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682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682A
KR20190106682A KR1020190017449A KR20190017449A KR20190106682A KR 20190106682 A KR20190106682 A KR 20190106682A KR 1020190017449 A KR1020190017449 A KR 1020190017449A KR 20190017449 A KR20190017449 A KR 20190017449A KR 20190106682 A KR20190106682 A KR 20190106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assembly
disposed
hous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국
배준석
김강영
이은순
김학재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10325255.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508790B/zh
Priority to CN201980017546.9A priority patent/CN111886450B/zh
Priority to CN202210325285.0A priority patent/CN114623495B/zh
Priority to CN202210325267.2A priority patent/CN114508791B/zh
Priority to CN202210325269.1A priority patent/CN114508792B/zh
Priority to US16/978,138 priority patent/US11852358B2/en
Priority to PCT/KR2019/002677 priority patent/WO2019172691A1/ko
Publication of KR2019010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682A/ko
Priority to US18/387,338 priority patent/US20240142117A1/en
Priority to US18/387,335 priority patent/US20240068675A1/en
Priority to US18/387,340 priority patent/US20240068676A1/en
Priority to US18/387,342 priority patent/US2024006867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 토출되는 스티어링그릴의 전단이 도어어셈블리의 전면보다 돌출되고,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그릴이 조향되기 때문에, 원거리의 타켓영역에 공조된 공기를 직접풍으로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전단이 도어어셈블리의 전면보다 돌출되기 때문에, 토출공기가 캐비닛어셈블리 또는 도어어셈블리와 간섭되어 유동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스티어링그릴이 상향, 하향, 좌향, 우향, 좌상향, 좌하향, 우상향 또는 우하향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즉시 조향변경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통해 캐비닛어셈블리 외부로 노출가능한 원거리 팬어셈블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종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실내팬이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조화된 공기가 원거리로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191413에는, 실내기 주변의 공기를 원거리로 유동시키기 위한 써큘레이터가 구비되었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10-1191413에 기재된 에어써큘레이터는 실내기에 설치되지만, 공조된 공기를 직접 유동시키지는 못하고, 실내기 상측의 실내공기를 원거리로 유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써큘레이터는 공조된 공기를 직접 유동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공조된 공기를 타켓 영역에 집중 공급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온도 불균형이 발생된 타켓 영역을 선택적으로 공기조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에는 실내기의 캐비닛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유닛이 배치된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의 도어유닛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개구를 막고, 실내기가 작동될 때에는 전방으로 도어유닛이 이동되어 개구를 개방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는 도어유닛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를 개폐시키지만, 개방된 개구의 전방에 도어유닛이 위치되기 때문에, 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의 도어유닛에 의한 개구 개방은 원거리로 공기를 유동시키는데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는 도어만 전진되어 개구를 개방시킬 뿐, 송풍팬은 외관패널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송풍팬에 의해 유동된 공기가 외관패널 내부의 구조물과 저항을 발생시켜 원거리로 공기를 유동시키는데 많은 유동손실을 발생시킨다.
한국 등록특허 10-1191413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7-0010293
본 발명은 원거리의 타켓영역에 공조된 공기를 직접풍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타켓영역에 직접풍을 제공할 때, 실내기의 외측면 밖에서 직접풍이 토출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작동 시, 스티어링그릴이 도어어셈블리의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공기를 토출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 밖으로 돌출된 스티어링그릴까지 독립된 유로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그릴을 상향, 하향, 좌향, 우향, 좌상향, 좌하향, 우상향 또는 우하향 중 어느 하나로 조향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그릴이 상향, 하향, 좌향, 우향, 좌상향, 좌하향, 우상향 또는 우하향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즉시 조향변경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그릴의 조향 변경 시, 토출되는 직접풍과 캐비닛어셈블리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가 토출되는 스티어링그릴의 전단이 도어어셈블리의 전면보다 돌출되고,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그릴이 조향되기 때문에, 원거리의 타켓영역에 공조된 공기를 직접풍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전단이 도어어셈블리의 전면보다 돌출되기 때문에, 토출공기가 캐비닛어셈블리 또는 도어어셈블리와 간섭되어 유동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티어링그릴의 조향 변경 시,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전단이 도어어셈블리의 전면보다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토출공기와 도어어셈블리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정면토출구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 상에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중심이 위치된 상태에서 조향되기 때문에, 조향 시에도 정면토출구 및 스티어링그릴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가 스티어링그릴의 2 부분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결합된 부분을 밀거나 당기는 작동을 통해, 정면토출구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측회전, 하측회전, 좌측회전, 우측회전은 물론 좌상측 회전, 우상측 회전, 좌하측 회전 및 우하측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가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측회전, 하측회전, 좌측회전, 우측회전은 물론 좌상측 회전, 우상측 회전, 좌하측 회전 및 우하측 회전을 구현할 때,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가 상기 중심축(C1)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가 상기 중심축(C1)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또는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만으로 상측회전, 하측회전, 좌측회전, 우측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의 이너팬하우징 내부 공간(S3)을 커버하는 스티어링베이스에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가 설치되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가 이너팬하우징 내부 공간(S3)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를 관통하여 스티어링그릴에 조립되기 때문에, 스티어링그릴 및 팬하우징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스티어링그릴 및 팬하우징 사이의 거리를 최소활 수록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작동에 필요한 길이가 감소되고, 스티어링그릴의 회전각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베이스 및 스티어링그릴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인트어셈블리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른 스티어링그릴의 조향각을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가 볼조인트이기 때문에,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조향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가 상기 스티어링그릴에 조립되는 제 1 조인트브래킷; 상기 스티어링베이스에 조립되는 제 2 조인트브래킷; 제 1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2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크로스액슬;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의 조합을 통해 스티어링그릴의 조향방향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고, 크로스액슬이 제 1 조인트브래킷 및 제 2 조인트브래킷에 지지되기 때문에, 작동 중 스티어링그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이 90도로 교차되고, 크로스액슬이 제 1 조인트브래킷 및 제 2 조인트브래킷 각각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향, 하향, 좌향, 우향, 좌상향, 좌하향, 우상향 또는 우하향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즉시 조향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 1-1 축지지부 및 제 1-2 축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액슬의 제 1 회전축이 상기 제 1-1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1 회전축 및 상기 제 1-2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되는 제 1-2 회전축을 포함하기 때문에, 회전되는 크로스액슬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1-1 축캡이 상기 제 1-1 축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1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1-1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1-2 축캡이 상기 제 1-2 축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1-2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각 축지지부에 크로스액슬이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 2-1 축지지부 및 제 2-2 축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액슬의 제 2 회전축이 상기 제 2-1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1 회전축 및 상기 제 2-2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되는 제 2-2 회전축을 포함하기 때문에, 회전되는 크로스액슬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2-1 축캡이 상기 제 2-1 축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1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2-1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2-2 축캡이 상기 제 2-2 축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2-2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각 축지지부에 크로스액슬이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은, 상기 팬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티어링바디; 상기 스티어링바디에 조립되는 스티어링 액추에이터; 상기 스티어링바디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바디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랙; 상기 이동랙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랙의 이동에 의해, 상기 어저스트어셈블리가 상기 이동랙 또는 스티어링그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대회전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통해 스티어링그릴의 조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는 모터이고, 상기 스티어링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랙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이동랙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랙가이드; 상기 이동랙에 배치된 이동랙기어;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랙기어과 치합되고, 상기 스티어링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랙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티어링기어;를 포함하고, 스티어링모터를 회전수를 통해 이동랙의 이동거리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랙에 결합되는 제 1 볼힌지; 상기 스티어링그릴에 결합되는 제 2 볼힌지; 상기 제 1 볼힌지 및 제 2 볼힌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힌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 1 볼힌지와 상대 회전가능한 제 1 볼캡; 상기 제 1 볼캡 및 제 2 볼힌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볼힌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 2 볼힌지와 상대 회전가능한 제 2 볼캡; 상기 제 1 볼캡 및 제 2 볼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캡 및 제 2 볼캡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볼캡을 상기 제 1 볼힌지로 밀착시키고, 상기 제 2 볼캡을 상기 제 2 볼힌지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액추에이터의 작동 시, 상기 제 1 볼힌지 또는 제 2 볼힌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대회전이 발생되기 때문에, 조향 시 스티어링그릴 및 스티어링베이스 사이의 거리 및 각도에 대응할 수 있다.
어저스트 하우징 내부에 상기 제 1 볼힌지, 제 1 볼캡, 탄성부재, 제 2 볼캡 및 제 2 볼힌지가 수용되기 때문에, 제 1 볼힌지 및 제 2 볼힌지에서의 상대회전 시 상기 제 1 볼힌지 및 제 2 볼힌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가 제 1 볼캡 및 제 2 볼캡에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 1 볼힌지 및 제 2 볼힌지의 과도 회전 및 걸림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공기가 토출되는 스티어링그릴의 전단이 도어어셈블리의 전면보다 돌출되고,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그릴이 조향되기 때문에, 원거리의 타켓영역에 공조된 공기를 직접풍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전단이 도어어셈블리의 전면보다 돌출되기 때문에, 토출공기가 캐비닛어셈블리 또는 도어어셈블리와 간섭되어 유동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스티어링그릴의 조향 변경 시,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전단이 도어어셈블리의 전면보다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토출공기와 도어어셈블리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정면토출구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 상에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중심이 위치된 상태에서 조향되기 때문에, 조향 시에도 정면토출구 및 스티어링그릴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가 스티어링그릴의 2 부분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결합된 부분을 밀거나 당기는 작동을 통해, 정면토출구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측회전, 하측회전, 좌측회전, 우측회전은 물론 좌상측 회전, 우상측 회전, 좌하측 회전 및 우하측 회전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상기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가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기 때문에, 조향 시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가 상기 중심축(C1)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가 상기 중심축(C1)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또는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만으로 상측회전, 하측회전, 좌측회전, 우측회전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덥째, 본 발명은 상기 팬하우징의 이너팬하우징 내부 공간(S3)을 커버하는 스티어링베이스에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가 설치되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본 발명은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가 이너팬하우징 내부 공간(S3)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를 관통하여 스티어링그릴에 조립되기 때문에, 스티어링그릴 및 팬하우징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번째, 본 발명은 상기 스티어링베이스 및 스티어링그릴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인트어셈블리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른 스티어링그릴의 조향각을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한번째, 본 발명은 상기 조인트어셈블리가 볼조인트이기 때문에,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조향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두번째, 본 발명은 상기 조인트어셈블리의 크로스액슬에 배치된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의 조합을 통해 스티어링그릴의 조향방향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세번째, 본 발명은 상기 크로스액슬이 제 1 조인트브래킷 및 제 2 조인트브래킷에 지지되기 때문에, 작동 중 스티어링그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네번째, 본 발명은 스티어링그릴이 상향, 하향, 좌향, 우향, 좌상향, 좌하향, 우상향 또는 우하향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즉시 조향변경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좌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우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상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하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오른쪽 하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왼쪽 상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09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후방 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팬하우징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프론트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가이드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작동전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0에서 스티어링그릴이 분리된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14에 도시된 스티어링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도 14에 도시된 조인트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4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 및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배면 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허브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14에 도시된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후방 측에서 본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된 스티어링바디 및 스티어링모터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좌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우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상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하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오른쪽 하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스티어링그릴이 왼쪽 상측으로 틸팅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10)와 연결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미도시)과, 상기 실내기(10)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급받은 후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방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1)에서는 냉매가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실내 공기를 가열시킨다.
