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161A -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161A
KR20190104161A KR1020197020749A KR20197020749A KR20190104161A KR 20190104161 A KR20190104161 A KR 20190104161A KR 1020197020749 A KR1020197020749 A KR 1020197020749A KR 20197020749 A KR20197020749 A KR 20197020749A KR 20190104161 A KR20190104161 A KR 20190104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s
coil
magnet
lens
shake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168B1 (ko
Inventor
유린 장
마사요시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6Focusing binocular pai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한다. 렌즈 구동장치의 떨림 보정용 코일부와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의 조(組)는, 인접하는 제1의 변 및 제2의 변을 따라서 배치되고, 오토 포커스 가동부는, 광축 방향을 따르는 중심 축에 대해서 편심(偏心) 상태로 배치된다. 떨림 보정 고정부는, 제1의 변 및 제2의 변에 배치되어, 떨림 보정용 코일부의 급전용 배선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를 가진다.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본 발명은, 떨림 보정용의 렌즈 구동장치, 떨림 보정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는,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핀트맞추기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하 「AF기능」 이라고 부름, AF:Auto Focus) 및 촬영시에 생기는 떨림(진동)을 광학적으로 보정하여 화상의 왜곡을 경감시키는 떨림 보정 기능(이하「OIS 기능」이라고 부름,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을 가지는 렌즈 구동장치가 적용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오토 포커스 기능 및 떨림 보정 기능을 가지는 렌즈 구동장치는, 렌즈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이하 「AF용 구동부」라고 부름)와, 렌즈부를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요동(搖動)시키기 위한 떨림 보정용 구동부(이하 「OIS용 구동부」라고 부름)를 구비한다.
AF용 구동부는, 예를 들면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이하 「AF용 코일부」라고 부름)와, AF용 코일부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이간(離間)해서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이하 「AF용 마그넷부」라고 부름)와, 예를 들면 AF용 마그넷부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고정부(이하 「AF고정부」라고 부름)에 대해서 렌즈부 및 AF용 코일부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가동부(이하 「AF가동부」라고 부름)를 탄성 지지(彈性支持)하는 탄성 지지부(예를 들면 판 스프링)를 가진다. AF용 코일부와 AF용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AF고정부에 대해서 AF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맞추기가 행해진다. 또한, AF고정부가 AF용 코일부를 포함하고, AF가동부가 AF용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OIS용 구동부는, 예를 들면 AF용 구동부에 배치되는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이하「OIS용 마그넷부」라고 부름)와, OIS용 마그넷부에 대해서 이간해서 배치되는 떨림 보정용 코일부(이하「OIS용 코일부」라고 부름)와, OIS용 코일부를 포함하는 떨림 보정 고정부(이하「OIS 고정부」라고 부름)에 대해서 AF용 구동부 및 OIS용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떨림 보정 가동부(이하 「OIS 가동부」라고 부름)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진다. OIS용 마그넷부와 OIS용 코일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OIS 고정부에 대해서 OIS 가동부를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요동시킴으로써, 떨림 보정이 행해진다(이른바 배럴 시프트 방식). OIS용 마그넷부는, AF용 마그넷부와 겸용으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렌즈 구동장치의 소형화,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OIS 고정부에 대해서 OIS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는, 예를 들면 서스펜션 와이어가 적용된다.
특허 문헌 1: 특개 2013-24938호 공보
최근에는, 복수(전형적으로는 2개)의 렌즈 구동장치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의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이른바 듀얼 카메라). 듀얼 카메라는, 초점거리가 다른 2매의 화상을 동시에 촬상(撮像)할 수 있거나 정지화상과 동화상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거나 하는 등, 이용 씬에 따라 여러가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듀얼 카메라의 경우, 싱글 카메라와 비교하여 사이즈가 커지므로, 제품화하는데 있어서, 렌즈 구동장치의 더한층의 소형화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카메라의 용도에 매우 적합한 렌즈 구동장치, 이것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평면시(平面視)에서 구형상(矩形狀)을 가지는 렌즈 구동장치이며,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와, 상기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로부터 이간해서 배치되는 떨림 보정용 코일부와, 상기 떨림 보정용 코일부를 포함한 떨림 보정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를 포함한 떨림 보정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간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떨림 보정용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떨림 보정용 코일부와 상기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떨림 보정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떨림 보정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떨림 보정 가동부를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요동시킴으로써 떨림 보정을 행하는 떨림 보정용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떨림 보정 가동부는, 상기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지지하는 오토 포커스용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오토 포커스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맞추기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떨림 보정용 코일부와 상기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의 조(組)는, 인접하는 제1의 변 및 제2의 변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는, 광축 방향을 따르는 중심 축에 대해 편심(偏心)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떨림 보정 고정부는, 상기 제1의 변 및 상기 제2의 변에 배치되어, 상기 떨림 보정용 코일부의 급전(給電)용 배선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의 렌즈 구동장치로 되어있는 제1의 렌즈 구동장치 및 제2의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제1의 렌즈 구동장치 및 상기 제2의 렌즈 구동장치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렌즈 구동장치 및 상기 제2의 렌즈 구동장치는, 양자의 사이에 상기 접속 단자부가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90о 회전시킨 위치 관계로 병설(竝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탑재 장치는, 정보 기기 또는 수송 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이며,
상기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카메라의 용도에 매우 적합한 렌즈 구동장치, 이것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가 제공된다.
도1A, 도1B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배면 카메라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A는, 배면 카메라를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3B는, 배면 카메라를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4는,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A는, 렌즈 구동장치의 평면도, 도5B는, 렌즈 구동장치의 정면도, 도5C는, 렌즈 구동장치의 배면도, 도5D는, 렌즈 구동장치의 좌측면도, 도5E는, 렌즈 구동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6은, 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OIS 가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8A는, AF용 지지부와 AF가동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8B는, AF용 지지부와 AF가동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8C는, AF용 지지부와 AF가동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8D는, AF용 지지부와 AF가동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8E는, AF용 지지부와 AF가동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9A, 도9B는, AF용 지지부와 AF가동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A, 도10B는, OIS용 지지부(제1의 측부 지지체)의 굴곡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A, 도11B는, OIS용 지지부(제2의 측부 지지체)의 굴곡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A, 도12B는, AF용 지지부(암(arm))의 굴곡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배면 카메라에 있어서의 마그넷부 및 접속 단자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OIS용 코일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A, 도15B는, 변형예에 따른 OIS용 코일부에서 발생하는 자속과 XY위치 검출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A, 도16B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의 자동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A, 도 1 B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CM1, CM2)을 탑재하는 스마트폰(M)(카메라 탑재 장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A는 스마트폰(M)의 정면도이고, 도1B는 스마트폰(M)의 배면도이다.
도1A, 도1B에 나타내는 것처럼, 스마트폰(M)은, 배면 카메라(OC)로서 2개의 카메라 모듈(CM1, CM2)을 병설한 듀얼 카메라를 가진다. 카메라 모듈(CM1, CM2)은, 각각 오토 포커스 기능 및 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핀트맞추기를 자동적으로 행함과 동시에, 촬영시에 생기는 떨림(진동)을 보정하여 상 떨림이 없는 화상을 촬영한다.
도2는, 배면 카메라(OC)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A는, 배면 카메라(OC)를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3B는, 배면 카메라(OC)를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2, 도3A 및 도3B에 나타내는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좌표계(X, Y, Z)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후술하는 도면에 있어서도 공통의 직교좌표계(X, Y, Z)로 나타내고 있다. 배면 카메라(OC)는, 스마트폰(M)으로 실제로 촬영이 행해질 경우에, X방향이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 Y방향이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 Z방향이 전후방향이 되도록 탑재된다. 즉, Z방향이 광축 방향이고, 도면 중의 상측이 광축 방향 수광측(「매크로 위치측」이라고도 말함), 하측이 광축 방향 결상측(「무한원 위치측」이라고도 말함)이 된다. 또,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X방향 및 Y방향을 「광축 직교 방향」이라고 부른다.
