 작동하지 않으면 타격부재(132)는 타격부재복귀스프링(133)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고, 공이부재(120)는 공이복귀스프링(121)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스위치(140)의 작동을 통해 솔레노이드구동부(131)의 작동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스위치(140)를 한번 누르는 동작으로 공이부재(120)가 전방으로 소정의 시간을 두고 여러번 반복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배럴(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별도의 연결부재(11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12)는 배럴(110)의 다른 부위나 이후 설명할 캡유니트(200)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캡유니트(200)를 본체유니트(100)의 선단에 설치하고 사용한 후 캡유니트(200)를 꺽어 부러뜨려 폐기하는 것으로 전반적인 채혈기의 위생상태를 안전하게 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결부재(112)는 캡유니트(200)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배럴(110)이나 캡유니트(200)가 플라스틱 사출로 제조되는 것을 감안하면 알루미늄과 같이 플라스틱보다 강도가 높은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럴(110)의 선단개구(111)는 연결부재(112)의 선단영역에 형성된다.
캡유니트(200)는 본체유니트(10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선단개구(111) 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구(201)와, 장착구(201)에 대향되게 마련된 침통과공(202)을 가지는 캡본체(210)와, 캡본체(210) 내에 공이부재(120)의 타격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침지지체(220)와, 침지지체(220)의 선단에 장착되어 침통과공(202)을 통과하여 노출 가능한 침(231)을 가지는 침부재(230)와, 침지지체(2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침통과공(202)을 통해 노출되어 피시술자의 피부(a)에 탄성적으로 가압접촉할 수 있는 무통스프링(240) 및 캡본체(210) 내에 배치되어 캡본체(210)에 대해 침지지체(220)를 타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미는 복귀스프링(250)으로 이루어진다.
장착구(201)는 배럴(110)의 선단개구(111) 영역의 외경과 비슷한 내경을 가진다. 따라서, 선단개구(111) 영역이 장착구(201)에 끼워져 캡유니트(200)와 본체유니트(100)가 결합된다. 이러한 장착구(20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잘 부러지는 재질로 준비되어 캡유니트(200)를 교체할 때는 배럴(110)의 축선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캡유니트(200)를 꺽어 장착구(201)가 부러지게 하는 방법으로 캡유니트(200)와 본체유니트(100)의 결합이 해제된다.
캡본체(210)는 전단에 침통과공(202)을 가지고, 후단에는 장착구(201)가 형성된다. 캡본체(210)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이 수용공간에는 침지지체(220)가 삽입된다.
침지지체(220)는 후단영역이 공이부재(120)에 의해 타격되며 캡본체(210) 내에서 침통과공(202)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복귀된다. 침지지체(220)는 후단영역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복귀스프링지지턱(222)을 가지며, 중간영역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무통스프링지지턱(221)을 가지며, 선단영역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침부재(230)를 수용하는 침부재장착부(223)를 가진다.
복귀스프링(250)은 일측이 캡본체(21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복귀스프링지지턱(22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무통스프링(240)은 일측이 무통스프링지지턱(221)에 고정되고 타측은 침통과공(202)을 향한다. 복귀스프링(250)의 내경은 무통스프링(24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압축되지 않았을 때의 무통스프링(240)의 일부영역은 복귀스프링(250)의 내측에 위치한다.
침부재(230)의 전단에는 침(2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침부재(230)의 후단은 침부재장착부(223)에 결합된다. 이때, 침의 선단은 무통스프링(240)의 선단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즉, 침지지체(220)의 후단이 공이부재(120)에 의해 타격되어 침지지체(220)가 침통과공(202)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피시술자의 피부(a)에 접촉할 때 무통스프링(240)의 선단이 먼저 피부(a)에 접촉하게 되고 그 후 무통스프링(240)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침이 피시술자에 피부(a)에 파공을 하게 된다. 이때, 무통스프링(240)이 침이 찌를 주위 피부(a)를 충격한 후 압착하여 신경을 차단하고 압축된 무통스프링(240)이 압축해제되며 빠르게 빠지게 되므로 무통 효과가 발생한다.
위와 같은 캡유니트(200)를 크게 나누게 되면, 캡본체(210)와 침지지체(220)로 나눌 수 있는데, 실제로 캡유니트(2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도 캡본체(210)와 침지지체(220)를 별도로 준비한 후 둘을 상호 결합하여 만들게 되고, 이때 침지지체(220)가 캡본체(210)의 장착구(201)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부를 필요로 하게 된다.
