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734A -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734A
KR20190090734A KR1020190070094A KR20190070094A KR20190090734A KR 20190090734 A KR20190090734 A KR 20190090734A KR 1020190070094 A KR1020190070094 A KR 1020190070094A KR 20190070094 A KR20190070094 A KR 20190070094A KR 20190090734 A KR20190090734 A KR 2019009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clothes
garment
process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0734A/ko
Publication of KR2019009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734A/ko
Priority to US16/568,141 priority patent/US2020000287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9/005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9/003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2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materials, e.g. to avoid wear during transport through the machine
    • G06K19/02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materials, e.g. to avoid wear during transport through the machine the material being suitable for use as a textile, e.g. woven-based RFID-like labels designed for attachment to laundry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의류 처리기에 투입되는 의류에 따라 최적의 처리코스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에 대한 세탁, 건조, 살균, 탈취, 제진 및 주름제거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수행 가능한 의류 처리기; 상기 의류 처리기에 투입되는 각각의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를 개별적으로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부에 의해 각각 식별되는 상기 의류정보와 연계되게 등록된 각각의 추천코스에 따라 하나의 최적코스를 추론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로부터 추론된 상기 최적코스에 따라 상기 의류 처리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LOTHES TREATING}
본 발명은 의류 처리기에 투입되는 의류에 따라 최적의 처리코스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기는 세탁기, 건조기 및 스타일러기 등과 같이 의류를 세탁하거나, 의류로부터 수분 또는 냄새 또는 먼지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등, 의류를 사용자가 착용하기에 적절한 상태로 처리하는 각종 기기를 일컫는다.
한편, 의류의 종류는 용도 및 재질에 따라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의 의류 처리기를 통한 의류의 처리 방식도 각기 다르게 수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의류 처리기는 다양한 종류의 의류가 한꺼번에 투입되었을 때에도 사실상 하나의 처리코스로만 수행된다는 점에서, 각각의 의류 특성을 모두 반영한 처리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의류 처리기를 사용할 때마다 각종 의류의 특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처리코스를 설정하는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모든 의류의 특성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처리코스가 적절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의류가 투입된 의류 처리기의 작동 시 각 의류의 특성을 복합적이고 자동적으로 반영하여 최적의 코스가 설정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의류 처리기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7-0138559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고 함)는 세탁기 제어 방법 및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진 또는 영상 촬영하는 방식을 통해 세탁물의 이미지를 얻고, 비교 대조를 거친 후 각 세탁물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며, 전체 세탁물의 기본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세탁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구성 등이 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세탁기는 촬영된 특정 의류의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세탁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구성에 불과할 뿐, 여러 종류의 의류 기본 정보를 복합적으로 반영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10-2009-0076722호(이하, '선행문헌 2'라고 함)는 RFID를 이용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발생되는 RFID 신호를 수신하여, 세탁물의 이력정보를 취득하고, 이력정보에 따라 세탁을 수행하는 구성 등이 선행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2의 세탁기는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색상, 재질, 무게, 제조일자, 세탁조건, 세탁방법에 따라, 세탁물을 손쉽게 분류한 후 분류된 세탁물의 이력정보에 따라 세탁을 수행하는 구성에 불과할 뿐, 여러 종류의 의류 이력정보를 복합적으로 반영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역시 고려하고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의류 처리기는 투입되는 의류에 따라 최적의 처리코스가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과제를 안고 있으나, 종래의 의류 처리기는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의류 처리기가 가지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류 처리기에 다양한 종류의 의류가 함께 투입된 상태에서 하나의 처리코스만 수행되더라도 각 의류 별 특성을 복합적이고 자동적으로 반영하여 최적의 코스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 처리기에 다양한 종류의 의류가 함께 투입된 상태에서 하나의 처리코스가 설정된 경우 취약의류를 중심으로 확인 절차를 거치도록 하여 각 의류의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처리에 복수의 의류 처리기가 사용되는 경우 의류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의류 처리기가 상호 보완적으로 연계되면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은 개별적으로 식별되는 각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가 복합적이고 자동적으로 의류 처리기의 작동에 반영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의류 처리기에 투입되는 각각의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를 개별적으로 식별한 후, 식별된 의류정보와 연계되게 선택된 각각의 추천코스를 통해 추론되는 하나의 최적코스에 따라 의류 처리기가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추론된 최적코스에 따라 의류 처리기를 작동시키기 전에 사용자에 대한 확인 절차를 거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의류 처리기에 투입된 의류 중 추론된 최적코스에 대한 취약의류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최적코스로의 진행 여부를 확인 