배면 카메라(OC)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CM1, CM2)은, 동일 구조를 가진다. 카메라 모듈(CM1, CM2)은,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90о 회전시킨 위치 관계로 배치된다. 도3A, 도3B에서는, 카메라 모듈(CM1, CM2)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편의상, 광축 방향 수광측의 면 및 광축 방향 결상측의 면에 기준점(흑점)을 붙여 놓았다.
도 4는, 카메라 모듈(CM1, CM2)의 분해 사시도이다.
카메라 모듈(CM1, CM2)은, 각각, 원통 형상의 렌즈 배럴에 렌즈가 수용되어 되어있는 렌즈부(2), AF용 및 OIS용의 렌즈 구동장치(1), 렌즈부(2)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도면표시 생략), 및 전체를 덮는 커버(3) 등을 구비한다. 이하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CM1, CM2)의 렌즈 구동장치(1) 및 렌즈부(2)를 구별할 경우는, 「제1의 렌즈 구동장치(1A)」, 「제1의 렌즈부(2A)」, 「제2의 렌즈 구동장치(1B)」, 「제2의 렌즈부(2B)」라고 부른다.
커버(3)는, 광축 방향에서 본 평면시에서 구형상(矩形狀)(여기서는 정방형상)의 유개(有蓋) 사각통체이며, 상면에 원형의 개구(開口)(3a)를 가진다. 개구(3a)는, 커버(3)의 중심축(커버3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는 광축 방향에 평행적인 축), 즉 카메라 모듈(CM1, CM2)의 중심축(카메라 모듈 CM1, CM2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는 광축 방향에 평행적인 축)에 대해서 편심(偏心)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개구(3a)로부터 렌즈부(2)가 외부(外部)에 임한다. 커버(3)는, 렌즈 구동장치(1)의 OIS 고정부(20)(도5A~도5E참조)의 베이스(23)에 고정된다. 또한, 커버(3)는, 도전성(導電性)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OIS 고정부(20)를 경유하여 접지되도록 해도 좋다.
촬상부(도면표시 생략)는, 촬상 소자(도면표시 생략)를 가지고, 렌즈 구동장치(1)의 광축 방향 결상측, 즉 OIS 고정부(20)의 광축 방향 결상 측에 배치된다. 촬상 소자(도면표시 생략)는, 예를 들면 CCD(charge-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된다. 촬상 소자(도면표시 생략)는, 렌즈부(2)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고,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도5A~도5E는, 렌즈 구동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A는 평면도, 도5B는 정면도, 도5C는 배면도, 도5D는 좌측면도, 도5E는 우측면도이다. 도5A~도5E 중, 도5A에만 좌표축을 나타내고 있다. 도6은, 렌즈 구동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A~도5E, 도6에 나타내는 것처럼, 렌즈 구동장치(1)는, OIS 가동부(10), OIS 고정부(20), 및 OIS용 지지부(30) 등을 구비하고, 평면시에서 구형상(여기서는 정방형상)을 가진다. 렌즈 구동장치(1)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는 광축 방향에 평행적인 축을 「렌즈 구동장치(1)의 중심축」이라고 부른다. 전술한 커버(3)의 중심축, 카메라 모듈(CM1, CM2)의 중심축, 후술하는 마그넷 홀더(121)의 중심축, 및 베이스(22)의 중심축은, 렌즈 구동장치(1)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OIS 가동부(10)는,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OIS용 마그넷부를 가지고, 떨림 보정시에, 광축에 직교하는 광축 직교면내에서 요동하는 부분이다. OIS 고정부(20)는,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OIS용 코일부를 가지고, OIS용 지지부(30)를 경유하여 OIS 가동부(1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즉,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의 OIS용 구동부에는, 무빙 마그넷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OIS 가동부(10)는, AF용 구동부를 포함한다. OIS 가동부(10)는,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OIS 고정부(20)에 대해서 이간해서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OIS 가동부(10)는, OIS 고정부(20)에 대해서 광축 방향 수광측에 이간해서 배치된다.
OIS용 지지부(30)는, OIS 고정부(20)와 OIS 가동부(10)를 연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OIS용 지지부(30)로서, 종래의 서스펜션 와이어가 아니라, 일래스토머의 탄성을 이용한 링크 부재를 채용하고 있다(이하 「OIS용 링크 부재(30)」라고 부른다). 일래스토머란, 고무상(rubber狀)의 탄성체이며, 열강화성 일래스토머(고무) 및 열가소성 일래스토머(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를 포함한다.
도5A~도5E, 도6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용 링크 부재(30)는, 상부 틀(33), 1제1의 측부 지지체(31), 및 제2의 측부 지지체(32)를 가진다. 또한, 제1의 측부 지지체(31)와 제2의 측부 지지체에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측부 지지체(31, 32)」로서 설명한다.
상부 틀(33)은, 평면시에서 구형상(여기서는 정방형상)의 틀이며, OIS 고정부(20)의 베이스(22)와 광축 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된다. 상부 틀(33)은, 강성(剛性)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 상부 틀(33)에는, 금속재료 또는 수지 재료를 적용할 수 있지만, 경량화의 관점에서 수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부 틀(33)에는, 액정 폴리머(LCP 수지)가 매우 적합하다. 상부 틀(33)을 액정 폴리머로 형성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OIS 가동부(10)의 자중(自重)에 의한 가라앉음을 방지할 수 있어, 양호한 틸트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측부 지지체(31, 32)는, 일래스토머 재료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측부 지지체(31, 32)가 파손할 위험성은, OIS용 지지부로서 서스펜션 와이어를 적용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극히 낮아진다. 따라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렌즈 구동장치(1)의 OIS용 구동부의 감도(이하 「OIS 감도」라고 부름)를 높일 수 있다. 또, 일래스토머의 감쇠력을 이용해 OIS용 구동부의 1차 공진(共振)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서스펜션 와이어를 적용했을 경우에 행해지고 있던 댐퍼재를 도포하는 공정은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 작업이 용이화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한다.
일래스토머 재료로서는, 용수철 정수를 작게 설계할 수 있고, 그러면서 또 사출 성형을 할 수 있는 양산성(量産性) 높은 열가소성 일래스토머(예를 들면 폴리에스텔계 일래스토머)가 매우 적합하다. 폴리에스텔계 일래스토머는, 내열성 및 저온 특성이 뛰어나,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비교적 안정된 유연성을 가진다.
측부 지지체(31, 32)는, OIS 가동부(10)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기둥 모양의 부재이다. 상부 틀(33)의 4변의 각각에 있어서, 제1의 측부 지지체(31) 또는 제2의 측부 지지체(32)가 2개씩 배치된다. 또한, 측부 지지체(31, 32)는, OIS 가동부의 측면을 덮는 판상(板狀) 부재이어도 좋다. 측부 지지체(31, 32)는, 2개의 축을 중심으로 굴곡함으로써, OIS 가동부(10)의 광축 직교면내에 있어서의 평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2축 힌지(hinge)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의 측부 지지체(31)는, 주위보다 얇게 형성되어, Y방향을 축으로 하는 2개의 Y힌지부(31a, 31b)를 가진다. 여기서는, Y힌지부(31a, 31b)는, 제1의 측부 지지체(31)의 외면(外面)에 형성된 힌지 홈(溝)으로 구성된다.
