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665A - 충전 포장기 - Google Patents

충전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665A
KR20190112665A KR1020190033499A KR20190033499A KR20190112665A KR 20190112665 A KR20190112665 A KR 20190112665A KR 1020190033499 A KR1020190033499 A KR 1020190033499A KR 20190033499 A KR20190033499 A KR 20190033499A KR 20190112665 A KR20190112665 A KR 20190112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conveyance path
extended
circumferential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오 마사이
신지 요네이
타츠야 타나카
긴지로 타케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팍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팍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팍쿠
Publication of KR2019011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B65B9/08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in a web folded and sealed transversely to form pockets which are subsequently filled and then closed by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5Adjustable conve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B65B9/08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in a web folded and sealed transversely to form pockets which are subsequently filled and then closed by sealing
    • B65B9/093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in a web folded and sealed transversely to form pockets which are subsequently filled and then closed by sealing the web having intermittent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과제) 포장재의 셋팅 작업의 간소화 및 시간 단축을 꾀한다.
(해결수단)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띠 형상의 포장재(200)를, 평면으로 볼 때에 대략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원주 반송로(211)와 상기 원주 반송로의 종점(214)에 연결되는 연장 반송로(212)를 따라 반송하면서, 상기 원주 반송로(211)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주머니부(202)를 각각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하면서, 상기 주머니부의 각각에 충전재(203)를 충전하고, 상기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 가열부(60)와 가압부(66)에 의해 상기 포장재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가열 밀봉하여 상기 주머니부를 밀봉하는 충전 포장기(1)에, 상기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반송로의 종점(214)과 상기 가압부(66) 사이의 소정의 반송 영역에 걸쳐서 상기 포장재를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체(73, 80)와, 상기 종점(214)으로부터 상기 가압부(66)를 향해서 상기 포장재를 송출하는 방향으로 상기한쌍의 협지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90)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충전 포장기{FILLING AND PACKAGING MACHINE}
본 발명은 띠 형상의 포장재에 복수의 주머니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각 주머니부에 충전재를 충전하는 충전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분말상 또는 입자상의 충전재를 포장하는 회전식의 충전 포장기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충전 포장기에는, 일반적으로 포장재의 반송로로서 평면으로 볼 때에 대략 원호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원주 반송로와, 상기 원주 반송로의 종점에 연속되는 연장 반송로가 설치된다.
원주 반송로에는 띠 형상의 포장재가, 접은 선을 하방을 향하도록 둘로 접힌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원주 반송로 상에 있어서, 포장재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세로 시일부에 의해 유지되면서 둘레 방향으로 반송된다. 각 세로 시일부는 포장재를 협지하는 한쌍의 시일 바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시일 바 사이에 협지된 포장재 부분을 가열 밀봉한다. 이것에 의해, 포장재에는 그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시일이 형성된다.
포장재에 있어서, 세로 시일은 반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복수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포장재에는 인접하는 세로 시일 사이에 있어서 상방으로 개방된 주머니부가 형성된다. 원주 반송로에 있어서, 각 주머니부에는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재가 충전된다.
원주 반송로에 있어서 주머니부의 형성과 충전재의 충전을 완료한 포장재 부분은, 원주 반송로로부터 연장 반송로로 송출된다. 연장 반송로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톱 시일을 포장재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형성하는 톱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톱 시일부는 포장재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측 가장자리부를 가압해서 가열 밀봉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있다. 가압부는 한쌍의 시일 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일 롤러 사이에서 포장재를 끼워 압박한다. 연장 반송로 상에 있어서, 포장재는 가열부와 가압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상측 가장자리부가 밀봉되고, 이것에 의해 주머니부가 밀봉된다.
상기와 같이, 원주 반송로에서는 세로 시일부의 시일 바 사이에 포장재가 협지되고, 연장 반송로에서는 톱 시일부의 가압부의 시일 롤러 사이에 포장재가 협지된다. 또한, 원주 반송로의 종점으로부터 연장 반송로의 가압부까지의 반송 영역에서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포장재가 하측으로부터 지지된다.
일본 특허공개 2006-021795호 공보
그런데, 상술의 회전식의 충전 포장기의 연속 가동이 정지될 때, 세로 시일부 및 톱 시일부의 가압부에 있어서 포장재를 협지한 채로 해 두면, 여열에 의해 포장재가 변형되거나 용융되거나 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충전 포장기의 연속 가동이 정지되었을 때는, 그때마다 원주 반송로 및 연장 반송로로부터 포장재가 분리된다. 그 때문에, 충전 포장기의 연속 가동을 재개할 때에는, 그때마다 포장재를 다시 세팅할 필요가 있다.
종래, 연장 반송로로의 포장재의 셋팅 작업은, 원주 반송로 상의 복수의 세로 시일부에 의해 포장재가 협지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원주 반송로의 종점에 위치하는 포장재의 선단부를 쥐고, 톱 시일부의 가열부를 경유해서 가압부까지 잡아당겨서 가압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시일 롤러 사이에 통과시킨다. 이것에 의해, 포장재가 가압부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연장 반송로로의 포장재의 셋팅이 완료된다.
그러나, 연장 반송로 상의 가압부는 원주 반송로의 종점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는 고온으로 될 수 있는 가열부의 구성부품을 포함하는 여러가지의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포장재를 길게 잡아당겨서 가압부에 적절하게 셋팅하는 작업은 번잡해지기 쉽다. 또한 작업자는, 자신의 신체가 가열부 등의 주변부품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걸리기 쉽다.
본 발명은 포장재의 셋팅 작업의 간소화 및 시간 단축을 꾀할 수 있는 충전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른 충전 포장기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띠 형상의 포장재를, 평면으로 볼 때에 대략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원주 반송로와, 상기 원주 반송로의 종점에 연속되는 연장 반송로를 따라서 반송하면서, 상기 원주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주머니부를 각각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하면서, 상기 주머니부의 각각에 충전재를 충전하고, 상기 연장 반송로에 있어서 가열부에 의한 가열과 가압부에 의한 협압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상기 포장재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가열 밀봉하여 상기 주머니부를 밀봉하는 충전 포장기로서,
상기 연장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반송로의 종점과 상기 가압부 사이의 소정의 반송 영역에 걸쳐서 상기 포장재를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체와,
상기 종점으로부터 상기 가압부를 향해서 상기 포장재를 송출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협지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충전 포장기에 의하면, 원주 반송로의 종점과 연장 반송로의 가압부 사이에 위치하는 포장재 부분을, 소정의 반송 영역에 걸쳐서 한쌍의 협지체에 의해 협지하면서 가압부측으로 보내줄 수 있다. 또한, 한쌍의 협지체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한쌍의 협지체 사이에 협지된 포장재 부분을 가압부로 자동적으로 보내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장 반송로로의 포장재의 셋팅 작업의 자동화를 꾀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재의 셋팅 작업의 간소화 및 시간 단축을 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노력 경감, 안전성의 향상,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포장재의 셋팅이 완료된 충전 포장기를 연속 가동시킬 때, 연장 반송로에 있어서의 포장재의 이동을 한쌍의 협지체에 의해 안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연장 반송로에 있어서 포장재의 느슨함, 걸림, 꺽어 구부러짐 등이 억제되도록, 포장재의 반송의 원활화를 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의 높이 위치에 대하여 포장재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정밀도 좋게 통과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톱 시일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의 하류측에 포장재의 세로 시일에 대하여 컷 공정을 행하는 절단부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절단부에 대한 세로 시일의 위치맞춤의 정밀도가 향상함으로써 컷 공정의 정밀도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포장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충전 포장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충전 포장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충전 포장기로 제조되는 연속 주머니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연장 반송로에 설치된 제1가이드 기구의 평면도.
도 6은 제1가이드 기구 및 제3가이드 기구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 5의 A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7은 제1가이드 기구 및 제3가이드 기구를 포장재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본 도 5의 B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8은 제1가이드 기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6의 C-C선 단면도.
도 9는 제2가이드 기구 및 그 주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제3가이드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제3가이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제3가이드 기구를 포장재 반송 방향으로부터 본 도 11의 D-D선 단면도.
도 13은 충전 포장기의 연속 가동 상태에 있어서의 제1가이드 기구를 나타내는 도 5와 같은 평면도.
도 14는 간격 조정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8과 같은 단면도.
도 15는 송풍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9와 같은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포장기(이하, 단지 「포장기」라고도 함)를 설명한다.
[1. 포장기]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기(1)에서는 띠 형상의 필름 또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포장재(200)가 사용된다. 포장기(1)에 의해 포장재(200)에는 연속 주머니체(205)(도 4 참조)가 형성된다.
