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601A - Adhesive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Adhesive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601A
KR20190093601A KR1020197018919A KR20197018919A KR20190093601A KR 20190093601 A KR20190093601 A KR 20190093601A KR 1020197018919 A KR1020197018919 A KR 1020197018919A KR 20197018919 A KR20197018919 A KR 20197018919A KR 20190093601 A KR20190093601 A KR 2019009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release film
region
sheet
gel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6470B1 (en
Inventor
노리오 사토
마코토 이네나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9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6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4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1/622
    • C09J2205/31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광경화성을 갖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온 상태로 보관한 경우여도, 점착제가 단면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점착 시트를 제안한다. 시트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mm]의 영역(「가장자리 폭 영역」이라고 한다)과, 당해 가장자리 폭 영역으로부터 시트 중앙의 영역(「중앙 영역」이라고 한다)이, 이하의 조건 (1) 및 (2)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를 제안한다.
(1)··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이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보다 크다.
(2)··점착 시트의 두께를 d[mm]로 했을 때, 30d<w<100d를 충족시킨다.
It is related with the adhesive sheet which has photocurability, and even if it is stored at normal temperature, the new adhesive sheet which can effectively suppress that an adhesive pushes out from an end surface is proposed. The area | region of width w [mm] (referred to as "edge width area | region") from the sheet edge toward the sheet center, and the area | region (referred to as "center area | region") from the said edge width area | region to the following conditions (1) And (2) to propos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edge width region is larg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central region.
(2)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is d [mm], 30d <w <100d is satisfied.

Description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Adhesive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모바일 단말(PDA), 게임기, 텔레비전(TV),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터치 패널, 펜 태블릿 등과 같은 화상 표시 장치를 형성할 때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n adhesive sheet that can be suitably used when forming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mobile terminal (PDA), a game machine, a television (TV), a car navigation system, a touch panel, a pen tablet, and the like.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퍼스널 컴퓨터, 모바일 단말(PDA), 터치 패널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ELD) 등의 화상 표시 패널과, 그 전면측(시인측)에 배치하는 보호 패널이나 터치 패널 부재의 사이의 공극을 점착제로 충전할 때, 점착 시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Image display panel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DP),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ELD), 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image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mobile terminal (PDA), and a touch panel, When filling the space | gap between the protective panel and touchscreen member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urface side (viewing side) with an adhesive, the method of using an adhesive sheet is known.

이런 종류의 점착 시트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94976호)에는, 점착층과 기재층을 적층시킨 적층체의 측면측으로부터 파장 360nm 이하의 광을 조사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bout this kind of adhesive sheet,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4-094976) image which irradiates the light of wavelength 360nm or les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aminated body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adhesion layer and the base material layer. An adhesive sheet for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re disclosed.

특허문헌 2(특허공보 제4971529호)에는, 자외선에 의해 1차 가교한 점착 시트를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에 맞붙인 후,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개재하여 점착 시트에 자외선 조사하여 2차 경화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Patent Publication No. 4971529) attach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rimarily crosslinked by ultraviolet light to an image display device structural member, and then irradiate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ultraviolet light through an image display device structural member to perform secondary curing. A method is disclosed.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는, 피착면에 인쇄부가 형성되어 있는 등, 피착면에 요철부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러한 요철부에도 점착제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통상의 상태, 즉, 실온 상태에서는, 박리 가능할 정도의 접착성("택성"이라고 한다)을 구비할 수 있음과 함께, 핫멜트 가능한 온도로 가열하면, 유동성을 갖게 되며, 맞붙임면의 요철에 추종하여 구석구석까지 충전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피착물끼리 강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이나 점착 시트가 개발되고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constituent members as described above often have irregularities on the adherend, for example, a prin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adherend, and in order to increase visibi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is also filled in the irregularities. For this reason, in normal state, ie, room temperature state, the adhesiveness (referred to as "tackiness") of peelable degree can be provided, and when it heats to the temperature which can be melted, it will have fluidity and the unevenness | corrugation of a joining surface will be provid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hich can be filled to every corner and finally adhered to each other firmly have been developed.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05296호)에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 100질량부와, 가교제 (b) 0.5~20질량부와, 광중합 개시제 (C) 0.1~5질량부를 함유하는 점착제 수지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A)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104~5.0×105인 그래프트 공중합체이며, 당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줄기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유래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고, 당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가지 성분으로서 수평균 분자량 5.0×102 이상 6.0×103 미만인 매크로 모노머 유래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며, 또한 당해 매크로 모노머 유래의 반복 단위를 아크릴계 공중합체 (A) 중에 0.1~3mol%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5-105296) discloses 100 parts by mass of an acrylic copolymer (A), 0.5 to 20 parts by mass of a crosslinking agent (b), and 0.1 to 5 parts by mass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 As an adhesive resin composition to contain, an acryl-type copolymer (A) is a graft copolymer whos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s are 5.0 * 10 <4> -5.0 * 10 <5> , and it is a repeat derived from (meth) acrylic acid ester as a stem component of the said graft copoly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macromonomer containing a unit and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 × 10 2 or more and less than 6.0 × 10 3 as a branch component of the graft copolymer, and further compris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macromonomer in an acrylic copolymer (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in the ratio of 0.1 to 3 mol%).

이런 종류의 점착 시트는, 핸들링성의 확보나 점착면에 대한 이물의 부착 방지의 관점에서 점착면에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이형 필름」이라고도 한다)을 적층하여 점착 시트 적층체로서 유통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중에서도, 터치 디스플레이의 터치 패널이나 액정 패널, 표면 보호 패널 등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맞붙이기 위하여 이용되는 투명 양면 점착 시트에 관해서는, 광학 특성이나 유연성을 담보하는 관점에서 투명 점착 시트 자체를 얇고 유연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점착 시트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적층체로서 많이 이용되어 왔다.It is common for this kind of adhesive sheet to laminate | stack a protective film (also called a "release film") which can peel on an adhesive surface, and distribute | distribute as an adhesive sheet laminated body from a viewpoint of ensuring handling property and preventing adhesion of a foreign material to an adhesive surface. . Among them, the transparent adhesive sheet itself is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optical characteristics and flexibility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double-sided adhesive sheet used to bond image display device structural members such as a touch panel,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surface protection panel of a touch display. Since it is preferable to make it thin and flexible, it has been used a lot as an adhesive sheet laminated body formed by laminating | stacking a release film on an adhesive sheet.

이런 종류의 점착 시트 적층체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4(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02467호)에 있어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와, 수산기를 갖는 수지를 폴리머 블랜드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투명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시트의 사이에 끼워 핫멜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About this kind of adhesive sheet laminated body,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4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9-102467), it has an ABA-type triblock copolymer which consists of an acrylic acid ester and a methacrylic acid ester, and a hydroxyl group.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med by hot-melt molding an acrylic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btained by polymer blending a resin is sandwiched between release sheets.

특허문헌 5(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5037호)에는, 박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점착층을 구비하고, 당해 점착층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가교 후의 점착층은,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인장 저장 탄성률의 온도 분산 거동을 측정했을 때에, 25℃~120℃의 온도 범위 중 어느 온도에 있어서도 5만Pa 이상 100만Pa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5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0-185037) is an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the adhesion layer in at least one surface of a peeling film, and crosslinking the said adhesion layer, The adhesion layer after the said bridge | crosslinking is a frequency of 1 Hz. When measuring the temperature-dispersion behavior of the tensile storage elastic modulus in it, the adhesive sheet which is in the range of 50,000 Pa or more and 1 million Pa is disclosed also in any temperature of 25 degreeC-120 degreeC.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94976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4-094976 일본 특허공보 제4971529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971529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05296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5-10529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02467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10246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5037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0-185037

광경화 가능한 성질(「광경화성」이라고 한다)을 갖는 점착 시트는, 광경화하기 전에는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이 낮기 때문에, 점착 시트의 표리 양측에 이형 필름을 적층한 상태에서 상온 상태로 보관하고 있으면, 점착제가 적층 단면으로부터 밀려나와, 먼지가 부착하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장척(長尺)의 점착 시트를 롤형으로 권회(捲回)하여 점착 시트 권회체 상태로 보관한 경우, 점착 시트에 권압(卷壓)이 걸린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점착제가 롤 단면으로부터 특히 밀려나오기 쉽다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롤 단면으로부터 점착제가 밀려나오면, 밀려나온 점착제가 단면에서 융합하기 때문에, 롤에서 점착 시트를 조출(繰出)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점착 시트를 절삭할 때에 장치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점착 시트 권회체를 저온 상태로 보관하는 등, 여분의 코스트가 필요했다.Since the gel fraction of an adhesive sheet is low before photocuring, since the adhesive sheet which has a photocurable property (referred to as "photocurability") is stored at room temperature in the stat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release film on both front and back sides of an adhesive sheet,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an adhesive pushed out from a laminated end surface, and dust adhered. Especially, when a long adhesive sheet is rolled up in roll shape and stored in the adhesive sheet wound body state, since the adhesive sheet is stored in the state which clamp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 adhesive is roll-crossed We had a problem that it was easy to be pushed out especially from.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ushed out from the end face of the roll, the pushed-out pressure-sensitive adhesive fuses in the end fac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xtrac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rom the roll or to contaminate the device when cut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 For this reason, an extra cost was needed, such as storing an adhesive sheet winding body at low temperature.

본 발명은 광경화성을 갖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온 상태로 보관한 경우여도, 점착제가 단면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photocurable property, and is intended to propose a new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hich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rom being pushed out from the end face even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본 발명은, 광경화성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시트 가장자리(端緣)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mm]의 영역(「가장자리 폭 영역」이라고 한다)과, 당해 가장자리 폭 영역으로부터 시트 중앙의 영역(「중앙 영역」이라고 한다)이, 이하의 조건 (1) 및 (2)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를 제안한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photocurable property, the width w [mm] of the area from the sheet edge toward the center of the sheet (referred to as the "edge width area") and the area of the sheet center from the edge width area. ("Center region") proposes an adhesive sheet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following conditions (1) and (2).

(1)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이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보다 크다.(1)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edge width region is larg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central region.

(2) 점착 시트의 두께를 d[mm]로 했을 때, 30d<w<100d를 충족시킨다.(2)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is set to d [mm], 30d <w <100d is satisfied.

본 발명은 또, 점착 시트의 표리 일측 또는 양측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롤형으로 권회한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로서, 상기 점착 시트는, 광경화성을 갖고, 또한 짧은 길이 방향 양측 시트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mm]의 영역(「가장자리 폭 영역」이라고 한다)과, 당해 가장자리 폭 영역으로부터 시트 중앙의 영역(「중앙 영역」이라고 한다)이, 이하의 조건 (1) 및 (2)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를 제안한다.This invention is an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which rolled up the adhesive sheet which consists of a release film which laminates a release film on the front and back or both sides of an adhesive sheet in roll shape, The said adhesive sheet is photocurable And a region of width w [mm] (referred to as "edge width region") from the sheet edges on both sides in the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gion at the center of the sheet from the edge width region (referred to as "center region"). This, the following conditions (1) and (2) are satisfied,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is proposed.

(1)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이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보다 크다.(1)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edge width region is larg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central region.

(2) 점착 시트의 두께를 d[mm]로 했을 때, 30d<w<100d를 충족시킨다.(2)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is set to d [mm], 30d <w <100d is satisfied.

본 발명은 또, 상기의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광경화성을 갖는 점착 시트의 표리 일측 또는 양측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제작하고, 당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가장자리 폭 영역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을 중앙 영역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This invention is also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adhesive sheet, Th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formed by laminating | stacking a release film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r both sides of the adhesive sheet which has photocurability, and is equipped with the said release film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sheet in an edge width area | region is made to irradiate light to the edge width area | region of a sheet | sea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sheet characterized by making it larg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sheet of a center area | region.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점착 시트,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온 상태로 보관한 경우여도, 점착제가 단면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 시트를 롤형으로 권취한 상태로 보관 내지 운반한 경우여도, 점착제가 롤 단면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und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rom being pushed out from the end face even when stored at normal temperature. For example, even when the adhesive sheet is stored or transported in a rolled state, it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that the adhesive is pushed out of the roll end f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상면도다.
도 3은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시트 폭방향(TD 방향) 양단 부분에 광을 조사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A)는 시트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방법, (B)는 시트면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which concerns on an example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 top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irradiating light to both ends of a sheet width direction (TD direction) of an adhesive sheet having a release film, (A) is a method of irradiating light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heet surface; (B) is a figure explaining the method of irradiating light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of a sheet surface.