제2의 측부 지지체(32)는, 제1의 측부 지지체(3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즉, 제2의 측부 지지체(32)는, 주위보다 얇게 형성되어, X방향으로 늘어나는 2개의 X힌지부(32a, 32b)를 가진다. 여기에서는, X힌지부(32a, 32b)는, 제2의 측부 지지체(32)의 외면에 형성된 힌지 홈으로 구성된다.
제1의 측부 지지체(31) 및 제2의 측부 지지체(32)에 있어서의 힌지 홈의 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R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떨림 보정시에 반복해서 행해지는 굴곡 동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한다.
제1의 측부 지지체(31)는, 상부 틀(33)의 Y방향을 따르는 2변의 각각의 단부에 매달아(hanging) 설치된다. 제1의 측부 지지체(31)의 한쪽의 단부는 상부 틀(33)에 고정되고, 다른쪽 단부는 OIS 가동부(10)(여기에서는 마그넷 홀더121)에 고정된다. 제2의 측부 지지체(32)는, 상부 틀(33)의 X방향을 따르는 2변의 각각의 단부에 매달아 설치된다. 제2의 측부 지지체(32)의 한쪽의 단부는 상부 틀(33)에 고정되고, 다른쪽의 단부는 OIS 고정부(20)(여기에서는 베이스22)에 고정된다.
OIS용 링크 부재(30)의 상부 틀(33)은, 제2의 측부 지지체(32)에 의해서 OIS 고정부(20)의 광축 방향 수광측에 가설(架設)된 상태가 된다. 또, OIS 가동부(10)는, 제1의 측부 지지체(31)에 의해서 상부 틀(33)에 매달아 설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OIS 가동부(10)가 Y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제2의 측부 지지체(32)만이 탄성변형하고, 제1의 측부 지지체(31)는 탄성변형 하지 않는다. 한편, OIS 가동부(10)가 X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제1의 측부 지지체(31)만이 탄성변형하고, 제2의 측부 지지체(32)는 탄성변형 하지 않는다. 즉, OIS 가동부(10)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독립해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OIS용 지지부(30)는, 광축 방향에 있어서 OIS 고정부(20)와 대향해서 배치되는 상부 틀(33)과, X방향(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1의 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되어, 각각이 상부 틀(33)과 OIS 가동부(10)를 연결하는 제1의 측부 지지체(31)와, Y방향(광축 방향 및 제1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되어, 각각이 상부 틀(33)과 OIS 고정부(20)를 연결하는 제2의 측부 지지체(32)를 가진다. 제1의 측부 지지체(31)는, 주위보다 얇게 형성되어 Y방향을 축으로 하는 2개의 Y힌지부(31a, 31b)를 가지고, OIS 가동부(10)의 X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2개의 Y힌지부(31a, 31b)에 있어서의 굴곡 방향이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굴곡한다(도10A, 도10B참조). 제2의 측부 지지체(32)는, 주위보다 얇게 형성되어 X방향을 축으로 하는 2개의 X힌지부(32a, 32b)를 가지고, OIS 가동부(10)의 Y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2개의 X힌지부(32a, 32b)에 있어서의 굴곡 방향이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굴곡한다(도11A, 도11B참조).
종래와 같이 OIS용 지지부를 서스펜션 와이어로 구성했을 경우, OIS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서스펜션 와이어의 선경(線徑)은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서스펜션 와이어의 선경이 가늘어지면, 낙하 등의 충격을 받았을 때에 파단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또, 서스펜션 와이어가 휘기 쉬워져서 OIS 가동부가 평행이동 할 수 없게 되기(렌즈부가 기운다) 때문에, 떨림 보정시의 틸트 특성이 저하한다. 틸트 특성이란, 떨림 보정시의 OIS 가동부의 평행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OIS 가동부의 이동에 수반하는 렌즈부의 기울기각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서스펜션 와이어의 선경을 가늘게 하여OIS 감도를 높이려고 하면, 렌즈 구동장치의 신뢰성이 손상된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OIS용 지지부(30)로서, 일래스토머의 탄성을 이용한 기계적 힌지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OIS 가동부(10)의 평행도가 확보되므로, 틸트 특성이 향상한다. 또,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서, OIS용 지지부(30)이 파손할 위험성은 극히 낮아져서, AF가동부(11)가 받는 공진의 영향을 현격히 저감시킬 수도 있다. 또, OIS 가동부(10)를 작은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7은, OIS 가동부(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8A~도8E는, AF용 지지부(13)와 AF가동부(11)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A는 평면도, 도8B는 정면도, 도8C는 배면도, 도8D는 좌측면도, 도8E는 우측면도이다. 도8A~도8E 중, 도8A에만 좌표축을 나타내고 있다. 도9A, 도9B는, AF용 지지부(13)와 AF가동부(11)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 도8A~도8E 및 도9A, 도9B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 가동부(10)는, AF가동부(11), AF고정부(12), 및 AF용 지지부(13) 등을 구비한다. AF가동부(11)는, AF고정부(12)에 대해서 지름 방향 내측에 이간해서 배치되어, AF용 지지부(13)에 의해서 AF고정부(12)와 연결된다.
AF가동부(11)는,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AF용 코일부(112)를 가지고, 핀트맞추기시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AF고정부(12)는,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AF용 마그넷부(122A)를 가지고, AF용 지지부(13)를 경유하여 AF가동부(11)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즉, 렌즈 구동장치(1)의 AF용 구동부에는, 무빙 코일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AF가동부(11)는, 렌즈 홀더(111), AF용 코일부(112), AF용 위치 검출부(113) 및 FPC(114)(FPC:Flexible printed circuits)를 가진다.
렌즈 홀더(111)는, 렌즈부(2)가 접착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형의 렌즈 수용부(111a)를 가진다. 렌즈 홀더(111)는, X방향을 따르는 측면에, AF용 코일부(112)가 배치되는 코일 부착부(111b)를 가진다. 또, 렌즈 홀더(111)는, Y방향을 따르는 2개의 측면에, 링크 부착부(111c)를 가진다.
AF용 코일부(112)는, 핀트맞추기시에 통전되는 공심 코일이며, 렌즈 홀더(111)의 코일 부착부(111b)에 권선(卷線)된다. AF용 코일부(112)의 코일의 양단은, FPC(114)에 접속된다. AF용 코일부(112)는, 타원 형상을 가지고, 코일면이 광축과 평행이 되도록, 여기에서는 XZ면이 코일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AF용 코일부(112)는, 마그넷부(122)(제1의 마그넷122A)에 대향한다.
FPC(114)는, AF용 위치 검출부(113)가 실장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다. FPC(114)는, 렌즈 홀더(111)의 광축 방향 결상측에 배치되는 평면부(114a)와, 평면부(114a)로부터 시작하여 U자 모양으로 굴곡하여, 렌즈 홀더(111)의 코일 부착부(111b)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센서 부착부(114b)를 가진다. FPC(114)의 평면부(114a)는, 렌즈 홀더(111) 로부터 외측으로 연재(延在:한방향으로 길게 늘어나 있음)하여, 베이스(11)의 FPC 부착부(22b)에 배치된다. 평면부(114a)에는, OIS용 코일부(21)를 구성하는 제1의 OIS 코일(21A)이 배치된다.
FPC(114)는, AF용 코일부(112), AF용 위치 검출부(113) 및 제1의 OIS 코일(21A)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 라인(도면표시 생략), 및 AF용 위치 검출부(11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용의 신호 라인(도면표시 생략) 등을 가진다. 평면부(114a)의 단부는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 굴곡해 있고, 이 부분에 접속 단자(114c)(여기서는 8 핀)가 설치된다.