연속 주머니체(205)의 형성을 위해서, 포장재(200)는 수평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그 폭 방향 중앙에 하향으로 볼록한 접은 선이 형성되도록 둘로 접혀진다. 둘로 접혀진 포장재(200)는, 그 길이 방향의 소정 간격마다 접착 또는 밀봉된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재(20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 시일(201)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세로 시일(201) 사이에 상방으로 개방된 주머니부(202)가 형성된다. 포장재(2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주머니부(202)는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각 주머니부(202)에는 상방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재(203)가 충전된다.
계속해서, 접착 또는 밀봉에 의해서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톱 시일(204)이 형성됨으로써 충전재(203)가 충전된 주머니부(202)의 상단 개구가 닫혀진다. 이것에 의해, 밀봉된 복수의 주머니부(202)를 연속적으로 갖는 연속 주머니체(205)가 형성된다.
연속 주머니체(205)는, 예를 들면 인접하는 주머니부(202) 사이의 세로 시일(201)을 따라서 절단되어서 개개의 주머니부(202) 또는 복수의 연속된 주머니부(202)로 이루어지는 주머니체로 분리되거나, 또는 인접하는 주머니부(202) 사이의 세로 시일(201)을 따라서 절취선(207)을 넣은 주머니체로 가공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기(1)는 후술의 각종 구성부품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의 본체 프레임(10)을 갖는다. 본체 프레임(10)은 건물의 바닥 등의 수평면에 고정된다. 포장기(1)는 포장재(200)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12), 및 포장재 공급부(12)로부터 공급된 포장재(200)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포장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선을 지점으로 해서 포장재(200)를 대략 V자상으로 접어올리는 접어올림부(14)를 더 갖는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기(1)는 접어올림부(14)에서 접어올려진 포장재(200)에 있어서의 한쌍의 포장재편을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열접착해서 상기 세로 시일(201) 및 주머니부(202)를 연속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각 주머니부(202)에 충전재(203)를 충전하는 충전재 충전부(15), 충전재 충전부(15)에 충전재(203)를 공급하는 충전재 공급부(16), 충전재(203)가 충전된 각 주머니부(202)의 상단을 열접착해서 상기 톱 시일(204)을 형성하는 톱 시일부(17), 및 인접하는 주머니부(202) 사이의 세로 시일(201)에 절취선(207)을 형성하는 절단부(18)를 더 갖는다.
[2. 포장재 공급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재 공급부(12)는 소정의 가로폭을 갖는 띠 형상의 필름 또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포장재(200)를 권회한 롤(21)을 지지하는 지지축(샤프트)(22), 및 지지축(22)에 장착된 롤(21)로부터 풀려지는 포장재(200)를 접어올림부(14)에 안내하는 복수의 롤러(23)를 갖는다.
[3. 접어올림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어올림부(14)는 포장재 공급부(12)의 최후의 롤러(23)로부터 거의 수평 방향을 향해서 보내지는 포장재(200)의 상면에 접촉하는 접어올림 가이드(24)를 갖는다. 접어올림 가이드(24)는 대략 V자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접어올림 가이드(24)의 상방 개구각(V자 단면의 상방 개구각)은, 포장재 반송 방향(206)을 따라서, 최후의 롤러(23)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4. 충전재 충전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재 충전부(15)는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된 고정 테이블(30),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26)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10)에 지지된 회전 테이블(31)을 갖는다. 고정 테이블(30)은, 예를 들면 원형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연직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 테이블(31)은, 예를 들면 환상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연직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 테이블(31)은 고정 테이블(30)과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 테이블(31)은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의 구동원에 의해서 축(26) 주위로 회전 구동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테이블(31)에는 복수(n개 : n은 정수)의 세로 시일부(32)가 축(26)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소정의 간격(360도/n의 각도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각 세로 시일부(32)는 회전 테이블(31)에 고정된 고정 시일 바(33), 및 고정 시일 바(33)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 가동 시일 바(34)를 갖는다.
고정 시일 바(33)는 회전 테이블(31) 상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정 시일 바(33)의 지름 방향 외측의 면은 상기 축(26)을 중심으로 하는 시일 기준원(35)(도 2 참조) 상에 배치된 가열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시일 기준원(35)의 지름은 일정값으로 고정되어도 좋고, 소정의 조정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세로 시일부(32)가 지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시일 기준원(35)의 지름이 조정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재 충전부(15)에는 포장재 반송 경로(2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주 반송로(211)가 형성되어 있다. 원주 반송로(211)는 상기 시일 기준원(35)에 있어서의 소정의 시점(213)으로부터 소정의 종점(214)에 이르는 둘레 방향 영역을 따라서 평면으로 볼 때 원호상으로 만곡하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주 반송로(211)는 시일 기준원(35)의 반원주 이상의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시일 바(34)는 시일 기준원(35)의 접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샤프트)(36)(도 1 참조)을 통해서 고정 시일 바(33)에 연결되어 있다. 가동 시일 바(34)는 포장재(200)를 개재해서 고정 시일 바(33)의 가열면에 압접하는 시일 위치(도 1에 있어서의 우측의 가동 시일 바(34)의 위치)와, 고정 시일 바(33)의 가열면으로부터 이간해서 외측으로 쓰러진 비시일 위치(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의 가동 시일 바(34)의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할 수 있게, 상기의 축(36) 주위로 피봇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 시일 바(34)의 가열면은 시일 위치에 있어서의 고정 시일 바(33)의 가열면과의 대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시일 바(34)는 상기 축(26) 주위의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서 상기 축(36) 주위의 각도 위치가 변화하도록, 본체 프임(10)에 고정된 가이드 기구(38)(도 1 참조)에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 시일 바(34)는 상기 시일 기준원(35)에 있어서 원주 반송로(211) 상에 위치할 때는 시일 위치에 배치되고, 그 밖의 둘레 방향 영역에 위치할 때는 고정 시일 바(33)의 가열면에서 이간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재 충전부(15)는 축(26)과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승강 샤프트(43)를 갖는다. 복수의 승강 샤프트(43)는 회전 테이블(31)과 함께 축(26) 주위로 회전하도록, 후술의 승강 기구를 통해서 회전 테이블(31)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승강 샤프트(43)는 복수의 세로 시일부(32)의 각각에 대응하고, 축(26)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승강 샤프트(43)의 상부에는 암(47)을 통해서 깔때기 형상의 충전 슈트(48)가 연결되어 있다. 충전 슈트(48)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시일 기준원(35)(도 2 참조) 상에 배치되고, 축(26) 주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세로 시일부(32)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승강 샤프트(43)의 하부는 축(26) 주위의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서 승강 샤프트(43) 및 충전 슈트(48)의 높이 위치를 변화시키는 승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충전 슈트(48)의 하단부는 상기 원주 반송로(211) 상에 위치할 때는 포장재(200)의 주머니부(202)에 삽입 가능한 정도로 낮은 하강 위치에 배치되고, 그 밖의 둘레 방향 영역에 위치할 때는 포장재(200)보다 상측의 상승 위치로 퇴피된다.
[5. 충전재 공급부]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재 공급부(16)는 주머니부(202)에 충전되는 충전재(203)(도 4 참조)를 충전 슈트(48)에 낙하 공급하는 것이다. 충전재 공급부(1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51) 주위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된 계량판(52), 및 계량판(52)의 상방에 배치된 공급 호퍼(54)를 구비하고 있다. 계량판(52)은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의 구동원에 의해 축(51) 주위로 회전 구동된다. 충전재 공급부(16)의 축(51)은 회전 테이블(31)의 축(26)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회전 테이블(31)의 축(26)로부터 오프셋 되도록 상기 시일 기준원(35)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량판(52)에는 복수의 계량 구멍(56)이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계량 구멍(56)은 축(51)을 중심으로 한 원주(58)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58)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원주 반송로(211)의 일부에 거의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원주(58)와 원주 반송로(211)가 겹치는 둘레 방향 영역에 있어서, 계량 구멍(56)은 충전 슈트(48)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둘레 방향 영역에서는 충전 슈트(48)와 계량 구멍(56) 사이에 설치된 셔터 기구(59)(도 1 참조)가 개방됨으로써 계량 구멍(56)으로부터 충전 슈트(48)로 일정량의 충전재(203)가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6. 톱 시일부]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 시일부(17)는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톱 시일(204)(도 4 참조)을 형성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 시일부(17)는 원주 반송로(211)의 종점(214)에 연속되도록 포장재 반송 경로(210)에 설치된 연장 반송로(212)에 배치되어 있다. 원주 반송로(211)의 종점(214)은 연장 반송로(212)의 시점이기도 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 시일부(17)는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가열하는 가열부(60)와, 가열부(60)에 의해 가열된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가압해서 가열 밀봉하는 가압부(66)를 구비하고 있다.