받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은 복수의 의류 처리기 중 처리가 가능한 의류 처리기로 의류가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어느 하나의 의류 처리기에서 취약의류가 존재하여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처리가 가능한 다른 하나의 의류 처리기로 취약의류의 투입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은 홈서버에서 식별된 의류정보를 수신하여 최적코스를 추론한 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의류 처리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사전에 각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 및 그에 따른 추천코스가 등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은 각 의류에 대한 라벨 및 섬유조직 이미지를 획득하여 의류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은 획득된 이미지를 코드화하여 의류에 부착시킨 후, 이를 식별부에서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은 획득된 이미지를 RFID 태그화하여 의류에 부착시킨 후, 이를 식별부에서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은 각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의 등록 시 기 등록된 의류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 처리기에 투입되는 각각의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를 개별적으로 식별한 후, 식별된 의류정보와 연계되게 선택된 각각의 추천코스를 통해 추론되는 하나의 최적코스에 따라 의류 처리기가 작동되므로, 각 의류 별 특성을 복합적이고 자동적으로 반영하여 최적의 코스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 처리기에 투입된 의류 중 추론된 최적코스에 대한 취약의류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최적코스로의 진행 여부를 확인 받으므로, 취약의류를 별도로 확인하여 의류의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의류 처리기에서 취약의류가 존재하여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처리가 가능한 다른 하나의 의류 처리기로 취약의류의 투입을 유도하므로, 각각의 의류 처리기가 상호 보완적으로 연계되면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홈서버에서 식별된 의류정보를 수신하여 최적코스를 추론한 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의류 처리기로 전송하므로, 홈서버를 통한 홈네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의류 처리기가 다양한 기기와 연동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의류 처리기의 구조를 상대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전에 각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 및 그에 따른 추천코스가 등록되므로, 각 의류에 대한 1회의 등록 절차만으로도 의류 처리를 지속적이고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각 의류에 대한 라벨 및 섬유조직 이미지를 획득하여 의류정보를 등록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의류정보의 등록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획득된 이미지를 코드화하여 의류에 부착시킨 후, 이를 식별부에서 식별하도록 구성되므로, 의류의 노후화에 따른 라벨의 손상 시에도 식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획득된 이미지를 RFID 태그화하여 의류에 부착시킨 후, 이를 식별부에서 식별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식별 절차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각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의 등록 시 기 등록된 의류정보를 활용하므로, 유사 의류에 대한 등록 절차가 간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작동안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등록부 및 식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등록부 및 식별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방법에서 의류정보 및 추천코스가 등록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작동안내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 식별부(201, 203), 분석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의류 처리기(101, 103, 105)는 의류(10)에 대한 세탁, 건조, 살균, 탈취, 제진 및 주름제거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수행 가능한 부분으로, 세탁기, 건조기 및 스타일러기 등을 포함한 구성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의류(10)를 사용자가 착용하기에 적절한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류(1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옷, 모자, 운동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튼, 침구류 및 각종 커버 등과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지 않더라도 직물로 이루어져 세탁, 건조, 살균, 탈취, 제진 및 주름제거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 대상이 되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201, 203)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투입되는 각각의 의류(10)에 대한 의류정보를 개별적으로 식별하는 부분으로,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의류(10)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의류(10)에 대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류정보란 해당 의류(10)의 색상, 재질, 무게, 제조일자, 세탁조건, 세탁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전에 처리를 수행한 이력이 있는 의류(10)의 경우에는 누적처리횟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분석부(300)는 식별부(201, 203)에 의해 각각 식별되는 의류정보와 연계되게 선택된 각각의 추천코스에 따라 하나의 최적코스를 추론하는 부분으로,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 투입되는 모든 의류(10)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가장 적절한 작동 코스를 추론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천코스란 각 의류(10)의 의류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작동 코스를 일컫는 것으로서, 각각의 의류(10) 특성을 반영하여 의류(10) 제작자가 해당 의류(10)에 대하여 권장하는 처리코스 또는 사용자가 해당 의류(10)에 대하여 선호하여 별도로 등록한 처리코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의류(10)에 대하여는 하나의 추천코스가 연계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의 식별부(201, 203)를 통한 의류정보 식별 시 각 의류(10)에 대한 추천코스가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각기 특성이 달라 그에 대한 추천코스 또한 차별화되는 의류(10)들을 하나의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동시에 투입하는 경우,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서 모든 추천코스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분석부(300)를 통해 각 의류(10)에 대한 추천코스를 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하나의 최적코스를 추론하게 된다.