<<<실내기의 구성>>>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101)가 형성되고, 내부공간(S)이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정면토출구(201)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300)(400)와, 상기 팬어셈블리(300)(4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에 배치된 측면토출구(3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정면토출구(201) 또는 측면토출구(30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도어어셈블리(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정면토출구(20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실내의 먼 곳으로 유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중간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어셈블리(300)(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삭제되고, 원거리팬 어셈블리(400)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가 삭제될 경우, 측면토출구(301) 역시 삭제되고, 정면토출구(201)로만 공조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위치된다. 또한,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필터어셈블리(600)의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어셈블리(600) 전방에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되고,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팬어셈블리(300)(400)가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하기 때문에, 공조된 공기가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유입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흡입구(101) 전체를 커버한다.
상기 흡입구(101)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형성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 전체를 커버하여,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하게 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흡입구(101) 및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과 대향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
열교환어셈블리(500)를 수직하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면에 밀착시키는 것 역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을 최소화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상기 필터어셈블리(600), 열교화어셈블리(500) 및 팬어셈블리(300)(400)를 모두 수직하게 배치하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순차 적층하기 때문에, 실내기의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설치될 때,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보다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실내기의 전후 방향 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열교환어셈블리(5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상측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보다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에서 토출된 토출공기가 실내의 먼 곳까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원거리로 공기를 토출한다.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실내의 원거리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에 그칠 경우, 실내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 만으로 충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의 타켓영역에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타켓영역은 목표온도와 실내온도의 편차가 큰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타켓영역은 사용자 또는 애완동물이 활동하는 영역일 수 있다.
타켓영역에 직접풍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는 방향조절 가능한 스티어링그릴(345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캐비닛어셈블리(100) 밖으로 돌출되고, 미작동시에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고, 도어어셈블리(20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정면토출구(201) 밖으로 돌출될 경우, 직접풍이 도어어셈블리(200)과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서 공기를 토출할 경우, 정면토출구(20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저항이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통해 실내에 직접풍을 제공할 때,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구성 중, 스티어링그릴(3450)이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고, 캐비닛어셈블리(10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구성 중 일부(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그릴)만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기 때문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정면토출구(201) 밖으로 돌출된 스티어링그릴(34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향하는 방향은 특정 각도 또는 방향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는 정면토출구(201)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임의의 대각선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제 1 특정방향에서 임의의 제 2 특정방향으로 즉시 방향전환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도어어셈블리(20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스티어링그릴(3450)은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다.
스티어링그릴(3450)이 도어어셈블리(200)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상태를 프로젝션 상태로 정의한다.
스티어링그릴(3450)이 프로젝션 상태일 때,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전체가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 밖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전방 일부만 도어어셈블리(200) 전면(200a)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프로젝션 상태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가능하다.
프로젝션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임의의 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타겟 영역으로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측면토출구(301)로 공기를 토출하고,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복수개의 팬(310)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310) 3개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310)은 사류형 원심팬이 사용된다. 상기 팬(31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팬(310)은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되, 상기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전방 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되는 팬케이싱(320)과, 상기 팬케이싱(320)에 결합되고,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팬(310)을 포함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정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밀착되어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케이싱(320)의 측면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팬케이싱(320)에 측면토출구(301)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2)에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토출베인이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는 상기 팬케이싱(3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팬(310)은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팬(310)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일렬로 적층된다.
상기 팬(310)은 사류형 원심팬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전방 측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09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후방 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팬하우징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프론트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가이드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작동전 단면도이다.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고, 실내에 직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도어어셈블리(200)의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프로젝션 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작동시에만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상측벽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키되,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스티어링그릴(3450)은 정면토출구(20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정면토출구(201) 밖에 위치시킴으로서,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도어어셈블리(200) 등의 구조물로 인한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공간의 먼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어퍼가이드하우징 및 로어가이드하우징)과, 상기 가이스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상기 정면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가이드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를 상기 가이드하우징을 따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47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가 형성된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과 조립되고, 상측에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이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을 포함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과 연통되는 팬흡입구(3411)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내부에 배치되는 리어팬하우징(3410)과,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흡입구(3411)에서 흡입된 공기를 사류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팬(3420)과,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와 결합되고, 상기 팬(34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팬(3420)이 조립되고, 상기 팬(3420)에 의해 가압된 공기를 사류방향으로 안내하는 프론트팬하우징(3430)과,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방에 배치되고, 모터축(3441)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을 관통하여 상기 팬(3420)과 조립되고, 상기 팬(342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3440)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팬모터(3440)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틸팅가능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을 통해 안내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스티어링그릴(3450)과,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스티어링그릴(34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겨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조향시키는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또는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 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및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흡입구(3411)로 안내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 시 확장 또는 축소되는 에어가이드(3510)를 더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거리 팬어셈블리(400) 중 액추에이터(34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조립체를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로 정의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리어팬하우징(3410), 프론트팬하우징(3430), 팬(3420), 스티어링그릴(3450), 팬모터(3440) 및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를 포함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액추에이터(34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히 구현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사이에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및 어퍼가이드하우징(3520)는 고정된 구조물이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 팬흡입구(3411), 팬(342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를 통과한 후,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서 토출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일체로 제작된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을 가이드하우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하우징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해 전면이 개구되고, 공기 흡입을 위해 후면에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위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으로 각각 제작한 후 조립한다.
<어퍼가이드하우징의 구성>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가이드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감싸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를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을 제외한 다른 유로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은 냉각된 공기를 스티어링그릴(3450)로 안내하는 단일화된 유로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도어어셈블리(200)에 냉각된 공기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측 나머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형태 및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상측에 배치된다. 체결을 통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일체화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내측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배치되고,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다.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가 형성된 리어월(3522)과, 상기 리어월(3522)의 측면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과, 상기 리어월(352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탑월(3525)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는 리어월(3522)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는 팬흡입구(3411)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도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의 직경보다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이 더 크다.
상기 레프트월(3523)은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위치되고, 라이트월(3524)은 우측에 위치된다. 상기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탑월(3525)은 상기 리어월(2522),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을 연결한다. 상기 탑월(3525) 하측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위치된다.
미작동 시, 상기 레프트월(3523), 라이트월(3524) 및 탑월(3525) 사이에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위치된다. 작동 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최대 전진 시에도,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최대 전진 시,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단(3410b)은 상기 레프트월(3523) 및 라이트월(3524)의 전방측 단(3523a)(3524a)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작동 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벗어날 경우,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을 받으면 어퍼가이드하우징(3520)과 걸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초기위치로 미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벗어날 경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에서 팬흡입구(3411)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리어월(3522)에는 상기 에어가이드(35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52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526)은 리어월(3522)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고정부(3526)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 고정부(3526)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 바깥쪽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3526)는 4개소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저면(3527)은 개구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저면(3527)도 폐쇄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하측에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배치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상기 저면(3527)을 폐쇄하기 때문에 상기 저면(3527)을 개방된 형태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리어월(3522)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좌우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로만 유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월(3522)의 폭이 열교환어셈블리(500)의 폭보다 좁을 경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공기가 원거리 팬어셈블리(400) 바깥쪽을 통해 도어어셈블리(20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일 경우, 냉방 시 냉기가 도어어셈블리(200)를 냉각시켜 이슬맺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리어월(3522) 및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을 서로 대향되고, 상기 리어월(3522)이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면에 최대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월(3522)을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열교환된 공기를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로 유동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레프트월(3523), 라이트월(3524) 및 탑월(3525)의 전후 방향 길이를 F1으로 정의한다.
상기 레프트월(3523) 또는 라이트월(35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각각 가이드홈(355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550)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55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레프트월(3523)에 형성된 가이드홈(3550)을 제 1 가이드홈(3551)로 정의하고, 상기 라이트월(3524)에 형성된 가이드홈(3550)를 제 2 가이드홈(3552)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은 상기 수납공간(S1)에서 레프트월(3523) 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은 상기 수납공간(S1)에서 라이트월(3524) 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은 상기 레프트월(3523)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공간(S1)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은 상기 라이트월(3524)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공간(S1)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은 저면(3551a), 측면(3551b) 및 상면(3551c)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은 저면(3552a), 측면(3552b) 및 상면(3552c)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의 저면(3551a)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의 저면(3552a)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을 지지한다.
후술하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 및 제 2 가이드홈(355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 및 제 2 가이드홈(3552)은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의 이동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를 지지한다.
