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635A -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635A
KR20190096635A KR1020180016311A KR20180016311A KR20190096635A KR 20190096635 A KR20190096635 A KR 20190096635A KR 1020180016311 A KR1020180016311 A KR 1020180016311A KR 20180016311 A KR20180016311 A KR 20180016311A KR 20190096635 A KR20190096635 A KR 20190096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side
cable tray
short side
coupl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섭
Original Assignee
권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섭 filed Critical 권오섭
Priority to KR102018001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6635A/ko
Publication of KR20190096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는, 제1 장변과 제1 단변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변의 단부에 제1 결속부재가 형성되는 제1 본체부; 제2 장변과 제2 단변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 단변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결속부재에 상기 제1 장변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장변의 단부가 제1 결속부재에 결합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2 본체부의 상하측 양단에 각각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2 덮개부; 및 상기 제1 장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2 덮개부의 단부를 거쳐 상기 제2 장변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는, 절곡하여 장변과 단변으로 구성된 2개의 제1, 2 본체부를 이용하여, 제1 본체부의 장변을 제2 본체부의 단변에 형성된 제2 결속부재에 결합하고, 제2 본체부의 장변을 제1 본체부의 단변에 형성된 제1 결속부재에 결합한 후, 제1, 2 덮개부와 함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간단하게 조립 및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CABLE TRAY SLEEVE}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들의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건축물들은 건축기술의 발달에 기인함은 물론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나날이 고층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파트 등과 같은 대표적인 집합건물을 건축할 경우에, 각 세대에는 전력공급을 위한 전기선뿐만 아니라, 통신용 케이블 및 인터넷 케이블 등 각종 전선 케이블이 배설된다.
따라서 집합건물에는 관련 법규에 의거하여 별도의 통신장비 설치 공간을 확보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이에 집합건물의 층간에 설치되어 각 세대별 전선 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하면서 외관상 보기 좋게 정렬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케이블 트레이는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서 층간 슬라브에 매설되어 전선 케이블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슬리브에 의해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69555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85280호에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본체의 상하부에 분할된 양측에서 절첩되는 절첩부를 작업시 접어 사용할 수 있으며, 관통형 또는 비관통형으로 구별될 필요없이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 및 하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는 가변형 덮개를 구비하며, 보호덮개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케이블 배선용 입상트레이 슬리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4면을 이루는 본체와, 본체에 절첩부가 힌지에 의해 연결되므로 조립이 난해하고, 조립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상부덮개가 본체부를 덮으며 결합되고, 측면에서 전선이 지지되는 지지대가 결합되며, 상부덮개 및 하부덮개와 본체부의 좌측 및 우측 벽체 간에 공간이 형성되는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공동건물의 케이블 배선용 배전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역시 본체부의 상하에 상, 하부 덮개를 힌지에 의해 연결하는데 본체부와 상, 하부 덮개를 각각 개별 제조한 상태에서 조립 공정을 별도로 수행하므로 공정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69555호(등록일: 2013.10.14.)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85280호(등록일: 2017.1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장변과 단변으로 절곡하여 구성된 2개의 제1, 2 본체부를 이용하여, 제1 본체부의 장변을 제2 본체부의 단변에 형성된 제2 결속부재에 결합하고, 제2 본체부의 장변을 제1 본체부의 단변에 형성된 제1 결속부재에 결합한 후, 제1, 2 덮개부와 함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간단하게 조립 및 시공할 수 있게 한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는, 제1 장변과 제1 단변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변의 단부에 제1 결속부재가 형성되는 제1 본체부; 제2 장변과 제2 단변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 단변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결속부재에 상기 제1 장변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장변의 단부가 제1 결속부재에 결합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2 본체부의 상하측 양단에 각각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2 덮개부; 및 상기 제1 장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2 덮개부의 단부를 거쳐 상기 제2 장변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덮개부에 한 개소 이상 접지부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2 덮개부는 양측에 형성된 결속홀이 상기 제1, 2 본체부의 제1, 2 장변에 형성된 결속돌기에 위치되어 상기 제1, 2 본체부에 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부는 양단 단부에 상기 제1, 2 단변의 상단에 위치되면서 젖힘 각도를 크게 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는, 절곡하여 장변과 단변으로 구성된 2개의 제1, 2 본체부를 이용하여, 제1 본체부의 장변을 제2 본체부의 단변에 형성된 제2 결속부재에 결합하고, 제2 본체부의 장변을 제1 본체부의 단변에 형성된 제1 결속부재에 결합한 후, 제1, 2 덮개부와 함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간단하고 공정수를 감소시키면서 조립 및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에서 제1 본체부의 제1 결속부재에 제2 본체부의 제2 장변이 결합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에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에서 제1 본체부의 제1 결속부재에 제2 본체부의 제2 장변이 결합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에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100)는 제1 본체부(110), 제2 본체부(120), 제1, 2 덮개부(130, 140) 및 체결수단(150)을 포함한다.