가열부(60)는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 원주 반송로(211)의 종점(214)(연장 반송로(212)의 시점(214))과 가압부(66) 사이의 소정의 반송 영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가열부(60)는 포장재(200)에 있어서의 각 주머니부(202)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를 가압부(66)에 의한 시일 전에 예비가열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60)는, 예를 들면 각각 히터가 내장된 한쌍의 가열판(61, 62)을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가열판(61, 62)은, 각각 연장 반송로(212)를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장척 부재이다. 한쌍의 가열판(61, 62)은 미소한 클리어런스를 두고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쌍의 가열판(61, 62)은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의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의 포장재(200)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압력으로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끼워 압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는 한쌍의 가열판(61, 62) 사이를 통과할 때에, 가열된 가열판(61, 62)과의 접촉에 의해 가열된다.
한쌍의 가열판(61, 62)은 본체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한쪽의 가열판(61)은 다른쪽의 가열판(62)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와, 다른쪽의 가열판(62)으로부터 이반된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고, 다른쪽의 가열판(62)은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66)는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의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가열부(60)의 하류측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가압부(66)는 한쌍의 시일 롤러(67, 68)를 구비하고 있다. 가열부(60)에 의해 미리 가열된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는, 한쌍의 시일 롤러(67, 68)에 의해 끼워 압박됨으로써 밀봉된다. 이것에 의해, 주머니부(202)가 완전하게 밀봉되어서 연속 주머니체(205)가 형성된다.
한쌍의 시일 롤러(67, 68)는 모터 등의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포장재(200)에 있어서의 한쌍의 시일 롤러(67, 68)에 협지된 부분을,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하류측으로 스무스하게 송출할 수 있다.
포장재 반송 경로(210)에 있어서, 포장재(200)는 원주 반송로(211)에 배치된 복수의 세로 시일부(32)와, 연장 반송로(212)에 배치된 톱 시일부(17)의 가압부(66)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것에 의해, 원주 반송로(211)에서는 복수의 세로 시일부(32)에 의해서, 연장 반송로(212)에서는 가압부(66)에 의해서, 각각 포장재(200)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연장 반송로(212)의 시점(214)으로부터 가압부(66)까지의 반송 영역에서는, 가이드 기구(70)(도 5∼도 9 참조)에 의해 포장재(200)가 지지된다. 가이드 기구(70)의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7. 절단부]
절단부(18)는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의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톱 시일부(17)의 하류측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절단부(18)는, 예를 들면 회전식의 커터(69)를 구비하고 있다. 커터(69)는 톱 시일부(17)에서 형성된 연속 주머니체(205)를 세로 시일(201)의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 절단하거나, 또는 세로 시일(201)의 폭 방향 중앙에 절취선(207)을 형성한다(도 4 참조).
[8. 연속 가동시의 동작]
포장기(1)의 연속 가동은 원주 반송로(211) 및 연장 반송로(212)를 포함하는 포장재 반송 경로(210)에 포장재(200)가 셋팅된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또한, 포장기(1)의 연속 가동 개시 시점에서 이미 원주 반송로(211) 및 연장 반송로(212)에 위치하는 포장재(200)의 주머니부(202)에는, 충전재(203)는 충전되지 않아도 좋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연속 가동시의 포장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포장기(1)에 설치된 소정의 가동 버튼이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면, 회전 테이블(31)에 구동 연결된 모터 등의 구동원의 전원이 온되고, 회전 테이블(31)이 축(26) 주위로 도 2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 테이블(31)과 함께 회전하는 세로 시일부(32)의 고정 시일 바(33) 및 가동 시일 바(34)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의 반송력을 포장재(200)에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포장재 공급부(12)에서는 포장재(200)가 롤(21)로부터 풀려서 복수의 롤러(23)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된다. 최후의 롤러(23)로부터 송출된 포장재(200)는, 그 주요면(표면 및 이면)을 거의 수평면에 평행하게 향해진다. 이와 같이 해서 포장재 공급부(12)로부터 풀려진 포장재(200)는, 접어올림부(14)에 있어서 V자상 횡단면의 접어올림 가이드(24)의 하면을 따라서 반송되면서, 포장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선을 경계로 둘로 접혀진다.
충전재 충전부(15)에서는 승강 샤프트(43) 및 충전 슈트(48)가 회전 테이블(31)과 함께 회전하면서, 이 회전에 연동해서 상기 승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강된다. 충전 슈트(48)는 원주 반송로(211)가 형성된 둘레 방향 영역에서는 하강 위치에 배치되고, 그 이외의 둘레 방향 영역에서는 상승 위치에 배치된다.
원주 반송로(211)에 있어서, 포장재(200)는 세로 시일부(32)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31)의 회전과 함께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동안, 인접하는 세로 시일부(32) 사이에 충전 슈트(48)의 하단부가 위치한다.
세로 시일부(32)의 가동 시일 바(34)는, 상기 가이드 기구(38)에 의한 가이드에 의해 원주 반송로(211)의 시점(213)을 통과할 때에, 비시일 위치(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시일 위치(완전 폐쇄 상태)로 이동한다. 가동 시일 바(34)는, 원주 반송로(211)가 형성된 둘레 방향 영역에 있어서 시일 위치에 유지되고, 포장재(200)를 개재해서 고정 시일 바(33)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원주 반송로(211)에서는 고정 시일 바(33)와 가동 시일 바(34)의 가열면에 협지된 포장재(200) 부분이 가열되어서 세로 시일(201)이 형성된다. 이 결과, 포장재(200)에는 인접하는 세로 시일(201) 사이에 상측 가장자리가 개구된 주머니부(202)가 형성된다. 원주 반송로(211)에 있어서, 포장재(20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주머니부(202)가 각각 상방을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충전재 공급부(16)의 원주(58)가 원주 반송로(211)에 겹치는 둘레 방향 영역에서는, 계량 구멍(56)로부터 낙하한 충전재(203)가 충전 슈트(48)를 통해서 포장재(200)의 주머니부(202)에 충전된다.
세로 시일부(32)의 가동 시일 바(34)는 원주 반송로(211)의 종점(214)을 통과할 때, 가이드 기구(38)에 의해 시일 위치로부터 비시일 위치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포장재(200)는 세로 시일부(32)로부터 해방되어서 원주 반송로(211)로부터 연장 반송로(212)로 풀린다.
포장재(200)는 상측 가장자리가 개구된 주머니부(202)에 충전재(203)가 충전된 상태에서, 연장 반송로(212)에 공급된다.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 포장재(200)는 후술의 가이드 기구(70)에 의해 안내되면서 톱 시일부(17)에 공급된다. 톱 시일부(17)에 있어서,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는 가열부(60)에 의해 가열된 후, 가압부(66)에 의해 가압되고, 이것에 의해, 포장재(200)에 톱 시일(20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톱 시일부(17)에서는 밀봉된 주머니부(202)를 연속적으로 갖는 연속 주머니체(205)가 형성된다.
그 후, 연속 주머니체(205)는 절단부(18)에 반송된다. 절단부(18)에서는, 연속 주머니체(205)의 세로 시일(201)이 절단되거나, 또는 세로 시일(201)에 절취선(207)이 넣어진다.
[9. 톱 시일부의 가이드 기구]
톱 시일부(17)에는,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의 포장재 반송 방향(206)을 따른 포장재(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70)가 설치되어 있다.
주로 도 5∼도 13을 참조하면서, 가이드 기구(70)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가이드 기구(70)에 있어서의 후술의 제1가이드 기구(72)의 평면도, 도 6은 가이드 기구(70)의 제1가이드 기구(72) 및 후술의 제3가이드 기구(150)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 5의 A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7은 제1가이드 기구(72) 및 제3가이드 기구(150)를 포장재 반송 방향(206) 상류측에서 본 도 5의 B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8은 제1가이드 기구(72)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9는 후술의 제2가이드 기구(120) 및 그 주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가이드 기구(70)에 있어서의 제3가이드 기구(150)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제3가이드 기구(150)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제3가이드 기구(150)를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부터 본 도 11의 D-D선 단면도, 도 13은 충전 포장기(1)의 연속 가동 상태에 있어서의 제1가이드 기구(72)를 나타내는 도 5와 같은 평면도이다.
가이드 기구(70)는 포장재(200)의 상하 방향 중간부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 기구(72)와, 제1가이드 기구(72)보다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상류측에 있어서 포장재(200)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 기구(120)와,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제1가이드 기구(72)와 중복되는 영역에서 포장재(200)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 기구(1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가이드 기구(72) 및 제3가이드 기구(150)는 본체 프레임(10)(도 1∼도 3 참조)에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71) 상에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예를 들면 수평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71)는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되어도 좋고, 본체 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어도 좋다.