이를 위해, 분석부(300)는 각종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빅데이터 및 퓨전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30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딥러닝 또는 센서 퓨전을 통해 각각의 의류(10)에 대한 추천코스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후 의류 처리기(101, 103, 105) 내의 모든 의류(10)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하나의 최적코스를 추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분석부(300)로부터 추론된 최적코스에 따라 의류 처리기(101, 103, 105)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최적코스에 따른 의류 처리기(101, 103, 105)의 작동 순서, 시간 및 강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에서의 물 높이, 물 온도, 세제 사용량, 세탁시간, 행굼 횟수, 탈수 시간 등을 최적코스에 맞게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투입되는 각각의 의류(10)에 대한 의류정보를 개별적으로 식별한 후, 식별된 의류정보와 연계되게 선택된 각각의 추천코스를 통해 추론되는 하나의 최적코스에 따라 의류 처리기(101, 103, 105)가 작동되므로, 각 의류(10) 별 특성을 복합적이고 자동적으로 반영하여 최적의 코스가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투입된 의류(10) 중 추론된 최적코스에 대한 취약의류가 존재하는 경우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작동안내부(501, 5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하나의 최적코스가 추론되는 경우, 이러한 최적코스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 내의 모든 의류(10) 특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최적코스에 대하여 특정 의류(10)는 여전히 손상 가능성이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기(101, 103, 105) 내에 대부분의 의류(10)가 고온 상태에서 장시간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추론된 경우, 이와 같은 환경에 취약한 울 제품 등이 의류 처리기(101, 103, 105) 내에 함께 존재한다면 해당 울 제품은 처리 과정에서 사이즈가 줄어드는 등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추론된 최적코스에 따른 특정 의류(10)의 손상 가능성을 알려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얻은 후 의류 처리기(101, 103, 105)가 작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작동안내부(501)는 음성적 신호를 출력 가능한 스피커 또는 시각적 신호를 출력 가능한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취약의류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안내부(503)는 취약의류의 존재에 대한 안내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원활하게 피드백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작동안내부(501. 503)의 안내정보 출력 이후, 사용자의 피드백 결과에 따라 최적코스를 변경(예를 들어, 처리 강도를 약하게 조절함 또는 처리 시간을 최소화함 등)시켜 의류 처리기(101, 103, 105)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투입된 의류(10) 중 추론된 최적코스에 대한 취약의류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최적코스로의 진행 여부를 확인 받으므로, 취약의류를 별도로 확인하여 의류(10)의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의류 처리기(101, 103, 105)는 의류(10)를 서로 연계적으로 처리 가능하도록 복수로 설치되고, 분석부(300)는 의류(10)가 각각의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투입되는 시기마다 최적코스를 추론하며, 작동안내부(501, 503)는 어느 하나의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서 안내정보를 출력한 후 사용자의 작동 동의가 없는 경우 취약의류의 처리가 가능한 다른 하나의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 투입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취약의류가 존재하여 이를 사용자에 알린 결과, 여전히 사용자가 해당 최적코스에 따른 작동에 동의한다면, 추가적인 조절 없이 추론된 최적코스대로 의류 처리기(101, 103, 105)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해당 최적코스에 따른 작동에 동의하지 않거나, 안내정보를 미처 파악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소정의 시간 동안 피드백이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해당 의류 처리기(101, 103, 105)를 즉시 대기모드로 전환시키지 않고, 연계된 다른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 의류(10)를 투입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과정은 사용자에게 현재 가장 적절한 처리가 가능한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대하여 별도의 정보를 제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 간에 별도의 이송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부터 가장 적절한 처리가 가능한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 의류(10)를 이송시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어느 하나의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서 취약의류가 존재하여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처리가 가능한 다른 하나의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 취약의류의 투입을 유도하므로, 각각의 의류 처리기(101, 103, 105)가 상호 보완적으로 