제1 본체부(1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10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100)의 일측에서 이웃한 2개의 측벽을 구성하도록 제1 장변(112a)과 제1 단변(112b)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1 장변(112a)은 모서리마다 제1-1 체결공(118a)이 각각 형성되어 체결수단(150)의 볼트(152)가 삽입된다.
여기서, 제1 장변(112a)과, 이와 대향된 제2 장변(122a)의 대향면 중 상하단 중간 지점을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복수의 결속돌기(119, 129)가 가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의 결속돌기(119, 129)가 제1, 2 덮개부(130, 140)의 절곡부재(132, 142) 단부에 형성된 결속홀(133, 143)에 각각 결합되면 제1, 2 덮개부(130, 140)가 제1, 2 장변(112a, 122a)에 가고정된다.
제1 단변(112b)은 제1 장변(112a)과 직교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단부에 제1 결속부재(114)가 제1 장변(112a)과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단변(112b)은 하단에 홀이 형성된 단턱이 절곡 형성되어 콘크리트 슬라브(도면에 미도시)의 상부면에 걸쳐지거나 콘크리트 슬라브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제1 결속부재(114)에는 제2 본체부(120)에 구성된 제2 장변(122a)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하단에 제1-2 체결공(118b)이 관통 형성되어, 제1-2 체결공(118b)과 제2 본체부(120)의 제2 장변(122a)이 덧대지면서 제2 장변(122a)에 형성된 제2-1 체결공(128a)이 서로 연통되어 체결수단(150)의 볼트(152)가 삽입될 수 있다(도 5 참조).
더욱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결속부재(114)에는 중간단을 양쪽 단부보다 제2 장변(122a)의 두께만큼 이격된 외측에서 부분 절개한 후 절곡한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절곡부에 제2 장변(122a)의 단부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속부재(114)에 부분 돌출된 절곡부에 제2 본체부(120)에 형성된 제2 장변(122a)의 단부가 결합되면, 제2 장변(122a)의 단부 중 중심부 상부면은 절곡부의 하부면 중심에 밀착되고, 절곡부의 양단 상부면은 제1 결속부재(114)의 단부 중 하부면 양단에 각각 밀착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절곡부는 저면에 단면형상이 산형인 제1 돌기가 횡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면서 제1 돌기의 중심부에 홈이 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절곡부에 결속되는 제2 장변(122a)의 단부 상면에 단면형상이 산형인 제2 돌기가 횡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면서 절곡부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결속되도록 대응되는 돌기가 제2 돌기의 길이만큼 제2 장변(122a)의 단부를 가압하여 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절곡부의 저면에 형성된 제1 돌기와 제2 장변(122a)의 단부 상면에 형성된 제2 돌기가 결속되어 결합된 제1, 2 본체부(110, 120)의 결속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변경되지 않게 하고, 제1 돌기에 형성된 홈과 제2 돌기에 형성된 돌기가 결속되어 결합된 제1, 2 본체부(110, 120)의 결속 위치가 높이방향으로 변경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1 단변(112b)의 외벽면에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재(116)가 결합될 수 있다. 걸림부재(116)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100)가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립될 때 같이 매립되도록 하여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제2 본체부(1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10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100)의 타측에서 이웃한 2개의 측벽을 구성하도록 제2 장변(122a)과 제2 단변(122b)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2 장변(122a)은 모서리마다 제2-1 체결공(128a)이 각각 형성되어 체결수단(150)의 볼트(152)가 삽입된다.
