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643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643A
KR20190116643A KR1020180039542A KR20180039542A KR20190116643A KR 20190116643 A KR20190116643 A KR 20190116643A KR 1020180039542 A KR1020180039542 A KR 1020180039542A KR 20180039542 A KR20180039542 A KR 20180039542A KR 20190116643 A KR20190116643 A KR 20190116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cation
case
humidifying
wat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872B1 (ko
Inventor
김용민
박형호
최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87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습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습 어셈블리에는, 상기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습수용부, 상기 가습수용부에서 유동된 물을 미세 물입자로 변환시키는 가습생성부 및 상기 가습생성부에서 생성된 미세 물입자를 상기 토출구로 유동시키는 가습공급부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가습수용부에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습필터가 수용되는 가습케이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조화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소정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실외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소정공간을 가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가습을 위한 가습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가습 어셈블리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을 출원하여 공개한 바 있다.
<선행문헌 1>
1. 공개번호 : 제10-2012-0081900호(공개일자 : 2011년 07월 20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조화기
상기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 어셈블리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가습 어셈블리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물 탱크를 분리하여 물을 공급하고 다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된 상태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가습 어셈블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초순수용 이온교환수지로 구비된 가습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기 중으로 공급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습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습 어셈블리에는, 상기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습수용부, 상기 가습수용부에서 유동된 물을 미세 물입자로 변환시키는 가습생성부 및 상기 가습생성부에서 생성된 미세 물입자를 상기 토출구로 유동시키는 가습공급부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가습수용부에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습필터가 수용되는 가습케이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에는 개구되어 형성된 가습유입구가 포함되고, 상기 가습수용부는 상기 가습유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후방에 결합되는 캐비닛이 포함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가습수용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일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가습수용부는 상기 가습유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습수용부를 케이스에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가습수용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입력부 또는 감지부를 통해 간단하게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면, 도어 및 가습수용부가 회동되어 가습유입구를 노출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가습유입구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습수용부에는 초순수용 이온교환수지로 구비된 가습필터가 설치되어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켜 공기 중으로 제공한다. 그에 따라, 보다 쾌적한 가습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도어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가습수용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가습수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기재의 편의상,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실내기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 11, 12)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 11, 12)는 상하로 연장된 박스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1)는 직립으로 설치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해당된다.
상기 케이스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0) 및 캐비닛(11, 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실내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도어(10)는 상하로 연장된 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상기 도어(10)에는, 소정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100)가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토출구(100)는 상기 도어(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원형 개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토출구(100)에는 후술할 제 1 팬(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에는,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102)가 포함된다. 상기 입력부(102)는 대략 사용자가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입력부(102)는 상기 제 1 토출구(1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02)는 상기 실내기(1)에 운전과 관련된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02)는 소정의 압력, 터치 등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02)를 소정의 횟수로 노크하는 경우, 상기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02)에 2번의 노크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10)가 일 측으로 이동되고, 3번의 노크가 입력될 경우, 상기 도어(10)를 타 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에는, 상기 실내기(1)가 설치된 공간 등을 감지하도록 구비된 감지부(104)가 포함된다. 상기 감지부(104)는 보다 넓은 공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104)는 상기 실내기(1)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나 음성, 모션 등을 감지하는 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후방에는 상기 캐비닛(11, 12)이 결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도어(10)는 상기 캐비닛(11, 12)의 전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1, 12)은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캐비닛(11) 및 하부캐비닛(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캐비닛(11)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상부캐비닛(11)에는 소정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에는 후술할 실내 열교환기(40), 제 1 팬(20), 팬 어셈블리(3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캐비닛(11)에는 소정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흡입구(110)는 상기 상부캐비닛(11)의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10)에는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11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어셈블리(112)의 일 측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12)에 포집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클리닝어셈블리(50)가 구비된다. 상기 클리닝어셈블리(5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12)를 따라 상하로 연장된 이동가이드(51) 및 상기 이동가이드(51)를 따라 이동되는 클리닝본체(52)가 포함된다.