<로어가이드하우징의 구성>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가이드하우징의 하부를 구성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이동가능하게 거치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거치하고,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과 조립되고, 내부에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S1)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후방 측만 수납되고, 전방 측은 수납공간(S1)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납공간(S1)이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전체를 수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팬케이싱(320)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보다 전후 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때문이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전후 방향 길이를 F2로 정의한다. 상기 로어가이하우징(3460)의 전후 방향 길이(F2)는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전후 방향 길이(F1)보다 길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저면을 폐쇄하고, 상측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이동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거치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34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베이스(3462)와,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과,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465)와,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팬하우징)과 상호 간섭되고, 상기 팬하우징(34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가이드(3467)와, 상기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태이고, 상기 액추에이터(3470)에 결합되는 케이블(미도시)이 관통되는 케이블관통부(346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은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를 연결하고,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하우징리어월(3466)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후방 측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은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리어월(3522)와 대향되고, 상기 리어월(3522)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의 상측단(3466a)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와 동일한 라인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의 상측단(3466a)은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된다.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의 상측단(3466a)은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를 가리지 않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은 하우징베이스(3462),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를 연결시켜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후방 측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스토퍼(3465)는 상기 하우징리어월(3466) 보다 전방 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3465)는 하우징베이스(3562)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3465) 중 하나는 하우징베이스(3462) 및 레프트사이드월(3463)를 연결하게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하우징베이스(3462)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을 연결하게 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과도하게 전방 이동될 경우, 상기 스토퍼(3465)에 지지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가이드하우징의 외부와 내부의 수납공간(S1)을 연통시킨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케이블관통부(3461)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와 함께 케이블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관통부(3461)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지 못하는 짧은 길이로 형성될 경우, 액추에이터(3470)와의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내측 및 외측을 연통시킨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이동 시, 가이드모터와 연결된 배선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케이블관통부(3461)을 따라 배선이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모터(3472)와의 결선 신뢰성을 제공한다.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팬케이싱(320)과 결합을 위한 체결부(346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468)는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이동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2개가 배치되고, 하나는 레프트사이드월(3463)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라이트사이드월(3464) 측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하우징베이스(346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3467)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우 이동을 제한한다.
<리어팬하우징의 구성>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후면을 형성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전방에 위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월(3522)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어퍼가이드하우징(3520)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후면을 커버하는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와, 상기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의 내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팬흡입구(3411)와, 상기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과 결합되는 체결부(3414)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3414)는 프론트팬하우징(3430)과의 조립을 위해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3414)는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정면에서 볼 때 내부에 팬흡입구(3411)가 형성된 도넛형상이다. 특히, 리어팬하우징바디(3412)는 정면에서 볼 때 도넛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프론트팬하우징(3430)과 함께 팬(3420)을 감싸는 구성이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 사이에 상기 팬(3420)이 배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후면을 커버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후단에 조립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지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은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는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과 평행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팬흡입구(3411)의 직경은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 및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에어가이드(3510)가 배치된다. 상기 팬흡입구(3411)는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면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바디(3412)는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면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리어팬하우징바디(3412)에 조립되고, 상기 팬흡입구(3411)를 감싸게 배치된다.
<프론트팬하우징의 구성>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팬(3420)에 의해 유동된 공기를 스티어링그릴(3450)로 안내하는 유로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모터(3440)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팬모터(344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방에 팬모터(3440)가 위치되고, 후방에 상기 팬(3420)이 위치되고, 하측에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아우터팬하우징(3432)과, 전방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3440)가 설치되는 이너팬하우징(3434)과, 상기 아우퍼팬하우징(3432) 및 이너팬하우징(3434)를 연결하는 베인(3436)과,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3440)가 조립되는 모터설치부(3448)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은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가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은 상기 액추에이터(347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개구된 전면을 제 1 팬개구면(3431)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은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내부를 공간(S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은 상기 공간(S2)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은 전면이 개구되고,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이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내측에 오목한 내부를 공간(S3)으로 정의한다. 상기 팬모터(3440)는 상기 공간(S3)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과 체결 고정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개구된 전면을 제 2 팬개구면(3433)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의 유동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을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은 상기 공간(S3)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은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팬개구면(3433)은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 및 제 2 팬개구면(3433)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이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틸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 및 제 2 팬개구면(343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3440)를 체결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 모터설치부(3438)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공간(S3)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팬모터(3440)는 모터마운트(34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마운트(3442)가 상기 모터설치부(3438)에 체결된다.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3440)의 모터축을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을 관통하고 후방을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후방에 배치된 팬(3420)과 결합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는 상기 팬모터(3440)의 모터축이 관통되는 축홀(3437)이 형성된다.
상기 팬모터(3440)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S3)에 삽입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토출공기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스티어링베이스(1070)는 이너팬하우징(3434)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S3)을 폐쇄시킨다. 상기 팬모터(3440)는 토출공기의 유로 밖에 배치되기 때문에, 토출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팬모터(3440)는 이너팬하우징(3434)의 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후방에서 흡입되는 공기와의 저항도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를 고정시키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를 지지하는 체결보스(3439)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3439)는 3개소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C1)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체결보스(3439) 및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공간(S3)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 및 상기 체결보스(3439)의 조립 시, 상기 모터설치부(3438)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의해 은닉된다.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 및 아우터팬하우징(3432)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베인(3436)은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 및 이너팬하우징(3434)을 일체로 연결시킨다.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 이너팬하우징(3434) 및 베인(3436)은 상기 팬(3420)에서 토출된 공기에 직진성을 부가한다.
한편,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외부에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에 배치된 제 1 가이드홈(3551) 및 제 2 가이드홈(355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는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가이드홈(3551)에 지지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3552)에 지지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결합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축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결합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축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의 롤러축과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의 롤러축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554)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는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단은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하우징베이스(3462)과 이격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결여될 경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이 액추에이터(3470)에 전가되고,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야 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의 지지에 의해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단이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액추에이터(3470)의 작동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팬의 구성>
상기 팬(3420)은 리어팬하우징(341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팬(3420)는 조립된 리어팬하우징(341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팬(3420)은 상기 팬흡입구(34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사류방향으로 토출한다. 상기 팬(3420)는 후방에 배치된 팬흡입구(341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여기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사류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류방향은 전방 및 원주 방향 사이를 의미한다.
<에어가이드 및 에어가이드 브래킷의 구성>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0) 및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을 결합시키고,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 및 팬흡입구(3411)을 연결시킨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고,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 및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흡입구(341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후 방향 이동 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탄성재질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하우징 및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에어가이드(3510)를 상기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과, 상기 에어가이드(3510)를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본 실시예에서 리어팬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탄성재질이고,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3510)는 전방 측(본 실시예에서 팬하우징어셈블리 측)에 에어가이드 아웃릿(3511)이 형성되고, 후방 측(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하우징 측)에 에어가이드 인릿(3513)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 아웃릿(3511)의 직경은 G1이고, 상기 에어가이드 인릿(3513)의 직경은 G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G1 및 G2이 동일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G2가 G1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G1의 크기는 상기 팬흡입구(3411)의 크기와 대응되고, 상기 G2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크기와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G1이 팬흡입구(341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팬흡입구(3411) 전체가 상기 에어가이드 아웃릿(3511)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G2는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G4)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은 상기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4)을 상기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은 상기 에어가이드(3510)의 전단(3512)를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은, 링형태로 형성된 브래킷바디(3532)와, 상기 브래킷바디(3532)에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바디(353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브래킷체결부(3534)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바디(3532)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바디(3532)의 직경을 G3로 정의한다. 상기 브래킷바디(3532)의 직경 G3은 에어가이드 인릿(3513)의 직경 G2 보다 작고,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의 직경 G4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3513)은 상기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를 통과하여 리어월(3522)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브래킷바디(3532)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3513)을 상기 리어월(3522)에 밀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가이드하우징(3520)의 리어월(3522)에 브래킷 삽입부(3528)가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 삽입부(3528)가 별도로 배치되기 때문에, 가이드하우징흡입구(3521)를 상기 브래킷 삽입부(3528)의 내측 가장자리 안쪽으로 정의한다.
상기 브래킷 삽입부(3528)는 리어월(3522)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 1 삽입벽(3528a)과, 상기 제 1 삽입벽(3528a)에서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중심축(C1) 측으로 돌출된 제 2 삽입벽(3528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삽입벽(3528a) 및 제 2 삽입벽(3528b)을 통해 상기 브래킷 삽입부(3528)는 전방으로 오목한 단을 형성한다.
상기 브래킷바디(3532)는 상기 제 2 삽입벽(3528b)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 브래킷바디부(3535)와, 상기 제 1 브래킷바디부(3535)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된 제 2 브래킷바디부(3536)를 포함한다. 상기 1 브래킷바디부(3535) 및 제 2 브래킷바디부(3536)는 절곡된 형태다.
상기 제 1 브래킷바디부(3535) 및 제 2 삽입벽(3528b) 사이에 상기 에어가이드 후단(3513)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브래킷바디부(3535)는 상기 후단(3513)을 상기 제 2 삽입벽(3528b)에 밀착시킨다.
상기 제 2 브래킷바디부(3536)는 상기 제 1 삽입벽(3528a)의 내측가장자리 보다 더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브래킷바디부(3536) 및 제 1 삽입벽(3528a) 사이 에어가이드(3510)이 위치된다.
체결부재(본 실시예에서 스크류)는 브래킷체결부(3534)를 관통하여 리어월(3522)에 체결된다.
상기 리어월(3522)의 배면에는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가 위치되는 제 1 브래킷설치부(3522a)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브래킷설치부(3522a)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가 일부 삽입되며, 작업자는 상기 제 1 브래킷설치부(3522a)를 통해 브래킷체결부(3534)의 조립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배치된다. 상기 브래킷체결부(3534)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이 리어월(3522)의 배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 시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이 리어월(3522)의 배면에 조립되기 때문에, 에어가이드(3510)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은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3) 전체를 가압하여 리어월(3522)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에어가이드(3510)의 후단(3513) 전체가 균일하게 지지되고, 특정 위치에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3530)을 고정하는 체결부재는 에어가이드(3510)를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에어가이드(35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은 스냅링이 사용된다.