베이스 플레이트(71)는 가열부(60)와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오버랩해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71)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가열부(60)보다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돌출해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71)는 가압부(66)보다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가이드 기구(120)는 본체 프레임(10)(도 1∼도 3 참조)에 고정된 예를 들면 파이프상의 지주(127)에 의해, 예를 들면 캔틸레버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지주(127)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제2협지체(80)의 종동 롤러(82)의 상류측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하, 제1가이드 기구(72), 제2가이드 기구(120), 및 제3가이드 기구(150)의 각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9-1. 제1가이드 기구]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가이드 기구(72)는 포장재(200)를 협지하는 제1협지체(73) 및 제2협지체(80)를 구비하고 있다. 제1협지체(73) 및 제2협지체(80)는,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 원주 반송로(211)의 종점(214)(연장 반송로(212)의 시점(214))과 가압부(66) 사이의 소정의 반송 영역에 걸쳐서 포장재(200)를 협지한다(도 2 참조).
제1협지체(73)는, 후술의 구동 기구(9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러(74), 구동 롤러(74)의 회전에 종동해서 회전하는 종동 롤러(75), 및 구동 롤러(74)와 종동 롤러(75)에 감아 걸린 무단상의 벨트(76)를 구비하고 있다. 제1협지체(73)는 벨트(76)의 내측에 있어서 구동 롤러(74)와 종동 롤러(75) 사이에 배치된 보조 롤러(77)를 더 갖는다.
구동 롤러(74), 종동 롤러(75), 및 보조 롤러(77)는, 각각 서로 평행한 지지축(74a, 75a, 77a)을 갖는다. 지지축(74a, 75a, 77a)은, 예를 들면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74)와 종동 롤러(75)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조 롤러(77)도 상하 방향에 있어서 구동 롤러(74) 및 종동 롤러(75)와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74)와 종동 롤러(75)는, 예를 들면 동일한 지름을 갖는다. 보조 롤러(77)도, 예를 들면 구동 롤러(74) 및 종동 롤러(75)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다. 보조 롤러(77)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의 2개소에 있어서 벨트(76)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다.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74)의 지지축(74a) 및 보조 롤러(77)의 지지축(77a)은, 각각의 하단부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방 또한 구동 롤러(74) 및 보조 롤러(77)의 하방에 배치된 제1가동 플레이트(78)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 롤러(74)의 지지축(74a)은 제1가동 플레이트(7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 롤러(74)는 지지축(74a)과 함께 회전하도록 지지축(74a)에 고정되어 있다.
보조 롤러(77)의 지지축(77a)의 하단부는 제1가동 플레이트(78)에 고정되어 있고, 보조 롤러(77)는 지지축(77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종동 롤러(75)의 지지축(75a) 및 보조 롤러(77)의 지지축(77a)은, 각각의 상단부에 있어서 종동 롤러(75) 및 보조 롤러(77)의 상방에 배치된 연결 부재(79)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75a, 77a)의 상단부는 연결 부재(79)에 고정되어 있다. 종동 롤러(75)는 지지축(75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협지체(80)는 후술의 구동 기구(9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러(81), 구동 롤러(81)의 회전에 종동해서 회전하는 종동 롤러(82), 및 구동 롤러(81)와 종동 롤러(82)에 감아 걸린 무단상의 벨트(83)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롤러(81) 및 종동 롤러(82)는, 각각 서로 평행한 지지축(81a, 82a)을 갖는다. 지지축(81a, 82a)은, 예를 들면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81)와 종동 롤러(8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81)와 종동 롤러(82)는, 예를 들면 동일한 지름을 갖는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81) 및 종동 롤러(82)의 지지축(81a, 82a)은, 각각의 하단부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방 또한 구동 롤러(81) 및 종동 롤러(82)의 하방에 배치된 제2가동 플레이트(84)에 지지되어 있다. 제2가동 플레이트(84)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가동 플레이트(78)와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81)의 지지축(81a)은 제2가동 플레이트(8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 롤러(81)는 지지축(81a)과 함께 회전하도록 지지축(81a)에 고정되어 있다. 종동 롤러(82)의 지지축(82a)의 하단부는 제2가동 플레이트(8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종동 롤러(82)는 지지축(82a)과 함께 회전하도록 지지축(82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종동 롤러(82)의 지지축(82a)은 제2가동 플레이트(84)에 고정되어도 좋고, 이 경우, 종동 롤러(82)는 지지축(8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협지체(73)의 구동 롤러(74)와 제2협지체(80)의 구동 롤러(81)는, 2개의 벨트(76, 8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쌍의 구동 롤러(74, 81) 사이에 포장재(200)를 협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협지체(73)의 종동 롤러(75)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제2협지체(80)의 종동 롤러(82)보다 상류측(연장 반송로(212)의 시점(214)측)에 배치되어 있다. 종동 롤러(75)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회전 테이블(31)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9 참조).
제1협지체(73)의 보조 롤러(77)는 2개의 벨트(76, 83)를 사이에 두고, 제2협지체(80)의 종동 롤러(82)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협지체(73)의 보조 롤러(77)와 제2협지체(80)의 종동 롤러(82) 사이에 포장재(200)를 협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협지체(73)의 벨트(76)에 있어서의 제2협지체(80)와의 대향부와, 제2협지체(80)의 벨트(83)에 있어서의 제1협지체(73)와의 대향부는,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의 포장재 반송 방향(206)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또한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1협지체(73)의 벨트(76)와 제2협지체(80)의 벨트(83) 사이에는, 평면으로 볼 때에 직선상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을 통해서 포장재(200)가 반송된다. 즉, 양 벨트(76, 83)는 연장 반송로(21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협지체(73)의 벨트(76)에 있어서의 연장 반송로(212)를 구성하는 부분은, 제2협지체(80)의 벨트(83)에 있어서의 연장 반송로(212)를 구성하는 부분에 비교하여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상류측(연장 반송로(212)의 시점(214)측)으로 돌출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한 벨트(76) 부분은, 포장재(200)에 있어서의 원주 반송로(211)의 종점(214)(연장 반송로(212)의 시점(214))으로부터 송출된 부분을 받는 수용부(76a)로 되어 있다. 수용부(76a)는 제1협지체(73)의 벨트(76)에 있어서 종동 롤러(82) 및 보조 롤러(77) 사이의 축심간 거리와 같은 길이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제1협지체(73)의 구동 롤러(74)의 포장재 반송 방향(206) 하류측에는 가압부(66)의 한쪽의 시일 롤러(67)가 인접해서 배치되고, 제2협지체(80)의 구동 롤러(81)의 포장재 반송 방향(206) 하류측에는 가압부(66)의 다른쪽의 시일 롤러(68)가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가압부(66)의 한쌍의 시일 롤러(67, 68) 사이의 간극은 제1협지체(73)의 벨트(76)와 제2협지체(80)의 벨트(83) 사이에 형성된 직선상의 간극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가이드 기구(72)는 제1협지체(73) 및 제2협지체(8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의 구동 기구(90)를 더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구(90)는 구동원으로서의 예를 들면 전동식의 모터(91), 상기 모터(91)에 구동 연결된 구동 기어(92), 제1협지체(73)의 구동 롤러(74)의 지지축(74a)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구동 기어(92)에 맞물리는 제1피동 기어(93), 제2협지체(80)의 구동 롤러(81)의 지지축(81a)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2피동 기어(95), 및 구동 기어(92)와 제2피동 기어(95)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94)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92), 제1피동 기어(93), 중간 기어(94), 및 제2피동 기어(95)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71)와, 제1가동 플레이트(78) 및 제2가동 플레이트(8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피동 기어(93) 및 제2피동 기어(95)는 구동 롤러(74, 81)의 지지축(74a, 81a)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단, 지지축(74a, 81a)과는 별체의 제1피동 기어(93) 및 제2피동 기어(95)가 지지축(74a, 81a)에 고정되어도 좋다. 제1피동 기어(93) 및 제2피동 기어(95)는 서로 동일한 지름을 갖는다.
구동 기어(92) 및 중간 기어(94)는, 구동 롤러(74, 81)의 지지축(74a, 81a)에 평행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 기어(92)는, 예를 들면 제1피동 기어(93) 및 제2피동 기어(95)보다 대경으로 되어 있다. 중간 기어(94)는, 예를 들면 구동 기어(92)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다.
모터(91)에 의해 구동 기어(92)가 도 8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제1피동 기어(93) 및 중간 기어(94)는 도 8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피동 기어(95)는 도 8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제1피동 기어(93)와 제2피동 기어(95)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피동 기어(93)와 제2피동 기어(95)는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구동 기구(90)가 작동함으로써 제1협지체(73)의 벨트(76)는, 도 5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 방향(221)으로 회전하고, 제2협지체(80)의 벨트(83)는, 도 5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 방향(222)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제1협지체(73)의 벨트(76)와 제2협지체(80)의 벨트(83) 사이에 협지된 포장재(200)는,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 시점(214)으로부터 가압부(66)를 향하는 방향(206)으로 송출된다.