다음으로, 실시형태의 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아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the example of embodiment. 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described below.

[본 점착 시트][This adhesive sheet]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점착 시트(「본 점착 시트」라고 한다)는, 광경화성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시트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mm]의 영역, 바꾸어 말하면, 시트면에 있어서의 시트 가장자리를 따르는 폭 w[mm]의 영역(「가장자리 폭 영역」이라고 한다)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이, 당해 가장자리 폭 영역으로부터 시트 중앙의 영역(「중앙 영역」이라고 한다)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보다 크다는 특징을 갖는 점착 시트이다.The adhesive sheet (called "this adhesive sheet") which concerns on an example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an adhesive sheet which has photocurability, The area | region of width w [mm] toward a sheet center from a sheet edge, in other words, a sheet surface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region of the width w [mm] along the sheet edge in the sheet (called the "edge width region") is the region of the sheet center from the edge width region (called the "center region"). It is an adhesive sheet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it is larg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sheet in.

<본 점착 시트의 형태><Form of this adhesive sheet>

본 점착 시트는, 직사각 형상의 점착 시트여도 되고, 장척(長尺)의 점착 시트여도 되며, 롤형으로 권회된 점착 시트 권회체여도 되고, 그 외의 형태여도 된다.A rectangular adhesive sheet may be sufficient as this adhesive sheet, a long adhesive sheet may be sufficient, the adhesive sheet wound body wound by roll shape may be sufficient, and other forms may be sufficient as it.

또, 본 점착 시트는, 표리 일측 또는 양측에 이형 필름이 적층된 상태로 존재해도 된다.Moreover, this adhesive sheet may exist in the state in which the release film was laminated | stacked on the front and back side or both sides.

이때, 「장척」이란, 길이 치수가 폭치수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길이 치수가, 5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상한값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굳이 규정하자면, 당해 상한값은 500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long" means that a length dimension is larger than a width dimension. Specifically, it means that the length dimension is 5 m or more, preferably 10 mm or more. The upper limit is not limited. To prescrib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upper limit is 500 m or less.

그 중에서도, 본 점착 시트의 적합한 일례로서, 본 점착 시트의 표리 일측 또는 양측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롤형으로 권회한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본 권회체」라고도 한다.)를 들 수 있다.Especially, as a suitable example of this adhesive sheet,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which rolled up th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which laminates a release film in the front and back sides or both sides of this adhesive sheet in roll shape (" This is called "the winding body.").

또, 통상의 점착 시트 권회체에 있어서는, 롤 폭이 넓을 수록 점착제의 밀려나옴이 현저해진다. 이에 대해서, 본 권회체라면, 광폭의 롤이어도 점착제의 밀려나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권회체에 있어서의 상기 롤 폭은 20mm~20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0mm 이상 또는 150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Moreover, in a normal adhesive sheet winding body, the push out of an adhesive becomes remarkable so that a roll width is wider. On the other hand, with this winding body, even if it is a wide roll, it can suppress the push out of an adhesive effectivel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roll width in this wound body is 20 mm-2000 mm,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0 mm or more or 1500 mm or less especially.

<본 점착 시트의 겔 분율><Gel fraction of this adhesive sheet>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롤 단면으로부터 점착제가 밀려나오는 현상은, 이형 필름 사이의 점착 시트의 두께에 따라 거동이 다른 것이 발견되었다. 즉, 본 점착 시트에 있어서, 가장자리 폭 영역, 즉 겔 분율이 높은 부분의 폭 w[mm]가 점착 시트의 두께 d에 비해서 작으면, 가장자리 폭 영역의 겔 분율을 높였다고 해도, 예를 들면 점착 시트를 롤형으로 권취한 점착 시트 권회체로서 보관하면, 권압에 의해 점차 점착제가 롤 단면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ors, it was discovered that the behavior which an adhesive sticks out from a roll end surface differs with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between mold release films. That is, in this adhesive sheet, if the width w [mm] of the edge width area | region, ie, the part with a high gel fraction, is small compared with the thickness d of an adhesive sheet, even if the gel fraction of the edge width area was raised, for example, When the sheet is stored as a rolled-up adhesive sheet wound bo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gradually comes out of the roll end face by the pressure.

또, 점착제의 밀려나옴의 거동은, 가장자리 폭 영역의 폭과 점착 시트의 두께의 사이에 일정한 관계성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즉, 겔 분율이 높은 부분의 폭 w[mm]를 점착 시트의 두께 d[mm]에 대해서, 30d<w의 비율로 설정하면, 통상의 점착 시트의 경우에는 물론, 점착 시트 권회체로서 보관한 경우여도, 가장자리 폭 영역의 겔 분율을 적절히 높이는 것에 의해, 점착제가 롤 단면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it was discovered that the behavior of pushing out of an adhesive has a constant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of an edge width area | region and the thickness of an adhesive sheet. That is, if the width w [mm] of the part with a high gel fraction is set to the ratio of 30 d <w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 [mm] of an adhesive sheet, in the case of a normal adhesive sheet, of course, it stored as an adhesive sheet winding body. Even in the case, by appropriately increasing the gel fraction in the edge width region, it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ushed out of the roll end surface.

이러한 관점에서 가장자리 폭 영역 즉 겔 분율이 높은 부분의 폭 w[mm]와 점착 시트의 두께 d[mm]의 관계는, 30d<w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5d<w, 그 중에서도 40d<w, 그 중에서도 45d<w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w [mm] of the edge width region, i.e., the portion having the high gel fraction, and the thickness d [mm]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s preferably 30d <w, and among them, 35d <w, and particularly, 40d <w. Especial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45d <w.

한편, 본 점착 시트를 점착 시트로서 사용할 때에는 통상, 가장자리 폭 영역을 절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가장자리 폭 영역의 폭이 너무 크면, 점착 시트로서 사용하지 않는 부분이 많아져 고비용이 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is adhesive sheet is used as an adhesive sheet, since the edge width area | region is normally cut out and used, when the width | variety of an edge width area | region is too large, the part which is not used as an adhesive sheet will become high and it will become expensive.

이러한 관점에서 w<100d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w<80d, 그 중에서도 w<70d, 그 중에서도 w<60d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w <100d is preferable, and w <80d among them, w <70d among them, more preferably w <60d among them.

이상을 종합하면, 상기 폭 w는, 30d<w<100d, 30d<w<80d, 30d<w<70d 또는 30d<w<60d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d<w<100d, 35d<w<80d, 35d<w<70d 또는 35d<w<60d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d<w<100d, 40d<w<80d, 40d<w<70d 또는 40d<w<60d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45d<w<100d, 45d<w<80d, 45d<w<70d 또는 45d<w<60d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sum, the width w is preferably any one of 30d <w <100d, 30d <w <80d, 30d <w <70d or 30d <w <60d, and 35d <w <100d, 35d <w It is more preferable that any one of <80d, 35d <w <70d or 35d <w <60d, and any one of 40d <w <100d, 40d <w <80d, 40d <w <70d or 40d <w <60d More preferably, it is most preferable either 45d <w <100d, 45d <w <80d, 45d <w <70d, or 45d <w <60d.

예를 들면 본 점착 시트의 두께 d가 0.1mm인 경우, 겔 분율이 높은 부분인 가장자리 폭 영역의 폭 w[mm]는 3mm~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5mm 이상 또는 8.0mm 이하, 그 중에서도 4.0mm 이상 또는 7.0mm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4.5mm 이상 또는 6.0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d of this adhesive sheet is 0.1 mm,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 [mm] of the edge width area | region which is a part with a high gel fraction is 3 mm-10 mm, Especially, 3.5 mm or more or 8.0 mm or less, The Among them,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4.0 mm or more or 7.0 mm or less, especially 4.5 mm or more or 6.0 mm or less.

본 점착 시트가 장척의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짧은 길이 방향 양측 시트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mm]의 영역이 상기 가장자리 폭 영역이면 된다.When this adhesive sheet is a long adhesive sheet, the area | region of width w [mm] should just be the said edge width area | region from the sheet | seat edge of a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sheet center.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은,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보다 1%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 이상, 그 중에서도 10% 이상, 또한 그 중에서도 15% 이상 또는 99% 이하만큼 큰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sheet in an edge width area | region is 1% or more larg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sheet in a center area | region, Especially 5% or more, Especially 10% or more, Especially 15% or more Or as high as 99% or less.

구체적으로는, 가장자리 폭 영역의 겔 분율은 15% 이상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0% 이상, 그 중에서도 25% 이상, 또한 그 중에서도 30% 이상 또는 99%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gel fraction in the edge width region is preferably 15% or more and less than 100%, more preferably 20% or more, particularly 2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0% or more or 99% or less.

이상을 종합하면, 가장자리 폭 영역의 겔 분율은, 15% 이상 100% 미만 또는 15% 이상 9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100% 미만 또는 20% 이상 99%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이상 100% 미만, 또는 25% 이상 99%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0% 이상 100% 미만, 또는 30% 이상 99%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summary, the gel fraction in the edge width region is preferably 15% or more but less than 100% or 15% or more and 99% or less, more preferably 20% or more and less than 100% or 20% or more and 99% or less, and 25%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t least 100%, or 25% or more and 99% or less, and most preferably 30% or more and less than 100%, or 30% or more and 99% or less.

또,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는, 겔 분율의 표준 편차가 3% 이하, 그 중에서도 2.5% 이하, 그 중에서도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e edge width area | reg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a gel fraction is 3% or less, especially 2.5% or less, especially 2% or less.

또한, 중앙 영역에 있어서도, 겔 분율의 표준 편차가 3% 이하, 그 중에서도 2.5% 이하, 그 중에서도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lso in a center area | reg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a gel fraction is 3% or less, especially 2.5% or less, especially 2% or less.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겔 분율의 표준 편차가 3% 이하라는 것은,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겔 분율이 균일한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와 같이 가장자리 폭 영역의 겔 분율이 균일하게 높은 것에 의해, 점착제가 단면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보다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gel fraction in the edge width region is 3% or less means that the gel fraction in the edge width region is uniform, and thus the gel fraction in the edge width region is uniform. By being high, it can prevent more reliably that an adhesive pushes out from an end surface.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겔 분율의 표준 편차는 작을 수록 균일성이 좋은 점에서, 그 하한값은, 예를 들면 0% 이상 또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당해 하한값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 smaller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gel fraction in the edge width region, the better the uniformity, and the lower limit thereof is preferably 0% or more or 1% or more, for example. However,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o the said lower limit.

본 점착 시트, 그 중에서도 본 권회체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겔 분율이 15~100%인 가장자리 폭 영역과, 당해 가장자리 폭 영역보다 겔 분율이 작은 중앙 영역을 갖는, 광경화성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당해 가장자리 폭 영역의 폭 w[mm]와 점착 시트의 두께 d[mm]가 30d<w<100d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를 들 수 있다. 상세에 대해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The adhesive sheet which has a photocurable property which has the edge width area | region which a gel fraction is 15-100%, and the center area | region which is smaller than the said edge width area | region as a preferable aspect of this adhesive sheet, especially this winding body, The said edge The adhesive sheet characterized by the width | variety w [mm] of the width area | region and the thickness d [mm] of an adhesive sheet satisfy | filling 30d <w <100d. Details are as described above.

본 권회체의 더 바람직하는 형태로서, 겔 분율이 15~100%인 가장자리 폭 영역과, 겔 분율이 0% 이상 15% 미만인 중앙 영역을 갖는, 광경화성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당해 가장자리 폭 영역의 폭 w[mm]와 점착 시트의 두께 d[mm]가 30d<w<100d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를 들 수 있다. 상세에 대해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As a more preferable aspect of the present wound body, there is provided a photocurable adhesive sheet having an edge width region having a gel fraction of 15 to 100% and a central region having a gel fraction of 0% or more and less than 15%, wherein The adhesive sheet characterized by the width | variety w [mm] and the thickness d [mm] of an adhesive sheet satisfy | filling 30d <w <100d. Details are as described above.

또한, 겔 분율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In addition, a gel fraction can be calculated | required as follows.