스냅링 형태의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배면에는 제 2 브래킷설치부(341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브래킷설치부(3415)는 배면에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팬흡입구(3411) 보다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브래킷설치부(3415)는 리어팬하우징(3410)의 배면에서 후방 및 바깥쪽으로 연장된 리브이고, 바깥쪽에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3540)에 삽입되는 홈(3416)이 형성된다. 상기 홈(3416)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중심축(C1)에 대해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게 개구되고, 상기 중심축(C1)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배면에는 상기 에어가이드(3510)의 올바른 위치로 수납시키는 가이드벽(3417)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벽(3417)은 제 2 삽입벽(3528b)과 대향되고, 상기 제 2 삽입벽(3528b)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리어팬하우징(3410)의 후방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벽(3417)은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액추에이터의 구성>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내기의 작동 시,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시키고, 실내기의 정지 시,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후진시킨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 또는 리니어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전달하여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배치된 제 1 가이드롤러(3553) 및 제 2 가이드롤러(3554)가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른 작동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중심축(C1)과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중심이 일치하게 배치된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중심축(C1)을 따라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상기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어퍼가이드하우징 또는 로어가이드하우징)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액추에이터(3470)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가이드모터(3472)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가이드축(3474)와, 상기 가이드축(3474)의 좌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축(3474)과 함께 회전되는 제 1 가이드기어(3476)와, 상기 가이드축(3474)의 우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축(3474)과 함께 회전되는 제 2 가이드기어(3477)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와 치합되는 제 1 랙(3478)과,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기어(3477)와 치합되는 제 2 랙(3479)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모터(3472), 제 1 가이드기어(3476), 제 2 가이드기어(3477) 및 가이드축(3474)는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설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진 또는 후진 시 함께 이동된다.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와 치합되는 상기 제 1 랙(3478) 및 상기 제 2 가이드기어(3477)와 치합되는 상기 제 2 랙(3479)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모터(3472), 제 1 가이드기어(3476), 제 2 가이드기어(3477) 및 가이드축(3474)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3478)(3479) 및 가이드기어(3476)(3477)의 상호 치합에 의해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가 전진 또는 후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모터(3472)는 1개가 사용되고,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을 균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축(3474)이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축(3474)의 양단에 각각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축(3474)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은 가이드축(3474)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 2 가이드기어(3477)는 상기 가이드축(3474)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각 가이드기어(3476)(3477)와 치합되는 랙(3478)(3479)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는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는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하우징베이스(3462) 상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은 상기 가이드기어(3476)(3477)의 하측에 배치되고, 치합을 통해 상기 가이드기어(3476)(3477)와 상호 간섭된다.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는 상기 제 1 랙(3478)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굴러 이동되고, 상기 제 2 가이드기어(3477) 역시 상기 제 2 랙(3479)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굴러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모터(3472)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좌측 하부 또는 우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모터축은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 또는 제 2 가이드기어(3477)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가이드모터(3472)가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 1 가이드기어(3476) 및 제 2 가이드기어(3477)가 동시 회전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측 및 우측이 동일한 힘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터(3472)는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에는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이동을 위한 모터가이드홈(3469)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가이드모터(3472)의 이동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하우징베이스(3462)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베이스(3462)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제 1 랙(3478) 또는 제 2 랙(3479)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은 제 1 랙(3478) 또는 제 2 랙(3479) 보다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를 통해 상기 가이드모터(3472)의 설치 및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가이드홈(3469)을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시켜 상기 가이드모터(3472)를 제 1 가이드기어(3476) 또는 제 2 가이드기어(3477)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고, 동력전달을 위한 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히 구현하기 위해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팬하우징(3430)) 및 로어가이드하우징(3460) 사이에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이 더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좌측 및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을 결합시킨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각각 결합되고, 슬라이딩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우측 및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우측을 결합시킨다.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라이트사이드월(3464)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각각 결합되고, 슬라이딩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하중 중 일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전후 이동을 원활히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제 1 랙(3478) 및 제 2 랙(3479)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측 및 우측을 지지하고,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좌측 및 우측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 및 우측을 동일한 속도 및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이동속도 및 거리가 불균일할 경우, 상기 원거리어셈블리(400)가 뒤뚱거리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이동속도 및 거리가 불균일할 경우, 스티어링그릴(3450)이 정면토출구(201)의 내측으로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은 구름마찰을 통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이동 시 마찰을 최소화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 및 제 2 가이드레일(3490)의 구성은 동일하고,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가이드레일(3480)을 예로 들어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레일(348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가이드하우징(본 실시예에서 로어가이드하우징)에 설치되는 롱레일하우징(3482)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팬하우징)에 설치되는 숏레일하우징(3484)와,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 및 숏레일하우징(348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 및 숏레일하우징(3484) 각각과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숏레일하우징(3484)의 이동 시 베어링(3485)의 구름마찰을 통해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 및 숏레일하우징(3484) 각각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베어링하우징(3486)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은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에 조립되고,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숏레일하우징(3484)는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에 조립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숏레일하우징(3484)이 베어링하우징(3486)과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은 롱레일하우징(3482)와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이다.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은 롱레일하우징(3482) 보다 짧고, 숏레일하우징(3484)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3486) 및 숏레일하우징(3484)은 롱레일하우징(3482)의 길이 내에서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롱레일하우징(3482)의 길이는 상기 로어가이드하우징(3460)의 전후 방향 길이 F2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프트사이드월(3463) 및 라이트사이드월(3464)의 각 내측면에 롱레일하우징(3482)이 고정되는 레일설치부(3463a)(3464a)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설치부(3463a)(3464a)는 케이블관통부(3465)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0에서 스티어링그릴이 분리된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14에 도시된 스티어링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도 14에 도시된 조인트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4에 도시된 스티어링그릴 및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배면 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허브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14에 도시된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후방 측에서 본 스티어링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된 스티어링바디 및 스티어링모터의 조립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정면도이다.
<스티어링그릴의 구성>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내측에 일부 삽입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제 1 팬개구면(3431)을 통해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공간(S2)으로 삽입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단은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 보다는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의 제 1 팬개구면(34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팬개구면(3431)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제 1 팬개구면(3431) 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S4)이 형성된 스티어링하우징(3452)과,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내측에 배치되고, 전면을 향하게 배치된 스티어링커버(3454)와,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공간(S4)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 및 스티어링커버(3454)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베인(3456)을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정면 형상은 상기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제 1 팬개구면(3431) 형상에 대응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은 전후 방향에 대해 곡면으로 형성된다. 곡면으로 형성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은 스티어링그릴(3450)의 틸팅 시,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본 실시예에서 아우터팬하우징(3432))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은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회전반경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 외측면(3451)의 곡률 중심은 상기 중심축(C1)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면(3451)은 상기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팅된다. 호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을 통해, 틸팅 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 및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내측면 사이 간격(P)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틸팅 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외측면(3451) 및 아우터팬하우징(3432)의 내측면 사이 간격(P)을 최소하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간격(P)로 토출되는 공기가 냉각된 공기일 경우, 정면토출구(201) 가장자리를 냉각시켜 이슬맺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간격(P)을 최소화할 경우, 정면토출구(201)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축중심은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축중심(C1)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3440)의 모터축과도 일치한다.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는 상기 공간(S4)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의 면적 및 형상은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면적 및 형상에 대응된다.
토출공기는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의 바깥쪽 및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내측 사이로 유동된다.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가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로 직접 유동되지는 않는다.
전후 방향에 대하여,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는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전단(3452a) 및 후단(3452b)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는 스티어링어셈블리(1000)와 연결되고,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의 작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베인(3456)은, 원형베인(3457) 및 블레이드베인(3458)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베인(3457)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 원형베인(3457)은 각기 다른 직경을 갖고, 각 원형베인(3457)의 중심은 상기 중심축(C1)에 배치된다. 즉, 상기 각 원형베인(3457)은 상기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을 형성한다.
상기 블레이드베인(3458)은 복수개가 배치되고, 복수개의 블레이드베인(3458)은 상기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원형베인(3457) 및 블레이드베인(3458)은 교차된다.
상기 블레이드베인(3458)의 내측단은 상기 스티어링커버(3454)에 결합되고, 외측단은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 스티어링커버(3454), 원형베인(3457) 및 블레이드베인(3458)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축중심(C1)을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또는 임의의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진 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전단(3452a)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후단(3452b)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틸팅 시에도,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전단(3452a)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스티어링하우징(3452)의 후단(3452b)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틸팅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및 프론트팬하우징(34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토출공기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 전방에 위치되어 토출공기와의 간섭을 최소화시킨다. 특히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상기 팬모터(3440)의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공간(S3)을 커버하는 스티어링베이스(1070)가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프론트팬하우징(3430) 측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이너팬하우징(3434) 또는 모터마운트(3442) 등에 설치되어 스티어링그릴(3450)를 조향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틸팅 방향 또는 순서에 제약이 없는 구조를 제공한다. 예를들어,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하방향 틸팅 후에 좌우 방향으로 틸팅시키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임의의 제 1 방향에서 임의의 제 2 방향으로 스티어링그릴(3450)를 즉시 틸팅시킬 수 있고, 틸팅 방향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향을 즉시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방향은 수평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하방향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배치되고, 스티어링그릴(3450) 후방에 배치되는 스티어링베이스(1070)와,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 및 스티어링그릴(3450)에 결합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 및 스티어링그릴(3450) 각각과 틸팅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인트어셈블리(1100)와,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1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모터(103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와,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2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모터(103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는 스티어링그릴(3450)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립된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 역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립된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가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는 부분 및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가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는 부분은 상기 중심축(C1)을 기준으로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가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는 부분은 상기 중심축(C1)의 수직방향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가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는 부분은 상기 중심축(C1)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틸팅중심을 제공한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의 틸팅중심은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중심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에 배치된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배면에 결합된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임의의 방향으로 조향될 수 있는 회전중심을 제공한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정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 하, 좌, 우, 좌상, 좌하, 우상, 우하를 향하도록 회전중심을 제공한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볼조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볼조인트의 경우, 스티어링그릴(345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처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조향된 상태에서 스티어링그릴(345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조립되고, 제 1 방향(본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에 대해 회전축을 제공하는 제 1 조인트브래킷(1110)과,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되고, 제 2 방향(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에 대해 회전축을 제공하는 제 2 조인트브래킷(1120)과,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 및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회전축을 제공하는 크로스액슬(1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 및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치위치가 반대여도 무방하다. 설치위치가 반대일 경우,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은 제 2 방향에 대해 회전축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은 제 1 방향에 대해 회전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은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조립되는 제 1 브래킷바디(1112)와, 상기 제 1 브래킷바디(111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을 향해 돌출된 제 1-1 축지지부(1113)와, 상기 제 1 브래킷바디(111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 1-1 축지지부(1123)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1-2 축지지부(1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브래킷바디(1112)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제 1 브래킷바디(1112)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브래킷바디(111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체결홈(1115)(1116)이 형성된다. 상기 각 체결홈(1115)(1116)은 제 1 브래킷바디(1112)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축지지부(1113)는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축지지부(1114)는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1 축지지부(1113) 및 제 1-2 축지지부(1114)는 상하로 배열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은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되는 제 2 브래킷바디(1122)와, 상기 제 2 브래킷바디(1122)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을 향해 돌출된 제 2-1 축지지부(1123)와, 상기 제 2 브래킷바디(1122)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 2-1 축지지부(1123)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2-2 축지지부(1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브래킷바디(1122)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브래킷바디(112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브래킷바디(112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체결홈(1125)(1126)이 형성된다. 상기 각 체결홈(1125)(1126)은 제 2 브래킷바디(1122)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1 축지지부(1123) 및 제 2-2 축지지부(1124)에는 각각 축홀(1123a)(미도시)이 형성되고, 각 축홀(1123a)(미도시)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각 축홀(1123a)(미도시)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1 축지지부(1123)는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2 축지지부(1124)는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1 축지지부(1123) 및 제 2-2 축지지부(1124)는 좌우로 배열된다.