연계되면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설정된 네트워크 영역 이내에 배치된 의류 처리기(101, 103, 105)와 통신하는 홈서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홈서버(600)는 사용자가 특정한 네트워크 영역 내에 설치되어 통신을 통해 연결된 기기들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서버(600)는 가정용 사물인터넷의 허브 장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홈서버(600)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의 네트워크 영역 내에 배치된 기기들과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홈서버(600)는 별도의 개별적인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가정 내의 다른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또는 TV 등)에 내장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홈서버(600)와 의류 처리기(101, 103, 105) 간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및 엑스트라넷(extranet), 그리고 모바일 네트워크, 예를 들어 셀룰러, 3G, 4G LTE, 5G, WiFi 네트워크, 애드혹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을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 일 수 있다.
특히, 5G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 초저지연성과 초연결성의 특징에 따라 상술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적용이 더욱 원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 처리기(101, 103, 105) 이외의 다른 기기들과 연동되어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구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 및 게이트웨이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홈서버(600)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경우, 식별부(201, 203)는 식별된 의류정보를 홈서버(600)로 전송하고, 분석부(300)와 제어부(400)는 홈서버(600)에 설치되어 각각의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 추론된 최적코스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 투입되는 각 의류(10)에 대한 의류 정보를 홈서버(600)에서 전송 받은 후, 이러한 홈서버(600)에서 최적코스를 추론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까지 생성시킨다. 그리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 전송하여 의류 처리기(101, 103, 105)의 작동을 홈서버(600)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홈서버(600)에서 식별된 의류정보를 수신하여 최적코스를 추론한 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 전송하므로, 홈서버(600)를 통한 홈네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의류 처리기(101, 103, 105)가 다양한 기기와 연동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의류 처리기(101, 103, 105)의 구조를 상대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등록부 및 식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각각의 의류정보 및 의류정보에 따른 각각의 추천코스가 등록되는 등록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의류(10)를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투입하기에 앞서 각각의 의류(10)마다 등록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이와 같은 등록 절차는 어느 하나의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의해 수행되거나,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새로운 의류(10)를 구매한 경우, 해당 의류(10)를 사용자 단말기(20) 또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등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해당 의류(10)의 의류정보만을 등록시키면 자동적으로 해당 의류(10)에 대한 추천코스가 등록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해당 의류(10)의 의류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의류(10)에 대한 추천코스까지 함께 등록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전에 등록 절차를 거친 의류(10)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부(201, 203)에 의해 식별될 수 있고, 식별된 결과를 반영하여 의류 처리기(101, 103, 105)가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사전에 각 의류(10)에 대한 의류정보 및 그에 따른 추천코스가 등록되므로, 각 의류(10)에 대한 1회의 등록 절차만으로도 의류(10) 처리를 지속적이고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부(700)는 의류(10)에 대한 라벨 및 섬유조직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센서(7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카메라센서(710)가 장착된 사용자 단말기(20) 또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를 통해 의류(10)의 라벨 및 섬유조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라벨 및 섬유조직의 이미지는 광학적 문자 판독장치(OCR) 또는 인공지능 영상인식 기술 등을 통해 데이터화되어 등록부(700)에 등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각 의류(10)에 대한 라벨 및 섬유조직 이미지를 획득하여 의류정보를 등록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의류정보의 