가장자리 폭 영역 및 중앙 영역으로부터 약 0.05g의 점착제를 채취하고, 미리 질량(X)을 측정한 스테인리스 메쉬(#200)로 주머니 모양으로 싸, 주머니의 입을 구부려 닫고, 이 주머니의 질량(Y)을 측정한 후, 100ml의 아세트산 에틸에 침지시켜, 23℃에서 24시간 암소(暗所) 보관한다. 다음으로, 주머니를 꺼내, 70℃에서 4.5시간 가열하여, 부착되어 있는 아세트산 에틸을 증발시켜, 건조시킨 주머니의 질량(Z)을 측정하고, 측정한 질량을 하기 식에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About 0.05 g of the adhesive was taken from the edge width region and the center region, wrapped in a bag shape with a stainless steel mesh (# 200), in which the mass (X) was measured in advance, the mouth of the bag was bent and closed, and the mass (Y) of the bag was closed. After measurement, it was immersed in 100 ml of ethyl acetate and stored dark at 23 degreeC for 24 hours. Next, the bag is taken out, heated at 70 ° C. for 4.5 hours, the adhered ethyl acetate is evaporated, the mass (Z) of the dried bag is measured, and the measured mass is substituted by the following formula.

겔 분율[%]=[(Z-X)/(Y-X)]×100Gel fraction [%] = [(Z-X) / (Y-X)] x 100

본 점착 시트는 광경화성을 갖는다. 특히, 최종 경화시의 겔 분율, 예를 들면 피착체의 사이에 본 점착 시트를 개재시켜 광조사하여 광경화시킨 후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최종 경화시 겔 분율」이라고 한다)은 20%~100%, 그 중에서도 25% 이상 또는 95% 이하, 그 중에서도 30% 이상 또는 9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최종 경화시의 겔 분율」이란, 본 점착 시트를 완전히 경화시켰을 때의 겔 분율의 의미이기도 하고, 또, 완전히는 경화시키지 않고 사용할 때의 겔 분율의 의미이기도 하다.This adhesive sheet has photocurability. In particular, the gel fraction at the time of final curing, for example, the gel fraction (called "gel fraction at the time of final curing")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after light irradiation through the presen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between the adherends, is photocure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0%, especially 25% or more or 95% or less, especially 30% or more or 90% or less. Here, "gel fraction at the time of final hardening" is also a meaning of the gel fraction at the time of hardening this adhesive sheet completely, and also a meaning of the gel fraction at the time of using without making it harden | cure completely.

또한, 사용되고 있는 점착 시트가 본 점착 시트에 해당되는지 아닌지는, 가장자리 폭 영역으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일정 폭, 바람직하게는 0.1mm~1.0mm 폭마다 측정 샘플을 채취하고, 각 측정 샘플의 겔 분율을 측정하여, (1)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이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보다 큰지 아닌지, 나아가서는 (2) 중앙 영역보다 겔 분율이 큰 가장자리 폭 영역의 폭 d[mm]가, 30d<w<100d를 충족시키는지 아닌지를 조사하면 된다.In addition, whether or not the adhesive sheet being used corresponds to the present adhesive sheet, a measurement sample is taken every width, preferably 0.1 mm to 1.0 mm, from the edge width region toward the sheet center, and the gel fraction of each measurement sample is determined. It is measured whether (1)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edge width region is larg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center region, or (2) the width d of the edge width region in which the gel fraction is larger than the center region. It may be checked whether [mm] satisfies 30d <w <100d.

이때, 중앙 영역의 겔 분율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0% 이상 1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겔 분율은 15% 이상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gel fraction in the central region is preferably 0% or more and less than 15% as described above, and the gel fraction in the edge width region is preferably 15% or more and less than 100%.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 시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 영역까지의 겔 분율이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양자의 경계가 불명료한 경우에 있어서는, 겔 분율 15%를 경계로 한다. 즉, 겔 분율 15% 이상의 영역을 가장자리 폭 영역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점착 시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 영역까지의 겔 분율이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가장자리 폭 영역,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겔 분율의 값은, 각각의 영역의 평균값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when the gel fraction from the edge of an adhesive sheet to a center area | region changes continuously, and the boundary of both is unclear, the gel fraction is 15%. That is, the area | region which is 15% or more of gel fraction is made into an edge width area | region. Thus, when the gel fraction from the edge of an adhesive sheet to a center area | region changes continuously, the value of the gel fraction in an edge width area | region and a center area | region shall be an average value of each area | region.

본 점착 시트의 두께 d는, 0.05mm~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라면, 예를 들면 두께 0.05mm와 같이 얇은 점착 시트이면, 인쇄 단차 추종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두께 1mm와 같은 두꺼운 점착재층에서는 인쇄 단차 상당분이 미리 부형(賦形)되어 있는 것에 의해, 맞붙임시의 점착재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d of this adhesive sheet is 0.05 mm-1 mm. If it is this range, if it is a thin adhesive sheet like thickness 0.05mm, for example, the adhesive sheet excellent in the printing step tracking | following property can be provided. Moreover, in the thick adhesive material layer like thickness 1mm, since a printing step equivalency is shape | molded previously,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the overflow of the adhesive material at the time of sticking.

따라서, 본 점착 시트의 두께 d는 0.05mm~1mm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75mm 이상 또는 0.8mm 이하, 그 중에서도 0.1mm 이상 또는 0.5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d of this adhesive sheet is 0.05 mm-1 mm, and especial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075 mm or more or 0.8 mm or less, especially 0.1 mm or more or 0.5 mm or less.

이상을 종합하면, 본 점착 시트의 두께 d는, 0.05mm~1mm, 0.05mm~0.8mm 또는 0.05mm~0.5mm 이하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75mm~1mm, 0.075mm~0.8mm 또는 0.075mm~0.5mm 이하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mm~1mm, 0.1mm~0.8mm 또는 0.1mm~0.5mm 이하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summary,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d of the present adhesive sheet is any one of 0.05 mm to 1 mm, 0.05 mm to 0.8 mm, or 0.05 mm to 0.5 mm or less, and 0.075 mm to 1 mm, 0.075 mm to 0.8 mm, or 0.075.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ny one of mm-0.5 mm or less, and it is most preferable that it is any one of 0.1 mm-1 mm, 0.1 mm-0.8 mm, or 0.1 mm-0.5 mm or less.

또한, 본 점착 시트의 두께 d에는, 이형 필름의 두께는 포함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hickness d of a release film does not contain the thickness d of this adhesive sheet.

<본 점착 시트의 구성><Configuration of this PSA sheet>

본 점착 시트는,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재층의 단층이어도 되고, 2층, 3층 등의 복수층의 점착제층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This adhesive sheet may be a single layer of the adhesive material layer which consists of an adhesive composi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layers of adhesive layers, such as two layers and three layers.

또, 본 점착 시트는, 심층(芯層)으로서 기재층(점착성을 갖지 않는 층)을 갖고, 당해 기재층의 양측에, 점착재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심층으로서의 기재층은 점착 시트 적층체가 가열 성형 가능하게 되는 재질이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is adhesive sheet may have a base material layer (layer which does not have adhesiveness) as a deep layer, and the structure which the layer which consists of adhesive materials is laminated |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said base material layer may be sufficient. In the case of such a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material layer as a deep layer has the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 which an adhesive sheet laminated body can heat-mold.

또,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재층이 유연한 성질을 가질수록 점착제의 밀려나옴이 현저해지는 점에서, 본 점착 시트는, 탄성보다 점성의 기여가 큰 상태에 있을수록, 본 발명의 효과가 특히 현저하게 나타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more prominent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s a flexible property,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remarkable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in a state where the contribution of viscosity is greater than elasticity. appear.

구체적으로는, 주파수 1Hz, 온도 80℃에 있어서, 본 점착 시트의 손실 탄젠트(Tanδ=손실 전단 탄성률 G''/저장 전단 탄성률 G')의 값이 1을 넘는 경우, 본 발명의 효과가 특히 현저하게 나타난다. 즉, 상기 조건하에서, 점착 시트의 Tanδ가 1을 넘는다는 것은, 탄성보다 점성의 기여가 큰 것을 의미하며, 점착제가 보다 흐르기 쉬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Tanδ가 1을 넘는 점착 시트에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면, 점착제의 밀려나옴 방지 효과가 특히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Specifically,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remarkable when the value of the loss tangent (Tan δ = loss shear modulus G '' / storage shear modulus G ') of the present adhesive sheet is greater than 1 at a frequency of 1 Hz and a temperature of 80 ° C. Appears. That is,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at Tan δ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exceeds 1 means that the contribution of viscosity is greater than elasticity,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nds to flow more easily. Therefore, when the technique of this invention is used for the adhesive sheet whose Tan-delta exceeds 1,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ticking out of an adhesive will be especially remarkable.

이상으로부터, 본 점착 시트의 Tanδ는 1을 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은 반드시 설정할 필요는 없다. 굳이 당해 상한값을 설정하자면, 10 이하이다.As mention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an-delta of this adhesive sheet exceeds one. In addition, an upper limi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set. It is 10 or less to set the upper limit.

본 점착 시트에 있어서, Tanδ의 값을 조정할 때에는, 점착제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의해 조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종류 및 조성 비율이나, 가교제 및 개시제의 종류와 양 외에, 베이스 수지의 분자량이나 가교 조건 등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다.In this adhesive sheet, when adjusting the value of Tan (delta),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djust by the structural component of an adhesive composition.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kind and composition ratio of the monomer which comprises a base resin, the kind and quantity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n initiator, adjustment is possible by the molecular weight, crosslinking conditions, etc. of a base resin.

상기 Tanδ의 값은, 점탄성 측정 장치 다이나믹 애널라이저(예를 들면, 레오메트릭스사(Rheometrics, Inc.)제 「RDAII」)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저장 전단 탄성률(G') 및 손실 전단 탄성률(G'')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구하면 된다.The value of Tan δ is determined by the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dynamic analyzer (for example, "RDAII" manufactured by Rheometrics, Inc.)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the storage shear modulus (G ') and the loss shear modulus ( This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G '').

<조건><Condition>

·지그: Φ20mm 패럴렐 플레이트Jig: Φ20mm parallel plate

·온도: -50~200℃(승온 속도 3℃/min으로 측정)Temperature: -50 to 200 ° C (measured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3 ° C / min)

·주파수: 1HzFrequency: 1Hz

·왜곡각: 0.1%Distortion angle: 0.1%

<본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의 재료 조성><Material composition of the adhesive layer which comprises this adhesive sheet>

본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광경화성을 갖고 있으면, 종래 공지의 점착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If the adhesive layer of this adhesive sheet has photocurability, it can be formed with a conventionally well-known adhesive material.

여기에서, 상기 광경화성으로서는, 전자선 이외의 파장, 구체적으로는, 파장 200nm~780nm의 파장 영역의 광으로 경화 가능한 경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s said photocurability, it is preferable to have sclerosis | hardenability which can be hardened | cured by the wavelength of wavelengths other than an electron beam, specifically, the wavelength range of 200 nm-780 nm of wavelengths.

본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1)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중합체(공중합체를 포함한다는 의미로, 이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라고 한다.)를 베이스 수지로서 이용하고, 이것에 가교 모노머, 필요에 따라 가교 개시제나 반응 촉매 등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이나,The adhesive layer of this adhesive sheet uses, for example, 1) (meth) acrylic acid ester polymer (meaning that it contains a copolym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rylic acid ester system (co) polymer") as a base resin,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crosslinking monomer, a crosslinking initiator, a reaction catalyst, and the like, as necessary;

2)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계 (공)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서 이용하고, 이것에 가교 모노머, 필요에 따라 가교 개시제나 반응 촉매 등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이나,2) an adhesive composition obtained by using butadiene or isoprene-based (co) polymer as a base resin, and blending a crosslinking monomer, a crosslinking initiator, a reaction catalyst, etc. to this,

3) 실리콘계 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 이용하고, 이것에 가교 모노머, 필요에 따라 가교 개시제나 반응 촉매 등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이나,3)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silicone-based polymer as a base resin and blending a crosslinking monomer, a crosslinking initiator, a reaction catalyst, etc., if necessary;

4) 폴리우레탄계 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서 이용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4) The polyurethane adhesive composition etc. which used the polyurethane polymer as a base resin are mentioned.