AF용 위치 검출부(113)는, 예를 들면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계를 검출하는 홀 소자이다(이하 「AF용 홀 소자(113)」라고 부른다). AF용 홀 소자(113)는, 주로 제1의 마그넷(122A)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계를 검출한다. AF용 홀 소자(113)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AF가동부(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AF용 홀 소자(113)는, 클로즈드 루프 제어에 의해 핀트맞추기를 행할 때에 이용된다. AF용 홀 소자(113)는, FPC(114)의 센서 부착부(114b)에 실장(實裝)된다.
이와 같이, AF가동부(11)는, 암(arm)(412)의 연재(延在) 방향과 교차하는 면(도면에서는 XZ면)에 배치되어, 자계의 변화를 기초로, AF가동부(11)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AF용 홀 소자(113)(AF용 위치 검출부)를 가진다. 또한, 제1의 마그넷(122A)과는 별도로, 위치 검출용 자석을 AF고정부(12)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F고정부(12)에 한쪽 고정(cantilever) 상태로 장착되는 AF용 지지부(13)에 의해, AF가동부(11)는 지지된다. 이 경우, AF용 지지부(13)의 암(412)의 연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진동(공진)이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암(412)의 연재 방향을 따르는 면(도면에서는 YZ면)에 AF용 홀 소자(113)를 배치하면, 공진에 의한 위치 틀어짐의 영향을 받기 쉬워, AF용 홀 소자(113)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412)의 연재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AF용 홀 소자(113)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AF용 홀 소자(113)는, 공진에 의한 위치 틀어짐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높은 검출 정밀도로 AF가동부(11)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AF고정부(12)는, 마그넷 홀더(121) 및 마그넷부(122)를 가진다.
마그넷부(122)는, 제1의 마그넷(122A) 및 제2의 마그넷(122B)를 가진다. 제1의 마그넷(122A) 및 제2의 마그넷(122B)은, 양면 4극의 직방체상의 영구자석(부호 생략)이다. 즉, 제1의 마그넷(122A) 및 제2의 마그넷(122B)에 있어서는, 6면 전부에 있어서, N극과 S극이 등분으로 나타나 있다. 제1의 마그넷(122A)은, AF용 코일부(112)에 대향하도록, X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제2의 마그넷(122B)은 Y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AF용 코일부(112)에 있어서의 2개의 장변 부분을 Y방향으로 횡단하는 자계가,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AF용 코일부(112) 및 제1의 마그넷(122A)의 크기나 위치가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AF용 코일부(112)에 통전이 행해졌을 때, AF용 코일부(122)의 2개의 장변 부분에는, Z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의 로렌트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제1의 마그넷(122A)(AF용 마그넷부)은, 양면 4극의 직방체 형상을 가지고, X방향(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1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AF용 코일부(112)는, 타원 형상을 가지고, 코일면이 제1의 마그넷(122A)에 대향함과 동시에, 2개의 장변 부분을 제1의 마그넷(122A)으로부터의 자속이 역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제1의 마그넷(122A)과 AF용 코일부(112)에 의해서,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가 구성된다. 또, 제1의 마그넷(122A) 및 제2의 마그넷(122B)과 OIS용 코일부(21)에 의해서,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가 구성된다. 즉, 제1의 마그넷(122A)은, AF용 마그넷부와 OIS용 마그넷부를 겸용한다.
제1의 마그넷(122A) 및 제2의 마그넷(122B)은, 광축 직교면내에 있어서의 OIS 가동부(10)의 위치 검출에 이용된다. 또, 제1의 마그넷(122A)은,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AF가동부(11)의 위치 검출에 이용된다. 또한, 제1의 마그넷(122A) 및 제2의 마그넷(122B)과는 별도로, AF고정부(12)(OIS 가동부10)에 위치 검출용의 마그넷을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마그넷 홀더(121)는, AF가동부(11)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평면시에서 거의 정방형의 사각통체이다. 마그넷 홀더(121)는, X방향을 따르는 한쪽의 측벽에 마그넷 수용부(121a)를 가지고, Y방향을 따르는 한쪽의 측벽에 마그넷 수용부(121b)를 가진다. 마그넷 수용부(121a)에 제1의 마그넷(122A)이 배치되고, 마그넷 수용부(121b)에 제2의 마그넷(122B)이 배치된다.
마그넷 홀더(121)는, X방향을 따르는 다른쪽 측벽 및 Y방향을 따르는 다른쪽 측벽에, 마그넷 수용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AF가동부(11)는, 마그넷 홀더(121)의 중심축(마그넷 홀더121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는 광축 방향에 평행적인 축)에 대해서 편심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된다. 즉, AF가동부(11)에 배치되는 렌즈부(2)의 광축은, 렌즈 구동장치(1)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는다.
마그넷 홀더(121)는, X방향을 따르는 다른쪽의 측벽에, AF용 링크 고정부(121c)를 가진다. AF용 링크 고정부(121c)에, AF용 지지부(13)의 마그넷 홀더 고정부(411)가 고정된다.
마그넷 홀더(121)는, Y방향을 따르는 2변의 각각의 단부(합계 4군데)에, OIS용 링크 고정부(121d)를 가진다. 각각의 OIS용 링크 고정부(121d)에, OIS용 링크 부재(30)의 제1의 측부 지지체(31)가 고정된다.
AF용 지지부(13)는, AF고정부(12)에 대해서 AF가동부(11)를 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F용 지지부(13)로서 종래의 판 스프링이 아니라, OIS용 링크 부재(30)와 마찬가지로, 일래스토머의 탄성을 이용한 링크 부재를 채용하고 있다(이하 「AF용 링크 부재(13)」라고 부른다). AF용 링크 부재(13)는, AF고정부(12)(마그넷 홀더121)에, 한쪽 고정 상태로 장착된다.
AF용 링크 부재(13)는, 지지부 본체(41) 및 보강부(42)를 가진다. 지지부 본체(41)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411), 암(412) 및 렌즈 홀더 고정부(413)를 가진다. 마그넷 홀더 고정부(411)는, 마그넷 홀더(121)의 AF용 링크 고정부(121c)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마그넷 홀더 고정부(411)는, 렌즈 홀더(111)의 규제 보스(111d)가 삽입되는 보스 수용부(411a)를 가진다. 렌즈 홀더 고정부(413)는, 렌즈 홀더(111)의 링크 부착부(111c)에 대응하는 절결부(切缺部:잘라낸 부분) (413a)를 가진다.