포장재(200)의 주머니부(202)의 두께는 주머니부(202)에 있어서의 충전재(203)의 유무, 충전재(203)의 충전량, 충전재(203)의 종류, 포장재(200)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다. 가령 제1협지체(73)의 벨트(76)와 제2협지체(80)의 벨트(83)의 간격이 일정하면, 포장재(200)의 주머니부(202)의 두께에 따라서는 제1협지체(73)와 제2협지체(80)에 의한 포장재(200)의 협지력에 과부족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장기(1)는, 제1협지체(73)의 벨트(76)와 제2협지체(80)의 벨트(83)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기구(100)를 구비하고 있다.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격 조정 기구(100)는 구동원으로서의 예를 들면 전동식의 모터(101), 모터(10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102), 피니언 기어(102)에 맞물리는 제1랙(103), 및 피니언 기어(102)를 사이에 두고 제1랙(103)에 대향 배치되고, 피니언 기어(102)에 맞물리는 제2랙(104)을 구비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102), 제1랙(103), 및 제2랙(104)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71)와 제1가동 플레이트(78) 및 제2가동 플레이트(8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02)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지지되어 있다. 제1랙(103) 및 제2랙(104)은, 연직 방향과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방향(111)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랙(103)은 제1가동 플레이트(78)의 하면에 고정되고, 제2랙(104)은 제2가동 플레이트(84)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간격 조정 기구(100)는, 제1랙(103) 및 제2랙(104)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면에 고정된 제1레일(105), 및 제1레일(105)보다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하류측에 있어서 제1레일(105)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면에 고정된 제2레일(106)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제1가동 플레이트(78)의 하면에는, 한쌍의 슬라이더(107, 108)가 고정되어 있고, 한쪽의 슬라이더(107)는 제1레일(105)에, 다른쪽의 슬라이더(108)는 제2레일(106)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마찬가지로, 제2가동 플레이트(84)의 하면에는, 한쌍의 슬라이더(109, 110)가 고정되어 있고, 한쪽의 슬라이더(109)는 제1레일(105)에, 다른쪽의 슬라이더(110)는 제2레일(106)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모터(101)에 의해서 피니언 기어(102)가 회전 구동되면, 제1랙(103) 및 제2랙(104)이 슬라이드 방향(111)을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1가동 플레이트(78) 및 제2가동 플레이트(84)는 제1랙(103) 및 제2랙(104)과 함께 슬라이드 방향(111)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러한 간격 조정 기구(100)의 동작에 의해, 제1가동 플레이트(78)에 지지된 제1협지체(73)와 제2가동 플레이트(84)에 지지된 제2협지체(80)는, 슬라이드 방향(111)을 따라서 서로 근접 또는 이간하도록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1협지체(73)의 벨트(76)와 제2협지체(80)의 벨트(83)의 간격을, 포장재(200)의 주머니부(202)의 두께에 따라서,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작게 하거나,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크게 하거나 할 수 있다.
[9-2. 제2가이드 기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가이드 기구(120)는 연장 반송로(212)의 시점(214)과 제1가이드 기구(72)의 수용부(76a) 사이의 반송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제2가이드 기구(120)는 포장재(200)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로서의 저면부(121)와, 상기 저면부(121)로부터 상승하는 제2가이드부로서의 측벽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저면부(121)와 측벽부(122)는, 예를 들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단, 저면부(121)와 측벽부(122)는 서로 고정된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좋다.
저면부(121)는, 예를 들면 수평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예를 들면 포장재 반송 방향(206)을 따라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다. 저면부(121)의 하류측 단부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수용부(76a)와 중복하도록, 수용부(76a)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측벽부(122)의 하측 가장자리부는 저면부(121)에 있어서의 수용부(76a)와는 반대측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다. 측벽부(122)는 연결 부재(128)를 통해서 지주(127)에 연결되어 있다. 측벽부(12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연장 반송로(212) 상의 포장재(200) 부분과 중복되는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측벽부(12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포장재(200)의 전체 높이 범위와 중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부(122)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연속되는 제1측벽부(123), 제2측벽부(124), 제3측벽부(125), 및 제4측벽부(126)를 구비하고 있다. 제1측벽부(123), 제2측벽부(124), 제3측벽부(125), 및 제4측벽부(126)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하류측에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1측벽부(123)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회전 테이블(31)의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측벽부(123)는 수용부(76a)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1측벽부(123)는 수용부(76a)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용부(76a)와 제1측벽부(123) 사이에는, 적어도, 충전재(203)가 충전된 상태의 주머니부(202)가 통과 가능한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제2측벽부(124), 제3측벽부(125), 및 제4측벽부(126)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상류측을 향해서 점차로 수용부(76a)로부터 이반하도록, 수용부(76a)에 대하여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제2측벽부(124)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회전 테이블(31)의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측벽부(124)는 제1측벽부(123)보다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상류측에 있어서 수용부(76a)에 대향 배치되고, 수용부(76a)와 제2측벽부(124)의 간격은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상류측을 향해서 점차로 확대되어 있다.
제3측벽부(125) 및 제4측벽부(126)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수용부(76a)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수용부(76a)에 대한 제3측벽부(125)의 경사각도는 수용부(76a)에 대한 제2측벽부(124)의 경사각도보다 크고, 수용부(76a)에 대한 제4측벽부(126)의 경사각도는 수용부(76a)에 대한 제3측벽부(125)의 경사각도보다 크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제3측벽부(125)는 회전 테이블(31)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제4측벽부(126)는 회전 테이블(31)의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측벽부(125)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원주 반송로(211)의 종점(214)에 있어서의 가상 접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원주 반송로(211)로부터 연장 반송로(212)로 송출된 포장재(200) 부분은, 제2가이드 기구(120)의 저면부(121)와 측벽부(122)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제1가이드 기구(72)의 수용부(76a)와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의 사이를 통과하여, 제1가이드 기구(72)에 있어서의 제1협지체(73)의 벨트(76)와 제2협지체(80)의 벨트(83)의 간극으로 안내된다.
제2가이드 기구(120)에 의한 포장재(200)의 가이드를 확실하게 달성하기 위해서, 포장기(1)는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연장 반송로(212)를 향해서 송풍하는 제1의 송풍수단으로서의 제1송풍 기구(130)와,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의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보다 상류측 부분을 향해서 송풍하는 제2의 송풍수단으로서의 제2송풍 기구(14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제1송풍 기구(130) 및 제2송풍 기구(140)는 도 9에만 도시되어 있고, 도 1∼도 3에 있어서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1송풍 기구(130)는 송풍원으로서의 압축기(131), 압축기(131)에 접속된 덕트부(132), 및 압축기(131)로부터 덕트부(132)에 공급된 공기를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를 향해서 토출하는 노즐부(136)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131)는 고정 테이블(30)의 하방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고정 테이블(30)을 통해서 본체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덕트부(132)는 고정 테이블(3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덕트부(132)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고정 테이블(30) 상의 소정 위치로부터 고정 테이블(30)의 둘레 가장자리부까지,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를 향해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덕트부(132)의 기단부(지름 방향 내측 단부)는, 예를 들면 고정 테이블(30)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압축기(131)에 접속되어 있다. 덕트부(132)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서 점차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다. 덕트부(132)의 기단측(지름 방향 내측)의 끝면은 폐쇄되어 있고, 덕트부(132)의 선단측(지름 방향 외측)의 끝면은 전체면에 걸쳐서 개구된 개구부(133)로 되어 있다.
회전 테이블(31)의 지름 방향 내측 가장자리부에는, 회전 테이블(31)로부터 상승하는 둘레벽부(134)가 고정되거나 또는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둘레벽부(134)는 회전 테이블(31)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둘레벽부(134)는 회전 테이블(31)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둘레벽부(134)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135)이 둘레 방향으로, 예를 들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부(13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 구멍(135) 사이의 간격은 회전 테이블(31)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1개 또는 2개의 관통 구멍(135)이 덕트부(132)의 개구부(133)에 대향 배치되는 간격으로 되어 있다.
노즐부(136)는 회전 테이블(3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노즐부(136)는 둘레벽부(134)의 관통 구멍(135)과 같은 각도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각 노즐부(136)는 둘레벽부(134)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노즐부(136)는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긴 단면 형상을 갖는다.