그 중에서도,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적합한 점착제 조성물의 일례로서, 베이스 수지로서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와, 가교제 (b)와, 광중합 개시제 (c)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Especially, as an example of the suitable adhesive composition which comprises the said adhesive layer,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meth) acrylic-type (co) polymer (a) as a base resin, a crosslinking agent (b), and a photoinitiator (c) is mentioned. Can be.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Meth) acrylic (co) polymer (a))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는, 이것을 중합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아크릴 모노머나 메타크릴 모노머의 종류, 조성 비율, 나아가서는 중합 조건 등에 의해, 유리 전이 온도(Tg) 등의 특성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Meth) acrylic-type (co) polymer (a) adjusts suitably characteristics, such a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by the kind, composition ratio, and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conditions of an acryl monomer and methacryl monomer used in order to superpose | polymerize this, etc. It is possible to do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Among the acrylic ester (co) polymers, (meth) acrylic acid alkyl ester-based (co) polymers are particularly preferred.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중합 형태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The polymerization form of the acrylic ester copolymer may be either a random copolymer, a block copolymer or a graft copolymer.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아크릴레이트, p-쿠밀페놀 EO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a monomer component which comprises the said (meth) acrylic-acid alkylester (co) polymer, For exampl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sec-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isopentyl (meth) acrylate, Neopentyl (meth) acrylate, hexyl (meth) acrylate, cyclohexyl (meth) acrylate, hep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n-octyl acrylate, isooctyl acrylate, nonyl ( Meth) acrylate, isononyl (meth) acrylate, t-butylcyclohexyl (meth) acrylate, decyl (meth) acrylate, isodecyl (meth) acrylate, undecyl (meth) acrylate, lauryl ( Met) Arc Rate, cetyl (meth) acrylate, stearyl (meth) acrylate, isostearyl (meth) acrylate, behen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2-phenoxyethyl (meth ) Acrylate, 3,5,5-trimethylcyclohexaneacrylate, p-cumylphenol EO-modified (meth) acrylate, dicyclopentanyl (meth) acrylate, dicyclopentenyl (meth) acrylate, dicyclophene Tenyloxyethyl (meth) acrylate, benzyl (meth) acrylate, etc. are mentioned.

또,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상기에서 예로 든 것 외에, 친수기나 유기 관능기 등을 갖는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나,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말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말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석신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말레산 모노메틸, 이타콘산 모노메틸 등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α-에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3,4-에폭시부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메트)아크릴아미드, N-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다이아세톤아크릴아미드, 말레산 아미드, 말레이미드 등의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카르바졸 등의 복소환계 염기성 모노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Moreover, as a monomer component which comprises the said (meth) acrylic-acid alkylester (co) polymer, the hydroxyethyl (meth) acrylate, hydroxypropyl (meth) acryl which has a hydrophilic group, an organic functional group, etc. other than what was mentioned above is mentioned above. Hydroxyl-containing (meth) acrylates, such as a late, hydroxybutyl (meth) acrylate, and glycerol (meth) acrylate, (meth) acrylic acid, 2- (meth) acryloyloxyethylhexahydrophthalic acid, 2- ( Meth) acryloyloxypropylhexahydrophthalic acid, 2- (meth) acryloyloxyethylphthalic acid, 2- (meth) acryloyloxypropylphthalic acid, 2- (meth) acryloyloxyethyl maleic acid, 2- (Meth) acryloyloxypropyl maleic acid, 2- (meth) acryloyloxyethyl succinic acid, 2- (meth) acryloyloxypropyl succinic acid, croton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Carboxyl groups such as monomethyl and monomethyl itaconic acid Acid anhydrid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oil monomers, maleic anhydride and itaconic anhydride, epoxy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glycidyl (meth) acrylate, glycidyl (alpha) -ethyl acrylate, and 3,4-epoxybutyl (meth) acrylate; Amino-group-containing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s, such as 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and di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Nt-butyl (meth) acrylamide, and N-methylol ( Monomers containing amide groups, such as meth) acrylamide, N-methoxymethyl (meth) acrylamide, N-butoxymethyl (meth) acrylamide, diacetone acrylamide, maleic acid amide, maleimide, vinylpyrrolidone Heterocyclic basic monomers, such as vinylpyridine and vinylcarbazole, can also be used.

또, 상기 아크릴 모노머나 메타크릴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스티렌, 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닐,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알킬비닐에테르, 히드록시알킬비닐에테르, 알킬비닐 모노머 등의 각종 비닐 모노머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Moreover, styrene, t-butyl styrene, (alpha) -methylstyrene, vinyltoluene,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vinyl acetate, a vinyl propionate, an alkyl vinyl ether, and hydroxy which can be copolymerized with the said acryl monomer and methacryl monomer are mentioned. Various vinyl monomers, such as an alkyl vinyl ether and an alkyl vinyl monomer, can also be used suitably.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베이스 폴리머의 일례로서,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비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들 수 있다.Especially, as an example of a preferable base polymer, the (meth) acrylic-type copolymer (a1) which consists of a graft copolymer provided with a macromonomer as a branch component is mentioned.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베이스 수지로 하여 점착재층을 구성하면, 점착재층은, 실온 상태에서 시트형을 보지하면서 자착성을 나타낼 수 있고, 미가교 상태에 있어서 가열하면 용융 내지 유동하는 핫멜트성을 가지며, 나아가서는 광경화시킬 수 있고 광경화 후에는 우수한 응집력을 발휘시켜 접착시킬 수 있다.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constituted by using the acrylic copolymer (a1) as a base res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exhibit self-adhesion while retaining a sheet shape at room temperature, and melt or flow hot melt properties when heated in an uncrosslinked state. It can be further photocured, and after photocuring, exhibits excellent cohesive force and can be bonded.

따라서,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사용하면, 미가교 상태에서도, 실온(20℃)에 있어서 점착성을 나타내고, 또한, 5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또는 9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면 연화 내지 유동화하는 성질을 구비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n acryl-type copolymer (a1) is used as a base polymer, even in an uncrosslinked state, it shows adhesiveness at room temperature (20 degreeC), and also 50-100 degreeC, More preferably, it is 60 degreeC or more or 90 degrees C or less. When heated to a temperature, it may have a property of softening or fluidizing.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을 구성하는 공중합체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는, 실온 상태에서의 점착재층의 유연성이나, 피착체에 대한 점착재층의 젖음성, 즉 접착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점착 시트가 실온 상태에서 적당한 접착성(택성)을 얻기 위해서는, 당해 유리 전이 온도는, -7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65℃ 이상 또는 -5℃ 이하, 그 중에서도 -60℃ 이상 또는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Sinc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polymer component which comprises the stem component of the said acryl-type copolymer (a1) affects the softness | flexibility of the adhesive layer in room temperature state, or the wettability, ie adhesiveness of the adhesive layer with respect to a to-be-adhered body, In order for an adhesive sheet to obtain suitable adhesiveness (tackiness) in a room temperature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70 degreeC-0 degreeC, especially -65 degreeC or more or -5 degreeC or less, especially -60 degreeC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more than or -10 degrees C or less.

단, 당해 공중합체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가 같은 온도였다고 해도, 분자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점탄성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중합체 성분의 분자량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보다 유연화시킬 수 있다.However, even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aid copolymer component was the same temperature, viscoelasticity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molecular weight. For example, it can be made softer by making the molecular weight of a copolymer component small.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줄기 성분이 함유하는(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에 열거한 각종 모노머 성분을 들 수 있다.As a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which the stem component of the said acryl-type copolymer (a1) contains, the various monomer components enumerated above are mentioned, for example.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은,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가지 성분으로서, 매크로 모노머를 도입하여, 매크로 모노머 유래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acryl-type copolymer (a1) introduce | transduces a macromonomer as a branch component of a graft copolymer, and contains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macromonomer.

매크로 모노머란, 말단의 중합성 관능기와 고분자량 골격 성분을 갖는 고분자 단량체이다.A macromonomer is a high molecular monomer which has a termin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and a high molecular weight skeleton component.

매크로 모노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구성하는 공중합체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 macromonomer is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polymer component which comprises the said acrylic copolymer (a1).

구체적으로는, 매크로 모노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본 점착 시트의 가열 용융 온도(핫멜트 온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크로 모노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3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40℃ 이상 또는 110℃ 이하, 그 중에서도 50℃ 이상 또는 1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Specifically, sinc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macromonomer affects the heat melting temperature (hotmelt temperature) of the present adhesive shee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macromonomer is preferably 30 ° C to 120 ° C. Especial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40 degreeC or more or 110 degrees C or less, especially 50 degreeC or more or 100 degrees C or less.

이러한 유리 전이 온도(Tg)이면, 분자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가공성이나 보관 안정성을 보지할 수 있음과 함께, 80℃ 부근에서 핫멜트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If it is suc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by adjusting molecular weight, while being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storage stability, it can adjust so that it may melt at 80 degreeC vicinity.

매크로 모노머의 유리 전이 온도란, 당해 매크로 모노머 자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의미하며, 시차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할 수 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 macromonomer mean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aid macromonomer itself, and can measure it with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또, 실온 상태에서는, 가지 성분끼리가 서로 끌어당겨 점착제 조성물로서 물리적 가교를 한 것과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적절한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물리적 가교가 해제되어 유동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크로 모노머의 분자량이나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room temperature state, in order that the branch components may mutually attract each other and physically crosslink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physical crosslinking is released by heating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macromolecules can be obtained to obtain fluidity. It is also preferable to adjust the molecular weight and content of the monomer.

이러한 관점에서 매크로 모노머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1) 중에 5질량%~3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6질량% 이상 또는 25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8질량% 이상 또는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is viewpoint,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macromonomer in the ratio of 5 mass%-30 mass% in an acryl-type copolymer (a1), Especially, 6 mass% or more and 25 mass% or less, Especially 8 mass% or m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ss% or less.

또, 매크로 모노머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 이상 8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00 이상 또는 7500 미만, 그 중에서도 1000 이상 또는 7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a macromonomer are 500 or more and less than 8000, and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800 or more or less than 7500, especially, 1000 or more or less than 7000.

매크로 모노머는, 일반적으로 제조되고 있는 것(예를 들면 토아 가세이사(TOAGOSEI CO., LTD.)제 매크로 모노머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As a macromonomer, what is generally manufactured (for example, the macromonomer made from TOAGOSEI CO., LTD.) Etc. can be used suitably.

매크로 모노머의 고분자량 골격 성분은,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비닐계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igh molecular weight skeleton component of a macromonomer is comprised from an acryl-type polymer or a vinyl type polymer.

상기 매크로 모노머의 말단 중합성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을 들 수 있다.As a terminal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of the said macromonomer, a methacryloyl group, acryloyl group, a vinyl group,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가교제 (b))(Cross-linking system (b))

가교제 (b)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를 가교할 때에 이용하는 가교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로일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복실기, 히드록실기, 카보디이미드기, 옥사졸린기, 아지리딘기, 비닐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가교제를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As a crosslinking agent (b), the crosslinking monomer used when crosslinking an acrylic acid ester polymer can be used. For example, at least 1 sort (s) chosen from a (meth) acryloyl group, an epoxy group, an isocyanate group,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 carbodiimide group, an oxazoline group, an aziridine group, a vinyl group, an amino group, an imino group, and an amide group The crosslinking agent which has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of can be mentioned, You may use it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또한,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탈보호 가능한 보호기로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may be protected with a deprotectable protecting group.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멜라민기, 글리콜기, 실록산기, 아미노기 등의 유기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유기 관능기 수지, 아연, 알루미늄, 나트륨, 지르코늄, 칼슘 등의 금속 착체를 갖는 유기 금속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Especially, the polyfunctional organic functional group which has two or more organic functional groups, such as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which has two or more (meth) acryloyl groups, an isocyanate group, an epoxy group, a melamine group, a glycol group, a siloxane group, an amino group, etc. An organometallic compound having a metal complex such as resin, zinc, aluminum, sodium, zirconium or calcium can be preferably used.

가교제 (b)의 함유량은, 본 점착 시트의 유연성과 응집력의 밸런스를 맞추는 관점에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0.1~2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5질량부 이상 또는 15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1질량부 이상 또는 13질량부 이하의 비율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contain content of a crosslinking agent (b) in the ratio of 0.1-2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said (meth) acrylic copolymers from a viewpoint of balancing the flexibility of the adhesive sheet and cohesion force, and it is 0.5 especially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the ratio of 1 mass part or more or 15 mass parts or less, especially 1 mass part or more or 13 mass parts or less.