암(412)은, 일래스토머 재료로 형성된다. 암(412)은, 렌즈 홀더 수용부(111a)의 주면(周面)을 따르는 만곡(彎曲) 형상을 가진다. 2개의 암(412)(제1의 암 및 제2의 암)은, 각각, 광축 방향으로 이간해서 설치되는 상측 암(412A)과 하측 암(412B)을 가진다. 상측 암(412A)과 하측 암(412B)의 기단부(基端部)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411)에 접속되어, 간접적으로 AF고정부(12)에 고정된다. 상측 암(412A)과 하측 암(412B)의 선단부(先端部)는, 렌즈 홀더 고정부(413)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측 암(412A) 및 하측 암(412B)은, 2개의 축을 중심으로 굴곡함으로써, AF가동부(11)의 평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2축 힌지 구조를 가진다. 일래스토머의 탄성을 이용한 기계적 힌지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AF가동부(11)를 작은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종래의 AF용 구동부에 있어서는, AF가동부가 판 스프링에 의해서 협지(挾持)되는 구성이 되고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고, 번잡한 조립 작업이 필요하다. 이것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와 비교해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점수도 적기 때문에, 조립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암(412A) 및 하측 암(412B)은, 주위보다 얇게 형성되어, X방향을 축으로 하는 2개의 힌지부(412a, 412b)를 가진다. 여기서는, 힌지부(412a, 412b)는, 상측 암(412A) 및 하측 암(412B)의 내면(內面)에 예각(銳角)으로 형성된 힌지 홈으로 구성된다. 힌지 홈의 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R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42)는, 암(412)에 있어서, 2개의 힌지부(412a, 412b)의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상측 암(412A) 및 하측 암(412B)의 각각에 있어서, 보강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부(42)는, 일래스토머 재료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 즉 열팽창율이 작은 재료로 형성된다. 보강부(42)는, 예를 들면 금속편(예를 들면 스텐레스편)을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예를 들면, 보강부(42)는, 수지 재료(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의 2색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보강부(42)의 크기는, AF가동부(11)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는 정도이면 좋으며, 극단적으로 말하면, 힌지부(412a)와 힌지부(412b)의 사이가 전부 보강부(42)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일래스토머 재료는, 열팽창율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주위 온도가 고온이 될수록, 암(412)은 연재 방향으로 늘어나 길어진다. 암(412)이 길어지면, 공진의 영향을 받기 쉬워진다. 또, 늘어난 분량 만큼 AF가동부(11)의 광축 직교면내에 있어서의 위치가 틀어지기 때문에, 떨림 보정이 적절히 행해지지 않아, 화질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암(412)의 늘어남을 고려하여 떨림 보정을 행하면 좋지만, 연산 처리가 복잡하게 되어, 처리 부담이 증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412)에 보강부(42)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암(412) 전체를 일래스토머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강성이 향상한다. 이것에 의해, AF용 링크 부재(13)의 암 연재 방향에 있어서의 늘어남이 작아지므로, 불요 공진의 주파수가 높아져, 공진 피크도 작아진다. 보강부(42)를 배치했을 경우, 1 kHz 부근에 발생하는 공진이 고주파수로 천이하여, 공진 피크는 현격하게 작아진다. 또, AF가동부(11)의 광축 직교면내에 있어서의 위치 틀어짐도 억제된다. 따라서, AF용 위치 검출부(113) 및 OIS용 위치 검출부(23)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클로즈드 루프 제어를 행할 때의 안정성이 향상하여, 렌즈 구동장치(1)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렌즈 홀더(111)는, 암(41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렌즈 홀더(111)의 링크 부착부(111c)에 AF용 링크 부재(13)의 절결부(413a)가 감합(嵌合)되어 접착됨으로써, 렌즈 홀더(111)와 AF용 링크 부재(13)가 연결된다. AF용 링크 부재(13)는, 렌즈 홀더(111)의 측면에 근접해서 배치되므로, 렌즈 구동장치(1)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AF가동부(11)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렌즈 홀더(111)의 규제 보스(111d)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411)의 보스 수용부(411a)에 삽입된다. 규제 보스(111d)는, AF가동부(11)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즉, AF가동부(11)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규제 보스(111d)의 상단(上端)(광축 방향 수광측의 단부) 또는 하단(下端)(광축 방향 결상측의 단부)이 보스 수용부(411a)에 당접함으로써, 그 이상의 이동이 규제된다.
규제 보스(111d)와 보스 수용부(411a)와의 틈새는, 댐퍼재(115)에 의해서 봉지(封止)된다. 이것에 의해, AF가동부(11)의 공진 레벨을 한층 더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 본체(41)는, AF고정부(12)에 접속되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411)(고정단(固定端))와, AF가동부(11)에 접속되는 렌즈 홀더 고정부(413)(자유단(自由端))와, 마그넷 홀더 고정부(411)와 렌즈 홀더 고정부(413)을 연결하는 암(412)을 가진다. 암(412)은, 일래스토머 재료로 형성되어, 주위보다 얇게 형성되어 X축(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는 2개의 힌지부(412a, 412b)를 가지고, AF가동부(11)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힌지부(412a, 412b)에 있어서의 굴곡 방향이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굴곡한다(도12A, 도12B참조). 이것에 의해, 오토 포커스시에 반복하여 행해지는 굴곡 동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서, 파손하는 위험성은 극히 낮아진다.
OIS 고정부(20)는, 도6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용 코일부(21), 베이스(22) 및 OIS용 위치 검출부(23) 등을 구비한다.
OIS용 코일부(21)는, 광축 방향에 있어서 마그넷부(122)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OIS용 코일부(21)는, 제1의 마그넷(122A) 및 제2의 마그넷(122B)에 대응하는 제1의 OIS 코일(21A) 및 제2의 OIS 코일(21B)을 가진다.
제1의 OIS 코일(21A)은, 타원 형상의 평면 코일로 형성된다. 제1의 OIS 코일(21A)은, 코일면이 제1의 마그넷(122A)의 광축 방향 결상측의 면과 대향하도록, FPC(114)의 평면부(114a)에 배치된다. 제2의 OIS 코일(21B)은, 제1의 OIS 코일(21A)과 마찬가지로, 타원 형상의 평면 코일로 형성된다. 제2의 OIS 코일(21B)은, 코일면이 제2의 마그넷(122B)의 광축 방향 결상측의 면과 대향하도록, FPC(24)에 배치된다.
각각의 OIS 코일(21A, 21B)에 있어서의 2개의 장변 부분을, Z방향에 역방향의 자계가 횡단하도록, OIS용 코일부(21) 및 마그넷부(122)의 크기나 위치가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OIS용 코일부(21)에 통전이 행해졌을 때, OIS용 코일부(21)의 2개의 장변 부분에는, X방향 또는 Y방향에 동일한 방향의 로렌트력이 발생한다.
베이스(22)는, 평면시에서 구형상(여기서는 정방형상)의 부재이며, 베이스(22)의 중심축(베이스22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는 광축 방향에 평행적인 축)에 대해서 편심된 위치에 원형의 개구(22a)를 가진다. 베이스(22)는, 개구(22a)의 주연(周緣)에, FPC 부착부(22b)를 가진다. FPC 부착부(22b)에, FPC(114)의 평면부(114a) 및 FPC(24)가 배치된다. 베이스(22)에 있어서, OIS용 코일부(21)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의 면적은, OIS용 코일부(21)가 배치되는 부분의 면적보다 작고,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FPC(24)에는, 2개의 OIS용 위치 검출부(23)가 실장된다. OIS용 위치 검출부(23)는, 예를 들면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계를 검출하는 홀 소자이다(이하 「OIS용 홀 소자(23)」라고 부른다). OIS용 홀 소자(23)는, 베이스(22)의 인접하는 2변에 있어서, OIS 코일(21A, 21B)의 길이 방향 일단(一端)부의 근방에 배치된다.
OIS용 홀 소자(23)는, 주로 마그넷부(122)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계를 검출한다. OIS 홀 소자(23)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광축 직교면내에 있어서의 OIS 가동부(1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마그넷(122A) 및 제2의 마그넷(122B)은, OIS용 홀 소자(23)와 대향하도록, 연재 방향의 길이가 OIS 코일(21A, 21B)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 마그넷부(122)와는 별도로, 위치 검출용 자석을 OIS 가동부(10)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FPC(24)는, 제2의 OIS 코일(21B) 및 OIS용 위치 검출부(23)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 라인(도면표시 생략), 및 OIS용 위치 검출부(2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용의 신호 라인(도면표시 생략) 등을 가진다. FPC(24)의 단부(端部)는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 굴곡해 있고, 이 부분에 접속 단자(24a)(여기서는 10 핀)가 설치된다. 또한, FPC(24)의 배선은,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베이스(22) 내부에 매설(埋設)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OIS용 위치 검출부(23)를 실장하는 FPC(24)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 OIS용 코일부(211)에 통전하면, 마그넷부(122)의 자계와 OIS용 코일부(211)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OIS용 코일부(211)에 로렌트력이 발생한다(프레밍 왼손의 법칙). 로렌트력의 방향은, 자계의 방향(Z방향)과 OIS용 코일부(211)의 장변 부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X방향 또는 Y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방향 또는 X방향)이다.