상기 크로스액슬(1130)는 상하 방향 회전축 및 좌우 방향 회전축을 제공한다. 상기 크로스액슬(1130)은 상기 축중심(C1) 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스액슬(1130)은, "+"형태로 형성된 크로스바디(1135)와, 상기 크로스바디(1135)에서 상기 제 2 방향(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1 축지지부(1113)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1 회전축(1131)과, 상기 크로스바디(1135)에서 상기 제 2 방향(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2 축지지부(1114)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1 회전축(1131)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 1-2 회전축(1131)과, 상기 크로스바디(1135)에서 상기 제 1 방향(본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1 축지지부(1123)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1 회전축(1133)과, 상기 크로스바디(1135)에서 상기 제 1 방향(본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2 축지지부(1124)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1 회전축(1133)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 2-2 회전축(1134)을 포함한다.
상기 각 회전축(1131)(1132)(1133)(1134)는 상기 각 축지지부(1113)(1114)(1123)(1124)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크로스액슬(1130)의 길이로 인해 각 축지지부(1113)(1114)(1123)(1124)를 별도로 제작한 후, 각 브래킷바디(1112)(1122)에 조립해야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 및 분해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1110) 및 제 2 조인트브래킷(1120)를 각각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액슬(1130)의 각 회전축(1131)(1132)(1133)(1134)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각 각 회전축(1131)(1132)(1133)(1134)에 나사결합되는 각각의 축캡(1141)(1142)(1143)(1144)이 구비된다.
상기 각 축캡(1141)(1142)(1143)(1144)은 동일한 구성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1 회전축(1131)에 조립되는 축캡을 제 1-1 축캡(1141)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1-2 회전축(1132)에 조립되는 축캡을 제 1-2 축캡(1142)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2-1 회전축(1133)에 조립되는 축캡을 제 2-1 축캡(1143)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2-2 회전축(1134)에 조립되는 축캡을 제 2-2 축캡(1144)이라 정의한다.
상기 축캡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홀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축캡바디(1145)와, 상기 축캡바디(1145)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축지지부에 지지되는 축캡지지부(1146)와, 상기 축캡바디(1145)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1147)을 포함한다.
상기 제 1-1 축캡(1141)은 제 1-1 축지지부(1113)에 삽입되고, 상기 제 1-1 회전축(1131)과 조립된다. 상기 제 1-2 축캡(1142)은 제 1-2 축지지부(1114)에 삽입되고, 상기 제 1-2 회전축(1132)과 조립된다. 상기 제 1-1 축캡(1141)의 조립방향과 상기 제 1-2 축캡(1142)의 조립방향은 반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축캡(1141) 및 제 1-2 축캡(1142)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1 축캡(1143)은 제 2-1 축지지부(1123)에 삽입되고, 상기 제 2-1 회전축(1133)과 조립된다. 상기 제 2-2 축캡(1144)은 제 2-2 축지지부(1124)에 삽입되고, 상기 제 2-2 회전축(1134)과 조립된다. 상기 제 2-1 축캡(1143)의 조립방향과 상기 제 2-2 축캡(1144)의 조립방향은 반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1 축캡(1143) 및 제 2-2 축캡(1144)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배면에는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이 고정되는 체결보스(1125a)(1126a)가 형성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체결보스(1125a)(1126a)에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의 체결홈(1125)(1126)이 삽입되고,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제 2 조인트브래킷(1120)이 스티어링그릴(34350)에 고정된다.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의 공간(S3)을 커버한다.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는, 상기 이너팬하우징(3434)에 결합되는 베이스바디(1075)와, 상기 베이스바디(1075)의 전면에 형성되고, 제 1 조인트브래킷(1110)이 조립되는 체결보스(1073)(1074)와, 상기 베이스바디(1075)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가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1 관통홀(1071)과, 상기 베이스바디(1075)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가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2 관통홀(1072)과, 상기 베이스바디(1075)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가 설치되는 제 1 베이스설치부(1076)와, 상기 베이스바디(1075)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가 설치되는 제 2 베이스설치부(107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는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전방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설치로 인한 팬하우징어셈블리(3400)의 전후 방향 길이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를 상기 공간(S3)에 위치시킨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은 상기 공간(S3)에 위치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관통홀(1071)를 관통하여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된다.
같은 이유로,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은 상기 공간(S3)에 위치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관통홀(1071)를 관통하여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은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틸팅된다.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은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틸팅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작동방향을 조합하여,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설치부(1076)는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베이스설치부(1077)는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이스설치부(1076)는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후술하는 스티어링바디(1010)에 삽입된다.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 및 제 1 베이스설치부(1076)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의 체결 시, 스티어링바디(1010)의 체결위치를 임시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베이스설치부(1076)는 2개소가 배치된다. 하나를 제 1-1 베이스설치부(1076a)라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 1-2 베이스설치부(1076b)라 한다.
상기 제 2 베이스설치부(1077)의 구조도 상기 제 1 베이스설치부(1076)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제 2 베이스설치부(1077)도 2개소가 배치된다. 하나를 제 2-1 베이스설치부(1077a)라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 2-2 베이스설치부(1077b)라 한다.
<스티어링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구성 부품을 동일하고, 스티어링그릴(3450)에 대해 조립위치만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구성 부품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 또는 "제 2"로 구분하겠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측 또는 스티어링그릴(3450) 측에 고정되는 스티어링바디(1010)과,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조립되는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모터(1030))와,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랙(1020)과,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랙(1020)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이동랙(10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랙가이드(1012)와,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의 모터축(1031)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랙(1020)과 치합되고,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랙(10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티어링기어(1040)와, 상기 이동랙(1020)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과도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이동랙(1020)의 이동 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및 이동랙(1020) 사이의 거리 및 사이각을 조절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 adjust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은 상기 프론트팬하우징(3430) 또는 스티어링그릴(345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전원공급 및 케이블 결선을 고려하여,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은 프론트팬하우징(3430) 측 구조물에 설치한다.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을 제어신호에 따라 조향되는 스티어링그릴(3450)에 설치할 경우, 케이블도 함께 조향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티어링바디(1010)이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될 경우, 스티어링그릴(3450) 측 하중이 증가되고, 이를 조향하기 위한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도 함께 증가시켜야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은 프론트팬하우징(3430)에 고정된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설치된다. 특히, 스티어링그릴(3450) 및 스티어링베이스(1070) 사이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을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배면에 배치하고,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가 스티어링베이스(1070)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각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가 스티어링베이스(1070)의 각 관통홀(1071)(1072)을 관통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스티어링베이스(1070) 및 스티어링그릴(3450)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베이스(1070) 및 스티어링그릴(3450)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경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에서 발생되는 상대변위 및 상대각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는 이동랙(10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는 스텝모터가 사용되고, 이를 스티어링모터(1030)로 정의한다.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는 스티어링바디(1010)에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 및 스티어링바디(1010) 사이에 상기 이동랙(1020)이 배치된다.
상기 랙가이드(1012)는 상기 이동랙(102)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가이드(1012)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가이드(1012)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랙가이드(1012)는 홈 또는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가이드(1012)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를 관통하는 슬릿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랙(1020)은 상기 슬릿에 삽입된다.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조립된다.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랙(10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고정부(1013)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는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 고정된다.
상기 모터고정부(1013)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서 상기 스티어링모터(103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모터고정부(1013)는 2개소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고정부(1013) 사이에 상기 이동랙(1020)이 배치된다.
상기 모터고정부(1013)는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랙(1020)의 설치공간을 확보한다. 상기 모터고정부(1013) 사이에 상기 랙가이드(1012)가 배치된다. 한쪽에 배치된 모터고정부(1013)를 제 1 모터고정부라 하고, 다른 한쪽에 배치된 모터고정부(1013)를 제 2 모터고정부라 한다. 제 1 모터고정부 및 제 2 모터고정부 사이 간격(M1)은 이동랙(1020)의 높이(M2)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에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016)가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1016)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이스설치부(1076) 및 제 2 베이스설치부(1077)가 보스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1016)는 이에 대응되는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016)는 제 1 베이스설치부(1076)의 개수에 대응되어 2개소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스티어링바디(1010)에 배치된 결합부(1016)를 1-1 결합부(1016a) 및 1-2 결합부(1016b)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스티어링바디(1010)에 배치된 결합부(미도시)를 2-1 결합부(미도시) 및 2-2 결합부(미도시)로 정의한다.
상기 결합부(1016)는 모터고정부(1013) 또는 랙가이드(1012)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1-1 결합부(1016a) 및 1-2 결합부(1016b) 사이에 상기 랙가이드(1012)가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기어(1040)는 피니언기어이다. 상기 스티어링기어(1040)는 모터축(1031)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랙(1020)은 스티어링모터(1030)의 작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랙(1020)은 스티어링바디(1010)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랙가이드(1012)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된다.