소정의 입력 또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상기 클리닝본체(52)가 상기 이동가이드(51)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필터어셈블리(112)를 청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필터어셈블리(112)를 청소할 필요가 없거나, 비교적 큰 시간간격으로 청소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하부캐비닛(12)은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캐비닛(12)은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10) 및 상기 상부캐비닛(11)을 지지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하부캐비닛(12)에는 후술할 가습 어셈블리(6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1)에는 제 1 팬(20), 팬 어셈블리(30), 실내 열교환기(40) 및 가습 어셈블리(6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토출구(100)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토출구(10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팬(20)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팬(20)은 동작되는 경우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토출구(100)에 위치되고, 동작되지 않는 경우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토출구(1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토출구(100)에는 상기 제 1 토출구(100)를 개폐하는 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20)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토출구(100)를 폐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실내기(1)의 외관이 깔금해지며, 상기 제 1 팬(20)에 이물질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는 상기 제 1 팬(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팬 어셈블리(30)에는, 복수의 제 2 팬(32) 및 상기 복수의 제 2 팬(32)이 설치되는 팬 케이스(34)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팬(32)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상기 팬 케이스(34)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3개의 제 2 팬(32)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20) 및 상기 복수의 제 2 팬(32)이 상하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 케이스(34)에는, 소정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36)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토출구(36)는 상기 도어(10)와 상기 상부캐비닛(11)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토출구(36)는 상기 실내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토출구(36)는 상기 실내기(1)의 양 측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토출구(36)는 상기 실내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형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는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는 냉매배관(42)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와 연결되어 하나의 냉매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40)는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기능하며 실내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40)에는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 또는 수집하는 드레인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습 어셈블리(60)는 토출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특히, 상기 가습 어셈블리(60)는 제 2 토출구(36)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습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습 어셈블리(60)에는 가습공급부(62), 가습생성부(64), 가습수용부(66) 및 가습팬(68)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가습생성부(64), 상기 가습수용부(66) 및 상기 가습팬(68)은 상기 하부캐비닛(12)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습공급부(62)는 상기 제 2 토출구(36)에 미세 물입자를 토출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가습생성부(64)에서 상기 제 2 토출구(36)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가습공급부(62)는 상기 하부캐비닛(12)에서 상기 상부캐비닛(1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습공급부(62)는 양 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2 토출구(36)에 대응하여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습공급부(62)는 상기 가습생성부(64)에서 상기 제 2 토출구(36)로 연장된 파이프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습생성부(64)는 물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을 통해 미세 물입자로 변환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가습생성부(64)의 일 측에는 상기 가습팬(68)이 구비되어, 상기 가습생성부(64)에서 형성된 미세 물입자를 상기 가습공급부(62)를 통해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생성부(64)는 상기 가습수용부(66)를 통해 소정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상기 가습수용부(66)는 상기 가습생성부(64)에 가습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가습생성부(64)에 관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1 및 도 2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내기(1)를 간단하게 도시된 것으로 상기 실내기(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앞서 설명한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실내기(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1)에는 하나의 흡입구(110) 및 복수의 토출구(110, 36)가 구비된다. 또한, 각 토출구(110, 36)는 서로 다른 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실내기(1)에는 상기 실내기(1)의 전면상부에 위치된 상기 제 1 토출구(100)와, 상기 실내기(1)의 양 측면에 위치된 상기 제 2 토출구(3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 팬(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토출구(100)로 공기가 토출되고, 상기 제 2 팬(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2 토출구(36)로 공기가 토출된다.
또한, 상기 제 1 팬(20)은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팬(20)은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교적 먼 공간까지 토출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20)을 '원거리용 팬'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팬(32)은 상기 케이스(10, 11, 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토출구(36)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간섭풍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팬(32)을 '근거리용 팬'이라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실내기(1)는 원거리모드 또는 근거리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풍 또는 해당 공간의 빠른 냉난방을 원하는 경우 원거리모드로 동작되고, 간접풍 또는 해당 공간의 온도를 유지하기를 원하는 경우 근거리모드로 동작된다.