(광중합 개시제 (c))(Photoinitiator (c))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를 가교할 때에는, 가교 개시제(과산화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나 반응 촉매(3급 아민계 화합물, 4급 암모늄계 화합물, 라우르산 주석 화합물 등)를 적절히 첨가하면 효과적이다.When crosslinking an acrylic ester polymer, it is effective to add a crosslinking initiator (peroxide initiator,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or reaction catalyst (tertiary amine compound,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tin laurate compound, etc.) as appropriate.

자외선 조사 가교의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 (c)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ultraviolet irradiation crosslinking, it is preferable to mix | blend a photoinitiator (c).

광중합 개시제 (c)는, 라디칼 발생 기구에 따라 크게 2개로 분류되며, 광중합성 개시제 자신의 단결합을 개열(開裂) 분해하여 라디칼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개열형 광중합 개시제와, 광 여기한 개시제와 계 중의 수소 공여체가 여기 착체를 형성하여, 수소 공여체의 수소를 전이시킬 수 있는 수소 인발형(引拔型) 광중합 개시제로 대별된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 is largely classified into two according to the radical generating mechanism, and is a cleavage typ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apable of generating a radical by cleaving a single bond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tself, and a photoexcited initiator and a system The hydrogen donor in this form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hydrogen drawing type photoinitiator which can form an exciplex and transfer hydrogen of the hydrogen donor.

이 중 개열형 광중합 개시제는,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할 때에 분해되어 다른 화합물이 되며, 한 번 여기되면 반응 개시제로서의 기능도 잃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가시광선역에 흡수 파장을 갖는 광중합 개시제로서 당해 분자내 개열형을 이용하면, 수소 인발형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광선 조사에 의해 점착 시트를 가교한 후, 광선 반응성의 광중합성 개시제가 본 점착제 조성물 중에 미반응 잔사로서 남아, 점착 시트의 예기치 못한 경시 변화나 가교의 촉진을 초래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광중합성 개시제 특유의 착색에 대해서도, 반응 분해물이 됨으로써, 가시광선역의 흡수가 없어져, 소색(消色)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Among these, the cleavage typ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decomposes when generating radicals by light irradiation to form another compound, and once excited, also loses its function as a reaction initiator. For this reason, when the said intramolecular cleavage type | mold is used as a photoinitiator which has absorption wavelength in a visible light range,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a hydrogen drawing type | mold, after crosslinking an adhesive sheet by light irradiation, a photoreactiv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of It is preferable because it remains as an unreacted residue in the pres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possibility of causing unexpected changes over time and promotion of crosslink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low. Moreover, also about coloring peculiar to a photopolymerizable initiator, since it becomes a reaction decomposition product, since absorption of a visible light region disappears and a color discoloration can be selected suitably, it is preferable.

한편, 수소 인발형의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라디칼 발생 반응시에, 개열형 광중합 개시제와 같은 분해물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반응 종료 후에 휘발 성분이 되기 어렵고, 피착체에 대한 데미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hydrogen-drawn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does not generate decomposition products such as cleavage-typ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during the radical generation reaction by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such as ultraviolet rays, it is difficult to become a volatile componen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action. Damage can be reduced.

광중합 개시제 (c)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0.1~10질량부, 그 중에서도 0.2질량부 이상 또는 5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0.5질량부 이상 또는 3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단, 다른 요소와의 밸런스에서 이 범위를 넘어도 된다.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0.1-1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meth) acrylic-type copolymers, Especially, containing in a ratio of 0.2 mass part or more or 5 mass parts or less, especially 0.5 mass part or more or 3 mass parts or less especially desirable. However, this range may be exceeded in balance with other elements.

광중합 개시제 (c)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A photoinitiator (c) can be used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그 외의 성분)(Other ingredients)

본 점착 시트는, 상기 이외의 성분으로서, 통상의 점착 조성물에 배합되어 있는 공지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점착 부여 수지나, 산화 방지제, 광 안정화제, 금속 불활성화제, 방청제, 노화 방지제, 흡습제, 가수분해 방지제, 증감제, 대전 방지제, 소포제, 무기 입자 등의 각종의 첨가제를 적절히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is adhesive sheet may contain the well-known component mix | blended with a normal adhesive composition as a component of that excepting the above. For example, appropriately containing various additives such as tackifying resin, antioxidant, light stabilizer, metal deactivator, rust preventive agent, anti-aging agent, hygroscopic agent, hydrolysis inhibitor, sensitizer, antistatic agent, antifoaming agent, inorganic particles, etc. It is possible.

또, 필요에 따라 반응 촉매(3급 아민계 화합물, 4급 암모늄계 화합물, 라우르산 주석 화합물 등)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Moreover, you may suitably contain a reaction catalyst (tertiary amine compound,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tin laurate compound, etc.) as needed.

[본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his adhesive sheet]

본 점착 시트는, 광경화성을 갖는 점착 시트의 표리 일측 또는 양측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제작하고, 당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가장자리 폭 영역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을 높이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This adhesive sheet produces th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formed by laminating | stacking a release film on the front and back or both sides of the adhesive sheet which has photocurability, and irradiates light to the edge width area | region of th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the said release film. It can manufacture by increasing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sheet in an edge width area | region by doing so.

또한, 이때, 당해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은 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5%, 그 중에서도 0~3%이면, 보다 더 본 발명의 효과를 향수(享受)할 수 있다.Moreov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el fraction of the said adhesive sheet is 0 to 10%, and when it is 0 to 5% and especially 0 to 3%, especially,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can be more perfumed.

<점착 시트 권회체의 제조 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다음으로, 본 점착 시트의 일례로서의, 장척의 점착 시트를 롤형으로 감아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권회체, 즉 롤형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adhesive sheet winding object which rolls a long adhesive sheet as an example of this adhesive sheet in roll shape, i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rolled adhesive sheet is demonstrated in detail.

롤형 점착 시트(2)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광경화성을 갖는 장척의 점착 시트(10)의 표리 일측 또는 양측에, 장척의 이형 필름(11, 12)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를 일정 방향(MD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 폭방향(TD 방향) 양단 부분에 있어서의, 시트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mm]의 가장자리 폭 영역(1A, 1A)에 광을 각각 조사하여, 점착 시트(10) 중의 가장자리 폭 영역(1A, 1A)을 경화시킨 후, 상기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를 롤형으로 권취하여 롤형 점착 시트(2)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olled adhesive sheet 2, the release film formed by laminating | stacking the long release film 11 and 12 on the front and back side or both sides of the elongate adhesive sheet 10 which has photocurability is provided,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conveying the adhesive sheet 1 to a fixed direction (MD direction), as shown to FIG. 1 and FIG. 2, the sheet width direction (TD direction) both ends part of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the said release film. After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edge width regions 1A and 1A of the width w [mm] from the sheet edge toward the sheet center, the edge width regions 1A and 1A in the adhesive sheet 10 are cure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by winding up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the said release film in roll shape, and obtaining a rolled adhesive sheet 2.

(광조사 전의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Adhesive sheet 1 having a release film before light irradiation)

광조사 전의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는, 점착 시트(10)의 표리 양측에 이형 필름(11, 12)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장척의 적층 시트로서, 그 점착 시트(10)는, 광경화성을 갖고, 또한 점착 시트(10)의 어느 부분에 있어서도 겔 분율이 0~1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12% 이하, 그 중에서도 1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 본 점착 시트(10)의 표리 일측에만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before light irradiation is a long laminated sheet formed by laminating | stacking the release films 11 and 12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adhesive sheet 10, The adhesive sheet 10 is a sigh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hemically and in all parts of the adhesive sheet 10, a gel fraction exists in the range of 0 to 15%,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2% or less, especially 10% or less. However,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formed by laminating | stacking a release film only to the front and back side of this adhesive sheet 10.

상기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점착제 조성물을 2매의 이형 필름(11, 12) 사이에 두고,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점착재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그 외의 방법으로서 한쪽의 이형 필름(11)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재층을 형성한 후, 다른 한쪽의 이형 필름(12)을 적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단,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the said release film, the method of forming an adhesive material layer using a laminator, for example, putting an adhesive composition between two release films 11 and 12 is mentioned. . Moreover, as another method, after apply | coating an adhesive composition to one release film 11 and forming an adhesive material layer, the method of laminating the other release film 12 is mention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manufacturing method.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리버스 롤코트, 그라비어 코트, 바 코트, 독터 블레이드 코트 등, 종래 공지의 도공 방식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of apply | coating an adhesive composition, conventionally well-known coating methods, such as a reverse roll coat, a gravure coat, a bar coat, a doctor blade coat, are mentioned, for example.

이형 필름(11, 12)으로서는, 공지의 이형 필름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의 캐스트 필름이나 연신 필름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이형 처리한 것이나, 이형지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As the release films 11 and 12, a well-known release film can be used suitably. For example, the thing which carried out the mold release process by apply | coating a silicone resin to the cast film and stretched film of polyester type, a polypropylene type, and a polyethylene type, release paper, etc. can be selected suitably, and can be used.

또, 이형 필름(11, 12)에는, 상기의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 가능한 성분을, 마찬가지로 배합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component which can be mix | blended with said adhesive composition can also be mix | blended with the release film 11, 12 similarly.

또한, 가장자리 폭 영역을 경화하는 방법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형 필름 넘어로 광을 조사하는 방법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이형 필름은, 당해 조사광을 흡수 또는 반사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when performing by the method of irradiating light beyond a release film as mentioned later as a method of hardening an edge width area | reg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lease film has the characteristic which does not absorb or reflect the said irradiation light. .

본 점착 시트(10)의 양측에 이형 필름(11, 12)을 적층하는 경우, 한쪽의 이형 필름(11)은, 다른 한쪽의 이형 필름(12)과 같은 적층 구성 내지 재료의 것이어도 되고, 다른 적층 구성 내지 재료의 것이어도 된다.When the release films 11 and 12 a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present adhesive sheet 10, one release film 11 may be of the same laminated constitution or material as the other release film 12, and the other It may be a laminate structure or a material.

또, 같은 두께여도 되고, 다른 두께여도 된다. 또, 박리력이 다른 이형 필름이나 두께가 다른 이형 필름을 본 점착 시트(10)의 양측에 적층할 수 있다.Moreover, the same thickness may be sufficient and another thickness may be sufficient. Moreover, the release film from which peeling force differs, and the release film from which thickness is different can be laminated | stacked on both sides of this adhesive sheet 10. FIG.

상기 이형 필름(11, 12)의 두께는, 50~2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75μm 이상 또는 15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의 두께에 의해, 시트 상방으로부터의 광조사를 저해하지 않고, 가장자리 폭 영역과 중앙 영역의 겔 분율의 조정을 하기 쉽다.It is preferable that it is 50-200 micrometers, and, as for the thickness of the said release film 11, 12,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75 micrometers or more or 150 micrometers or less especially. By the thickness of such a range, it is easy to adjust the gel fraction of an edge width area | region and a center area | region without inhibiting light irradiation from the sheet upper direction.

(가장자리 폭 영역(1A)의 광경화 방법)(Photocuring method of edge width area 1A)

가장자리 폭 영역(1A)에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 상면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또는 그 시트 하면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또는 시트 상하 양면에 대해서 각각 상하 양쪽 모두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method of irradiating and hardening 1 A of edge width regions, as shown in FIG. 1, from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sheet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or from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 seat, Or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light from both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a sheet, respectively.

그 중에서도,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 상면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광을 조사할 때에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에 있어서의 짧은 길이 방향(TD 방향) 양측의 가장자리 폭 영역(1A, 1A)의 상방에 광원(3)을 설치하고, 시트 상면에 대해서 수직 상방향, 또는 경사 60~90° 상방, 그 중에서도 70~90° 상방, 그 중에서도 80~90° 상방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로 조사를 행하는 것에 의해, 가장자리 폭 영역과 중앙 영역의 겔 분율의 차(경계)가 명확해지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점착제의 밀려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Especially, when irradiating light from the upp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eet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the edge width of both short length directions (TD direction) in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was carried out. The light source 3 is provided above the regions 1A and 1A, and the light is vertically upward with respect to the sheet upper surface, or 60 to 90 degrees upward of the inclination, especially 70 to 90 degrees upward, among them, 80 to 90 degrees upward. It is preferable to investigate. By irradiating at such an angle, since the difference (boundary) of the gel fraction of an edge width area | region and a center area | region becomes clear, it can suppress the push out of an adhesive more efficiently.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 하면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광을 조사할 때에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에 있어서의 짧은 길이 방향(TD 방향) 양측의 가장자리 폭 영역(1A, 1A)의 하방에 광원을 설치하고, 시트 하면에 대해서 수직 하방향, 또는 경사 60~90° 하방, 그 중에서도 70~90° 하방, 그 중에서도 80~90° 하방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irradiating light from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 seat of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for a reason similar to the above, the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TD direction) in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 A light source is installed below the edge width regions 1A and 1A on both sides, and is vertically downward, or inclined 60 to 90 degrees downward, and 70 to 90 degrees downward, among them, 80 to 90 degre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light from.