멈춤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본체(210)의 내부면에서 캡본체(210)의 축선을 향해 소정 거리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211)으로 준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211)은 침지지체(220)의 복귀스프링지지턱(222)의 지름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즉, 침지지체(220)가 캡본체(210)의 장착구(201) 방향에서 침통과공(202)방향으로 이동하며 캡본체(210) 내부에 결합될 때 복귀스프링지지턱(222)의 영역이 탄성압축되며 걸림턱(211)을 지나고, 걸림턱(211)을 지난 후 탄성복귀되어 캡본체(210)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침지지체(220)는 캡본체(210) 내부에서 장착구(201)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채혈기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의 (a)와 (b)는 각각 채혈기가 사용되지 않았을 때와 사용되었을 때를 나타낸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지 않았을 때 채혈기의 모든 탄성부재들은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있으며, 침지지체(220)와 공이부재(120), 공이부재(120)와 타격부재(132)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유지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형태로 준비된다. 또한, 이러한 이격거리들로 인해 조립이 보다 용이해진다.
만약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스위치(140)를 누르게 되면, 솔레노이드구동부(131)가 타격부재(132)를 타격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타격부재(132)는 공이부재(120)의 후단을 타격하여 공이부재(120)를 침통과공(202)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공이부재(120)는 침지지체(220)의 후단을 타격하여 침지지체(220)를 침통과공(20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침지지체(220)의 전단에 결합된 침부재(230)의 침은 침통과공(202)의 외부로 돌출되어 피시술자의 피부(a)에 파공을 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끝나면, 솔레노이드구동부(131)가 타격부재(132)를 이동시키는 힘을 제거하게 되고, 타격부재(132)는 타격부재복귀스프링(133)에 의해, 공이부재(120)는 공이복귀스프링(121)에 의해, 침지지체(220)는 복귀스프링(25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은 도 4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채혈을 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캡유니트(200)에 관한 구성들로만 도시되어 있으며, 침지지체(220)의 후단을 타격하는 공이부재(120)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캡유니트(200)의 침통과공(202)의 전단에는 피시술자의 피부(a)가 접촉되어 있는 실제의 사용을 가정하고 있다.
도 4의 (a)와 같이, 대기상태의 침지지체(220)는 도 4의 (b)와 같이, 공이부재(120)가 침지지체(220)의 후단을 타격하는 것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무통스프링(240)이 먼저 피시술자의 피부(a)에 접촉하게 되며 지속적인 침지지체(220)의 이동에 따라 소정간격 압축된다. 이때 복귀스프링(250) 또한 소정 간격 압축된다. 그 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지체(220)가 지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침(231)이 피시술자의 피부(a)에 침투하여 피부(a)에 파공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무통스프링(240)은 이미 충분히 압축된 상태이고, 복귀스프링(250)은 최대로 압축된다. 그리고,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피부(a)에 파공이 발생되어 혈액(b)이 나와 채혈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침지지체(220)는 무통스프링(240)과 복귀스프링(250)의 탄성복원에 의해 다시 후방으로 복귀하여 공이부재(120)가 침지지체(220)의 후단을 타격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과 작동으로 피시술자의 피부에 파공을 내어 이로부터 나오는 혈액(b)을 통해 채혈을 하게 되며, 이러한 피부(a)에 파공을 내는 과정에서 침(231)보다 무통스프링(240)이 사람의 피부(a)에 먼저 접촉되어 가압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피시술자는 침(231)이 피부(a)에 파공을 낼 때 발생하는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무통의 원리는 무통스프링(240)이 피부(a)에 접촉되고 침(231)이 파고드는 영역의 주변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데, 모든 피부감각은 촉각과 통각으로 나누어 자극받는 신호를 중추신경 척수를 따라 뇌로 전달하게 되는데 촉각이 뇌에 전달되는 속도가 침(231)이 피부(a)에 파고들 때 발생되는 통각의 전달속도보다 3~100배 빨라 사람의 뇌는 통각보다 촉각을 먼저 인식하게 되고, 촉각을 인식하고 있는 도중에 전달되어오는 통각을 촉각이 뇌 입구에서 방해하게 되는 원리이다.(1965년 발표된 Gate control theory)