또한, 원거리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 1 팬(20) 및 상기 제 2 팬(32)이 동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빠르게 해당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상기 실내기(1)가 원거리모드로 동작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내기(1)의 후면에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되어 상기 실내기(1)의 전면 및 측면을 통해 토출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팬(20)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 2 팬(32)만 동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팬(20)은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토출구(100)는 커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1)는 가습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가습 어셈블리(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2 토출구(36)를 통해 가습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내기(1)는 다양한 모드로 동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도어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가습수용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는 상기 캐비닛(11, 12)의 일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도어(10)는 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10)는 상기 가습수용부(66)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1)에는, 상기 도어(1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이동레일(105)이 포함된다. 상기 이동레일(105)은 상기 캐비닛(11, 12)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판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105)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10)는 상기 이동레일(10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4와 같이 상기 가습수용부(66)가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 도어(10)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팬(20)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02)를 노크하는 경우, 상기 피니언이 회전되어 상기 도어(10)가 상기 이동레일(10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04)에 의해 특정한 모션 또는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어(10)가 상기 이동레일(10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수용부(66)는 전방으로 회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가습수용부(66)에는, 소정의 물이 수용되는 수조(660)가 포함되고, 상기 수조(66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수조(66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를 가습유입구(6602)라 한다. 상기 가습수용부(66)는 상기 가습유입구(6602)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습유입구(6602)를 통해 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습수용부(66)는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상기 가습수용부(66)는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5와 같이 상기 가습유입구(6602)가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 가습수용부(66)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10)는 일 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도어(10)가 일 측으로 이동되면, 자동으로 상기 가습수용부(66)가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02) 또는 상기 감지부(104)에 의해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도어(10)가 일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습수용부(66)가 전방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쉽게 상기 가습수용부(66)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손에 공급을 위한 물을 가지고 있는 경우, 간단한 신호를 통해 상기 가습유입구(6602)가 노출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가습수용부(66)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가습수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수용부(66)에는 소정의 물이 수용되는 상기 수조(660)가 포함된다. 상기 수조(6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특히, 상기 수조(66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수조(66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660)에는 물이 투입되는 상기 가습유입구(6602)와 물이 토출되는 가습유출구(6601)가 형성된다. 상기 가습유입구(6602)는 상기 수조(660)로 물이 공급부되는 개구이고, 상기 가습유출구(6601)는 상기 가습생성부(64)로 물이 유동되는 개구에 해당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습유입구(6602)는 상기 수조(66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습유출구(6601)는 상기 수조(660)의 하면에 형성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가습유입구(6602)는 상기 수조(660)의 상부측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가습유출구(6601)는 상기 수조(660)의 하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수용부(66)에는, 상기 가습유입구(6602)로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가습필터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가습필터는 초순수용 이온교환수지(Ultra Pure Water Ion Exchange Resins)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초순수용 이온교환수지는 물 속 경도성분을 99%이상 제거할 수 있는 필터에 해당된다.