여기에서,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를 일정 방향(MD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 폭방향(TD 방향) 양단 부분에 광을 조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면의 상방 또는 하면의 하방에 광원(3)을 설치하고,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상면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또는 그 하면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또는 그 양면에 대해서 상하 양쪽 모두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Here, the method of irradiating light to both ends of the sheet width direction (TD direction) of the adhesive sheet 1 with a release film, conveying the adhesive sheet 1 with a release film to a fixed direction (MD direction). As shown, for example in FIG. 3 (A),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perpendicul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eet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Specifically, the light source 3 is provided below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having a release film from above, the lower surface thereof, or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method of irradiating light from both up and down is mentioned.

또,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면 연장 방향(도면의 수평 방향 횡측)으로 광원(3)을 설치하고,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 폭방향(TD 방향) 양단면에 대해서 수평 방향 옆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Moreover, as shown to FIG. 3 (B), the light source 3 is provided in the sheet surface extension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side of drawing) of the adhesive sheet 1 with a release film, and the adhesion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The method of irradiating light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both ends of the sheet width direction (TD direction) of the sheet | seat 1 is mentioned.

이 방법들을 비교하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 폭방향(TD 방향) 양단면에 대해서 시트면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즉 도 3의 (B)와 같이 수평 방향 횡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방법에서는, 시트 폭방향 양단면의 표면 부분 밖에 경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롤 상태에서 가해지는 권압에 의해 점차 점착제가 밀려나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에 비해서,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에 대해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 또는 상하 양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방법에 의하면, 광을 조사하는 폭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롤 상태로 가해지는 권압에 의해 점착제가 점차 밀려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Comparing these methods, light is emitted from the sheet width direction (TD direction) both end faces of the adhesive sheet 1 having the release film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eet surface, that is, from the horizontal side as shown in FIG. In the method of irradiating, since only the surface part of the sheet width direction both end surfaces can be hardened, it turned out that the adhesive pushes out gradually by the pressure applied in a roll stat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ethod of irradiating light from the upward direction, the downward direction, or the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by adjusting the width | variety which irradiates light, it applies to the pressure applied to a roll state.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dhesiv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pushed out gradually.

본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를 제조하는 수단으로서는, 도 3의 (B)와 같이 수평 방향 횡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단, 이 방법에 비해, 도 3의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수직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방법 쪽이 매우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As a means of manufacturing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is release film, it does not exclude the method of irradiating light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side like FIG.3 (B). However, compared with this method, the method of irradiating light from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A can be produced very efficiently.

또, 상기와 같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 또는 상하 양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방법에 의하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겔 분율의 표준 편차를 3% 이하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경화를 균일화할 수 있어, 점착제가 점차 밀려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irradiating light from the upward direction, the downward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gel fraction in the edge width region can be 3% or less as described above. Thus, according to this method, hardening in edge width area | region can be made uniform and it can prevent effectively that an adhesive pushes out gradually.

점착 시트(10)의 가장자리 폭 영역(1A)의 겔 분율을 소정 범위로 조정할 때에는, 예를 들면 단위시간당 적산 광선량이나,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가교제 및 가교 개시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단, 이것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When adjusting the gel fraction of the edge width area | region 1A of the adhesive sheet 10 to a predetermined range, it can adjust, for example by the amount of accumulated light per unit time, the kind, content, etc. of the crosslinking agent and crosslinking initiator in an adhesive sheet.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se.

광을 조사하는 광원(3)은, 광의 지향성이 높다는 관점에서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3)은 각 제조사로부터 다양한 발광 파장을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특히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개시제가 흡수하는 파장역에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200nm~450nm, 그 중에서도 220nm 이상 또는 4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se LED as the light source 3 which irradiates light from a viewpoint that the directivity of light is high. Although it is disclosed that the light source 3 has various emission wavelengths from each manufacturer,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emit 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absorbed by the initiator generally used.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200 nm-450 nm, especially 220 nm or more or 400 nm or less.

또, 광을 조사하는 광원(3)은, 광의 지향성이 높다는 관점에서 광확산 각도가 50° 이하, 그 중에서도 40° 이하, 그 중에서도 30° 이하인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확산 각도의 광원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가장자리 폭 영역과 중앙 영역의 겔 분율의 차(경계)가 명확해지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점착제의 밀려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source 3 which irradiates light uses the light source whose light-diffusion angle is 50 degrees or less, especially 40 degrees or less, especially 30 degrees or less from a viewpoint of the high directivity of light. By using the light source of such light-diffusion angle, since the difference (boundary) of the gel fraction of an edge width area | region and a center area | region becomes clear, it can suppress the push out of an adhesive more efficiently.

광을 조사할 때, 개시제의 흡수 파장의 관점에서 적어도 200nm~450nm의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irradiating light,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light of the wavelength of at least 200 nm-450 nm from a viewpoint of the absorption wavelength of an initiator.

또, 광을 조사할 때, 점착제의 밀려나옴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겔 분율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단위 면적당 1000mJ/cm2~10000mJ/cm2, 그 중에서도 1500mJ/cm2 이상 또는 9000mJ/cm2 이하, 그 중에서도 2000mJ/cm2 이상 또는 8000mJ/cm2 이하의 적산 광선량의 광을, 가장자리 폭 영역의 각각의 측에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irradiated with light, from the point of view obtained a sufficient gel fraction to inhibit the watering push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er unit of 1000mJ / cm 2 ~ 10000mJ / cm 2, inter alia 1500mJ / cm 2 or more or 9000mJ / cm 2 or less, Among the 2000mJ / cm 2 or higher, or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of the light of 8000mJ / cm 2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irradiation to each side of the edge region width.

또한, 단위시간당 적산 광선량은, 광원의 출력, 광원과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거리,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반송 속도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바람직한 조건을 이하에 든다.In addition,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per unit time can be adjusted by the output of a light source, the distance of the light source and th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the conveyance speed of th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etc. As an example, preferable conditions are listed below.

또, 광원(3)의 출력은, 설비의 컴팩트화에 기여하는 관점에서 0.5W/cm2~50W/cm2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W/cm2 이상 또는 40W/cm2 이하, 그 중에서도 2.0W/cm2 이상 또는 30W/cm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light source 3 is, from the viewpoint of contributing to the compactness of the equipment 0.5W / cm 2 ~ 50W / cm 2 is preferable and, among them 1.0W / cm 2 or more than 40W / cm 2 or less, and Especial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0W / cm <2> or more or 30W / cm <2> or less.

또, 광원(3)의 MD 방향 길이(3L), 바꾸어 말하면 광을 조사하는 MD 방향의 길이는, 제조 설비의 컴팩트화의 관점에서 30mm~20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0mm 이상 또는 1000mm 이하, 그 중에서도 100mm 이상 또는 500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D direction length 3L of the light source 3,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MD direction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is preferably 30 mm to 2000 mm from the viewpoint of compactness of manufacturing equipment, and in particular, 50 mm or more or 1000 mm or less, Especial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0 mm or more or 500 mm or less.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를 일정 방향(MD)으로 반송할 때의 반송 속도는, 생산성과 충분한 겔 분율의 상승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1m/min~30m/min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m/min 이상 또는 25m/min 이하, 그 중에서도 5m/min 이상 또는 20m/min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yance speed at the time of conveying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to a fixed direction MD is 1 m / min-30 m / min from a viewpoint which gives rise of productivity and sufficient gel fraction, Especial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 m / min or more or 25 m / min or less, especially 5 m / min or more or 20 m / min or less.

예를 들면, 광원(3)으로서, 출력 7W/cm2, 조사 파장 365nm, 광확산 각도 30°, MD 길이(표의 광원 길이) 44mm의 LED를 사용하여, 광원(3)과 롤형 점착 시트(2)의 거리(표의 광원 거리)를 10mm로 하고, 약 3.8s간 UV조사시키면 적산 광선량이 약 3200mJ가 된다.For example, the light source 3 and the roll-shaped adhesive sheet 2 were used as the light source 3 using LED of output 7W / cm <2> , irradiation wavelength 365nm, light-diffusion angle 30 degrees, MD length (light source length of table) 44mm. The distance (light source distance shown in the table) is 10 mm, and UV irradiation for about 3.8 s results in an integrated light amount of about 3200 mJ.

(권취)(Winding)

가장자리 폭 영역(1A, 1A)을 광경화시킨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를 롤형으로 권취할 때, 필름 폭 1m당 권취 장력, 즉 권장력은 20~200N/m폭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winding up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which photocured the edge width area | region 1A, 1A in roll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tension per 1 m of film widths, ie, recommended force, is 20-200 N / m width.

권취 장력이 20~200N/m폭이면, 권취 어긋남, 권취 팽창, 나아가서는 권취 주름을 일으키지 않고, 장력에 수반하는 필름의 배향에 의한 위상차 증대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When the winding tension is 20 to 200 N / m width,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retardation increase due to the orientation of the film accompanying the tension can be reduced without causing the winding shift, the winding expansion, and the winding wrinkles.

이러한 관점에서 권장력은 30~150N/m폭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0N/m폭 이상 또는 100N/m폭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commended force is preferably 30 to 150 N / m wide, and more preferably 50 N / m or more or 100 N / m or less.

광조사 전의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각 재료, 적층 구성 및 작성 방법은, 상기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와 마찬가지이면 된다.Each material, lamination | stacking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before light irradiation should just be the same as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the said release film.

또, 가장자리 폭 영역의 광경화 방법도, 상기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와 마찬가지이면 된다.Moreover, the photocuring method of an edge width area should just be the same as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the said release film.

또한, 광경화 방법은, 반드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상태로 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이형 필름을 첩착(貼着)하기 전의 상태에서 점착 시트의 가장자리 폭 영역을 경화시켜, 그 후에 이형 필름을 첩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나 착색제 등 광투과를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시킨 이형 필름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하게 점착 시트의 가장자리 폭 영역을 경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curing method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performed in the state of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as mentioned above. For example, the edge width area | region of an adhesive sheet can be hardened in the state before sticking a release film, and a release film can also be stuck after that. By employ | adopting such a method, even when it uses the release film containing the substance which suppresses light transmission, such as a ultraviolet absorber and a coloring agent, for example, the edge width area | region of an adhesive sheet can be hardened favorably.

또, 본 점착 시트는, 그 자체가 광경화성을 갖고 있으면 충분하며, 반드시 가장자리 폭 영역의 경화를 광조사에 의해 실시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는, 가장자리 폭 영역의 경화를 열에 의해 행해도 된다.Moreover, this adhesive sheet is sufficient as long as it has photocurability itself, and it is not necessary to necessarily harden an edge width area | region by light irradiation. Specifically, curing of the edge width region may be performed by heat.

<본 점착 시트의 사용 방법><How to use this adhesive sheet>

본 점착 시트는, 겔 분율이 높은 가장자리 폭 영역을 절제한 후, 점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This adhesive sheet can be used as an adhesive sheet after cutting off the edge width area | region with a high gel fraction.

예를 들면 상기 롤형 점착 시트(2)의 경우라면, 되감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함과 함께, 겔 분율이 높은 가장자리 폭 영역(1A, 1A)을 절제한 후, 이형 필름(11, 12)을 벗겨 점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예를 들면 2개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 사이에 본 점착 시트(10)를 두도록 적층한 후, 적어도 한쪽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측으로부터 광, 예를 들면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 부재를 통하여, 본 점착 시트(10)를 광가교시켜 광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2개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맞붙일 수 있다. 또한, 본 점착 시트(10)를 사용할 때의 경화 방법은, 광조사에 의한 경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해 경화시키는 방법 등, 다른 경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aid rolled adhesive sheet 2, while rewinding and cutting | disconnecting to an appropriate magnitude | size, the edge width area | region 1A, 1A with a high gel fraction is excised, the release film 11, 12 is peeled off, It can be used as an adhesive sheet. For example, after laminating | stacking so that the adhesive sheet 10 may be provided between two image display apparatus structural members, for example, light, for example, an ultraviolet-ray, may be irradiated from at least one image display apparatus structural member side, Two image display apparatus structural members can be bonded together by photocrosslinking and photocuring this adhesive sheet 10 through a member. In addition, the hardening method at the time of using this adhesive sheet 10 is not limited to hardening by light irradiation, For example, other hardening methods, such as the method of hardening by heating, can also be used.