이러한 촉각과 통각을 느끼는 것은 사람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는데, 대부분의 피시술자들이 통증없이 채혈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통스프링(240)이 피부(a)에 가압접촉 되고 침(231)이 피부(a)에 파고든 다음 최대한 빠르게 침(231)이 피부(a)로부터 이탈되어야 한다. 즉, 침(231)이 피부(a)에 파고들고 나오는 속도가 빠를수록 통증을 느끼는 시간이 단축되어 촉각이 통각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귀스프링(250)은 침지지체(220)를 단순 복귀 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타격되어 이동된 침지지체(220)를 빠르게 타격 전 상태로 복귀시켜 통각이 발생되는 시간을 최소화 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복귀스프링(250)과 무통스프링(240)을 적절히 조절하면 보다 통증을 느끼지 않고, 사용의 거부감이 없는 채혈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스프링(250a)의 형상을 전반부에 비해 후반부의 탄성계수가 높도록 침통과공(202)의 방향으로 갈수록 피치가 증가되는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공이부재(120)가 침지지체(220)의 후단을 타격하여 침지지체(220)가 침통과공(202)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피치가 좁은 영역이 주로 압축되어 침지지체(220)를 공이부재(120)의 방향으로 미는 힘을 최소화 시키는 것으로 채혈을 위한 과정에서 복귀스프링(250a)이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 하고, 침(231)이 피부(a)를 파고드는 상태에서 피치가 증가된 영역이 압축되어 복귀스프링(250a)이 최대한 빠르게 침지지체(220)를 공이부재(120) 방향으로 밀어내수 있도록 하여 침(231)이 사람의 피부(a)로부터 더욱 빠르게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채혈기의 작동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는데, 스위치(140)를 누르고 있는 동안 타격부재(132)가 반복적으로 이동과 복귀하도록 하는 것으로 침통과공(202)의 선단에 접촉된 피부(a)에 다수의 파공를 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적인 사용은 일정한 피부(a)영역에 다수의 파공를 내어 채혈을 하는 한방분야에서 사용되기도 하는데,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캡유니트(200)의 선단영역에 피시술자의 혈액(b)이 묻게 되고 이러한 혈액(b)이 묻어 있는 캡유니트(200)를 세척하거나 바꾸지 않고 내부에 침부재(230)만 바꾸어 쓴다면 혈액(b)이 다른 피시술자의 피부(a) 내부에 인입되어 위생 상 위생상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 한번 사용한 캡유니트(200)는 재사용 할 수 없도록 캡유니트(200)는 일체로 구성되게 만들어져, 캡유니트(200)를 피시술자 한명에게 사용한 후 본체유니트(100)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꺽어 장착구(201)를 파단시키므로 장착구(201)는 본체유니트(100)에 재결합이 불가하여 캡유니트(200)를 통체로 폐기해야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통증이 없으면서도 위생상 안전한 장점이 있다.
100 : 본체유니트 110 : 배럴
111 : 선단개구 120 : 공이부재
121 : 공이복귀스프링 130 : 타격구동부
140 : 스위치 131 : 솔레노이드구동부
132 : 타격부재 133 : 타격부재복귀스프링
150 : 제어부 160 : 베터리부
112 : 연결부재 200 : 캡유니트
201 : 장착구 202 : 침통과공
210 : 캡본체 211 : 걸림턱
220 : 침지지체 221 : 무통스프링지지턱
222 : 복귀스프링지지턱 223 : 침부재장착부
230 : 침부재 231 : 침
240 : 무통스프링 250, 250a : 복귀스프링
a : 피부 b : 혈액

Claims (4)

  1. 채혈기에 있어서,
    선단개구를 가지는 배럴과, 상기 배럴 내에 수용되어 상기 선단개구를 향한 타격적인 슬라이딩 이동 및 철회이동 가능한 공이부재와, 상기 공이부재에 타격력을 가하는 타격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유니트와,
    상기 선단개구 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구와, 상기 장착구에 대향되게 마련된 침통과공을 가지는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 내에 상기 공이부재의 타격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침지지체와, 상기 침지지체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침통과공을 통해 노출 가능한 침을 가지는 침부재와, 상기 침지지체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침통과공을 통해 노출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탄성적으로 가압접촉할 수 있는 무통스프링을 포함하는 캡유니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는 상기 침지지체가 상기 장착구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캡본체에 대해 상기 침지지체를 타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미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스프링은 타격방향을 따라 전반부에 비해서 후반부의 피치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KR1020190041290A 2018-04-17 2019-04-09 채혈기 KR102277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4646 2018-04-17
KR1020180044646 2018-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246A true KR20190121246A (ko) 2019-10-25
KR102277465B1 KR102277465B1 (ko) 2021-07-15

Family