상기 가습필터는 소정의 가습케이스(664)에 수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케이스(664)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가습필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케이스(664)에는 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가습유동구(6642) 및 제 2 가습유동구(6644)가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가습유동구(6642)는 상기 수조(660)에 수용된 물이 상기 가습케이스(664)의 내부로 유동되는 개구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 2 가습유동구(6644)는 물이 상기 가습케이스(664)의 내부에서 상기 가습유출구(6601)로 유동되는 개구에 해당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습유동구(6642)는 상기 가습케이스(664)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가습유동구(6644)는 상기 가습케이스(664)의 하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가습유동구(6642)에는 비교적 큰 이물질이 필터링되도록 메쉬망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케이스(664)는 상기 수조(660)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수조(660)에는 상기 가습케이스(664)가 설치되는 제 1 설치부(660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습케이스(664)에는 상기 제 1 설치부(6607)에 대응되는 제 2 설치부(6646)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설치부(6607)는 상기 수조(66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제조되어 상기 수조(66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설치부(6607)는 상기 가습유출구(6601)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습유출구(660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설치부(6646)는 상기 가습케이스(664)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제조되어 상기 가습케이스(664)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설치부(6646)는 상기 가습케이스(664)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치부(6607)와 상기 제 2 설치부(6646)는 압력에 의해 서로 형합되도록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되고, 실링과 함께 설치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설치부(6607)와 상기 제 2 설치부(6646)의 사이로 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설치부(6646)에 상기 제 1 설치부(6607)를 끼워넣음으로 인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습케이스(664)를 상기 수조(660)에 압입시킴으로 상기 가습케이스(664)를 상기 수조(66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케이스(664)에는,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파지부(6648)가 마련된다. 상기 파지부(6648)는 상기 가습케이스(664)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반원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6648)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가습케이스(664)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6648)를 상부로 회동시켜 상기 가습케이스(664)를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가습케이스(664)가 상기 수조(660)에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가습케이스(664)를 상기 수조(660)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며, 상기 가습수용부(66)에서 물의 유동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가습유입구(6602)를 통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제 1 유동(A)이라 한다. 상기 제 1 유동(A)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가습수용부(66)는 도 5와 같이 상기 가습유입구(6602)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유입구(6602)가 상기 수조(66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습수용부(66)가 회동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 1 유동(A)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동(A)에서 유동되는 물은 사용자가 공급한 물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물은 상기 수조(660)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수조(660)에는 수위센서가 구비되어 소정의 수위를 초과하여 물이 공급된 경우, 상기 실내기(1)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660)에 수용된 물이 소정의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실내기(1)에서 물을 공급하라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660)에 수용된 물은 상기 가습케이스(664)로 유동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가습유동구(6642)를 통해 물이 상기 가습케이스(664)의 내부로 유동되며, 이를 제 2 유동(B)이라 한다.
이때, 상기 제 1 가습유동구(6642)는 상기 가습케이스(664)의 측면을 따라 상기 가습케이스(664)의 하측에도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수조(660)에 비교적 적은 양의 물이 수용된 경우에도 상기 제 1 가습유동구(6642)를 통해 상기 제 2 유동(B)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동(B)에서 유동되는 물은 상기 제 1 가습유동구(6642)를 통과한 물에 해당된다. 이는 사용자가 공급한 물에서 비교적 큰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물은 상기 가습수용부(66)에서 상기 가습생성부(64)로 유동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가습유동구(6644)를 통과하여 상기 가습케이스(664)에서 토출되고, 상기 가습유출구(6601)를 통해 상기 가습생성부(64)로 유동된다.
이를 제 3 유동(C)이라 한다. 상기 제 3 유동(C)에서 유동되는 물은 상기 가습필터를 통과한 정수된 물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정수된 물이 상기 가습생성부(64)로 공급되어 미세 물입자로 변환되어 상기 가습공급부(62)를 통해 공기 중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실내기(1)는 보다 편리하게 상기 가습 어셈블리(6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된 물을 정수하여 공기 중으로 공급함에 따라 보다 쾌적하게 실내공간을 조화시킬 수 있다.