여기에서, 피착체로서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표면 보호 패널, 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 등을 들 수 있다.Here, as an image display apparatus structural member as a to-be-adhered body, surface protection panel, a touch panel, an image display panel,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어구의 설명 등><Explanation of phrase>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메트)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각각 포괄하는 의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meth) acryl" is acryl and methacryl, "(meth) acryloyl" is acryloyl and methacryloyl, and "(meth) acrylate" is an acrylate and meta It is meant to encompass each acrylate.

일반적으로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확실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문언상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general, the boundary between the sheet and the film is unclea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both, so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referred to as "film", "sheet" is included, "" Film "shall also be included.

또, 화상 표시 패널, 보호 패널 등과 같이 「패널」이라고 표현하는 경우, 판체, 시트 및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다.Moreover, when expressed as a "panel" like an image display panel, a protection panel, etc., it includes a plate body, a sheet, and a film.

본 명세서에 있어서, 「X~Y」(X, Y는 임의의 숫자)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X 이상 Y 이하」의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의 뜻도 포함하는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describing as "X-Y" (X and Y are arbitrary numbers), unless otherwise indicated, with the meaning of "X or more and Y or less", it is "preferably larger than X" or " Preferably it is smaller than Y ".

또, 「X 이상」(X는 임의의 숫자)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의 뜻을 포함하며, 「Y 이하」(Y는 임의의 숫자)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의 뜻도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as "X or more" (X is arbitrary number), unless otherwise indicated, it contains the meaning of "preferably larger than X", and describes as "Y or less" (Y is arbitrary number). In one case, the term "preferably less than Y" is also in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of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측정 및 평가 방법><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

먼저,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샘플의 각종 물성값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measur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of the various physical property values of the sample obtained by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are demonstrated.

(겔 분율의 측정)(Measurement of gel fraction)

후술하는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및 4에서는, 광경화시킨 가장자리 폭 영역의 폭 w[mm]를 알고 있기 때문에, 실시예에서 얻은 점착 시트에 있어서, 짧은 길이 방향 양측 시트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mm]의 영역 중에서 임의로 약 0.05g분 채취하고, 이것을 가장자리 폭 영역의 측정 샘플로 하는 한편, 광경화시키지 않은 중앙 영역으로부터 임의로 약 0.05g분 채취하고, 이것을 중앙 영역의 측정 샘플로 했다.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4 described later, since the width w [mm] of the photocured edge width region is known,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btained in the example, the sheet center is formed from the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both side edges. About 0.05 g of the sample was arbitrarily collected from the region of width w [mm], and this was taken as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edge width region, and about 0.05 g of the sample was arbitrarily collected from the center region which was not photocured, and this was measured sample of the center region. I did it.

한편, 비교예 2 및 3에서는, 짧은 길이 방향 양측 시트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mm]=0.5mm마다 순서대로 잘라, 각 영역 중에서 임의로 약 0.05g분 채취하고, 이것을 가장자리 폭 영역의 측정 샘플로 하는 한편, 광경화시키지 않은 중앙 영역으로부터 임의로 약 0.05g분 채취하고, 이것을 중앙 영역의 측정 샘플로 했다.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each width w [mm] = 0.5mm was cut out in order from the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both side edges to the sheet center, and about 0.05g was arbitrarily collected from each area | region, and this was measured of the edge width area | region. On the other hand, about 0.05 g of samples were taken arbitrarily from the center area | region which was not photocured, and this was made into the measurement sample of a center area | region.

또한, 비교예 2 및 3에 대해서는, 짧은 길이 방향 양측 시트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mm]=1~1.5mm의 영역의 겔 분율도 측정한 바, 모두 0%였기 때문에, 상기 폭 w[mm]=1mm를 가장자리 폭 영역으로 했다.In addition, about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since the gel fraction of the area | region of width w [mm] = 1-1.5 mm was also measured toward the sheet center from the both edges of a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it was all 0%, the said width w [mm] = 1 mm was set as the edge width area.

그리고 이 측정 샘플들 각각에 대해, 미리 질량(X)을 측정한 스테인리스제 메쉬(#200)로 주머니 모양으로 싸, 주머니의 입을 구부려 닫고, 이 주머니의 질량(Y)을 측정한 후, 100ml의 아세트산 에틸에 침지시켜 23℃에서 24시간 암소 보관한 후, 주머니를 꺼내 70℃에서 4.5시간 가열하여 부착되어 있는 아세트산 에틸을 증발시켜, 건조시킨 주머니의 질량(Z)을 측정하고, 측정한 질량을 하기 식에 대입하여 구했다.For each of the measurement samples, wrapped in a bag shape with a stainless steel mesh (# 200) in which the mass (X) was measured in advance, the mouth of the bag was bent closed, the mass (Y) of the bag was measured, and then 100 ml of After immersed in ethyl acetate and stored in a dark place at 23 ° C. for 24 hours, the bag was taken out and heated at 70 ° C. for 4.5 hours to evaporate the adhered ethyl acetate, and the mass (Z) of the dried bag was measured. It substituted by the following formula and calculated | required.

겔 분율[%]=[(Z-X)/(Y-X)]×100Gel fraction [%] = [(Z-X) / (Y-X)] x 100

마찬가지의 겔 분율 측정을 임의의 6점에 대해서 행하여, 얻어진 값으로부터 겔 분율의 표준 편차를 구했다. 표준 편차의 산출 방법에 관해서 말하자면, 우선 6점의 겔 분율의 평균값을 구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평균값의 차를 6점 각각에 대해 계산하여 편차를 구했다. 계속해서 얻어진 편차의 2승 평균을 계산하여 분산을 구했다. 마지막으로 분산의 정의 평방근을 계산하여,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겔 분율의 표준 편차를 구했다.The same gel fraction measurement was performed about six arbitrary points,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gel fraction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obtained value. Regarding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standard devi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gel fraction of 6 points was calculated | required first. Next, the difference of the obtained average value was computed about each 6 points, and the deviation was calculated | required. Variance was calculated | required by calculating the square average of the deviation obtained then. Finally, the positive square root of the dispersion was calculated to fi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gel fraction in the edge width region.

(점착제의 유출의 평가)(Evaluation of outflow of adhesiv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롤형 점착 시트를 30℃×90%(RH)의 항온 고습 환경하에서 100시간 둔 후, 그 시험편의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했다.The cross section of the test piece was observed under the microscope after leaving the rolled adhesive sheet produced by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for 100 hours in 30 degreeC x 90% (RH) constant temperature, high humidity environment.

단면 상태가 변화되지 않은 것을 「○(good)」, 점착제가 밀려나와 단면이 변형된 것을 「×(poor)」라고 평가했다."(Good)" that the cross-sectional state did not change and that which the adhesive pushed out and deform | transformed the cross section were evaluated as "x (poor)."

(적산 조사량)(Accumulated dos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조사한 UV의 적산 조사량은, 적산 광량계로서 자외선 적산 광량계 「UIT-250」(우시오 전기사(USHIO INC.)제)을 이용하며, 365nm 파장의 수광부를 장착하고 2회 계측하여 그 평균값을 유효 숫자 2자릿수로 구해, 각각의 적산 조사량으로 했다.The integrated irradiation amount of UV irradiated by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uses ultraviolet integrated photometer "UIT-250" (made by Ushio Electric Co., Ltd.) as an integrated photometer, and attaches the light-receiving part of 365 nm wavelength twice. It measured, and calculated | required the average value by two significant digits, and set it as each integrated irradiation amount.

<실시예 1><Example 1>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서, 수평균 분자량 2400의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매크로 모노머(Tg: 105℃) 15질량부(18mol%)와 부틸아크릴레이트(Tg: -55℃) 81질량부(75mol%)와 아크릴산(Tg: 106℃) 4질량부(7mol%)가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중량 평균 분자량 23만) 1kg과, 가교제 (b)로서, 글리세린디메타크릴레이트(니치유사(NOF CORPORATION)제, 제품명: GMR) (b-1) 90g과, 광중합 개시제 (c)로서, 2,4,6-트리메틸벤조페논과 4-메틸벤조페논의 혼합물(Lanberti사제, 제품명: 에자큐어 TZT) (c-1) 15g을 균일 혼합하여, 점착재층에 이용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작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5℃였다.As the (meth) acrylic copolymer (a), 15 parts by mass (18 mol%) of polymethyl methacrylate macromonomer (Tg: 105 ° C)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400 and 81 parts by mass of butyl acrylate (Tg: -55 ° C) 1 kg of acrylic copolymer (a-1)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230,000) formed by random copolymerization of (75 mol%) and 4 parts by mass (7 mol%) of acrylic acid (Tg: 106 ° C), and as a crosslinking agent (b), glycerin di 90 g of methacrylate (NOF CORPORATION, product name: GMR) (b-1), and a photoinitiator (c), a mixture of 2,4,6-trimethylbenzophenone and 4-methylbenzophenone (Lanberti Co., Ltd., product name: 15 g of Ezacure TZT) (c-1) was uniformly mixed, and the resin composition used for the adhesive material layer was produc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obtained resin composition was -5 degreeC.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형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11)(미츠비시 케미컬사(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제, 제품명: 다이아 호일 MRV-V06, 두께: 100μm)과, 동일하게 이형 처리한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12)(두께 75μm의 2축 연신 이소프탈산 공중합 PET 필름의 한 면에 실리콘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μm의 이형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필름)의 2매 사이에 두고,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점착 시트(10)의 두께가 150μm가 되도록, 장척의 시트형으로 부형하여, 장척의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를 제작했다.The obtained resin composition was the same as the release film 1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ake, product name: diamond foil MRV-V06, thickness: 100 micrometers) which consists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which carried out the mold release process. Between the two sheets of the release film 12 which consists of a release processed PET film (film formed by laminating | stacking the release layer of thickness 2 micrometers which consists of a silicone type compound on one side of the biaxially-stretched isophthalic-acid copolymer PET film of thickness 75 micrometers), Using a laminator, the adhesive sheet 10 was shaped into a long sheet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10 was 150 µm,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1 having a long release film was produced.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를 일정 방향(MD 방향)으로 반송 속도(라인 스피드) 20m/min으로 반송함과 함께,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 폭방향(TD 방향) 양단 부분에 있어서의, 시트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표의 경화폭)=5[mm]의 가장자리 폭 영역(1A, 1A)의 상면에, 자외선(UV)을 각각 상방으로부터 조사하여, 점착 시트(10) 중의 가장자리 폭 영역(1A, 1A)을 경화시킨 후, 상기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를, 필름 폭 1m당 권취 장력(권장력) 70N/m폭으로 롤형으로 권취하여, 전체 길이 100m, 롤 폭 1000mm의 장척의 롤형 점착 시트(2)를 얻었다.As shown to FIG. 1 and FIG. 2, while carrying the adhesive sheet 1 equipped with a release film in a conveyance speed (line speed) 20m / min in a fixed direction (MD direction), th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Ultraviolet rays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edge width regions 1A and 1A of width w (cured width of the table) = 5 [mm] from the sheet edge to the sheet center at both end portions of the sheet width direction (TD direction) in (1). After irradiating (UV) from upper direction, respectively, and hardening edge width area | region 1A, 1A in the adhesive sheet 10,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the said release film was wound up per 1 m of film width (recommended). Force) It wound up in roll shape at 70 N / m width, and obtained the elongate roll adhesive sheet 2 of 100 m in total length, and roll width 1000mm.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10), 즉 경화 전의 점착 시트(10)의 겔 분율은 0%였다.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sheet 10 in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ie, the adhesive sheet 10 before hardening, was 0%.

이때,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폭 방향(짧은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수직 상방향에 각각 광원(3)을 배치하고, 점착 시트 적층체(1)의 시트 상면에 대해서 수직 상방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했다.At this time, as shown to FIG. 1 and FIG. 2, the light source 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ertical upper direction of the width direction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dges of the adhesive sheet 1 with a release film, respectively, and the adhesive sheet laminated body The ultraviolet-ray was irradiated from the vertical upp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eet upper surface of (1).