등록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획득된 이미지는 코드(720)로 변환되어 의류(10)에 부착되고, 식별부(201)는 의류(10)에 부착된 코드(720)를 인식하여 의류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카메라센서(710)를 통해 라벨 및 섬유조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획득된 이미지는 숫자코드, 바코드 및 큐알코드 등과 같은 코드(720)로 변환되어 의류(1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코드(720)가 부착된 의류(10)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의 투입 과정에서 식별부(201)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 코드(720)의 인쇄는 전용 인쇄기를 이용하거나, 가정 내 프린터에서 활용 가능한 전용 스티커 용지를 이용하거나, 온라인을 통한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코드(720)의 인쇄 시 방수가 가능한 용지를 사용하여 해당 의류(10)의 처리 과정에서 코드(720)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획득된 이미지를 코드화하여 의류(10)에 부착시킨 후, 이를 식별부(201)에서 식별하도록 구성되므로, 의류(10)의 노후화에 따른 라벨의 손상 시에도 식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등록부 및 식별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획득된 이미지는 RFID 태그(730)로 변환되어 의류(10)에 부착되고, 식별부(203)는 의류(10)에 부착된 RFID 태그(730)를 인식하여 의류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카메라센서(710)를 통해 라벨 및 섬유조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획득된 이미지는 RFID 태그(730)로 변환되어 의류(1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RFID 태그(730)가 부착된 의류(10)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로의 투입 과정에서 식별부(203)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 RFID 태그(730)의 생성은 RFID 라이터기를 이용하거나, 온라인을 통한 생성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식별부(203)는 RFID의 인식이 가능한 RFID 리더기(203)를 포함하여 의류(10)의 특정 부분을 식별부(203)에 대면시키지 않더라도 의류(10)의 투입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식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획득된 이미지를 RFID 태그화하여 의류(10)에 부착시킨 후, 이를 식별부(203)에서 식별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식별 절차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방법은 상술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주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1 의류 처리기(101)로 의류(10)를 투입한다(S100). 그리고, 이러한 투입 과정에서 투입되는 각각의 의류(10)에 대한 의류정보를 개별적으로 식별한다(S101). 이 경우, 제1 의류 처리기(101)란 상술한 의류 처리기(101, 103, 105) 중 해당 의류(10)에 대한 가장 선제적인 처리를 수행하는 어느 하나의 기기를 일컫는다.
다음으로, 각각 식별되는 의류정보와 연계되게 선택된 각각의 추천코스에 따라 하나의 최적코스를 추론한다(S110). 즉, 제1 의류 처리기(101)로 투입되는 모든 의류(10)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가장 적절한 작동 코스를 추론한다.
다음으로, 추론된 최적코스에 따라 제1 의류 처리기(101)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즉, 추론된 최적코스에 따라 제1 의류 처리기(101)를 작동시켰을 때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 취약의류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판단 결과, 특별한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최적코스에 따라 제1 의류 처리기(101)를 작동시켜 의류(10)에 대한 제1 처리를 수행한다(S150). 그리고, 의류(10)에 대한 후속적인 처리를 위한 제2 의류 처리기(103)로 의류(10)를 투입한다(S200).
반면, S12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취약의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작동 안내를 한다(S130). 즉, 제1 의류 처리기(101)에 투입된 의류(10) 중 추론된 최적코스에 대한 취약의류가 존재하는 경우 안내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작동 안내 결과, 여전히 사용자가 해당 최적코스에 따른 작동에 동의한다면, 추가적인 조절 없이 추론된 최적코스대로 제1 의류 처리기(10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 작동 안내 결과, 사용자가 해당 최적코스에 따른 작동에 동의하지 않거나, 안내정보를 미처 파악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소정의 시간 동안 피드백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의류 처리기(103, 105)에서의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즉, 제1 의류 처리기(101)에서 안내정보를 출력한 후 사용자의 작동 동의가 없는 경우 취약의류의 처리가 가능한 제2 의류 처리기(103)로 투입을 유도한다.
이 경우, 제2 의류 처리기(103) 역시 해당 의류(10)에 대한 처리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 다른 의류 처리기(105)에서의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반면, S160 단계의 판단 결과, 제2 의류 처리기(103)에서 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어 제2 의류 처리기(103)로 투입을 유도하고, 그에 따라 제2 의류 처리기(103)로 의류(10)가 투입된 경우, 의류정보와 연계되게 선택된 각각의 추천코스에 따라 하나의 최적코스를 다시 추론할 수 있다(S210).