상기 이동랙(1020)은 상기 스티어링기어(1040)의 회전수에 따라 이동거리가 조절되고, 상기 스티어링기어(10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이동랙(1020)은, 이동랙바디(1021)와, 상기 이동랙바디(1021)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랙바디(10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이동랙기어(1023)와, 상기 이동랙바디(1021)에 배치되고, 상기 랙가이드(1012)와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블럭(1022)과, 상기 이동랙바디(1021)에 배치되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의 후방 측 구조물과 결합되는 이동랙결합부(1024)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블럭(1022), 이동랙기어(1023) 및 어저스트 이동랙결합부(1024)는 이동랙바디(1021)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랙기어(1023)는 이동랙바디(102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랙기어(1023)는 스티어링기어(1040)과의 치합을 고려할 때, 이동랙바디(1021)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랙바디(1021)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블럭(1022)은 랙가이드(1012)에 삽입되어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블럭(1022) 및 랙가이드(1012)는 이동방향에 대해서는 걸림이 발생되지 않고, 이동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에 대해선 걸림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이드블럭(1022) 및 랙가이드(1012)는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일치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블럭(1022)이 상기 랙가이드(1012)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블럭(1022)은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1025)가 형성되고, 상기 랙가이드(1012)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025)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01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015) 및 가이드돌기(1025)는 이동방향(본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을 제외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걸림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홈(1015)이 가이드블럭(1022)에 배치되고, 가이드돌기(1025)가 랙가이드(1012)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어저스트 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각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에 배치된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와,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에 배치된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로 구분하겠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를 구성하는 부품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분하겠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상기 이동랙(1020)의 전진 또는 후진 시, 상기 스티어링바디(1010) 및 스티어링그릴(3450)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보정한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및 이동랙(1020)을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향 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및 이동랙(1020)의 상대 거리가 가변되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가 가변되는 거리차를 해소한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조향된 스트어링그릴(3450)을 지지하고, 조향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 및 이동랙(1020)의 상대변위 및 상대각도를 보정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조향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다관절구조를 통해 상기 상대변위 및 상대각도를 보정한다.
본 실시에에서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스티어링그릴(3450)의 배면에 조립되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와 조립되는 허브(10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허브(1080)에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이 결합된다.
상기 허브(1080)는,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되는 허브바디(1082)와, 상기 허브바디(1082)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과 끼움결합되는 허브끼움부(1084)와, 상기 허브바디(1082)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과 체결되는 허브체결부(1086)와, 상기 허브바디(1082)에 배치되고,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와 결합되는 제 1 어저스트 결합부(1088) 및 제 2 어저스트 결합부(108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는 상기 허브바디(1082)에 모두 조립된다. 상기 허브(1080)를 삭제하고, 상기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를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직접 조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에 따른 조립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가 허브(1080)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허브(1080)를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한다. 이 경우, 스티어링그릴(3450)과 무관하게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 및 허브(1080)를 조립된 상태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어저스트 어셈블리(3601) 및 제 2 어저스트 어셈블리(3602)가 조립된 허브(1080)를 스티어링그릴(3450)에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구조는 스티어링그릴(3450)의 교체가 필요할 때,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를 분해할 필요가 없고,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를 조립된 상태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3600)는, 상기 이동랙(1020)의 이동랙결합부(1024)에 결합되는 제 1 볼힌지(3610)와, 상기 허브(1080)의 어저스트 결합부(1088)(1089)에 결합되는 제 2 볼힌지(3620)과, 상기 제 1 볼힌지(3610) 및 제 2 볼힌지(36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힌지(3610)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 1 볼힌지(3610)와 상대 회전가능한 제 1 볼캡(3630)과, 상기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힌지(36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볼힌지(3620)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 2 볼힌지(3620)와 상대 회전가능한 제 2 볼캡(3640)과, 상기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캡(36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캡(3640)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볼캡(3630)을 상기 제 1 볼힌지(3610)로 밀착시키고, 상기 제 2 볼캡(3640)을 상기 제 2 볼힌지(3620)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3650)과, 상기 제 1 볼힌지(3610), 제 1 볼캡(3630), 탄성부재(3650), 제 2 볼캡(3640) 및 제 2 볼힌지(3620)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어저스트 결합부(1088)(1089)가 전방 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이동랙결합부(1024)가 후방 측으로 삽입되는 어저스트 하우징(366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3650)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다릴 다양한 형태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은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캡(36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캡(3640)에 끼워진 상태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제 1 볼캡(3630) 및 제 2 볼캡(3640) 사이에서 정위치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 및 제 2 볼힌지(3620)는 관절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 또는 제 2 볼힌지(3620)에서 상대회전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전체적인 형상이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상기 이동랙(1020)의 이동랙결합부(1024)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체결부재(3612)에 의해 상기 이동력결합부(1024)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재(3612)는 상기 제 1 볼힌지(36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상기 체결부재(3612)가 설치되는 제 1 홈(3611) 및 제 2 홈(3613)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3611) 및 제 2 홈(3613)은 전후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홈(3611) 및 제 2 홈(3613)은 동일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홈(3611)을 통해 체결부재(3612)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홈(3611)에 상기 체결부재(3612)의 헤드(3612a)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3612)의 헤드(3612a)가 제 1 볼힌지(3610) 외측면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홈(3611)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볼힌지(3610)를 관통하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홈(3613)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랙결합부(1024)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부재(3612)는 상기 제 1 볼힌지(3610)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랙결합부(1024)에 체결된다.
상기 제 2 볼힌지(3620)는 상기 제 1 볼힌지(3610)과 동일한 구조이다.
상기 제 2 볼힌지(3620)는 상기 체결부재(3622)가 설치되는 제 1 홈(3621) 및 제 2 홈(3623)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3621) 및 제 2 홈(3623)은 전후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홈(3621) 및 제 2 홈(3623)은 동일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홈(3621)을 통해 체결부재(3622)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홈(3621)에 상기 체결부재(3622)의 헤드(3622a)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3612)의 헤드(3622a)가 제 2 볼힌지(3620) 외측면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홈(3621)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볼힌지(3620)를 관통하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홈(3623)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어저스트 결합부(1088) 또는 제 2 어저스트 결합부(1089)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부재(3622)는 상기 제 2 볼힌지(3620)를 관통하여 상기 어저스트 결합부(1088) 또는 제 2 어저스트 결합부(1089)에 체결된다.
상기 제 1 볼캡(3630)은 상기 제 1 볼힌지(3610)의 제 1 홈(3611)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볼힌지(3610)의 외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 1 볼캡(3630)은 상기 제 1 볼힌지(3610)의 정면 방향 외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 1 볼캡(3630)은 상기 제 1 볼힌지(361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오목한 제 1 볼캡홈(3631)과, 상기 탄성부재(3650)에 끼워지는 제 1 볼캡돌기(363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볼캡홈(3631)에 상기 제 1 볼힌지(3610)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볼캡홈(3631)은 상기 제 1 볼힌지(3610)과의 마찰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상기 제 1 볼캡홈(3631)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볼캡돌기(3633)는 상기 탄성부재(3650) 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볼캡돌기(3633)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방 측(스티어링그릴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볼캡(3640)은 상기 제 1 볼캡(3630)과 동일한 구성이고, 방향이 반대이다.
상기 제 2 볼캡(3640)은 상기 제 2 볼힌지(3620)의 제 1 홈(3621)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볼힌지(3620)의 외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 2 볼캡(3640)은 상기 제 2 볼힌지(3620)의 후면 방향 외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 2 볼캡(3640)은 상기 제 2 볼힌지(362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오목한 제 2 볼캡홈(3641)과, 상기 탄성부재(3650)에 끼워지는 제 2 볼캡돌기(364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볼캡홈(3641)에 상기 제 2 볼힌지(3620)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볼캡홈(3641)은 상기 제 2 볼힌지(3620)과의 마찰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제 2 볼힌지(3620)는 상기 제 2 볼캡홈(3641)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볼캡돌기(3643)는 상기 탄성부재(3650) 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볼캡돌기(3643)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후방 측(이동랙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볼캡돌기(3633) 및 제 2 볼캡돌기(3643)는 일렬로 배치되고, 서로를 향해 돌출되고, 본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볼캡홈(3631) 및 제 2 볼캡홈(364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 1 볼캡홈(3631)이 후방 측을 향하게 배치되면, 제 2 볼캡홈(3641)은 전방 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은 상기 제 1 볼힌지(3610), 제 1 볼캡(3630), 탄성부재(3650), 제 2 볼캡(3640) 및 제 2 볼힌지(3620)가 수납된다.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의 후방 측에는 상기 이동랙결합부(1024)가 관통되는 제 1 삽입구(367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삽입구(3673)을 통해 상기 이동랙결합부(1024)가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 후방 측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의 전방 측에는 상기 제 1 어저스트 결합부(1088) 또는 제 2 어저스트 결합부(1089)가 관통되는 제 2 삽입구(3683)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삽입구(3683)을 통해 상기 제 1 어저스트 결합부(1088) 또는 제 2 어저스트 결합부(1089)가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 전방 측 내부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는 제 1 어저스트 하우징(3670) 및 제 2 어저스트 하우징(36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어저스트 하우징(3670) 및 제 2 어저스트 하우징(3680)의 조립을 통해, 상기 제 1 볼힌지(3610), 제 1 볼캡(3630), 탄성부재(3650), 제 2 볼캡(3640) 및 제 2 볼힌지(3620)를 내부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어저스트 하우징(3670)은 내부에 공간(AS1)이 형성된 제 1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72)와, 상기 제 1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72)의 후방 측(본 실시예에서 이동랙결합부(1024) 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AS1)과 연통되는 상기 제 1 삽입구(3673)와, 상기 제 1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72)의 전방 측(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그릴 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AS1)과 연통되는 제 1 개구면(3671)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어저스트 하우징(3680)은 내부에 공간(AS2)이 형성된 제 2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82)와, 상기 제 2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82)의 전방 측(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그릴 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AS2)과 연통되는 상기 제 2 삽입구(3683)와, 상기 제 2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82)의 후방 측(본 실시예에서 이동랙결합부(1024))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AS2)과 연통되는 제 2 개구면(368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저스트 하우징(3670) 및 제 2 어저스트 하우징(3680)는 나사결합되고, 이를 위해 어느 하나에 암나사산(3685)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수나사산(367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82) 내측면에 암나사산(3685)이 형성되고, 제 1 어저스트 하우징바디(3672)의 외측면에 수나나산(3675)가 형성된다.