1 : 실내기 10 : 도어
20 : 제 1 팬 32 : 제 2 팬
36 : 제 2 토출구 60 : 가습 어셈블리
66 : 가습수용부 100 : 제 1 토출구
660 : 수조 6602 : 가습유입구
664 : 가습케이스

Claims (15)

  1.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습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가습 어셈블리에는,
    상기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습수용부;
    상기 가습수용부에서 유동된 물을 미세 물입자로 변환시키는 가습생성부; 및
    상기 가습생성부에서 생성된 미세 물입자를 상기 토출구로 유동시키는 가습공급부;가 포함되고,
    상기 가습수용부에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습필터가 수용되는 가습케이스;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개구되어 형성된 가습유입구가 포함되고,
    상기 가습수용부는 상기 가습유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후방에 결합되는 캐비닛이 포함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가습수용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일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가습수용부는 상기 가습유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상면에 개방되어 형성된 가습유입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하면에 개방되어 형성된 가습유출구가 포함되고, 상기 가습유출구는 상기 가습생성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상기 가습유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설치부가 포함되고,
    상기 가습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설치부에 결합되는 제 2 설치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케이스는, 상기 제 1 설치부에 상기 제 2 설치부가 압입됨에 따라 상기 수조에 결합되고,
    상기 가습케이스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습케이스는 상기 파지부를 통해 상기 수조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케이스에는,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이 상기 가습케이스의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가습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가습유동구; 및
    상기 가습케이스의 외부로 물이 유동되도록, 상기 가습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제 2 가습유동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습유동구는 상기 가습유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에는 초순수용 이온교환수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제 1 토출구; 및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토출구;가 포함되고,
    상기 가습공급부는 상기 제 2 토출구로 미세 물입자를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출구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 1 팬; 및
    상기 제 2 토출구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 2 팬;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 1 팬 및 상기 제 2 팬은 상기 케이스에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후방에 결합되는 캐비닛이 포함되고,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상부 캐비닛;
    상기 상부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공급부 및 상기 가습생성부가 수용되는 하부 캐비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공급부는 상기 가습생성부에서 상기 상부캐비닛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80039542A 2018-04-05 2018-04-0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69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42A KR102069872B1 (ko) 2018-04-05 2018-04-0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42A KR102069872B1 (ko) 2018-04-05 2018-04-0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643A true KR20190116643A (ko) 2019-10-15
KR102069872B1 KR102069872B1 (ko) 2020-01-23

Family

ID=6820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542A KR102069872B1 (ko) 2018-04-05 2018-04-0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8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2852A (zh) * 2020-09-08 2020-12-04 深圳朴坂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装置及其控制***
CN114688610A (zh) * 2022-05-07 2022-07-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空调器以及空调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103A (ko) * 2005-11-01 200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JP2008039382A (ja) * 2006-08-04 2008-02-21 Wooritec Co Ltd 上部給水式加湿器
KR20120081900A (ko) * 2011-01-12 201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103A (ko) * 2005-11-01 200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JP2008039382A (ja) * 2006-08-04 2008-02-21 Wooritec Co Ltd 上部給水式加湿器
KR20120081900A (ko) * 2011-01-12 201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2852A (zh) * 2020-09-08 2020-12-04 深圳朴坂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装置及其控制***
CN114688610A (zh) * 2022-05-07 2022-07-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空调器以及空调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872B1 (ko)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672B1 (ko) 공기조화기
KR102610034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86985B1 (ko) 공기조화기
KR1020698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0740615A (zh) 一种机架式空调室内机
WO2023202213A1 (zh) 一种窗式空调器
CN111854010A (zh) 一种分体式厨房空调***
KR101447508B1 (ko) 음식물 건조가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장치
WO2023202191A1 (zh) 一种窗式空调器
CN109106082B (zh) 智能衣柜
KR102036032B1 (ko) 이동형 에어컨
KR101170599B1 (ko)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JP2007170789A (ja) 空気調和機
KR101636959B1 (ko) 빌트인 제습기
KR2019011932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26321A (ko) 공기조화기
CN210631831U (zh) 一种侧吸式无烟净化器
KR1012598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2413880A (zh) 一种空调器的集水装置、空调器
KR20060119068A (ko) 독립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KR10090292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1054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16522030U (zh) 空气处理装置和空调器
CN217685516U (zh) 空调室外机
CN116518467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