즉, 상술한 S160 단계에서 제2 의류 처리기(103)에서의 처리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더라도, 일부 의류(10)가 누락되거나 추가되는 등 실제 제2 의류 처리기(103)에 투입되는 의류(10)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투입된 의류(10)에 대한 최적코스를 다시 추론한다.
다음으로, 추론된 최적코스에 따라 제2 의류 처리기(103)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하고(S220), 판단 결과 취약의류가 없다면 의류(10)에 대한 제2 처리를 수행(S250)할 수 있다. 즉, 추론된 최적코스에 따라 제2 의류 처리기(10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S220 단계의 판단 결과 취약의류가 있다면 작동을 안내(S230)하고, 작동 안내 후 사용자의 동의가 있다면 역시 의류(10)에 대한 제2 처리를 수행(S250)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의 동의가 없다면 또 다른 의류 처리기(105)에서의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이후 제3 의류 처리기(105)에서의 각 단계(S300, S310, S320, S330, S340, S350)는 상술한 제2 의류 처리기(103)에서의 각 단계와 사실상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의류(10)에 대한 모든 처리가 완료되거나, 취약의류가 존재하는 경우 더 이상 처리가 가능한 의류 처리기(101, 103, 105)가 없을 때에 대기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36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방법에서 의류정보 및 추천코스가 등록되는 단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방법은, 각각의 의류정보 및 의류정보에 따른 각각의 추천코스가 등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전에 등록 절차를 거친 의류(10)는 의류 처리기(101, 103, 105)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식별부(201, 203)에 의해 식별될 수 있고, 식별된 결과를 반영하여 의류 처리기(101, 103, 105)가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의류정보 및 추천코스가 등록되는 단계는, 의류(10)에 대한 라벨 및 섬유조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0), 획득된 이미지를 기 등록된 의류정보와 비교하는 단계(S20) 및 이미지가 기 등록된 의류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규 의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전에 의류(10)에 대한 등록 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기 등록된 의류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S30)하게 되고, 기 등록된 의류정보와 일치한다면, 추가적인 절차 진행 없이 기 등록된 정보가 그대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기 등록된 의류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새롭게 등록 절차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 등록된 의류정보 및 새롭게 생성된 각각의 의류정보에 대하여 추천코스가 등록될 수 있다(S5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방법은, 각 의류(10)에 대한 의류정보의 등록 시 기 등록된 의류정보를 활용하므로, 유사 의류(10)에 대한 등록 절차가 간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방법에서 설명되는 주요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의 주요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의류 20: 사용자 단말기
101, 103, 105: 의류 처리기 201, 203: 식별부
300: 분석부 400: 제어부
501, 503: 작동안내부 600: 홈서버
700: 등록부 710: 카메라센서
720: 코드 730: RFID 태그
1000: 의류 처리 장치

Claims (13)

  1. 의류에 대한 세탁, 건조, 살균, 탈취, 제진 및 주름제거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수행 가능한 의류 처리기;
    상기 의류 처리기에 투입되는 각각의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를 개별적으로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부에 의해 각각 식별되는 상기 의류정보와 연계되게 선택된 각각의 추천코스에 따라 하나의 최적코스를 추론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로부터 추론된 상기 최적코스에 따라 상기 의류 처리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기에 투입된 상기 의류 중 추론된 상기 최적코스에 대한 취약의류가 존재하는 경우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작동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기는 상기 의류를 서로 연계적으로 처리 가능하도록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의류가 각각의 상기 의류 처리기에 투입되는 시기마다 상기 최적코스를 추론하며,
    상기 작동안내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의류 처리기에서 상기 안내정보를 출력한 후 사용자의 작동 동의가 없는 경우 상기 취약의류의 처리가 가능한 다른 하나의 상기 의류 처리기로 투입을 유도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설정된 네트워크 영역 이내에 배치된 상기 의류 처리기와 통신하는 홈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식별된 상기 의류정보를 상기 홈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분석부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서버에 설치되어 각각의 상기 의류 처리기로 추론된 상기 최적코스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의류정보 및 상기 의류정보에 따른 각각의 상기 추천코스가 등록되는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의류에 대한 라벨 및 섬유조직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센서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획득된 상기 이미지는 코드로 변환되어 상기 의류에 부착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의류에 부착된 상기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의류정보를 식별하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획득된 상기 이미지는 RFID 태그로 변환되어 상기 의류에 부착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의류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의류정보를 식별하는, 의류 처리 장치.