OIS용 코일부(211)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마그넷부(122)에 반력이 작용한다. 이 반력(反力)이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이 되어, 마그넷부(122)를 가지는 OIS 가동부(10)가 XY평면내에서 요동하여, 떨림 보정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모듈(A)의 각도 떨림이 상쇄되도록, 떨림 검출부(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도면표시 생략)로부터의 각도 떨림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떨림 보정용 코일부(211)의 통전 전류가 제어된다. 이 때, OIS용 위치 검출부(23)의 검출 결과를 피드백함으로써, OIS 가동부(10)의 병진 이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10A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용 코일부(211)에 통전함으로써, OIS 가동부(10)에 X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도10B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용 링크 부재(30)의 제1의 측부 지지체(31)가 굴곡한다. 즉, 도10B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1의 측부 지지체(31)의 Y힌지부(31a)보다 하방(下方)에 위치하는 부분은, OIS 가동부(10)(마그넷 홀더121)와 함께 X방향으로 이동하지만, Y힌지부(31b)보다 상방(上方)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부 틀(33) 및 제2의 측부 지지체(32)를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OIS 고정부(20)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의 측부 지지체(31)는, Y힌지부(31a, 31b)에 있어서의 굴곡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굴곡한다.
한편, 도11A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용 코일부(211)에 통전함으로써, OIS 가동부(10)에 Y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도11B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용 링크 부재(30)의 제2의 측부 지지체(32)가 굴곡 한다. 즉, 제2의 측부 지지체(32)의 X힌지부(32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OIS 가동부(10)(마그넷 홀더121)와 함께 Y방향으로 이동하지만, X힌지부(32b)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OIS 고정부(20)의 베이스(22)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의 측부 지지체(32)는, X힌지부(32a, 32b)에 있어서의 굴곡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굴곡한다.
또,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 AF용 코일부(112)에 통전하면, 제1의 마그넷(122A)의 자계와 AF용 코일부(112)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AF용 코일부(112)에 로렌트력이 발생한다. 로렌트력의 방향은, 자계의 방향(Y방향)과 AF용 코일부(11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X방향)에 직교하는 방향(Z방향)이다. 이 힘이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이 되어, AF용 코일부(112)를 가지는 AF가동부(11)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핀트맞추기가 행해진다. 합초(合焦)위치는, 예를 들면, AF가동부(11)를 이동시키면서 촬상부(도면표시 생략)에서 취득되는 복수의 화상 정보를 해석하여, 콘트라스트 평가를 행함으로써 조정된다.
또한, 핀트맞추기를 행하지 않는 무통전시에는, AF가동부(11)는, AF용 링크 부재(13)에 의해서, 무한원 위치와 매크로 위치와의 사이에 매달린 상태(이하 「기준 상태」라고 부름)로 보지(保持)된다. 즉, OIS 가동부(10)에 있어서는, AF가동부(11)(렌즈 홀더111)가, AF용 링크 부재(13)에 의해서, AF고정부(12)(마그넷 홀더121)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 상태로, Z방향 양측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핀트맞추기를 행할 때는, AF가동부(11)를 기준 상태로부터 매크로 위치측으로 이동시킬지, 무한원 위치 측으로 이동시킬지에 따라, 전류의 방향이 제어된다. 또, AF가동부(11)의 이동거리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제어된다.
도12A에 나타내는 것처럼 AF용 코일부(112)에 통전함으로써, AF가동부(11)에 Z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도12B에 나타내는 것처럼 AF용 링크 부재(13)의 암(412)이 굴곡한다. 즉, 도12B에 나타내는 것처럼, 암(412)의 힌지부(412b)보다 왼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AF가동부(11)과 함께 Z방향으로 이동하지만, 힌지부(412a)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마그넷 홀더 고정부(411)를 경유하여 AF고정부(12)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암(412)은, 힌지부(412a, 412b)에 있어서의 굴곡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굴곡한다.
이와 같이, 렌즈 구동장치(1)는, 렌즈부(2)의 주위에 배치되는 마그넷부(122)(떨림 보정용 마그넷부)와, 마그넷부(122)로부터 이간해서 배치되는 OIS용 코일부(211)(떨림 보정용 코일부)와, OIS용 코일부(211)를 포함한 OIS 고정부(20)(떨림 보정 고정부)에 대해서 마그넷부(122)를 포함한 OIS 가동부(10)(떨림 보정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간한 상태로 지지하는 OIS용 지지부(30)(떨림 보정용 지지부)를 가지고, OIS용 코일부(211)와 마그넷부(122)로 구성되는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OIS 고정부(20)에 대해서 OIS 가동부(10)를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요동시킴으로써 떨림 보정을 행하는 떨림 보정용 구동부를 구비한다. OIS 가동부(10)는, 렌즈부(2)의 주위에 배치되는 AF용 코일부(112)(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와, AF용 코일부(112)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는 제1의 마그넷(122A)(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과, 제1의 마그넷(122A)을 포함한 AF고정부(12)(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해서 AF용 코일부(112)를 포함한 AF가동부(11)(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지지하는 AF용 지지부(13)(오토 포커스용 지지부)를 가지고, AF용 코일부(112)와 제1의 마그넷(122A)으로 구성되는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AF고정부(12)에 대해서 AF가동부(11)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맞추기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를 포함한다. OIS용 코일부(21)와 마그넷부(122)의 조(組)는, 인접하는 제1의 변 및 제2의 변을 따라서 배치된다. AF가동부(11)는, 광축 방향에 평행적인 렌즈 구동장치(1)의 중심 축에 대해서 편심 상태로 배치된다. OIS 고정부(20)는, 제1의 변 및 제2의 변에 배치되어, OIS용 코일부(21)의 급전용 배선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114a, 24a)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OIS용 지지부(30)는, 일래스토머 재료로 형성되어, OIS 가동부(10)를 광축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 힌지 구조를 가진다. AF용 지지부(13)는, 일래스토머 재료로 형성되어, AF가동부(11)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 힌지 구조를 가진다. 또, AF용 지지부(13)는, 지지부 본체(41)와, 보강부(42)를 가진다. 지지부 본체(41)는, AF고정부(12)에 접속되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411)(고정단)와, AF가동부(11)에 접속되는 렌즈 홀더 고정부(413)(자유단)와, 마그넷 홀더 고정부(411)와 렌즈 홀더 고정부(413)를 연결하는 암(412)을 가진다. 암(412)은, 일래스토머 재료로 형성되고, 주위보다 얇게에 형성되어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는 2개의 힌지부(412a, 412b)를 가진다. 암(412)은, AF가동부(11)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2개의 힌지부(412a, 412b)에 있어서의 굴곡 방향이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굴곡한다. 보강부(42)는, 일래스토머 재료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암(412)의 2개의 힌지부(412a, 412b) 사이에 배치된다.