제2 단변(122b)은 제2 장변(122a)과 직교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단부에 제2 결속부재(124)가 제2 장변(122a)과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단변(122b)은 하단에 홀이 형성된 단턱이 절곡 형성되어 콘크리트 슬라브(도면에 미도시)의 상부면에 걸쳐지거나 콘크리트 슬라브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제2 결속부재(124)에는 제1 본체부(110)에 구성된 제1 장변(112a)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하단에 제2-2 체결공(128b)이 관통 형성되어, 제2-2 체결공(128b)과 제1 본체부(110)의 제1 장변(112a)이 덧대지면서 제1 장변(112a)에 형성된 제1-1 체결공(118a)이 서로 연통되어 체결수단(150)의 볼트(152)가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결속부재(124)에는 중간단을 양쪽 단부보다 제1 장변(112a)의 두께만큼 이격된 외측에서 부분 절개한 후 절곡한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장변(112a)의 단부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결속부재(124)에 제1 본체부(110)에 형성된 제1 장변(112a)의 단부가 결합되면, 제1 장변(112a)의 중심부 상부면은 절곡부의 하부면 중심에 밀착되고, 절곡부의 양단 상부면은 제2 결속부재(124)의 하부면 양단에 각각 밀착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결속부재(124)는 저면에 단면형상이 산형인 제3 돌기가 횡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면서 제3 돌기의 중심부에 홈이 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제2 결속부재(124)에 결속되는 제1 장변(112a)의 단부 상면에 단면형상이 산형인 제4 돌기가 횡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면서 제2 결속부재(124)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결속되도록 대응되는 돌기가 제4 돌기의 길이만큼 제1 장변(112a)의 단부를 가압하여 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결속부재(124)의 저면에 형성된 제3 돌기와 제1 장변(112a)의 단부 상면에 형성된 제4 돌기가 결속되어 결합된 제1, 2 본체부(110, 120)의 결속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변경되지 않게 하고, 제3 돌기에 형성된 홈과 제4 돌기에 형성된 돌기가 결속되어 결합된 제1, 2 본체부(110, 120)의 결속 위치가 높이방향으로 변경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2 단변(122b)의 외벽면에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재(126)가 결합될 수 있다. 걸림부재(126)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100)가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립될 때 같이 매립되도록 하여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제1 덮개부(130)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가 결합될 때, 제1 결속부재(114)와 제1 장변(112a)의 상단 사이 그리고 제2 결속부재(124)와 제2 장변(112a)의 상단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덮개부(13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재(132)가 형성되고, 절곡부재(132)의 일단에 체결홀(132a)이 형성되고, 절곡부재(132)의 타단에 결속홀(133)이 형성되며, 절곡부재(132)의 사이에 장공(134)이 복수 형성된다.
더욱이, 절곡부재(132) 중 체결홀(132a)과 이웃한 양쪽 단부에 제1 덮개부(130)를 외측방향으로 젖힐 때 제1, 2 단변(112b, 122b)의 상단을 향하도록 홈(132b)이 형성된다. 이때, 홈(132b)은 제1 덮개부(130)의 젖힘 각도를 크게 하도록 형성된다.
체결홀(132a)은 제1 결속부재(114)의 제1-2 체결공(118b)과 제1 장변(112a)의 제1-1 체결공(118a) 그리고 제2 결속부재(124)의 제2-2 체결공(128b)과 제2 장변(122a)의 제2-1 체결공(128a)에 각각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150)의 볼트(152)가 삽입된다.
결속홀(133)은 제1, 2 장변(112a, 122a)의 대향면 중심부 상하단에 형성된 결속돌기(119, 129)에 끼워져 제1 덮개부(130)가 가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장공(134)은 이웃한 케이블 트레이(10)가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장공(134)에는 케이블 트레이(10)가 결합될 때 접지부(136)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덮개부(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가 결합될 때, 제1 결속부재(114)와 제1 장변(112a)의 하단 사이 그리고 제2 결속부재(124)와 제2 장변(112a)의 하단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덮개부(140)는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재(142)가 형성되고, 절곡부재(142)의 일단에 체결홀(142a)이 형성되고, 절곡부재(142)의 타단에 결속홀(143)이 형성되며, 절곡부재(142)의 사이에 장공(144)이 복수 형성된다.