  9. 제1 의류 처리기로 투입되는 각각의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를 개별적으로 식별하는 단계;
    각각 식별되는 상기 의류정보와 연계되게 선택된 각각의 추천코스에 따라 하나의 최적코스를 추론하는 단계; 및
    추론된 상기 최적코스에 따라 상기 제1 의류 처리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류 처리기에 투입된 상기 의류 중 추론된 상기 최적코스에 대한 취약의류가 존재하는 경우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류 처리기에서 상기 안내정보를 출력한 후 사용자의 작동 동의가 없는 경우 상기 취약의류의 처리가 가능한 제2 의류 처리기로 투입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의류정보와 연계되게 등록된 각각의 추천코스에 따라 하나의 최적코스를 다시 추론하는 단계; 및
    추론된 상기 최적코스에 따라 상기 제2 의류 처리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의류정보 및 상기 의류정보에 따른 각각의 상기 추천코스가 등록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되는 단계는,
    상기 의류에 대한 라벨 및 섬유조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이미지를 기 등록된 의류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가 기 등록된 상기 의류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규 의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방법.
KR1020190070094A 2019-06-13 2019-06-13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90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94A KR20190090734A (ko) 2019-06-13 2019-06-13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
US16/568,141 US20200002872A1 (en) 2019-06-13 2019-09-11 Apparatus and method for clothes tre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94A KR20190090734A (ko) 2019-06-13 2019-06-13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734A true KR20190090734A (ko) 2019-08-02

Family

ID=6761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094A KR20190090734A (ko) 2019-06-13 2019-06-13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002872A1 (ko)
KR (1) KR201900907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661A1 (ko) * 2020-01-03 2021-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63958A1 (ko) * 2021-01-28 2022-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4026940A4 (en) * 2019-09-04 2023-06-21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DR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4122B2 (en) * 2019-06-19 2023-05-30 Hill-Rom Services, Inc. Patient support apparatus tracking system
CN114059267B (zh) * 2020-07-31 2023-11-0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运行控制方法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6940A4 (en) * 2019-09-04 2023-06-21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DRYER
WO2021137661A1 (ko) * 2020-01-03 2021-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63958A1 (ko) * 2021-01-28 2022-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02872A1 (en)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0734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8978111B (zh) 一种洗涤设备控制方法及洗涤设备
EP3957791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08978109B (zh) 一种洗涤设备控制方法及洗涤设备
CN109112774B (zh)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洗衣机
CN107354662A (zh)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84467B2 (en) Detection and/or monitoring of the load on a textile piece during a treatment cycle
WO2004055256A1 (en) Method for management of textile articles
CN111295472A (zh) 用于更好地识别污渍的手持式扫描仪、具有该扫描仪的***和用于运行该***的方法
KR20200095076A (ko) 인공지능 기반의 세탁물 처리 정보 제공 장치
CN110100053A (zh) 通过信息载体确定处理参数的方法
CN110699909A (zh) 一种衣物处理***的控制方法
CN209296565U (zh) 用于洗涤物的分析设备
CN10986861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洗衣机控制方法及***
CN112444495B (zh) 衣物材质识别设备、方法以及衣物洗护的方法、装置
ITUB20154819A1 (it) Sistema per il trattamento di capi in materiale tessile.
CN114395893A (zh) 用于控制洗衣机的方法及装置、洗衣机、存储介质
JP2004174043A (ja) 洗濯制御装置
CN108978110B (zh) 一种洗涤设备控制方法及洗涤设备
TR201706161A2 (ko)
CN110042615A (zh) 衣物洗涤程序控制方法及衣物处理设备
CN112709041A (zh) 一种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及衣物处理设备
CN113493985A (zh) 用于洗涤设备的控制方法
CN111850945A (zh) 一种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CN112016357A (zh) 衣物洗护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