각 노즐부(136)의 기단부(지름 방향 내측 단부)는, 둘레벽부(134)에 있어서 관통 구멍(135)에 일치하는 둘레 방향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관통 구멍(135)에 연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노즐부(136)는 회전 테이블(31)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둘레벽부(134)의 관통 구멍(135)을 통해서 덕트부(132)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노즐부(136)의 선단부(지름 방향 외측 단부)는 토출구로 되어 있다. 노즐부(136)의 토출구는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노즐부(136)의 토출구는 회전 테이블(31)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131)로부터 덕트부(132)에 공급된 공기는, 덕트부(132)의 개구부(133)에 접속된 노즐부(136)의 토출구로부터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를 향해서 회전 테이블(31)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송출된다.
원주 반송로(211)로부터 연장 반송로(212)로 송출된 포장재(200) 부분은, 제1송풍 기구(130)의 노즐부(136)로부터의 송풍을 받아서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에 압박된다. 이 때, 포장재(200)는 연장 반송로(212)의 비스듬하게 상류측으로부터 송풍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측벽부(122)를 따른 포장재(200)의 가이드가 원활하게 실현된다.
제2송풍 기구(140)는 송풍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토출하는 노즐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부(141)는 지지 부재(142)를 통해서 본체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노즐부(141)는 회전 테이블(31)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포장재(200)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노즐부(141)는 포장재(200)를 사이에 두고 제1송풍 기구(130)의 노즐부(136)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부(141)의 선단에 형성된 토출구는 회전 테이블(31)의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 테이블(3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노즐부(141)의 토출구는 연장 반송로(212)의 시점(214)과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노즐부(141)의 토출구는 연장 반송로(212)의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하류측을 향해서 회전 테이블(31)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원주 반송로(211)의 종점(214)에 있어서의 가상 접선을 따르도록 연장 반송로(212)로 송출된 포장재(200) 부분은, 제2송풍 기구(140)의 노즐부(141)로부터의 송풍을 받아서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보다 지름 방향 내측으로 스무스하게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를 따른 포장재(200)의 스무즈한 가이드를 실현 가능하게 되어 있다.
[9-3. 제3가이드 기구]
도 6, 도 7, 및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가이드 기구(150)는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 포장재(200)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가이드 부재(151)와, 포장재(200)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측벽(153)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의 평면도, 도 11의 측면도, 및 도 12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51)는 연장 반송로(212)의 포장재 반송 방향(206)을 따라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장척 부재이다. 가이드 부재(151)는, 예를 들면 중실의 판재이다. 가이드 부재(151)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51)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지만, 가이드 부재(151)의 소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가이드 부재(151)의 폭 방향은, 제1가동 플레이트(78) 및 제2가동 플레이트(84)의 슬라이드 방향(11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도 7 및 도 8 참조). 가이드 부재(151)의 폭 방향의 폭은 가이드 부재(151)의 두께보다 크다.
가이드 부재(151)의 상면은 전체면에 걸쳐서 매끄러운 면(평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부재(151)의 하면에는, 복수의 오목홈(152)이 가이드 부재(151)의 길이 방향(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예를 들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홈(152)은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직교하는 방향, 즉 가이드 부재(15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홈(152)은 가이드 부재(151)의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까지의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각 오목홈(152)은 역U자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도 11 참조).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151)의 하면에 복수의 오목홈(15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이드 부재(151)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에 만곡 형상으로 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오목홈(152)이 연장되는 방향은,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교차하는 방향이면, 반드시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대한 직교 방향이 아니어도 좋고,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대한 경사 방향이라도 좋다.
가이드 부재(151)에는 가이드 부재(151)를 폭 방향(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삽입통과 구멍(158, 159)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과 구멍(158, 159)은 가이드 부재(151)의 길이 방향(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간격을 두고, 예를 들면 2개 형성되어 있다.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상류측의 삽입통과 구멍(158)은, 예를 들면 상류측에서 2번째의 오목홈(152)과 3번째의 오목홈(152) 사이에 배치되고, 하류측의 삽입통과 구멍(159)은, 예를 들면 하류측에서 2번째의 오목홈(152)과 3번째의 오목홈(1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51)는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방 또한 가열부(60) 및 가압부(66)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51)는 가열부(60) 및 가압부(66)와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오버랩해서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151)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가열부(60)의 상류단보다 상류측의 위치로부터, 가압부(66)의 하류단보다 하류측의 위치에 걸쳐서 연속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즉,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51)는, 가열부(60)보다 상류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가압부(66)보다 하류측으로 돌출해서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51)는 제1협지체(73)의 벨트(76) 및 제2협지체(80)의 벨트(83)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51)는 제1 및 제2협지체(73, 80)와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오버랩해서 배치되어 있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51)는 제1협지체(73)의 벨트(76)와 제2협지체(80)의 벨트(83)의 간극과 오버랩 해서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51)의 상류단은 보조 롤러(77)와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오버랩해서 배치되고, 보조 롤러(77)의 지지축(77a)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51)는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71)로부터 상승하는 지지부(161, 164)를 통해서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161, 164)는 가이드 부재(151)의 길이 방향(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간격을 두고, 예를 들면 2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51)의 폭 방향, 즉 제1가동 플레이트(78) 및 제2가동 플레이트(84)의 슬라이드 방향(111)에 있어서, 각 지지부(161, 164)는 제1가동 플레이트(78)와 제2가동 플레이트(8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51)의 길이 방향(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상류측의 지지부(161)는 제1레일(105)과 제2랙(104) 사이에 배치되고, 하류측의 지지부(164)는 구동 기어(92)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하류측의 지지부(164)는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류측 단부보다 하류측으로 돌출해서 배치되어 있다.
각 지지부(161, 164)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62, 165)이 형성되어 있다.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상류측의 지지부(161)의 긴 구멍(162)은 보조 롤러(77)와 제2랙(104) 사이에 배치되고, 하류측의 지지부(164)의 긴 구멍(165)은 베이스 플레이트(71) 및 구동 롤러(74, 81)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류측의 지지부(161)의 긴 구멍(162)은 가압부(66)와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오버랩해서 배치되고, 하류측의 지지부(164)의 긴 구멍(165)은 가열부(60)와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오버랩해서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51)는 지지부(161, 164)의 긴 구멍(162, 165) 및 가이드 부재(151)의 삽입통과 구멍(158, 159)(도 11 참조)에 삽입통과되는 나사(163, 166)와, 상기 나사(163, 166)의 선단부에 비틀어 넣어지는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지지부(161, 164)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151)는 지지부(161, 164)를 통해서 베이스 플레이트(71)에 고정되어 있다.
나사(163, 166)는 지지부(161, 164)의 긴 구멍(162, 165)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긴 구멍(162, 165) 내에 있어서의 나사(163, 166)의 위치가 조정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71)에 대한 나사(163, 166)의 상대 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류측의 지지부(161) 및 하류측의 지지부(164)의 각각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71)에 대한 가이드 부재(151)의 상대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161, 164)에 있어서의 가이드 부재(151)의 높이가 조정됨으로써 가이드 부재(151)의 만곡 및 휨 변형량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51)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하류측을 향해서 하측으로 만곡하도록 휨 변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151)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로 아랫쪽으로의 경사가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51)에 있어서의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최상류부는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측벽(153)은 가이드 부재(151)의 폭 방향 일방측 및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측벽(153)은, 예를 들면 수지로 이루어지지만, 측벽(153)의 소재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각 측벽(153)은 하단부에 있어서, 예를 들면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가이드 부재(151)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측벽(153)은 가이드 부재(151)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가이드 부재(151)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해서 배치되어 있다.
각 측벽(153)은 가이드 부재(151)의 길이 방향(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단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측벽(153)은 복수의 측벽부(154, 155, 156, 157)로 분할해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측벽(153)은, 예를 들면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서 늘어서서 배치된 제1측벽부(154), 제2측벽부(155), 제3측벽부(156), 및 제4측벽부(157)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령 가이드 부재(15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해서 측벽이 설치될 경우에 비하여, 측벽(153)에 의한 가이드 부재(151)의 구속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가이드 부재(151)의 휨 변형이 측벽(153)에 의한 구속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측벽부(154)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51)의 상류측 단부에 부착되고, 상류측의 지지부(161)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측벽부(155) 및 제3측벽부(156)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상류측의 지지부(161)와 하류측의 지지부(16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4측벽부(157)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51)의 하류측 단부에 부착되고, 하류측의 지지부(164)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측벽부(154)는 보조 롤러(77)와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오버랩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2측벽부(155) 및 제3측벽부(156)는 가압부(66)와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오버랩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4측벽부(157)는 가압부(66)와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오버랩해서 배치되어 있다.