상기 어저스트 하우징(3660) 내부에는 제 1 볼힌지(3610) 및 제 2 볼힌지(3620)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힌지(3610) 및 제 2 볼힌지(3620)는 각각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는 스티어링그릴(3450)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 2 볼힌지(3620)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107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가 결합된 이동랙결합부(1024)는 제 1 삽입구(3673) 내에서 소정 범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볼힌지(3620)가 결합된 어저스트 결합부(1088)(1089)는 제 2 삽입구(3683) 내에서 소정 범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볼힌지(3610) 및 제 2 볼힌지(3620)는 서로 무관하게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그릴(3450)의 틸팅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 도 26 내지 30을 참조하여 스티어링그릴의 조향에 대해 설명한다.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보다 전방으로 더 도출된 프로젝션 상태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젝션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방향이 조향된다.
프로젝션 상태일 때, 스티어링그릴(3450)의 전단(3452a)은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 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전단(3452a) 및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은 돌출길이 P를 형성한다. 즉, 상기 돌출길이 P는 스티어링그릴(3450)의 전후 방향 두께의 절반일 수 있다.
프로젝션 상태일 때,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외측면(3451) 중 절반은 정면토출구(201) 밖에 위치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정면토출구(201) 안쪽에 위치된다.
특히, 프로젝션 상태일 때,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외측면(3451) 중 가장 바깥쪽(3451a)은 정면토출구(201) 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와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젝션 상태일 때,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는 정면토출구(201)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프로젝션 상태일 때, 크로스액슬(1030)은 정면을 향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는 상기 중심축(C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는 상기 중심축(C1)의 좌측에 배치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는 상기 중심축(C1)에 대해 90도 사이각으로 배치한다.
이와 같은 배치는 스티어링그릴(3450)를 조향할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또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작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이동랙(1020)가 최대 전진 및 최대 후진 상태의 중간을 초기위치라고 정의한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또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각 이동랙(1020)은 프로젝션 상태일 때 초기위치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향각은 0 내지 15도로 형성된다.
스티어링그릴(3450)의 정면(본 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커버(3454))이 상기 중심축(C1)과 직교하거나 도어어셈블리(200)의 전면(200a)과 평행한 상태를 조향각 0으로 정의한다.
상기 이동랙(1020)이 전방 측 또는 후방측으로 최대 이동된 상태일 때, 조향각 15도를 형성한다.
제 1 스티어어링어셈블리(1001)를 예로 들면, 제 1 스티어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이 후방 측으로 최대이동되면, 스티어링그릴(3450)의 상측단이 후방측으로 조향되고, 스티어링그릴(3450)은 상측을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스티어링커버(3454)는 상기 중심축(C1)에 대해 15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랙(1020)의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향각이 제어될 수 있다.
스티어링그릴(3450)의 조향방향,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 및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이동랙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의 이동랙
좌향 초기위치 후진
우향 초기위치 전진
상향 후진 초기위치
하향 전진 초기위치
좌상향 후진 후진
좌하향 전진 후진
우상향 후진 전진
우하향 전진 전진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좌측으로 조향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만 작동시킨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초기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은 후진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좌측으로 회전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우측으로 조향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만 작동시킨다.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초기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은 전진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우측으로 회전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상측으로 조향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만 작동시킨다.
프로젝션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후진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은 초기위에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상측으로 회전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하측으로 조향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만 작동시킨다.
프로젝션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전진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은 초기위치에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하측으로 회전된다.
즉, 중심축(C1)에 대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향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또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 중 하나만을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중심축(C1)에 대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할 때에는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 및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을 모두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좌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할 때,
프로젝션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전진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은 후진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100)를 중심으로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좌하측으로 회전된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우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할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을 후진시키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을 전진시킨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좌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할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을 후진시키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을 후진시킨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을 중심축(C1)에 대해 우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할 때,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을 전진시키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을 전진시킨다.
도 3 내지 8은,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 또는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1020)의 최대 이동 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각 이동랙(1020)의 전진 또는 후진 거리를 조절하여, 조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각 조향상태에서 임의의 다른 조향상태로 전환될 때, 즉시 조향이 이루어진다.
도 3의 좌측 조향에서 도 8의 우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변경될 경우,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1001)의 이동랙(1020)은 초기위치에서 후진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1002)의 이동랙은 후진위치에서 전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어셈블리(1000)는 스티어링그릴(3450)을 현재 조향방향에서 목표 조향방향으로 즉시 조향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즉시 조향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의 타겟 영역이 실시간으로 변경되어도 상기 타겟 영역으로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모듈을 통해 재실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직접풍 추적모드가 선택된 경우, 재실자가 실내를 이동하더라도 재실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직접풍 회피모드가 선택된 경우, 목표온도 및 실내온도의 온도차가 큰 영역 중, 재실자가 있는 위치를 피해 직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캐비닛어셈블리 200 : 도어어셈블리
300 : 근거리팬 어셈블리 400 : 원거리팬 어셈블리
500 : 열교환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1000 : 스티어링어셈블리 1001 :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1002 :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 1100 : 조인트어셈블리
3400 : 팬하우징어셈블리 3410 : 리어팬하우징
3420 : 팬 3530 : 프론트팬하우징
3440 : 팬모터 3450 : 스티어링그릴
3460 : 로어가이드하우징 3470 : 액추에이터
3480 : 제 1 가이드레일 3490 : 제 2 가이드레일
3510 : 에어가이드 3520 : 어퍼가이드하우징
3530 : 제 1 에어가이드 브래킷 3540 : 제 2 에어가이드 브래킷
3600 : 어저스트 어셈블리 3610 : 제 1 볼힌지
3620 : 제 2 볼힌지 3630 : 제 1 볼캡
3640 : 제 2 볼캡 3650 : 탄성부재
3660 : 어저스트 하우징

Claims (20)

  1. 내부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S) 및 실내를 연통시키는 흡입구가 배치되는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정면토출구가 형성된 도어어셈블리;
    상기 정면토출구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상기 정면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스티어링그릴;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이 틸팅가능하게 조립되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 및 스티어링그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밀거나 당겨서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조향시키는 스티어링어셈블리;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그릴이 조향될 때,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전단은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보다 더 전방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정면토출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은 상기 정면토출구보다 직경이 작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면토출구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 상에 상기 스티어링그릴의 중심이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과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1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밀거나 당겨서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틸팅시키는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상기 스티어링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과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2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밀거나 당겨서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틸팅시키는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면토출구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및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는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면토출구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는 상기 중심축(C1)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는 상기 중심축(C1)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는,
    상기 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 후방에 위치되는 스티어링베이스;
    상기 스티어링베이스 및 스티어링그릴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인트어셈블리;
    상기 스티어링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과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1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상기 조인트어셈블리를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상기 스티어링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과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2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상기 조인트어셈블리를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어셈블리는 볼조인트이고,
    상기 볼조인트는 상기 스티어링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에서 상기 정면토출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과 상대회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어셈블리는,
    상기 스티어링그릴에 조립되는 제 1 조인트브래킷;
    상기 스티어링베이스에 조립되는 제 2 조인트브래킷;
    제 1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2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크로스액슬;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은 교차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은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은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은 90도로 교차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하 방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회전축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은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는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인트브래킷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 1-1 축지지부 및 제 1-2 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액슬의 제 1 회전축은,
    상기 제 1-1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1 회전축;
    상기 제 1-2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2 회전축;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1 축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1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1-1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1 축캡; 및
    상기 제 1-2 축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1-2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2 축캡;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인트브래킷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2-1 축지지부 및 제 2-2 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액슬의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2-1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1 회전축;
    상기 제 2-2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2 회전축;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2-1 축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1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2-1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1 축캡; 및
    상기 제 2-2 축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2-2 축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2 축캡;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정면토출구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에 상기 크로스액슬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은 90도로 교차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은,
    상기 팬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티어링바디;
    상기 스티어링바디에 조립되는 스티어링 액추에이터;
    상기 스티어링바디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바디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랙;
    상기 이동랙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어저스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랙의 이동에 의해, 상기 어저스트어셈블리가 상기 이동랙 또는 스티어링그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대회전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밀거나 당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액추에이터는 모터이고,
    상기 스티어링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랙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이동랙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랙가이드;