또, 배면 카메라(OC)(카메라 모듈)는, 제1의 렌즈 구동장치(1A) 및 제2의 렌즈 구동장치(1B)와, 렌즈 구동장치(1A, 1B)의 각각에 대응하는 렌즈부(2A, 2B)와, 렌즈부(2A, 2B)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도면표시 생략)를 구비한다. 렌즈 구동장치(1A, 1B)는, 양자간에 접속 단자부(114a, 24a)가 위치하지 않도록,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90о 회전시킨 위치 관계로 병설되어 있다(도13 참조).
렌즈 구동장치(1A, 1B)는, 인접하는 2변에만 마그넷부(122)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13에 나타내는 것처럼, 2개의 렌즈 구동장치(1)를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90о 회전시킨 상태로 병설함으로써, 서로의 마그넷부(122)를 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磁氣) 간섭이 적은 배면 카메라(OC)(듀얼 카메라)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렌즈 구동장치(1A, 1B)의 이간 거리를 최소한으로 억제함과 동시에, OIS용 마그넷부(21)와 마그넷부(122)의 조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면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배면 카메라(OC)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렌즈 구동장치(1A, 1B)를, 양자 사이에 접속 단자부(114a, 24a)가 배치되지 않도록 병설하므로, 접속 단자부(114a, 24a)의 납땜 작업이 번잡하게 되는 일도 없다. 또, 렌즈 구동장치(1A, 1B)에 있어서, AF가동부(11)는, 렌즈 구동장치(1A, 1B)의 중심 축에 대해서 편심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구동장치(1A, 1B)를 180о 회전시킨 상태로 병설하면, 렌즈부(2A, 2B)의 수평 위치가 틀어져버려 촬상 영역이 동일하게 되지않을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렌즈 구동장치(1A, 1B)를 90о 회전시킨 상태로 병설했을 경우, 렌즈부(2A, 2B)의 수평 위치는 동일하게 되므로, 촬상 영역의 틀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서, 떨림 보정용 지지부나 오토 포커스용 지지부가 파손할 위험성은 극히 낮아진다. 또, 종래와 비교해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 점수도 적다. 또, AF가동부(11)가 받는 공진의 영향을 현격하게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OIS 감도를 높일 수 있고, 또 조립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OIS용 지지부(30) 및 AF용 지지부(13)는, 일래스토머 재료로 형성되어, 2축 힌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좋으며, 실시형태로 나타낸 지지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예를 들면, 제1의 OIS용 코일(21A) 및 제2의 OIS용 코일(21B)은, 각각 2개의 코일 부분으로 되어있는 분할 구조를 가지도록 해도 좋다. 2개의 코일 부분은,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예를 들면 1개의 코일로 형성된다. 이 경우, OIS용 홀 소자(23)는, 분할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제1의 OIS용 코일(21A) 및 제2의 OIS용 코일(21B)은, 도14에 나타내는 것처럼, 타원 형상의 상측 코일층(211a)(제1의 코일층)과, 상측 코일층(211a)을 길이 방향으로 2개로 분할한 하측 코일층(211b)(제2의 코일층)으로 되어있는 2층 구조를 가지도록 해도 좋다. 상측 코일층(211a)과 하측 코일층(211b)은,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예를 들면 1개의 코일로 형성된다. 이 경우, OIS용 홀 소자(23)는, 분할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분할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란, 분할 부분의 사이는 물론, 분할 부분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틀어진 위치를 포함한다.
도15A, 도15B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측 코일층(211a) 및 하측 코일층(211b)에 화살표 방향의 전류(I)가 흐르면, 상측 코일층(211a)에 의한 자계(B1)는, OIS용 홀 소자(23)를 아래에서 위로 횡단한다. 한편, 하측 코일층(211b)에 의한 자계(B2)는, OIS용 홀 소자(23)를 위에서 아래로 횡단한다. 따라서, 상측 코일층(211a) 및 하측 코일층(211b)에 의해서 OIS용 홀 소자(23)의 주위에 형성되는 자계는 상쇄된다. 이것에 의해, OIS용 코일부(211)에 통전이 행해졌을 때에, OIS용 코일부(211)에서 자속이 발생하더라도, OIS용 홀 소자(23)에 입사(入射) 하는 자속은 작아지기 때문에, OIS용 홀 소자(23)에 대한 OIS용 코일부(211)에 의한 자계의 영향이 억제된다. 즉, 전기적인 공진이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150~200 Hz로 피드백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도 저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게인이 향상한다. 따라서, OIS용 홀 소자(23)에 의한 검출 감도가 향상하고, OIS용 구동부의 세틀링타임(settling time)도 짧아지고, 떨림 보정의 정밀도도 향상한다.
또, 상측 코일층(211a)은 분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OIS용 코일부(211)의 전체를 분할 구조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OIS용 코일부(211)에는 큰 로렌트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떨림 보정의 감도도 향상한다.
또, AF용 지지부(13)의 암(412)에 매설되는 보강부(42)에 금속재료를 적용할 경우, 이것을 AF용 코일부(112) 및 AF용 홀 소자(113)의 급전 라인 또는 신호 라인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보강부(42)와 베이스(22)의 배선과의 사이, 및 보강부(42)와 AF용 코일부(112) 및 AF용 홀 소자(113)와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유연성이 높은 스트레처블(Stretchable) 배선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 모듈 CM1, CM2를 구비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의 일례로서,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인 스마트폰을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정보 기기 또는 수송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정보 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란,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로 얻은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정보 기기이며, 예를 들면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태블렛 단말, 휴대형 게임기, 웹(web) 카메라, 카메라 부착 차재 장치(예를 들면, 백 모니터 장치, 드라이브 레코더 장치)를 포함한다. 또, 수송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란,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로 얻은 화상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수송기기이며, 예를 들면 자동차를 포함한다.