[10. 세팅시의 동작]
원주 반송로(211)의 종점(214)으로부터 가압부(66)의 한쌍의 시일 롤러(67, 68)간까지의 영역에 포장재(200)를 셋팅할 때의 포장기(1)의 동작(이하, 「셋팅 동작」이라고도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셋팅 동작은 포장기(1)의 연속 가동 전에 행하여진다. 셋팅 동작 전에는, 간격 조정 기구(100)에 의한 제1가이드 기구(72)의 벨트(76, 83)간의 간격 조정, 및 소정의 준비 작업이 행하여진다.
셋팅 동작은 포장기(1)의 연속 가동이 가능한 상태로 포장재(200)를 셋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셋팅된 포장재(200) 부분의 주머니부(202)에는 충전재(203)가 충전되지 않아도 좋다. 충전재(203)를 충전하지 않고 셋팅 동작이 행하여질 경우, 연장 반송로(212)에는 두께가 매우 얇은 상태의 주머니부(202)가 공급된다.
그 때문에, 셋팅 동작 전에 있어서 제1가이드 기구(72)의 벨트(76, 83)간의 간격은 간격 조정 기구(100)에 의해 벨트(76, 83)간에 포장재(200)를 협지 가능하고 또한 빈 주머니부(202)의 통과를 허용하는 정도의 간극, 또는 빈 주머니부(202)의 스무즈한 통과를 허용하는 최소한의 간극으로 조정되면 좋다.
또한, 셋팅 동작 전의 준비작업으로서, 접어올림부(14)에 의해 둘로 접힌 상태의 포장재(200)의 선단부가 원주 반송로(211)의 최상류부(시점(213))에 위치하는 세로 시일부(32)에 협지된다. 포장재(200)의 선단부를 최상류부의 세로 시일부(32)에 협지시키는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하여진다.
상기 벨트(76, 83) 사이의 간격 조정 및 준비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포장기(1)에 설치된 소정의 셋팅 버튼이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면 셋팅 동작이 실행된다. 셋팅 동작에 있어서, 회전 테이블(31)은 축(26) 주위로 소정량 회전된다. 이 때, 복수의 세로 시일부(32)도 가동 시일 바(34)를 적당하게 이동시키면서 회전 테이블(31)과 함께 축(26) 주위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 개시시에 원주 반송로(211)의 최상류부에 위치하는 세로 시일부(32)에 협지되어 있던 포장재(200)의 선단부는, 원주 반송로(211)를 따라서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반송되고, 포장재 공급부(12)로부터 원주 반송로(211)로의 포장재(200)의 풀림량이 증대한다. 이 때, 원주 반송로(211)에 위치하는 포장재(200) 부분 중, 세로 시일부(32)에 의한 협지 부분에는 세로 시일(201)이 형성되고, 이 결과, 상방이 개방된 복수의 주머니부(202)가 형성된다(도 4 참조).
또한, 셋팅 동작에 있어서 충전재 충전부(15)에서는, 승강 샤프트(43) 및 충전 슈트(48)가 회전 테이블(31)과 함께 회전하면서 이 회전에 연동해서 승강되지만, 충전재 공급부(16)에 의한 주머니부(202)로의 충전재(203)의 공급은 행하여지지 않아도 좋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재(200)의 선단부는 원주 반송로(211)의 종점(214)에서 세로 시일부(32)로부터 해방되어서 연장 반송로(212)로 풀린다. 연장 반송로(212)로 풀린 포장재(200) 부분은 제2가이드 기구(12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제1가이드 기구(72)의 제1협지체(73)에 있어서의 벨트(76)의 수용부(76a)에 반송된다.
제2가이드 기구(120)에 의해 가이드되는 포장재(200) 부분은, 제2가이드 기구(120)의 저면부(121)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면서, 제1송풍 기구(130)의 노즐부(136)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에 압박됨으로써 측벽부(122)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또한,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의 제2가이드 기구(120)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포장재(200) 부분에는 제2송풍 기구(140)의 노즐부(141)로부터의 송풍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포장재(200)가 회전 테이블(31)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억제되어서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보다 제1송풍 기구(130)의 노즐부(136)측으로 포장재(200)를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연장 반송로(212)의 시점(214)으로부터 제2가이드 기구(120)에 의한 피가이드부까지의 포장재(200)의 이동을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1가이드 기구(72)의 수용부(76a)에 도달한 포장재(200) 부분은, 벨트(76)에 접한 상태에서 벨트(76)와 함께 포장재 반송 방향(206)(도 9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협지체(73)의 벨트(76)와 제2협지체(80)의 벨트(83)의 간극에 도입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76, 83)간의 간극의 입구부에서는 제1협지체(73)의 보조 롤러(77)와 제2협지체(80)의 종동 롤러(82) 사이에 포장재(200)의 주머니부(202)가 협지되고, 벨트(76, 83)간의 간극의 출구부에서는 제1협지체(73) 및 제2협지체(80)의 양 구동 롤러(74, 81)간에 포장재(200)의 주머니부(202)가 협지된다.
그 때문에, 제1가이드 기구(72)에 있어서 연장 반송로(212)의 상류측으로부터 벨트(76, 83) 사이의 간극으로 끌어 들이는 힘, 및 상기 간극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풀어내는 힘을, 포장재(200)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셋팅 동작시에는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밀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가 통과하는 가열부(60)에 있어서 한쪽의 가열판(61)은 퇴피 위치로 퇴피시켜 두어도 된다.
제1가이드 기구(72)로부터 풀려나온 포장재(200)의 선단부는, 계속해서 가압부(66)에 공급되고,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가 가압부(66)의 한쌍의 시일 롤러(67, 68) 사이에 협지된다. 이것에 의해, 원주 반송로(211) 및 연장 반송로(212)에 대한 포장재(200)의 셋팅이 완료된다.
포장재(200)의 셋팅이 완료되면, 회전 테이블(31) 및 제1가이드 기구(72)의 구동 기구(90)의 작동이 정지되어서 포장재(200)의 반송이 종료된다. 또한 이 때, 제1송풍 기구(130)의 작동, 및 제2송풍 기구(140)의 작동도 정지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일련의 셋팅 동작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포장기(1)는, 원주 반송로(211) 상의 세로 시일부(32) 및 연장 반송로(212) 상의 가압부(66)에 추가해서, 이들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 기구(70)에 의해서도 포장재(200)를 지지 및 반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일련의 셋팅 동작을 포장기(1)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재(200)의 셋팅 작업의 간소화 및 시간 단축을 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노력 경감, 안전성의 향상,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11. 연속 가동 중의 가이드 기구의 작용]
포장기(1)의 연속 가동 중에 있어서, 원주 반송로(211)의 종점(214)으로부터 연장 반송로(212)로 풀려나온 포장재(200) 부분은, 제1가이드 기구(72), 제2가이드 기구(120), 및 제3가이드 기구(150)에 의해 안내되면서 가열부(60) 및 가압부(66)를 통과한다.
제1가이드 기구(72)는 그 상방에 위치하는 가열부(60)(도 6 참조)를 통과하는 포장재(200) 부분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지지하면서, 벨트(76, 83) 사이의 간극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포장재(200)를 안내한다. 벨트(76, 83) 사이의 간극의 크기는 상술의 간격 조정 기구(100)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충전재(203)가 충전된 상태의 주머니부(202)의 두께에 따라, 벨트(76, 83) 사이의 간극을 연속 가동의 개시 전에 미리 조정해 둠으로써 제1협지체(73)와 제2협지체(80)에 의해 포장재(200)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적당한 힘으로 포장재(200)를 협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60)에 의한 가열이 행해지는 포장재(200) 부분은 제1가이드 기구(72) 뿐만 아니라, 벨트(76, 83)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3가이드 기구(150)에 의해서도 가이드된다. 가열부(60)에 의한 가열이 행해지는 포장재(200)부분은, 그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있어서 제1가이드 기구(72)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하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제3가이드 기구(150)에 의해 지지된다. 제3가이드 기구(150)는 가이드 부재(151)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포장재(200)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한쌍의 측벽(153)에 의해 포장재(200)의 옆쪽으로의 변위를 규제한다.
그런데, 연속 가동 운전시에,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는 가열부(60)및 가압부(66)를 통과할 때에 전장된다. 또한, 포장재(200)의 주머니부(202)는 분제 등의 충전재(203)가 충전된 상태에서는 저부가 옆쪽으로 돌출한다. 그 때문에, 연장 반송로(212)에 있어서 포장재(200)는 상측 가장자리부가 하측 가장자리부보다 약간 길게 됨으로써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하류측을 향해서 약간 하방으로 만곡하도록 휨 변형한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하류측을 향해서 점차로 낮아지도록 만곡시켜서 가이드 부재(151)가 배치됨으로써 가이드 부재(151)에 의해 포장재(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가열부(60)를 통과한 포장재(200) 부분은 제1가이드 기구(72)의 벨트(76, 83)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풀려나가서 가압부(66)에 공급된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제1가이드 기구(72)의 출구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구동 롤러(74, 81) 사이의 간극에 대하여 가압부(66)의 한쌍의 시일 롤러(67, 68) 사이의 간극은, 포장재 반송 방향(206)의 하류측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가이드 기구(72)로부터 풀려나간 포장재(200) 부분을 확실하게 또한 원활하게 한쌍의 시일 롤러(67, 68) 사이에 공급할 수 있다.