    상기 이동랙에 배치된 이동랙기어;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랙기어과 치합되고, 상기 스티어링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랙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티어링기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랙에 결합되는 제 1 볼힌지;
    상기 스티어링그릴에 결합되는 제 2 볼힌지;
    상기 제 1 볼힌지 및 제 2 볼힌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힌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 1 볼힌지와 상대 회전가능한 제 1 볼캡;
    상기 제 1 볼캡 및 제 2 볼힌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볼힌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 2 볼힌지와 상대 회전가능한 제 2 볼캡;
    상기 제 1 볼캡 및 제 2 볼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볼캡 및 제 2 볼캡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볼캡을 상기 제 1 볼힌지로 밀착시키고, 상기 제 2 볼캡을 상기 제 2 볼힌지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액추에이터의 작동 시, 상기 제 1 볼힌지 또는 제 2 볼힌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대회전이 발생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힌지, 제 1 볼캡, 탄성부재, 제 2 볼캡 및 제 2 볼힌지가 내부에 수용되는 어저스트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어셈블리는,
    상기 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그릴 후방에 위치되는 스티어링베이스;
    상기 스티어링베이스 및 스티어링그릴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인트어셈블리;
    상기 스티어링베이스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스티어링그릴과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1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상기 조인트어셈블리를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
    상기 스티어링베이스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스티어링그릴과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2 스티어링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밀거나 당기고, 상기 스티어링그릴을 상기 조인트어셈블리를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토출구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스티어링어셈블리는 상기 중심축(C1)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어셈블리는 상기 중심축(C1)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90017449A 2018-03-07 2019-02-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90106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78,138 US11852358B2 (en) 2018-03-07 2019-03-07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N201980017546.9A CN111886450B (zh) 2018-03-07 2019-03-07 空调的室内机
CN202210325285.0A CN114623495B (zh) 2018-03-07 2019-03-07 空调的室内机
CN202210325267.2A CN114508791B (zh) 2018-03-07 2019-03-07 空调的室内机
CN202210325269.1A CN114508792B (zh) 2018-03-07 2019-03-07 空调的室内机
CN202210325255.XA CN114508790B (zh) 2018-03-07 2019-03-07 空调的室内机
PCT/KR2019/002677 WO2019172691A1 (ko) 2018-03-07 2019-03-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8/387,338 US20240142117A1 (en) 2018-03-07 2023-11-06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US18/387,335 US20240068675A1 (en) 2018-03-07 2023-11-06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US18/387,340 US20240068676A1 (en) 2018-03-07 2023-11-06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US18/387,342 US20240068677A1 (en) 2018-03-07 2023-11-06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27005 2018-03-07
KR1020180027005 2018-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682A true KR20190106682A (ko) 2019-09-18

Family

ID=6807101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450A KR20190106683A (ko) 2018-03-07 2019-02-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90017449A KR20190106682A (ko) 2018-03-07 2019-02-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90026056A KR102235769B1 (ko) 2018-03-07 2019-03-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30097568A KR20230116764A (ko) 2018-03-07 2023-07-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450A KR20190106683A (ko) 2018-03-07 2019-02-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056A KR102235769B1 (ko) 2018-03-07 2019-03-07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30097568A KR20230116764A (ko) 2018-03-07 2023-07-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953214B2 (ko)
KR (4) KR20190106683A (ko)
CN (4) CN1118864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3206A (zh) * 2018-03-16 2022-04-22 Lg电子株式会社 空调设备的室内机
US11680580B2 (en) * 2018-11-22 2023-06-20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xial-flow impeller and air-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220081615A (ko) * 2020-12-09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20091809A (ko) * 2020-12-24 2022-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4811720B (zh) * 2021-01-22 2023-11-17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室内机
EP4286753A4 (en) * 2021-02-08 2024-06-19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TREATMENT DEVICE AND AIR CONDITIONER
CN112984639B (zh) * 2021-02-09 2022-04-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柜机和空调室内柜机的控制方法
DE102021104615A1 (de) 2021-02-26 2022-09-0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orrichtung zum Durchströmen einer Komponente einer Klimaanlage oder einer Heizanlage, Schutzgitter und Wärmepumpen-Außeneinheit
CN112984762A (zh) * 2021-04-12 2021-06-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出风调节装置及下出风空调
CN115540306A (zh) * 2022-09-15 2022-12-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送风结构、室内机和空调器
CN115523650B (zh) * 2022-11-24 2023-03-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的送风控制方法、空调室内机、空调器、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413B1 (ko) 2009-08-18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170010293A (ko)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7494A (en) * 1936-05-18 1936-10-13 Hart & Cooley Mfg Company Adjustable directional grille
DE3510278A1 (de) * 1985-03-21 1986-09-2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Belueftungsvorrichtung in kraftfahrzeugen
KR0125750B1 (ko) 1993-12-16 1998-04-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방법
US5461875A (en) 1993-06-24 1995-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outlet opening/closing apparatus of air-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384978U (en) 1995-02-17 2000-03-11 Sanyo Electric Co An outdoor unit for use in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JP2764711B2 (ja) 1996-07-10 1998-06-11 株式会社オーデン 空気清浄機
JP3637705B2 (ja) 1996-11-26 2005-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吹出構造
US6184073B1 (en) 1997-12-23 2001-02-06 Motorola, Inc. Process for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interconnect or conductive film electrically insulated from a conductive member or region
DE29916321U1 (de) 1999-09-16 1999-12-23 M & W Zander Facility Eng Gmbh Reinstlufteinrichtung für den Pharmazie-, Lebensmittel- und biotechnischen Bereich
KR100458468B1 (ko) 2002-11-20 2004-11-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의 슬라이딩도어 구동장치
DE10335499B3 (de) 2003-07-31 2004-11-25 Alstom Power Boiler Gmbh Montageverfahren für einen Dampferzeuger
CN1755206A (zh) 2004-09-30 2006-04-0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室内机前面面板的开闭结构
CN100337063C (zh) * 2004-11-29 2007-09-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扩散器的空调器室内机
KR100809784B1 (ko) 2006-05-20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횡류팬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N101078553A (zh) 2006-05-25 2007-11-2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吸入格栅安装结构
CN101086353B (zh) 2006-06-07 2010-05-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窗式空调器的前面格栅装配结构
CN101113831A (zh) 2006-07-28 2008-01-30 邬明晖 室内自然风***
US20100041327A1 (en) * 2006-12-29 2010-02-18 Stulz Air Technology System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using fans located under flooring
KR101345265B1 (ko) 2007-10-29 2013-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1464040A (zh) 2007-12-19 2009-06-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吊顶式空调器自动升降回风隔栅装置
CN101576286A (zh) 2008-05-09 2009-11-1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
CN101639278A (zh) 2008-07-29 2010-02-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柜式空调室内机出风导流片结构
KR20100086314A (ko) 2009-01-22 201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191415B1 (ko) 2009-09-01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1191417B1 (ko) * 2009-09-16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다방향 토출형 에어컨
KR101727915B1 (ko) * 2010-12-09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09587B1 (ko) 2011-04-02 2017-02-23 김선응 에어컨용 바람 안내장치
KR20130043983A (ko)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DE102012203573A1 (de) 2012-03-07 2013-09-12 Yit Germany Gmbh Vorrichtung zur Heizung und/oder Kühlung eines Raums
KR20140012437A (ko) * 2012-07-20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40019106A (ko) 2012-08-03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9395100B2 (en) 2012-12-06 2016-07-19 Twin-Star International, Inc. Low air resistance infrared heating system and method
JP5678953B2 (ja) * 2012-12-28 2015-03-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WO2014136286A1 (ja) 2013-03-04 2014-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CN203785203U (zh) * 2013-03-04 2014-08-20 三菱电机株式会社 送风机以及使用该送风机的空气调节机
CN203375535U (zh) 2013-05-31 2014-01-0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03486647A (zh) 2013-09-24 2014-01-01 苏州赛斯德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取暖器过滤装置
CN104515284B (zh) 2013-09-27 2017-05-31 海尔集团公司 具有旋转出风结构的空调器
KR101561738B1 (ko) 2013-11-14 2015-10-20 이재부 하우스 환풍기
KR102203935B1 (ko) * 2014-01-08 2021-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구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5333494A (zh) 2014-06-30 2016-02-1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US9951791B2 (en) 2014-08-04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04329786B (zh) * 2014-09-18 2018-04-2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气处理***的顶盖
RU2711316C2 (ru) 2014-10-23 2020-01-16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101533325B1 (ko) 2014-11-18 2015-07-03 구기승 천정 카세트 에어컨 부착용 다익 확산 팬 조립체
CN104697144B (zh) 2015-03-12 2017-1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导风机构和空调器室内机
CN104748339B (zh) 2015-03-12 2017-07-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KR101840697B1 (ko) * 2015-07-17 2018-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41386B1 (ko) 2015-07-17 202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5588194B (zh) 2015-08-28 2019-02-05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可旋转送风的空调器
CN105318433B (zh) 2015-11-10 2019-03-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KR101769822B1 (ko) * 2016-01-14 2017-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31643B1 (ko) * 2016-01-15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7036161B (zh) 2016-02-04 2020-10-13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空调转向机构及空调
JP2017144898A (ja) 2016-02-17 2017-08-24 豊和化成株式会社 丸型レジスタ
CN105783226B (zh) 2016-03-15 2019-04-1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空调出风结构及具有其的移动空调
CN205897475U (zh) 2016-08-18 2017-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滑动门组件和空调器
KR20180023235A (ko) *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건조기의 제어 방법
CN106152459B (zh) 2016-08-31 2020-05-22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766059B (zh) 2016-12-23 2019-08-16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器的门体驱动机构及空调器
CN106871235B (zh) * 2017-01-10 2020-09-18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吊顶空调机
CN107023887B (zh) 2017-03-16 2019-07-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JP6770219B2 (ja) * 2017-03-31 2020-10-14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CN206929869U (zh) 2017-06-04 2018-01-26 深圳市人和智生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风向可控的空调***
CN107218663A (zh) 2017-07-11 2017-09-29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柜机
CN107525126B (zh) 2017-07-14 2020-08-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7388369B (zh) 2017-07-31 2020-05-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及其控制方法
KR102404660B1 (ko) * 2017-09-01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CN107327966A (zh) 2017-09-07 2017-11-07 湖南心镜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负离子空气净化设备
CN108194987A (zh) * 2018-01-12 2018-06-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
CN115200086A (zh) 2018-03-07 2022-10-18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室内机
CN108709247A (zh) * 2018-07-06 2018-10-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413B1 (ko) 2009-08-18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170010293A (ko)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25601A1 (en) 2021-01-28
KR20190106683A (ko) 2019-09-18
US11852358B2 (en) 2023-12-26
KR20230116764A (ko) 2023-08-04
CN115289534A (zh) 2022-11-04
KR102235769B1 (ko) 2021-04-02
US20210018186A1 (en) 2021-01-21
US20210095886A1 (en) 2021-04-01
CN115289535A (zh) 2022-11-04
US11953214B2 (en) 2024-04-09
CN111886451B (zh) 2022-07-12
CN111819396B (zh) 2022-08-19
KR20190106776A (ko) 2019-09-18
CN111886451A (zh) 2020-11-03
CN111819396A (zh)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668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6073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5234977B (zh) 空调的室内机
CN112119262B (zh) 空调机的室内装置
KR102561739B1 (ko) 공기조화기
KR1022823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079900A (ko) 공기조화기
CN114508790B (zh) 空调的室内机
KR10239700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77571B1 (ko) 팬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