체결홀(142a)은 제1 결속부재(114)의 제1-2 체결공(118b)과 제1 장변(112a)의 제1-1 체결공(118a) 그리고 제2 결속부재(124)의 제2-2 체결공(128b)과 제2 장변(122a)의 제2-1 체결공(128a)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150)의 볼트(152)가 삽입된다.
결속홀(143)은 제1, 2 장변(112a, 122a)의 대향면 중심부 상하단에 형성된 결속돌기(119, 129)에 끼워져 제2 덮개부(140)가 가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장공(144)은 이웃한 케이블 트레이(10)가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장공(144)에는 케이블 트레이(10)가 결합될 때 접지부(146)가 연결될 수 있다.
체결수단(15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52) 및 너트(154)로 구성되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대향된 가장자리에 제1, 2 덮개부(130, 140)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즉, 볼트(152)는 제2 장변(122a)의 제2-1 체결공(128a) 및 이와 연통된 제1 결속부재(114)의 제1-2 체결공(118b)과, 제1 장변(112a)의 제1-1 체결공(118a)에 제1 덮개부(130)의 양쪽 체결공(132a) 중심을 맞춘 상태에서 제1 장변(112a)의 제1-1 체결공(118a) 외측에서 삽입되며, 관통된 단부에 너트(154)가 나선 체결된다.
그리고 볼트(152)는 제1 장변(112a)의 제1-1 체결공(118a) 및 이와 연통된 제2 결속부재(124)의 제2-2 체결공(128b)과, 제2 장변(122a)의 제2-1 체결공(128a)에 제2 덮개부(140)의 양쪽 체결공(142a) 중심을 맞춘 상태에서 제1 장변(112a)의 제1-1 체결공(118a) 외측에서 삽입되며, 관통된 단부에 너트(154)가 나선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100)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장변(112a)과 제1 단변(112b)으로 절곡 구성된 제1 본체부(110)와, 제2 장변(122a)과 제2 단변(122b)으로 절곡 구성된 제2 본체부(120)가 조합되어 사각형상으로 구현되도록 제1 장변(112a)과 제1 단변(112b)의 연결 부위와 제2 장변(122a)과 제2 단변(122b)의 연결 부위를 상호 대각 위치에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제1 단변(112b)에 형성된 제1 결속부재(114)에 제2 장변(122a)의 단부를 결합시키고, 제2 단변(122b)에 형성된 제2 결속부재(124)에 제1 장변(112a) 단부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제2 장변(122a)의 제2-1 체결공(128a) 및 이와 연통된 제1 결속부재(114)의 제1-2 체결공(118b)과, 제1 장변(112a)의 제1-1 체결공(118a)에 제1 덮개부(130)의 양쪽 체결공(132a) 중심을 맞춘 상태에서 제1 장변(112a)의 제1-1 체결공(118a) 외측에서 볼트(152)를 삽입하며, 관통된 볼트(152)의 단부에 너트(154)를 나선 체결시킨다.
다음으로, 제1 장변(112a)의 제1-1 체결공(118a) 및 이와 연통된 제2 결속부재(124)의 제2-2 체결공(128b)과, 제2 장변(122a)의 제2-1 체결공(128a)에 제2 덮개부(140)의 양쪽 체결공(142a) 중심을 맞춘 상태에서 제1 장변(112a)의 제1-1 체결공(118a) 외측에서 볼트(152)를 삽입하며, 관통된 볼트(152)의 단부에 너트(154)를 나선 체결시킨다.
이렇게, 제1, 2 본체부(110, 120)를 체결수단(150)에 의해 결합할 때 제1, 2 덮개부(130. 140)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공정수가 감소하게 된다.