광원(3)으로는, 출력 7W/cm2, 조사 파장 365nm, 광확산 각도 30°, MD 방향 길이(표의 광원 길이) 44mm의 LED를 사용했다. 또, 광원(3)과 롤형 점착 시트(2)의 거리(표의 광원 거리)를 10mm로 하고, 단위시간당 적산 광선량이 1600mJ가 되도록 광조사했다.As the light source 3, LED of the output 7W / cm <2> , irradiation wavelength 365nm, the light-diffusion angle 30 degrees, and MD direction length (light source length of table) 44mm was used. Moreover, the distance (light source distance of a table | surface) of the light source 3 and the rolled adhesive sheet 2 was set to 10 mm, and light irradiation was carried out so that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per unit time might be 1600 mJ.

<실시예 2><Example 2>

반송 속도(라인 스피드) 및 단위시간당 적산 광선량을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롤형 점착 시트(2)를 얻었다.The rolled adhesive sheet 2 was obtained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the conveyance speed (line speed) and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per unit time as shown in a table | surface.

<실시예 3><Example 3>

경화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롤형 점착 시트(2)를 얻었다.Except having changed hardening width, the rolled adhesive sheet 2 was obtained similarly to 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경화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롤형 점착 시트(2)를 얻었다.Except having changed hardening width, the rolled adhesive sheet 2 was obtained similarly to Example 2.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광을 조사하는 방향을,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면 연장 방향 즉 측면 방향으로 변경하고, 경화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롤형 점착 시트(2)를 얻었다.As shown in FIG.3 (B), the direction which irradiates light is changed to the sheet surface extension direction, ie,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dhesive sheet 1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except having changed the hardening width. Like the 2, the rolled adhesive sheet 2 was obtained.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광을 조사하는 방향을,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1)의 시트면 연장 방향 즉 측면 방향으로 변경함과 함께, 광원의 종류를 변경하고, 반송 속도(라인 스피드), 단위시간당 적산 광선량 및 그 외의 조건을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롤형 점착 시트(2)를 얻었다.As shown in FIG.3 (B), the direction which irradiates light changes to the sheet surface extension direction, ie,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dhesive sheet 1 with a release film, changes a kind of a light source, and conveys A roll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2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speed (line speed),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per unit time, and other conditions were changed as shown in the table.

<실시예 4><Example 4>

점착 시트의 두께를 100μm로 변경하고, 경화폭을 35d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롤형 점착 시트(2)를 얻었다.The rolled adhesive sheet 2 was obtained like Example 2 except having change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to 100 micrometers, and changing the hardening width to 35d.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경화폭을 25d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롤형 점착 시트(2)를 얻었다.The rolled adhesive sheet 2 was obtained like Example 4 except having changed hardening width to 25d.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상기 실시예 및 지금까지 발명자들이 행한 시험 결과로부터, 점착 시트를 롤형으로 권취한 상태로, 또한 상온에서 보관하는 경우, 점착제가 롤 단면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경화 영역, 즉 가장자리 폭 영역의 겔 분율이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보다 크고, 또한 가장자리 폭 영역의 폭 w[mm]가 점착 시트의 두께 d[mm]와의 관계에서 30d<w일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From the above examples and the test results conducted by the inventors above, when the adhesive sheet is wound in a roll shape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in order to effectively suppres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rom being pushed out from the roll end face, at least the hardened area, that is, the edge width It can be seen that the gel fraction of the region is larg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sheet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width w [mm] of the edge width region needs to be 30d <w in relation to the thickness d [mm] of the adhesive sheet. there was.

Claims (15)

점착 시트의 표리 일측 또는 양측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롤형으로 권회한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로서,
상기 점착 시트는, 광경화성을 갖고, 또한 짧은 길이 방향 양측 시트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mm]의 영역(「가장자리 폭 영역」이라고 한다)과, 당해 가장자리 폭 영역으로부터 시트 중앙의 영역(「중앙 영역」이라고 한다)이, 이하의 조건 (1) 및 (2)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
(1)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이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보다 크다.
(2) 점착 시트의 두께를 d[mm]로 했을 때, 30d<w<100d를 충족시킨다.
As an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which rolled up the adhesive sheet which consists of a release film formed by laminating | stacking a release film on the front and back or both sides of an adhesive sheet in roll shape,
The said adhesive sheet has photocurability, and it is the area | region of width w [mm] (referred to as "edge width area | region") from the sheet | seat edge of a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sheet center, and the area | region of the sheet center from the said edge width area | region ( The "rolling center region"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1) and (2),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und body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1)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edge width region is larg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central region.
(2)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is set to d [mm], 30d <w <100d is satisf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폭 영역의 겔 분율이 15%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gel fraction of the said edge width area | region is 15% or more and 100% or less,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의 겔 분율이 0% 이상 1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gel fraction of the said central area is 0% or more and less than 15%,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두께 d가 0.05mm~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ickness d of the said adhesive sheet is 0.05 mm-1 mm,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겔 분율의 표준 편차가 3% 이하인,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adhesive sheet wound body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whose standard deviation of the gel fraction in an edge width area | region is 3% or les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광경화성을 갖는 점착 시트의 표리 일측 또는 양측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가장자리 폭 영역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을 중앙 영역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의 제조 방법.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mold release film in any one of Claims 1-5,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edge width region is irradiated with light by irradiating light to the edge width reg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release film formed by laminating a release film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photocurability. It is made larger than the gel fraction of an adhesive shee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제6항에 있어서,
광을 조사한 후,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롤형으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fter irradiating light, th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is wound up in roll shap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시트 상면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또는 그 시트 하면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또는 시트 상하 양면에 대해서 각각 상하 양쪽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ith a mold release film, it irradiates light from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sheet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the said release film, from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or from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a sheet, respectivel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 adhesive sheet winding body.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의 광확산 각도가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The light-diffusion angle of the light source which irradiates light is 50 degrees or les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 LED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LED is used as a light source which irradiates ligh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을 조사할 때, 적어도 200nm~450nm의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10,
When irradiating light, it irradiates light of the wavelength of at least 200 nm-450 nm,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dhesive sheet winding body provided with the release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1000mJ/cm2~10000mJ/cm2의 적산 광선량의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권회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11,
Volume per unit area of the adhesive sheet The method of hoeche comprising a release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ted light amount of the irradiating light of 1000mJ / cm 2 ~ 10000mJ / cm 2.
광경화성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시트 가장자리로부터 시트 중앙을 향해 폭 w[mm]의 영역(「가장자리 폭 영역」이라고 한다)과, 당해 가장자리 폭 영역으로부터 시트 중앙의 영역(「중앙 영역」이라고 한다)이, 이하의 조건 (1) 및 (2)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1) 가장자리 폭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이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겔 분율보다 크다.
(2) 점착 시트의 두께를 d[mm]로 했을 때, 30d<w<100d를 충족시킨다.
An adhesive sheet having photocurability, which has a width w [mm] of area (referred to as “edge width area”) from the edge of the sheet toward the center of the sheet and a region of the sheet center from the edge width area of the sheet (referred to as the “center area”). This, the following conditions (1) and (2) are satisfied, The adhesive shee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1)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edge width region is larg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n the central region.
(2)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eet is set to d [mm], 30d <w <100d is satisfied.
제13항에 있어서,
장척의 점착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The method of claim 13,
It is a long adhesive sheet, The adhesive shee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폭 영역의 겔 분율이 1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gel fraction in the edge width region is 15 to 100%.
KR1020197018919A 2016-12-07 2017-11-24 Adhesive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4264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7357 2016-12-07
JPJP-P-2016-237357 2016-12-07
PCT/JP2017/042202 WO2018105413A1 (en) 2016-12-07 2017-11-24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601A true KR20190093601A (en) 2019-08-09
KR102426470B1 KR102426470B1 (en) 2022-07-28

Family

ID=6249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919A KR102426470B1 (en) 2016-12-07 2017-11-24 Adhesive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52726B2 (en)
KR (1) KR102426470B1 (en)
CN (2) CN114085624B (en)
TW (1) TWI758360B (en)
WO (1) WO201810541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092A (en) * 2019-10-04 2022-06-14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adhesive shee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6905A (en) * 1997-10-15 1999-04-27 Sekisui Chem Co Ltd Edge treatment of adhesive tape or sheet
JP2001288425A (en) * 2000-04-07 2001-10-16 Nitto Denko Corp Wound-up body of self-adhesive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ound-up body of self-adhesive tape
JP2009102467A (en) 2007-10-22 2009-05-14 Mitsubishi Plastics Inc Acrylic transparen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2010185037A (en) 2009-02-13 2010-08-26 Mitsubishi Plastics Inc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971529B2 (en) 2010-09-06 2012-07-11 三菱樹脂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body for constituting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is laminated body
JP2014005320A (en) * 2012-06-21 2014-01-16 Nitto Denko Corp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JP2014094976A (en) 2012-11-07 2014-05-22 Hitachi Chem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JP2015105296A (en) 2013-11-29 2015-06-08 三菱樹脂株式会社 Tacky agent resin composition
JP2016098300A (en) * 2014-11-20 2016-05-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Coloring adhesive shee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3970B2 (en) * 2004-05-20 2011-03-16 三菱樹脂株式会社 Method for treating exposed end face of adhesive layer
US8697240B2 (en) * 2009-07-22 2014-04-15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cured product of same, resin sheet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and display device
KR101014822B1 (en) * 2010-07-09 2011-02-15 주식회사 애니 테이프 Environment-friendly uv hotmelt tap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JP5872798B2 (en) * 2011-06-14 2016-03-01 日東電工株式会社 Re-peeling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4189778A (en) * 2013-03-28 2014-10-06 Lintec Corp Double-sided tacky sheet and coiled body
JP6340765B2 (en) * 2013-08-21 2018-06-1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JP6363930B2 (en) * 2014-10-10 2018-07-25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with adhesiv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mage display device
JP6587811B2 (en) * 2015-02-24 2019-10-09 日東電工株式会社 Thermally peelable adhesive shee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6905A (en) * 1997-10-15 1999-04-27 Sekisui Chem Co Ltd Edge treatment of adhesive tape or sheet
JP2001288425A (en) * 2000-04-07 2001-10-16 Nitto Denko Corp Wound-up body of self-adhesive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ound-up body of self-adhesive tape
JP2009102467A (en) 2007-10-22 2009-05-14 Mitsubishi Plastics Inc Acrylic transparen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2010185037A (en) 2009-02-13 2010-08-26 Mitsubishi Plastics Inc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971529B2 (en) 2010-09-06 2012-07-11 三菱樹脂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body for constituting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is laminated body
JP2014005320A (en) * 2012-06-21 2014-01-16 Nitto Denko Corp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JP2014094976A (en) 2012-11-07 2014-05-22 Hitachi Chem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JP2015105296A (en) 2013-11-29 2015-06-08 三菱樹脂株式会社 Tacky agent resin composition
JP2016098300A (en) * 2014-11-20 2016-05-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Coloring adhesive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50049A (en) 2019-07-23
CN114085624B (en) 2023-11-17
CN114085624A (en) 2022-02-25
CN110050049B (en) 2021-12-07
TWI758360B (en) 2022-03-21
TW201833273A (en) 2018-09-16
JPWO2018105413A1 (en) 2019-10-24
JP7052726B2 (en) 2022-04-12
KR102426470B1 (en) 2022-07-28
WO2018105413A1 (en)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8933B2 (en) Adhesive composition for UV curable image display device components and transparent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UV curable image display device components
TWI781992B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layered product including image display device constituent members, layered product forming kit, and use of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WI625244B (en) Optical film with double-sided adhesi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7024726B2 (en) Photocurabl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dhesive sheet laminate, cured product, image display device configuration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977761B2 (en)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it
JP6904448B2 (en) Photo-curable adhesive shee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JPWO2015137178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 for constituting image display device
JP2021119234A (en) Photocurable adhesive sheet
JP7415366B2 (en) Photocurable adhesive sheets, adhesive sheet laminates, laminates for image display devices, and image display devices
TW202018036A (en) Photocurable adhesive sheet, laminate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5157884A (en) Transparent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90093601A (en) Adhesive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I700676B (en)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body for image display device
JP2020164575A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laminate with release film and laminate for image display device
JP6885247B2 (en) Adhesive sheet
JP2024033916A (en) Adhesive compositions, adhesives and adhesive she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