ID=6823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290A KR102277465B1 (ko) 2018-04-17 2019-04-09 채혈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7465B1 (ko)
WO (1) WO20192034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535A3 (ko) * 2019-11-28 2021-07-2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채혈 기구
WO2023027532A1 (ko) * 2021-08-27 2023-03-02 (주) 로아메드 채혈기 및 채혈기용 니들유니트
CN115868988A (zh) * 2021-09-28 2023-03-31 天津华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采血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0465B (zh) * 2019-11-30 2022-08-26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自动回缩采血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836A (ko) * 2008-12-17 2010-01-13 (주)보성메디텍 란셋 일체형 캡 및 무통 채혈기
KR20100016350A (ko) * 2007-04-19 2010-02-12 에이치티엘-스트레파 스폴카 아크사이즈나 환자용 피부천자기
KR20160147829A (ko) * 2014-04-18 2016-12-23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다회용 혈액 제어 안전 카테터 조립체
KR101731340B1 (ko) * 2016-07-06 2017-04-28 최정원 무통 채혈기
KR20170124442A (ko) * 2016-05-02 2017-11-10 최정원 일회용 무통 채혈침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채혈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6841B2 (en) * 2004-02-17 2011-03-01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Injection device for administering a vaccine
KR20100064669A (ko) * 2008-12-05 2010-06-15 폴 곽 마이크로 니들 피부 미용기
CA2929184A1 (en) * 2013-11-13 2015-05-21 Genentech, Inc. Assisted manual injector devices and methods
KR101491812B1 (ko) * 2014-01-29 2015-02-11 주식회사 지앤티케어 채혈기
JP6670207B2 (ja) * 2016-08-26 2020-03-18 日本発條株式会社 穿刺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350A (ko) * 2007-04-19 2010-02-12 에이치티엘-스트레파 스폴카 아크사이즈나 환자용 피부천자기
KR20100004836A (ko) * 2008-12-17 2010-01-13 (주)보성메디텍 란셋 일체형 캡 및 무통 채혈기
KR20160147829A (ko) * 2014-04-18 2016-12-23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다회용 혈액 제어 안전 카테터 조립체
KR20170124442A (ko) * 2016-05-02 2017-11-10 최정원 일회용 무통 채혈침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채혈기
KR101731340B1 (ko) * 2016-07-06 2017-04-28 최정원 무통 채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535A3 (ko) * 2019-11-28 2021-07-2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채혈 기구
WO2023027532A1 (ko) * 2021-08-27 2023-03-02 (주) 로아메드 채혈기 및 채혈기용 니들유니트
CN115868988A (zh) * 2021-09-28 2023-03-31 天津华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采血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3496A1 (ko) 2019-10-24
KR102277465B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1246A (ko) 채혈기
CA2418665C (en) System for pain-reduced withdrawal of blood
KR100912202B1 (ko) 란셋 일체형 캡 및 무통 채혈기
US7288102B2 (en) Lancing device with decoupled lancet
KR200283543Y1 (ko) 자동 사혈침 기구
KR100820523B1 (ko) 채혈기
EP1415593B1 (en) Lancing device
KR101177189B1 (ko) 환자용 피부천자기
US9724034B2 (en) Skin stimulus
WO2003073936A3 (en) A device for puncturing patient's skin
KR20030089448A (ko) 채혈 시스템
CN103767713A (zh) 减轻痛感的穿刺装置
TWM513008U (zh) 具退針裝置的高速採血筆
KR20180024777A (ko) 자동 침 시술장치
KR101731340B1 (ko) 무통 채혈기
KR20090099969A (ko) 채혈기
KR20100004836A (ko) 란셋 일체형 캡 및 무통 채혈기
US9474479B2 (en) Uni-directional drive mechanism for lancing device
KR200404886Y1 (ko) 일회용 사혈침 기구
KR20230076130A (ko) 랜싱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20220100138A (ko) 일회용 채혈기
CN209236327U (zh) 一种超声介入治疗穿刺针定位发射器
CN219516294U (zh) 一次性可调穿刺深度采血针
CN221045007U (zh) 骨髓刺激装置
CN210277231U (zh) 一种生物组织取样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