도16A, 도16B는, 카메라 모듈 VC(Vehicle Camera)를 탑재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의 자동차(V)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A는 자동차(V)의 정면도이고, 도16B는 자동차(V)의 후방 사시도이다. 자동차(V)는, 차재용 카메라 모듈(VC)로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카메라 모듈(A)을 탑재한다. 도16A, 도16B에 나타내는 것처럼,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은, 예를 들면 전방을 향해 프런트 글래스에 장착되거나 후방을 향해 리어게이트에 장착되거나 한다. 이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은, 백 모니터용, 드라이브 레코더용, 충돌 회피 제어용, 자동 운전 제어용 등으로서 사용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2017년 1월 18일에 출원한 201710034450.6의 중국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1, 1A, 1B 렌즈 구동장치
2, 2A, 2B 렌즈부
3 커버
10 OIS 가동부(떨림 보정 가동부)
11 AF가동부(오토 포커스 가동부)
111 렌즈 홀더
112 AF용 코일부(오토 포커스용 코일부)
113 AF용 위치 검출부, AF용 홀 소자
114 FPC
114c 접속 단자부
12 AF고정부(오토 포커스 고정부)
121 마그넷 홀더
122 마그넷부
122A 제 1의 마그넷(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
122B 제 2의 마그넷(떨림 보정용 마그넷부)
13 AF용 지지부, AF용 링크 부재(오토 포커스용 지지부)
20 OIS 고정부(떨림 보정 고정부)
21 OIS용 코일부(떨림 보정용 코일부)
21A 제 1의 OIS 코일
21B 제 2의 OIS 코일
22 베이스
23 OIS용 위치 검출부, OIS용 홀 소자
24 FPC
24a 접속 단자부
30 OIS용 지지부, OIS용 링크 부재(떨림 보정용 지지부)
31 제 1의 측부 지지체
31a, 31b Y힌지부
32 제 2의 측부 지지체
32a, 32b X힌지부
33 상부 틀
41 지지부 본체
411 마그넷 홀더 고정부(고정단)
412 암
412a, 412b 힌지부
413 렌즈 홀더 고정부(자유단)
42 보강부
CM1, CM2 카메라 모듈
M 스마트폰(카메라 탑재 장치)

Claims (8)

  1. 평면시(平面視)에서 구형상(矩形狀)을 가지는 렌즈 구동장치이며,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와, 상기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로부터 이간해서 배치되는 떨림 보정용 코일부와, 상기 떨림 보정용 코일부를 포함한 떨림 보정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를 포함한 떨림 보정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간한 상태로 지지하는 떨림 보정용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떨림 보정용 코일부와 상기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떨림 보정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떨림 보정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떨림 보정 가동부를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요동시킴으로써 떨림 보정을 행하는 떨림 보정용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떨림 보정 가동부는, 상기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지지하는 오토 포커스용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오토 포커스용 코일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오토 포커스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맞추기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떨림 보정용 코일부와 상기 떨림 보정용 마그넷부의 조(組)는, 인접하는 제1의 변 및 제2의 변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는, 광축 방향에 평행적인 해당 렌즈 구동장치의 중심 축에 대해서 편심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떨림 보정 고정부는, 상기 제1의 변 및 상기 제2의 변에 배치되어, 상기 떨림 보정용 코일부의 급전용 배선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떨림 보정용 지지부는, 일래스터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떨림 보정 가동부를 광축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 힌지 구조를 가지고,
    상기 오토 포커스용 지지부는, 일래스터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2축 힌지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지지부는, 지지부 본체와, 보강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 본체는,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접속되는 고정단(固定端)과,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에 접속되는 자유단(自由端)과,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을 연결하는 암(arm)을 가지고,
    상기 암은, 일래스터머 재료로 형성되고, 주위보다 얇게 형성되어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는 2개의 힌지부를 가지고,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2개의 힌지부에 있어서의 굴곡 방향이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굴곡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일래스터머 재료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암의 상기 2개의 힌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 가동부는, 상기 암의 연재(延在)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배치되어, 자계의 변화를 기초로, 해당 오토 포커스 가동부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가지고,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는, 상기 위치 검출부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위치 검출용 마그넷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 고정부와 상기 고정단의 사이에 개재하는 댐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7. 청구항 1에 기재한 렌즈 구동장치로 되어있는 제1의 렌즈 구동장치 및 제2의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제1의 렌즈 구동장치 및 상기 제2의 렌즈 구동장치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렌즈 구동장치 및 상기 제2의 렌즈 구동장치는, 양자간에 상기 접속 단자부가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광축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90о 회전시킨 위치 관계로 병설(竝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정보 기기 또는 수송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이며,
    청구항 7에 기재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20197020749A 2017-01-18 2018-01-15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542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34450.6A CN108319093B (zh) 2017-01-18 2017-01-18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以及摄像机搭载装置
CN201710034450.6 2017-01-18
PCT/JP2018/000772 WO2018135423A1 (ja) 2017-01-18 2018-01-15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161A true KR20190104161A (ko) 2019-09-06
KR102542168B1 KR102542168B1 (ko) 2023-06-09

Family

ID=6289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749A KR102542168B1 (ko) 2017-01-18 2018-01-15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0781B2 (ko)
EP (1) EP3572858A4 (ko)
JP (1) JP7041360B2 (ko)
KR (1) KR102542168B1 (ko)
CN (1) CN108319093B (ko)
WO (1) WO20181354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214A1 (ko) * 2021-03-24 2022-09-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추에이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6053A1 (zh) * 2016-05-31 2017-12-07 三美电机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以及摄像机搭载装置
TW202316190A (zh) * 2018-01-25 2023-04-16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光學元件驅動機構
CN208638453U (zh) * 2018-08-09 2019-03-2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镜头模组
KR102549849B1 (ko) * 2018-08-13 2023-06-29 미니스뷔스 에스에이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N111273420A (zh) * 2018-12-05 2020-06-12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摄像装置
CN114153102B (zh) * 2018-12-14 2024-04-30 三美电机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JP7295375B2 (ja) * 2018-12-14 2023-06-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N109655994A (zh) * 2019-02-20 2019-04-19 重庆睿恩光电子有限责任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头装置及电子设备
KR102334157B1 (ko) * 2019-07-17 2021-12-03 자화전자(주)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102279920B1 (ko) 2020-02-10 2021-07-2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2600360B (zh) * 2020-12-14 2022-04-12 基合半导体(宁波)有限公司 对焦马达、对焦马达的闭环控制方法及摄像设备
CN117389062A (zh) * 2021-04-28 2024-01-12 新思考电机有限公司 光学防抖弹性支撑机构、防抖和透镜驱动装置及摄像装置
US11743565B1 (en) 2021-09-24 2023-08-29 Apple Inc. Coil structure of camera actuato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4938A (ja) 2011-07-15 2013-02-04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16020939A (ja) * 2014-07-11 2016-02-0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WO2016156996A1 (en) * 2015-04-02 2016-10-06 Corephotonics Ltd. Dual voice coil motor structure in a dual-optical module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0188A (ja) 2006-08-08 2008-02-21 Seiko Instruments Inc 支持装置、支持駆動装置、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US8842355B2 (en) * 2007-12-10 2014-09-23 Parker-Hannifin Corporation Lens shutter and aperture control devices
JP2011141517A (ja) 2009-12-11 2011-07-21 Panasonic Corp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2014126668A (ja) * 2012-12-26 2014-07-07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101494823B1 (ko) * 2013-05-08 2015-02-23 (주)옵티스 카메라 모듈
KR102148988B1 (ko) * 2013-07-12 2020-08-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810917B2 (en) * 2014-01-24 2017-11-07 Apple Inc. Passive damping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KR20150113675A (ko) * 2014-03-31 2015-10-08 자화전자(주) 듀얼 카메라 모듈
JP6311434B2 (ja) * 2014-04-25 2018-04-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9772506B2 (en) * 2014-11-12 2017-09-26 Tdk Taiwan Corp. Configuration of flexible connections used in a lens driving module
KR101555904B1 (ko) * 2015-02-17 2015-09-30 (주) 엠디펄스 카메라 모듈
JP6500540B2 (ja) * 2015-03-24 2019-04-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17206053A1 (zh) * 2016-05-31 2017-12-07 三美电机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以及摄像机搭载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4938A (ja) 2011-07-15 2013-02-04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16020939A (ja) * 2014-07-11 2016-02-0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WO2016156996A1 (en) * 2015-04-02 2016-10-06 Corephotonics Ltd. Dual voice coil motor structure in a dual-optical module came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214A1 (ko) * 2021-03-24 2022-09-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추에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5423A1 (ja) 2018-07-26
EP3572858A4 (en) 2020-09-23
EP3572858A1 (en) 2019-11-27
KR102542168B1 (ko) 2023-06-09
JP7041360B2 (ja) 2022-03-24
JPWO2018135423A1 (ja) 2019-12-19
CN108319093B (zh) 2021-08-06
CN108319093A (zh) 2018-07-24
US20200041811A1 (en) 2020-02-06
US10890781B2 (en)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4161A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N109313373B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以及摄像机搭载装置
JP6652734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EP3239772B1 (en) Actuator, camera module, and device including the camera module
EP2852148B1 (en) Camera module
CN108603993B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CN107430313B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以及摄像机搭载装置
CN112534347B (zh) 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CN110226122B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JP6712070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N112859281A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US20230067072A1 (en) Optical actuator, camera module, and camera-mounted device
US20230068899A1 (en) Optical actuator, camera module, and camera-mounted device
JP2023033965A (ja) 光学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