제3가이드 기구(150)의 가이드 부재(151)는 가압부(66)의 한쌍의 시일 롤러(67, 68)의 하방을 통과하여 시일 롤러(67, 68)보다 하류측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압부(66)에 의해서 가압되는 포장재(200) 부분도, 계속해서 제3가이드 기구(15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3가이드 기구(150)에 있어서의 포장재(200)의 하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부분은 가열부(60)의 상류측에서 가압부(66)의 하류측에 이르는 전체 영역에 있어서, 1개의 가이드 부재(151)의 상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51)의 상면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이음매가 없는 매끄러운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 이동하는 포장재(200)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가이드 부재(151)의 상면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1가이드 기구(72), 제2가이드 기구(120), 및 제3가이드 기구(150)의 작용에 의해서, 연장 반송로(212)에서는 포장재 반송 방향(206)으로의 포장재(200)의 스무즈한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연속 가동시에 있어서 가열부(60) 및 가압부(66)에 있어서의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위치 어긋남, 느슨함, 걸림, 및 꺽어 구부러짐 등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이에 따라 포장재(200)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시일 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66)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절단부(18)(도 1 및 도 2 참조)에 있어서도, 커터(69)에 대한 포장재(200)의 세로 시일(201)의 위치 어긋남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으로써 컷 공정의 정밀도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상, 상술의 실시형태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가이드 기구(72)에 있어서의 제1협지체(73)와 제2협지체(80)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기구로서는, 상술의 기구(100)(도 8 참조) 이외에도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간격 조정 기구(100) 대신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원으로서 에어 실린더(310)를 구비한 간격 조정 기구(300)가 사용되어도 좋다. 도 14에 나타내는 간격 조정 기구(300)에서는, 에어 실린더(310)의 일단부(312)가 제1가동 플레이트(78)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에어 실린더(310)를 신축 구동시킴으로써 제1가동 플레이트(78)가 슬라이드 방향(111)을 따라서 슬라이드 구동되고, 이것에 연동하여 제2가동 플레이트(84)가 슬라이드 방향(111)을 따라서 제1가동 플레이트(78)와는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가동 플레이트(78)에 지지된 제1협지체(73)와 제2가동 플레이트(84)에 지지된 제2협지체(80)는, 서로 근접 또는 이반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1협지체(73)와 제2협지체(80)의 간극이 조정된다.
또한,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연장 반송로(212)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수단으로서는, 상술의 제1송풍 기구(130)(도 9) 이외에도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제1송풍 기구(130) 대신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송풍 기구(230)가 송풍수단으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도 15에 나타내는 송풍 기구(230)는 각각 지지 부재(234, 235, 236)를 통해서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된 복수의 노즐부(231, 232, 23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노즐부(231, 232, 233)는 각각 제2가이드 기구(120)의 측벽부(122)를 향해서 송풍 가능하게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송풍 기구(230)의 구성에 의해서도, 제2가이드 기구(120)에 의한 포장재(200)의 가이드의 원활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 기구(72)의 협지체(73, 8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는, 제1협지체(73)와 제2협지체(80)의 양쪽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90)(도 8 및 도 14 참조) 대신에, 한쪽의 협지체만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가 사용되어도 좋다.
1 : 충전 포장기
10 : 본체 프레임
12 : 포장재 공급부
14 : 접어올림부
15 : 충전재 충전부
16 : 충전재 공급부
17 : 톱 시일부
18 : 절단부
30 : 고정 테이블
31 : 회전 테이블
32 : 세로 시일부
60 : 가열부
66 : 가압부
70 : 가이드 기구
72 : 제1가이드 기구
73 : 제1협지체
76 : 벨트
76a : 수용부
80 : 제2협지체
83 : 벨트
90 : 구동 기구(구동수단)
100 : 간격 조정 기구
120 : 제2가이드 기구
122 : 측벽부(가이드부)
130 : 제1송풍 기구
136 : 노즐부
140 : 제2송풍 기구
141 : 노즐부
150 : 제3가이드 기구
151 : 가이드 부재
152 : 오목홈
153 : 측벽
200 : 포장재
201 : 세로 시일
202 : 주머니부
203 : 충전재
204 : 톱 시일
205 : 연속 주머니체
206 : 포장재 반송 방향
207 : 절취선
300 : 간격 조정 기구

Claims (6)

  1.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띠 형상의 포장재를, 평면으로 볼 때에 대략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원주 반송로와 상기 원주 반송로의 종점에 연속되는 연장 반송로를 따라서 반송하면서, 상기 원주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주머니부를 각각 상방이 개방되도록 형성하면서, 상기 주머니부의 각각에 충전재를 충전하고, 상기 연장 반송로에 있어서 가열부에 의한 가열과 가압부에 의한 협압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상기 포장재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가열 밀봉하여 상기 주머니부를 밀봉하는 충전 포장기로서,
    상기 연장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반송로의 종점과 상기 가압부 사이의 소정의 반송 영역에 걸쳐서 상기 포장재를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체와,
    상기 종점으로부터 상기 가압부를 향해서 상기 포장재를 송출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협지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포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협지체 중 한쪽의 협지체에는 상기 포장재에 있어서의 상기 원주 반송로의 종점으로부터 송출된 부분을 받는 수용부가, 상기 연장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협지체 중 다른쪽의 협지체보다 상기 종점측으로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포장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용부에 대향 배치된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포장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연장 반송로를 향해서 송풍하는 송풍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포장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협지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포장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하방에 상기 포장재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장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협지체와 상기 지지부가 서로 반송 방향으로 오버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포장기.
KR1020190033499A 2018-03-26 2019-03-25 충전 포장기 KR201901126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58057A JP7112064B2 (ja) 2018-03-26 2018-03-26 充填包装機
JPJP-P-2018-058057 2018-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665A true KR20190112665A (ko) 2019-10-07

Family

ID=6810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499A KR20190112665A (ko) 2018-03-26 2019-03-25 충전 포장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12064B2 (ko)
KR (1) KR20190112665A (ko)
CN (1) CN1103566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47660A (ja) * 2021-03-23 2022-10-06 株式会社トパック 充填包装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1795A (ja) 2004-07-08 2006-01-26 Topack Co Ltd 自動包装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4381B2 (ja) * 2003-06-19 2010-04-21 三光機械株式会社 ロータリー式自動包装機におけるガイド機構
EP2716559B1 (en) * 2012-10-05 2015-09-09 Teepack Spezialmaschinen Gmbh & Co. Kg A method for making pouches and a packaging apparatus for making pouch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1795A (ja) 2004-07-08 2006-01-26 Topack Co Ltd 自動包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56607A (zh) 2019-10-22
JP7112064B2 (ja) 2022-08-03
JP2019167146A (ja)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92676C (nl) Machine voor het maken van zakken uit heetsmeltend kunststof materiaal en het daarmee verpakken van voorwerpen zoals broden.
US11225342B2 (en) Packaging method and line for improved finished product
EP3305694B1 (en) Film supplying device in horizontal package making and filling machine
KR20190112665A (ko) 충전 포장기
WO2021106835A1 (ja) 紙折り装置
JPH09503970A (ja) バ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装置
US11225343B2 (en) Packaging method and line for improved finished product
CN106113532A (zh) 真空保温板折边一体机、真空保温板生产线及生产方法
JP6753810B2 (ja) フィルム包装装置とフィルム包装方法
JP2019167147A (ja) 充填包装機
EP3164262B1 (en) Folding arrangement, folding machine comprising said fold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folding using said folding arrangement
JP5229659B2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包装機
CN114013745B (zh) 床垫包装设备及包装方法
JP5832790B2 (ja) ガゼット状シート開口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袋敷設装置
US200800168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verse Sealing Of A Packaging Tube
JP6690916B2 (ja) 脱気装置および包装機
FI101953B (fi) Menetelmä ja laite umpinaisen vaipan muodostamiseksi esineen ympärille
JP2021169346A (ja) 紙折り装置
WO2024070913A1 (ja) 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パウチ容器製造システム
JP7483262B2 (ja) 包装機
JP7236346B2 (ja) 包装フィルム切断装置
JP3729568B2 (ja) ターレット型上包み機
JP6994026B2 (ja) 薄膜材料に折目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6122685A (zh) 真空保温板自动封边设备及方法
JP2021066518A (ja) センターシール装置及びピロー包装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