그 후, 건물의 천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기 전에 철근을 가설한 후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100)를 철근에 용접시키거나 안착시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매설한다. 그리고 제1 덮개부(130)를 제1, 2 본체부(110, 120)에 결속돌기(119, 129) 및 결속홀(133)을 이용하여 가고정시킨 다음 제1, 2 본체부(110, 120)의 상부를 밀봉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며, 제1 덮개부(130)를 개방한 후 장공(134)에 볼트를 체결하여 케이블 트레이(10)를 연결한다. 그리고 전선 케이블(도면에 미도시)을 제1, 2 본체부(110, 120)를 관통하여 배설하고, 나아가서 케이블 트레이(10)에도 전선 케이블을 배설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케이블 트레이 100: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110: 제1 본체부 112a: 제1 장변
112b: 제1 단변 114: 제1 결속부재
118a, 118b: 제1-1, 1-2 체결공 119: 결속돌기
120: 제2 본체부 122a: 제2 장변
122b: 제2 단변 124: 제2 결속부재
128a, 128b: 제2-1, 2-2 체결공 129: 결속돌기
130: 제1 덮개부 132a: 체결홀
133: 결속홀 134: 장공
136: 접지부 140: 제2 덮개부
150: 체결수단 142a: 체결홀
143: 결속홀 144: 장공
146: 접지부

Claims (4)

  1. 제1 장변과 제1 단변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변의 단부에 제1 결속부재가 형성되는 제1 본체부;
    제2 장변과 제2 단변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 단변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결속부재에 상기 제1 장변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장변의 단부가 제1 결속부재에 결합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2 본체부의 상하측 양단에 각각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2 덮개부; 및
    상기 제1 장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2 덮개부의 단부를 거쳐 상기 제2 장변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덮개부에 한 개소 이상 접지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덮개부는 양측에 형성된 결속홀이 상기 제1, 2 본체부의 제1, 2 장변에 형성된 결속돌기에 위치되어 상기 제1, 2 본체부에 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는 양단 단부에 상기 제1, 2 단변의 상단에 위치되면서 젖힘 각도를 크게 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KR1020180016311A 2018-02-09 2018-02-09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KR20190096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311A KR20190096635A (ko) 2018-02-09 2018-02-09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311A KR20190096635A (ko) 2018-02-09 2018-02-09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635A true KR20190096635A (ko) 2019-08-20

Family

ID=6780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311A KR20190096635A (ko) 2018-02-09 2018-02-09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66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486B1 (ko) * 2020-10-19 2021-04-14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270664B1 (ko) * 2020-05-07 2021-06-29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280B1 (ko) 1995-09-01 2005-12-28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점착성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280B1 (ko) 1995-09-01 2005-12-28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점착성보호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664B1 (ko) * 2020-05-07 2021-06-29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박스
KR102239486B1 (ko) * 2020-10-19 2021-04-14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938B1 (ko) 조립식 체적 건축 모듈의 연결 시스템 및 연결 방법
US8033065B2 (en) Prefabricated building panels and structures, building,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same
US20060130422A1 (en) Modular buildings
EP0315023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able tray systems
KR101705260B1 (ko) 모듈러건축물의 코아구조물과 모듈러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11352781B2 (en) Reversible self-locking interconnection system for modular integrated construction
KR10159079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연결마구리판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96635A (ko)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US10985498B2 (en) Framing assembly with modular connectors
KR10183535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MX2013003250A (es) Conector de transferencia de carga para un conjunto de elementos de soporte.
KR20060034395A (ko) 패널형 스터드를 이용한 건식벽체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409796B1 (ko) 유닛구조체용 절곡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KR200239521Y1 (ko) 조립식 바닥부재
KR102149248B1 (ko) Pc모듈러 유닛설계 시스템
KR100955792B1 (ko)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9990019928U (ko) 조립건물용 패널
KR102669552B1 (ko)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한 샌드위치판넬
TWI785218B (zh) 樓承板
WO2016010477A1 (en) Interlockable partition wall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 same
KR102294621B1 (ko)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공동건물의 케이블 트레이 입상슬리브
KR102642576B1 (ko) 벽체용 패널
KR20230011010A (ko) 건식조립벽체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445966Y1 (ko) 난방용 바닥재
JPH0810102Y2 (ja) 間仕切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